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교정이 만성요통 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배창욱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기능교정이 만성요통 환자들의 통증, 기능장애 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기능교정이 만성요통 환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내용에 따라 연령, 직업, 통증기간 등에 따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만성요통환자의 기능교정 치료가 통증, 기능장애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준거변인인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예언변인인 통증 및 기능장애 요인에 관계는 어떠한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 표집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구분하여 시행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는 G도의 S사와 K시에서 실시하는 기능교정 치료 후 만성요통 환자들을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후 일부 수정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본 조사는 2017년 3월부터 약 8주간에 250부를 배포하여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오류 또는 무응답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21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여 Windows용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는 첫 번째, 만성요통환자들의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으로는 경로계수 모두가 잠재요인 간의 관계가 정 방향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생변인인 통증 변인이 내생변인인 기능장애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생변인인 기능장애와 건강관련 삶의 질 변인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변인들의 측정변인들도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기능교정 후 통증변화와 기능장애 변화의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기능장애 변화를 경유한 간접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통증의 변화는 기능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능장애 변화를 경유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 번째로, 만성요통환자의 기능교정 치료 후 통증과 기능장애에 다차원적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통증 변인의 하위 요인 세 가지를 독립변수로 하고 기능장애 변인을 종속변수로 하여 통증이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장애 변인에 대하여 통증 변인 중 통증평가 요인과 감각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정동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기능장애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다차원적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능장애변인의 하위요인 여덟 가지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종속변수로 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위생 요인, 물건들기 요인, 앉기 요인, 잠자기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걷기 요인, 서기 요인, 사회생활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능교정이 통증, 기능장애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한 것으로 기능교정 치료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근거가 되며, 환자의 심리사회적 변화 등의 중재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교정시설 수용자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차유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을 적용하여 교정시설 수용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정시설 수용자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 소재 1곳의 교정시설에 수감 중인 수용자 16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5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용자의 건강신념은 4점 만점에 평균 2.83±0.28점이었다.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지각된 민감성은 4점 만점에 2.64±0.58점, 지각된 심각성은 2.46±0.51점, 지각된 유익성은 3.38±0.47점, 지각된 장애성은 2.03±0.41점, 건강동기는 3.49±0.47점이었다. 우울은 3점 만점에 평균 0.89±0.55점이었고, 사회적지지는 4점 만점에 평균 3.45±0.51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평균 2.72±0.46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성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2.72, p=.007), ‘남성’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77±0.47점으로 ‘여성’의 2.52±0.40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주관적 건강상태(F=8.87, p<.001), 고강도 운동 일수(F=7.32, p<.001), 중강도 운동 일수(F=4.40, p=.014), 저강도 운동 일수(F=4.52, p=.01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건강증진행위는 ‘좋은 편’ 평균 2.94±0.43점과 ‘보통’ 2.73±0.43점이 ‘나쁜 편’ 2.50±0.47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고강도 운동 일수에서 ‘3일 이상’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88±0.44점으로 ‘0일’ 2.63±0.46점과 ‘1∼2일’ 2.59±0.43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중강도 운동 일수에서 ‘3일 이상’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85±0.46점으로 ‘0일’ 2.62±0.50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저강도 운동 일수에서 ‘3일 이상’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81±0.42점으로 ‘0일’ 2.57±0.52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교정시설 수용자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면회 및 접견횟수(F=5.19, p=.007)와 거주실(t=3.7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면회 및 접견횟수는 ‘5회 이상’인 경우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87±0.40점으로 ‘1~2회’ 2.62±0.51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거주실의 경우 ‘혼거실’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75±0.44점으로 ‘독거실’ 2.05±0.58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건강신념, 우울, 사회적지지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에서,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신념 중 지각된 유익성(r=.34, p<.001), 건강동기(r=.25, p<.001) 및 사회적지지(r=.41,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각된 심각성(r=-.19, p=.015), 지각된 장애성(r=-.37, p<.001) 및 우울(r=-.41,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교정시설 수용자의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β=.23, p=.006)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각된 장애성(β=-.21, p=.006), 거주실(β=.19, p=.006) 순이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수용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해 33.6%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본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7.46, p<.001). 즉, 혼거실인 경우,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정시설 수용자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를 높이고 건강행위와 관련된 지각된 장애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혼거실과 차별화된 독거실 수용자를 위한 건강증진행위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that aims to identify the health belief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orrectional facility residents, and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direction fo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orrectional facility resi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67 correctional facility residents aged 40 years or older in one correctional facility located in City C, Gyeongsangnam-do.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0 to August 30, 2022. The researcher visited the housing unit in the correctional facility and provid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study’s purpose and procedures, including research ethics such as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After providing instructions about completion of the surve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facility residents to complete. Participants were asked to voluntarily agre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were instructed to complete the survey and submit it directly to the survey box located within the facility after comple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 WIN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mean score for health belief was 2.83±0.28 out of 4 points, for depression it was 0.89±0.55 out of 3 points, for social support it was 3.45±0.51 out of 4 points, and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it was 2.72±0.46 out of 4 points. 