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학기제의 실시에 따른 영어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김현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실시에 따른 영어 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영어 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를 조사한 후, 자유학기제의 실시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자유학기제의 효과적인 실시 방향과 더 나아가 우리 공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 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은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조사 6문항과 자유학기제 동안의 영어교과에 대한 인식 11문항, 사교육에 대한 인식 9문항과, 사교육의 장단점에 대한 서술형 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사 기간은 2016년 12월 19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세종시 소재의 Y중학교에서 2016년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남녀 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유학기제 기간 동안의 영어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에 있어서는, 자유학기제 동안의 영어 수업을 통해 얻은 이점은 다양한 활동으로 진행되는 흥미로운 수업이라는 응답과 지필고사의 미실시로 인한 시험에 대한 부담의 감소라고 응답한 비중이 높아, 자유학기제 동안의 지필고사의 미실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유학기제 실시로 인한 우려로는 자유학기제 기간이후의 학습적응에 대한 두려움과 지필고사 미실시에 따른 학력의 저하라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영어 교과 활동의 만족도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하여 자유학기제 동안의 영어 교과 활동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영어 사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 있어서는, 자유학기제 기간 동안 영어 사교육의 필요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유학기제 기간 동안에도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유학기제 실시 이후 영어 사교육 유무를 묻는 질문에 다수의 응답자가 사교육을 경험 했다고 응답하였다. 자유학기제 실시 후 영어 사교육 양과 시간의 변화에 대해 묻는 질문에 있어서는 다수의 응답자가 예전과 같다고 응답하여, 자유학기제의 실시가 사교육의 감소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교육의 장점과 그 지속 이유에 대한 서술형 질문에 있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은 자세한 수업방식과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수업방식이 사교육의 장점이자 지속 이유라 응답하였다. 자유학기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자유학기제 기간 동안의 학교 시험제도의 도입과 학생들의 자유학기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자유학기 전담 교사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이며, 이와 더불어 사교육 제도의 장점을 도입한 공교육의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과학 '생물 다양성' 단원을 중심으로

        이태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과학 ‘생물 다양성’ 단원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이 태 호 과학 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물질적 풍요와 편의를 제공해주었으나 이로 인한 자연 파괴,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로 현재 우리가 살아가 는 생태계는 그 기능을 상실하고 이제는 회복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에 자연과 함께 공존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등장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은 전 세계의 지속 가능한 미래와 발전을 위한 교육 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교육기본법 개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큰 축으로 생태 전환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모든 교과 교육이 지구 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시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이 과학적 소양을 갖춰 우리가 처한 전 지 구에 걸친 환경 문제를 과학적,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인재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 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환경 문제가 가진 복잡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 하며 생각해볼 수 있고, 지구 내의 여러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시스템을 전 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사고를 도입하였다. 특히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 관되고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는 생물 다양성을 본 연구의 주 제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 다양성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기후변 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이를 중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 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 그리고 시스템사고 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 였다. 이에 대해 예비 파일럿 테스트와 현장 교사 피드백을 시행하였으며 도출된 결 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 후 최종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효과성 분석은 중학생의 시스템사고력과 기 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로 2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먼저 사전-사후 설문지 를 분석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양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고 인과지도 분 석 및 사후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더욱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생물 다양성 내용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 반 창의적 체험 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총 12차시로 총 5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시스템사고에 대한 이론적 내용 학습. 기후변 화와 시스템사고 학습 동기 함양, 기후변화의 원인 및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다양성 파괴 사례 인과지도 학습, 프로젝트형 모둠활동 및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대응 방 안 모색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시스템사고력 향상과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를 함양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시스템사고력에 대한 설문지의 사전-사후 양적 분석 결과 시스템사고력 측정 하위 5개 영역 모두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p<0.0001)을 보였다. 