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예은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Mankind has started an initial lifetime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a government-driven school systems from the 19th century, and an education was deemed as a national obligation in order for the growing generation to prepare for adulthood and to cultivate the individual quality as the people of a nation until the 20th century. However, as undergoing a rapid social transition such as aging phenomenon due to a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and socioeconomic changes due to an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 new paradigm that manages the learning during one's entire lifetime appeared with a weakening of the perspective that perceives education as the purpose and means that cultivate royal people and competent manpower. By entering a new civilized era, mankind has already stepped in a lifetime learning age and the discussion on the lifetime education has continued academically, practically and politically (Kim et al., 2019). Eduard C. Lindeman has suggested a concept on adult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time education more in-depth and thought the education as a life itself, not as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future life. In other words, he viewed a whole life as a learning process, breaking away from the static concept of defining the education as a learning proces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This implies that aspect of individual life, pers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collectively and the fact in which adult education is as important as children education should be accepted (Hwang, 2018; Knapper & Cropley, 2000). Along the social changes and an advent of lifetime education concept, a level of consciousness among members of society grows rapidly and an increasing tendency is also observed in the desire that is required for society and the motive of self-realization. As like this, in a modern society, not only school-age children or adolescents but also adults who were out of the school education boundary all are viewed as the important learners, in this context, an importance of lifetime education, which can satisfy learning demands of society members in various age groups, is gradually expanded. Moreover, the category of adulthood is continuously expanded due to a natural flow of modern society such as extended average lifespan and aging, and such an aspect is also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of educational debate. A new educational demand for senior learners has appeared based on the standpoint that they are not the last stage of a human development but a consistent growth stage. Education for adults especially seniors is required in more various domains such as enabling the seniors to adapt to society and to prepare for the senescence, in addition, the education and learning for seniors have more close association with a life. The education in which targets the seniors implies significant experience that can alter the value of individual beyond a simple learning and possesses a likelihood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altering or magnifying an individual perception (Hansman, 2001). Discussions are consistently taking place with regard to the issues of seniors such as leisure time utilization, self-realization, satisfying the learning desire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based on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With this, a demand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senior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e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are providing the lifetime educational programs so that seniors can adapt to rapid social changes and can enjoy the richness in remaining life under the perception that the senescence is an important learning and growth period. Art museums, in particular, have optimal conditions as a lifetime educational agency that can satisfy the creativity and curiosity of seniors in the aging society. Art works that reflected the society and history have characteristics of a medium that facilitates seniors to recall old times or to make a new value assessment by associating the works with their personal lives. In addition, art museums offers opportunities for seniors to actively enjoy the cultural ar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cultural arts by proceeding an empirical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for both human and society or by performing the cultural art programs that are combined with other artistic genres. Unlike the educational role of art museums as a lifetime educational institution, however, sociocultural infrastructure is substantially insufficient for covering the increased demand from seniors who require lifetime education and enjoy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consistently enha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of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the seniors in the art museums on the basis of social and educational roles of the art museum that is a representative lifetim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o seek an educational direction to step forward in the future by sugges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s for seniors provided by the domestic and oversea art museums. To accomplish such objectives, detail contents and a methodology for research are defined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publications to identify roles and functions of art museums, concept and significance of art museums in a modern society and change patterns of educations in art museums according to the stream of tim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a variety of research papers, reports on policy and statute books to identify the domestic and oversea situations and status on aging, and based on the examination results, it further explored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lifetime education, a necessity of the lifetime education in modern society, a specificity of lifetime education provided by art museums differentiated with other lifetime educ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learners and educational necessity in terms of lifetime education. After exploring the theoretical backdrop,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ase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eniors provided by domestic and oversea art museums through previous studies, online and offline data to derive the implications. Afterwards, this study presented an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 for seniors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through the social demands,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and case example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ose