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용 건축전기설비의 안전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호 嶺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학교시설은 이용자 대부분이 “학생”들로서 어른에 비해 신체적․사회적․정서적 능력에 한계가 있고, 안전에 대한 지식이나 위험을 예측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학교시설의 전기시설물로부터 감전, 화재 등의 전기재해에 쉽게 노출되므로 전기재해를 줄이고 예방하기 위한 전기화재 예방요령과 전기감전 예방요령 및 화재발생시 행동요령에 대한 교육과 훈련은 필수적이다. 또한 이에 못지않게 학생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수업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시설개선을 통한 교육시설 환경개선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안전하게 교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대구광역시교육청 산하기관의 전기안전관리 실태조사를 통하여 전기안전관리 현황 및 화재발생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교육시설의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찾아 위험요소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기관의 전기시설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시설물 사용자인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며, 시설물 관리자는 전기시설물을 신축, 중축, 보수, 유지관리 할 때 초․중․고등학교별 취약특성을 고려하여 전기시설물을 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시설 사용자인 학생․교직원 및 방문객은 학교시설물의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을 숙지하여 안전하게 교육시설을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Most school facility users are students who are limited in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ability compared to adults and lacking for the knowledge of safety or the ability to predict and deal with danger, so they are easily exposed to electrical disaster like electric shock or fire from electric facilities. Therefore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electrical fire prevention tact, electrical shock prevention tact and behavioral tack in fire are necessary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electrical disaster.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through regular improvement of facilities so that students can study in pleasant and safe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thesis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and fire outbreak cases through fact-finding survey of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by an institute under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find a plan for students to be able to use educational facilities safely. It also found the dangerous elements of electrical disaster to present problems by dangerous elements and the improvement. To plan safety from electric facilities in educational institutes and to prevent accident, constant interest in and education of safety are required for students and teaching staff who are the facility users. Facility manager shall manage electric facilities considering the weakness of 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en building, enlarging, repairing and maintaining electric facilities. Also students, teaching staff and visitors who are the educational facility users shall use educational facilities safely being fully aware of the dangerous elements and safety measure of school facilities.

      • 승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 프로그램 구축에 관한 연구

        이성호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Currently, the equestrian industry is less efficient in implementing projects for policy support despite the state's active implementation of the equestrian industry promotion polic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develop operating progra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equestrian industr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sing materials related to operating progra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equestrian industry. The research is expected to promote the equestrian industry and the national economy by proposing ways to establish an operation program to revitalize the equestrian indust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First of all, data such as reports, academic research data, and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and the its has been selected and excluded process. In addition, the collected literature was extracted into the final literature through expert meetings and conducted categorization and keyword analysis through the extracted final literature. Finally by categorizing the problems of the equestrian industry operation program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have been drawn on development measures for activa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way to establish a school equestrian education program to revitalize the equestria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riding by promoting the formal introduction of equestrian sports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program component should be establish a systematic equestrian education operation programs such as horseback riding program, leaders,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and services. The expected effect of the establishment of such an operating program is to enhance the positive image of horseback riding that can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students in growth, and the introduction of horseback riding and curriculum will be expected to expand the base of sports for all. Second, as a way to establish an elite athlete training program to revitalize the equestrian 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 should be extracted from the elite equestrian athletes to achieve effective elite equestrian athletes. Specifically, the program component should be include physical components to improve perform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rider training system. The expected effect is that the improving national sports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ite equestrian athletes, the securing professionalism of equestrian leaders, and establishing an organic system of