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Beethoven Sonata 21번(OP53) 대한 분석과 이해

        최정임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1855

        Beethoven is a typical composer in the 19 century, who developed its early music of the Romantic group as well as an examplary composer of the Classicism. Among a lot of works of his, 32 pieces of piano sonata were known to everybody as an important and excellent works in the history of music. We have found out through piano sonata's analysis that Beethoven had composed a music with his soul by sublimating such as a music with a rigid form and a simple pleasure at that times. So he established a unique style of his own more and more even in a transition period. This paper divided som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into 3 parts according to its period: The first period: Beethoven's young age, the second period: more matureperfect age of works for his originality, the third period: old age of expressing a spiritual sound.

      • 2015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및 교사의 인식 조사

        최정임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Future talents, who are willing to adapt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able to learn and make good use of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They also need to do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the ability to create new value and self-directed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addition, it will be good for them to have inquiry skills with unlimited imagination. To do so, information education can play a key role for future generations who learn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cience. Moreover, integrating various disciplines makes them better at creative problem solving. Textbooks reflect the i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new content that can develop future talent.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textbooks are appropriately designed to promote computational thinking and inquiry skills. How teachers think of the organization of textbooks also needs to be examined. Thes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improving textbook quality. In this study, several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nhance the quality of the textbooks by suggesting improvements to these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and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procedures were set. Firstly, in eight different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design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unit named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Secondly, som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these informatics textbooks’ inquiry potential were surveyed. Finally, the inquiry potential of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compared with that of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r this research, out of sixteen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certifi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August 2017, eight textbooks that were frequently chosen and used in classrooms were selected. Romey’s analysis was applied to these eight textbooks whose inquiry potential was analyzed based on four analytical factors: texts, data, activities,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four textbooks out of eight had high indexes of inquiry in terms of texts (0.756, 0.867, 0.727, and 0.611). Secondly, the inquiry indexes were high in four textbooks out of eight in terms of data (1.331, 0.946, 1.133, and 0.986). Thirdly, four textbooks out of eight also showed high indexes of inquiry in terms of activities (0.675, 0.969, 0.514, and 0.627). Lastly, high inquiry indexes were confirmed in all eight textbooks in terms of evaluation (1.35, 0.924, 1.274, 1.333, 0.625, 0.6, 1.483, and 0.764).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inquiry potential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were also examined through a survey. A chapter of the information textbook, called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was mainly dealt with in the survey, and 44 teachers responded. The survey questions with relation to the inquiry potential of this chapter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texts, data, activities, and evaluation, with response options on a 5-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responses received, activities gaine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four areas (3.78), and evaluation scored the lowest (3.63). In terms of the adequacy of the information curriculum, the teachers did not respond positively, ‘moderate’ or ‘below average’. This negative result concerning the curriculum management was found to be due to lack of class hours. In the case of comparing inquiry potential of infor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had more improved inquiry potential elements in terms of analytical factors of texts, data, evaluation than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 inquiry index was also found to be 0.54 in terms of activities. This can suggest that the textbooks based upon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had high inquiry potential, and the textbooks adequately reflected the intention of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umber of informatics textbooks can be considered to be desirable with high inquiry potential. However, information teachers seem to recognize that the textbooks are insufficient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 of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the textbooks have great inquiry potential along with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 it will be essential to actively seek teachers’ opinions on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Effective in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subject of information can enable learners to achieve the core competencies and develop as future talents. For students to do this, informatics textbooks with high inquiry potential need to be designed. In additi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should be required to efficiently manage information classes.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를 수용할 미래 인재는 정보처리기술을 습득하고 바르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가치 창조와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팅 사고력과 무한한 상상력을 요구하는 탐구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 교육을 통해 미래 세대가 정보기술과 컴퓨터과학을 학습하도록 하고,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융합하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한 것으로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새로운 내용을 수용하고 조직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과서가 컴퓨팅 사고력과 탐구력 증진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교과서의 품질 개선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교과서의 탐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과 교사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개선점을 제안함으로써 교과서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절차를 설정하였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정보 교과서 중에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단원에 대한 탐구성을 분석한다. 둘째, 중학교 정보 교사를 대상으로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정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정보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7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으로부터 인정도서로 승인된 중학교 16종의 정보 교과서 중에서 활용 빈도가 높은 8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Romey 분석법을 사용하여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4개 분석요소를 기준으로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정보 교과서 8종의 탐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 분석요소에서는 4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가 각각 0.756, 0.867, 0.727, 0.611로 확인되었다. 자료 분석요소에서는 4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는 각각 1,331, 0.946, 1.133, 0.986으로 확인되었다. 활동 분석요소에서는 4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는 각각 0.675, 0.969, 0.514, 0.627로 확인되었다. 평가 분석요소에서는 8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는 각각 1.35, 0.924, 1.274, 1.333, 0.625, 0.6, 1.483, 0.764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해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정보 교과서의‘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단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44명의 교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탐구성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문항의 답변은 5점 척도로 조직하였다.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4개 영역 중 활동이 5점 만점에 3.78점으로 가장 높고, 평가가 3.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정보 교과 운영의 적절성에 대한 응답에서는 보통 수준이거나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교과 운영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는 수업시수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과정에 따른 탐구성 비교의 경우,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정보 교과서가 2009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서보다 본문, 자료, 평가 분석요소에서 탐구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 분석요소에서도 탐구지수가 0.54로 확인되어 탐구성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교과서가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 취지를 잘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다수의 정보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바람직한 교과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보 교사들은 교과서가 정보 교과의 핵심역량을 배양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교과의 핵심역량과 함께 탐구성이 높은 교과서가 되기 위해서는 교과서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정보 교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효과적인 정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인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탐구성이 높은 교과서 개발과 함께 정보 교과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을 중심으로

