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교육 제도 내의 대안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황선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Metho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perceptions about the alternative education performance i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system. Below concret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ccomplish it. First, how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public education problems? Second, how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ird, how is the empath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the alternative education performanc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cla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conducted a surve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Chungcheongnam-do, distributed a 250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205 sets.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program for ratio analysis according to frequency and the test of Chi-squa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public education system, it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education was average in general. The main problem of the public education was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that caused teachers to suffer from their affairs regardless of sex, career and work place. Second, a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y sympathized with general alternative education to a certain extent. As a result of investigat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the effect was to perceive as valid and it was because the alternative education develops various talents and aptitudes and calls inner motivation of learning. The reasons why this education was to perceive as ineffective were the difficulties due to increase of affairs and class operation. Third, at the empath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the alternative education performanc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y sympathized with it to some extent. They had intention to apply it in the future in spite of no current application. It was because they could apply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can raise educational effects. The reasons why they do not intend to apply were the difficulties due to increase of affairs and class operation. Most of them were negative to the intention to work for a school in which this education is performed and they were willing to voluntarily perform the education in the currently working school. To sum up the above result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was mostly positive but they were worried about the difficulties due to increase of affairs and class operation and have weak intention to work for a school in which the education is performed. However, it showed that they were willing to apply it and have strong intention to practice it with teachers who sympathize. Thus, a plan for increasing work efficiency should be provided. And most of all, the atmosphere to allow teachers to perceive problems themselves and voluntarily study and perform it with teachers who sympathize should prepared.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공교육 제도 내에서 대안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이 설정되었다. 첫째,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공교육 제도 내의 대안교육의 특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공교육 제도 내의 대안교육 참여에 대한 초등교사의 공감 정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및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250부를 배부하여 205부를 회수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수에 따른 비율분석(%)과 검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공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공교육의 주된 문제점은 성별, 경력별, 근무지별에 관계없이 교사들을 잡무에 시달리게 하는 교육 행정 구조로 나타났다. 둘째, 공교육 제도 내의 대안교육 특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대안교육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공교육 제도 내의 대안교육은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다양한 특기, 적성을 계발해주고 학습의 내적 동기를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이 효과가 없다고 인식하는 이유는 업무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학급운영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교육 제도 내의 대안교육 참여에 대한 초등교사의 공감 정도를 살펴보면, 이러한 교육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을 현재 적용하지 않지만 앞으로 적용할 의향이 있으며, 그 이유는 다양한 교육내용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교사-학생-학부모의 연계로 교육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할 의향이 없는 이유는 업무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학급운영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런 교육을 시행하는 학교에서 근무할 의사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고,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서 자발적으로 대안교육을 시행할 의사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공교육 제도 내에서의 대안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지만, 업무의 증가, 학급운영의 어려움을 우려하고 있고, 그런 교육을 실천하는 학교에 근무할 의사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으로 대안교육을 적용할 의향이 있고, 그것을 공감하는 교사들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여건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사 자신이 문제를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공감하는 교사들과 함께 실천할 수 있는 풍토를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 동료지도학습이 초등학생의 수·연산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In a class with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where a teacher teaches 40 student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study and life guidance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characteristic, study ability and personal difference. Thus, a peer tutoring method that the students support and get help each other in one to one peer is groped for a solution of individual clas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characteristic, study ability and personal differenc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an effect of peer tutoring on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of the students, and peer relationship by applying peer tutor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for the study are prepared. First, what effects does peer tutoring give to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 class ? Second, what effects does peer tutoring give to peer relationship ? To verify above question of this study, the pre-test on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and peer relationship was conducted toward 5th grade students of G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and two homogeneous classes were chosen for the test.