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판금기법을 활용한 퓨터기물 제작연구

        김동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59

        A pewter is an alloy consisting primarily of tin. It is a material that mankind has dealt with since ancient time. Especially in the West, it was widely used in metal work as a tableware material to replace the silver in post-Medieval Europe and the post-Colonial United States. Britannia metal is a type of pewter that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has the most widely used alloys ratio in the manufacture of modern pewter products,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 addition to traditional casting process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various types of products because additional metalwork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Korea, the pewter has been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souvenirs and inexpensive jewelry based on casting process, and few cases are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vessels using silversmithing techniques. The researcher began his research on the pewter with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ilversmithing techniques and the production of metal vessels in mind. In order to find a specific ways to utilize the pewter, which is relatively unfamiliar in Korea,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ases of application were investigated first. As a technical experiment, hammer forming was mainly used to produce metal vessels. Chapter 1 revealed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pewter research related to contemporary metal crafts in Korea through explanations of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sources of the main re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method and scope of the research, an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the pewter,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 research of the work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ext. Chapter 2 introduced the terms and physical and chemical definitions of the pewter and summarized the changes of pewter in the histo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s that make up the pewter were identified, their effects on alloys were explain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mon metals used in metalwork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Chapter 3 focused on the history of the pewter, mainly in the history of Europe. In Roman Britain and the Middle ages, in addi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reference, photographs of artifacts released by accredited museums were used as examples, in modern age, the photographs of relatively well-organized publications, along with museum materials were used as examples. Especially for the present data, researcher have referred to various materials and internet websites, citing examples of contemporary metalsmiths, designers, and companies that have been engaged in activities related to pewters since the 20th century. Chapter 4 described the fabric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pewter sheet for the production of pewter vessels using silversmithing techniques. The detaile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ewter sheet using the alloy ratio of Britannia metal, which is currently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pewter, has been describ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explanation was given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wter and other metals and precautions. Furthermore, the tools used for works were drawn up based on the experiment of researcher considering the current metal working situation in Korea. In Chapter 5, the work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presented the pewter vessels using the silversmithing techniques focusing on the hammer forming and the following aspects were emphasized. First, in terms of formativeness, the image of the line borrowed from nature and organic that has been used in the entire works so far was utilized. Second, in terms of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wter were considered and attempted to minimize the defects in function and structure. Third, examples of specific technique application in the working process of the work study are explained in depth based on the contents and photographs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Although the pewter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t is relatively unfamiliar in Korea and rarely used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metal crafts by means of hammer forming techniques. However, in this study, the pewter can be applied to most of common silversmithing techniques, so it can be used in various metal crafts area.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vitalize the pewter as a material in a short period because the pewter sheet is not distributed as ready-made products in Korea. However, in conclusion, modern pewter,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Britannia metal, is well suited for the contemporary metal crafts with both aesthetics and practicality. Further research that can be considered based on this study includ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actical objects with human safety of pewter and metal objects for interior using its unique material properties. 퓨터는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이다. 인류가 고대부터 다룬 재료이며 특히 서구에서 대중적으로 활용하여 중세 이후의 유럽과 식민지시대 이후의 미국에서 은을 대체하는 식기류의 재료로 금속공예분야에서 널리 활용하였다. 브리타니아 메탈은 19세기에 등장한 퓨터의 일종으로, 현대의 퓨터제품 제조에 가장 널리 쓰이는 합금비율을 갖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전통적인 주조 방식 이외에 추가적인 금속공예기법의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식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퓨터는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주물기법에 의존하여 기념품과 저가 장신구의 제작에 활용되어 왔으나 판금기법을 활용한 금속기물의 제작과 관련된 사례는 드물다. 연구자는 판금기법의 적용과 금속기물 제작에 관한 재료적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퓨터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생소한 재료인 퓨터의 구체적인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우선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활용사례를 조사하였으며 기법적인 실험을 통해 망치성형기법을 주로 활용한 기물을 제작하였다. 1장에서는 우리나라 현대금속공예와 관련된 퓨터 연구의 당위성과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과 범위에서는 주요 참고자료의 출처를 밝히고 본문의 순서에 따라 퓨터의 정의와 역사, 재료와 기법, 작품연구에 대해 요약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퓨터의 용어 및 물리·화학적인 정의를 밝히고 시대에 따른 퓨터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퓨터를 구성하는 각 금속의 특성을 살펴보고 합금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였으며 금속공예에서 주로 활용하는 타 금속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퓨터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로만 브리튼과 중세에서는 참고자료의 해석 이외에 공인된 박물관에서 공개한 유물의 사진 자료를, 근대에서는 박물관 자료 이외에 비교적 정리가 되어있는 출판 서적의 사진 자료를 예시로 하였다. 특히 현대에서는 20세기 이후 퓨터와 관련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현대금속공예 작가와 디자이너, 기업의 예를 들었다. 4장에서는 판금기법을 활용한 퓨터 기물을 제작하기 위한 판재의 제작과 가공 기법을 설명하였다. 현대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퓨터의 종류인 브리타니아 메탈의 합금비율을 활용하여 판재를 제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가공기법에 있어서는 타 금속재료와 차이가 있는 부분과 주의사항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제작에 활용한 도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연구자의 실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앞에서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망치성형기법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자의 판금기법에 의한 퓨터작품을 제시하였다. 작품의 제작에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조형적인 측면에서 지금까지 연구자의 작품 활동 전반에 사용하고 있는 유기적이며 자연으로부터 차용한 선의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둘째, 기물의 형태와 구조에 있어 퓨터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과 구조의 결함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셋째, 작품연구의 제작과정에서 구체적인 기법 적용의 예시가 되는 부분은 앞장에서 설명한 내용과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심도 있게 해설하였다. 퓨터는 오랫동안 활용된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생소한 재료이며 망치성형기법을 통한 현대금속공예에서의 활용사례가 드물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살펴 본 바로는 일반적인 판금기법의 대부분이 적용 가능하여 금속공예 분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퓨터의 판재가 기성품으로 유통되지 않으므로 단기간에 활성화하기 어렵지만 결론적으로 브리타니아 메탈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현대의 퓨터는 심미성과 실용성을 겸비하는 현대금속공예의 작품 제작에 매우 적합하다. 이번 연구와 관련하여 현대 퓨터의 인체 안정성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실용 기물의 개발과 고유의 재료적인 특성을 활용한 실내 금속오브제의 제작이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이 논문의 연구를 위해 선행한 연구논문 '김동현(국민대학교 대학원), 강연미(교신저자,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금속공예학과 교수), 「퓨터의 판금기법과 활용 - 기물제작을 중심으로(Silversmithing & Utilization for Pewter - focused on vessel making」,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8권 4호(통권 82호), 2017년 8월' 은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8권 4호(통권 82호)에 게재하였으며 그 내용이 본문에 포함되어 있음을 밝힌다.