life-school-elite sports bas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s whit related agencies. Third, as a way to establish a rehabilitation and welfare equestrian operation program to revitalize the equestria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horse riding programs for all ages including disabilities, children,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Specifically, the program component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overall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factors depending on the subject's condition, and it is essential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ism of the leader and to develop and improve facilities and services. The expected effect of establishing a customized rehabilitation and welfare equestrian operation program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m a virtuous cycle of the horse industry market, and achieve economic effects through job creation. Fourth, as a way to establish a leisure and tourism operation program to revitalize the equestria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experience horseback riding for tourists and regular horseback riding. Specifically, the program component should be include improving and introducing leisure and tourism operation programs, expanding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producing passenger horses, training tourism and leisure riding experts, improving horse industry-related laws and systems, and promoting tourism and leisure horseback riding. The expected effect of establishing leisure and tourism management programs is to increase horse riding participation among all age groups, create jobs in the horse industry,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inactive rural cities. 현재 승마 산업은 국가의 적극적인 말산업 육성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정책지원에 대한 사업 집행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승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운영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헌들과 자료를 활용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승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프로그램 발전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승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운영프로그램 구축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승마 산업과 국가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먼저, 현재까지 진행된 승마 산업에 관한 보고서 및 학술연구자료,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문헌들에 대해 선별과 배제의 과정을 거쳤다. 또한, 수집된 문헌들을 전문가 회의를 통해 최종 문헌들로 추출하였고, 추출된 최종 문헌을 통해 범주화 및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분석에서 도출된 승마 산업 운영프로그램의 문제점들을 범주화하여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학교 승마교육 운영프로그램 구축방안으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승마의 체육과 교육과정 정식 도입을 추진함으로써 학생 승마 인구의 증가와 승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승마 프로그램, 지도자, 안전관리, 시설 및 서비스 등의 체계적인 승마교육 운영프로그램이 구축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운영프로그램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승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 하고, 승마의 체육과 교육과정 도입은 학생 승마 인구의 증가와 함께 생활체육 저변이 확대되는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승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엘리트 선수 육성 운영프로그램 구축방안으로는 승마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경기력 향상 요소를 추출함으로써 효과적인 승마 엘리트 선수 육성을 이루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요소로는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신체적 구성요소와 승마선수 육성체계의 구축요소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엘리트 승마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통한 국가 스포츠 경쟁력 제고, 승마지도자의 전문성 확보, 승마와 관련된 유관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생활-학교-엘리트 스포츠의 유기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승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재활승마 운영프로그램 구축방안으로는 장애, 아동·청소년, 성인, 노인 등 전 연령을 대상으로 각 대상들의 목적에 따라 승마 프로그램을 구성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요소로는 대상자의 상태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소를 고려하여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과 지도자의 전문성 함양, 시설 및 서비스의 개발 및 개선으로 나타났다. 맞춤형 재활승마 운영프로그램 구축의 기대효과로는 삶의 질 향상, 말산업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고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승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레저·관광 운영프로그램 구축방안으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험 승마 참여율과 그에 따른 정기승마 참여율을 증가의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요소로는 레저·관광 운영프로그램 개선 및 도입, 시설 및 접근성 확장, 승용마 생산, 관광·레저 승마 전문가 양성, 말산업 관련 법률 및 제도개선, 관광·레저 승마 홍보로 나타났다. 레저·관광 운영프로그램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남녀노소 전 연령층 대상자들의 승마참여 확대와 말산업 시장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제주특별자치도와 비활성화 농촌도시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OSC 기반 공동주택 사업 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성과 관리 체계 구축

        이성호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재 건설산업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남에 따라 기존 현장 중심 생산 시스템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많다. 