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4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마예원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건강관련 지식 및 정보에 대한 기회가 확대됨으로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을 위해 비판적 사고와 독립성,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며, 자신의 목적에 맞게 지식과 정보를 적용,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간호대상자의 개별적이며 다양한 요구에 대한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문제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 성향인 비판적 사고성향과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능력이 간호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을 측정․비교함으로써 간호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 한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 위치한 4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422명으로 1학년 81명, 2학년 131명, 3학년 87명 그리고 4학년 123명으로 임의 표본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질문지 작성법을 설명하였고 대상자들의 이해를 확인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기간은 2008년 6월 1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3개월간 이었다. 연구도구는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은 Facione과 Facione(1994)이 개발한 CCTDI로 신경림(1999)에 의해 번역, 역 번역된 도구를 사용하였고, 문제해결능력 측정도구는 Heppner와 Petersen(1982)이 개발한 PSI로 전석균(1994)에 의해 번역, 역 번역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특성 10문항, 비판적 사고성향 75문항, 문제해결능력 3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연구도구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CCTDI .78 이고, PSI .70 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대상자인 간호학생은 1학년 19.2%, 2학년 31.0%, 3학년 20.6%, 4학년 29.1%로 임상실습교육을 받지 않은 1,2 학년 학생이 전체의 50.2%였고, 임상실습교육을 받은 3,4 학년 간호학생은 전체의 49.8%였다. 대부분이 여성(95.0%)으로 미혼(97.6%)이었고, 종교는 기독교가 31.5%, 기타(없음)가 41.3%였다. 학업성적별로 평균평점 3.0~3.9가 66.6%를 차지했고, 철학 및 논리학 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이 각각 67.3%, 73.5%를 나타냈다. 대상자 중 ‘대인관계가 좋은편’이 53.8%, ‘간호학 전공에 만족한다’가 59.2%, ‘임상실습교육에 만족한다’가 26.8%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평균점수는 총 420점 만점에 260.90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영역별로 평균을 살펴보면 ‘호기심’ 41.97점, ‘분석’ 39.40점, ‘비판적 사고 자신감’ 38.83점, ‘체계성’ 36.28점, ‘개방성’ 36.23점, ‘성숙’ 35.92점, ‘진실추구’ 32.26점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평균점수는 93.93점으로 점수범위 32-75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문제해결자신감’ 29.48점, ‘접근-회피 양식’ 44.44점, ‘개인의 통제력’ 20.01점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학업성적(F=3.93, p=.01), 논리학 과목 수강여부(t=-3.39, p=.00), 대인관계(t=5.99, p=.02), 간호학전공 만족도(F=5.98,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은 임상실습교육 여부(t=2.35, p=.02), 대인관계(t=18.91, p=.00), 간호학전공 만족도(F=7.92, p=.00), 임상실습 만족도(F=3.25, p=.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1, p=.00). 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볼 때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은 모두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호학생의 학년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임상실습교육은 문제해결능력에만 제한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는 각 학년의 교육과정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적용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간호학생들에게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실제 임상현장에서 부딪히는 여러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위해 실무상황을 반영한 간호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nursing education. The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422 nursing students in 4-year colleges: 81 in their first year, 131 in their second year, 87 in their third year, and 123 in their last year. Data were collected for 3 months from June 10, 2008 to Oct. 25, 2008.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 developed by Facione & Facione (1994) and Problem Solving Inventory (PSI) developed by Heppner and Petersen (1982).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by SPSS 12.0 program and analyzed by frequency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260.90 out of 420. Inquisitiveness was the highest an mean score of 41.97, while Truth-seeking was the lowest with an mean score of 25.58. 2. The total mean score of problem solving ability was 93.93. If we break down this category, scores of the students in several areas nursing students were as follows.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29.48, ‘attitude of approach-avoidance’ 44.44, ‘self-control’ 20.01. 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3.55, p=.02) according to GPA(academic achievement).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3.39, p=.00) according to selection of logic subject.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5.99, p=.02)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5.98, p=.00)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nursing. 4.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t=2.35, p=.02)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nursing education.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t=18.91, p=.00)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F=7.92, p=.00)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nursing.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F=3.25, p=.02)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5. Pearson Correlation t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61, p=.00). In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및 건강지각에 관한 연구

