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판적 사고를 위한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황요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미술 감상이라 함은 단지 미술을 향유하고 즐기는 것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미술 감상은 미술을 향유하고 즐기는 것을 넘어 그것의 가치를 판단하고 그것을 언어화 시키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특별히 현대 사회 속에서는 그러한 가치 판단과 언어적 표현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가치 판단과 언어적 표현을 가리켜서 미술 감상의 한 부분으로써 비평이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미술 비평이란 미술 감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비평이 이루고자 하는 것은 미술 감상이 이루고자 하는 것과 같다. 곧 비평이란 수단을 통해 완전한 감상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러한 미술 감상을 위한 비평 능력은 단지 미술 작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여러 매체를 통해 보여 지는 수많은 이미지를 해독하고 판단하고 걸러내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으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능력이다. 이는 단지 미술 교과라는 테두리 안에서 만이 아니라 일생 생활 속 생활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미술 비평의 기능을 이용하여 페미니즘 미술을 감상하고 페미니즘 미술에 기초 하여 현대 광고 속에서 보여 지는 여성의 이미지를 학생 스스로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감상 수업의 모형을 연구하고 제시하려고 한다. 또한 페미니즘 미술 감상 교육을 통해서 단지 여성의 이미지만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것에 멈추지 않고 그보다 확대되어 현대 사회 속에서 보여 지는 수많은 이미지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으로 확대 되리라고 생각된다. Art appreciation includes not only enjoying a piece of art, but also evaluating its value and verbalising the evaluation. These evaluation and verbalisation have become more important particularly in modern society. They constitute a critical part of art appreciation: criticism. Art criticism has the same goal as art appreciation: full appreciation. In other words, it serves as a tool to achieve the goal. The importance of critical appreciation is not limited to artistic areas. Such appreciation helps develop abilities to interpret, analyze, and sort a number of images presented in a variety of media. Without these abilities, one can hardly thrive in contemporary society. In other words, they play key roles in everyday life as well as artistic one.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model of an appreciation class that allows students to practice art criticism in the domain of feminist art and to evaluate various female images in advertisements based on such criticism. The main focus of the feminist art appreciation class is female images. Throughout the class, however, students will not only criticize those images; but also develop abilities to critically examine all kinds of images produced in present-day society.

      •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강박신념의 관계: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황요한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기에 외상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이 이후 성인기에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증상 중 강박신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그 관계 사이에서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 및 환자를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60만 명의 패널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온라인 리서치 전문기관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고,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에서 39세 사이의 성인 총 41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2022년 08월 24일부터 08월 31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410명의 응답 중 불성실 및 무효 응답한 32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7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과 Hayes의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와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통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시행하였다. 둘째,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 강박신념, 특질불안, 초기 부적응 도식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강박신념의 관계에서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 개별 매개효과는 Macro Model 4로 분석했고, 다음으로 특질 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을 순서대로 투입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acro Model 6으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Bootstrapping을 사용하였으며, 재추출한 표본 수는 5,000개이고 95% 신뢰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첫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특질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특질불안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특질불안이 투입된 이후에도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특질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초기 부적응 도식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초기 부적응 도식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초기 부적응 도식이 투입된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초기 부적응 도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특질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특질불안이 초기 부적응 도식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초기 부적응 도식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때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강박신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두 매개변인이 순차적으로 투입된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과 강박신념의 관계에서 특질불안과 초기 부적응 도식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매개 효과는 완전매개 효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이후에 