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 참여도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황은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광양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 4, 5세의 유아와 그 아버지를 대상으로 2018년 1월 4일부터 3월 4일까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와 자녀의 사회성 발달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에 관련된 변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와 자녀의 사회성 간에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4.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가 자녀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최경순(1992)이 개발한 아버지 양육참여도 척도가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안된 것을 사용하였고,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측정도구는 이위환(1994)이 사용한 유아 사회성 발달 검사지중 일부항목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5를 이용하여,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와 자녀의 사회성 발달 수준에 차이 분석에는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그리고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 간에 미치는 영향에는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는 생활지도와 여가활동에서 비교적 높았으나 인지적 성취(학습)지도는 상대적으로 적게 참여하였다. 자녀의 사회성 발달 정도는 전체적으로는 높은 편으로, 하위 요인에서는 안정성이 가장 높았고, 준법성, 자율성순으로 나타났다. 2.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는 자녀의 성별, 연령, 그리고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 월 평균 소득, 맞벌이 여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하위 요인 중 안정성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와 자녀의 사회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 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준법성이 높게 나타났고, 아버지의 여가활동참여가 많을수록 자율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결론을 내리면, 아버지의 가사 및 양육참여도와 자녀의 사회성 발달 간에는 전체적으로 긍정적 상관성이 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난다고 하겠다.

      • 네일숍 최초방문 요인 및 재방문 요인분석

        황은진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소득과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미에 대한 욕구가 부각되면서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패션지향적인 소비생활을 즐기고, 신체의 건강과 각 개인의 미적추구는 삶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 중 네일 아트는 뷰티산업의 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최근 들어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네일관리를 받는 소비자층이 확산되면서 일반인들에게 대중화 되어 네일숍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네일 시장의 경쟁력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네일숍들도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전략적인 측면에서 고객 욕구의 다변화와 개성화에 부응하고자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별화 되고 전문화 된 전략으로 경쟁적 우위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네일숍 고객의 최초방문과 재방문에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여 서비스 개선의 방향과 소비자들의 만족을 극대화하여 최초방문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주고 네일관련 산업의 고객 유치전략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편의 추출에 의하여 대구시에 거주하는 20~30대 네일숍 이용자 314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빈도분석, T-test, 분산분석, Duncan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일숍 최초방문시 직원들의 친절성과 서비스가 최우선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편안하고 안정된 숍분위기, 브랜드와 부가혜택적 요인, 직원의 호감가는 외모와 시간절약 , 기술적 테크닉과 디자인 제공능력, 편리한 교통이나 주차시설 등의 접근성 요인, 할인쿠폰 등 적당한 가격 요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일숍 재방문시 직원들의 친절성과 호감가는 외모가 최우선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기술적 테크닉과 디자인 제공능력, 브랜드와 부가혜택적 요인, 편안하고 안정된 숍분위기, 할인쿠폰 등 적당한 가격, 편리한 교통이나 주차시설 등의 접근성, 간판과 번화가 등의 가시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최초방문이나 재방문시 방문 의도의 가장 중요한 품질은 ‘인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네일숍의 서비스 특성상 고객과 종업원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네일숍 경영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결과에서 보여 지는 것과 같이 직원의 친절성과 함께 호감가는 직원의 외모나 세련된 매너, 시술시 문제해결 능력 등 인적 요인에 해당하는 항목들이 높은 평가로 나타났으며, 네일숍 최초방문과 재방문 의도 까지도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네일숍의 경쟁력은 인적요인에서부터 출발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네일숍의 경영진은 종업원의 네일 기술이나, 서비스정신, 패션이나 헤어 등의 호감가는 외모, 세련된 매너와 교양, 접객법과 상품지식 등 다양한 교육과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다양한 경쟁구도 속에 있는 네일숍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네일숍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하며, 네일숍의 고객확보 전략 과 네일숍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네일산업의 서비스 개발,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Analysis on Factors of First Visit and Revisit to Nail Shop HWANG Eun-jin Graduate School of Design, KYUNGIL University Department of Beauty Business Professor KIM Jeong-won According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mass