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공학 전공자의 교수학습센터(CTL) 업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직업정체성을 중심으로

        김혜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55

        대학의 교수학습센터(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이하 CTL)가 설립된 지 약 20년이 지난 지금 정부의 대학기관평가로 인해 CTL의 역할은 교수·학습지원 이상으로 확장되었고, 평가지표에서 CTL 활동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이 CTL에 갖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CTL의 주요 업무는 교수, 학습, 이러닝, 연구지원 등의 업무이며, 이 업무들은 교육공학의 영역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공학을 전공한 전공자들이 대학 CTL에 근무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공학 분야와 CTL의 업무 연관성, 그리고 교육공학 전공자와 CTL 전문인력과의 관계를 연구한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공학 전공자로서 CTL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업무와 교육공학에 대한 의미를 찾기 위해 직업정체성에 초점을 두었다. 내러티브는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고 스스로 정체성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정체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교육공학 전공자로서 CTL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업무와 교육공학에 대해서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 이다. 하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학 전공자로서 CTL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CTL 업무에 대해서 느끼는 일체감은 어떠한가? 둘째, 외부환경 및 집단규범이 CTL 업무에 대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 셋째, 교육 및 자기 계발이 CTL 업무에 대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 본 연구는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CTL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의 업무 경험 내러티브를 통해서 그들이 느끼는 업무의 의미와 교육공학 전공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연구 절차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CTL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육공학을 전공한 연구원들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적접근을 적용하여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TL에서 근무하는 교육공학자와 교육공학 전공과의 일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CTL의 주업무는 교수, 학습, 이러닝 등으로 교육공학 영역에 포함되어있다. 둘째, CTL에서 근무하는 교육공학자는 자신의 적성과의 일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CTL이 개인의 적성에 맞아서 CTL에서 근무하게 되었고 즐겁게 일하고 있는 것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맞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외부환경 및 집단규범이 직업정체성과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있어서 대학평가와 재정지원사업으로 인해 CTL의 업무가 교수, 학습, 이러닝 중심에서 성과관리, 질관리 등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학교특성과 규범에 따라 박사급 연구원의 업무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육과 자기 계발이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도움이 되기 위해 학회, 자격증 취득 등을 통하여 교육과 자기 계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 경험을 통해 자기 계발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과 현장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이론을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배운 내용을 가지고 실제로 실습할 수 있는 과목이 필요하다. 둘째, 교수지원업무와 관련하여 수업컨설팅 과목을 개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CTL 연구원들의 근무조건과 역할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넷째, CTL 연구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하고 지속적인 연수과정이 필요하다.

      • 대학의 계열과 전공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택교과목 분석

        최혜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현재 고등학교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대학 교육은 보편적인 교육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고교와 대학의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고교-대학 연계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교육과정의 내용상의 연결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과 적성에 따라 선택한 진로별, 계열별 공부가 고등학교 공부에 반영되어야 하며 나아가 대학입시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입학 후에도 성공적인 대학 전공 공부를 하도록 돕기 위해 대학의 계열과 전공별로 고등학교에서 선수학습으로 필요한 교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대학 전공을 계열로 구분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분류 기준과 내용을 참고하여 학과의 주요 특징과 학습내용 등을 기준으로 인문계열, 사회·교육계열, 상경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보건계열, 예술계열, 체육계열 등 8개로 분류하였다. 2009개정교육과정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보통 교과는 8개의 교과(군)와 기본, 일반, 심화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교과(군)별 교과목의 수준과 범위가 불균형하고 체계도 없는 상태이다. 교과를 구성할 때 교육과정 총론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교육과정 적정화, 즉 진로집중과정이 필요하다. 고교 교과로 진로집중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계열별로 8개 교과(군) 중 3개의 교과를 고급수준으로 핵심영역을 만들고, 남은 5개의 교과 중 2개의 교과를 중급수준으로 보완영역을 만들며, 3개의 교과는 교양영역으로서 초급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단, 예술과 체육계열은 실습과 실기가 많으므로 핵심영역을 각 계열 전공에 해당하는 1개 교과로 하고, 다른 계열과 교과 숫자를 일관성 있게 맞추기 위해 보완영역은 4개의 교과로 구성하였으며, 2개의 과목은 교양영역으로 선택 학습하도록 한다. 교과는 2009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를 주지교과로서의 성격이 약한 교양 교과를 제외하고 유사한 성격의 학문끼리 재분류하여 국어·한문, 영어·제2외국어, 수학, 사회, 과학, 기술·가정, 예술, 체육 등 8개 교과(군)으로 재구성하였다. 대학의 계열과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택 교과목을 계열별로 설문조사한 결과, 8개의 교과(군) 중에서 전공 계열 공부에 가장 필요한 3개의 상(上)수준 고교 교과를 선택할 때 인문사회계열은 국어·한문, 영어·제2외국어, 사회를, 자연과학계열은 수학, 과학, 영어·제2외국어를 계열 공부에 필요한 고교 교과로 조사되었다. 2개의 중(中)수준 교과는 인문·어문계열, 사회·교육계열은 수학, 과학을, 상경계열은 수학, 국어·한문을, 공학계열은 국어·한문, 기술·가정을, 자연(기초과학)계열과 의·약·보건계열은 국어·한문, 사회로 응답하였다. 