program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es and interview items presented by Park (2013) and Kwon (2019) through experts’ assessment. Besides, this study also presented not onl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ducations offered by the domestic art museums that were identified from interviews with experts but also a necessity of consistent R&D on educational programs for seniors at the art museum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going further,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and a direction to go of the education provided by art museums in the future as a lifetime educ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omestic and oversea art museums have perceived the social issues on aging as an important discussion topic and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ing research and offer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seni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such social issues. The attempts to improve accessibility of seniors, integrate generations, expand the external form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artistic genres by a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were noteworthy.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overall operational formation and method need to conduct further in-depth R&D, application trials and support from various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 necessity for the art museums in modern society to seek the identity and direction as a lifetime educational institution specifically by consistently performing R&D on educational program for seniors. Based on the discussion thus far, it is expected that the seniors can explore the self and satisfy the desire to learn through education of the art museums, thereby managing their lives with richness as a major member of our society. 인류는 19세기부터 국가주도의 학교제도를 통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생애초기교육을 시작하였고, 20세기까지만 해도 교육을 자라나는 세대가 성인기를 준비하고 국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을 기르는 국가적 의무로 보았다. 하지만 21세기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한 고령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경제의 변화 등의 급속한 사회변화를 겪으며, 교육을 충성스러운 국민과 유능한 인력을 양성하는 목적과 수단으로써 바라보는 시각이 약화되고 전 생애에 걸쳐 학습을 관리하는 새로운 교육적 관점이 나타났다. 새로운 문명시대로의 진입으로 인류는 이미 평생학습시대에 들어섰으며, 학문적·실천적·정책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 오고 있다(김신일 외, 2019). 린드먼(Eduard C. Lindeman)은 평생교육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성인교육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며 교육을 미래의 삶을 위한 준비 과정이 아니라 삶 그 자체라고 보았다.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학습 과정으로 교육을 규정하는 정적 개념에서 벗어나 인생 전체를 배움의 과정으로 바라본 것이다. 이는 교육에 있어서 개인적인 삶의 측면이나 발달, 환경 등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성인교육이 아동교육만큼이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함을 의미한다(황영아, 2018; Knapper & Cropley, 2000). 사회적 변화 및 평생교육 개념의 등장과 함께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 수준이 빠르게 성장하고, 사회에 필요로 하는 욕구 및 자아실현의 동기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에서는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의 대상에서 벗어난 성인 역시 중요한 학습자로 바라보고, 다양한 연령층의 사회 구성원들의 학습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 연장 및 고령화 등의 사회 흐름으로 인해 성인기의 범주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양상 또한 평생학습시대의 중요한 교육적 논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다. 성인기 중 노년기에 해당하는 시니어 학습자들이 인간 발달의 마지막 단계가 아닌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는 시각을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교육적 필요성이 나타났다. 성인, 특히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고 노년기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등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필요한 것으로, 시니어 대상의 교육과 학습은 삶과 보다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시니어 대상 교육은 단순한 학습을 넘어 개인의 가치관을 바꿀 수 있는 의미 있는 경험을 의미하며, 개인의 인식을 변화시키거나 확대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Hansman, 2001). 다양한 이론 및 실천을 토대로 시니어들의 여가시간 활용, 자아실현, 배움의 욕구 해소, 삶의 질 향상 등의 이슈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지속적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니어 대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필요성 또한 함께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 및 각 관련 기관에서는 노년기가 중요한 배움과 성장의 시기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시니어들이 빠른 사회 변화 흐름에 적응하고 풍요로운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미술관은 고령사회에서 시니어들의 창의성과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평생기관으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사회와 역사를 반영한 예술 작품은 개인의 삶과 연결 지어 과거를 회상하거나 새로운 가치 판단을 내리게 하는데 용이한 매개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술관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체험적 교육을 진행하거나, 기타 예술장르와 결합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시니어들이 적극적으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과는 달리, 고령사회에서 평생교육과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현대 시니어들을 위한 사회·문화적 인프라는 현저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 평생교육기관 중 하나인 미술관의 사회·교육적 역할을 토대로 미술관의 시니어 대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의 지속적 필요성을 제고하고, 국내·외 시니어 대상 미술관 교육의 현황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향후 나아가야 할 교육적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 연구 및 각종 간행물을 바탕으로 미술관의 역할 및 기능, 현대 사회에서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의의, 시대 흐름에 따른 미술관 교육의 변화 양상 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각종 연구 보고서 및 정책 보고서, 법령집 등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령화 현황과 정세를 살펴봄으로써 평생교육의 개념 및 의의와 특성,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타 평생교육과 구별되는 미술관 평생교육의 특수성, 평생교육 대상으로서 시니어 학습자가 가지는 특성과 교육적 필요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 탐색 후 선행연구 및 온라인, 오프라인 자료집을 통하여 국내·외 미술관의 시니어 대상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사회적 요구 및 선행연구 분석,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시니어 대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박정영(2013)과 권은용(2019)이 제시한 평가지표 및 인터뷰 문항을 토대로 전문가 평가를 거쳐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 국내 미술관 교육 현황 및 문제점과 앞선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미술관의 시니어 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평생교육으로서 미술관 교육의 개선방안 및 향후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미술관들은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중요한 논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이와 연계된 다양한 시니어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연구 및 시행하고 있었다. 특히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시니어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거나 세대를 통합하려는 시도, 또한 타 예술장르와의 협업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시도는 주목할 만 하였다. 하지만 전체적인 운영 형태 및 방법 등에 대해서는 추후 심도 깊은 연구 및 개발과 적용, 그리고 다각적인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 미술관이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시니어들이 미술관 교육을 통해 자아를 탐구하고 배움의 욕구를 해소하며 사회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풍요로운 인생을 살아가길 바란다.

