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화 제시 유형이 중학생의 정의적 반응 및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선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독해 지문 내용과 관련된 만화를 제시하는 방법의 차이가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과 영어 독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 교육에서 효과적이고 발전적인 방법을 통한 영어 독해 지도를 장려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91명을 대상으로 한 독해 지문의 맨 처음에 뭉치 유형으로 만화를 제공한 뭉치 집단과 지문의 사이사이에 개별 유형으로 만화를 제공한 개별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통제 집단으로 일반적인 문자로만 구성된 독해 지문을 제공한 문자 집단을 설정하였다. 세 집단 모두 사전 검사에서는 흥미도, 동기, 자신감 영역으로 구성된 정의적 반응 검사와 문자로만 구성된 지문으로 독해 능력 평가가 실시되었다. 사후 검사에서는 뭉치 집단과 개별 집단에게만 정의적 반응 검사에서 만화 관련한 추가 설문지가 제공되었으며, 영어 독해 능력 평가에서는 지문 관련 내용의 서로 다른 유형의 만화가 제공되었다. 결과 분석에는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통계프로그램(SPS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문 내용 관련 만화가 함께 제시되었을 때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인 흥미, 동기, 자신감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만화 제시 유형이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만화가 제시된 뭉치 집단과 개별 집단에게만 사후에 흥미, 동기, 자신감 영역에서 각각 3개씩 추가하여 설문하여 비교한 결과, 흥미 영역은 뭉치 집단과 개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동기와 자신감 영역에서는 만화를 뭉치로 제공한 뭉치 만화가 만화를 개별로 제시한 개별 만화보다 학습자의 동기와 자신감 부분에 좀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셋째, 독해 능력에 있어서는 지문 내용 관련 만화가 함께 제시된 뭉치 집단과 개별 집단이 문자 집단보다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뭉치 집단과 개별 집단의 독해 성적을 비교했을 때, 개별 집단보다 뭉치 집단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므로 영어 독해를 할 때 개별 만화보다는 뭉치 만화가 독해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독해를 할 때 읽기에 대한 높은 흥미, 동기,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문과 관련된 내용의 만화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만화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므로, 다양한 만화 제시 유형을 개발하여 영어 교육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후에 추가 설문지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독해에 대한 동기나 자신감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특히 뭉치 만화를 지문과 함께 제시하기를 권장한다. 셋째,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 향상에 만화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뭉치 만화 유형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는 결과를 토대로, 영어 독해 활동 시 뭉치 만화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색들을 사용한 만화나 실사를 활용해 볼 것을 권한다.

      • 식음료 섭취가 구강내 산생성균의 활성도와 타액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선영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청량음료나 과일쥬스 등 각종 음료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1970년대 초부터 유산균발효유의 시판과 스포츠 음료 등 기능성음료의 관심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음료의 주 소비계층이 어린이 및 청소년이므로 유치 및 영구치의 손상이 우려된다. 이에 저자는 시판되는 각 식음료 간에 우식유발 가능성을 비교하기 위해 서울 소재 치과의원에 구강검진을 받기 위해 내원한 20-40대의 남, 여 자원자 30 명을 대상으로 구강내 산생성균의 변화와 타액의 pH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대상 식음료는 국내에서 시판중인 3종류의 음료와 직접 제조한 33% 자일리톨 용액으로 하였으며, 시판중인 음료는 탄산음료(코카콜라)와 알칼리음료(게토레이), 유산균음료(야쿠르트)를 실험음료로 선정하였다. 각 식음료의 섭취 전과 섭취 3 분 후, 섭취 30 분 후의 구강내 타액을 채취하여 개량 스나이더 검사와 타액 pH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2.0 한글판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본페르니 검정을 사용하여 개량 스나이더 검사와 타액 pH 검사 후 식음료간의 결과를 비교 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개량 스나이더 검사 결과는 33% 자일리톨 용액 섭취 3 분 후와 30 분 후에서 탄산음료, 알칼리음료, 유산균음료의 섭취 후에 비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2. 개량 스나이더 검사 결과의 3 일간 합은 33% 자일리톨 용액 섭취 3분 후와 30 분 후에서 탄산음료, 알칼리음료, 유산균음료의 섭취 후에 비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3. 33% 자일리톨 용액 섭취 3 분 후와 30 분 후의 타액의 pH는 다른 음료 섭취 후의 pH에 비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4. 유산균 음료 섭취 3 분 후의 타액의 pH는 탄산음료와 알칼리음료 섭취 후에 비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30 분 후에는 알칼리 음료 섭취 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식음료 섭취시에는 가급적 자일리톨 용액이 함유된 식음료의 섭취를 권장하며, 탄산음료 뿐만 아니라 알칼리 음료도 스나이더 검사 결과와 타액 pH 검사에서 모두 우식유발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기에 가급적 섭취를 제한함이 권장되었다. The author has performed the clinical test for beverages influenced to caries activity. 30 volunteers age in 20S to 40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for 4 days by Modified Snyder Test and salivary pH test before and 3 or 30 minutes after the beverage intake, one day by one days. Cola, Alkaline beverage, Yokurt and 33% Xylitol solution were used as the selected beverages, and the results of Modified Snyder Test and salivary pH were measured to compare each other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Modified Snyder test on 48 hours incubation was lower in Xylitol solution intake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 both in 3 and 30 minute's after drinking each beverage. 2. The average score of the 3 day's sum of the results for Modified Snyder test was lower in Xylitol solution intake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both in 3 and 30 minute's after drinking each beverage. 3, pH level was higher in Xylitol solution intake group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5), both in 3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drinking each beverage. 4, pH level of Yogurt intake group was revealed as higher than those of the results of the groups in 3 minutes after Cola and Alkaline beverage intake (p<0.05). and in 30 minutes after Alkaline beverage intake (p<0.05). As the results aboved, it was recommended to use Xylitol contained beverage and to limit to use the other beverages, in order to prevent the dental caries.