2)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etween gende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2.72, p=.007),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77±0.47 points for me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2.52±0.40 points for women.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seve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subjective health status (F=8.87, p<.001), the number of days of high-intensity exercise (F=7.32, p<.001), and the number of days of medium-intensity exercise (F=4.40, p=.014) and the number of days of low-intensity exercise (F=4.52, p=.012)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averag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was highest for those who rated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s 'good', with a score of 2.94±0.43 points, followed by 'average' with a score of 2.73±0.43 points, and 'poor' with a score of 2.50±0.47 point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of 'goo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verage’ and 'poor'. Among the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the averag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for '3 or more days' of high-intensity exercise was highest with a score of 2.88±0.44 points, followed by '0 days' with a score of 2.63±0.46 points, and '1-2 days' with a score of 2.59±0.43 point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of '3 or more day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days' and '1-2 days'. Among the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the averag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for '3 or more days' of moderate-intensity exercise was highest with a score of 2.85±0.46 points, followed by '1-2 days' with a score of 2.66±0.40 points, and '0 days' with a score of 2.62±0.50 point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of '3 or more day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days'. Among the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the averag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for '3 or more days' of low-intensity exercise was highest with a score of 2.81±0.42 points, followed by '1-2 days' with a score of 2.63±0.47 points, and '0 days' with a score of 2.57±0.52 point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of '3 or more day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days'. 4) The number of visits and interviews (F=5.19, p=.007) and the living room (t=3.78, p<.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highest average health promotion score was observed for inmates who had 5 visits, at 2.87±0.40 points, followed by those who had 3-4 visits, at 2.68±0.43 points, and those who had 1-2 visits, at 2.62±0.51 points. The health promotion score for inmates with 5 visi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those with 1-2 visits. In terms of living room, the average health promotion scores for inmates living in shared room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2.75±0.44 points, compared to those living in single rooms, who had an average score of 2.05±0.58 points. 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health belief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usefulness of health beliefs (r=.34, p<.001), health motivation (r=.25, p<.001), and social support (r=.41, p<.001), while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severity (r=-.19, p=.015), perceived barriers (r=-.37, p<.001), and depression (r=-.41, p<.001). 6)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factors of disability (β=-.21, p=.006), Residence room (β=.19, p=.006) and social support (β=.23, p=.006) were found to influence the subjects’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ther word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higher when the subjects lived in shared housing rather than alone, had lower levels of perceived barriers, and had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The regression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7.46, p<.001), and residence status, perceived barriers,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33.6%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correctional facility resident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orrectional facility inmates, this study can help maintain a healthy life and prevent chronic diseases, given the rapid aging of this popul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residence status, perceived barriers,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impact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orrectional facility inmates. To improve health promo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upport systems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luding peers and staff, in addition to family members. Furthermore, efforts are required to identify and eliminate barriers to health management in correctional facilities.

      • 복합운동 강도의 차이가 중년비만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영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8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고강도 및 저강도 복합운동을 실시하여 운동 강도의 차이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건강관련 체력,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강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G구에 거주하는 50-60대의 중년여성으로 고강도 복합운동군(HEG : n=7), 저강도 복합운동군(LEG : n=7), 통제군(CG : n=7)으로 분류하였고, 운동강도는 고강도 운동군과 저강도 운동군에서만 두 그룹간의 강도와 반복횟수를 다르게 설정하였으며(첫번째 달 - HEG : 60%RM, LEG : 30%RM, 두 번째 달 - HEG : 70%RM, LEG : 35%RM, 세 번째 달? HEG : 80%RM, LEG : 40%RM),유산소성 트레이닝 강도는 두 그룹DMF 동일하게 설정하였다(HEG & LEG : 70% VO2max). 각 그룹별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각 5분, 운동은 저항운동 35분, 유산소 운동 35분으로 구성하여 하루 총 80분 빈도는 주 2회로 12주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저항성 트레이닝인 탄력밴드 저항운동, 유산소성 트레이닝인 걷기, 댄스스포츠로 구성되었다.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 신체조성(체중, 근육량, 체지방률), 체력요인(악력, 각근력,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최대산소 섭취량),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HDL-C, Glucose, 중성지방,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정신건강 관련 요인(자존감,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조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체중(Kg)은 측정 시기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타나났으며(p<.01),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근육량 및 체지방률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체력관련 요인에서는, 악력(p<.05), 민첩성(p<.01), 유연성(p<.05)은 그룹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각근력은 측정 시기(p<.05) 및 상호작용에서(p<.001)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폐지구력은 측정시기(p<.05) 및 상호작용 효과(p<.001)에서 유의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에서는 Glucose는 측정 시기(p<.05) 및 상호작용 효과(p<.01)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중성지방(p<.01), 허리둘레(p<.05) , 이완기 혈압(p<.01)은 상호작용 효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 관련 요인에서는 자아 존중감((p<.01) 및 우울감(p<.05)은 측정시기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은 비만 중년여성의 근육량 증가 및 체지방률 감소 등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근육의 동원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효과를 주어, 근력과 스피드 및 심폐지구력을 향상 시키는 등의 체력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공복시 혈당과 허리둘레 및 이완기 혈압을 감소시키는 등 혈청지질을 개선 시켰으며, 우울감을 낮추고 자존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였다.