media, income and cultural level has been improved and desire for beauty has been emphasized. Many people enjoys fashion-oriented consumption which can draw their appeal, and individual pursuit of physical health and beauty covers an important part in life. Nail art is rapidly growing in the area of beauty industry. According to the gradual improvement of life level, increasing number of people take nail care, and demand for nail shops is also suddenly increasing. As there is keen competition in the nail market, nail shops need to meet customers' diverse desire and personality, in the strategic aspect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make effort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with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strategy.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the nail industry to make customer attra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the nail shop customers' first visit and revisit, suggesting improvement plan for service, maximizing customer's satisfaction and having influence upon their intention of first visit and revisit. Data was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by mean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314 nail shop visitors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living in Daegu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actors, frequency, T-test, variance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first visit to nail shops, staffs' kindness and service were a top priority, followed by convenient and stable shop atmosphere, brand and additional benefits, staffs' favorable appearance, time saving, techniques, design capability, access factors such as convenient transportation or parking facilities, and proper price including discount coupons. Second, for revisit to nail shops, staffs' kindness and favorable appearance were a top priority, followed by techniques, design capability, brand and additional benefits, convenient and stable shop atmosphere, proper price including discount coupons, access factors such as convenient transportation or parking facilities, and visibility including a signboard and a busy street. The most important quality to be considered during the first visit or revis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s 'human factors.' For characteristics of nail shop's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nd employees is most important, so success or failure of nail shop management depends upon it. As shown in the result, human factors, such as staffs' kindness and favorable appearance, refined manner,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during nail care, were highly evaluated items. And even an intention of the first visit and revisit to a nail shop is acting as a large facto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competitiveness of a nail shop begins with the human factors, and the management of a nail shop needs to develop various training plans for the staffs' nail techniques, service mind, favorable appearance including fashion and hair style, refined manner and culture, reception method of a guest, and knowledge of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applied as basic data to intensify nail shops' strategies for customer attraction and competitiveness, grasp the present state of nail shops which are in a diverse competitive environment, suggest a direction of the future nail shops, and be helpful for service development of nail industry and marketing strategy setup.

      • 노년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 연구 :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황은진 西江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누구나 노년의 시기를 맞이한다. 노년의 시기는 ‘삶의 마지막 단계’이며, 죽음이 가까이에서 기다리는 ‘인생의 오후’이다. 노화란 나이든 사람에게 찾아오는,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인간이 겪어야 하는 불리하지만 불가항력적인 변화다. 자연의 이치인 노년의 시기는 오랜 세월동안 사회로부터 비밀스런 수치의 기간으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역할이 축소된 노인들을 대하는 태도 역시 부정적이다. 젊은 사람들과 동일한 욕망이나 감정, 성, 물질적&#8228;정신적인 요구 등에 있어서도 노인에게는 호의적이지 못하고 추하고 우스꽝스러우며 혐오스러운 것으로 여겼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부터 벗어나 노년의 삶을 인정하고 포용하며 공존의 삶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작업으로서 노년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노년서사를 통해 다양한 삶에 대해서 인식하고, 감상하는 수용과 창작으로서의 문학교육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현교육으로서 내용 요소의 제재 측면에서는 박완서의 노년의 삶을 다룬 작품에 나타난 ‘휴머니즘’에 주목했다. 형식요소로 매체의 측면에서는 소설을 중심으로 하되 수기 및 일기 형식의 수필과 드라마나 영화, 다큐멘터리와 같은 영상 매체 등 다양한 텍스트를 연계하여 실생활과의 거리를 좁혀 단순히 교실에서 배우는 텍스트라는 한계를 넘고자 하였다. 