      • 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과 일반 건청 아동의 음악 선호도에 대한 비교 연구

        황선영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examine music preferences of schoold-aged cochlear implant (CI) recipients in comparison with normal hearing (NH) children. Participants were 12 CI recipients and 155 NH children. CI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Seoul and they had cochlear implants for longer than two years (M= 4.7). NH children were randomly sampl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Anyang.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and rate their music pre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58.33% of CI recipients preferred child voices, 71.61% of NH children preferred adult voices. For preferred singers, a greater portion of both groups preferred female singers over male singers. For preferred frequency range, both of CI and NH groups preferred higher frequency. Among vocal only, instrumental only,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91.67% of CI recipients and 73.55% of NH children were found to prefer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With regard to preferred musical styles, while CI children gave the highest rating (M= 3.58) to Korean folk songs on the 5-point Likert scale, popular music and TV and soundtrack music were found to be the highest-rated styles (M= 3.83) for NH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rated music preferences of CI recipients may be affected by a musical environment that these children have experienced. The results also implies that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musical input and experiences would significantly affect future music preferences and appreciation of CI children.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music preferences of CI recipients in comparison with NH children,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his population. 본 연구는 인공와우를 이식한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음악 선호도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최소 2년 전 서울 S 병원에서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학령기의 아동 중 설문 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12명과 안양에 위치한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5학년 학생을 무작위 추출하여 모인 155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 방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음성 선호도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58.33%가 아동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반면 건청 아동의 71.61%가 어른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고, 성별에 따른 음성 선호도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91.67%와 건청 아동의 56.77%가 여자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음고에 따른 선호도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58.33%와 건청 아동의 69.68%가 높은 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연주 형태에 따른 선호도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91.67%와 건청 아동의 73.55%가 악기와 목소리가 공존하는 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장르별 음악 선호도는 리커드(Likert scale) 5점 척도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그룹은 3.58점으로 민요를 선호하는 반면, 건청 아동그룹은 3.83점으로 대중음악과 TV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인공와우의 특성과 음악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결과로 음악 환경에 의해 인공와우를 이식 받은 아동의 음악 선호도가 변화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인공와우를 이식한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음악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 재활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조직구성원의 자사 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온라인 자사 기업정보 탐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현대건설을 중심으로

        황선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많은 기업은 외부 고객뿐만 아니라, 기업의 조직구성원도 중요한 내부 고객으로 여기고, 내부 브랜딩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된 많은 연구는 내부 브랜딩 활동으로 변화하는 조직구성원의 반응에 치중됐다. 기업의 홍보 메시지를 추구하는 조직구성원의 행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부 브랜딩 분야에서 최초로 조직구성원의 자사 기업의 호감도와 기업정보(온라인 광고, 퍼블리시티, 홈페이지 등) 탐색활동의 관계 분석을 통해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자사 기업에 대한 호감도는 브랜드 선호의 대표적 개념인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의 2가지 차원에서 평가될 수 있으며, 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관여도와 연계되어 정보탐색활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자사 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자사 기업정보 탐색활동, 특히 온라인 광고, 퍼블리시티, 홈페이지 등을 탐색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구성원의 자사 기업에 대한 호감도(브랜드 태도와 감성적 애착)는 자사 기업정보 탐색행동(탐색량, 탐색방향, 탐색의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구성원의 자사에 대한 감성적 애착이 브랜드 태도보다 정보탐색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속성 중 근속기간과 직급은 자사 기업에 대한 호감도(애착과 브랜드태도) 정보 탐색행동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의의는 내부 마케팅 효과에 대한 연구들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조직구성원의 기업정보 탐색활동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향후 조직구성원의 속성을 고려한 내부 브랜딩의 단서를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향후 내부 브랜딩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탐색행동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핵심어 : 내부 브랜딩, 브랜드 태도, 감성적 애착, 정보탐색, 구성원 속성

      • 보육교사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 전문성의 관계 :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선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professionalism such as knowledge, performance and attitude, and to look into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from this relationship. A questionnaire targeting 265 Child-care teachers in D city who are employed in child-care centers of nation and public, private, corporate, home and in workplace was conducted, from which 253 copies were used for a research data analysis. The scales of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growth mindset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Also,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Second, an examination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showed that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teachers themselves and of early children the higher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support environment for the autonomy and decision making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Third, a group of higher growth mindset showed that the lower the relationship with director the higher teachers’ professionalism rather than their close relationship. However, on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ith low growth mindset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port environment for professionalism. Also,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at the growth mindset increases static influence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ffected by support environment for their autonomy and decision making.