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예술 환경 변화 연구 : 예술의 작업공간과 관객의 수용변화를 중심으로

        이수경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1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디지털미디어시대를 맞아 지각이론으서의 매체미학적 관점을 통해 예술을 구현하는 시공간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사회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인간의 지각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 환경은 예술가의 작업환경과 관객의 수용방식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디지털시대의 도래는 예술가의 작업환경과 관객의 수용방식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미술, 음악, 연극 장르가 디지털환경에서 어떻게 새로운 방식으로 작업되고, 관객에게 지각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예술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특징지을 수 있다. 첫째로는 인터넷 공간을 미술관·콘서트홀·극장과 같은 공연공간으로 새롭게 인지하는 것이다. 인터넷 공간을 기반으로 가상공간에서 공연을 하며, 전시를 여는 등 새로운 공간에 맞는 예술 작업이 시도되고 있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중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예술작업 과정에서 예술가와 비예술가의 협업이 이루어지는 점을 들 수 있다.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예술작업 과정이 관객에게 개방·공유되고, 이는 관객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대중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예술작업이다. 마지막으로는 관객의 능동적인 예술의 재창조 현상을 들 수 있다. 관객은 예술가에 의해서 창작된 예술 작품을 이제 더 이상 수동적으로 수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패러디·매시업 등을 통해 관객 스스로 새로운 작품으로 재창조한다. 이는 예술 작품에 대한 공공영역을 생성해서 예술에 대한 담론을 발생시키는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디지털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예술의 시도는 배우의 현존 문제, 가상공간을 극장공간으로 볼 수 있는지의 논란을 야기한다. 이러한 논란을 학문적인 연구로 이어나가 인터넷 공간을 새로운 공연의 장으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의 예술 작업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 환경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이루어지는 예술작업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본 후 앞으로 예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아직은 예술가의 창작행위와 예술 작품의 권위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국내 예술 환경에 화두를 던지고자 하는 시도이다.