      • 미술, 과학의 융합인재교육을 통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정은실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재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여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식의 전달이나 이해 교육이 아닌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능력까지 향상 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미술 교과와 과학교과의 교육목표를 파악하고 창의적 사고를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융합인재교육을 통한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여 실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제시해보았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는 통합교육과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해 알아보았다. 얼핏 같은 개념처럼 보이나 통합교육에서는 과목간의 내용적인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면 융합인재교육에서는 통합교육을 뛰어넘어 흥미와 이해력을 높이고 창의성을 키우는 것에 중심을 두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목과 과학과목의 특징을 이해하고 내용 체계를 파악하여 두 과목간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와 과학교과서의 단원별 내용을 분석하여 교수·학습 모형(지도안)에 적합한 단원을 선택하였으며 실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시하고 수업을 진행해 학생작품을 제작해 보았다. 고등학교 1학년의 경우 진로 선택에 있어 문/이과에 관계없이 가능성이 열려 있는 시기이다. 또한 중학교까지의 교육을 통해 지식적인 이해도의 측면에서도 다양한 사고를 통해 작품 제작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시기라 판단되었다. 이에 과학과 미술의 융합인재교육을 적용에 있어서도 최적의 학년이라 생각되었다. 교수·학습 모형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단원의 선정에 있어 가장 중점을 둔 것은 두 과목의 융합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를 열어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는 내용이냐 하는 것이었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 아이디어 등을 마음껏 발표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를 작품으로 나타낼 때에도 소재의 제한 없이 각자의 생각이 묻어 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교육을 통해 두 과목 모두에 대한 흥미 유발과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도록, 미술과 과학의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두 과목 모두의 성취도가 높아 질 수 있기를 바라며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하는 중요한 과정이 되었다.

      • 미술영화를 활용한 인터비주얼(Intervisual) 미술 감상 수업연구

        안여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문초록 미술영화를 활용한 인터비주얼(Intervisual) 미술 감상 수업 연구 안 여 진 국민대학교 미술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소 영) 안여진 미술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1세기 정보산업의 시대를 맞아 현대사회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으로 인해 ‘영상사회’라고 불려 지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 속의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전달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시각매체에 대한 접근은 일상생활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모든 사회적, 문화적 영역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현상이다. 미디어는 현대인의 사고와 일상생활 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문화현상에 대한 미술교육의 실제적 접근방식을 제시 하고자 한다. 예술영역에서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면서 미술교육에서도 다양한 교육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연구자는 그 중에서도 시각문화교육의 일환인 ‘인터비주얼 과정’을 통한 미술영화 감상교육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인터비주얼 과정은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실제적 접근방식을 제시하는 모델로 다양한 관점에서 미술을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미술 감상교육의 획일적인 미술 감상방식의 변화를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터비주얼 과정을 통해 학생들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감상자 관점의 주체적인 감상태도를 기르기 위한 수업을 설계 하였다. 서울 강남구에 소재한 K중학교 3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6차시 수업으로 진행 되었다. 인터비주얼 과정을 활용한 미술 영화감상교육을 실시하기 전 사전설문지를 통해 감상에 대한 인식과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이해, 미술 감상태도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미술 영화선정은 학생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인터비주얼 과정의 세 가지 요소 비주얼영역, 감상자영역, 제작자영역으로 요소에 적합한 ‘빈센트 반 고흐: 페인티드 위즈워드’를 선정하였다. 이 영화에서는 주인공 고흐와 그의 사촌동생과 일생동안 오고간 편지내용과 주변 사람들의 실질적인 진술을 실제적 상황으로 재구성한 영화이다. 