      • 칠 상감(漆象嵌) 기법을 이용한 금속 반상기(飯床器) 디자인 연구

        우상훈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759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공예의 하나인 칠공예는 옻나무에서 채취된 수액을 이용하여, 제작공정에 따라 기물에 칠하고 알맞은 온도와 습도로 건조시켜 공예품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옻은 일단 건조가 되면 접착력이 강하고, 방부성, 내열성이 높으며 어떠한 약품에도 침투되지 않는 등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옻 특유의 광택과 깊고 따뜻한 아름다움을 나타내어 현재까지도 옻에 비교될 만한 도료를 찾기가 어렵다. 칠공예는 칠 특성상 제작 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제작공정의 습득은 물론 디자인, 표현기법, 표현양식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한 분야이다. 오늘날에 이르러 서구 디자인 사조의 유입과 현대공예 교육현장에서 전통공예 디자인 및 공예기법의 어려움과 무관심으로 인하여 외면당하고, 서구 문물의 유입은 전통공예의 침체를 더욱 가속화 시켜 한민족의 동질성의 근간이 되는 생활문화가 흔들리고 있다. 또한 어떤 것이 우리 고유의 것이고, 어떤 것이 외래의 것인지 분별할 수 없는 현대공예의 흐름은 계속되고 있어서, 전통의 계승발전과 재창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칠공예의 문화를 계승·보전하면서 현대 감각에 부합되도록 개발하여 생활 감각에 맞는 공예품의 디자인 개발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칠공예를 재창조 개발한 "칠상감(漆象嵌)" 이란 기법과 금속 반상기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칠공예 기법을 알림과 아울러 금속재료에 칠공예 접목 활용범위의 확대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제1장, 연구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는 칠공예의 문화를 계승·보전하면서 발전 가능성에 대해 찾아보고, 새로운 칠공예 기법을 제시하여 현대생활에 필요한 공예 문화 상품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제2장, 옻칠의 개념 및 기법과 반상기의 규범 및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새로운 디자인에 앞선 기법 및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3장, 칠상감이 왜 개발하게 되었으며, 칠상감이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제시하였고, 금속반상기에 칠상감 기법을 이용한 제작과정을 사진으로서 나타내었다. 제4장, 칠상감 기법을 이용한 금속반상기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반상기의 형태와 기능성을 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현대적 감각을 접목시켜 새로운 반상기 디자인을 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반상기가 가지고 있는 대중적인 디자인을 이용하여 옻칠기법 중의 "칠상감"이란 새로운 기법 개발한 것을 접목시켜 현대적이고 우리체질에 맞는 조화로운 상품개발이 용이하였다. 둘째, 기존의 나전칠기 제작 기법의 한정된 재료, 자개, 금속 등을 문양용 재료로 사용하여 기물에 부착한 후 칠(漆)로 마감을 하며 완성 하면 기불(금속, 나무 등)의 팽창계수와 문양용 재료의 팽창계수가 같지 아니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제작 문양의 이탈이 생기는데, 이를 칠기 작품에 칠하는 동일한 칠(漆)로 만든 칠판재를 이용하여 제작 문양의 이탈 문제를 해결 하였다. 셋째, 전통적인 형태와 기능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문양용 재료가 아닌 "칠판재"란 새로운 문양용 재료로 현대적인 미적 감각을 문양 디자인에 가미하여 감각적이고 보다 높은 수준의 옻칠 공예품을 개발 하였다. 위의 이러한 연구와 개발이 옻칠 공예품에 또 다른 부흥을 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lacquer handicraft, one of main traditional handicraft of our country, is known as making craftwork using tree sap collected from the lacquer tree to apply onto articles and drying it at the r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manufacturing process. The lacquer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having strong adhesive power once it has been dried, having high preservative and heat resisting properties and not getting permeated by any chemicals. Because it shows the glaze unique to lacquer and deep, warm beauty, it. is still hard to find the coating to match the lacquer. The lacquer handicraft has ra very strict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nature of lacquer and is a field which requires a tremendous amount of time and patience from learning the manufacturing to design, expressing technique, form of expression, etc. These days, the culture which becomes root of homogeneity in cane race is being threatened with the inflow of Western design trend, the traditional handiwork design and its technique being neglected due to their difficulty. and lack. of concern at the modern handicraft training centers and the inflow of western products speeding up the stagnation of traditional handiwork. Also, the succeeded development and re-creation cal tradition is experiencing a great difficulty as the trend of modern handiwork continues where it is hard to distinguish which ones are our traditional ones and which ones are imported. Therefore, ca necessity to develop a handiwork design which fits the sense of life by succeeding and preserving the culture of lacquer handiwork and make developments to coincide with the modern sense has been presented. So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for expanding the range of applying and rising lacquer handiwork onto metallic materials along with informing a whole new lacquer handiwork technique through a technique called lacquer inlay where the lacquer handiwork is developed by re-creation and designing of metallic dinner set. The research. progress of this thesis is consisted of i chapters and the research detai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Chapter 1, For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lacquer handiwork culture.) as it is being handed down and preserved has been searched for and the handiwork culture product design necessary for modern life by presenting a whole new lacquer handiwork technique has been presented Chapter 2, The concept and technique of lacquer coating as well as the standard. and characteristics of dinnerware has been examined. The technique and structure prior to the new design has been looked into. Chapter 3, Presented why the lacquer inlay has bean developed, what advantages it has and show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etallic dinnerware using this inlay method is shown as a photograph. Chapter 4, Based on the form and function of traditional dinnerware in making designs using inlay method, a new dinnerware design has been attempted by adding modern sense onto it. Through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First, it was easy to develop an agreeable product which is modern and fits our constitution by applying a newly developed technique called lacquer inlay among the lacquer painting method and using popular designs which dinnerwares have. Second, if limited material, nacre and metal in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 o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re used as patterning material and the finish is done with the lacquer coating after attaching them onto the object to complete the product, the expansion factor of utensils (metal, wood, etc) and patterning materials are not the same and a breakaway of manufactured pattern occurs as time passes by. This problem has bean solved using lacquer board made with same lacquer material used in coating. Third, based on traditional shape and function, a sensational and high quality lacquer product has been developed by seasoning modern sense of beauty onto the design patterns using new material lacquer board which is not an existing material for patterning. I hope above research and development would become and opportunity for scheming another revival in lacquer handiwork.

