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식교육의 관점에서 본 가정과교육의 의의

        홍은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nowledge education theory an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in the view of knowledge education as liberal arts. Home Economics education is generally regarded as a school subject useful in solving everyday family life problems. This common sense cannot be overcome as long as it is viewed as a way of developing the learner's ability to work out practical problems. Historically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has been justified with such usefulness and practicability. Knowledge education theory is in line with the philosophy of liberal education. It aims to explain the cultivation of mind through knowledge education and to justify school subjects intrinsically. The intrinsic justific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nsists in explicating that learner's cognitive perspectives on family life is developed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Home Economics knowledge and in the meantime the mind is cultivated. In the view of social practices-based education, uprising against the philosophy of liberal education, knowledge education is not sufficient for the good life. In this view, education is defined as 'the initiation into the social practices' which makes learners to pursue the good life with practical rationality through practical reasoning or practical problem solving. So knowledge education has less importance. But in the practice of discipline and education as the public tradition of acquiring and transmitting knowledge, theoretical knowledge is not to be subsidiary. In the view of liberal education, knowledge education is to pursue the ideal of life underlying in knowledge. And it has the intrinsic value of cultivating mi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erspectives. For this, teachers have to teach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to the level at whi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specific mode of thinking embedded in each discipline, is transmitted to learner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such knowledge the discipline and the education are linked. And teachers and learners participate in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each aspect of the world. In the strict sense, knowledge education helps mind see the world better and thus recreate itself.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subject matter cannot accomplish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as long as it remains at the level of stuffing mind with abstractive knowledge. However knowledge education basically is a twofold activity. Abstractions are acquired from various disciplines. At the same time, those abstractions become concrete 'self-knowledge' by reflecting what has been acquired in the mind. With the idea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consisting of the un-manifested standard on the upper layer and the phenomenal manifestations or empirical embodiments on the lower layer,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can be described as 'self-knowledge'. In this view, the internalization of the knowledge is not defined as just the pursuit of reason but as the pursuit of un-manifested standard or metaphysical mind. Such explanation implies that cultivation of mind through knowledge education is possible and thus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is intrinsically justified and becomes meaningful. Home Economics as a discipline has pursued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family life. Theoretical dimension of Home Economics consists of such specific concepts, principles and modes of thinking that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be viewed as a knowledge education in line with liberal education. As a knowledge educatio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pursue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erspective on family life. The nature of such perspective is common in Home Economists,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of Home Economics in spite of their different levels. Home Economics teachers' perspective or mode of thinking on family life is indirectly transmitted to their students necessarily with verbal explanation of knowledge. It makes Home Economics knowledge education meaningful. All of thoughts and words and actions related with family life are to be manifestations of such perspective. Therefore Home Economics education as knowledge education