먼저 학생들에게 고흐를 주인공으로 하는 미술영화를 관람하게 한 후, 설문지에서는 학생들의 미술 감상방법에 대한 자기 점검의 시간과 올바른 감상태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대한 인식과 미술 감상에 대한 이해도가 본 수업 후, 사전 사후 설문지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터비주얼 과정을 활용한 미술영화 감상교육은 학생의 감상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수동적인 감상태도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감상태도로 전환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는 학생들이 감상자 관점에서 다양하게 재해석 되는 미술 감상활동을 통해 감상의 주체자로서 능동적인 태도를 갖춰 미적 수용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하는 데에 유의미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과 작가를 깊이 있게 수용하고 작가중심의 수용적 태도에서 벗어나 자신의 느낌과 내적감정을 소통함으로써 개인으로부터 시작하는 다양한 관점의 감상활동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미술영화를 통해 미술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여 그들이 미술 감상을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비주얼 과정을 적용하여 체계화된 미술 감상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앞으로 학생들에게 시각문화현상의 흐름에 요구되는 다양한 미술 감상교육이 구안됨으로써 시대흐름에 부합되며,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접근하는 다양한 수업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인터비주얼과정, 미술감상, 미술영화, 미술감상교육

      • 청소년문화의집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 H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김누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삶 속에서 휴식처가 될 수 있고 소통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청소년문화의집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치열한 입시 경쟁 속에서의 맹목적인 성적 향상이 아닌 학생들의 꿈과 적성을 모색하고 실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계발하는 것, 학생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입시나 시험에 대한 부담 등으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으로 총 3가지에 목표를 두었다. 이 3가지 목표는 현 교육의 동향과 청소년문화의집의 목표, 사전면담 자료 등에 근거해 추출과정을 통해 세웠다. 본 목적의 실현을 통해 청소년문화의집의 미술교육의 정당성과 의의, 필요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그와 더불어 미술교육으로 청소년문화의집의 정체성, 역할을 확립할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문화의집은 공교육에서 얻을 수 없는 것, 학교에서 제공할 수 없는 차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창구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주된 내용으론 청소년문화의집만의 특성과 그에 부합하는 미술교육의 특징, 사전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미술을 통한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는 수업, 거꾸로 학습을 통한 학생중심의 수업,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미술 활동으로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사전 조사를 한 결과 서울시에 존재하는 청소년문화의집은 16개소로 그 중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는 개소는 한 곳뿐 그 외엔 운영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편리한 표집선정’에 근거하여 16개소 중 H청소년문화의집을 연구 장소로 선정하였다. 가장 예민한 시기를 겪고 있는 중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7월부터 청소년문화의집의 프로그램 평균 정원 인원인 10명으로 수강 인원을 모집하였고 8월부터 한 차시마다 90분씩 6차시로 총 6주간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방법론과 실행 연구, 사례 연구, 면담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청소년지도사 3명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면담과 중학교 1학년 4명, 2학년 3명, 3학년 3명으로 총 10명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면담자료, 문헌 자료, 연구자의 연구일지 등 수집한 자료들을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자신의 특성과 정체성을 찾기 위해 본인만의 색, 색명을 만들고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래의 명함을 디자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성격과 특성 등 스스로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가졌고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거나 그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퍼포먼스와 대지미술, 거꾸로 학습을 통해 학생을 중심으로 자기주도적인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물감을 던지고 뿌리는 과정을 통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풀 수 있었으며 미술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또한 거꾸로 학습을 통해 부족했던 이론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미술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가갈 수 있었고 표현활동으로 쉽게 풀어나갈 수 있었다. 셋째, 빛의 아름다움, 흑백 대비의 아름다움을 통해 본인에 대해서 집중하고 들여다보고 성찰하는 시간, 내면을 치유하는 수업을 가졌다. 사전/사후 면담과 연구자의 연구 일지를 통해 수업을 전후로 하여 학생들의 표정과 자세, 태도 등 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외적인 변화 또한 바뀌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문화의집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진로교육 등 성적보다 적성이 중요시 되고 있는 동시대적 흐름과 같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미술교육의 부재와 함께 청소년문화의집의 역할이 불분명한 문제 등 정체성 확립의 부족으로 인해 활발하게 발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문화의집과 청소년문화의집 내 미술교육이 재조명되기를 바라며 미술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청소년문화의집의 모든 프로그램의 후속 연구와 발전을 기대한다.