      • 자연물의 구조 해석을 통한 금속공예 연구 : 금속판재와 소라(Shell)구조 이용을 중심으로

        최기준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43

        이 연구는 금속공예의 기본조건이라 할 수 있는 ‘기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생하는 물리력과 공간의 문제를 자연물 구조 빌림으로 풀어 가는 시도이다. 자연물 형태를 모방하는 것은 인류역사 시작 후 지금까지 가장 자연스럽게 진행되어 온 인간의 본능이다. 자연물이 이뤄놓은 문제해결을 인간은 조금씩 모방해서 생활에 적용시키고 있다. 역사적으로 자연물 형태이용에 적극적이었던 아르누보양식은 지나친 장식의 남발로 짧게 끝이 났다. 하지만 현대 공예와 디자인, 건축 등에서 자연물 표현의 적절한 이용은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나는 이 연구 작품에서 얇은 금속판재의 부족한 인장력을 자연물의 구조와 소라(shell)구조를 도입 해결했다. 이 구조 빌림의 중요한 목표는 기능에 필요한 공간과 물리력의 해결이다. 논문작업은 테이블웨어 제작에서 금속 판재가구까지의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것은 곧 공간을 만드는 구조에서 힘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로 주요관점의 변화가 진행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공간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로는 가소성이 좋은 은, 적동, 황동 등을 망치성형기법인 안티클라스틱 싱킹(anticlastic sinking)기법을 이용하여, ‘마늘 형 차 거르기’, ‘마늘 형 차 숟가락’, ‘빛의 흐름1,2’등을 제작했다. 이들 연구 작품들의 제작을 통해 자연물을 묘사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자연물의 구조 재해석을 통한 새로운 기능탐구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힘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로는 금속판재 가구제작을 했다. 소라(shell)구조와 연철의 좋은 인장력과 가공성을 이용하여 테이블, 의자 등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소라(shell)구조의 이용이 자연물처럼 극소 간결한 구조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미지는 자연물에서 유도했으나 지나친 묘사를 자제하여, 작품자체에서 구조미가 강조되도록 힘썼으며, 금속판재의 정밀한 가공을 통한 공간감과 운동감 표현에 주력하여 금속판재의 물성이 가진 디자인 특성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인위적 구조가 갖는 긴장감과 공간적 흐름의 유도로 자연물 이미지를 구축하고 미적 인식의 객관성을 끌어내어, 형태구성의 좋은 예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tries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condition in metal smiting the 'function' and both physics and space that would be questioned to solve the problem by relating it to natural structures. Imitating of natural figure is one of the most developed human instincts that have been constantly progressing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Human use the adoption of nature to their actual subsistence. Historically Art Nouveau style that actively adopted the natural structure later was terminated due to excessive use of decoration. But in contemporary craft, design, and architecture adequate use of natural expression could becom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within these designs. In this study the natural structure and shell figure are introduced by tension of fragile metal sheet. The essential purpose of this adoption is to solve the question of space and physical strength of 'function'. During this research, my work has covered from tableware to furniture and this deals with progress of shifting viewpoint from a structure that create space to the one that solve the physical strength. To generate the solution of structure silver, brass, and copper are used to produce garlic-shaped tea infuser, spoon, and Stream of Light 1,2, using anticlastic sinking technique as the materials show excellence in plasticity. Through these work, new postures of technical research has been discovered by reinterpreting the natural framework. Furniture are produced by using metal sheets to seek the probability of structure. With great tension and character of iron, tables and chairs have been manufactured and the shape of shell was enough to construct the possibility of simple and minimal structural solution of nature. Most of the work images are influenced by nature, but they are restrained with excessive descriptions to emphasize structural beauty and feature of design within the properties of metal by being immersed in expressing space and movement through preciseness of metal manufacture. Further, this research tries to suggest exemplification of formative composition by drawing the objectivity from aesthetic senses and establishing natural images derived from tension and spatial stream that artificial structures have.