        최미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간호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건강지각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간호관리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이며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6개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간호관리자 93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도구 24문항을 사용하였다. 강인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artone(1995)이 개발하고 조진영(2011)이 번역한 DRS-15(Dispositional Resilience Scale) 15문항을 사용하였고, 건강지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Ware(1976)가 개발하고 이태화(1989)가 수정 보완한 건강지각 측정도구(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20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 40.6세, 학력은 대학원 졸업이 53명(57.0%)이었고, 근무경력은 평균 17.4년으로 중간관리자 경력이 평균 4.8년이었으며, 64.5%가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2. 간호관리자가 인지하는 직무스트레스를 100점 환산법으로 적용한 결과 44.47점(±9.14)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직무요구 63.98점(±15.65), 조직체계 48.84점(±14.67), 직무불안정 44.09점(±18.66), 직장문화 42.29점(±15.21), 보상부적절 40.98점(±11.69), 직무자율성 결여 36.47점(±11.45), 대인관계갈등 34.65점(±13.59) 순이었다. 간호관리자들의 강인성 정도는 4점 만점에 2.92점(±0.37)이었으며, 영역별로 통제성 3.05점(±0.47), 자기투입성 2.94점(±0.46), 도전성 2.78점(±0.43)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관리자들의 건강지각은 4점 만점에 2.81점(±0.78)이었다. 3. 간호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근무기관의 총 병상 수(F=7.166,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강인성은 종교(t=5.665, p=.019)와 근무기관의 총 병상 수(F=3.424, p=.03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지각은 근무기관의 총 병상 수(F=3.297, p= .04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건강지각과의 관계를 보면, 강인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계수(r=-0.439, p<.001)는 음의 상관관계를, 강인성과 건강지각의 상관계수(r=0.391,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강인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건강지각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지각의 상관계수( r=-0.407, p<.001)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지각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강인성, 건강지각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근무기관의 특성 중 1,000병상 이상 군이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강인성과 건강지각은 낮았으므로 이들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관리 및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간호관리자들이 지속되는 직무스트레스 속에서도 내면의 에너지를 키울 수 있도록 강인성 훈련이 요구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관리자의 건강중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data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Nurse Managers. The study examined Nurse Managers’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It also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sampled 93 Nurse Managers from 10 October to 31 October, 2011 at 6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developed by Jang Se-jin et al. (2005), “The Hardiness Scale” developed by Bartones’ DRS-15 (1995), and “Th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Ware (1976), were as measurement tools in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in SPSS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cheffes’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job stress level perceived by Nurse Managers scored 44.47(± 9.14) in total on a 100-point scale. The following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 Managers’ job stress: 'work need' 63.98(±15.65), ‘organizational system’ 48.84(±14.67), 'unstable work’ 44.09(±18.66), ‘work culture' 42.29(±15.21), ‘inadequate rewards' 40.98(±11.69), 'lack of work autonomy' 36.47(±11.45), and 'interpersonal conflicts' 34.65(±13.59). The mean score of Nurse Managers’ hardiness was 2.92(±0.37), which was categorized as: control 3.05(±0.47), commitment 2.94(±0.46), and challenge 2.78(±0.43). The mean score of Nurse Managers’ health perception was 2.81(±0.78). 2. Nurse Managers’ job stress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ir hospital beds (F=7.166, p=.001), and Nurse Managers’ hardiness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religion (t=5.665, p=.019) and on the number of their hospital beds (F=3.424, p=.037). Nurse Managers’ health percep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ir hospital beds (F=3.297, p=.042).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hardiness' and 'job stress'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r=-0.439, p<.001).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r=0.391, p<.001). The higher hardiness is the lower job stress becomes. The higher hardiness is the higher health perception becomes. 'Job stress' and 'health perception'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r=-0.407, p<.001). The higher job stress is the lower health perception becomes. In conclusion, the analytic results reveal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Nurse Managers’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This is especially the case in hospitals with over 1,000 beds, which has a high job stress, low hardiness and low health perception. Thus, developing stress controlling skills and health care is required. Hardiness training may improve Nurse Managers’ resilience.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som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Nurse Managers.