성인기에 나타나는 강박증상과 관련된 심리적 문제들에서 특질불안과 초기부적응도식에 초점을 맞춘 치료의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 experiences that people had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their obsessive belief, one of the many diverse psychological problematic symptoms they might suffer in adulthood, and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on their relationships, thus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psychopathology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t som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a survey to test them. For this study, a survey was requested to a domestic online research institute with 1.6 million panel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24~31, 2022 with a total of 410 adults between the ages of 19~39 who were randomly selected around the nation. The data of 378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nalysis after 32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or insincere or invalid respons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6.0 and Hayes Macro 4.1 programs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and following order: First,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distribution of major variables with each scale tested for reliability (Cronbach’s α). Second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bsessive belie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Thirdly,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obsessive belief were analyzed with the Macro Model 4.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were put in sequentially and analyzed with the Macro Model 6.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as tested through bootstrapping. The number of re-extracted samples was 5,000, and they were tested at a reliability level of 9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rait anxiety,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ti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even after trait anxiety was put in. That is, trait anxie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obsessive belief. Secondly,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arly maladaptive schema,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After early maladaptive schema was put i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That is,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obsessive belief. Finally,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rait anxiety,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arly maladaptive schema, which in tur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After two mediating variables were put in sequentially,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ad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bsessive belief, which demonstrates that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had full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obsessive belief.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in the application of therapies focused on trait anxie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among the psychological issues related to an obsessive tendency in adulthood after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문제구체화 요소 추출을 통한 이공계 예비연구자 연구 설계 교육 방안 개발

        황요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Problem Specification(PSp) elements and then to develop strategies for education about research design using PSp for student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or extracting the PSp elements, I have reviewed 4 journals which impact factors are the highest in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area in domestic or international. A total of 254 articles related to designing methods in 2007-2013 were collected. Also, I have analyzed 14 articles through keyword search as well as 6 books in science education, engineering desig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 have determined 10 stages for the PSp elem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es about the research procedure and carried out Delphi method. First, I have conducted descriptive form survey asking researchers to identify PSp elements in their researches. In addition, the PSp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direct interviews and observing their research meeting. For extracting the PSp elements suitable for education about research design, I hav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form survey, the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nd literature searches. Based on the comparison, 50 elements of PSp were extracted and they are arranged into 8 stag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50 PSp elements, I asked the researchers to rate the usage of all the elements. They responded all the elements highly, 3.97 on a 5-point scale. Also in Rasch analysis, the 50 elements were validated as useful one for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or identifying the usage of the research and the need for education of PSp elements 77 scientists, 71 engineers, & 9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urveyed. The scientists answered