      • 얇은 금속을 이용한 식물 표현

        김선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식물은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인간이 의식주를 해결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간의 삶이 윤택해지자 사람들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식물이 아니라 아름답기 때문에 소유하고 싶은 미적인 대상으로 보았으며 식물과 식물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가졌다. 즉 생활기반을 다지기 위한 식물로서만이 아니라 학문적 관심과 예술적 영감의 대상으로 인간의 미의식과 예술의식에 비유적 또는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인간의 창의적인 활동인 예술에 있어서도 식물의 외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내적 가치를 부여하며 식물의 이미지를 재현하고 표현해 갔다. 현대의 공예가들은 도구를 다루는 손의 섬세한 능력과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나올 수 있는 독특한 형태를 만들고자 노력한다. 생활공간에서 필요한 소품에서부터 인간의 몸에 착용되는 장신구까지 다양한 공예품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해가고 있다. 현대 공예가들은 쓰임과 형태에 따라 재료의 선택의 폭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재료를 다루는 방법도 새롭게 해석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재료의 선택과 기법은 작가의 정체성을 찾는 것과 연결되어 공예가들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금속은 충격에 의해 견고성을 가지며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춘, 금속공예가들에겐 자신을 표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재료이다. 학부 때부터 금속의 물리적 성격과 미적 조형성에 대해 공부한 나는 금속의 다양한 물성들을 숙지할 수 있는 시간을 통해 익힌 숙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금속을 다루는 나만의 방법을 모색하여 작업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약하여 쉽게 훼손되는 여린 식물이지만 생명의 번식과 변화를 추구하는 강한 생명력이 함축되어있는 자연 속의 식물에서 영감을 받아 장신구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식물의 성격은 유연하고 구부러지기 쉬운 얇은 금속의 성격과 유사하다. 얇은 금속은 그 자체로 힘이 다소 부족하지만 가공을 통해 강도를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이는 연약한 식물 속에 존재하는 생명의 강인함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얇은 금속판은 다양한 질감을 표현하기에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0.3mm 이하의 얇은 금속을 이용해 주로 판금작업을 통해 표현하였다. 식물이 가진 자연스러운 곡선과 양감을 망치성형을 통해 표현하고 여러 형태의 정을 이용한 가늘고 그물 같은 복잡한 식물의 잎맥과 마치 확대된 표면 같은 질감을 반복하여 식물의 연약함 속에 잠재하는 생명의 강인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잎이나 줄기의 유기적인 형태의 중첩을 통해 생태적 형상을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크기에 제한이 없고 가벼운 장신구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충격에 의해 단단한 물성을 갖게 되는 금속판을 통해 표현된 식물을 사람의 몸에 착용되어 하나의 예술로 승화되는 작은 조형물인 장신구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작업을 통해 착용자와 관람자가 금속의 다양한 변형의 가능성을 흥미롭게 바라보길 기대하며 더불어 거친 자연에서 자라는 식물의 연약함 속에 존재하는 견고한 생명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기를 희망한다.

      • 금속공예 기법에 의한 불교공예품 제작

        김연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는 오랜 시간 불교가 국교였으므로 불교미술과 불교공예 또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유물은 불교미술품과 불교공예품이었으므로 대학교 4년 동안 전통문화를 공부한 나에게 불교 미술은 전혀 생소한 소재가 아니다. 이 논문연구의 내용은 금속공예기법에 의한 불교공예품 제작으로, 그 중에서도 부처님을 모시는 작은 집이라고 할 수 있는 불감佛龕제작이 중심이다. 부처님을 모실 때는 복장腹藏이라 하여 불상의 배 안에 사리와 불경 등을 넣는데, 불감 안의 불상에 복장을 넣을 공간을 확보하기에 제작 기법으로서 돋을새김이 적당하다고 판단했다. 돋을새김 기법은 금속을 앞, 뒤에서 번갈아가며 돋을새김 정과 망치로 때려 형태를 만들어 가는 기법으로 앞면에는 의도한 형태가 형성되고 뒷면에도 역시 흥미로운 형태와 함께 움푹한 공간이 형성된다. 무게 또한 가벼워 이동이 필수적인 불감을 제작하기에 적절했다. 또한 불감을 제작하면서 전통도금기법인 개금기법을 함께 연구하게 되었다. 개금蓋金기법은 전기를 사용하는 현대의 기계적 도금과는 다르게 옻이나 카슈 등의 접착제에 의해 얇은 금박이나 금분을 입히는 기법이다. 전기도금과는 다르게 수공에 의해 도금작업을 할 수 있을뿐더러 착색 후에도 부분적인 도금이 가능하고 금박과 금분을 적절히 번갈아 사용하여 무광과 유광도금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점 등의 다양한 회화적 표현이 가능하다. 연구 작품들은 은으로 제작된 염주念珠, 돋을새김에 의해 제작된 청수발우淸水鉢盂, 움직이는 여러 개의 팔을 가진 천수관음千手觀音, 삼신불을 연작으로 제작한 불감佛龕인 석가모니불 불감, 노사나불 불감, 비로자나불 불감으로 모두 7점이다. 연구의 후반에서는 불감이라는 작은 불당을 주로 제작하였고 이 작업의 배경지식을 위해 참고 작품을 조사하고 그 안에서 많은 요소들을 인용하였다. 그러나 최종 결과물의 형태는 조형성과 심미성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였다. 이 연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불감의 제작은 돋을새김과 개금기법을 사용한 금속제 불감으로서 주로 나무로 제작되는 기존의 불감과 비교하여 더 견고하고 영구적이라는 점에서 연구가치가 충분하다. Because Buddhism has been designated as the national religion for a long time in Korea, Buddhist fine art and Buddhist crafts are taking very important parts. Most of the relics are Buddhist fine arts and crafts, and Buddhist fine arts are not strange materials for me who have studied the cultural heritage for four years at college. In this study, we studied Bulgam which is a small house dedicated to the Budha, and Buddhist craft produced by metal craft technique. When keeping the Budha in it, Bokjang such as Sari(sacredrelics) and Buddhist scriptures are put into the belly of statue of the Buddha. Embossed carving is adequate as the production technique to secure the space in which Bokjang is put into the statue of the Buddha in Bulgam. Technique of embossed carving is the technique to make the shape by alternatively hitting the front and back with embossed carving chisel and hammer. The intended shape is formed, and an interesting shape with a hollow space is formed on the back. Since the weight is light, it is considered the correct technique to produce the Bulgam which shall be moved. In addition, while producing the Bulgam, I studied the technique of Gaegeum which was the traditional plating technique. Unlike modern mechanic plating using electricity, the technique of Gaegeum is the technique to coat it with thin gold leaf or gold powder using adhesive agent such as lacquer or cashew. Unlike electronic plating, plating can be made by hand and the partial plating can be made after coloring. Matt and gloss plating can be freely expressed by appropriately using gold left or gold powder. Thus, various pictorial representations can be made. Research subjects are seven art works such as Buddhist prayer beads made of silver, Cheongsubalwoo produced by embossed carving, Cheonsukwaneum with several moving arms, Seokgamoni Budha Bulgam in which Samsinbul was produced in series, Nosanabul Bulgam and Birojanabul Bulgam. In the second half of the study, Bulgam which is a small Buddhist shrine is mainly produced. For background of this work, reference art works were investigated and many factors were cited. However, the shape of the final outcome is re-interpreted on the basis of formativeness and aesthetics. The production of Bulgam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enter of this study is the Metal Bulgam using techniques of embossed carving and Gaegeum, and it is more solid and permanent compared with the existing Bulgam mainly made of wood. Thus, it is significant to be studied.