또한, 시스템사고력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위한 인과지도 사전-사후 분석 결과, 인과지도 내의 사용한 개념 수, 구성한 순환 고리 수, 연결 관계 발견 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일 부 중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사후 인과지도에서 개념 수와 순환고리 수, 연결 관계 발견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시스템사고 과정이 학생들로 하여금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등의 개념들이 명확한 인과관계로 학습 및 정리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생들의 심층 인터뷰 결과, 시스템사고 인 과지도 학습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과 문제 해결 방 안을 모색하는 과정에 흥미를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스템사고의 과정 이 환경위기의 심각성을 깨닫게 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복잡한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한 방법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생물 다양성 회복의 긍정적인 전망을 갖게 되는 모 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설문지의 사전-사후 분석 결과,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p<0.0001) 이 있었다. 또한, 인터뷰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깨닫는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행동 방안을 마련하는 모습 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시스템사고의 과정 이 학생들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시스템사고가 학생들이 환경위기의 심각성을 깨닫고 자신의 삶에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하며, 앞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인 생각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교육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시스템 사고가 중학교 과학에 제시된 먹이사슬, 생물 다양성 파괴 원인, 생물 다양성 보존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시스템사고 과 정을 통해 학생들이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깨닫고 자신의 삶을 반성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구체적인 다짐을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사고 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이론적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시스템사고가 기후변화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와 다양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셋째, 시스템사고 의 과학 교과 접목에 대해서 더욱 체계적이고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학생 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행동 실천이 지속해서 이어지도록 추가적인 교육 체계와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주제어: 기후변화, 시스템사고,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중학교, 생물 다양성

      •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지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경기 혁신교육 정책 및 운영 방향을 제언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혁신교육과 경기 혁신교육의 개념, 철학, 특징, 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경기도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총 122명을 대상으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교사 중 혁신학교 경험자들의 혁신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혁신학교 재직 경험은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혁신학교의 확대는 필요하다. 경기혁신교육 실시 이후 가장 큰 변화로 혁신교육의 가장 중요한 학교교육과정의 방향(목적) 공유, 학교 교육 철학(비전)을 교육 주체들 간 공유하고 논의하게 되었으며, 교사 간 소통하고 협의 하는 문화 조성,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 의견 반영 정도, 학부모 참여 활성화 정도, 교사 교육과정 권한 위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자발적 참여 정도를 높이고,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학교 내 교사 간 교육활동 중심의 수업 개방 및 나눔의 문화를 정착시킨 점은 매우 의미가 크다. 둘째, 혁신교육의 인식 차이는 학교급별로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학교 내 교사 간 소통하고 협의 하는 문화 조성, 교육활동에 학생 의견 반영 정도, 지역사회와의 소통 문화 활성화,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에의 자발적 참여,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교육과정 연계 운영,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교사 간 수업 나눔 연계 운영 및 교육과정 공동 연구 등에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경기혁신교육의 실시로 구성원 간의 소통과 참여의 학교 문화로 민주적인 학교 운영이 이루지게 되었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시 지역 자원 활용 정도,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교육과정(프로그램) 운영, 학교 철학의 학교(혹은 학교) 교육과정 반영 여부, 교사 간 학년(혹은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지속적 운영 차이가 나타났으며, 역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 보다 점수가 더 높게 나타탔다. 교사들의 교육활동은 교사 개인 역량 보다, 학교 공동체 문화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사들이 혁신학교의 경험을 많이 공유하여 혁신학교 문화를 더 확산할 수 있도록 혁신학교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경기혁신교육 실시 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의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 모두가 참여하여 학교 철학을 만들고 이를 공유하고 있다. 경기혁신교육 전 학교교육과정은 교육부에서 내려오는 top-down방식이었고, 학교 내에서도 담당 부장 중심으로 편성 운영되었다. 경기혁신교육 실시 이후,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모든 교육 주체가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참여하여, 지역별로 학교별로 교육 주체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bottom-up 방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으로 변화하고 있다.