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upper students(25%) and low students(25%), and upper intermediate students (25%) and low intermediate(25%), conducted peer tutoring in one to one peer and the comparative group proceeded the traditional teacher centered study. To verify homogeneity of two groups, the pre-test was conducted and its results are that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are t=0.485 and p=0.629, it impli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05. Peer relationship is t=-0.107 and p=0.915 and there is also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05.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test was based on the selected questions out of the questions of the study achievement appraisal submitted from Gyeonggi-Do Ministry of Education in 2007. Peer relationship test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Dong Won(1982) for verifying an effect of the postive relationship. understanding and sympathy, cooperative interaction through an interaction with peer in peer tutor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tal 20 times, 4 times a week for 5weeks in regular class of math, and number and calculation domain. Prior to the experiment, the training for peer educator and peer educatee was conducted twice and the meeting for peer educator and peer educatee was conducted periodically once a week during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conducted a test of number and calculation, and peer relationship toward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and an independent t-test for difference of average value of two groups was conducted using SPSS 11.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ith peer tutoring showed the positive effect in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a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70)=3.715, p=0.000).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ith peer tutoring showed the positive effect in peer relationship a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70)=2.049, p=0.044). According to these results, peer tutoring had an more positive effect on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and peer relationship than the traditional teacher centered study. However, a change in number and calculation skill of math class is only evaluated in this study but a study on re-evaluating an improvement in the level of study achievement is necessary by applying peer tutoring to other domain and subjects aside from math class. Besides, as the experimental duration for this study is too short, long term experiment for this study will be necessary for more precise verification in definitive domain like a change of peer relationship. 1명의 교사가 40여명을 지도하는 다인수 학급에서는 학생의 특성과 학습 능력,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지도와 생활지도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각 학생의 특성과 학습능력,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수업의 대안으로 1:1로 짝을 지어 서로 돕고 배우는 동료지도학습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료지도학습을 초등학교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동료지도학습이 학생들의 수·연산능력과 교우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동료지도학습은 초등학생의 수학과 수·연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나. 동료지도학습은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G초등학교 5학년 학급 중 수·연산능력과 교우관계 사전 검사 결과 동질한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상위(25%)와 하위(25%) 학생을 1:1 로, 중상위(25%)와 중하위(25%)학생을 1:1로 짝을 지어 동료지도학습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수·연산능력은 t=0.485, p=0.629로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우관계 또한 t=-0.107, p=0.915로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검사도구로 사용한 수·연산능력 검사는 지금까지 학습한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경기도 교육청에서 2007년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으로 제공하였던 문제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우관계 검사는 동료지도학습에서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 인간관계, 이해와 공감, 협동적 상호작용 등에 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동원(1982)이 개발 제작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수학과 수와 연산영역 정규 수업시간에 5주 동안 매주 4차시씩 총 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실험 처치 전에 동료지도자와 동료학습자 훈련을 각 2회 실시하였고 실험처지 중에는 동료지도자모임과 동료학습자 모임을 일주일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가졌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수·연산 능력과 교우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평균치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지도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수·연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t(70)=3.715, p=0.000) 둘째, 동료지도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t(70)=2.049, p=0.044)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동료지도학습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학습에 비해 초등학생의 수·연산능력과 교우관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의 수·연산능력의 변화만을 보았으나 수학과의 다른 영역과 다른 교과목에도 동료지도학습을 적용하여 학업성취 수준의 향상을 재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 처치 기간이 짧아 교우관계의 변화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좀 더 정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실험처치 기간을 장기화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수업행동과 생활행동에 대한 교사 스트레스 분석

        강주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교사들이 초등학생의 어떤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의 행동에 따라 교사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교사의 성별, 담임담당, 담당학년, 재직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충청남도와 서울ㆍ대전 내 공립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ㆍ응답하도록 하였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20명의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느끼는 아동의 행동목록을 개방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 결과 중복되거나 비슷한 유형을 간추려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측정도구는 총 9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마다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Likert식 5단계 평정법으로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아동 행동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기술하고 순위를 산출하여 영역별로 의미 있는 행동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의 변인(성별, 담임담당, 담당학년, 재직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아동 행동 중 생활 행동에서 수업 행동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 그리고 생활 행동에서는 ‘친구를 대하는 태도’, ‘규칙 준수 및 행사 참여 태도’, ‘교사를 대하는 태도’ 순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수업 행동에서는 ‘수업 준비 및 집중’에서 ‘모둠ㆍ전체 활동’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둘째,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수업 행동은 ‘수업 준비 및 집중’에서는 수업 중에 소리를 내어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 수업 중에 일어나서 돌아다니는 행동, 수업 중에 핸드폰을 만지거나 수업 중에 학원 문제집을 푸는 행동이다. 