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quality to be effectively displayed, this study suggests that a change to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director is needed, and the latter’s effort for creating autonomous and permissive job environment should be strengthene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building up atmosphere of child-care center and planning teaching support to promote the growth mindset of child-care teachers as well. 본 연구는 보육교사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 전문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에 근무하는 국공립, 직장, 민간, 법인,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253명의 자료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사 전문성, 전문성 지원환경, 성장 마인드셋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 t-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 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 자신과 영유아에 대한 기대가 높은 환경일수록 교사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율성과 의사결정이 높게 지지되는 환경일수록 교사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 전문성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낮은 집단은 전문성 지원환경의 수준에 따른 교사 전문성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장 마인드셋이 높은 집단은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가 높을 때보다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가 낮을수록 교사 전문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성과 의사결정 지원환경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을 성장 마인드셋이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육교사가 가진 전문적 자질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보육교사와 원장과의 관계에 있어 수평적 관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자율적이고 허용적인 직무환경 조성을 위한 원장의 노력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성장 마인드셋을 증진시키는 어린이집의 분위기 조성 및 교육 지원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음악과 감상영역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황선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people say, Music education is music listening, appreciation education may mean music listening itself. If we say music education is to achieve educational through audio activities, appreciation education is highly valuable. Accordingly, assessment of appreciation, which assesses the profess of the development of an ear to listen to music, requires definite subjects of assessment, analytical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specific evaluation and continuous evaluation. That is, as a procedure of teaching and learning, appreciation assessment needs new form of evaluation that leads students to participate,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classes, manage their learning, and set the goals and directions of learning by themselves.Thus this study organized a music appreciation portfolio assessment system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following contents and procedure in order to propose an assessment system improvement plan utilizing portfolio aiming at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music education. The first chapter reviews the need, purpose and applications of the portfolio assessment, one of the in-classroom assessment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s.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in-classroom assessment, guidances for appreciation of music, and various types of the in-classroom assessment being used thereby. In addition, this chapter describes in details the roles and applicability of the portfolio assessment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eachinglearning theories, for the music appreciation classroom. The third chapter selects the contents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portfolio and then, reorganizes a pedagogic guide, so that the portfolio for appreciation of music can include appreciation table, group activity table, mutual assessment paper, self-assessment paper, music appreciation diary, survey report, etc. In order to help teacher and students exchange opinions with each other in the music appreciation classroom, an individual assessment record was designed for each piece of music. An entire record was designed for teachers to assess every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for in-classroom activities. Thus, students may feedback the assessments into their learning process, while reflecting on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s advice, while teachers may find their teaching problems and correct them. The conclusion chapter discusses the results of students'' in-classroom activities and their designed portfolio. In addition, this chapter sums up students'' thoughts based on their answers to a questionnaire after their classroom with the portfolio applied. 음악교육은 감상으로부터라는 말이 있듯이 감상교육은 음악 감상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청각을 통하여 교육적 의미를 얻는 것이 음악교육이라 할 때 감상 교육의 가치는 매우 크다. 따라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귀가 형성되는 과정을 평가해야 하는 감상평가는 분명한 평가 대상과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평가, 구체적인 평가, 계속적인 평가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즉 평가는 교수·학습의 한 과정으로서 학생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수업에 책임감을 갖고, 자신의 학습을 관리하며, 학생 스스로 학습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 가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음악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평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초등학교 5학년 감상 포트폴리오 평가 체제를 다음과 같은 내용 및 절차를 거쳐 체계화하였다.제 1장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방법 중 하나인 포트폴리오 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및 활용 계획을 제시하였다.제 2장에서는 수행평가의 의미와 특징, 감상 과제의 지도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유형에 대해 기술하였다.또, 구성주의적 교수-학습관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시되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음악 감상 수업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상세히 기록하였다. 제 3장에서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될 내용을 선정한 뒤 교수학습지도안을 재구성하였다. 음악 감상학습을 위한 포트폴리오에는 감상학습지, 모둠 활동지, 상호평가지, 자기평가지, 음악 감상일기, 조사보고서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음악 감상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정도를 교사와 학생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개인별 평가 기록지를 만들어 감상곡별로 활용하도록 하였고, 교사는 모든 학생의 성취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체기록부를 만들어 수행평가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은 개인의 학습활동에 대한 충분한 반성과 교사의 조언으로 후속 학습에 피드백이 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사 역시 자신의 수업의 미흡한 부분을 찾아내어 보완할 수 있는 자료의 역할을 하였다.결론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실제 수업과 그들이 구성한 포트폴리오를 관찰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음악 감상수업을 마치고 나서 몇 개의 문항에 답한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생각을 파악하여 정리하였다.