      • 전기도금을 이용한 금속장신구의 표면색상에 관한 연구

        노승욱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아날로그시대에서 디지털시대로 변화해 가는 현대문명은 정보화와 글로벌화 속에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소비자들은 개인의 차별화와 독창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획일화되는 미의식의 대중화 과정에서 자유로운 개인의 존재를 인정받고 주장하려는 행동의 일환으로 비춰진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을 통하여 선진국가로 진입하고 있으며, 국가의 발전 뿐 만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의식수준도 향상되고 있다. 또한 산업의 구조에서도 큰 변화를 보이는데, 특히 공예산업의 경우에는 공급과 수요의 주체적 관점에서 그 특징을 볼 수 있다. 공예산업은 일품제작에서 출발하여 생산을 위한 디자인을 거쳐 소비자를 위한 제작의 시기로 바뀌었고, 현재에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빠르게 진행된 현대 산업구조의 변화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였고, 소비자의 욕구와 생산자의 욕구를 상충시켜 소비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새로운 문제점을 나타나게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는 생산자의 적극적 해결의지와 대안제시를 통한 소비자의 만족도 상승과 새로운 수요창출로 해결 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금속장신구의 표면색상변화의 다양성으로 부여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금속장신구의 표면색상 변화는 금속의 색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금속표면처리의 공학적 측면과 금속공예의 기법적 특성 연구로 금속표면색상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하였다. 특히 금속표면가공기법들이 어떻게 색의 발현에 상관하는지와 도금의 조건 등을 달리하여 장신구제작에 용이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금속장신구제작에 활용한 색표현은 부분침지도금, 회화기법, 적층도금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금속장신구에 적용하였다. 금속가공기법은 이론이나 기기의 개발에 맞추어 다양하게 발전하였으며,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기법이 창출되고 있다. 과학기술과 공학기술은 양적, 질적으로 새로운 기법의 등장을 가속화하여 금속공예발전에 공헌을 하고 있으며 현대사회에서 공예가는 새로운 기법을 창출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타 분야와 연계를 시도하여야 한다. From analog time change at digital age and goes today from civilizational inside, consumers' consumption trends emphasizing informationization and globalization present emphasis on individual differentiation and uniqueness. These trends are expressed as part of behaviors attempting to have individual free existence recognized during popularization of uniformed aesthetic consciousness. Korea is becoming an advanced country through rapid economic growth, and consciousness level of individuals is improving advanced. This change also causes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arts industry presents the influence in the subjective viewpoint of supply and demand. Beginning from production of a superior article, it has developed into production for consumers via design for production. However, this change caused another problem for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because the desire of consumers and the desire producers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he modern industrial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roducers should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create new demand through having active will to solve and suggesting alternatives. There will be various attempts to satisfy consumer's desire, but the current study aims to suggest a solution by giving diversity through color changes of metal jewelry.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metal surface treatment technologically and examined characteristics of methods of metal crafts for color changes of metal jewelry.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how metal surface treatment methods influence expression of colors and experimented to find out easy methods to produce jewelry by applying plating order, time and moving speed differently. Then,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the study applied up-to-date device, partial digestion plating and a pictorial plating method for express colors for metal jewelry. Metal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s tools and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new methods are being introduced according to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Scientific technique and engineering technolog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tal crafts by accelerating introduction of new methods both qualitatively and qualitatively. Craftsmen should make consistent attempts to connect with other areas in order to create new methods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 은빛 세대를 위한 생활용품 Design 연구