      • 초현실주의를 활용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순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준용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대사회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이다. 급속한 변화속도 만큼이나 정보의 전파속도 또한 빠르며 이를 제대로 받아들일 새도 없이 정보는 변형되고 조작되며 공유되고 처리되어 버린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과는 대조적으로 사람들의 정서는 점점 침체되고 고립되어 가고 있다. 이렇듯 현대사회는 속도차이의 간극으로 인한 인간소외현상, 정서심리의 황폐화 등의 다양한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 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서심리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미술교육의 치유적인 기능을 활용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정서순화를 위해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여 이를 정규 중학교 미술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정서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고의 전환 및 정서의 함양이 이루어져 학교와 사회에 잘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첫째, 학생들이 정서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학교 부적응을 호소하고 이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는 사태에까지 이르게 된 부적응의 원인과 부적응 학생들의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가정, 사회 등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교 부적응 학생과 미술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미술활동은 학생들의 무의식이 자연스럽게 표출되도록 하여 그 자체로 치유적인 효과를 주며 정서순화와 자아의 발견, 올바른 자기 가치관의 확립을 통해 학교와 사회에 통합되어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즉, 미술교육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교육 및 미술활동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이 왜 정서순화에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초현실주의의 표현기법과 발상방법은 프로이드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 개념을 응용하여 의식하거나 의도하지 않고 무의식의 세계를 무의식적인 상태로 대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작업한 결과물을 통해서 내면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미술수업은 학생의 정서순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개개인의 내적인 갈등을 조정함과 동시에 의사소통 및 자기표현, 정서순화 등으로 자아의 성장을 돕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발달의 부조화 상태인 부적응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 부적응 학생 대상의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정서순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주간의 6차시에 걸친 지도계획 및 수업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현장 적용에 주안점을 두었다. 단원을 살펴보기 위해 6종의 교과서를 조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데페이즈망과 콜라주기법을 활용한 ‘미래의 나의 꿈 표현하기’ 수업, 프로타주 기법을 활용한 ‘소원나무 만들기’ 수업, 데칼코마니 기법을 활용한 ‘내 마음속 표현하기’ 수업의 지도계획과 예시작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순화를 위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 활용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심리적 결핍을 보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정서순화 및 정서함양, 자아의 발견,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 개선 등의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즉, 학교 부적응 학생들이 학교와 사회의 규범에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을 확인하였다.

      • 인상주의의 사회 맥락적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변다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다양한 시각 문화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살아갈 학생들이 미술을 삶 속에서 향유하며 즐기고 사회, 문화적 맥락과 미술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도록 하기 위해 인상주의를 통한 사회 맥락적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인 중학교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사회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미술의 개념을 습득하기 위한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인상주의를 통한 사회 맥락적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인상주의의 배경과 프로그램의 필요성, 그리고 미술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상주의를 형식주의적 관점과,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중등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11종 검인정 교과서의 미술의 인상주의 관련 단원과 현직 미술 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감상 수업 현황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미술사를 사회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로는 미술의 사회 맥락 이해가 미술교과에 필요하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교육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인상주의의 사회 맥락적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3가지를 개발하고 적용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도시화·산업화적 맥락의 인상주의 이해 프로그램에서는 인상주의의 도시화·산업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도시화·산업화와 인상주의와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시대적 가치 판단 기준 변화 맥락의 인상주의 비평 프로그램에서는 지금은 명화로 평가받는 인상주의 작품들이 그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음을 이해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서양 미술과 비교하여 인상주의의 특징을 인식하고, 역할극을 통해 기존 화가들과 인상주의자들의 미술 가치 판단 기준의대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두 가지 비평 관점을 이해한 후, 자신의관점으로 인상주의 미술에 대해 비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자포니즘 맥락의 인상주의 이해 프로그램은 인상주의 작품에서 우키요에의 영향을 탐색하고, 우키요에의 영향을 받은 인상주의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감상과 표현 연계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인상주의 작품에서 일본 우키요에와의 영향 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고, 미술에서 문화 융합이 이루어진 사례로써 인상주의를 이해할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인상주의의 사회 맥락적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상주의를 통한 사회 맥락적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는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인상주의의 이해, 사회 맥락적 관점의 비평 능력 향상, 미술 감상 및 미술사에 대한 학습 동기 유발이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 미술 교과 교재의 미술사 관련 내용 및 미디어 추가, 사회·역사 교과와 연계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 미술사와 실생활 맥락의 통합 방법 모색을 제시하였다. 