that they use elements of ‘gathering research method’, ‘problem representation’, ‘situation sketch’ etc significantly mor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The engineers responded that they use elements of ‘collecting related results’, ‘considering originality’, ‘extracting core idea’, ‘standard determination and grasping limitation’ and all element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modeling’ stages more than scientis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Also, the scientists stated that the elements of ‘searching patents’, ‘prototype or pre-experiment’ were not useful for them. As a part of the needs for education, undergraduate students stated that the elements of ‘searching patents’, ‘standard determination and grasping limitation’, ‘operational definition of variables’ and elements of ‘modeling’ stages were needed to learn research designing. The engineers focused on elements of ‘collecting related results’, ‘considering originality’, ‘situation sketch’, while the scientists emphasized on ‘formulating goal of research’. Moreover, I hav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ists, chemists, life scientists, and earth scientists as well as each field of engineers and electrical or computer engineers.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 strategies for the use of PSp elements in research design were developed. I have modified the order of the stage for PSp for student researcher education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and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ies in the education through expert interviews. All of the elements of PSp were rearranged to fit for education about research design. For ‘Problem Specification Based Learning(PSpBL)’ as a strategy for using PSp elements, 8 worksheets for each of the PSp stages were developed for application. In addition, I have suggested diverse applications for various research fields, PBL experiment class, and research project. They will be applicable in education about research design for training creative researchers in science or engineering. 본 연구는 이공계 예비연구자의 연구 설계 교육을 위해 문제구체화 요소를 추출하고 문제구체화 요소를 활용한 설계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과학 연구와 공학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연구 방법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어떠한 분야의 연구과정은 그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므로 과학적 문제해결과 공학적 문제해결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과학적 연구는 과학탐구로 대변되며 공학적 연구는 공학설계로 대변될 수 있으므로 과학탐구 요소와 공학설계 요소에 대한 문헌조사를 먼저 실시하였다. 문헌조사 대상으로는 국내와 국제 학술지 중 가장 권위있는 관련 학술지를 각 1종씩 정하여 모두 4종의 학술지에서 2007년부터 2013년 사이에 발행된 연구 논문 중 탐구요소, 설계요소, 문제해결과정 요소에 대한 연구가 이뤄진 논문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논문에서 언급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과학교육과 공학교육 도서를 각 2종씩 선정하여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문헌 연구에 해당되지 않은 학술지나 발행 연도가 분석 대상 7년에 포함되지 않은 학술연구 논문 중 연구 방법 요소에 대한 논문을 따로 선정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창의적 이공계 연구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관련된 도서 2종과 관련 논문을 조사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요소를 추출하였다. 과학과 공학 연구 방법 요소와 문제해결 요소 각각에서 연구 설계 교육을 위한 문제구체화 과정에 해당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이공계 연구 방법에서의 문제구체화 요소와 문제해결 연구에서의 문제구체화 요소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81개의 문제구체화 요소를 추출하였고(표 Ⅳ-13), 실제 연구자의 연구 과정과 흐름에 맞게 설정된 10가지 단계에 맞추어 연구의 흐름과 활용 방법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배치하였다. 문헌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제구체화 요소를 추출하였다. 먼저 기술식 설문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자신의 연구과정에서 실제 사용하는 문제구체화 요소에 대해 작성하게 하였으며, 직접적으로 인터뷰를 하거나 간접적으로 연구 과정 및 회의를 참관하며 연구와 연구지도에서 강조하는 연구 설계 방법에 대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기술식 설문 결과와 인터뷰 및 참관 결과를 문헌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를 추출하였고, 요소들 간의 유사성을 검토하여 정리한 뒤 최종적으로 50개의 문제구체화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 요소들을 기본적으로 시간의 흐름과 역할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단계 간 통합을 거쳐 최종 8개의 단계로 정리하였다(표 Ⅳ-25). 이 요소들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50개의 각 요소에 대한 연구자들의 활용 정도를 물어보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토를 위하여 이공계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교수 혹은 연구원 148명에게 각 요소를 연구 과정에서 얼마나 활용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였고, 전 요소에 대해 5점 만점에 3.97점의 활용 정도를 나타내어, 추출된 문제구체화 요소가 이공계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 정밀한 검토를 위해 Rasch 모형을 사용하였더니 추출한 문제구체화 요소 50개는 이공계 연구자들이 많이 활용하는 요소들을 의미한다는 결과를 얻어 문제구체화 요소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문제구체화 요소는 과학과 공학의 연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들이므로, 이 요소들을 이공계 예비연구자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과 교육 대상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전문가로서 과학자 77명, 공학자 71명과 교육 대상으로서 연구중심대학 학부 연구생 93명을 대상으로 각 요소의 활용과 교육 필요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학자 집단은 ‘연구 방법 수집’, ‘문제 표상’, ‘상황 개관’ 요소 등에서 학부 연구생보다 활용 정도가 높다고 하였고, 공학자는 ‘관련 연구 결과 수집’, ‘독창성 고려’, ‘핵심 아이디어 추출’, ‘기준 결정과 제한요소 파악’ 요소와 ‘문제 이해’와 ‘모형화’ 단계의 모든 요소에서 과학자 집단이나 학부 연구생보다 더 많이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학부 연구생은 ‘특허 기술 검색’ 요소에서 전문가보다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그리고 과학 분야에서는 ‘특허 기술 검색’ 및 ‘시제품 제작․예비실험’ 요소의 활용 정도나 교육의 필요가 낮다고 응답되었다. 