      • 건강운동프로그램 참가노인의 신체활동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박성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구의 고령화는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가져오고, 이에 수반한 문제들은 각각의 노인들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가 풀어야할 사회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건강백세운동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신체활동 경험과 사회적 지지에 관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확인해보고자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건강백세운동에 6개월 이상 참여하고 있는 여성노인 6명과 남성노인 2명이며 심층면담은 2019년 2월부터 3월까지 이루어졌고 현상학적 접근 방법 중 Giorgi의 연구방법을 선택하여 전사, 주제별 코드화, 범주화의 3단계의 과정을 통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4단계의 분석 틀을 통해 총체적 관점에서의 텍스트 내용 파악, 의미 단위의 분절, 학문적 언어로 변형하기, 전환된 의미 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는 분석과정을 실시하였으며 상황적 구조 진술과 일반적 구조 진술에서는 총 90개의 의미 단위와 17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구성요소의 유형에는 원활한 신체활동을 위한 시설, 노인에게 맞는 운동프로그램, 지도자의 의미와 관계, 가족의 지지, 친구와 동료의 지지,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기관의 지지 등 정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의 구성요인들이 발견되었다. 초 고령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는 노인의 건강 중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해결에 대해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노년기에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해 개인적, 사회적으로 적극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되는 시기가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조사한 정부 시책 프로그램인 건강백세운동 프로그램 참가자의 신체활동 경험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결과는 향후 노인 건강증진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 긍정적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e aging of population can bring about social, econo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individuals, and the involved problems are not only the problems of the elderly people but also the social problems that all members of society must solve. Thu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 depth th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Health‐100‐year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condu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Participants were six elderly women and two elderly men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100‐year Exercise for more than 6 month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19. Amo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his study chose Giorgi's research method to summari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hrough three steps of transcription, theme coding, and categorization. To grasp text contents as a hollistic perspective through an analysis frame of four stages, the semantic unit segmentation, the transformation into the academic language, and the analysis process of integrating the converted semantic units into the structure were carried out. In the contextual structure statement and general structure statement, we could find a total of 90 semantic units, 17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Emotional aspects such as facilities for smooth physical activity,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the meaning of the leader and relationship, support of family, support of friends and colleagues,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social aspects, and economic aspects were found in the types of components. In our society, which is undergoing a super‐aged society, the interest of the elderly in health intervention is increasing, and it is asking for alternativ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is time to find solutions for various problems facing the old age personally and sociall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f participants in the Health‐100‐year Exercise Program, a government policy program, provide a clue for the future of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and a formation of a positive social network.

      • 교육대학원생의 인플루엔자 예방에 대한 인식 및 행태

        이연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연구목적 : 건강하고 젊은 성인도 경중은 다르지만 인플루엔자로 인한 불편을 겪고 있다. 게다가 학교 학생들은 집단 생활을 하는 인플루엔자 호발 집단이므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플루엔자 예방 행태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에 관한 행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인플루엔자에 대한 인식 및 건강 믿음이 인플루엔자 예방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자의 편의추출에 의해 인천광역시 소재 교육대학원 2014년 2학기에 재학 중인 206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적 탐색 연구이다. 연구도구는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서 발표한 두 개의 인플루엔자에 대한 설문도구를 본 연구자가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고,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이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했다. 연구결과 : 연구 대상자 중 여성이 151명(73.3%), 남성이 55명(26.7%)이었다. 연령은 평균 33.73±8.46세였다. 직업은 크게 교사와 교사 이외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는데 교사는 44.9%, 그 외 직업은 55.1%였다.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위해서 생활 속에서 자주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사용하고, 기침 할 때 입을 가리는 등의 기침 에티켓을 지키는 경우는 각각 85.0%, 93.7% 으로 대체로 잘 이루어졌다. 