인상주의의 사회 맥락적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표현위주의 교육보다는 미술을 사회 문화적 소통 수단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또한 현실과 동떨어진 미술 수업이 아닌 미술과 사회적 맥락과의 관련성을 스스로 탐구하는 문화인의 육성을 위해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Contextual Aprreciation of Impressionism for students who are living in visual culture society to enjoy Art and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art and cultural context. Also, the study set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for the study subjects, to find instruction to get appreciation of art including valu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and apply it to prov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found the ways to activate the study. For that purpose, in the chapter 2, the background of Impressionism,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re described. For this, the analysis of Impression is presented as perspective of formalism, and contextualism. Also,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impressionsim art class, explanations for social·cultural context of impressionism in art textbooks and the survey targeting middle school art teachers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explanations for social·cultural contxt in art textbooks is less than enough. Also,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most of art teachers think the education to apprehend social·cultural context of art is needed, but it is not taught in real educational situation in schools. In the chapter 3, the art programs for the contextual aprreciation of Impressionism are developed and analysed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he first program is Understanding Impressionism in the context of banization·Industrialization. This program is composed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urbanized and industrialized background of Impressionism. The second program is Criticizing Impressionism by understanding the changed value of the art. In this program, students are to nderstand the art that are now appraised as a masterpiece was not accepted as a masterpiece in the past. for this, ramatizing teaching method was used for students to deeply understand the conflicts surrounding Impressionism in 19c. After that, students criticized Impressionism art in their opinions. The last program is Understanding mpressionism in the context of Japonism. In this program,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influence of Ukiyoe, and make an art work based on the crude element of Ukiyoe and Impressionism. In the Chapter 4, the education effects are found out from the research for developing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contextual appreciation of Impressionism. and the direction toward new advancement in the future is searched. The educational effects from applying those programs are, first, that understandings about Impressionism in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ism. Second, criticizing skills based on social·cultural context are improved. Third, the motivation for appreciation of the fine arts and studying art history is improved. The directions toward new advancement in the future are first, adding contents about art history in the art instructional media. Second, development of art teaching·learning method linking social studies and history subjects. Third, integrating art history and real life.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contextual appreciation of Impressionism will be help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art as an visual communication which contains social·cultural contexts. To cultivate cultured people who seeks the connection between art and social context, various programs and art educational studies must be developed.

      • 유럽의 近代敎育이 바우하우스 미술교육에 미친 영향 연구 : 19세기 유럽(영국,프랑스,독일,미국)의 思想과 敎育을 중심으로

        안상미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831

        19세기 유럽은 산업혁명과 과학의 발달을 원동력으로 참여 인간생활과 문화전반에 걸친 변혁, 그리고 눈부신 경제성장을 보이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제도적인 영역에서 조직단위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근대화를 기저로하여 학문과 기술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고, 교육의 중요성도 점차 높아지면서 국가주도의 공교육이 실시되었다. 오늘날 우리들에게 있어서 인간의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는 당연한 생각이 인류역사에서 볼 때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것은 개혁과 투쟁, 그리고 사상의 진보에 의해 이루어 진 것으로 역사적 발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유럽의 근대 교육이 어떠한 양상을 띠며 교육개념으로서 어떻게 전개, 발전되었는가를 교육사적 입장에서 조명하자 한다. 19세기 이전까지의 유럽의 교육은 특권계층을 중심으로하는 교육적 틀에서 벗어나질 못했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와서는 교육이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의 사람들에게까지 관심을 기울이면서 교육의 대중화를 이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간의 권리로서의 교육이 근대 유럽에 있어서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또한 어떠한 목적을 추구하며 교육의 이념을 정립하였는지 고찰하여 19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한 근대교육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유럽의 내적, 외적인 현상들을 통하여 학문적 지식의 발달과 그 범위를 중심으로 근대교육의 이론적, 사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으로서의 미술교육의 위치와 교육체제를 이해한다. 미술교육은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교육학으로서 짧은 역사를 갖고 있다. 또한 교과과정에서 하나로 정식으로 성립된 것도 19세기 중엽에서부터이다. 미술은 교육 사이에 많은 공통점을 가지면서 교육학으로써의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했으며 새로운 학문으로 탄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세기를 중심으로 하여 유럽의 교육과 미술교육을 탐구하고 분석하여 바우하우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검토하여 현재의 미술교육에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 있어서 논증방식은 문헌적 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19세기 유럽의 교육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바우하우스 미술교육을 논하였다. 바우하우스는 근대 교육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면서 기술, 과학, 지성, 미학등의 모든 지적자원을 토대로하여 새로운 미적 기능을 탐구하였으며, 현실적 문제에 접근하여 교육의 자율성과 능동적인 구조체제를 확립함으로써 미술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면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미술교육의 기초교육과 수많은 조형교육에 지침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현대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본 결과 19세기 유럽의 교육은 근대화를 중심으로 교육의 질적, 양적인 성장을 보였고, 과학화, 심리화,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통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바우하우스는 이러한 근대적 교육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미술교육을 실시했으며, 산업화와 연계하여 미술 전문가 양성에 힘썼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지도방법도 보다 교육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현대 미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제시와 함께 조형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In the 19th,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Europe had developed by organizational unit in the systematic realm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with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reformation over human life and culture. Based on the modernization, study and technology developed rapidly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rose gradually. Consequently the public education was performed by the government. Currently, it is taken granted that people should have the right to be educated, however, it was not a simple matter in the human history. Education right was achieved by the means of reformation, struggle, and the progress of ideas and is positioned at the important part for historical development.