      • 1980년대 이후 한국연극에 나타난 '자연스러운 연기'에 관한 연구 : 수용과 발전 과정에 나타난 오해와 한계, 그 보완점에 대한 제시

        황선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한국연극계의 일상을 소재로 한 연극에서 보여지는 연기양식인 자신을 투영하여 인물을 구축하는 ‘자연스러운 연기’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배우의 시각으로써 지금의 자연스러운 연기의 출발과 현상을 되짚어 보고 그 보완점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한국연극계에서 일상의 이야기를 무대 위에서 다루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무대 위 일상의 삶의 재현은 현실의 삶과 유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기 또한 지극히 일상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에 가까워지고 배우의 연기는 자연스레 일상을 살아가는 현재의 자기 자신을 투영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우는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인물의 형상화에 적극 활용하게 되면서 말은 일상어와 비슷해지고 움직임도 일상과 다름없이 자연스러워진다. 이러한 연기는 무대 위의 사건이 바로 여기서 일어나는 듯한 현장감과 생동감을 발생시켜 관객이 배우의 연기가 자연스럽다고 인식을 하게 되는 바탕이 된다. 한국연극계에서 1980년대부터 확인되어지는 이러한 자연스러운 연기에 대한 추구는 1990년대에 들어 사회적 변화에 의해 일상의 이야기를 다루는 연극이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크게 확산되게 된다. 더불어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전문연기교육자들의 미국 메소드연기와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의 교육은 국내 연극교육계에 ‘자기로부터 출발하는 연기’의 체계적인 교육기반이 되어 주었다. 하지만 무대 위 자연스러움에 대한 추구는 때로는 지나친 자연주의를 형성시켜 배우들은 사실성의 도구가 되기도 한다. 게다가 일상에서와 같이 말하고 행동하는 연기가 자연스럽고 사실적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는 배우는 무대라는 허구의 공간성을 잊고 호흡과 발성, 발음, 신체적 움직임 등을 모두 일상화시킨다. 이로 인해 연기의 자연스러움만을 지향하는 배우는 다양한 양식적 연기를 소화하지 못하고 극의 거시적이거나 유형화된 인물들을 일상적 인물들로 축소시켜 버린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연기의 오해로 인한 한계성의 보완으로 배우는 현실과 무대에서의 사실에 대한 개념이 서로 다름을 새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연기의 자연스러움 또한 철저한 인물의 분석에서 시작됨을 알고 인물분석 없이 자신의 모습으로 연기하는 태도를 피해야 한다. 여기에 자신의 연기가 지나치게 일상으로 흐르지 않게끔 관찰자적 자아의 인식을 가지고서 자신의 연기를 지켜볼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자연스러워야 한다는 개념아래 소홀하게 대해지는 배우의 호흡, 발성, 화술, 움직임 등의 기본적인 훈련들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한편 작품의 주제를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배우의 자세는 연기의 자연스러움만을 추구하는 혼자만의 만족감에 그치지 않게끔 해준다. 나아가 대학의 전문화된 교육과정의 확립은 배 우가 하나의 연기방법만을 고수하지 않고 다양한 연기양식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적으로 유연성을 갖춘 배우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작가와 연출 또한 일상의 빈약한 이야기거리의 반복에서 벗어나 우리의 삶을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출 때 그러한 작품을 함께 공연하는 배우의 연기도 단순한 일상의 재현이 아닌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보완점의 인식을 통한 배우의 자기성찰과 개발은 자연스러운 연기를 함에 있어서도 연기가 일상으로 떨어지지 않는, 발전적인 배우를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natural acting' in the theaters in Korea, which is defined as a type of acting method that builds up a character by projecting actor/actress's self on it and is especially shown in the today's theater showing daily lives in Korea. Thus, the study first looks back at the beginning of 'natural acting' & its phenomenon from the actor/actress's point of view and then suggest a complement to the drawbacks. As daily lives gets to be performed more and more often in the theater, the representation of life on the stage gets to have more similaraties to the life in the real world. As a result, the acting becomes closer to representing very daily lives as real as they are and then it naturally comes that the actor/actress projects himself/herself that currently lives in the daily life onto the character. Therefore, the dialogue of actors/actress are relative to our everyday world and the motions are not forced as it is a natural application of their emotions and impulses to the characterisation of features. This performance brings realism and liveliness to the stage, providing a background for audiences to be able to relate to which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 audience recognising the acting to be natural. The pursuit to this natural acting to be examined in the Korean theatrical world in the 1980's is widely spread as plays to be performed with routine stories are suddenly increased due to the social changes in the 1990's. In addition, the American method acting & the Stanislavski system made by specialized performance educators since 1980's are helped to be the educational foundation as 'the performance starting from self' in the domestic play education world. The pursuit to the naturalness on stag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 this Korean theatrical world makes actors a tool of reality by forming the excessive naturalism every now and then. Furthermore, actors/actress who apply this natural method of acting, using everyday words and emotions will also use realistic and natural breathing, voicing, pronunciation and physical motion to match the method. Any actor/actress who aim only for the naturalness of performance lets the macroscopic or the formalized feature minimize as the routine one, not playing variously patterned performances. To improve the misunderstanding & limitation of this natural acting, actors/actress need to newly establish differences of concept between reality and the stage. Also, they have to abstain from performing their images without analysis of characters, recognizing that the naturalness of performance starts from a careful analysis of characters. In addition to this, they should observe their performances with self-awareness as an observer so that their performances are not excessively played as the according to routine life and shouldn't neglect the basic training such as breathing, voicing, speaking skill, motion, etc under the natural concept. In addition, The attitude to seek to communicate the theme of the theater with the audience prevents an actor/actress from easily satisfying him/herself with pursuing merely the naturalness in the acting. Moreove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curriculum in college will be able to make students become flexible actors/actress in skill so that they can adapt themselves to various performance types without sticking to limiting themselves to only one performance method. Writers and directors also need various views in different ways to gain an insight into our life, with avoiding repeating a hackneyed story. With recognition of this improvement, their self-reflection & development help them become developing actors/actress without leaning on the routine life in the natural performance.