교육 필요성에서는 활용 정도에 비해 집단 간 차이가 작았으며, ‘특허 기술 검색’, ‘기준 결정과 제한요소 파악’, ‘변인의 조작적 정의’ 요소 및 ‘모형화’ 단계의 모든 요소에서 학부 연구생이 과학자보다 필요성이 더 높다고 하였고, ‘관련 연구 결과 수집’, ‘독창성 고려’, ‘상황 개관’ 요소에서는 공학자가 학부 연구생보다 높은 응답을, ‘목표 정형화’ 요소에서는 과학자가 학부 연구생보다 높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과학의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 별로 요소 활용과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더니, 과학 분야에서는 ‘특허 기술 검색’, ‘사회적 기여 검토’, ‘개인적 가치와 합치도 검토’, ‘문제 범주화’, ‘수직․수평 구조 파악’ 요소에서 대체로 화학자와 생명과학자가 물리학자보다 높은 활용도를 보였고, ‘모형화’ 단계의 요소에서 물리학자가 화학자와 생명과학자보다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응답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관련 지식 구조화’ 요소에서 지구과학자들이 만점으로 응답하여 화학자나 물리학자보다 높은 필요도를 보였다. 전반적인 공학 분야에서는 모든 요소가 다 활용된다는 응답을 얻었다. 공학 분야 비교에서는 활용도와 교육 필요성 모두에서 ‘모형화’ 단계의 요소에서 전자․컴퓨터 공학자와 물리학 관련 공학자들이 생명과학 관련 공학자보다 높은 응답을 보였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문제구체화 50개 요소를 적용한 연구 설계 교육 방안을 세우기 위하여, 전문가들이 많이 활용하는 요소가 연구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예비연구자 사이에 활용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 요소와 예비연구자들이 교육 필요에 대해 높게 응답한 요소를 중심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세웠다. 또한 전문가 협의를 통해 예비연구자 교육을 위한 문제구체화 단계의 순서를 조정하였으며, 문제구체화 단계와 요소에 대한 정의와 활용 방안을 세우고, 교육 적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제구체화 50개 요소를 활용하여 연구 설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문제구체화 기반 학습 방안을 개발하여 각 단계 별로 작성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설계 교육을 위해 문제구체화 기반학습 활동지를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방안과, 연구 분야 별로 적용하는 방안, PBL 실험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 연구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방안을 각각 개발하였다. 기본 적용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예비연구자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으로 문제구체화 8단계의 활동지를 차례대로 연구 설계 과정에서 적용하여 작성하는 것이며, 연구 분야 별 적용은 각 연구 분야에 따라 분야별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많이 활용되는 요소 중심으로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식이다. PBL 실험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은 수업 주제와 시간에 적절하게 요소들을 선별하여 적용하는 방식이며, 연구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방안은 문제발견도구와 연구 계획서 작성을 위한 연구 노트, 참고문헌 노트, 전문가 자문 노트, 연구계획표를 함께 제공하면서 장기간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해 자율성을 강조한 CNP 교수-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황요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Recently, with growing interest in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related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But concrete studies on improvement of autonomic scientific inquiry ability in teaching creativity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s insufficient. Thus, we developed the Curious Note Program Teaching-Learning Model (CNP model) to combine CN with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CN is developed for improvement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We applied the CNP Teaching-Learning Model to two classes in KNU SEIGY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Youth) for eight weeks and observed, reported and analyzed the process that students used to solve scientific problems. We applied the method to another class for 14 weeks and verified the effect of CNP model using the Science Inquiry Ability Test and by conducting interviews, where I focused on changes in students that resulted from their continuous activities in PS process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 for science inquiry ability of our students increased significantly (p<.01). Observation and interview analysis showed students' Problem Finding, Emboding and Solving Ability have increased, and that science inquiry ability, observation ability and scientific thinking ability have improved. Students also learned the scientific method and experienced how scientists inquire through the CNP model, enhancing their ability to acquire scientific knowledge. Therefore, the CNP model is effective for cultivating the inquiry ability that is necessary i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멀티플레이어 게임에 관한 연구

        황요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네트워크의 발달은 게임 분야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싱글 플레이어 게임(Single Player Game)은 멀티 플레이어 게임 (Multiplaer Game)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멀티플레이어게임은 네트워크 게임(Network Game)과 온라인게임(Online Game)의 두 갈래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종류의 게임을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 클라이언트들간의 동기화, 시스템 구성, 인공지능, 해킹, 지연시간 등의 각 부분에 대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 분석하여 각 종류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한다. Advancement of the network it brought a many change even in game field. With like this effect the Single Plyer Game moves to Multi-Player Game. The like this Multi-Player Game B causes to defecate in two types of Network Game and Online Game and it is developmental. In this paper, Against an each portion like this Connection of Server and client, Synchronization of clients,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hacking, Hacking and Latency it analyzes the game of two types.