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see how the European Modern education, in th 19th century, was progressed and developed as the education concept from the point of educational history. Before th 19th century, European education was limited to the educational barrier just for the high class. However, entering the 19th century, education was extended to the isolated people, so education was popularized. Consequently, in this study, I try to find out how European modern education as the human right was born, how the educational ideology was formed and which idea was pursued, and to study the modern education based on the 19th Europ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position of art education as the pedagogy by looking into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feature of the modern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area of knowledge through the internal and external phenomenon of Europe in the 19th century. Art education has the short history as a pedagogy. Also it is just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when it was established as the formal subject of education curriculum. As Art had many similar points to the education, it secured the unique area as the pedagogy. So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o find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current art education by exploring and analyzing Europea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and reviewing how they affected the Bauhaus systematically based on the 19th century. The method of demonstration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documentary materials and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Bauhaus' art education focused on European education and idea of the 19th century. Bauhaus affected the art education a great deal by accepting the stream of the modern education naturally, by exploring the new aesthetic function based on all the knowledge resource such as technology, science, intelligence and aesthetics, by approaching the practically educational problem and by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liberty and active structure. Also up to now it pursues the new changes continuously not being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makes the constant effort to be the indicator of basic art education and numerous formative educations, so it can be said to have the recent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19th century, European education showe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ontributed to raise the effect of education through scientific, psychological and systematic curriculums. In addition, Bauhaus has performed more professional art education through this modern education and has made effort to raise the art professionals through the link with industrialization. It also suggests the new direction for the recent art education and affects the formative art education a lot by approaching the curriculums and pedagogic more educationally.

      • 숲을 통한 아동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원예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Despi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ical value, which are one of the major issues of modern society, the negative emotions caused by the stresses facing our children in the present educational space, which is far from nature. These problems can be transformed through emotional education that helps to shape their own values ​​and values ​​through beneficial emotional experiences and help them form the right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rest education as a concrete method for art education as emotional education, and presents a positive and happy experience to students by studying art education programs in forests that make and appreciate works made in forests and natural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emotional educational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nalize the values ​​of stability, achievement, self - esteem, communication, empathy, and consideration, which have been obtain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n nature, through the emotional educational effect represented by emotional growth.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nine-year-old children who started to pay attention to natural objects and actual forms and to acquire social skills in elementary school.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emotional education and examin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positive experience of childhood. Because emotions are formed by external experiences and stimuli, they can find emotional ability to find stability and confidence through various and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o know the value of oneself and others. This emotional ability is essential for children to grow up as happy adults. The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promotes emotional expression, confiden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duction of works, appreciation of each other's work, communication with other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hav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 through case stud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forest education institute.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a total of three classes. Through the class application, the children expressed their feelings of nature through the five senses in the forest by art activities such as performance and production. In the group activities that set the topic, they showed the way of accept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opinions. During the class, they were able to fee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showed confidence in expression activities. As the lessons progressed, the children gradually became happy and happy to go out into the forest, and they felt comfortable and secure in the forest. Children who felt intimacy with nature found their own values ​​and preciousnes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ir own trees and looking for their values, and they became positive not only of themselves but also of others as well as m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rt class through nature experience and appreciation in forest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motions. The comfort and happiness experiences of childhood are the basis for raising the strength to cope with any difficulties.