      •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향상을 위한 이야기 만들기(Story making)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황선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한 명의 남학생 청소년 내담자를 대상으로 내담자의 사회적 기술문제의 유발요인, 이야기 만들기 중심 미술치료가 사회적 기술에 미친 치료적 요인, 이야기 만들기 중심 미술치료의 효과성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술치료는 비구조적 방식으로 6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한 질적 자료는 미술치료 중에 메모한 노트와 내담자와의 이야기를 녹음한 녹취 내용, 그리고 내담자가 산출한 방송국 및 학교 이야기와 관련된 자료와 그림들이다. 분석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축어록과 메모를 바탕으로 부호화 과정을 통해 개념들을 추출한 뒤 하위범주 및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사회적 기술에 문제가 생기게 된 유발요인은 내담자의 까다로운 기질, 불안정-회피 애착,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적절한 상황 파악 및 대처로 나타났다. 내담자의 ‘까다로운 기질’은 내담자가 수용하기 어려웠던 외부 자극에 대하여 내담자의 감정을 조절하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내담자를 만 2세부터 2년 동안 돌봐주었던 주 양육자의 영향으로 ‘불안정-회피 애착’이 형성되었다. 내담자는 안정적인 애착 형성의 실패로 자아정체감에 문제가 생기게 되었고, 이는 또래를 대할 때 또 다른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다.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드러난 내담자의 부모는 내담자의 또래 관계 문제로 걱정이 많았으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학업에 치중하였고, 내담자의 감정이나 정서적인 부분에 대하여 공감해주지 못하였다. ‘부적절한 상황파악 및 대처’ 항목에서는 내담자가 타인의 관점을 추론하는 능력이 부족했으며, 자신의 입장에서만 상황을 판단하였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과도한 감정에 휩싸이게 되었음이 드러났다. 내담자는 이로 인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고 더 큰 문제를 만들어냈다. 둘째, 사회적 기술에 미친 치료적 요인은 내담자 요인, 치료자 요인, 그리고 그림 및 이야기 만들기의 역할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첫 번째로 ‘내담자 요인’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욕구, 뛰어난 인지기능, 민감성, 자발성, 성실성으로 나타났다. 내담자는 반복되는 실패경험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으려는 시도를 계속해왔으며, IQ 131의 높은 지능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구조적으로 만들어 갔다. 또한 높은 정서적 반응성을 보여주었고 자발적으로 200여장의 그림과 40여건의 자료를 산출하며 미술치료를 미루는 일 없이 계획한 대로 참여하는 성실성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치료자 요인은 따라가기, 들어주기, 받아들이기, 질문하기, 드러내기로 파악되었다. 치료자는 내담자가 마음껏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자신의 억압된 감정과 욕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세 번째는 ‘그림 및 이야기 만들기의 역할’에 대한 요인으로 그림 및 이야기는 자기표현의 역할과 모델의 설정 역할을 하여 내담자는 상징적이며 은유적으로 안전하게 자신을 표현하였다. 셋째, 이야기 만들기 중심 미술치료의 효과성은 부모자녀 관계의 변화, 자아인식의 변화, 자기조절 능력의 향상, 주장성의 향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내담자가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그림 및 이야기는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 해소와 과거경험의 재인식을 촉구하였다. 내담자는 그림 및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또래문제를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시도를 하였으며, 새롭게 자아인식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male adolescent student who had difficulty interacting with his peers received art therapy. This study probed into why the adolescent had problems with social skills and what factors helped the client affect his social skills during the therapy. Also the effect of story-making based art therapy used to improve the client's social skills was investigated. The therapy ran for a total of 62 sessions in a non-structural way. Data for the study included notes the therapist took during the sessions, recorded conversation between the therapist and client, and materials and drawings about broadcasting stations and schools the client made for the story-making activity.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Coding was made based on the abbreviations and memos during the therapy. Then concepts, subcategories and the upper categori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caused problems with his social skills were the client's fussiness, improper response to a given situation or circumstance, anxiety-avoidance attachment, and his parent's improper parenting skills. The client's fussiness was what made it difficult for him to hold control over his emotions against outer stimulants. It appeared that the influence of his care giver who provided care for him for two years since he was 2 years old caused him 'anxiety-avoidance attachment.' Also, the client had a problem developing his self-identity, which was detrimental to his interaction with his peers. The client's parents were concerned about his relationship with peers, but was not able to properly respond to his emotional and sentimental needs, only focusing on his academic performance, an example of the parent's improper parenting skills. The client lacked the ability to take others' point of view into consideration. He judged only from his own perspective and was often overcome with emotions, not able to respond to the circumstances appropriately.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lient's social skills were the client factors, therapist factors, and drawing and story-making related factors. The client factors included the client's desire for social skills, high cognitive ability, sensitivity, willingness, and sincerity. Despite the repeated failure, the client whose IQ was 131 continued to form a social relationship and developed the structure of his stories. He was sentimentally highly expressive, making about 200 drawings and 40 written materials. The client was sincere in taking art therapy without delaying it. The therapist factors included listening, accepting, questioning, and revealing. The therapist created an atmosphere where the client was encouraged to tell his stories, thus expressing his repressed feelings and desires. Regarding the drawing and story making factor, the drawing and story making facilitated the client to express himself safely and metaphorically. Third, story-making based art therapy brought change in self-perception, improved ability in self-control, better assertiveness to the client. The findings above show that the client-generated drawings and stories helped the client express his repressed feelings and re-establish the past experiences. The client made various attempts to resolve his problems and were able to perceive himself differently.