건설 생산 시스템의 혁신을 위해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Off-Site Construction (이하 OSC) 공법이 대표적인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OSC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공동주택에 OSC 적용은 초기 단계이며, OSC의 생산 방식에 적합한 성과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기존 현장 중심 생산 시스템과의 성과를 비교하여 OSC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성과 지표와 OSC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OSC 맞춤형 성과관리 체계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OSC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best practice 제공을 위해 OSC 프로젝트의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 특성들과 성과 데이터를 축적하여, 추후 프로젝트에서의 벤치마킹을 위한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OSC 기반 공동주택 사업 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성과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OSC 핵심 성과 지표를 정량화하고, 프로젝트 특성과 OSC 프로젝트 단계를 정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OSC 핵심 성과 지표, 프로젝트 특성, OSC 프로젝트 단계가 상호 연계되는 OSC 성과 관리 체계를 구현하여, 성과 영역별, 프로젝트별 시각화된 성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증 데이터 기반 가상 데이터 샘플을 생성하여 개발된 성과 관리 체계의 유효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혁신적인 건설 생산 시스템인 OSC 프로젝트의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처리,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성과 관리 체계는 프로젝트 수행과정을 포함하여 사후 성과 모니터링 도구로서도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중점 관리 대상을 식별하여 향후 성과 개선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best practice를 발굴하여 산업 차원의 OSC 적용 확대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various problems in the current construction industry appear there are many analysis that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system has reached its limit. For the innovation of the construction system, the Off-Site Construction method is emerging as a potential alternative. OSC method is recognized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in construction industry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ctivate the OSC. Application of OSC to apartment housings is at an early stage,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thhe OSC method is required. Performance index that can quantitativ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OSC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OSC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system is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best practice to support decision making in initial stage of the OSC project, a system for benchmarking is needed by accumulating project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data. In this stud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OSC based apartment project. OSC key performance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project characteristics and OSC project phases were defined. Based on this elements, OSC PMS in which OSC KPI, project characteristics and OSC project phases are interconnected is developed. Visualized performance data for each performance criteria and projects can be provided. Validity of PMS was verified by adapting virtual data samples based on empirical data.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established system can collect, process, and analyze data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OSC project. It can also be used as a performance monitoring tool for follow-up stage including the project execution stage. Key performance management targets can be identified to support futur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decision maki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induce the expansion of OSC application at the industry level by discovering best practices.

      • Genetic Association of MBL2 Polymorphisms with Obesity in Korean Population

        이성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Mannose-binding lectin (protein C) 2, soluble (opsonic defect) (MBL2) encodes the soluble mannose-binding lectin or mannose-binding protein found in serum. MBL2 belongs to the collectin family and is an important role in innate immune system. This protein recognizes mannose and N-acetylglucosamine on many microorganisms, and is capable of activating the classical complement pathway. Deficiency of MBL2 i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autoimmune and infectious disea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MBL2 gene and obesity, we genotyped 7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s) in the MBL2 gene using the Affymetrix array chip. Korean subjects (207 overweight/obesity and 148 controls) were recruited from an Kyung Hee Medical Center. One SNP (rs17334270) in the MBL2 gen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verweight/obese group in codominant model adjusting for age and sex (odds ratio, 0.59; 95% confidence interval, 0.36-0.99; p=0.043). Two haplotypes (CGAA of block 1, χ2=4.119, p=0.042; GAC of block 2, χ2=4.483, p=0.034) were also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e. These result suggest that MBL2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obesity in Korean population. 비만 발생은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나 일부 유전적 요인도 관여하고 있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나 청소년의 비만 유병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만은 또한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에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지혈,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체중관리를 하지 못하면 위와 같은 성인병을 유발하는 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Mannose-binding lectin (MBL) 은 선천성 면역계의 중요한 요소이고 MBL의 결핍이 있는 경우에 감염에 대해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BL2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SNP) 중 선택된 7개의 SNPs 의 다형성이 한국인 비만 발생 위험성과 대사성 질환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어피맥트릭스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비만군 (BMI>23)은 148명, 정상군 (BMI<23)은 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MBL2 유전자의 SNP (rs17334270)이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2개의 haplotypes (Block 1의 CGAA, Block2의 GAC)에서도 유의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MBL2 유전자의 다형성은 한국인 비만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 호텔 내부마케팅이 조리 종사원의 조직몰입 및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성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호텔 기업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화?개성화되면서 서비스기업은 그들의 최대과제인 고객만족을 위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와 고객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할 시점에 있다. 