      •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이재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이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문화유형이 간호사의 조직성과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09년 4월 22일부터 5월 8일까지 서울, 수도권 일대의 2, 3차 의료기관 총 10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3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rown, Trevino와 Harrison(2005)의 윤리적 리더십 10문항, 한수정(2001)의 조직문화유형 측정도구 20문항, 직무만족 측정도구 10문항, 조직몰입 측정도구 12문항, 김미란(2007)의 이직의도 측정도구 6문항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 8.2 version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3.19점으로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였으며, 위계지향 3.44점, 업무지향 3.18점, 혁신지향 2.91점, 관계지향 문화 2.84점으로 대상자들이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는 조직문화유형은 위계지향 문화였다. 또한 대상자의 직무만족 2.78점, 조직몰입 2.80점으로 나타나 중간 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며 이직의도는 3.35점으로 나타나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2. 대상자의 재직년수와 직위에 따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재직년수, 직위에 따라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연령, 결혼상태, 재직년수, 직위, 현재 근무부서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3.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대상자의 조직성과인 직무만족(r=.585, p=.000), 조직몰입(r=.339, p=.000), 이직의도(r=-.352, p=.000)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r=.653, p=.000), 혁신지향(r=.602, p=.000), 위계지향 문화(r=-.187, p=.001)는 직무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업무지향 문화는 직무만족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r=.458, p=.000), 혁신지향(r=.387, p=.000), 업무지향 문화(r=.167, p=.003)는 조직몰입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r=-.387, p=.000), 혁신지향 문화(r=-.299, p=.000)는 이직의사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윤리적 리더십, 관계지향 문화, 혁신지향 문화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53.6%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51.799, p=.000). 또한 관계지향 문화(ϐ=.395)가 직무만족에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 문화는 조직몰입을 29.8%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5.560, p=.000). 관계지향 문화, 윤리적 리더십은 이직의도를 29.3%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5.186, p=.000).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간호조직의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임상간호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간호관리자는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리더십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관계지향 문화와 혁신지향 문화를 조성하고 체계화 시키는 조직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ethical leadership of the nurse manager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and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ubjects consisted of 309 nurses who work for ten university hospita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2 through May 8, 2009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thical leadership,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AS program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core of the nurse managers' ethical leadership was 3.19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was 2.84, innovation-oriented culture was 2.91, rank-oriented and task-oriented culture showed 3.44 and 3.18 respectively.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nurses in this research was generally rank-oriented. The nurses' job satisfaction was 2.78,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d 2.80 and turnover intention scored 3.35. 2.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 oriented cul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sion. Rank-oriented culture was a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3.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ethical leadership, relation-oriented, innovation-oriented, rank-oriented and task-oriented culture to make sure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and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were ethical leadership, relation-oriented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hey expalined of 53.6%. Relation-oriented culture showed that i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Relation-oriented culture was one variable explained 29.8%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ethical leadership were twor variables explained 29.3% of turnover intention. As the above represented research results, the reinforcement of the programs improving nurse managers' ethical leadership is found out to be very important, at the same time, an effort toward relation-oriented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is demanded to improve clinical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 종합전문 요양기관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조사연구

        이시내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03

        의료보험제도 도입 이후 의료이용의 증가와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요양기관에서는 진료비 삭감을 최대한 줄이고,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조직의 구성원이 상호 배타적인 여러 기대들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요구받을 때 이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역할갈등은 개인의 내적 갈등을 초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간호사의 갈등은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간호조직에서의 갈등해결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환자에게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간호사와 달리 진료비 심사 업무를 통한 간접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심사 간호사는 다른 양상의 역할갈등을 경험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정도를 파악하여 보다 나은 업무를 수행하도록 돕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충청 지역 소재 종합전문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보험심사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락한 173명을 임의 표본 추출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5월 2일부터 6월 18일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Rizzo, House, & Lirtzman(1970)이 개발한 역할갈등과 모호성 도구(Role Conflict and Ambiguity Scale)로 김영철(1973)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평균 연령은 37.7세이며, 결혼 상태는 기혼이 76.3%로 많았다. 종교는 무교가 36.4%, 최종학력은 ADN(Associate Degree in Nursing)이 41%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서 임상경력은 평균 8년 2개월, 현 부서의 근무경력은 6년 9개월이며, 소속부서는 행정부 소속이 46.2%로 가장 많았다. 