        양상만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21세기가 되면서 경제적인 발전과 의료과학의 발달로 인해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었으며, 인구의 고령화사회 진입은 노인들의 복지에 대한 사회적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한국의 노년학에 관한 연구는 한국노인병학회(1968년)를 시작으로 한국 노인문제 연구소(1975년), 한국노년학회 (1978년), 한국노인복지 학회 (1998년)등 전문 분야별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실버산업의 실태를 살펴보면 주거관련분야와 의생활, 식생활분야 등에는 관심과 개발이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고령세대를 위한 공예(工藝)생활용품은 미비한 편이며, 편리한 기능이나 품질은 고려하지 않은 생활용품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의 신세대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 노인세대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예용품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그 욕구들을 실증 분석하여 미래의 신세대노인들의 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공예용품의 디자인과 품질을 향상시켜 공예용품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노인건강검진, 건강관련용품 등이 무상으로 대여되며 의료복지혜택이 확대되는 21세기 초반부터는 실버산업의 광고도 의식주를 기본으로 하여 레저, 스포츠 등 다양한 품목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쓰임과 동시에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공예디자인은 그 장점을 살려 고령화 사회에서의 필요한 한 축을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미래의 은빛(Silver)세대들의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은빛 세대들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금속 공예용품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은 4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제1장, 연구배경과 목적에서는 한국의 노년학연구단체 등과 통계청 등에서 발표된 고령화 추세를 분석하였으며, 공예 디자인의 장점을 제시하여 은빛세대들을 위한 생활용품의 연구에 대한 디자인 방향을 계획하였다. 제2장, 현 노인세대의 특성과 환경을 고찰하였으며, 현 노인세대들의 일상생활 공예품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여 공예용품이 미래의 은빛세대들에게 필요한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 한국인들의 경로효친사상(敬老孝親思想)에 그 바탕을 두고 은빛세대를 위한 공예디자인의 역할을 제시하였고, 십장생(十長生)문양를 전개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제4장,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지각적(地殼的)이고 공학적(工學的)인 접근을 통하여 생활용품으로서 사용에 편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사용재료는 은(92.5%), 황동, 가죽, 목재 등을 사용하여 그들의 정서에 적합한 재료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제작방법은 수(手) 작업과 쥬얼리CAD, 정밀주조, 사진부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공예의 장점인 수공예의 아름다움과 현대 과학기술과의 만남을 통하여 은빛세대를 위한 생활용품을 제작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예품(工藝品)은 고령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그들의 생활에 필요한 생활용품으로써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국민의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으로 육성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은빛 세대를 위한 생활용품 개발은 사회복지 서비스적인 측면과 영리적 차원에서 상호 보완해야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생활용품 제작에 있어서는 먼저 아름다움보다 고령에서 오는 신체적 특성에 적합한 인체 공학적, 감성적인 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하여서 기존제품의 문제점을 고찰할 수 있었고,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형태, 기능, 재료, 색상, 구조,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공예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제 전세계가 하나인 글로벌리즘(Globalism)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우리는 미래의 은빛세대를 위한 생활용품개발을 늦추거나 다른 나라의 도움을 받는다면 경제적이나 정신적으로 큰 불편함을 감수하는 어려움을 가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되어 그들의 노후에 필요한 아름답고 유익한 생활용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Korea has entered into an aging society according to development of economic and medical science, so that the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has brought up a social concern for the welfare of the aged. Researches on gerontology in Korea was started at Korea Geriatric Diseases Academy (1968), and there are a rapid progress in special area by the Aged People's Problem Research Institute (1975), Korea Gerontology Academy (1978), Korea the Aged People's Welfare Institute (1998), and so on. On viewing the actual conditions of a silver industry, concerns and development for residing, clothing, and food area, and development of them has been started. However, industrial living goods for the aged are not enough and most of them are also not considered of its convenient function and qualit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dustrial goods that an aged generation has used in order to improve living quality of the next silver generation and analyzed their needs in order to increase the industrial goods design and quality that will contribute to the aged men's daily life, so tha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the industrial goods. In the first stage of the 21st century in which health examination for the aged, health care goods will be lent free, and the benefits of medical welfare will be expanded, advertisement for silver industry has been expanded to leisure and sports on the basis of food, clothing, and housing. In these times, the industrial design that seeks for beauty and convenient usage simultaneously should take one axis that is needed for the aged society. This study, accordingly, analyzed the environment of silver generation that will be healthy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and examined and suggested metal technological goods that could need for silver generation's daily life. Study processes of this thesis are consisted of 4 chapters, and its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1,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e Study, the aging trends that were published by gerontology academies and the Bureau of Statistics in Korea were analyzed. Design direction of the daily life goods for a next silver generation was planned by suggesting industrial design's merits. In Chapter 2, the special quality and environment of a current silver generation were considered, and industrial good's needs were suggested though examination of actual conditions for industrial goods that are used by the current silver generation's daily life. In Chapter 3, On the base of Korean's ideology about respecting the aged and filial piety, functions of industrial design were suggested for silver generation, and the concrete design directions were established by using the 10th long-life animals. In Chapter 4, industrial goods were made to be convenient in usage as daily life goods through tectonic geological and engineering approaches according to user's special qualities. Silver (92.5%), brass, leather, wood was used for manufacturing, and proper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e feeling that a goods has and was used. By using such methods as hand-made, jewellery CAD, precision casting, photograph corrosion, the daily goods for silver generation was manufactured through contacting between handicraft's beauty as an industrial art's merit and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bove studi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dustrial goods will take a unique role as daily life goods of silv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of an aged society, and have a possibility to be fostered as an industr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welfare. Second, development of daily goods for silver generation has some problem to assist mutually in an asp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business aspect. Third, in manufacturing daily goods, we need to take precedence of human body engineering and sensitivity aspect that is proper to the physical condition that was come from aging rather than its beauty. Fourth, I could consider of existing goods problems in this study. I can find out endless possibility to develop an industrial design in aspect of shape, function, material, color, and structure, human body engineering that could satisfy various conditions. Now, the whole world is globalizing as a one world. We could get some difficulty economically and mentally if we delay developing daily life goods for silver generation or if other foreign country helps us in its development. Accordingly, we can continue these studies for the aged to purchase beautiful and beneficial daily life goods easily.