이해교육으로서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으로 문학을 즐기고 감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고자 하였다. 노년서사는 노년의 삶을 다룬다. 이는 단순히 고령화에 따른 등장인물의 변화뿐 아니라 사회적&#8228;심리적&#8228;경제적&#8228;신체적&#8228;정서적인 측면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인 삶에 대한 접근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년 서사를 통해 세계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윤리적 가치를 세울 수 있다. 나아가 노년서사를 읽음으로써 주체와 객체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며 문학 능력의 신장, 텍스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감상, 총체적 삶의 체험 등의 실용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하여 박완서의 <환각의 나비>, <오동의 숨은 소리여>, <천변 풍경>에 나타난 노인이 처한 현실과 그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과정 중심의 독서 활동을 구성해 보았다. 이러한 활동은 주제와 인물 등에 대하여 학생들의 개인적인 반응과 이해를 이끌어 노년서사를 통해 다양성을 파악하는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신문 기사나 다큐, 자서전, 소설 등 다양한 서사의 형식과 표현으로 이루어진 노년서사의 활용 가능성을 통해 그 문학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우선 노년서사교육은 실제 삶에 대한 교육이기 때문에 생활화로서의 교육이 된다. 청소년인 학습자가 노년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노년의 과거 세계를 구성하고 미래를 상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지적 지식과 상상력의 세련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뿐 만 아니라 서사적 사고와 서사의 생산&#8228;창조의 교육으로서 의미가 있겠다. 또한 노년서사 교육은 문학 읽기의 즐거움과 가치를 얻으며,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정의적 교육의 실천이 가능할 것이다. <핵심 단어> 문학, 교육 과정, 문학교육, 노년, 노년서사, 노년소설, 과정 중심 활동 Every human being arrives at old age. Old age is ‘the last stage of life’ and ‘the latter half of life’ that is waiting death on the corner of the life. It is aging that human being should go through uncontrollable change as time goes by. It has been considered a secretly shameful period in the society for a long time. Also old-aged people who reduced their roles has been neglected and excluded in industrial society and urbanization. In the same desire like youth, emotion, sex, physical and mental desire, est. haven’t been allowed to old age and those emotions of old age have been considered filthy and ridiculous. Beyond this recognition, this study is about educational literature of old-aged description that is the power of work accepting the old age life and coexistence. The goal of the educational literature is recognize the various lives through the old-aged description and acceptance of appreciation and creative writing. For attaining this goal this study focuses on the ‘humanism’ in old-aged novel written by Wan Seo, Park on a subject matter. On the media matter, Novels are on the center and connect with various texts like essays, dramas, documents to pass the limit of texts learned oily in the class. On a method, this study makes the fundamental basis that learners enjoy and appreciate literature through diverse and creative activities Old-aged description treats the lives of old age. This is not only the change of characters of old age, but also the approach of old-aged lives on various aspects: social, psychological, financial, physical and emotional. Through old-aged description, learners are able to recognize the world, form self-esteem and establish moral value. Reading old-aged literature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whole experience of life. Also it helps learners to make better abilities of appropriate understanding about text and literature. Then this study makes reading activity processes with reality of old-aged people and how they deal with that reality with <A Butterfly of Hallucination>, <Hidden sound of a Paulownia Tree>, <Landscape of a Riverside> written by Wan Seo, Park These activities can be a method of attracting individual reac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theme and characters. Learners can find the meaning of literature through the old-aged description that is made of various descriptive form and expression. Education with old-aged description is a real life education. Learners in an adolescent period meet the new world, old age. And to understand the old age, learners make the past world of old age and imagine the future as a indirect experience Through this learners are able to build up cognitive knowledge and decent imagination. Also it is important to think descriptive way, produce description and educate the creativity. Moreover, the education of old-aged description makes it possible to obtain the pleasure and value of reading literature and to be able to practice affective education. Keyword : literature, curriculum, education of literature, old age, old age description, old age novel, activity of process