현재 직위는 보직이 없는 간호사(사원)가 64.2%, 현 부서로의 이동 이유는 ‘간호사의 새로운 영역’이 38.2%로 가장 많았고, 만족도에 대해서는 52.6%가 ‘만족한다’로 대답하였다. 3. 대상자의 업무관련 지식적 특성에서 보험심사 관련 교육 참여횟수는 연 5회 이하가 88.4%이며, 보험심사 관련 정보를 구하는 방법으로 80.4%가 인터넷을 사용하였다. 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88.4%가 ‘보험심사 업무의 최신경향 파악’, 86.1%가 ‘교육을 통한 정보 습득’이라고 하였다.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대상자의 과반수가 ‘바빠서’라고 하였다. 4. 대상자의 역할갈등 정도는 최대평점 5점 만점에 평균 2.88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역할수행 시 생기는 갈등이 평균 3.50점으로 가장 높고, 역할수행 상황에서 오는 갈등이 평균 3.20점, 개인행동에 대한 반응이나 결과의 모순성에서 오는 모호성이 평균 2.80점, 행동조건의 명료성에서 오는 모호성 2.80점, 불일치한 정책으로 인한 갈등이 평균 2.70점, 개인의 내적기준과 역할사이에서의 갈등이 평균 2.60점 순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소속부서(F=2.70, p=0.047), 현재 직위(F=2.45, p<0.04), 현 부서로 이동 이유(F=2.98, p=0.021), 만족도(F=10.1, p<0.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대상자의 업무관련 지식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보험심사 관련 교육 참석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24, p<0.0001).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보험심사 간호사는 둘 이상의 역할수행 시 역할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실무에서 발생하는 여러 업무와 업무의 분담형태를 파악하여 이를 명확히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추후 전국적으로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한 반복 연구를 통하여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업무관련 지식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연구를 통하여 향후 역할갈등에 교육적 중재를 적용해야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epare and provide the basic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to facilitate nurses in charge of insurance evaluation to perform their tasks better by investigating and identifying the types and degrees of conflicts in their organiz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nurses working in charge of evaluating insurance cases at teritary hospital in the regions of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in South Korea. 108 of the nurses, who underst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learly and were allowed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ampled.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lasted from May 2, 2006 through June 18, 2006. The research tools include the “Role Conflict and Ambiguity Scale” developed by Rizzo, House, and Lirtzman(1970)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Yeong-cheol(1973). The data collected were computerized using SPSS 12.0 program. The analyses included areas of di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7.7 years old. 76.3% of them were married. 36.4% of them said they did not have any religion. The most common type of education they received was at the associate degree in nursing, which 41% of them attended. 2. The nurses had an experience of 8 years and 2 months on average. They had been working in their current jobs for 6 years and 9 months on average when this study took place. 46.2% of them belonged to the departments of administrative affairs. 64.2% of them were nurses (clerks) without appointment. The most common reason they cited for moving into the current jobs with which they were dealing when this study took place was the fact that they liked ‘the new sphere of nursing’(38.2% of them answered this way). A majority of them seemed to enjoy their jobs, as 52.6% answere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3. 88.4% of the nurses answered that they attend 5 training sessions or fewer a year regarding evaluation of insurance cases. 80.4% of them answered that they use the Internet for their sources. 88.4% of the nurses who participate in training sessions answered that they do so in order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in the field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 Another 86.1% answered that they attend the training programs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education’. 50% of the nurses who do not attend the training sessions said they did not participate because they were ‘busy’. 4. Out of a scale from 1 to 5, 5 being the severest, the nurses scored 2.88 on average in terms of the severity of role conflicts they experience at workplace. Out of all types of conflicts in their jobs, the conflict caused when one nurse takes up two or more roles rated the highest at 3.50 points. Out of the types of conflicts caused by fulfilling the assigned roles rated at 3.20 points, ambiguity caused by reaction of one's action and contradiction of the result rated at 2.80 points, ambiguity caused by clearness of action's conditions rated at 2.80 points, conflicts caused by discordance of policy rated at 2.70 points, conflicts between personal opinions and role rated at 2.60 points. 5.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6. The role conflicts depending on working conditions of respondents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departments at which they were working(F=2.70, p=0.047), the reason of transference to insurance review department(F=2.98, p=0.021), the satisfaction rate of insurance review department(F=10.1, p<0.0001) 7. The severity of role conflicts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nurses received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hey attend (t=4.24, p=0.0001). Based on the findings outlined so far,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Nurses in charge of evaluating insurance cases showed the highest degrees of role conflicts when they performed their roles. Therefore, devices and tools that clarify types and contents of various roles and their divisions must be prepared. In addition,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a wider scale across the nation to identify the dangerous factors of role conflicts nurses in evaluating insurance cases experience; to apply interventions to those conflicts; and to subsequently compare and contrast the effects of those interventions. Moreover,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role conflicts caused by discrepancies in educational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in order to prepare and apply educative interventions to those conflicts in the future.