      • Dy-free 영구자석의 기여도 분석을 통한 불가역 감자 저감 설계에 관한 연구

        황요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최근 자석에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PMSM이 높은 전력밀도, 고효율, 우수한 열 안정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희토류 원소는 가격 불안정과 제한된 공급으로 미래산업으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희토류를 배제한 자석(Dy-free)은 낮은 보자력으로 인하여 온도 특성이 매우 좋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dy-free 자석은 불가역 감자에 매우 취약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dy-free 자석을 적용하여 NdFeB 자석과 동일한 성능과 불가역 감자율을 만족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Hybrid Traction용 전동기에 dy-free 자석을 적용하여 회전자 및 영구자석 형상 설계를 수행하였다. 먼저 불가역 감자에 유리한 회전자 형상인 v-shape type을 제안하였다. 그 후 영구자석에 미소 체적 별 역기전력 기여도 분석을 구하기 위해 새로운 쇄교자속 식을 제안하였고, 이 식을 바탕으로 FEM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영구자석에 미소 체적 별 역기전력을 분석하였고, 불가역 감자 영역을 역기전력 기여도가 낮은 부분으로 이동시켜 불가역 감자를 개선하였다. 이때 불가역 감자 영역을 줄이거나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 2가지를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불가역 감자에 통로 확보를 위해 bridge와 barrier에 강판을 삽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불가역 감자를 개선하였다. 두 번째로는 불가역 감자가 많이 일어나는 지점 앞에 air-hole을 삽입하였다. Air-hole 삽입 시 고정자 코일에서 나오는 자속의 방향을 바꾸어 주어 불가역 감자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불가역 감자율을 개선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 및 감자율을 분석하였고 시작품 제작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PMSMs containing rare earth elements in magnet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ir high power density, high efficiency, and excellent thermal stability. However, rare earth elements have many disadvantages in the future industry due to price instability and limited supply. Also, magnets excluding rare earth (dy-free) have very po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due to low coercive force and are vulnerable to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satisfy the same performance and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rate as NdFeB magnets by applying dy-free magnets. A dy-free magnet was applied to the hybrid traction motor to design the rotor and permanent magnet shape. First, the v-shape type, which is a rotor shape advantageous for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was proposed. Then, a new flux linkage equation was proposed to obtain the back-EMF contribution analysis depending on different micro volume in the permanent magnet. Based on this equation, it was calculated through FEM. Through this, the back EMF per micro volume of the permanent magnet was analyzed, and th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was improved by moving th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area to a part with a low back EMF contribution. To reduce of move th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area, two methods were proposed. First, inserting a steel plate into the bridge and barrier to secure a passage for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At this time, two method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as a method to reduce or move th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area. First, a steel plate is inserted into the bridge and barrier to secure a passage for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The second is to insert an air-hole before the point wher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occurs a lot. Th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area can be mov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from the stator coil when inserting the air-hole. These methods can be used to improve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rate. The performance and demagnetization rate were analyzed through simulation, and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simulation results through the production of prototypes.