        최정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많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준거 지향 평가에 대한 것이다. 준거 지향 평가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교수·학습과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1학년도부터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다. 해당 영역의 성취 기준을 개발하기에 앞서 제 7차 과학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여 중학교 과학 1의 성격을 알아보고,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에 대하여 과학과 교육과정과 개정된 7종 교과서 내용의 분석을 통해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6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13개의 필수 학습 요소가 선정되었다.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한 다음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은 탐구(P), 지식(K) 및 태도(A) 세 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개발하였는데, 이 중 탐구(P)영역과 지식(K)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의 하위영역 수준에서 개발하였고, 태도(K)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은 대영역 수준에서 개발하였다, 개발한 성취 기준은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14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19개이다. 개발한 성취 기준을 토대로 하여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평가 기준은 성취 기준에 근거하여 탐구(EP), 지식(EK) 및 태도(EA)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상/중/하 세 수준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기준은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11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16개이다. 마지막으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맞추어 학생들의 실제 성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평가 다양화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수행 평가의 유형들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평가 도구는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5개(서술형 2개, 토의기록문 1개, 실험보고서 1개, 조사보고서1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6개(서술형 2개, 논술형 1개, 개념도 1개, 포트폴리오 1개, 실험보고서 1개)이다. 평가 도구 11개에는 평가 기준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5개이고, 두 개의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3개이며, 세 개의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3개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에 대한 상세화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처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앞으로도 상당히 많은 평가 도구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는 모두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현실적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제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2001년을 시점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서 이 연구의 결과들이 효율적으로 활용된다면 점차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준거 지향 평가가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for criterion - referenced evaluation in the 7th national science 1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e units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Digestion and Circul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1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le as follows : 1. First of all,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carefully analyzed. The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for the units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Digestion and Circulation were determined. Based upon required learning elements in the two units,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detail in terms of the process skill(P), knowledge(K), and attitude(A). It can be an actual guidelin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14 items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19 items in the unit of Digestion and Circulation. 2. Based upon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made. The assessment standards divide students' achievement into three level(high/middle/low) and state each level so that it can guide evaluation of achievement. It was also developed in three areas of EP, EK, and EA.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11 items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17 items in the unit of Digestion and Circulation. 3.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to probe students' achievement level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used rather than multiple choice type. The developed assessment instruments are as follows: 5 items(2 descriptive types, 1 discussion report, 1 lab reports, 1 research project)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6 items(2 descriptive types, 1 essay type, 1 concept map, 1 portfolio, 1 lab report) in the unit of Digestion and Circul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f science teachers us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which a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y can make a lot of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Digestion and Circulation. 2. If one assessment instrument is used, its utility will decrease to be hasty.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catch the process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in this study. In spite of the same contents of science 1, science teachers can make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if they change context or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content validity and can be used in the school effectively in the year of 2001.