      • 과학적 대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경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대칭성을 과학교육에 적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세부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대칭성이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과학적 대칭성과 과학의 본성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ADDIE 모형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과학적 대칭성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진화론과 태양중심설 및 관련 개념을 활용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개발된 과학적 대칭성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첫 번째 측면은 R 프로그램의 대응 표본 t 검정을 활용해 과학적 대칭성에 대한 마인드맵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번째 측면은 과학적 대칭성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점과 정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세 번째 측면은 SUSSI 검사지를 활용해 과학적 대칭성 교수학습 프로그램 경험 전과 후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대칭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시행한 결과, 물리학에서의 과학적 대칭성을 ‘서로 다를 것 같았던 두 물체나 상황이 수학적 변환에 의하여 동등성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물리학과 과학철학에서 활용하는 동등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생명과학에서의 과학적 대칭성을 ‘서로 다를 것 같았던 대상이나 상황이 생명과학적 법칙이나 이론에 의하여 동등성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 결과를 과학의 본성 중 합의된 관점 요소 5가지와 연관 지어 과학의 본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둘째, 과학적 대칭성을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1차시와 2차시 두 개 차시로 구성된 1단계 대칭성 인식하기(Recognizing Symmetry) ①, 3차시와 4차시 두 개 차시로 구성된 2 단계 전통 및 근현대 과학 탐구하기(Exploring the Traditional & Modern Science), 5 차시와 6차시 두 개 차시로 구성된 3단계 대칭성 인식하기(Recongnizing Symmetry) ②, 7차시 1개 차시로 구성된 4단계 대칭성과 과학적 발전(Symmetry & Scientific Advancement)으로 최종 개발되었다. 효과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 분석 결과, 과학적 대칭성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과학적 대칭성과 그 연관 개념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적 대칭성에 대한 학습 기회가 과학에 대해 깊이 고찰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등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과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적 대칭성은 과학의 본성 학습에서도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적 대칭성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전략, 방법 등에서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경험을 주었으며, 여러 과학자에 대한 학습이나 기존에 알고 있던 과학적 이론을 자세히 탐구하는 기회 등을 학생들에게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대칭성을 비롯한 과학의 미학적 특성은 과학철학의 분야로 여겨지는데, 과학철학적 요소를 과학 교수학습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예비 교사 양성 과정이나 현장 교사 연수를 통해 과학철학에 대한 접근 기회를 늘리고, 그 중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최근 개정된 2022 교육과정의 경우 과학의 미학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교과인 『과학의 역사와 문화』 교과를 신설하였는데, 교육과정과 연계한 다양한 교수학습 접근법이 명시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육자, 과학철학자, 그리고 과학자가 과학적 대칭성과 같은 과학의 핵심 원리를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

      •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옹호 경험 연구

        이민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79

        인간은 누구나 삶의 주체로 살아가고자 한다. 하지만 발달장애 청소년은 타인에 의해 통제되거나 배제되는 경험을 많이 접하게 되며, 이것은 때로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다는 명목 하에 이루어지는 일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식은 가정, 학교,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현재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법제도 등이 마련되고 있으나 사회적으로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차별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여러 보고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옹호 경험을 알아보고, 연구를 통해 자기옹호 경험이 무엇이며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 청소년 9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개별적 자료를 조합해 나가며 전체상으로 구조화해 원인을 밝혀나가는 KJ법(친화도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연구참여자들이 자기옹호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옹호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자신에게 다양한 권리가 있음을 깨닫고 이를 통해 자기결정권을 행사했다는 점이다. 또한, 지지 받는 환경과 존중받는 환경에서 자신이 자기옹호가 실현됨을 느꼈으며 사회적으로 다른 사람과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가정 및 학급의 일원으로 인정받는 경험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옹호의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도움’ 자체가 차별의 도구가 되고 폭력은 지울 수 없는 상처로 남는다는 것이며, 자신의 결정권에 가족의 영향을 받고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자신을 대신해 많은 것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또한 부당한 일을 당해도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행동한 경험 등이었다. 