반면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 군중 운집 장소에 있는 시간을 줄인다(48.5%)와 줄이지 않는다(48.1%)는 응답이 비슷했고,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에 대한 예방행태 결과로는 착용을 하지 않는(75.2%) 경우가 착용을 하는(24.8%) 경우에 비해 많았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17.5%였고, 향후 접종 가능성에 대한 설문의 결과 22.0%가 예방 접종을 한다고 응답 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이행의 관련 요인들은 만 나이, 작년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경험, 접종 권장그룹 포함 인지 여부, 광고의 영향력 평가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을 보였던 인플루엔자에 대한 주관적 지식, 건강 믿음 모형의 요소인 개연성, 심각성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결론 및 제언 : 인플루엔자 예방 행태로 생활 속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손 씻기, 기침 에티켓은 잘 지켜지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낮았다. 인플루엔자 예방 홍보 및 교육을 할 때에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 마스크 착용을 강조하는 내용과 건강한 성인이라고 할지라도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핵심 메시지로 제시해야 한다. 또한 건강 믿음 요소 중 개연성, 심각성에 근거한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인플루엔자 예방 행태, 건강 믿음 변수와 교사와 교사외의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향후 반복 연구해 볼 것을 제언한다. 끝으로 인플루엔자의 모든 예방 행태를 포함하여 기준을 확립하고, 그에 따라 적극적인 예방 행태를 보이는 군과 소극적인 예방 행태를 보이는 군을 나누어서 연구해 볼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 지역사회 지표를 활용한 성인남자 흡연 격차확인 및 관련요인분석 : 2차 자료를 중심으로

        정수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흡연은 인류가 직면한 매우 심각한 건강 위협요인으로 각종 암, 심뇌혈관질환, 호흡기질환 등의 주요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흡연 관련 질병 치료 및 예방관리를 위해 매년 약 9.5조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이러한 담배의 위해성과 국가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담배 규제정책을 추진한 결과 전체 흡연율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남자 10명 중 3명은 흡연자이고 지역간 흡연격차는 더욱 심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청, 통계청, 행정안전부 등 국가생산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255개 시군구 지역간 남자 현재흡연율의 유의미한 격차요인을 확인하고 흡연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수립의 근거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남자 현재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생태학적 모형에 근거한 개인, 개인간, 지역사회 수준으로 탐색하여 총 37개의 변수를 선별하였으며 각 수준별로 구분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수(총 23개)는 인구학적 특성, 교육 및 경제활동, 건강행태, 건강수준으로 구분하였다. 개인간 수준의 변수(총 3개)는 사회관계망, 간접 흡연노출로 구분하였다. 지역사회 수준의 변수(총 11개)는 주거형태, 운동/교육시설, 유해상업시설, 의료서비스, 경제,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남자 현재흡연율 및 영향요인의 지역간 격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EQ, CV값을 확인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수행으로 도출한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현재흡연율의 지역간 격차를 확인하였는데 흡연율 최소지역 18.7%, 최대지역 51.5%, 격차 32.8%p였다. 사회생태학적 모형으로 구분한 각 특성별 모든 영향요인(총 37개 변수)에서도 지역간 격차가 나타났다. 남자의 현재흡연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향요인에서도 지역간 건강불평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남자 현재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각 수준별 영향요인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총 37개의 지표중 31개의 지표가 남자 현재흡연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현재흡연율과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독립변수는 남자 고위험음주율, 조이혼율, 남자 자살률, 65세 이상 남자 인구비율, 출산율, 남자 월간 폭음률, 국민기초생활수급자율, 남자 당뇨병진단경험률(30세 이상), 남자 중등도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남자 자기보고 비만율, 1회 이상 친척만남률, 이웃신뢰율, 단독주택비율, 노후주택비율, 인구천명당 담배소매점 수, 인구천명당 체육시설수, 인구천명당 주점수, 인구천명당 도시공원조성면적이었다. 남자 현재흡연율과 의미있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독립변수는 남자 대졸이상비율, 남자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 월 300만원이상 가구소득비율, 20-44세 남자 인구비율, 남자 주관적 건강 인지율, 남자 걷기 실천율, 6세 이하 유아비율, 남자 건강생활 실천율, 남자 현재흡연자의 금연시도율, 아파트비율, 인구천명당 사설학원수, 재정자립도,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종사의사수였다.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 여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위해 요인(변수)간 상관분석 및 연령을 통제한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총 19개 지표(6세이하 유아비율, 20-44세 남자인구비율, 조이혼율, 남자대졸이상비율, 남자 월간폭음율, 남자걷기실천율, 남자자가보고 비만율, 남자건강생활실천율, 남자 현재흡연자의 금연시도율, 남자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 남자 30세이상 고혈압진단 경험율, 남자 자살율, 남자 주관적 건강인지율, 남자 이웃신뢰율, 전체 주택 중 단독주택비율, 인구천명당 주점수, 인구천명당 사설학원수, 인구천명당 의료기관종사 의사수, 재정자립도)를 채택하였다. 셋째, 최종 채택한 19개의 지표는 4개 모형(개인특성, 개인간 특성, 지역사회 특성, 전체)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 현재흡연율에는 5개의 지표 즉 이혼율(β=0.180, P<0.05), 남자 월간 폭음율(β=0.159, P<0.05), 남자 대졸이상 비율(β=-0.252, P<0.05), 남자 연간체중조절 시도율(β=-0.183, P<0.05), 인구천명당 주점수(β=0.202, P<0.05)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혼율이 높을수록, 남자월간 폭음율이 높을수록, 인구천명당 주점수가 많을수록 흡연확률이 높아졌다. 반면 남자대졸이상 비율이 많을수록, 남자 연간체중조절 시도율이 높을수록 흡연을 할 확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자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추가발굴 및 보완을 통해 지역현황에 맞는 완성도 높은 차별화된 정책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생태학적 모형의 관점에서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금연정책을 제언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개인의 인식변화 즉 금연의 규범화 확산을 위한 사회적 마케팅추진 및 국가 금연지원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는 전략수집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병의원 금연지원활성화를 통해 흡연자의 금연동기 및 금연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 국민의 약 80%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지역사회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금연아파트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의 남자 흡연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사회생태학적 관점의 각 특성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을 위한 접근전략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의 남자 흡연율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지역 맞춤 담배규제정책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중노년층의 영양보충제 섭취 현황 및 인식 조사