예술과 체육계열에서는 해당 계열의 교과 1개를 상(上) 수준 교과로 보고, 전공 공부를 보완하기 위해 해당 전공 교과(군) 내에 있는 다른 분야의 공부가 부전공으로 필요한지 물었을 때 예술계열의 경우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체육계열의 경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예술계열 내부에서도 다양한 시각, 청각, 공간 예술 분야가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의 전공과 다른 경향의 예술 분야를 부전공하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체육계열은 여러 분야를 공부할수록 운동 기능 신장 및 체육인로서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부전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인다. 두 계열 공부를 보완하기 위해 고교 수준에서 필요한 4개의 중(中) 수준 교과를 고를 때 예술계열의 경우 영어·제2외국어, 예술, 국어·한문, 체육을, 체육계열은 체육, 국어·한문, 영어·제2외국어, 과학이 계열 공부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 교과로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대학 전공 계열에 따라 고교에서 배우길 원하는 교육과정이 다르다. 교육과정 내에서 요구되는 교과의 종류와 수준, 범위가 서로 다른 진로집중과정에 대한 필요성 인식 및 요구가 분명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고교와 대학의 교육과정은 ‘진로’라는 큰 축을 중심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연결고리는 진로별 대입시가 된다. 진로집중과정과 진로별 대입시를 통해 고교와 대학의 교육과정을 연계시켰을 때 비로소 고교와 대학의 교육과정 내용상의 연계가 가능해진다. 진로집중과정이 제대로 구현된다면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맞게 해당 진로집중과정에서 요구하는 특정 교과를 깊이 있게 공부하고 이외의 교과는 수준별로 공부할 수 있다. 이를 대학입시에 반영한다면 대학은 전공 학습 준비가 잘 된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고 고교에서는 진로집중과정 공부로 대학입시를 충분히 준비할 수 있게 된다.

      • 초등학교 영어과 수업에서 교육공학적 매체 활용도에 관한 연구

        김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1997년 초등학교에서 영어교과가 채택되어 수업이 실시된 이후로 영어 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하여 여러 자료 및 교수법이 개발되고 있다. 초등학교 영어수업은 초등학생 아동이라는 시기적 특성과 제2외국어라는 영어 교과의 특성상 구체적이고 자연스런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흔히 소리나 영상 등을 접할 수 있는 교육공학적 매체의 사용이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실 현장에는 라디오,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가 갖추어져 있고, 교육정보화 사업 추진으로 컴퓨터가 1대씩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 매체들이 갖추어져 있을지라도 영어 수업시간에 현장교사가 사용하는 매체의 종류와 사용빈도는 매체의 효과와 사용시의 문제점 때문에 달라진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교육공학적 매체들의 활용도에 관하여 조사하여 사용빈도 및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공학적 매체 활용도를 포괄적으로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수업에서 교사가 주로 사용하는 매체의 종류는 무엇이며 사용빈도는 어떠한가? 둘째, 매체 종류 선택시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영어 수업에서 매체별 활용의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교육매체 활용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시로 대표되는 대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150명, 경기도에 위치한 중소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1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의 담임교사와 영어전담 교사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교육공학적 매체들의 활용도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들을 토대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빈도에 있어서 비디오자료, 씨디롬자료, 인터넷 자료를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적 그림·사진 및 삽화, 테이프자료, TV프로그램은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공학적 매체를 선정하는데 초등교사들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 학습자의 연령 또는 학년, 매체에 대한 교사의 사용 능력을 특히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 교사 중심 및 학습자 중심의 수업전략, 학습자의 태도와 적성의 정의적 특성에 대해서는 고려하는 정도가 낮았다. 셋째, 매체별 영어교육에서 씨디롬 자료, 비디오 자료, 인터넷 자료의 순으로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의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의 4가지 기능별로 볼 때, 듣기, 말하기 영역에서는 테이프자료가 효과가 높다고 응답했고, 쓰기, 읽기 영역에서는 씨디롬 자료가 효과가 가장 높다고 응답했다. 넷째, 교육공학적 매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급한 문제점은 '매체 활용 준비 시간의 부족' '매체에 이용되는 자료개발의 미흡' '기기 고장의 신속한 보수 및 교체' '교실 안의 활용 매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수업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적인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시각과 청각 기능이 함께 활용될 수 있는 비디오자료, 씨디롬자료, 인터넷 자료와 같은 다감각 매체이다. 둘째, 교육공학적 매체를 선정하는데 초등교사들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 학습자의 연령 또는 학년, 학습자의 지적 특성을 특히 고려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매체활용 수업시간에 사용되는 자료가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한다. 학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영어환경에 자연스럽게 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에 덧붙여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을 다른 지역, 더 많은 교사들에게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는 초등학교가 아닌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에게 설문할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를 영어과 수업 이외에도 타교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다른 교과의 특성에 맞는 교육공학적 매체의 활용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여러 가지 교육공학적 매체 중에서도 최근에는 인터넷 등의 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인터넷, 웹을 통한 영어교육에 대한 효과 및 활용도에 대한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English started to b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in 1997, and various kinds of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have since been developed to make English education more successful. Elementary English instruction should be designed to be specific and step up natural commun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ers and the unique features of English subject as a foreign language course. Generally,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media that entail audio- visual materials can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English education. Most elementary schools are equipped with multimedia like radio, television or VCR, and every school has a computer, owing to the educational information project. However, all the media they possess aren't always in