셋째, 장애라는 정체성이 자기옹호의 경험의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장애로 인해 지지 받기도 하지만 또한 장애로 인해 차별당하기도 한다. 자기옹호의 관련 요인으로는 자기옹호의 장인 가정이나 학교에서 장애라는 것 자체가 자기옹호의 경험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으며 고집은 자기옹호의 중요한 수단으로 발현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주변의 많은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그 정보는 발달장애인에게 유의미한 것이어야 하며, 습득 가능해야 하고, 기타 지원이 제공되어야한다. 또한 발달장애 청소년이 자신의 장애개념 및 정체성을 명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많은 정보를 활동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둘째, 자기옹호 교육이 어릴 때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발달장애 청소년은 부당한 일을 당하면 부당하다고 느끼지만 표출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술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교육 현장에서 자기옹호에 대한 기술을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자기옹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삶의 현장이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자기옹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장소로 적합한가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현장교사는 부모, 복지관 등 관련 전문가 들이 자기옹호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가졌는지 알아보고, 전문가들은 자기옹호 기술을 잘 적용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기술로 이들을 교육해야 한다. 넷째, 자기옹호 기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인력과 공간이 확보되었지만 프로그램이 부재하다면 발달장애 청소년이 자기옹호의 교육을 받을 기회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다양한 영역의 자기옹호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최호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 정보제공자인 교사와 부모가 느끼는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의 변화과정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O시의 D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 5명으로 개인과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은 연구대상의 현행수준과 필요에 따라 2011년 개정된 특수교육교육과정 및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제시한 장애학생 자립생활훈련 교수 학습 자료 중 사회생활활동자료(2014)를 토대로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는 자기결정능력척도로 방명애(2006)가 개발한 자기결정기술척도를 참고하여 새로운 검사도구를 제작한 신은희(2010)의 측정도구인 자기결정능력척도검사를 연구의 목적과 대상학생의 수준, 프로그램의 내용을 토대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방법 및 절차는 연구대상을 선정한 후 2016년 6월 16일부터 9월 26일까지 총 20회, 매 회기 45분씩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5명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이며, 중재 전‧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결정능력척도를 통해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교사, 학부모가 이해하는 학생의 자기결정의 변화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신은희(2006)가 제작한 사전‧사후 자기결정능력검사지를 제공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s Test)을 통해 프로그램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사후 검사를 살펴보면 모든 참여학생에게서 자기결정의 향상이 있었다.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참여학생들의 자기결정 영역 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영역은 자기인식영역과 문제해결영역이며, 두 번째로 크게 영향을 미친 영역은 자기옹호영역이었다. 반면 선택하기영역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 적용 후 교사들이 판단하는 학생의 자기결정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전체 15명의 교사 중 11명의 교사가 학생의 자기결정의 향상이 있었다고 판단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 째,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 적용 후 학부모가 판단하는 학생의 자기결정의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을 수료한 지적장애학생들은 모두 자기결정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으며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기결정영역 중 자기인식, 의사결정영역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제공자 측면에서 교사들은 학생의 자기결정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느꼈으나 학부모의 경우 학생의 자기결정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다고 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하위영역 중 자기인식영역과 자기옹호영역, 문제해결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과활동 중 자기표현과 관련하여 주제를 융합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거나, 교육과정의 전반에 반영하면 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의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 언어이전기 영아가 보이는 의사소통 발성과 비의사소통 발성의 지속시간과 평균주파수 분석