        김경덕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number of medical expenses is increasing in all regions of the country year after year. Korea will have the largest popula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since 2055 among Korea, China, Japan and United Sat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34 people in their 50s-80s in Jinhae, Gyeongnam Province, with the aim of collecting basic data on the status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the need to practice them. Those surveyed had such diseases as circulatory (20%), endocrine disease (17%), respiratory disease (10%), gastrointestinal disease (12%), liver disease (3%), joint disease (19%), eye disease (10%), and intestinal disease (9%). They were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such as multivitamin (29%), calcium (15%), magnesium (10%), omega-3 (20%), probiotics (12%), and eye nutrition (15%). Compared to non-taking groups, number of men and women in taking group was 4 and 6.7 times higher, respectively. They mainly purchased supplements from pharmacies for less than 50,000 won per month, and cited fatigue recovery as the major reason for taking them. Other supplements were found to take Vit. C, Vit. D, liver nutrition, etc. The present study are intended to be provided as health data for the middle and old age so that consumers can use it when choosing supplements in the future, taking into account their knowledge of age, health conditions, nutritional supplements, and living standards. At the same tim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joy the rest of their lives briskly by taking appropriate nutritional supplements. 경남 진해지역의 50-80대 434명(남성:141명, 여성:293명)을 대상으로 영양보충제의 복용실태 및 복용실천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남성의 대부분은 ‘건강’, 여성의 대부분은 ‘비건강’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표시하였으며,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이상인 사람은 170명(남성:81명, 여성:89명), 이하인 사람은 264명(남성:60명, 여성:204명)으로 집계되었다. 설문 대상자들은 순환기질환(20%), 관절질환(19%), 내분비질환(17%), 위장질환 (12%), 안질환(10%), 호흡기질환(10%), 장질환(9%), 간질환(3%) 순으로 질환을 앓고 있었으며, 영양보충제 복용군이 비복용군에 비하여 남성은 4배, 여성은 약 6.7배가량 더 많았다. 이들은 종합비타민(28%), 오메가3(20%), 칼슘(15%), 눈영양제(15%)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12%), 마그네슘(10%) 순으로 영양보충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가장 소중한 사람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영양보충제로는 종합비타민(28%), 오메가3(21%), 눈영양제(16%), 칼슘(14%),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12%), 마그네슘(9%) 순이었다. 영양보충제는 주로 약국에서 5만원 미만의 금액으로 구입하였고, 피로회복을 가장 큰 복용 이유로 꼽았다. 그 외의 보충제로는 Vit. C, Vit. D, 간영양제 등을 복용함으로써 건강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양소 보충 음료의 섭취가 건강한 노인의 항산화 및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칼슘, 비타민, 단백질을 중심으로

        김선정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Korea have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in the 2000s, and 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 equity are emerging as major health issues every day, suggesting that health care for the elderly will emerge as a major social problem.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papers to reinforce the elderly's nutritional intake are on unhealthy elderly people, and among previous studies in Korea, studies on healthy elderly people are insufficient. In the past, food intake was the only source of nutrients, and it is desirable that nutrition is satisfied through sufficient food intake. Howev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rove supplements with excellent preference as well as nutritional supplements. In this study, ingredients known to be rich in calcium, vitamins, and protein nutrients were selected to prepare supplementary drinks such as calcium(sprout barley+chick beans), vitamin(cabbage+pineapple+bit), and protein(tempeh+tangerine+banana), and then antioxidant effects were analyzed using hot water extracts and ethanol extracts. In order to find out the actual intake effect of each beverage, 27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the parallel study design, a clinical trial. Nutritional enriched drinks were not consumed for 0-3 weeks, and nutrient enriched drinks were consumed for 3-6 weeks. Body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drinking beverages, dietary intake, biochemical indicators in blood,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in blood, and immune-related indicator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nutrient enriched drinks extracts was highest in hot water extracts at 1034.7±23.2 mg GAE/100 g in protein fortified beverage, and 414.3±14.4 mg GAE/100 g in ethanol extract.