wide use, because the effect of the media is not the same and teachers face difficulties in us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and frequency of multimedia instruction, the individual effectiveness of the media and related problems in elementary English class, and to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Basically, it's meant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media in a bid to help offer more successful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what kind of media are chiefly used in English class? and how much are they put to use? Second, what is taken into account in selecting the type of media? Third, what is the effect of individual media in English instruction? Fourth, what problems do teachers encounter in multimedia instruction? and how could the problems be elimina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a larger urban area, Seoul, and 147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a smaller city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grade 3, 4, 5 and 6 and English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videotapes, CD-ROMs and Internet materials were in frequent use. Pictures, photos, illustrations, tapes or TV shows were utilized less. Second, they allowed for learner interest, motivation, learner age, grade and their own media-using skills when they made a choice of media. They placed less stock in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content, teacher- centered or learner-centered teaching strategy, learner affective characteristics like attitude and aptitude. Third, by type of media, CD-ROM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followed by videotapes and online materials in the order named. Concerning their effect on four language skills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reading, tapes worked better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and CD-ROMs had the best effect on writing and reading. Fourth, the urgent problem related to multimedia use was time constraints for multimedia instruction preparations, poor efforts of developing required materials, absence of swift maintenance or replacement, and shortage of multimedia available for classroom use.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irst, multi-sensory media that stimulate both the organ of vision and the senses of hearing, like videotapes, CD-ROMs and online materials, are adopted as a way to improve integrated linguistic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kes a selection of educational multimedia in consideration of learner interest, motivation, learner age or grade, and learner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 out the lack of materials available for multimedia instruction. The kind of materials that could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and familiarize them with English- speaking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future challenges: First, the subject range of study should be extended across different regions to make a survey of m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scope of study should be enlarged across more courses, and in which way multimedia instruction could be conducted in a manner to suit each of subjects should be researched. Third, e-education lately comes into more spotlight, among various kinds of multimedia.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finding out the effectiveness and use of e-education for English.

      • 우리나라 교육공학 연구의 타 학문분야 문헌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차현주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ther areas' bibliography of study to be cited in the process of academic activities by researchers of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area, and based on that,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be helpful in performing the research of same subject in the future as well as grasping of current status in this area.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distribution of cited bibliography by other areas of study and detailed academic areas to be cited in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2) How is the distribution of cited year by other areas of study and detailed academic areas to be cited in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3) How is the distribution of cited age by the bibliography of other study areas to be cited in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4) How is the distribution of cited age by other areas of study and detailed academic areas to be cited in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5) How is the distribution by the bibliography type of other study areas to be cited in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6) How is the distribution by the bibliography type of other study areas and the cited age to be cited in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5,508 volumes, citing the other areas of study among the cited bibliographies of the theses issued from 2006 to 2010 year, were surveyed with targeting 「Th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s journal and 「The Study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The results of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social sciences and pedagogy