이렇듯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내부 마케팅이야 말로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호텔기업 내부마케팅의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의 효율적 관리는 주방조직 전체의 목표를 달성하고 경쟁상황에서 전략적 우위를 차지하는 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호텔 조리 종사원의 내부마케팅 활동요인은 무엇인가를 선행연구를 통해서 밝히고 내부마케팅 요인이 조직몰입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텔 조리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함으로써 호텔 조리 종사원이 내부마케팅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종업원들에게 만족을 주어 서비스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내부마케팅의 구성요인으로는 복리후생제도, 교육훈련,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을 설정하였으며 각 요인들이 서비스지향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특1급 호텔 8곳을 선정하여 호텔조직에 종사하는 조리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통계분석에 사용하고자 하는 설문지는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 연구에는 318부가 활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내부마케팅이 호텔조리 종사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채택 되었다. 내부마케팅의 변수 가운데 복리후생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 보상제도 모두가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호텔 내부마케팅이 호텔조리 종사원의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채택 되었다. 셋째, 호텔조리 종사원의 조직몰입이 서비스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부마케팅 변수 가운데 내부커뮤니케이션, 복리후생제도는 종사원의 서비스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훈련과 보상제도는 영향관계는 기각 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서 기업은 종업원을 내부고객으로 인정하고, 조직에 몰입하도록 하여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하여, 기업의 이익을 최대로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내부마케팅 활동을 실시해야 할 것이며,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개적 변수와 종속변수의 확장을 통한 보다 완성된 연구모형의 개발, 내부마케팅 활동과 종업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규명, 나아가 기업의 재무성과 간의 관계규명 등 지속적으로 폭넓은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이성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economic education for making an economic decision in a rational way is required to deal with the changes. For fulfilling his multidisciplinary economic education must be provided. Multidisciplinary economic education is a program to solve economic problems using knowledge about diverse studies, for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This is based on the higher-order thinking, which is the main goal of social studies and the awar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included in liberal arts·natural sciences integrated curriculum that is being discussed recently.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re is a need for an economic education method appropriate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the economic education program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mproves higher-order thinking of students.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verified if analytical skills, synthetic skills and evaluating skills, which belong to upper-level cognitive abilities, classified by Bloom, were improved by the instruction program. For looking into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the instruction program was applied to 80 second-year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H High School,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in Yangcheon-gu, Seoul City. For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the contents of a social role model were selected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instruction consisted of a Newmann's higher-order thinking improvement principle-based method and an authentic assessment-based assessment principle. To measur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higher-order thinking of students, also, the essay assessment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to compare the results. The pre- and post-essay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upper-level cognitive educational goals for enhancing analytical skills, synthetic skills and evaluating skills were all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total scores and detailed categories. The post-essay assessment result displayed that in relation to analytical skills, there was a decrease in pure errors, which occurred in the pre-assessment. In relation to synthetic skills, answers of the students changed into multi-faceted synthesis from one-sided synthesis. In terms of evaluating skills, also, a consistent standard-based evaluation increased, rather than an arbitrary standard-based evalu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suggesting an economic education strategy for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Moreove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economic education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quantitatively.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study findings are fully reliable, due to the special i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he short frequency of the instruction and the insufficient rigorousness of the pre- and post-test design. Therefore, a further study will need to contribute to spreading the awareness of multidisciplinary economic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remedying these limitations.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변화에 발맞추어 합리적으로 경제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이끄는 경제교육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학문적 경제교육이 필요하다. 다학문적 경제교육은 고등사고력 함양을 목적으로 다양한 학문의 지식을 원천으로 경제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사회과의 주요 목표인 고등사고력 함양과 최근 논의되는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에 담긴 융합교육적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 어울리는 경제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이 연구는 다학문적 접근의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고등사고력을 함양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Bloom이 상위 단계의 인지 능력으로 분류한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이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함양되었는지 각각 검증할 것이다.