      •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황요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drew problems by investigating the cases such as the Sewol Ferry Disaster, MERS and AI (2016-2017) and the laws, regulations and manuals concerning the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CDMH) and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 Headquarters (CDSCH) and reflected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o present measures for improvement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s of disaster response, the same phenomena were repeated, in which CDSCH did not work properly in large disasters,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which do not exist in the law, were established to support the sites, instead of CDSCH and CDMH. In the laws, regulations and manuals, it is ambiguous whether CDMH and CDSCH are permanent organizations or organizations set up for one year, only in case of a large disaster, and it is also ambiguous whether CDMH’s role changes in setting up CDSCH. Also, a problem was identified: Since they provide that CDSCH should be set up,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competent authority, there is little room to allow the operation of CDSCH. In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the U.K., a system was prepared, in which the responsibility for primary response was placed in each region,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and disaster response agency provide support upon the request of the site.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had its proper support function based on expertise, while the disaster management agency prepared the united standards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and served as a coordinator for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s support in case of emergenc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proposed plans for improvements as follows: Tasks in disaster management are divided into tasks in ordinary times and those in case of emergency. The responsibility for disaster management is put to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The disaster management agency inspects the readiness conditions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 ordinary times and supports what is lacking, and the disaster management agency provides support, integrating and coordinating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upon their request in case of emergency. In addition,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oposed: A separate disaster management agency is organized and promoted to the status of an organ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ime Minister or the President. Also, a measure was proposed to give the related financial authority to it and characterize the organization as a “support organization.” CDMH and CDSCH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South Korea’s disaster management till the present; however, they are not free from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control tower. Thus,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relationships so that the concerned agencies can fully play their roles by putt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 primary disaster response to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putting the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is to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concerned with the relevant disaster; allowing the disaster management agency to integrate and coordinate the support between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when a disaster takes place and to inspect the readiness conditions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 ordinary times. 본 연구는 중수본과 중대본에 대해 세월호 침몰 사고, 메르스, AI(2016~2017) 등의 사례와 법령, 규정, 매뉴얼 등을 살펴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사례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반영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대응 사례에서는 대규모 재난에서 중대본이 제 역할을 못하고, 중대본·중수본 대신 법상에 없는 범정부조직이 만들어져 현장을 지원하는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법령과 규정, 매뉴얼에서는 중수본과 중대본이 상설 조직인지, 대규모 재난에 한해 설치되는 조직인지가 모호하고, 중대본 설치 시 중수본의 역할 변경이 모호하며, 주무부처의 필요에 따라 중대본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중대본이 가동될 여지가 적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해외사례에서는 미국과 영국 공히 지역에 1차적인 대응책임을 두고 있었고, 중앙행정기관과 재난대응기관은 현장의 요청에 의해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중앙행정기관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고유 지원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재난관리기관은 재난관리에 관련한 일치된 기준을 마련하고 비상시 중앙행정기관 지원의 조정자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재난관리분야 업무를 평시와 비상시로 구분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중앙행정기관에 재난관리 책임을 지우며, 재난관리기관은 평시에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행정기관의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고, 비상시에는 중앙행정기관의 요청에 의해 재난관리기관이 중앙행정기관을 통합 조정하여 지원하는 것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별도의 재난관리기관을 만들어 국무총리나 대통령산하 기구로 격상하고, 관련된 재정권한을 주는 한편 그 조직의 성격을 ‘지원기구’로 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중수본과 중대본이 우리나라 재난관리에 공헌한 바가 크지만, 그 못지않게 컨트롤타워 관련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측면 역시 존재한다. 이에 1차적인 재난대응 책임은 지방자치단체에 두고, 이를 지원하는 책임은 해당 재난 소관 중앙행정기관에게 두고, 재난관리기관은 재난 발생 시 중앙행정기관 간 지원을 통합 조정하고 평시에는 지방자치단체와 중앙행정기관의 대비태세를 점검하는 역할로 관계를 재설정하자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 DOE와 슬롯 형상에 따른 Capacitor 구동형 단상유도기 효율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황요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커패시터 구동형 단상 유도전동기의 효율 특성 향상을 위한 설계방법으로서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s)과 유한요소법을 병행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토대로 기존모델보다 효율 특성이 향상된 개선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슬롯 형상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커패시터 구동형 단상 유도전동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들을 조합하고 그러한 조합을 통해 나오는 많은 설계 모델들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계방법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과 함께 많은 수의 설계모델들을 해석하더라도 목적하는 설계모델을 못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설계변수의 조합으로 나오는 해석모델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이렇게 줄어든 모델들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위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단순 조합식의 해석에 비해 훨씬 적은 횟수의 해석으로도 목적했던 효율 특성이 향상된 개선모델을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슬롯 형상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연구하였으며 그에 따른 모델을 제안하였다. 실험계획법(DOE)에 의해 제안된 개선모델과 슬롯 형상을 고려하여 제안된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모델 시험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개선모델의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Design Of Experiments(DOE)" and structure of core of single phase permanent split capacitor motor in order to design the high efficiency motor. It is necessary to apply FEM for analysis of a number of induction motor to find reform model. Considering the computation time, however, A number of the analysis models are minimized by using the "DOE". By using the "DOE", efficiency analysis was able to be done. In order to verify suitability of proposed reform model by "DOE" and structure of core. This paper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 value and existing model's experiment result value. The characteristic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FEM.