      • 초등 돌봄 교실 아동대상 채소?과일 섭취 관련 영양교육 실시 및 효과평가에 관한 연구

        황은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돌봄 교실에 다니며 채소·과일의 섭취 및 선호도가 다소 낮은 초등학생들의 식태도 변화 및 영양지식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 하였다. 초등 돌봄 교실에 다니는 초등학생 1,2,3학년 26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주차별로 아동들의 흥미를 끌 수 있고 영양교육에 적극 참여 할 수 있는 채소·과일에 대한 인식변화, 올바른 간식 선택, 요리교실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저학년의 아동들로 진행된 프로그램이다 보니 본 영양프로그램의 참여유도를 위해 워크북, 칭찬스티커를 활용하였다. 영양교육 실시 후 신체계측, 기초혈액검사, 어린이영양지수(NQ)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진행 후 남녀 각각 신장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이는 아동기 특성 상 일반적인 증가로 보였다. 체중 및 BMI 수치도 정상범위 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 또한 일반적인 증가로 보여지며 프로그램 특성상 9월에 시작하여 12월에 끝난 프로그램으로써 기본적으로 입고 있던 옷의 무게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였다. 혈액 검사 결과 중성지방의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린이 영양지수(NQ)는 영양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균형, 다양, 절제, 규칙, 실천 항목 중 다양, 절제, 실천 3가지 항목에서 점수가 증가하였고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전체 점수 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채소·과일의 섭취는 교육 진행 전 보다 채소는 ‘많이 먹는다’, 과일은‘ 매일 2번 이상’의 항목에서 교육 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채소·과일의 섭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소·과일 섭취관련 영양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섭취증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영양교육 진행 후 교육시간, 교육내용, 만족도, 교육 재 참여율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채소·과일 섭취강조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저학년 초등학생들의 식 태도 변화 및 채소·과일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장기에 인식된 식 태도 및 편식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영향을 끼치므로 앞으로도 채소·과일 섭취관련 영양교육이 효과적으로 보완되어 전국 초등학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 시행된다면 성장기 아동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positively the alteration on eating attitude and the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going to the after-school child care service and whose intake and preference of vegetables and fruits was lower, the nutrition educ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The target of nutrition education was 26 children who went to the after-school child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for the body measurement, basic blood test, and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NQ), the preliminary, post, and satisfaction investigation were implemen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study, after the progress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the stature of each man and woman. The weight and BMI figure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normal range, which was considered as a general increase due to the nature of common childhood. As a result of blood test, a tendency was showed that the value of neutral fat reduced, but the meaningful difference did not appear. In terms of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NQ), after carrying 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e score increased show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3 areas of variety, moderation, and practice, among the items of balance, variety, moderation, rule, and practice. After the education was implemented,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appeared higher than before the program, in the items of ‘eating very much’ for vegetables and ‘more than 2 times daily’ for fruits. The tendency that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increased appeared. It was show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related to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ake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re were a lot of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education time, educational contents,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rate in the education. Through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change on eating attitude and preference of vegetables and fruits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influenced positively. Through this study, if the nutrition education related to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would be complemented effectively and be expanded and carried out more actively in national elementary schools, it would be considered that it might help enhance the health of children in growth phase.