      • 만남과 교감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금속 촛대 제작연구

        이준식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인간은 언어를 통해 정보와 감정을 공유하고 소통한다. 그러나 언어가 의사소통의 유일한 수단은 아니다. 언어를 통해서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는 있지만 언어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다양한 종류의 비언어적 메시지이다. 그중에서도 신체언어는 몸을 통한 원초적인 소통의 방법이며 감정을 표현하고 교류하는 수단이다. 사람은 즐거움, 기쁨의 감정을 느낄 때 서로의 어깨에 손을 올리고 뛰거나 손을 맞잡거나 슬픔, 사랑의 감정을 느낄 때 서로 끌어안곤 한다. 타인을 개인의 구역으로 끌어들여 서로 신체를 접촉하는 태도는 신뢰, 친밀, 애정, 타인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사람과 사람이 애정, 친밀, 신뢰 등의 감정을 교류하는 행위는 따뜻하고 감성을 자극한다. 나는 이런 감성적 행위를 표현의 내용으로 삼아 금속공예품을 통해 형상화하고자 한다. 촛대는 조명의 기능과 미의식이 합쳐진 조형물이다. 나는 연구작품을 통해 본래 어둠을 밝히는 촛대 고유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와 감정을 공유하는 매개체로 삼고자 했다. 이 연구는 “교감“이라는 주제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8점의 금속공예품 제작이 중심 내용이다. 3점은 다이포밍기법을 포함한 판금기법으로 제작되었고, 후반부의 5점은 모래주조 기법을 응용했다. 단동, 황동, 적동, 알루미늄 등 다양한 금속재료를 사용했으며, 부분적으로 은도금을 했고, 주로 금속표면 고유의 색을 그대로 보여줘 금속공예품에서 오는 광택성과, 팽만한 볼륨감을 표현하려 하였다. Human beings shar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and emotion through language. However, language is not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Although people can convey meanings more accurately and effectively through language, various types of nonverbal messages are as important as language. In particular, body language is a primordial method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body and a means of expressing and exchanging emotions. When people feel pleasure or joy, they jump with their hands on each other’s shoulders or hold hands together. When they feel sadness or love, they embrace each other. Drawing other people to their personal zone and contacting each other’s bodies imply trust, intimacy, love,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Exchanging emotions such as love, intimacy, and trust between people stimulates warm feelings. I try to embody these emotional behaviors through metal craftwork using them as contents of expression. The candlestick is an artwork that combines the lightingfunction and aesthetic sense. Through my research work, I tried to use the candlestick as a medium for sharing emotions with users, going beyond its inherent function of lighting darkness. The main content of this research is the fabrication of eight metal craftworks that visualizes the theme of “sympathy.” Three works were fabricated using the sheet metal working techniques including die forming, and the latter five works were created using sand molding technique. I used a variety of metals including red brass, yellow brass, red copper, and aluminum, with partial silver plating. I attempted to express the gloss and bulging volume of metal craftworks by showing the unique colors of metal surfaces. In this research work, I subjectively reinterpreted the shapes of sympathetic behaviors. When expressing the shapes, I focused on a variety of expressions, such as twisting and joining shapes where two or more bodies meet and touch each other. I gradually shifted my focus on the subject of sympathy by gradually simplifying the forms from the relatively complex expressions in the beginning. Starting with this research, I will create works while continuously studying the forms of sympathetic behaviors with human bodies.