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as high at 808.4±13.7 mg QE/100 g of hot water extract and 358.1±2.7 mg QE/100 g of ethanol extract in protein fortified bever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n antioxidant performance, increased ORAC and CAC activity,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and DNA damage caused by H2O2 were improved.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experiment, the calcium fortified beverage intak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sulin secretion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Δ3-0 wk: 1.2 ± 0.6 μ IU/dL, Δ6-3 wk: -0.6 ± 0.4 μ IU/dL, p=0.034), resulting in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improving antioxidant ability, red blood cell CAT activity increased and H2O2-induced DNA damage was also confirmed to recover. In the case of vitamin fortified beverage intake group, CAT activity of red blood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Δ3-0 wk: ?12.2±5.5 Kg/Hb, Δ6-3 wk: 12.7±8.0 Kg/Hb, p=0.021). In the protein fortified beverage intake group, IL-10 was significantly increased (Δ3-0 wk: ?17.40±9.92 pg/mL, Δ6?3 wk: 5.20±2.73 pg/mL, p=0.043), indicating an inflammatory control effect. CRP concentrations were reduced(33-0 wk: 80.21±36.91 pg/mL, 66?3 wk: -88.84±46.88 pg/mL, p=0.012), reducing inflammatory responses in the bloo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damage to Tail DNA (%)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beverage intake perio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utrient enriched drinks extracts has an antioxidant effect. Clinical intervention experiments showed that insulin sensitivity improved after taking calcium fortified beverage and that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me antioxidant properties after taking vitamin fortified bever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ammatory control effect and inflammatory response decreased after taking protein fortified beverage. but it is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size and more rigorous experimental design considering long-term effects are needed.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동을 보면 2000년대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이와 관련된 삶의 질, 건강 형평성 등이 연일 주요 건강 이슈로 등장하고 있으며, 노인의 건강관리가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될 것이라고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의 영양 섭취 보강을 위한 연구논문 자료에서는 대부분이 건강하지 못한 노인들은 대상으로 한 연구이며 국내 선행연구 중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과거에는 식품 섭취만이 유일한 영양소 공급원이었으며, 영양 섭취는 충분한 식품 섭취를 통하여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영양 보충 효과뿐 아니라 기호성도 우수한 보충식의 개발 및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칼슘, 비타민, 단백질 영양소가 풍부하다고 알려진 재료들을 선정하여 칼슘(새싹보리+병아리콩), 비타민(양배추+파인애플+비트), 단백질(템페+귤+바나나) 보충 음료를 제조한 후,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각 음료의 실제 섭취 효과를 알아보고자 임상시험인 parallel 연구설계로 27명의 연구대상자를 총 3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0-3주는 영양소 보충 음료를 섭취하지 않았고, 3-6주는 영양소 보충 음료를 섭취하게 하였다. 음료 섭취 전후의 신체계측, 식이섭취, 혈액 내 생화학적 지표, 혈중 항산화 활성 분석, 면역 관련 지표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영양소 보충 음료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단백질 보충 음료가 1034.7±23.2 mg GAE/100 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비타민 보충 음료가 414.3±14.4 mg GAE/100 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단백질 보충 음료의 열수 추출물이 808.4±13.7 mg QE/100 g, 에탄올 추출물이 358.1±2.7 mg QE/100 g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ORAC와 CAC 활성 증가 그리고 NO 생성 억제와 H2O2에 의한 DNA 손상이 개선되었다. 중재 실험 결과, 칼슘 보충 음료 섭취 그룹은 중재 기간 동안 인슐린 분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Δ3-0 wk: 1.2 ± 0.6 μ IU/dL, Δ6-3 wk: -0.6 ± 0.4 μ IU/dL, p=0.034) 인슐린 민감도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항산화능 개선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혈구 CAT 활성이 증가했고 H2O2 유도 DNA 손상도 회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타민 보충 음료 섭취 그룹의 경우, 적혈구의 CA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Δ3-0 wk: ?12.2±5.5 K g/Hb, Δ6-3 wk: 12.7±8.0 K g/Hb, p=0.021). 단백질 보충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IL-10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Δ3-0 wk:?17.40±9.92 pg/mL, Δ6?3 wk:5.20±2.73 pg/mL, p=0.043) 염증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CRP 농도는 감소하여(Δ3-0 wk: 80.21±36.91 pg/mL, Δ6?3 wk: -88.84±46.88 pg/mL, p=0.012) 혈액 내 염증반응을 감소시켰다. 또한 Tail DNA(%) 손상도는 음료 섭취 기간에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양소 보충 음료 추출물 분석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 중재 실험 결과, 칼슘 보충 음료 섭취 후 인슐린 민감도가 개선되었고 비타민 보충 음료 섭취 후 일부 항산화능 개선에 효과가 나타났다. 단백질 보충 음료 섭취 후 염증 조절 효과와 염증반응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장기 효과를 고려한 표본 크기가 크고 보다 엄격한 실험 설계를 가진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경락마사지에 대한 피부미용산업 종사자의 주관성 연구