      • 명품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황선영 숙명여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oday's consumers improve their lifestyles and consumption awareness, more individualistic and value-oriented consumer behaviors are observed. This change has led to high class consumption. That is, consumers try to purchase prestigious brand products however expensive they are. In this trend, Korean fashion companies need to understand the market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from a multilateral point of view and focus on upscale and value-oriented product plans.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behaviors to buy prestigious fashion brand products. For the end, the general consumption values, the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products according to them were also examined.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among and the differences of purchasing behaviors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s,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see how they affected consumption values,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ttrig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clud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nsumption values,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as well as empirical study using a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drawn from the female population who were between 19-39 and liv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particular age zone was selected since those women in it were considered to make sensitive reactions to fashion and be the large purchasers of prestigious fashion brand produc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0. Total 414 questionnaries saying that they had bought a prestigious brand product were us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0.0 and many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cross tabulation and Duncan-tes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sumption values were classified into social and showing off, practical and functional, subjective and aesthetic, and rare value. Among them, the subjective and aesthetic value worked the most of the times. The benefits of purs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were divided into showing off and self-satisfying benefit, between which the former was more observed.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symbolic, design, price, and functional attribute, among which the price attribute was the highest in degree. Second, the interrelations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the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were investigated.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s and the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e element of showing off benefit was related to the consumption values while the design attribute had the most relationships with the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ird, the impacts of the consumption values on the benefits of pursing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were examined. The social and showing off value and rare value all influenced the showing off benefit. The practical and functional value influenced both showing off and self-satisfying benefit while the subjective and aesthetic value affected only the self-satisfying benefit. In the meantime, the social and showing off value affected the symbolic, design and functional attribute while the subjective and aesthetic value influenced the symbolic and price attribute and the rare value did the symbolic attribute. Fourth, the consumers' behaviors to purchase a prestigious brand product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values, the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e consumer behavior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al and showing off, the subjective and aesthetic, and rare value in terms of brands. In terms of product lines, the social and showing value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bahaviors. Between the two groups of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e showing off benefit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terms of brands, product lines, sources of information, and places. And as for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the design attribu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brands while the design and price attribute in terms of places and the symbolic attribute in terms of sources of information. In short, the consumers perceived and evaluated the benefits of pur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their attribut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values, and their behaviors to buy prestigious brand