        서은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earlier several studies of acoustic analysis(Furrow, 1984; Kent, 1985; Papaeliou, Mindakis & Cavoura, 2002; Snow, 2002) examined duration and Mean F。of preverbal vocalizations when infants interacted with another or played alone. Referring to earlier studies, in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acoustic feature of vocalization, produced by 9 to 12 month old infant in preverbal stage. The former called 'Communicative vocalization' was when prelinguistic infants had interactions with mothers and latter called 'Non-communicative vocalization' was infants' vocalization in their play time alone. And examined two different vocalizations of duration, Mean F。.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 Communicative and the Non-communicative vocalization's dur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This result supports the earlier researches and also it shows that prelinguistic infants can shift their vocalization for conscious communication with another. But differences between mean F。of the Communicative and the Non-communicative vocalization aren't significant. Because this age is prepare for mean F。's change. 언어 이전 단계(preverbal stage)에 있는 영아의 발성을 음향학적으로 연구한 여러 연구들(Furrow, 1984; Kent, 1985; Papaeliou, Mindakis & Cavoura, 2002; Snow, 2002 등)을 보면, 영아의 발성을 상호작용을 할 때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을 때로 구분하여 발성의 평균주파수와 지속시간 등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언어이전기에 있는 9-12개월 영아 9명(남아 5명, 여아 4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발성을 분석하였다. 이 시기는 의도적인 의사소통이 시작되는 시기로서, 이러한 언어이전기의 발성은 이후 나타나는 말 산출과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Stoel-Gammon, 1992; Stark, 1986; 부인앵, 2002). 이러한 사실은 장애 영아의 발성에 대해 연구한 선행 연구들(Stoel-Gammon, 1989; Rescorla & Ratner, 1996; 성영주, 윤미선, 홍경훈, 2007; 전현주, 2011 등)에서 더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중요성을 갖는 언어이전기의 영아 발성에 대해 지속시간(duration)과 평균주파수(Mean F。)라는 음향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영아가 엄마와 놀이하는 상황과 영아 혼자 놀이하는 상황으로 두 번에 나누어 촬영을 하였고, 이 후 영아가 엄마와 상호작용하면서 산출하는 발성을 ‘의사소통 발성(communicative vocalization)’으로, 영아가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면서 산출하는 발성을 ’비의사소통 발성(non-communicative vocalization)‘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두 발성의 지속시간과 평균주파수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발성과 비의사소통 발성이 지속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는 기존의 연구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언어이전기의 영아가 타인과 의도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발성에 변화를 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러나 평균주파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이 시기가 평균주파수의 변화를 준비하는 시기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Shimura, Imaizumi & Shutu, 1992; Papaeliou, Mindakis & Cavoura, 2002; Snow, 2002; Papaeliou & Trevarthen, 2006 등)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 이후에는 언어이전기의 발성과 말 산출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와 함께, 장애 영아가 보이는 발성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영아 발성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언어치료나 조기교육 현장에서 영아 발성에 대한 중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 보조공학 지원서비스 체계 연구

        김승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보조공학 관련 법률과 서비스를 살펴보고 국내 보조공학 전달체계의 실태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보조공학 서비스 전달체계 개발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보조공학기기 지원서비스 전달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은 정부의 통합적인 정책의 추진이다. 각 부처의 다양한 사업이 중복되어 지원되거나 사각지대를 가지지 않도록 보조공학 기기의 지원을 통합하여 관리하여 줄 중앙보조공학 관리센터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보조공학 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과 보조공학 전문 서비스 제공 기관의 운영이 필요하다. 서비스 전달체제의 구축은 통일된 하나의 네트워크 체제를 구축하므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의료, 기기, 교육, 훈련 등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원스톱 서비스는 효율성과 예산 절약의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민간위탁이나 지원의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보조공학 서비스 활성화에 있어 서비스의 상호 연계이다. 정부주도 보조공학 서비스와 민간주도 보조공학 서비스가 별도로 운영되지 않고 상호 연계를 통하여 유아기부터 학령기, 성인기까지 순차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예산 확대와 민간 참여의 권장이 필요하다. 장애인에게 꼭 맞는 맞춤형 보조기구의 제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복지 예산 확대를 통한 예산 확보와 민간 공익재단이나 기업의 지원이 절실하다. 선진국에서는 이를 위한 사회적 기금 조성이나 펀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보조기구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법적인 토대의 마련이다. 위의 사항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보조공학에 관련된 사항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법적 근거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규정적, 재량적 보조금을 배분하고 예산을 배정하며 효과적인 직업재활, 고용, 보조공학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관리, 운영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