        김소정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대사회는 생활수준의 향상, 노령화 인구 급증과 건강수명연장에 의한 사회적 수요 변화에 따라 질병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의 건강증진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피부미용산업도 뷰티산업을 기반으로 헬스케어산업으로 영역을 넓히는 상황이며 자연치유요법을 접목하여 단순한 피부미용 관리만이 아니라 건강관리의 측면으로 진화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경락마사지가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는 많이 있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접목된 헬스케어 솔루션으로서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락마사지를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피부미용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공통인자를 추출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피부미용산업 종사자들이 경락마사지에 대해 가지는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유형으로 추출되었다. 제Ⅰ유형은 경력 20년 이상의 고경력자들의 주관성에 대해서 분류되었으며, 경락마사지의 자연치유효과와 건강중재기능에 강하게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제Ⅱ유형은 경력 10년 이하의 저경력자들의 주관성에 대해서 분류되었으며, 피부미용산업의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관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제Ⅲ유형은 경력 10년 이상 20년 이하의 중경력자들의 주관성에 대해서 분류되었으며, 경락마사지가 가지는 통증완화 효과에 대하여 강한 긍정적인 주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피부미용산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경락마사지에 대한 주관성 제Ⅰ유형에서는 건강증진과 자연치유력 향상, 제Ⅱ유형에서는 비만관리와 안면비대칭‧안면축소, 제Ⅲ유형에서는 견비통, 두통, 요통 등 통증의 완화 측면에서 강한 긍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이는 피부미용산업 종사자들이 경락마사지의 자연치유적 효과와 미용적인 측면에서의 효과를 체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경락마사지로 머리숱 재생, 만성질환 치료 도움, 강한 경락마사지의 효과 등과 같이 실제 치료의 개념 또는 개인적인 마사지 처치의 결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였다. 환언하면, 경락마사지는 질병치료의 보조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의 자가 면역력과 치유력의 증진을 통한 건강중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락마사지에 대한 피부미용산업 종사자의 주관적 의미를 탐색하고 그 의미에 내재한 이유를 파악하여 경락마사지에 대한 총괄적인 시각을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그리고 피부미용과 접목된 자연치유요법의 도입을 위한 연구의 시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그 활용도가 현장에서 더 높아지기를 바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시도될 후속 연구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dern socie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demand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rapid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nd healthy life extension comes to have a high interest in health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on as well as disease treatment.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e situation is that the skin care industry is expanding into the healthcare industry based on the beauty industry, and by combining natural healing therapies, it is evolving not only into simple skin care but also into health care. However, there are many studies demonstrating that meridian massage is effective in promoting health,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perception as a healthcare solution that incorporates systematic health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bjectivity study on the subjects of workers in the skin care industry who performed meridian massage on the field. In this study, we extracted the common factors using the Q methodology and typified them to analyze the typifi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ivity of the meridian massage that workers in the skin care industry have. Three types we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ype I was categorized as subjectivity of high experienced people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an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on the natural healing effect and health intervention function of meridian massage. Type II was categorized as subjectivity of low experienced people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a subjective perception that was sensitive to the trends in the skin care industry. Type III was categorized as subjectivity of middle experienced workers with experience between more than 10 years and less than 20 years and a strong positive subjectivity for the pain relief effect of meridian massage. With the results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health promotion and natural healing ability improvement in subjectivity type I that the workers in the skin care industry have about the meridian massage, the obesity management, facial asymmetry‐face reduction in type II, an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in type III in terms of pain relief such as shoulder pain, headache and back pain. This indicates that workers in the skin care industries perceive natural healing effect of meridian massage and the effect from the cosmetic perspective through hands‐on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expressed negative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actual treatment or the result of personal massage treatment such as meridian massage hair thinning, chronic disease treatment help, and effect of strong meridian massage. In other words, the meridian massage has an auxiliary function of treating diseases, and performs health intervention function by improving the self immune ability and healing ability of the human bod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subjective meaning of the workers in the skin care industry for meridian massage, grasped the intrinsic reasons, and derived a general view of meridian massage. It is hoped that attempts of re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natural healing therapy combined with skin aesthetics will continue to be carried out to increase its utilization, an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ve and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be basic materials.