products were influenced by the consumption values, the benefits of prusuing prestigious brand products,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In particular, the social and showing off value, the showing off benefit, and the design and the design attribute were the most critical determinants in their purchasing a prestigious brand product. Therefore, the Korean fashion companies need to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sumption values affecting consumer behaviors to buy a prestigious brand product, the benefits consumers expect from purchasing one, and the attributes of prestigious brand products consumers think highly of. This way they wil be able to take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imported prestigious brands and set up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최근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의식이 향상됨에 따라 좀더 개인주의적이고 가치 지향적인 소비행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소비의 고급화 추세로 이어져 비싸더라도 가치 있는 명품을 구매하려는 소비행태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패션업체들은 명품 시장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함께, 고급스럽고 가치 지향적인 제품 기획에 더욱 주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패션 명품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소비자의 일반적 소비가치,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을 측정하고 이 변인들간의 관계와 이 변인들에 따른 명품구매행동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비가치,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에 따른 명품구매행동의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소비가치,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 명품구매행동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가치,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 명품구매행동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패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패션명품구매의 새로운 주 소비자층인 만 19-39세의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9월 3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 하여 명품구매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총 414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t-test, 교차분석,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가치는 사회.과시적 가치, 신용.기능적 가치, 주관.심미적 가치, 진귀적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주관.심미적 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명품추구혜택은 자기과시 혜택과 자기만족 혜택으로 분류되었으며 자기과시 혜택이 높게 나타났다. 명품속성은 상징적 속성, 디자인적 속성, 가격적 속성, 기능적 속성으로 분류되었으며 가격적 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가치와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의 관련성에서 소비가치와 명품추구혜택은 자기과시 혜택이 소비가치와 관련성이 있으며 명품추구혜택과 명품속성은 디자인적 속성이 명품추구혜택과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가치에 따른 명품추구혜택과 명품속성은 소비가치의 사회.과시적 가치와 진귀적 가치가 자기과시 혜택에 영향을 미치고, 실용.기능적 가치는 자기과시와 자기만족 혜택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주관.심미적 가치는 자기만족 혜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의 사회.과시적 가치는 상징적, 디자인적, 기능적 속성에 영향을 미치고, 주관.심미적 가치는 상징적, 가격적 속성에 영향을 미치며 진귀적 가치는 상징적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가치,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에 따른 명품구매행동은 소비가치에 따라 브랜드에서 사회.과시적 가치, 주관.심미적 가치, 진귀적 가치가 유의한 차이가 있고 제품군은 사회.과시적 가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추구혜택에 따라 브랜드, 제품군, 정보원, 장소 모두에서 자기과시 혜택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속성에 따라 브랜드에서 디자인적 속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고 장소는 디자인적 속성과 가격적 속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원은 상징적 속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소비가치에 따라 명품추구혜택과 명품속성의 인지와 평가는 달라지며 소비가치, 명품추구혜택, 명품속성은 명품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회.과시적 가치와 자기과시 혜택, 디자인적 속성은 명품구새미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패션업체들은 소비자들이 명품구매시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와 명품구매를 통해 기대하는 이점, 중요하게 고려하는 명품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유명 수입 브랜드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문제중심학습(PBL)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선영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 임상간호 교과목을 중심으로 PBL을 위한 학습패키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PBL패키지를 한 학기 동안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하여 PBL의 학습 효과로서 학업 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 태도 및 학습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존의 강의식 교수방법과 비교,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로서 전라남도 소재 3년제 C대학 간호과 2학년 학생을 편의 표출하여 실험군 35명, 대조군 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PBL패키지의 개발 및 적용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로 이루어졌다. PBL패키지를 개발하기 위해 2002년 4월부터 6월까지 2학기에 학습할 예정인 성인간호학의 호흡 및 심혈관계의 관련 내용을 모두 분석하고 개념화하여 학습과제를 선정하였다. 학습과제와 관련한 임상시나리오는 광주광역시 소재 C 대학 병원의 중환자실, 흉부외과 및 순환기내과 병동에서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교수 운영지침서의 작성과 수업에서 활용할 추가 자료 등을 첨가하고 타당성 평가와 수정보완 단계를 거쳐 최종 7개의 학습 패키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PBL패키지는 2002년도 9월에서 12월까지 총 12주 동안 실험군에게 적용하고, PBL의 학습 효과를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여 기존의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대조군의 학습 효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PBL의 학습 효과를 보기 위한 측정 도구로서 간호사면허국가고시문제집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학업성취도 측정도구, Facione과 Facione(1992)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CCTDI)와 비판적 사고기술 측정도구 (CCTST), 그리고 한국교육개발원(1991)이 개발한 학습태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전과 사후에 사용하였다. 