      • 집 조형 문화상품 개발 연구

        최정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인간에게 있어 집은 보호와 안락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공간이며, 인간과 인간의 소통의 공간이고, 가족의 역사를 담아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사람이 살아가고 머무르면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공존하는 삶의 터전이고 꿈과 희망이 있는 이상적인 공간이다. 인간은 집에 대한 기억과 추억으로 옛집의 대한 향수가 있으며, 집이 주는 상징적 의미와 인간 각 개인마다 주어진 집에 대한 이상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집은 누구나 소유하고 싶은 대상이 되었다. 현대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살고 있지만, 인간은 옛집에 대한 향수와 추억을 간직하고 있다. 가형토기(家形土器)의 역사적 고찰과 근현대 집형태의 특징을 통해 가형토기의 특징과 조형성을 살펴본 후 집의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그것을 토대로 도자 집 조형 문화상품 개발 연구를 하였다. 집이 가지는 조형성, 상징성과 전통적 집을 한국 이미지의 문화상품으로서의 개발에도 접근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판 성형, 속파기 작업으로 형태의 양감과 질감을 나타냈으며, 문양은 민화그림을 첩화로 시문하기도 있다. 850℃ 1차 소성 후 투명유와 수비한 참나무 재를 비율을 달리 하여 시유 후 1250℃ 2차 소성을 하였다. 또, 무유 소성 후 옻칠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집 조형이 현대사회의 사람들에게 추억과 서정성을 제공해 줄 것이며, 문화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것이다. A House is the place that makes us feel comfortable, communicate one another and remember the family history. The house is the place whe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and also there are the hopes and dreams. The man has nostalgia for the old house and ideal image for the new house. And in modern society, the house has become the object that anyone wants to own. The study has been based on a variety of house meaning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house-shaped pottery and modern house form. The cultural products can be developed by combining formativeness, symbolism and Korean traditional image of house. This study displays a sense of volume and texture through the slab building and chipping chisel. And it also shows some patterns carved as folk paintings. 850℃ burning has been done. After glazing the pottery with transparent graze and oak ashes, 1250℃ burning should be done. Through such procedures, the house modeling will provide us with memories and lyricism and will be the value of cultural products.

      • 보석의 치유효과에 대한 신체심리학적 연구

        최정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gem and explore the perceived healing power of gem through the lens of somatic psychology. Somatic psychology, the psychology of the body, focues on our living experience of embodiment as human beings and uniquely allows the body to speak from itself and for itself. To develop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somatic psychology, researchers have engaged a detailed study of the ancient and contemporary sources of somatic psycholoy. With the same purpose of the somatic psychologists, this research probed the archaic sources of healing power of gem. Gem have been in use as part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for years. For thousands of years, cultures and religious traditions in the East and West have used the healing power of gem to discharge mental, physical and spiritual obstruction, thus promoting the fluent stream of energy throughout the body. Human body and mind are naturally receptive to the vibrations of gem as they transmit, reflect, store light and receive energy. When a gem is placed directly on the body, it has a powerful vibratory effect that surges from the gem to the body. This study made an extensive literature search and revealed that gem therapies inherited from anicent civilizations have a high potential to be in use as part of somatic psychotherapy and such therapies as Chakra gem therapy and Hildegard’s therapy will supply great deal of sources for development of somatic psychology. This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explore the various aspects of knowledge and practices of gem therapies in the East and West. 이 연구는 보석의 상징성이 가지는 신체심리학적 효과를 조사하고 정리하여 보석요법을 신체심리치료의 치료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 체계를 세우는 데 목적이 있다. 신체심리학은 우리의 살아있는 체험에 초점을 맞추어 ‘몸(soma)에게 묻고 몸이 대답하게 하여’ 치유의 효력을 만나게 하는 특징을 가진 심리학이다. 이 글은 보석의 치유효과와 보석요법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신체심리학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며 동시에 신체심리학의 이론적 체계에 어떤 공헌을 할 수 있는지를 함께 알아보았다. 보석은 시대를 초월하여 다른 어떠한 것보다도 변하지 않는 고유성을 가지며 다양한 미적 가치를 지니는 한편, 다른 측면으로는 심리적 · 신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치유의 힘을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 3700여종의 광물 중 20여종만이 보석으로 이용되고 있고 시대에 따라 보석의 선호도가 바뀌기도 했지만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그 가치를 유지하고 있는 보석을 중심으로 보석의 재질과 형태 그리고 색상과 광채가 가지는 치유의 효력을 연구하였다. 보석은 색 자체로 경이로움과 아름다움으로 가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빛과 보석 내부 원자구조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신비하고도 독특한 광학 현상을 나타낸다. 색채 자체의 진동 현상과 보석의 광물적 진동이 더해져 보석은 더욱 특별한 작용을 하게 된다. 보석의 성분은 같지만 색이나 결정모양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지게 되고 그들은 각각 매우 다른 가치와 성질을 지닌다. 이러한 보석의 효능은 고대부터 전해져 오고 있으며 힌두교, 불교, 도교, 기독교 등의 종교에서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각각의 종교에 따른 보석의 상징성과 신체와 심리에 작용하는 효능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자연의학의 일부로 발전된 보석요법이 신체심리학적으로 볼 때 어떤 치유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와 신체심리치료의 일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어떤 작업이 더 필요한지를 연구하였다. 몸과 마음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몸을 통해 마음의 문제를 다룰 수 있다고 믿는 신체심리학의 치료 방법들 중에 보석요법도 중요한 치료법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이 글에서 주장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