      •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희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 희 진 (지도교수 : 배 정 이) 인제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과 간호사가 근무 중에 느끼게 되는 업무스트레스의 양상을 파악하고, 정신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고, 간호사 자신의 자아실현을 도모하여 질적인 정신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2009년 4월 16일 부터 5월 15일까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정신과와 5개 정신전문병원에서 만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정도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다.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은 40세 이상이 28.2%로 가장 많았고, 성별은 대다수인 99.3%가 여성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52.1%로 가장 많았고. 종교를 가진 대상자가 60.6%로 종교가 없는 경우보다 많았다. 학력은 3년제 대학 졸업이 58.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78.2%가 정신전문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병원 근무기간은 10년 이상 근무자가 47.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정신과 근무기간은 1년 이상 5년 미만이 33.8%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62.0%로 가장 많았고, 정신과 선택 동기를 묻는 질문에는 ‘스스로 원하여 선택한 경우’ 가 66.2%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와의 차이를 검정해 본 결과 업무스트레스는 대상자의 결혼상태(t=12.59, p=.001)와 병원형태(t=8.28, p=.005)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학력(F=3.19, p=.026), 정신과 근무 경력(F=4.792,p=.003) 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직무만족도의 차이에서는 대상자의 연령(F=2.87, p=.025), 정신과 근무기간(F=3.32,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r=.19, p=.024)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r=-.17, p=.043)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 역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상황에 관련된 업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방안과 정신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요통군과 비요통군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차이

        유남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low back pain ICU nurses'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body mechanic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nsity of low back pa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collected data from 9, May, 2006 to 25, May, 2006 using organized questionnaires to 238 ICU nurses working in 8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eng-gi Province. The tools were used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and body mechanics to assess the degree of low back pain, an organized questionnaires to assess job stress, and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s to assess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 SPSS 12.0., and figur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OVA, Scheff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 1) The mean age was 28.9, height 161.1cm, weight 52.6kg, BMI 20.29kg/m² and 3-shift work 93.3%. The onset of low back pain is "after working in ICU ", answered highest 81.7%. 2) Among the factors, 3-shift work factored acute back pain group 91.2%, chronic back pain group 98.8% and no back pain group 85.0%, showing correlation(p =.008). The average degree of back pain of acute back pain group and chronic back pain group was 4.19 and 5.77,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p = .000). 3) Nursing practice activity among acute back pain group, chronic back pain group and no back pain grou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verage time of position change was 9.57, 13.57 and 7.16(p = .012). For the oral hygiene frequency under 4-6 times, acute back pain group was 7.4% and chronic back pain group was 20.7% and no back pain group was 0%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p=.012). Working environment and body mechanics of these thre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4)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tress among three groups and for job satisfaction, acute back pain group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chronic back pain group(p=.015). 5) The relation of the degree of back pa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ree group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all groups - acute back pain group(r=-.390, p=.000), chronic back pain group(r=-.313, p=.006) and no back pain group(r=-.700,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rom nurses' nursing job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frequency of changing the posture and that of oral hygiene were related to back pain. And although was expected a relation among the degree of back pa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ut it showed that there was relation among them. 요통은 전체인구의 80% 이상이 일생 중 한번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서 요추부위에 나타날 수 있는 동통증후군을 광범위하게 표현하는 용어이며, 간호직은 직업성 요통이 빈발하는 20개 직업 중 하나이다.