      • 아우구스티누스의 열망에 대한 고찰 : 『서간』130을 중심으로

        황요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인류의 역사 안에서 인간이 이루어 놓은 업적들을 보게 될 때 경이로움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상상하기 힘들도록 끔찍함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긍정과 부정의 양면의 역사 안에서 겪는 경험들은 인간이 가진 에너지가 얼마나 굉장한지를 자각하게 한다. 육체적인 한계를 볼 때 인간의 존재적인 가치가 대단치 못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인간이 가진 내적인 능력들은 두 가지 상반되는 역사를 만들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인간이 가진 내적인 힘을 인식하였을 뿐 아니라 이러한 힘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를 성찰한 성인이다. 이렇게 무엇을 행하고자 하는 인간의 내적인 힘을 열망이라 할 때, 열망의 방향은 인류의 역사를 좌우하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바라는 바가 간절하다면, 육체적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그것을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이루어 내었다. 이 때 역사를 결정짓는 원인은 인간의 열망이라고 본다. 『고백록』1권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어릴 적부터 가졌던 두 가지 상반된 내적인 힘을 체험하였던 것을 기록하였고, 영원하시고 전능하신 하느님께 있는 그대로 이러한 내적인 힘의 관리를 맡겨드리고자 하였다. 특별히 이는 그의 고백록에서 “당신을 위해서 우리를 내시었으니, 우리는 당신 안에서 쉬기까지 잠잠할 수 없습니다.”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통해 그의 내적인 에너지는 당시 로마의 몰락이라는 걷잡을 수 없이 변화무쌍한 시대 안에서 교회와 세상의 평화를 이루고자 노력했었고, 그 열매는 교회 신학의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는 자신의 열망을 훈련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도 생활을 중요시 하였다. 윤리적 신학적 회심을 겪은 이후에 그는 모든 세속적인 열망에서 떠나기 위해 수도생활을 택하였던 것이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그는 『절제론』에 관한 글을 썼으며, 이 작품을 통하여 인간이 지닌 열망에 대한 그의 성찰을 살펴볼 수 있다. 성인은 이러한 성찰 안에서 자기 자신, 곧 자아의 측면에서 인간이 가진 두 열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에 따르면 이 두 열망이란, 곧 영혼이라고 불리는 내적인 자아가 가진 열망과 육체라고 불리 우는 외적인 자아가 가진 열망으로 나뉜다. 이 두 자아가 가진 열망에서 생겨나는 갈등에서 인간은 언제나 온전히 쉴 수 없는 상태에 있음을 보게 된다. 인간은 열망으로 인해서 에너지를 얻는 반면, 그 방향이 올바르지 않을 때는 오히려 그 에너지로 인하여 스스로를 해치기도 한다. 이는 열망의 방향의 문제를 성찰하게 만들며, 참된 행복을 얻기 위해서 열망을 훈련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그는 참된 행복은 참 선을 추구할 때 이루어지며 참 선이신 하느님을 있는 그대로 뵙게 될 때 성취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러므로 열망의 대상은 영원하고도 완전하신 하느님을 향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열망의 훈련을 위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도라는 방법을 제시했다. 『서한』130에서 등장하는 과부인 프로바의 모습에서 인간이 세속적인 부귀를 누림에도 불구하고 참된 행복을 위해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그녀는 자신의 부유한 현 상황에 만족하지 않고 기도를 배우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그녀의 순수한 열망에 아우구스티누스는 기쁜 마음으로 영적인 훈계를 서한으로 전한다. 비록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도를 위한 주제로 작품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사목적인 가르침 안에서 기도에 대한 그의 사상을 들여다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인의 가르침의 핵심은 기도의 목적이 참된 행복을 성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참된 행복을 성취하기 위해서 인간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며, 이러한 노력을 위해 인간의 열망이 육체적인 열망에만 국한되지 않고 두 자아의 열망이 모두 실현될 수 있는 열망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기도를 통해 훈련하기를 권고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작품을 통해서 인간이 지녀야 할 열망에 대해서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out history of human, we have experienced not only radical amazement, but also unimaginable horribleness. The experi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make us recognize how great the power haman have is. According to the limitation of human condition, internal human power builds two conflicting history, while existential value could be considered as not immense entity. Augustine was the saint who cognized the power of the internal human power and reflected how to manage the power. The internal power that human wants to something refers to desire, and the direction of desire is driving power of affecting human history. In case human desire is desperate, they overcome every obstacle including physical limitation of body with every ways and means. From this aspect, human desire is fundamental element deciding history. In 『Confessione』 Book 1, St. Augustine mentioned that he had experienced two conflicting internal power since childhood. As his expression of “quia fecisti nos ad te et inquietum est cor nostrum, donec requiescat in te.” St. Augustine left the management of internal power itself to eternal and almighty God. His internal power made an effort to achieve peace in the Church and world whi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ology of the Church. The continuous internal training provided a backgound for the result of his effort. As the part of the effort, he began monastic life in order to abandon every earthly desire, after moral and theological conversion. 