accounted for 75.2% from the 8 study areas separated in this study, and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psychology, psychological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omputer science captured 56.7% among 37 areas of detailed stud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itation in the area of social sciences and pedagogy was continued by year, and the citation in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psychology, psychological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omputer science was continued by year, too. Third, among the bibliographies of the other areas of study to be cited from Korea's educational technology, about half of them(2,872 vol. 52.1%) were confirmed that the time of publication was within 10 years. Fourth, the half-life of pedag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areas was an average of 10 years or less, respectively, and that of social sciences and cultural sciences areas was an average of 15 years or less, respectively. When the half-life of top five in the area of detailed studies was reviewed, the half-life of bibliography in the curriculum areas of computer science was less than 10 years, respectively, and that of education psychology and business areas less than 15 years, and that of psychological science areas an average of 20 years or less, which was confirmed. Fifth, journals and books were accounted for 45.0% and 41.3% respectively, and thesis for 4.4%, collection of dissertations in the academic conference for 3.6%, electronic materials for 2.5%, and research reports for 2.5%, which meant to adjoin the fruition of research in other studies areas. Sixth, the half-life of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reports and newspapers was an average of 5 years or less, respectively, and that of journals, theses, conference papers and legislation was an average of 10 years or less, and that of books was an average of 15 years or less. Thru this study, the educational technology was cited from almost all areas of pedagogy-related studies as well as social sciences, engineering and humanities, and their dependancy and highly interdisciplinary nature of study on the bibliography of curriculum areas in educational psychology, psychological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omputer science were confirmed. By examining the linkages of education technology and other academic studies, the differences of researchers' information needs and demand forecasts are possible. With expanding the scope and duration of surveyed target thru the analysis methods of cited bibliography utilizing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trend from the beginning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be introduced until now is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공학 분야 연구자들이 학술 활동 과정에서 인용한 타 학문분야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이 분야의 현 주소를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동일 주제 분야의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1)우리나라 교육공학 연구에서 인용한 타 학문 영역 및 세부 학문 분야별 인용문헌의 분포는 어떠한가? 2)우리나라 교육공학 연구에서 인용한 타 학문 영역 및 세부 학문 분야별 인용연도별 분포는 어떠한가? 3)우리나라 교육공학 연구에서 인용한 타 학문 분야 문헌의 인용 연령별 분포는 어떠한가? 4)우리나라 교육공학 연구에서 인용한 타 학문 영역 및 세부 학문 분야의 인용 연령별 분포는 어떠한가? 5)우리나라 교육공학연구에서 인용한 타 학문 분야 문헌의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가? 6)우리나라 교육공학연구에서 인용한 타 학문 분야 문헌의 유형 및 인용연령 분포는 어떠한가? 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공학회’의 학술지인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학회’의「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대상으로 2006-2010년에 발행 된 논문의 인용 문헌 중 타 학문분야를 인용한 5,508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과학 영역과 교육학영역이 본 연구에서 구분한 8개의 학문영역 중 75.2%를 차지하였고, 37개의 세부 학문 분야 가운데 교육심리, 심리과학, 경영학, 컴퓨터학, 교육과정이 56.7%를 차지하였다. 둘째, 사회과학 영역 및 교육학 영역은 연도별로 지속적으로 인용됨을 확인하였고, 교육심리, 심리과학, 경영학, 컴퓨터학, 교육과정 역시 연도별로 지속적으로 인용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교육공학에서 인용한 타 학문 분야 문헌 중 절반 정도(2,872편, 52.1%)가 간행된 지 10년을 넘지 않은 문헌임을 확인 하였다. 넷째, 교육학 영역과 공학 영역 분야의 반감기는 각각 평균 10년 미만이고,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영역 문헌의 반감기는 각각 평균 15년 미만이다. 세부학문 분야의 상위 5개 학문분야의 반감기를 살펴보면, 컴퓨터학, 교육과정 분야 문헌의 반감기는 각각 10년 미만이고, 교육심리, 경영학 분야 문헌의 반감기는 각각 15년 미만, 심리과학 분야 문헌의 반감기는 평균 20년 미만임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학술지와 단행본이 각각 45.0% 와 41.3%를 차지하였고, 학위논문 4.4%, 학술대회논문집 3.6%, 전자자료 2.5%, 연구보고서 2.5% 등을 통해서 타 학문 분야의 연구 성과에 접하고 있다. 여섯째, 전자자료, 연구보고서, 신문은 각각 평균 5년 미만이고, 학술지, 학위논문, 학술대회논문 및 법령은 각각 평균 10년 미만, 단행본은 평균 15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공학은 교육학 관련 학문뿐 아니라 사회과학, 공학, 인문과학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인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교육심리, 심리과학, 경영학, 컴퓨터학 및 교육과정 분야 문헌에 대한 의존도와 학제성이 높은 학문 분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공학과 타 학문과의 연계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자들의 정보요구에 대한 차이 및 수요예측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인용 문헌 분석 방법을 통하여 조사 대상의 문헌범위 및 기간을 확장하여 교육공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초기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경향을 분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 비교 연구

        고석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59