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는 주로 서서 근무하고 보행양이 많으며 누워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하므로 신체역학에 반대되는 동작을 행하기 쉽고 직무스트레스도 크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발생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요통과 요통발생 관련요인으로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06년 5월 9일부터 2006년 5월 25일 사이에 서울시내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8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2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도구는 요통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간호업무활동과 작업환경은 박미희(2003)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신체역학은 이현주(2002)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5)이 개발하고 박춘화와 고효정(1999)이 수정 보완하여 만든 55문항을 이용하였고, 직무만족도는 미네소타 산업관계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이상금(1996)이 번역해서 사용한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요통관련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급성요통군, 만성요통군, 비요통군간의 요통관련 특성과 요통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실수, 백분율, chi-square 검정, Fisher’s exact test, t-검정, ANOVA, Scheff 검정을 시행하였다. 세 그룹간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검정, Fisher’s exact test, ANOVA, Scheffe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세 그룹간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ANOVA, Scheffe 검정을 시행하였고, 세 그룹간의 요통강도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총대상자는 238명으로 이들의 요통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28.9세, 키는 161.1cm, 몸무게는 52.6kg, BMI는 20.29kg/m²이고,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93.3%이고, 요통의발생시기는?중환자실 근무 후?가 81.7%로 가장 높았다. 2) 급성요통군, 만성요통군, 비요통군간의 요통관련 특성의 차이 중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급성요통군은 91.2%, 만성요통군은 98.8%, 비요통군은 85.0%로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8). 급성요통군과 만성요통군의 요통강도는 각각 평균 4.19점, 평균 5.7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 3) 세 그룹간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의 차이는 간호업무활동 중 평균 체위변경횟수는 급성요통군, 만성요통군, 비요통군 각각 9.57회, 13.57회, 7.16회이며(p = .012), 구강간호횟수는 4-6회 미만이 급성요통군은 7.4%, 만성요통군은 20.7%이나 비요통군은 0%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2). 세 그룹간의 작업환경과 신체역학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세 그룹간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만족도는 급성요통군이 만성요통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015). 5) 세 그룹의 요통강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급성요통군 (r= -.390, p= .000), 만성요통군(r = -.313, p = .006), 비요통군(r = -.700, p = .001)의 모든 그룹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간호업무활동 중 체위변경횟수와 구강간호횟수는 요통군이 비요통군보다 많아서 요통과 관련이 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강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미 선행연구에서 알려진 것처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만 서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골격계 부담 작업 부서인 중환자실에 간호사를 배치하기 전 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해야하며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에 따른 간호행위 조사연구

        황금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03

        Operating room nurses are engaged in a variety of skilled nurs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procedures and each patient's unique needs, but their activities are seldom exposed to other people in most cases, and moreover, diverse studies on surgery room of nursing domains from various viewpoints do not seem to determine the nursing interventions required of surgery room with an internationally standard terminology.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analyze the nursing interventions in surgery rooms but also research into specific nursing servic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ed by NIC and examine specific implications of each of 16 nursing interventions using appropriate terminology and definitions and including the nursing activities, and thereby, describe and classify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in operating rooms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for their computerization, and therewith help our nurses to better understand the otherwise easy-to-be overlooked nursing interventions and reduce their nursing errors and thus, conduce to improvement of nurs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280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for two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in Seoul, on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and another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in Kyonggi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week from October 10 through 17, 2005, and only those who had agreed to the surv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a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each nursing intervention was developed in reference to Lee Yun-young & Park Kwang-ok's (2002) and Yeom Young-hee's (1999), while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rate daily frequency of each nurses'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SPSS Win 11.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important core nursing intervention domain in operating rooms was determined physiological complex domain, followed by physiological basic domain, behavioral domain and safety domain in their order. 2. Among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in operating rooms, the most frequent one on a daily basis was 'prevention related with surgery'(90.7%), followed by 'infection control in operating rooms' (82.7%),‘surgery assistance' (82.7%),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control' (64.3%),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64.1%), 'preparation for surgery' (56.8%), 'test piece management' (52.0%),'recording' (33.8%) and 'prevention of injury from fall' (29.0%) in their order. 