『De Continentia』 is the work revealing his view of human desire. Also from the view of one’s own self, he examined that the desire possessed by human is divided into two realities of internal self called soul and external self called body. The human is a being which always stays is in the confliction caused between the two desire. Human being is encouraged by power of desire. At the same time, when the direction of the desire is wrong, human being damages oneself with the power. In this aspect, the direction of desire should be prudently reflected and trained in order to gain true happiness. Therefore, the object of the desire needs to be heading for almighty God. He stressed that prayer is a proper way to train desire. In 『Epistola』130, Proba, who was a widow and sold inherited several possessions to give the money to the Church and to the poor, proved that human being needs to make an effort to gain true happiness regardless of earthly wealth. She was not satisfied with an affluent life, but to eager to learn how to pray. Her enthusiasm for pray led St. Augustine to send letters for spiritual direction with a glad heart. Even though he did not wrote works related to prayer, the letters reveal his though concerning prayer in pastoral teaching. The core of this teaching is that the purpose of prayer is to gain true happiness. He suggested that human being has to make an effort to gain true happiness, and train self by expanding human desire not limited to physical power, but realized simultaneously though internal and external power. Therefore, through this work, we can mediate about the desire which human being must have.

      • 비인격적 감독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황요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둘째,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부하들의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변수와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적합한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 내 관리직 근로 가설검증은 다음과 같은 통계기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변수의 타당도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분석, 변수 간 인과관계는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가설 1과 2는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 가설 3과 4는 계층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에 의해 검증하였다. 설정된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로서 권위주의적 성향이 심리적 계약위반에 비해 부하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조직몰입에 비해 직무만족에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부하들의 자기효능감과는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회복탄력성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가 낮거나 인정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에 대한 영향력에 부하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연구모형을 제시함으로서 연구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실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에 대한 영향력은 부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본다.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s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impersonal supervision on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ubordinate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ersonal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upervisor's impersonal supervision, research variable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research model was presented. In the empir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techniq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ggest ways to solve real problems that arise in relation to impersonal supervision.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targeted at management workers in companies located in Gyeonggi-do.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techniques. Validity of variables was verified u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was verified by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and causality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Hypotheses 1 and 2 were verified by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hypotheses 3 and 4 were verifi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test results of established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upervisor's impersonal supervisory behavior, authoritarian tendencies have a higher negative effect on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In particular, it has a higher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s impersonal supervisory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shown that the subordinates' self-efficacy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particular, it appears that self-efficacy has a higher modulating effect than resilience. However, the modulating effect of resilience is low or not recogniz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secured by presenting a research model that considere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subordinates in the influence of superiors' impersonal supervisory behavior. Second,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upervisor's impersonal supervisory behavior and suggested a wa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Third, since the influence of the superior's impersonal supervisory behavior differ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bordinates,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taking this into accou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recent impersonal supervisory behavior of superiors and to secure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