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art education through forests will be utilized positively in the school field as a meaningful educational method that can give positive emotions and happy feelings to children by continuing researches and efforts of art education linked with forest experience and forest education. 현대사회의 주요 이슈 중 하나인 자연 환경과 생태적 가치가 가진 교육적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자연과 멀어진 현재의 교육공간에서 우리 아이들이 마주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은 해소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다양한 문제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유익한 정서적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가치와 소중함을 깨우치고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도록 돕는 정서 교육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서교육으로서의 미술 교육을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숲 교육을 제안하며 숲에서 이루어지는 체험과 자연물을 소재로 작품을 만들고 감상하는 숲에서의 미술 교육 프로그램 연구로 학생들에게 긍정적이고 행복한 경험을 선사하고 이를 통해 정서 교육적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는 정서 함양으로 대변되는 정서 교육적 효과로 자연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얻은 안정감과 성취감, 자존감과 서로 간의 소통, 공감, 배려 등의 가치를 내면화 시키고자 함이다. 이에 자연물과 실제적 형태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며 초등학교에서 사회성을 습득해나가는 시기인 9 세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먼저 정서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여 아동기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한 정서 함양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정서는 외적 경험과 자극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하고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을 통해 안정감과 자신감을 찾고 자신과 타인의 가치를 아는 정서적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정서적 능력은 아이들이 행복한 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미술교육에서의 미적 체험은 감정 표현, 작품 제작을 통한 자신감과 성취감의 형성,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며 타인과의 소통으로 배우는 배려와 이해심의 성장을 돕기 때문에 숲에서의 미술 교육은 그 정서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및 해외 숲 교육 기관의 프로그램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실제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차시별 교수-학습 지도안을 계획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3 차시로 진행하였으며 수업 적용을 통해 아이들은 숲에서 오감으로 자연을 감상하고 느낀 바를 퍼포먼스, 작품 제작 등의 미술 활동으로 표현하였다. 주제를 정하는 모둠 활동에서는 서로의 의견을 수용하고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수업 중에는 적극적인 활동 참여를 통해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고 표현 활동에 자신감을 가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아이들은 점차 숲에 나가는 것을 즐겁고 행복해 하였으며 숲에서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다. 자연과의 친밀함을 느낀 아이들은 자신만의 나무를 선택하고 그 가치를 찾아보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가치와 소중함을 발견하였으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도 나와 같이 소중한 존재라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숲에서 이루어지는 자연 체험과 감상을 통한 미술 수업은 학생들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어린 시절의 편안하고 행복한 경험들은 어떠한 어려움이 닥쳐도 스스로 극복해낼 수 있는 힘을 기르는 밑거름이 된다. 앞으로도 숲 체험, 숲 교육과 연계한 미술 교육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으로 숲을 통한 미술교육이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정서와 행복한 감정을 심어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육 방법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미술과 세계사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김수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미술과 세계사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에게 시대의 맥락적 이해와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다변화되고 복합적인 현대사회는 학습자들에게 새롭고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술교육 분야에서도 통합을 통해 지식을 이해하고 나아가 지식 및 경험을 통합하고 공유하여 주체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기록화는 미술, 역사, 사회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 문화를 통합하여 기록하고 있는 문화유산이기에 학교 미술 감상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교육적 성취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통합 교육을 이해하고 미술과 세계사를 통합한 미술 감상을 통해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사전 설문조사에서 미술과 세계사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이 통합적인 사고 발달에 영향을 주고,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학교 현장에서 미술 감상 수업이 더 활발해질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미술과 세계사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세 가지로 첫째, 시대 생활 문화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생활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이 동·서양의 생활기록화를 비교 감상하고 토의·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동·서양 생활기록화의 역사·문화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다. 둘째, 위인 인물 교육을 통한 동·서양 인물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에서는 인물기록화의 의미의 관점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고 인물기록화의 표현방법으로 친구의 인물기록화를 제작할 수 있었다. 셋째, 전쟁 역사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전쟁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에서는 동·서양 전쟁기록화를 비교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분석하고 자신의 가치판단을 바탕으로 비평문을 작성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3장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과 세계사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논하였다. 교육적 효과로는 첫째, 미술 감상에서의 역사·사회적 이해를 증진할 수 있었다. 둘째, 동·서양 기록화 감상을 통해 미술 교과에 대한 흥미를 증진할 수 있었다. 셋째, 미술 감상에서의 미술 문화 이해 능력 및 맥락적 이해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적 교육 현장에서 실시될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 교과와 연계한 타 교과와 통합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수업 매뉴얼을 개발하고 둘째, 통합 교육을 위한 교사 간 협력 방안을 개발하고 셋째, 학교와 연계한 박물관·미술관 교과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미술과 세계사의 통합 교육을 통한 동·서양 기록화 비교 감상 프로그램을 통해 단선적인 지식이 아닌 통합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기르고 현대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는 맥락적 이해 능력을 함양해주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비평할 수 있는 적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미술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지속해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