      • 뷰티헬스 멀티샵 이용 고객의 자연요법 참여 과정과 경험에 관한 구조 탐색

        김태성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자연요법과 관련하여 뷰티헬스 멀티샵 방문 고객들이 지각하고 있는 자연요법 참가 과정과 경험에 대해 객관적이고 타당한 개념적 구조 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가 과정과 이용 경험에 대하여 질적연구 방법과 양적연구 방법의 두 가지 사회조사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1차 조사로 실시된 내용 분석 방법에서는 연구대상의 표본추출은 유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1차 개방형 설문조사 시 3년 이상 자연요법을 정기적으로 이용한 S시와 G도에 거주하는 참가자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나타난 원자료는 모두 204개로 나타났으며 20개의 주제영역과 12개 하위구성요인 및 6개의 구성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내용 분석의 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구성요인을 설문화하여 2차 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요인을 통계적으로 타당화하는 작업을 거쳤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구성요인은 자연요법 효과 만족도와 참가 과정 및 경험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배경 변인에 따른 참여 과정과 경험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연요법 전체만족도를 준거변인으로 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 구성된 예비문항은 6개 요인 29문항의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2차 조사는 예비문항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먼저 실시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낮은 부하량을 나타낸 문항 6번, 18번, 19번, 29번, 2번, 8번, 13번과 14번, 27번 문항 등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0개 문항이 탐색되었다. 각 문항은 최종적으로 ‘주변의 추천과 권유 요인 3문항(권유 요인)’, ‘자연치유 정보취득 요인 4문항(정보취득)’, ‘건강 중재 역할 요인 5문항(건강 중재)’, ‘편리성 요인 5문항(편리성)’, ‘안전성 요인 3문항(안전성)’ 등으로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구조화된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연요법 이용자의 참여과정과 경험에 대해 각 변인들이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른 개체별 검정 효과는 참여 과정 변인의 경우 전체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성별에 따라 자연요법 참여 과정에 대한 인식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에 따른 개체별 검정 효과에서는 참여 과정 변인 중 권유 요인을 제외한 정보취득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경험 변인의 검정 효과는 건강 중재 요인, 편리성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안전성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구조화된 척도를 토대로 하여 자연요법 이용자의 참여 과정과 경험과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권유 요인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고, 정보취득 변수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요법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 중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가족, 친지, 지인의 권유라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요법 프로그램 이용자들의 전체만족도에 대해 경험 변인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험 변인의 3개 하위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전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실시한 분석 결과에서는 건강 중재 변수, 편리성 변수, 안전성 변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뷰티헬스 멀티샵에서 실시되는 자연요법은 미용관리와 함께 건강관리의 측면에서 자연요법을 사용하여 소비자 만족 및 서비스의 개선을 이루고 있으며, 피부미용산업의 새로운 분야로 그 활용도가 주목을 끌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뷰티헬스 멀티샵에서 자연요법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참가 과정과 경험의 구조에 대해 객관적이며 타당한 해석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뷰티헬스산업 영역에서 향후 자연요법 프로그램 구성과 이용자 편의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objective and valid conceptual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therapy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perceived by customers visiting the beauty health multi shop in relation to natural therap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wo social research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on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conducted as the primary survey, sampling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conducted using the nomadic sampling method, and in the first open-type survey, 82 participants living in S city and G provinces who regularly used natural remedies for 3 years or more were surveye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arget. A total of 204 raw data appeared in the analysis were identified as 20 subject areas, 12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In the second survey, the constituent factors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were survey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statistically justify the constituent factors. The component factors deriv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nalyzed for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effect of natural therapy and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natural therapy was used as a reference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preliminary questions constructed in the first survey consisted of a 5-point Likert scale of 29 questions of 6 factors. In the second surve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preliminary questions. Finally, 20 items were searched, excluding items 6, 18, 19, 29, 2, 8, 13, 14, and 27 indicating the low load. In the end, each item is '3 items of recommendation and solicitation factors (recommendation factor)', '4 items of natural healing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s (information acquisition)', '5 items of health intervention role factors (health intervention)', and 'convenience' It consisted of 5 factors, such as 'Factor 5 items (convenience)' and 'Safety factor 3 items (Safety)'. Multivariate ANOV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each variable differ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of natural remedies users, consisting of 20 item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the stud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test effect according to gender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process variables, which was confirmed to mean that perceptions of the participation process in natural therap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In the test effect for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s excluding the solicitation factor among the variables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The test effect of the experience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intervention factor and the convenience facto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fety factor. Finally, based on the structured sca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experience of naturopath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commendation factor variabl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variabl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natural remedies is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acquaintances, and acquaintances. In order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experiential variables for the overall satisfaction of users of natural therapy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with the three sub-factors of the experiential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verall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the health intervention variable, convenience variable, and safety variable All of th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objective and reasonable interpretation was provided for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process of customers using natural therapies in the Beauty Health Multi Shop. These contents can be utilized as practical data for future natural therapy program composition and user convenience in the beauty and health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