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고등사고력 함양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 2015년 3월 2일에서 5월 11일까지 서울시 양천구 소재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인 H 고등학교에서 2학년 두 개 학급 8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시된 수업은 고등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다학문적 접근을 활용한 사회적 역할 모형의 내용을 선정하고 Newmann의 고등사고력 함양 원리를 활용한 방법, 참평가(authentic assessment)를 이용한 평가의 원리에 따라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고등사고력 함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수업이 실시되기 전 사전 논술문 평가를 실시하고 수업이 실시된 후 사후 논술문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사전 사후 논술문 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업을 통해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의 고등 인지적 교육목표의 달성 정도가 총점 및 세부 항목 모두에서 의미 있게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 논술문 답안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분석 측면에서는 사전 평가에서 나타나던 순(純)오류가 감소하였다. 종합 측면에서는 일면적인 종합에서 다면적인 종합으로 학생들의 답안 양상이 변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평가 측면에서도 자의적인 기준에 근거한 평가보다는 일관된 기준에 근거한 평가가 늘어나는 경향이 보였다. 이 연구는 고등사고력을 함양하는 경제교육 수업전략을 다학문적 접근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고등사고력 함양효과를 양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다학문적 접근을 활용한 경제교육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 또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라는 특수한 수업환경, 짧은 수업 횟수, 사전-사후 검사 설계의 엄밀성 부족 등의 한계로 인하여 연구 결과가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고 보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고등사고력을 함양하는 다학문적 경제교육의 문제의식이 교육현장에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創價學會와 立正敎成會의 成長에 관한 연구

        이성호 선문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thesis was written for a lesson of mission policy of Unification church of Japan in the completed Testament Age by studying how SOKKA GAKKAI and Rissho Kosei-kai in Japan could have made such a surpri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growth in such short period that not even 100years passed. After Japan'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Nationalism and thought centering on Japanese great king(Tenno) was collapsed, and ideological blank continued. And new western thought, democracy came in Japan. But the most people who have lived by Japanese traditional thought and way of Japanese religious and cultural background couldn't accept easily this new value. Existing religious thought couldn't satisfy the desire of most Japanese people, especially the non-educated and the senior people of the society, having suffered from no value thought. In this chaos, it was SOKKA GAKKAI and Rissho Kosei-kai of Japan, a denomination departed from Nichiren Buddhism that suggested new thought and morality meeting with that time and the people's desire by insisting on absolute belief on Buddha, appealing the pure belief of the beginning of Buddhism to the people. SOKKA GAKKAI appealed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so-called Houkakyou in Japanese as an absolute truth. On the contrary, Rissho Kosei-kai could easily access to with general mass with traditional religious emotion because Rissho Kosei-kai accepted many traditional factors of Japanese people on the course of establishing it. I can summarize the growth factors of these both bands as the following : First, they stressed that the belief on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give on the secular benefits to the believer. For this, the poorer people are economically, the more people came to these churches for the secular benefits. Second, self-confidence that SOKKA GAKKAI and made them occur religious dispute with the other religious group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appeal to many people about their creed. Any way, they could get much support from the popular to form, a political party called Koumeitou by the popular support. On the other hand, Rissho Kosei-kai could botain many believers through the activities concerning of the karman in Buddhism, seeing their background, ancestor Spiritually, and looking through their fortune by the name or birthday. This is a very good example that read the people's emotion and interests and made big growth. Unification church also used well this method as a strategy of missions. Third, it was the stress on social activity very valuable. They practiced the universal value as the original purpose of religion like curing the neighbor's agony and the service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their nation and the whole mankind. Fourth, both bands had many common factors with Japanese religious feeling. Especially, Rissho Kosei-kai obtained many support through their worship for the ancestors. Fifth, they kept having always very active structure by assigning the respective believers under the adequate place of the structure and making them feel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arry through their assignment. Sixth, both bands streesed about the offering, but they made known how the money was spent. This made the believers trust what their band always used for the goodness the money they offered. Seventh, they kept warm relations among the fellows through the meetings being called the name of Zadankai and Houza respectively. Finally, both churches tried to educate men of ability and establish several corporation that could work for their own church in the society. For instance, they are lawyer, politician,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publishing company, etc. They used these for the maintenance of the good image of their band. Our prospect of unification church's missions will be very delighted when we try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and actualize by analyzing the successful points of SOKKA GAKKAI, and Rissho Kosei-kai and grafting them on the unification church's mi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