        사회적인 요구에 발맞추어 공학교육을 위하여 대학에서는 기존의 지식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창의력과 팀웍 등의 능력을 갖춘 엔지니어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부합하여 국내에서는 ABEEK의 공학인증제도가 도입되면서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을 각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다.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은 미국의 ABET의 EC 2000과 ABEEK의 공학인증 기준에 나타나는 엔지니어로서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을 학생들에게 함양시킬 수 있는 많은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국내외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의 수업 방안을 각 대학별의 수업 형태의 특성에 따라 사례를 제시하였고 공학인증 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력과 팀웍의 관점에서 비교하여 합리적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또한 공학설계를 포함한 공학교육에 대한 대학 간 및 대학 내에서의 지원 및 연구사항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문헌 분석에 따른 결론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목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각 대학에서 독립적 프로그램과 통합적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고유한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이나 수업 내용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창의력 육성을 위해서 두 프로그램의 특징을 잘 혼합하는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본다. 따라서 독립적 프로그램 형식으로 창의적 기법 등의 학습과 더불어 이를 통합적 프로그램 형식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충분히 학생들에게 경험 및 활용을 통하여 습득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수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을 통한 팀웍 신장을 위해서는 다양성을 고려한 팀 구성이 필요하다. 팀 구성과 학습 성취 사이의 연구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 성향을 토대로 하여 팀을 구성한다면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생 및 문제해결능력 등의 여러 사항에 있어서 팀웍이 더욱 잘 발휘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합리적 평가를 위해서는 팀 구성, 팀의 교체, 그리고 팀 기여도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창의적 성향의 자료를 토대로 한 팀의 구성은 팀의 균형을 이룰 수 있고 다른 프로젝트 시행 시 팀의 교체가 이루어지면 조화롭지 못한 팀 구성으로 인한 평가에 있어서의 불공정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팀 기여도의 적절한 시행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넷째, 국내에서는 한국공학교육학회의 주관에 의한 공학 교육에 관련된 대학 간의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보다 적극적이고 협력적인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미국과 같이 국내에서도 정부차원의 재정적인 지원과 공학교육에 대한 대학 간의 교류가 더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대학 내에서도 공학설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꾸준한 지원 및 교수 학습 방법과 전략에 대한 연구과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society, it is necessary for the universities to produce engineers full of creativity and capable of teamwork. With the introduction of ABEEK in Korea,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course are being implemented in each university. They contain many elements that engineering students should learn as represented in EC 2000 of ABET and ABEEK. This study is, therefor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analysis of efficient management of this subject. Through a study on documents, this study presents teaching plans of the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course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it also suggests reasonable plans from the standpoint of creativity and teamwork emphasized by the standards of engineering certification. In addition ar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s to the engineering education in terms of support for related studies. The conclusion and meaning of this study through analysis of documents are as follows: Firstly, although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sponsors studies on the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amongst universities,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 cooperative and active way. Therefore there should be as frequent exchange of engineering education between universities in Korea as in the US, not to mention more governmental support for it. It is also necessary for each universit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ngineering design in order to study and develop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Secondly, independent programs and integrated ones are being used in each university in order to foster the creativity of subjects. It is reasonable to mix those two types of programs, considering the reaction of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ctures. It is thu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ystematic methodology so that the students could learn creative techniques based on experience and practice in terms of independent and integrated programs at the same time. Thirdly, a team should be organized so as to enhance the teamwork through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If a team is organized based on the creative disposition of students an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eam composition and scholastic achievement, it is likely to be easy to enhance the teamwork in terms of coming up with ideas and solving problems. Fourth, reasonable assessment is available from the standpoint of team composition, team change and team contribution. Team composition, if based on creative material, could manage to keep a team balance and prevent unfairness from affecting team harmony in case there is a team change when another project is underway. That should be done in a timely manner so that the assessment c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team contribution.