      • 만다라 기법에서 매체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뇌파 변화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황은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ndala technique depend on medium for relaxat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udy objects included the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referred OO therapy institute at D university, Dae-gu, and having higher level of anxiety o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rt therapy session has been conducted total of 15 sessions, third a week from April 7, 2008 to May 9, 2008. The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as one of single subject designs was employed, and control phase and treatment phase was alternatively arranged in order to compare to effects. Pictorial puzzle was used during control phase, watercolors was used during treatment phase 1 and colored pencil was used during treatment phase 2. Experimental tool was KMTEC's Biograph Infiniti, and pre and post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each medium would be suggest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α-wave variation was increased both of two condition, It means that both medium could have effect for relaxat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β-wave variation was decreased both of two condition, It means that both medium could have effect for relaxat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ence, mandala technique depending on medium of this research has an effect for relaxat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매체에 따른 만다라 기법을 적용한 후 이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D대학 내 OO치료실에 의뢰된 아동의 어머니 중 상태특성 불안 척도 검사에서 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은 수준인 어머니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08년 4월 7일부터 5월 9일까지 주 3회씩 15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피험자설계 중 하나인 중재비교설계 중에서 교대중재설계를 이용하여, 통제와 중재를 교대로 배치하여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통제기간에는 숨은 그림 찾기를 중립과제로 사용하였고, 중재1 단계에는 수채화물감 만다라를 실시하고, 중재2 단계에는 색연필 만다라를 실시하였다. 전 회기에 걸쳐 대상자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KMTEC의 Biograph Infiniti를 사용하여 활동 전과 활동 후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채화물감과 색연필 모두 장애아동 어머니의 α파를 증가시킨다. 둘째, 수채화물감과 색연필 모두 장애아동 어머니의 β파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체에 따른 만다라 기법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이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한국산 속단(phlomis umbrosa) 추출물의 화장품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황은진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n order to use Phlomis umbrosa(PU) extracts, physiological effect in cosmetics were teste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lomis umbrosa ethanol extract(PUW) and Phlomis umbrosa water extract(PUE) ware higher than 73.2% and 42.5% respectively at 1,000ug/mL concentration. The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of the PUE was more than 9.2% at 1,000ug/mL concentration.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of PUW and PUE ware more than 94.8% and 90.2% at 1,000ug/mL concentration. Nitric oxide radical inhibition activity effect of PUW and PUE ware more then about 57.2% and 51% at 1,000ug/mL concentration.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PUW and PUE ware less then about 5.9% and 3.8% at 1,000ug/mL concentration. 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UW and PUE has a great potential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with a antioxidation effect. 속단(Phlomis umbrosa)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 우수성을 화장품에 응용하고자 생리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속단(Phlomis umbrosa)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1,000ug/m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 73.2% 에탄올 추출물이 42.5% 이상의 전자공여능 효과를 나타났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결과 속단(Phlomis umbrosa) 에탄올 추출물의 1,000ug/mL의 농도에서는 9.2% 효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속단(Phlomis umbrosa) 1,000ug/mL에서 열수추출물에서 94.8%, 에탄올추출물에서 90.2%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 활성의 경우 1,000ug/mL에서 열수추출물이 57.2%, 에탄올추출물은 51.0%의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미백효과 측정결과 1,000ug/mL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 5.9%, 에탄올 추출물이 3.8%의 낮은 tyrosinase 저해활성이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속단(Phlomis umbrosa)추출물을 화장품에 첨가 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므로 한방화장품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학교 과학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한 만화활용수업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은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한 만화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활용한 수업이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과학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P시 중학교 1학년 43명이며, 중학교 1학년 ‘7단원-상태변화와 에너지’단원에 대한 만화 학습 자료를 9차시 분량으로 개발하여 3주간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수업이 교과서 활용수업에 비해 과학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 태도, 자신감뿐만 아니라 수업을 이해하는 정도, 수업내용을 기억하는 정도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특히, 중위집단의 경우 과학학습태도 세부영역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어 만화활용수업이 상위, 하위집단보다 중위집단의 과학학습태도 향상에 좋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만화를 활용한 수업과 교과서 활용수업을 비교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지만 상위, 중위, 하위 집단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하위집단의 경우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10점 이상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하위집단의 개념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상위, 하위, 중위 집단별로 만화활용수업에서 선호하는 학습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별로 적절한 만화 학습 자료를 투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만화활용수업에 대해 거의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위 결과로 볼 때 단순한 흥미유발을 위해 도입단계에 이용되던 만화를 수업전반에 활용한 수업을 통해 다소 어렵고 추상적인 과학개념을 보다 쉽게 접근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