also contributes toward practical problem solving, inasmuch as the recogni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ose problems are possible only with such cognitive perspective. Domesticity has been criticized as an ideology in feministic perspective, but pursued tacitly in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Home Economics. It is the public standard or norm related with family or domestic life which anyone as a member of family, irrespective of his or her gender, is to pursue for good family life. With the idea of twofold structure of mind, domesticity can be defined as the un-manifested metaphysical mind related with family life and conceptually distinguished from womanhood or feminity. Thus cultivating domesticity cannot be separated from cultivating mind, the inherent aim of all educations. And it is possible through developing the cognitive perspective or the mode of thinking embedded in Home Economics, the intrinsic ai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subject matter of liberal education which is intrinsically justified with it's cognitive perspective embedded in theoretical knowledge of Home Economics and there is a more important value for cultivating human mind, that is, cultivating domesticity. 종래의 많은 가정과교육 연구들은 실생활에의 유용성과 실천성을 강조함으로써 가정교과의 가치를 외재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가정과교육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가정학 지식의 이해가 어떤 교육적 가치를 가지며 그것이 무엇을 내재적 목적으로 하는가를 탐색하여 가정교과를 내재적으로 정당화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자유교육적 성격을 지식교육의 측면에서 탐색하고, 가정과교육이 가정학 지식의 이해를 통하여 학습자의 심성을 함양하는 데서 중등교과교육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는 점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식교육은 전통적으로 지식이 학습자의 지성을 길러준다는 점에서 옹호되어왔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실제 중심 교육론은 지식교육의 전통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나타내며, 교육을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 규정한다. 이 관점에서는 이론적 지식에 비하여 사회적 실제에의 참여를 통하여 획득되는 실천적 지식과 실천적 합리성이 더 중시된다. 그러나 여타의 사회적 실제와 달리 학문과 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이론적 지식을 잘 배우면 그 지식에 가정되어 있는 안목이나 지적 능력으로서 실제적 지식이 생긴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지식은 실제적 삶의 기준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자유교육론의 관점에서 지식교육은 지식의 이해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지식의 이면에 가정되어 있는 삶의 기준을 추구한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이론적 지식의 이해와 교육의 ‘내재적 가치’가 강조된다. 지식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들은 교과의 성격에 충실하게 지식을 가르쳐 학생들이 사물과 현상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교과 지식을 가르치는 것은 지식 탐구의 두 전통인 학문과 교과교육을 연결하는 것이며, 교사와 학생은 지식을 매개로 하여 대상에 관한 지적 탐구와 이해의 전통에 참여하여 그 전통을 이어간다. 올바른 의미의 지식교육은 교과 지식이 곧 학습자의 자기지식이 되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교과 지식은 그 이면에 교육과 삶을 통해 추구되어야 할 기준으로서 형이상학적 마음을 가정하고 있으며, 그것은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마음을 가리킨다. 지식을 획득할 때 학습자는 그 지식의 이면에 들어 있는 형이상학적 마음을 대면하며, 이는 곧 자기 내면에 들어 있는 형이상학적 마음을 회복하는 계기가 된다. 형이상학적 마음은 곧 지식과 경험적 마음을 사정하고 성찰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이는 곧 지식교육을 통한 심성함양을 나타낸다. 가정학은 여러 학문의 지식과 연구방법을 ‘가정생활’이라는 대상에 적용함으로써 가정생활 현상에 대한 지적 이해를 추구해왔다는 점에서 자유교육으로서의 가정과교육과 본질적 성격을 같이 한다. 가정교과와 가정학은 가정생활에 대한 지적 이해의 전통에서 서로를 필요로 한다. 지식교육의 관점에서 가정과교육은 학생들에게 가정학 지식을 가르쳐 가정생활에 대한 지적 안목을 형성해주는 교과교육으로 개념화된다. 이러한 지적 안목은 가정학자나 가정과교사, 가정과교육을 받는 학생들 모두에게 그 수준에서는 차이가 있을지라도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가정생활에 관련된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이 지적 안목으로서의 마음에서 나온다고 볼 때, 지적 안목 형성으로서의 가정과교육은 가정생활에서의 실천적 문제들을 인식하고 올바로 해석하는 데 기여한다. 한편, 가정과교육이 학습자의 심성함양에 기여하는 교과교육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고 볼 때, ‘가정성’은 그 의의를 설명하는 데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가정성은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추구하게 되는 가정생활의 규범적 방향성, 가정생활을 이끄는 공적 기준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마음의 중층구조 관점에 비추어볼 때 가정성은 위층의 형이상학적 마음으로서 가정생활에 관련된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의 기준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의미의 가정성은 모든 교육에서 본래적으로 추구되어온 인간의 심성과 다르지 않으며 가정학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전수되는 가정학적 사고방식, 또는 지적 안목을 원천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가정과교육의 실제 사태에서 가정과교사가 표면상 가르치는 것은 단편적 지식들이지만, 가정과교사가 그것들을 가르칠 때 함께 전수되는 것은 가정과교사의 ‘가정학적 사고방식’, ‘가정생활에 관한 지적 안목’으로서의 ‘마음’이다. 이러한 의미의 ‘마음의 발달’은 학생들이 소유하고 있는 ‘가정성’이 보다 풍부하고 완전한 상태로 함양되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은 자신이 이해한 지식의 폭과 깊이만큼의 지적 안목으로 세상을 보며 살아간다고 할 때, 가정과교육은 ‘지적 안목’으로서의 마음, 곧 가정성을 함양하는 데서 교과교육으로서의 의의를 온전히 드러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