      • 곡선 접기 방식을 이용한 사물 제작 연구

        최연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금속공예 기법 중 평면의 금속판을 이용해 3차원의 입체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망치 성형기법과 접기 방식, 땜이나 용접으로 판재를 잇는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망치 성형기법은 대체로 유기적인 곡선의 형태를 표현하며 접기 방식은 금속판의 평면성을 유지한 채 직선의 형태를 표현한다. 금속공예 작가들은 보통 곡선의 유기적인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망치 성형기법을 선택해 작품을 제작한다. 접기 방식도 함께 사용되지만, 상대적으로 표현의 비중이 적고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곡선의 형태를 접기 방식으로 표현하고 입체 형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금속판을 접는 일반적인 방법은 직선을 이용한 접기이며, 그중 각 접기는 금속판에 직선의 홈을 파내고 그 부분을 일정한 각도와 힘으로 접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직선 접기 방식에서 더 나아가 곡선 접기 방식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곡선 접기는 곡선에 따라 왜곡되는 형태를 예측하는 것이 어려우며, 곡률을 계산해 금속판을 접는 방식은 까다로운 과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곡선 접기의 방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라이노 3D 프로그램을 활용해 곡선의 비율과 곡률을 계산해 도면 작업을 하며 종이 모델링을 통해 결과물의 형태를 예측하고, 접는 과정을 확인하여 작업의 순서를 결정하였다. 금속판에 곡선의 홈파기는 수작업 방식에는 한계가 있어 기계 가공 방식을 활용해 정밀 가공하였다. 이 연구 방법을 통해 나온 작품 들은 땜이나 용접을 하지 않아도 형태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며 곡선 접기 방식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작품의 조형성은 방사대칭의 반복적 배열을 이용했으며 곡선의 반복적 표현은 비례, 대비, 왜곡, 균형, 밀도 등의 특징을 고려하여 형태를 구상하였다. 또한, 형태의 크기와 비율을 조정하는 데 있어 반복적 배열은 형태를 체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곡선 접기와 반복적 배열을 이용한 작품들은 생활공간 속 다양한 테이블 위에 올릴 수 있는 사물들이다. 그중 촛대 작업은 밀도와 균형을 강조해 표현했으며 추후에는 복제생산의 생산성을 고려해 형태의 왜곡을 줄이고 간결한 형태로 특징을 잡아 표현하였다. 기하학적 구조의 반복적 배열에 특징 중 하나는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작품의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며 왜곡과 대칭의 표현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과반들을 제작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면서 얻어진 결과들은 기존의 접기와는 다른 형태와 특징들로 표현되었다. 곡선 접기만이 가진 특징들은 형태 연구에 있어 다양성과 발전 가능성을 가져다주었다. 또한, 기하학 구조의 반복적 배열은 형태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곡선 접기만의 방식과 조형을 찾고 체계화시켜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 밑바탕을 이루고자 하였다. Methods of forming sheet metal into three-dimensional shap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hammering, fold forming, and joining which includes welding and soldering. Hammering is more commonly used for creating shapes with organic curves, while folding easily creates structured lines, maintaining its flat surface.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organic shapes metal workers most commonly use hammering methods. While some type of folding may be included in the process, its use is relatively minor and not much research is done regarding the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vel ways of fold forming curved shapes, and aim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three dimensional forms using said methods.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ld forming uses straight-line folds, in which straight lines are scored and then folded using consistent force. This study examines methods of curve folding that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standard straight-line folding. Whilst fold forming curves it is challenging to predict structural distortion,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curvature of its outcome. In order to increase accuracy during the curve folding process, Rhino and CAD programs were used to calculate the curves and curvature on the template itself. In addition, paper models were used in order to assess the order in which the curves be later folded. In addition, precision machining was also utilized to overcome the limits of scoring manually on the metal sheets. The final outcome of these techniques all together has the advantage of structural integrity without the use of soldering or welding, which is one of the main attributes of curve fold forming. The characteristic design of the work lies in the repetitive arrangement of radial symmetry, and the repetition of curves were designed with attention to proportion, contrast, distortion, balance and density. The repetitive arrangement of curves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tandardizing the forms when adjustments of its scale and proportion were needed. The resulting works from this technique are table objects that could be placed in everyday living space. In particular, the candle holders were designed with an emphasis on density and balance. The candle holders were later simplified, minimizing distortion with mass production in mind. One of the effects of repetitive geometric structure is that the viewer is able to find rhythm through examining the work. Through balancing distortion and symmetry, the designs were executed to highlight this sense of rhythm. The accumulated results have distinctive forms and features that set them apart from standard fold forming. The uniqueness of curve fold forming brings potential for various adaptations. Furthermore, the repeating geometric shapes present novel ways in which the forms be constructed.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method of curve fold forming and its distinctive shape to create a foundation for prospective work.

      • 금속 말아 올리기를 이용한 기물연구

        음한교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예술가들은 자기표현의 다양한 가능성을 통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에 가치를 부여한다. 사물을 작가 자신의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노력하며 지나치기 쉬운 일반적인 현상들에서 조차 자신만의 방식으로 예민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표현 행위는 익숙한 것들과 보편적인 현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탐구할 때 가능하다. 또한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 표현을 추구하는 공예가들도 새로운 재료와 기법을 시도함으로써 아이디어 발상의 폭을 넓히고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려 하고 있다. 문화가 다양해지고 사회가 다각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금속공예에 대한 그 개념도 변화되고 있으며 현대인의 개성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형식과 감각적인 디자인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맞추어 기법의 다양함을 모색하고 그로 인한 시각적 독특함이 나타나는 금속공예가 요구된다. 이 논문은 선이라는 소재를 이용하여 기물 제작을 하였다. 선의 반복적 구성이 빚어내는 독특한 질감과, 은과 동이 나타내는 색 대비는 입체의 형태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현재 금속공예에서 입체가공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판재를 이용한 각도 올리기나 판금성형, 용융 상태의 금속을 틀에 부어 형태를 만드는 주조, 그리고 금속입자를 전기로 용해시켜 미리 만든 모델 위에 고착시켜 두께를 만드는 전기성형 등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서 입체를 면이 아닌 선의 조합으로 만들고자 한다. 밑그림과 모델링을 통해 말아 올린 형태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ern artists try to create a new image with various expression of their own. They respond sensitively to all stuffs with their own thought or feeling even to trivial phenomena of chores. This kind of expression could be possible when they see familiar & general things through a new perspective. Also craftsmen who seek a unique work of their own are to broaden their creativity and to overcome limit by using of new method and materials. Technical art with metal is changing in proportion to variety of cultures and rapidly changing trend, so it became unique type & sensitive design to show modern subjectivity and feeling. Accordingly, a new industrial art that seeks variable technique on which visually appeal is asked to be shown. This thesis is about a making a vessel with line. Repetitious composition with line creates a unique matiere & color contrast (or complementary color) and it becomes an element to gloss solid (or standing) shape. In metal craft, a general method to make solid manufacturing is to make angle lift or plate formation, brewing that made by liquid metal poured in molding, and electroforming that melts metal particles and adhered to a molded frame. Unlike these method that mentioned just before, I'm now trying to make a new approach, that is to make a standing shape(solid) with combination of lines, not with surfaces. From this effort, I could learn effective method to show a shape that was rolled up through rough sketch(draft design) and mod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