      • 정보윤리 강사교육에서 개인의 배경 특성이 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박종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43

        인터넷에서 비롯된 공간혁명은 생활공간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으며, 사회의 각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이 일상화되는 지식정보사회의 전면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의 개방성과 익명성 등으로 인해 초래되는 무분별한 남용과 비윤리적인 이용행태가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보화의 역기능 문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때 기본이 되는 윤리와 가치관을 교육함으로써 보다 근본적으로 정보화역기능을 줄이고자 하는 방안, 즉 정보윤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보윤리에 대한 소양을 갖춘 교육전문가의 부족 현상에 따라 정부에서는 정보윤리 강사교육을 운영하고 있으나 교육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이 연구의 목적인 정보윤리 강사교육 참여자의 배경 특성과 교육참여동기의 파악은 정보윤리 강사교육의 학습효과 제고와 개선방향 도출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운영중인 정보윤리 강사교육 프로그램 수료자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배경 특성에 따라 교육참여동기의 하위유형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요인을 확인하였다.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적 인간관계를 유지 및 학습자체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활동지향형 참여동기와 학습지향형 참여동기에 있어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의 현실적인 필요와 목적에 기인한 목적지향형 참여동기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활동지향형 참여동기는 50대 이상의 연령층이 가장 높고, 연령층이 낮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지향형 참여동기는 20대, 30대, 50대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40대 연령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교육참여동기의 차이는 목적지향형 참여동기에서만 유의미했으며, 석사학위자가 박사학위과정 이상인 자보다 높았다. 전공에 따른 교육참여동기에서는 목적지향형 참여동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공학계열을 전공한 참여자가 가장 높았다. 직업에 따른 교육참여동기 유형에서는 활동지향형 참여동기에서는 교사가 가장 높았으며, 목적지향형 참여동기에서는 무직자와 박사학위과정 중인자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입력방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학위, 전공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얻었으나 연령과 직업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므로 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학위, 전공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의미하게 나온 세 변수(성별, 학위, 전공)를 단계방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전공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윤리 강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효과적인 정보윤리 강사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참여자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전공분야에 따른 교육요구분석과 질적 연구방법 등을 통해 교육대상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ternet is spreading rapidly through all parts of the society changing the way people live. At the same tim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involving openness and anonymity are raising negative patterns of information use. As a response to address such negative aspects of Internet use, more emphasis has been given towards delivering information ethics programs and basic educations about sound information use. Considering the shortage of information ethics instructors the government is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to produce instructors for information ethics. However, the factors that will motivate people to take up the program remain under-researched.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f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attendance. This will contribute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provide further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The study was based on a survey against 339 participants who had attained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provide by a government institute,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KADO). The focus was on how each participant's background influenced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he specific factors that related to each motivational factor.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men showed greater motivations in terms of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factors than women. This explains for tendency to pursue soc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arning interest itself. In contrast, goal-oriented motivation based on practical need appeared higher among women than men. In terms of age, level of activity-oriented motivation was higher among those aged 50 and over, whereby the level correlated with age. Goal-oriented motivation increased from the 20s, 30s, and 50s, in which those in their 40s showed the lowest. In terms of education level, difference only occurred by goal-oriented motivation, in which those with Masters Degree exceeded those with PhDs. As for majors in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the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goal-oriented motivation factor was the only different factor, whereby participants majored in engineering scored the highest. Regarding occup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while unemployed and PhDs had the highest goal-oriented motivation to participate.Second, as a result of an Enter Method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it was found that gender, education level and maj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age and occupation were irrelevant. Thus, variables that influenced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gender, education level and majors. Further, according to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the three previous factors, only gender and majors resulted as significant.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must be essentially considered. Moreover, analysis of individuals' education preference and the quality of programs need to be analyzed. In sum, designing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corresponding motivations are essential.

      •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김우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43

        This study aims to apply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project management ability of project manag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odels and procedures to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Is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uitable for acquiring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procedure? The study went through three stag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suitable design and development methodology was selected by examining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 a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derived from researches on education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adapted,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tiliz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e program was applied to project managers in Korea IT service compan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pecific context of eucating project managers of Korea IT services company,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proceeded through five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uation(ADDIE)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ISD) model.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 hours for corporate project managers, and then expert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al program. Two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SD model is an adequate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developing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specific context of educating corporate project managers. Second,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s effective for enterprise project managers to acquir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procedures.