3. Among the core nursing activities in operating rooms, the most frequent ones on a daily basis were 22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keeping proper information on surgery record' in case of 'prevention related with surgery', 25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cleaning of operating room floor and dusting of lightings' and 'maintaining and monitoring of room temperature at 20~24 degree C' in case of ' infection control' in operating room, 14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arranging of equipments, devices and supplies for surgery' in case of 'surgery assistance', 10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helping patients to move' and 'completion of pre-surgery checklist' in case of 'preparation for surgery' and 4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laying and removing of blanket for a comfortable temperature' in cas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control'. 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re nursing activities in operating rooms, the rarely performed ones on a daily basis were 18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monitoring of absolute numbers of granulocytes, leukocytes and discernable hematocytes' in case of 'infection control', 17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being instructed by physician if necessary for physical control or dyfunctioning' in case of 'physical control', 7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looking for therapies such as dietary, Ringer's solution or exercise ones' in case of 'work shift' and 11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transparent and thin dressing of easy-to-wet body parts' in case of 'prevention of decubitu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 1.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research more objectively into nursing activities of each core nursing intervention using not self-reporting survey but well-trained observers. 2. It is deemed urgent to design and implement a nursing education program incorporating the nursing activities found most frequent on a daily basis and thereby, assess its effects. 오늘날 신속하게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 내에서 모든 분야가 전문화, 세분화됨에 따라 의료서비스 대상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는 높을 뿐 아니라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며, 의료인이 제공해야 하는 의무 또한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 절차 및 환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전문적이고 숙련된 간호행위를 하지만 외부사람들에게는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수술실 간호영역을 중심으로 한 여러 관점의 다양한 연구들도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용어로써 수술실 간호중재를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술실 간호중재 분석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구체적 간호행위 조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시대적 요구이며 필연성을 띤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NIC 간호중재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로 확인한 16가지 간호중재를 중재 명, 정의, 간호행위를 포함하여 각 중재의 구체적인 의미를 제시하고, 간호행위의 수행 빈도를 조사하여 수술실에서 수행되고 있는 핵심 간호중재 영역별 간호행위를 기술하고 분류하여 전산화 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며, 간과하기 쉬운 간호행위를 인식하고 간호 과오를 줄이며, 궁극적으로는 수술실에서 시행하고 있는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5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3차 의료기관으로 서울 시내 소재의 2개, 경기도내 1개를 선정하였으며, 2차 의료기관으로 경기도내 1개 지역으로 총 4개 의료기관을 선정하였고 설문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수술실 간호사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윤영과 박광옥(2002)의 연구와 염영희, 김성실, 김인숙, 박원숙, 김은주(1999)의 연구를 참조하여 간호중재별 간호행위 조사지를 구성하였으며 수술실 간호사가 각각의 간호행위를 하루에 얼마나 자주 수행 하는지를 5점 Likert scale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 영역(Domain)별 순위는 ‘생리적: 복합’ 영역, ‘생리적: 기본’ 영역, ‘행위’ 영역, ‘건강체계’ 영역, ‘안전’ 영역이었다. 2.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Nursing Intervention) 중 하루에 여러 번 수행하는 간호중재의 순위는 ‘수술과 관련된 예방조치’(90.7%), ‘감염통제: 수술실 내’(82.7%), ‘수술시 보조’(82.7%), ‘환경 관리: 안위 도모’(64.3%), ‘환경 관리: 안전’(64.1%), ‘수술 준비’(56.8%), ‘검사물 관리’(52.0%), ‘록’(33.8%), ‘낙상방지’(29.0%) 순이었다. 3. 수술실 간호사들이 50%이상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는 간호행위는 373개 문항 중 134개 문항으로 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수술실 간호사 100%가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는 간호행위는 373개 문항 중 23개 문항으로 ‘수술시 보조’ 간호중재 8개 문항, ‘수술과 관련된 예방조치’ 간호중재 5개 문항, ‘감염통제 : 수술실 내’ 간호중재 7개 문항, ‘수술준비’ 간호중재 2개 문항, ‘환경관리 : 안위도모’ 간호중재 1개 문항이었다. 수술실 핵심 간호행위(Nursing Activities) 중 거의 수행하지 않는 간호 행위는 ‘감염에 대한 보호’ 간호중재는 18개 문항, ‘신체의 억제’ 간호중재는 17개 문항, ‘근무 교대’ 간호중재는 7개 문항, ‘욕창 예방’ 간호중재는 11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중재 명에 따른 간호행위를 조사한 결과 선행된 연구 중 중재 명을 중심으로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라고 규명된 중재 명일지라도 그 중재 명을 정의하는 각각의 간호행위 중 실제로 거의 행하지 않는 간호행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면, 구체적인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간호의 필수능력을 도출하고, 교육과 자가 학습, 업무능력 사정하는데 직접 활용하기가 어려우므로, NIC 간호중재세트 뿐 아니라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재 명 뿐 아니라 간호행위 수준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 형식이 아니라 훈련된 관찰자를 통하여 핵심 간호중재별 간호행위를 보다 객관적으로 조사할 것을 제언한다. 2. 더 많은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간호행위 분류도구를 이용하여 수술실 핵심 간호행위를 파악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3. 