수업의 ‘모둠ㆍ전체 활동’에서는 방금 해 준 말을 자꾸 묻는 행동, 모둠 활동시 다른 모둠원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 교사가 내준 학습 활동을 안 하거나 대충하는 행동이다. 셋째,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생활 행동은 ‘친구를 대하는 태도’에서는 무리 지어 다니며 하는 불량한 행동, 친구를 따돌리는 행동, 친구의 물건이나 돈을 가져가는 행동이다. ‘규칙 준수 및 행사 참여 태도’에서는 교실, 복도, 급식실 등에서 큰 소리로 떠들거나 뛰어다니는 행동, 학습 규칙이나 약속을 지키지 않는 행동, 자신의 일을 남에게 미루는 행동이다. ‘교사를 대하는 태도’에서는 교사에게 대드는 행동, 교사의 욕을 하는 행동, 교사에게 거짓말을 하는 행동,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행동, 벌을 받으면서 장난치는 행동이다. 넷째, 여자 교사가 남자 교사보다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다섯째, 담임 교사가 교과전담 교사보다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여섯째, 담임을 맡은 학년이 낮은 교사일수록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일곱째,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사들은 수업 행동에 스트레스를 더 받고, 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들은 생활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여덟째, 대도시에 근무하는 교사와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다.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 교사들은 생활 행동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므로 교사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대 교육과정에서 아동의 생활 지도에 대한 교육을 현장과 연계하여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직 교사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연수를 통해 계속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에게 높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집단 따돌림이나 학교 폭력 등의 아동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행동들에 대한 더 세분화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하며, 아동의 성별과 교사의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교사의 변인을 학교 규모, 학급당 학생 수 등에 따라 나누거나 근무 지역을 도시와 농어촌 등으로 나누어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의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in what behaviors of the children the teachers take the stress, and to analyze what differences the degree of the teacher's stress by children behavior are produced according to gender, responsible grade, responsible class, career and working regio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ndomly selected 20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ungcheongnamdo, Seoul and Daejeon.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 20 teachers are supposed to answer the lists of the children behaviors that the teachers feel the stress through the open questions. Repeated and similar types of answer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The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92 questions, and in each of questions,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s a degree of perception on the basis of Rate Scale Method of Likert 5 stages. The collected data obtained by using SPSSWIN 12.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meaningful behaviors in each of scopes by describing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in order to know Children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and t-test and F-test was conducted to know what difference the teachers's stress show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gender, responsible grade, responsible class, career, working reg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teacher take more stress from extra-class behavior than class behavior of the children. Teacher take high stress from 'attitude toward the friends', 'rule observance and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the event' and 'attitude toward the teachers' in class behavior scope, and take more stress from 'class preparation, concentration' than 'group and class activity' in the class behavior scope. Second, class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are composed of a behavior of disturbing teaching by making noise in a class, standing and running in a class, touching mobile phone and taking question books of private institution in the 'class preparation and concentration scope'. And asking same questions, harming other members at the time of group activity, disturbing a class by interfering teacher's word and fighting with other members at the time of group activity in the 'group and class activity scope'. Third, extra-class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are composed of a behavior of disturbing teaching by doing bad behaviors done in a mob, leaving the friends in the cold, blackmailing friend's belonging and money in the scope of 'attitude over the friends' who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Children behaviors in 'rule observance and participation attitude scope' are composed of the behavior of loudly speaking and running at the classroom, corridor and dinning room, not keeping promise and study rule and passing works to others.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in 'attitude scope toward the teachers' are composed of the behavior of turning on the teachers, heaping abuses on the teachers, telling a lie to the teacher, not admitting a mistake and playing at the time of punishment. Fourth, woman teachers feel more stress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than man teachers. Fifth, the class responsible teachers feel more stress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than the subject responsible teachers. Sixth, the class responsible teachers with less grade feel more stress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Seventh, the teachers with over 20 years in career feel more stress in children class behavior. The teachers with under 10 years in career feel more stress in children extra-class behavior. Eighth,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ig city, and middle and small city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the teachers take high stress in extra-class behavior and to reduce teacher's stress, an education over children life guidance in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well linked to the field. And the continuous feedback will be made through teacher's training. In particular, the consul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children behaviors such as being left out in the cold by group and school violence that causes high stress of the teachers. Besides, more detailed and wide investigation over the behaviors causing the stress of the teachers will be necessary. The continuous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gender and teacher's stress should be conducted by preparing the teacher's variable such as school size and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nd working region such as city, and farm and fishing village. A study on a method of stress relief and dealing with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should be required.