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eneralize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development studies targeting various learners.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fer of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arning time from the previous 16 hours, and follow-up studies that apply various types of education, such as action learning, for practical application after collective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verify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rough this educational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confirm the medium and long-term practical application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모형과 절차는 무엇인가?’와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실제 문제기반 교육프로그램은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절차를 습득하는데 타당한가?’ 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세 가지였다. 첫째, 개발연구 방법론을 고찰하고, 산출물·도구 연구를 이 연구의 타당한 연구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기업교육과 실제 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과 기업교육공학과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개발원리에 따라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개발 모형에 따라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인 ‘ㅁ’ IT기업 차장급 이상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해 본 후 종합평가를 통해 교육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는 IT기업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이라는 특정 맥락에서 교육프로그램 개발(ISD)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절차로 진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각 단계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기업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16시간 동안 진행한 후 전문가 평가와 성과평가를 실시하여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이라는 구체적 맥락에서 교육공학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절차는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은 기업 프로젝트 관리자가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절차를 습득하는데 효과적이다고 할 수 있다. 결론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개발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인 학습전이를 위해 기존 16시간보다 교육시간을 늘리고, 집합교육 이후 현업적용을 위한 실천학습(action learning) 등 다양한 교육형태를 적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의 현업적용도를 더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현업적용 수준을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방문판매 거래선 담당 영업사원의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연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43

        이 연구는 교육공학 관점에서 화장품 방문판매 거래선을 담당하는 영업사원의 거래선 육성과 영업성과 창출이라는 성공적인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직무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기업 방문판매 거래선 담당 영업사원의 현장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모형과 절차는 무엇인가?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교육프로그램은 화장품 기업 방문판매 거래선 담당 영업사원의 직무역량 향상 및 영업성과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ㅇ사의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제시하는 교육공학분야의 개발연구 방법론을 결정하였다. 둘째, 교육공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기업교육공학 차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모형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영업사원과 거래선을 대상으로 총 2차수를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방문판매 거래선 담당 영업사원의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교육공학 연구방법론 중 특정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과정을 연구하는 개발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위한 개발모형은 교육프로그램 개발(ISD) 모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으며,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최종 교육프로그램은 차수별로 3개월 동안 고객분석 및 분류, 고객수 증대, 고객등급관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집합교육을 선행하고 연속적으로 거래선 실습을 실행하면서 학습한 내용을 업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셋째,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종합평가 결과, 영업사원 직무역량 향상이라는 교육 목표가 달성되었고, ROI분석까지 진행함으로써 실제 영업성과 향상에도 기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교육공학분야의 개발연구 방법론은 방문판매 거래선 담당 영업사원의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체제접근의 교육프로그램 개발(ISD)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것은 효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영업사원의 학습전이를 고려하여 교육내용의 직무 관련성을 높이고 직무상황과 거의 동일한 환경에서 집합교육과 거래선 실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교육방법은 영업사원 직무역량 향상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은 방문판매 거래선 담당 영업사원의 직무역량 향상 및 영업성과 향상이라는 교육목적을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영업사원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유통이나 직종의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후속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현장직무 교육프로그램으로 교육받은 영업사원이 현업적용수준과 영업성과 기여정도에 있어 장기적으로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지 교육 종료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연구의 효과성과 가치에 대한 종합평가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장애학생 대상 멀티미디어 활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2005­-2014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박상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적인 관점에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및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공학과 특수교육 분야 연구에 기초자료 및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간(2005-2014) 장애학생 대상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 연도별, 장애유형별, 학급별 멀티미디어 유형은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둘째, 최근 10년간(2005-2014) 장애학생 대상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방법은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장애학생의 멀티미디어 활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은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2005-2014)의 논문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국내 학술지 논문 중 KCI 등재된 논문을 선정하였고, 학위 논문(석사, 박사)은 제외하였다. 교육대상은 학령기(유, 초, 중, 고)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논문 선정 기준으로 총 73편의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①장애유형 ②학급유형 ③멀티미디어 유형 ⑤ 교육방법으로 분석틀을 구분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간 장애학생 대상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멀티미디어는 컴퓨터기반 매체(43%)이고, 그 다음으로는 모바일기반 매체(27%), 웹기반 매체(15%), 첨단학습 매체(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유형은 컴퓨터기반 매체는 컴퓨터기반 동영상(71%), 웹기반 매체에서는 교육용 동영상(27%)과 이러닝(27%), 모바일기반 매체에서는 태블릿PC(55%), 첨단학습 매체에서는 로봇(87%)으로 나타났다. 둘째, 멀티미디어 유형별 가장 많이 연구된 장애유형은 정신지체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매체(38%), 웹기반 매체(36%), 모바일기반 매체(50%) 모두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첨단학습 매체에서는 정서․행동장애(50%)로 나타났다. 셋째, 학급별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는 특수학급(44%), 특수학교(44%), 일반학급(7%)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근 10년간 장애학생 대상 멀티미디어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교육방법은 비디오모델링(34%)이고, 그 다음으로는 프로그램학습(25%), 시범(15%), 게임(10%), 시뮬레이션(5%), 강의(4%), 문제해결학습(3%), 포트폴리오(1%), 협력학습(1%)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멀티미디어 유형별 교육방법은 컴퓨터기반 매체는 비디오모델링(64%), 웹기반매체는 프로그램학습(45%), 모바일기반 매체는 프로그램학습(25%), 첨단학습 매체는 시범(37%)과 프로그램학습(3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하위 유형별 교육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 된 것은 컴퓨터기반 동영상을 활용한 비디오모델링(전체 73편 중 20편, 27%)이었다. 여섯째, 장애유형별 교육방법은 강의는 전체 3편 중 시각장애(1편, 33%)와 정신지체(1편, 33%), 게임은 전체 6편 중 정신지체(2편, 33%)와 자폐성장애(2편, 33%), 문제해결학습은 전체 2편 중 청각장애(1편, 50%)와 정신지체(1편, 50%), 비디오모델링은 전체 25편 중 자폐성장애(13편, 52%), 시뮬레이션은 전체 4편 중 자폐성장애(2편, 50%), 시범은 전체 11편 중 정신지체(4편, 33%), 포트폴리오는 학습장애(1편, 100%), 프로그램학습은 정신지체(10편, 56%), 협력학습은 장애&비장애 통합(1편, 1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 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학 분야에서는 대부분 웹기반 매체 활용 연구의 비중이 높았으나, 장애학생 대상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에서는 컴퓨터기반 매체의 비중이 높았다. 