학습 동기의 측정은 Keller(1994)의 학습 동기 측정도구를 장희정(1996)이 번안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후에만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 PC+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2)-test와 t-test로, 가설의 검증을 위한 두 군간의 학업 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태도 및 학습 동기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업 성취도는 암기형 지식과 문제해결형 지식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PBL을 받은 학생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과 호흡 및 순환기계의 암기형 지식의 학업 성취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 1-1은 실험군 11.06점, 대조군 10.97점으로 사전보다 실험군이 3.22점, 대조군이 2.71점 증가하였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t=1,131, p=.133). 'PBL을 받은 학생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호흡 및 순환기계의 문제해결형 지식의 학업성취도가 더 높을 것이다'의 가설 1-2는 실험군이 12.54점, 대조군이 11.85점으로 사전보다 실험군이 6,31점, 대조군이 4.90점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2.315, p=.030). 2. 비판적 사고력은 비판적 사고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PBL을 받은 학생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비판적 사고기술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의 가설 2-1은 실험군 12.93점, 대조군 12.87전으로 실험 전보다 실험군 0.43점, 대조군 0.32점 증가하였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t=-.143, p=.444). 'PBL을 받은 학생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의 가설 2-2는 실험군 278.52점, 대조군 270.43점으로 실험 전보다 실험군은 6.02점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은 6.05점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2.681, p=.005). 3. 'PBL을 받은 학생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학습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의 가설 3은 실험군이 평균 54.31점, 대조군이 49.0점으로 실험 전보다 실험군은 6.83점, 대조군은 0.08점 증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3.570, p=.001). 4.'PBL을 받은 학생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학습 동기가 더 높을 것이다'의 가설 4는 실험군 90.06점, 대조군 81.34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아 지지되었다(t=3.446,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측면에서 간호학생의 암기형 및 문제해결형 지식의 습득에 있어 기존의 강의식 학습방법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향상을 보여주었고, 간호학생들에게 보다 비판적으로 사고하려는 성향을 갖게 해 주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갖게 해 주었으며 학습 동기를 높이는데 기여한 교수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간호실무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율적 학습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현행 과목중심의 교과과정에서 PBL의 적용을 점차 확대시켜 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적으로 개별 교과목 내 적용과, 나아가 점차 관련성이 높은 임상교과목간의 통합 운영 및 전체 교과목간의 통합을 위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PBL에 대한 교수자의 열린 자세와 노력, 교과목 교수 자간의 의사소통과 합의, 그리고 교육현장의 물리환경적 여건의 준비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rsing students in a problem-based learning with those in a conventional learning with regard to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through December, 2002,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BL packages and their application. A total of 7 PBL packag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and the classification of concepts in the areas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system of adult-health nursing course. Clinical scenarios used in 7 PBL packages were selected and composed at a respiratory and a cardiovascular unit, a medical ICU and a chest-surgery unit of C university hospital in G-city. The study of PBL application was performed for 12 weeks from Sept. through Dec. to 73 junior nursing students composed of 35 for experimental group and 38 for control group at C college of C province. The knowledge acquisition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researcher and CCTDI and CCTST developed by Facione & Facione(1994) were used to measure memory-dependent and problem-solving knowledge, and to evaluate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Also, learning attitude scale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91) and learning motivation scale(IMMS) by Keller(1994) were used after reliability tes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Version 10.0. Independent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wo groups on each of the measures. The PBL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perceptions of their nursing knowledg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problem-solving(t=3.418, p=.001).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PBL and conventional students in the area of memory-dependent knowled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students of PBL and conventional program in critical thinking skills. Howev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PBL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tudents(t=2.681, p=.005). There also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BL studen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articipants regal(Bing their level of attitudes toward learning(t=3.570, p=.001)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t=3.446, p=.001).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student outcomes of the PBL approach compared to conventional approach. The students undertaking the PBL were more Positive attitude and more motivated with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conventional program, indicating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level of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on learning. Also, students' disposition to do thinking critically was highly improved through PBL approach. Therefore, PBL is need to be extended over individual nursing courses for the unification of related courses and a curriculum.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measure clinical practice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the longitudinal design. And relying less of self-report measures would contribute further to our understanding of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PBL in nurs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