      •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 또래집단의 질적 특성

        서미선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 또래집단의 질적인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친구관계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또래집단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하나의 또래집단 내 친구관계의 질을 심층 관찰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들은 5~6개의 각자 또래집단을 형성했고, 의존성과 동조성, 희생성, 비밀성의 성향의 공통적 특성을 보였다. 여학생들은 혼자 지내는 것을 꺼려하고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도 함께 행동하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의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또 자발적으로 그들의 욕구, 흥미, 느낌, 의견, 규범으로 또래 문화를 만들고 그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조성을 보였다. 그리고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노력을 하는 희생성을 보이며 각 집단마다 은신처, 카페, 비밀일기를 통하여 비밀적인 성향을 가지면서 안정감과 소속감을 가졌다. 하나의 또래집단을 심층 관찰함으로서 탐구한 그들의 친구관계는 매우 복잡했다. 또래집단 내에서도 서로 비밀을 공유하며, 노력하는 정도에 따라 편이 갈라졌고, 친구관계의 긴밀한 정도도 달랐다. 또 사건에 따라, 시간에 따라 친구관계가 달라지고, 그들의 친구관계를 감추려하는 아이들의 비밀적인 성향은 외부사람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없는 원인이 되었다. 다른 또래집단 역시 긍정적인 특징과 부정적인 특징을 동시에 가지면서 그저 평온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긍정적 측면이 많아지고, 부정적인 측면이 최소화 되어야 친구관계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부정적 측면이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교사나 어른들의 인식이 중요하다. 아이들의 싸움에 ‘친구들과 싸우지 마라’와 같은 소극적인 조치는 상황의 악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들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이해해주고, 건강하고 바람직한 또래집단이 될 수 있도록 그들의 활동에 교육적 의미를 부여해주어야 할 것이다. 자신의 또래집단의 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의견의 불일치나 갈등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girl's peer group. Girls are reported to have higher functions and satisfaction in friendship than boys.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girls only. For this purpose, the study begins with two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girl's peer group of fif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are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girl's peer group? To answer these questions, children are asked to report about themselves using Qualitative Scale of Friendship which is divided into six friendship functions, conflict, competition and satisfaction toward friendship(based on study of Rhee & Koh). But it's not enough, so that teachers, parents and classmates are asked to investigate their habits, language, and behavior for a year.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 First, girl's peer groups of fifth grade had common characteristics of dependency, conformity, sacrifice and secrecy. Girls hated to be alone and they felt fear if they did not behave together even though they were in the same place. That is, they made culture of their peer group based on their needs, interest, feelings, and opinions. And those rules had influence on group members. And also, in order to keep their relationship, they made a secret through secret meetings, internet cafes, secret diaries. Second, teachers noticed indirect bullying though girl students were intimate and had frequent contact themselves. If they did not keep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or broke their rules, they spoke ill of their friends instead of talking or playing. This indirect bullying was noticed between normal girl students, and they were close friends and had frequent contact. These facts need to be cautious because it is not easily observed by their parents, teachers or classmates. Third, they encouraged each other and had peaceful days inspiring their peer groups with confidence. Though teachers and students were in the same place under the name of classroom, students were encouraged and felt security from their friends. They exchanged information, helped each other, and shared their secret or feelings about themselves. However, in spite of these positive functions, they often experienced disagreement and indirect bullying. They also competed and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one peer group, their friendship was very complicate. Sharing secret in a peer group, they were divided into two par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endeavors, and their degree of intimacy in friendship was different. Also, they had a tendency to hide their friendship, so outer people couldn't understand their complicate culture. Every friendship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quality of friendship becomes higher as the positive sides become larger and the negative sides become minimized. In order to make positive synergy effect from the negative side, it is wrong just to say 'Don't fight' or 'Leave a quarrel as it is'. Teachers and adults should understand peer group's culture as it is. They have to prepare thoroughly to make healthy and desirable peer groups, and we should inspire students' activities with educational meaning.

      • 역전학습(Flipped Learning)의 활용이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서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은주 단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업혁신의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역전학습(Flipped Learning) 수업을 2주간 초등 5학년 국어과통합교과수업 8차시에 걸쳐 실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전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역전학습은 전통적 학습 방식의 패러다임을 뒤집어, 교실 밖에서 강의롤, 교실 내에서 과제와 활동을 함으로써 개별학습과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학습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전학습(Flipped Learning)의 활용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국어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역전학습(Flipped Larning)의 활용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국어과 역전학습(Flipped Learning) 수업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S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1개반, 23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2009 교육과정 개정판 국어 통합교과서를 바탕으로 2015년 1학기 국어 3단원(상황에 알맞은 낱말)의 다의어 수업을 역전학습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전 실험집단의 국어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는 국어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관한 개별 인터뷰, 역전학습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후국어학업성취도에서 역전수업이 성취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과정 중 이루어진 학습활동의 학습목표 도달 정도, 완성도와 오류의 성취 수준에서도 효과가 있음으로 분석되었다.자기주도학습능력의 5점 척도의 설문지에서는 사전 사후 결과가 역전수업의 효과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관한 개별 설문의 경우에서는 91%의 학생이 역전학습의 사전 사후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변화에 대해 긍정적 반응으로 답하였다. 수업만족도의 경우 모든 학생이 새로운 수업 방식과 수업 중 활동에 대해 학습효과와 흥미면 모두에 있어 만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역전학습은 국어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업 만족도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증진시키고 호기심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인 학습 모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짧은 역전 수업 기간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효과성은 통계적으로 검증하지 못함에 따라 역전수업 시행 기간을 늘리고 보다 다양한 활동과 다른 과목으로의 적용을 계획한다면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신장의 효과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