기술의 동향은 기존의 컴퓨터기반, 웹기반 매체 중심에서 모바일기반 매체, 첨단학습 매체와 같은 새로운 멀티미디어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장애유형은 정신지체와 자폐성장애였다.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시각장애, 지체장애, 의사소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와 같은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도 앞으로는 많아져야 할 것이다. 셋째,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는 대부분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많았다. 최근에는 완전통합교육을 위해 일반학급에만 재학 중인 장애학생도 늘어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들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도 늘어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수학급이나 일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은 비장애학생들과 함께 어울려 학교생활을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적인 특성을 고려한 통합 대상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할 것이다. 넷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에서는 비디오모델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비디오모델링 연구는 단순한 과제 해결이나 학습효과만을 기대하여 이루어진 연구가 많은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문제해결과정이나 복잡한 영역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적인 시도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컴퓨터기반 매체와 웹기반 매체는 특정 교육방법에 편중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모바일기반 매체와 첨단학습 매체와 같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더라도 다양한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유형별로 특정 교육방법에 편중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특정 장애는 특정 교육방법이라는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결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장애학생의 장애특성과 학습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홍경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 및 교육공학 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development of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of English, satisfaction of learning and the changing process throug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o do this, a research program was planned and the effect verified. The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is the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Second, what is the application effect of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he ultimate goal of the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is to strengthen the basic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through natural combination with the storytelling bas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and the Nuri curriculum. The specific goals were selected to form affinity and curiosity about foreign language, to improve children's vocabulary through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ducation and to motivate learning through play-centered teaching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or this were composed to offer integrated experience to early childhood through activities of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orie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themes of life in the Nuri curriculum.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of the program was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the principle of learning through pla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And the teaching-learning steps were attention, acquisition of technical knowhow and learning transfer. Games, children's plays, songs and chants from the Nuri curriculum with storytelling were applied to teaching strategy, and audio-visual materials, authentic materials, and music were used as instructional media. The relevance of the program was identified through a pilot test which was conducted with 20 five-year-old children from the kindergarten in the same area.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52 five-year-old children from H kindergarten which is unattached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40 minute experiment classes progressed 24 times over 13 weeks. The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English program using storybooks to the controlled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level of development of two groups were compared by pre and post tests which were implemented about speaking and listening in English and children's feeling of satisfaction. And the result of observation of children and reflective journal were analysed to examine the change in children in the process of progress. The effect of the program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one of the controlled group in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of English,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hildren presented positive change in speaking, listening in English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in the process of program application. In the initial stage of the experiment, children were passive and tentative.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ey understood the contents of storytelling and participated very actively and voluntaril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suggestion of specific guidelines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by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 bas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for early childhood which is in line with the Nuri curriculum. And using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a positive influence that even the teachers who 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not English education majors, can teach English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영어 말하기, 듣기능력 신장과 영어 교육에 대한 만족감의 향상 및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적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과 누리과정과의 자연스러운 통합을 통해 외국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기초를 다지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외국어에 대한 호기심과 친밀감 형성, 스토리텔링 활용 통합교육을 통한 유아의 어휘력 향상 그리고 유아의 발달특성에 맞춘 놀이중심 교육을 통한 학습동기 유발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은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를 바탕으로 스토리가 선정되었고 선정된 스토리에 따라 누리과정의 5개영역 활동을 유아들에게 제공하여 통합적 경험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원리는 통합의 원리, 놀이학습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이며 교수-학습의 단계는 주의집중, 기술정보획득, 학습전이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교수전략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누리과정 안에 들어있는 게임, 동극, 노래, 챈트를 기본으로 적용하였고, 시청각자료, 실물자료, 음악자료 등의 교수매체가 사용되었다. 본 검사를 실행하기에 앞서 같은 지역 소재 유치원의 만5세 20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경기도 소재 단설유치원인 H유치원의 만5세 유아들 52명을 대상으로 13주, 24차시에 걸쳐 회당 40분씩 실험수업이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제집단에는 동화책을 활용한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사전과 사후에 영어 말하기, 영어 듣기, 만족감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향상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들의 태도관찰과 반성적 저널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의 영어 말하기, 영어 듣기, 만족감은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변화과정은 영어 말하기, 영어 듣기, 만족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유아들은 실험 초기에는 소극적이고 자신없어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실험과정을 거치면서 스토리텔링의 내용을 이해하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등의 태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맥락을 같이하는 스토리텔링기반 유아통합 영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에게 영어교육의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영어교육 전공이 아닌 유아교육 전공교사도 본 프로그램을 가지고 유아들에게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