본 연구를 통하여 하루에 여러 번 수행되는 것으로 조사된 간호행위들을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삼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한 516병상의 K병원에 근무하는 암전문병원 간호사로 본 연구에 동의한 150명이다. 연구 도구는 총 8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Jenkins(1985)가 개발한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Scale(CDMNS)를 백미경(2005)이 번역, 수정한 임상 의사결정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Paula (1978)가 개발한 Atittude Scale to Measure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를 한창복(1995)이 번역하고 박현태(1997)가 수정 보완한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총점평균 97.13점이며, 대상자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총점평균 136.89점을 보였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총점평균 63점을 보였다.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근무부서(F=4.426, p=.005), 직위(F=9.346, p=.000)에 따라, 대상자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직위(F=10.667, p=.000)에 따라,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급여(F=6.779, p=.002), 총 근무경력(F=2.701, p=.033), 직위(F=5.423,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r=.500, p=.000) 및 직무만족도(r=.125, p=.030)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임상 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r=.310, p=.000)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암전문병원 간호사가 업무에 있어서 의사결정시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임상 의사결정능력도 향상되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인지과정을 통해 능동적으로 해결할 때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또한 상승되며,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가 정적 상관관계를 이루었으므로 이에 초점을 둔 교육과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ancer Center Nur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underst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ncer center nurses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The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50 nurses working at the Cancer Canter located in Gyeonggi-do. The stastic program, SPSS WIN17.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low wer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1. As fo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the mean of 97.13, of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showed the mean 136.89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the mean 63. 2.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ubjec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ing department (F=4.426, p=.005), position (F=9.346, p=.000). In case of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job position (F=10.667, p=.000). Furthermore, as for the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verage year based salary (F=6.779, p=.002), total working experience (F=2.701, p=.033) and job position (F=5.423, p=.005). 3.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inical decision making (r=.500, p=.000) and job satisfaction (r=.125, p=.030). In additi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r=.310, p=.000)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exists. Namely, it can be expected that in the individual or business affairs, when cancer center nurses solve problems and make decisions,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judge and think for themselves is, the more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becomes and when they solve problems for themselves and choose alternatives and positively solve them through individual recognition courses,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also ris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n institutional measure and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re required in order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ncer center nurses.

      • 노인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인식

        이민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노인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노인 전립선암 환자들을 위한 교육 자료 및 간호 지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종합 병원에 전립선암 수술을 위해 입원한 노인 전립선암 환자 총 14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17일부터 2019년 12월 5일까지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수술에 대한 인식에 대해 인터뷰를 시행한 후 내용을 정리하여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노인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인식의 분석 결과 2개 범주, 4개의 주제,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긍정적인 인식(Pros), 부정적인 인식(Cons)의 2개의 범주는 각각 삶을 연장해주는 치료, 도전 해 볼만한 치료와 걱정이 앞서는 치료, 감내해야 하는 치료의 총 4개의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확인된 노인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인식의 12개의 하위 주제는 암과의 분리를 통한 해방, 전이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 평상시와 같은 삶으로의 복귀 기대, 나의 건강 상태로 극복 가능함, 간단하므로 해낼 수 있음, 남 못지 않게 나도 이겨낼 수 있음, 고령과 동반 질환이 선택의 걸림돌이 됨, 피할 수 없는 경제적 부담감, 복잡하고 까다로운 절차와 동반되는 시간적 소모, 받아들여야만 하는 요실금과의 싸움, 남성성 상실에 대한 각오, 원치않는 사회적 위축 초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노인 전립선암 환자를 이해하고, 수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부정적 인식을 파악하여 임상에서 더 나은 간호 및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노인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에 대한 간호적 실무와 관련된 지식을 개발하고 교육지침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노인암 환자에 대한 간호학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