      • 미얀마 전통 인형극의 보존과 현대적 수용을 위한 연구 : 극의 전통적 원형과 무대시각화의 시대적 변천을 중심으로

        Nyunt Win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11

        '미얀마 전통 인형극‘에 대한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긴 역사적 배경을 가진 미얀마 전통 문화유산과 미얀마 사람들의 마음속에 긍지로 자리 잡아 즐겨왔던 미얀마 전통 인형극의 원형을 연구하고 현대에까지 발전해온 모습을 탐구하여 이를 계속적으로 보존, 발전시켜나가는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대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계승된 미얀마 전통 인형극이 담고 있는 인문학적 주제에서부터 극장의 구조, 인형의 제작 등의 기술적인 문제, 그리고 극단이 처한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연구하여 그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실제로 고대 미얀마 왕조부터, 미얀마 인형의 상황은 정점에 다다랐으며 미얀마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대중적인 공연이었다. 더욱이 미얀마 인형극은 지난 수세기에 걸친 미얀마 역사에 근거했으며, 모든 계급과 대중들은 공연을 보면서 즐거워하고 명예로운 전통 공연예술로서 받아들여 왔다. 고대의 미얀마 왕들은 미얀마 인형극을 미얀마 전통 예술의 중요한 갈래로 중요하게 여기며 후원자 관계를 맺었다. 미얀마 왕국의 멸망과 함께, 인형극은 무서운 속도로 쇠퇴하기 시작했고 오늘날에 이르러 나이든 전통 인형극 세대는 거의 사라져가고 있다. 이러한 것은 지난 몇 십 년 동안에 요구되었던 후원자 관계의 결핍에 기인한다. 그로 말미암아 이 논문은 거의 빈사상태에 이른 예술이라고 이야기 하는 미얀마 전통 인형극을 전승해 나가고자 하는 절박함에서 시작된 것이다. 한 세대로부터 다른 세대로 전승한다는 점에서는 현재 존재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발전이 필요하고 또 근원적으로 풍요로운 국민 특유의 특성들을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서 젊은이들이 그들 스스로 민족의 문화와 그의 특성을 보존하는 데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것이다. 한편 오늘날 세계화의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현대의 세계에서 고도로 발달한 기술들, 예컨대 가라오케, 생방송 쇼, 영화 그 밖의 디지털 엔터테인먼트들이 오늘날 미얀마의 젊은이들을 압도하고, 미얀마 전통의 문화적인 자아를 위협하고 있다. 실제로 미얀마 예술과 문학은 윤리, 품행에 대한 법도, 규율, 관습, 미얀마 사회의 문화적인 전통, 고유의 민족정신에 대한 사랑, 그것을 존속하려는 좋은 전통의 실천 그리고 하나로부터 모두에 이르기까지 현명하고 온화해지도록 가르치는 미얀마 문화의 전통에 대한 장려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문화를 바탕으로 미얀마 인형극은 세계의 다른 인형들과 유형적으로 다르며 음악과 노래 그리고 공연에서의 춤이 한데 어우러져 조화롭게 조종해야만 하는 매우 독창적이고도 훈련이 필요한 어려운 공연이다. 과거 매우 존중되던 왕조시대에서는 단지 줄에 매달린 나무 인형이 아니라 인간의 분신과 같은 살아있는 것이었다. 실제로 나무 인형은 줄을 사용하고 조종되었는데 이 줄에 매달린 인형들은 아무 절묘한 무용가들처럼 춤을 췄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미약하나마 오늘날 미얀마 인형극이 미얀마의 춤과 음악, 조각, 세퀸 장식 그리고 회화와 같이 모든 예술작업을 포함함으로써 고유의 민족적 철학과 문화전통의 원형을 지켜나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발전시켜나가야 할 의무와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논문을 마치며 항상 나를 격려해주신 한국예술종합학교의 교수님들, 논문을 위해 내가 필요한 정보와 자료들을 찾아준 나의 부인과 도움을 주신 여러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production is to study how to preserve Myanmar traditional marionette theater and to explore the various possible way of surviving in contemporary theater. The reason why Myanmar traditional marionette theater have been lived with Myanmar people as a daily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guide of life it had been developed not only as a theatrical art form but also as the humanities. With preserving both conceptual meaning of origin and artistic characters of the performance which identified with other puppet theater of the world, Myanmar traditional marionette theater should be developed today as a cultural heritage and pride of Myanmar people. Therefore focusing on the original theme of the Myanmar marionette theater, characters of Myanmar marionette, the type of performance and the structure of the stage had been studied through the history of Myanmar puppet theater to find the way of surviving today. Status of the Myanmar marionette had reached the highest peak and the most popular performance among the Myanmar people since the time of ancient Myanmar kingdom. Myanmar kings in ancient time had patronized the Myanmar marionette performance had been developed over the last centuries in Myanmar ancient history and had been enjoyed through all classes considering as an honorabl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ith the fall of Myanmar dynasty, however, the marionette theater had been drastically declined. Traditional marionette with original form in general has almost faded away today. This is due to the lack of patronage and concern require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alization of crisis that the traditional Myanmar marionette theater could be referred to as a bygone arts dying to next generation. Myanmar marionette theater faced on problems how to transform and to preserve the originally at the same time to attract the modern aud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s a contemporary form which can communicate with people today to survive. Moreover, it tis important to develop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 value which distinguished the Myanmar marionette theater from others. Due to advanced technology of today young generation in Myanmar has been surrounded by modern entertainment such as karaoke, live-shows, movies and other digital entertainments which brought cultural globalization of the world. It has threatened the traditional marionette theater. Marionettes were esteemed not merely as stringed wooden puppets but life-like human substitutes in the royal pastime. This stringed marionettes dance like subtle choreographer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Myanmar marionette is different from other puppets of the world and hard to control in harmony with the music, song and dance for the performance. It needs specific technical disciplines and study of literature which based on national mythology, Buddhism, and ethical value of life of Myanmar. It requires many performing artists to have patient to endure difficult discipline. Fortunately there is a movement to recognize human heritage from traditional cultures of the world. The performing marionettes of Myanmar are recognized as a beyond handcrafts to other countries nowadays because of artistic beauty with philosophical meanings such as wisdom of life from Buddha, love and pride of nation, harmony with people, animals and nature. It is visible and invisible cultural fortune which can exports to other countries. This thesis stared from the responsibility and duty to find the way to maintain and develop marionette theater of Myanmar in this situation. Myanmar marionette theater is combined arts reflecting other traditional arts such as dancing, music, sculpture, sequin embroidery and painting of Myanmar in one stage. It is a heritage of Myanmar and of the world. Young people will hand down this unique performance to next generation taking important roll to preserve national heritage with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ense. So, it is important for us to find ways to support and educate them to draw their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culture. The thesis presented with gratitude to the professor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for encouraging the study of Myanmar marionette theater and the person and my wife for helping to find information, books, reseasches, etc.

      • 아동에 대한 창작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아등곡제작 연구 : 공연'고양이가 말했어'를 중심으로

        이래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11

        The theatre for youth has its own artistic value. Nevertheless, it has been devalued as a contrary of the theater for adults. Even, it has been considered as an entertainment for children or a method of educating. As an artistic creator who is willing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through a theater, my biggest concern is how theater for youth can achieve its own value of art. Based on words of Moissej S. Kagan, an aesthetician, which is that “arts connote two significant knowledge; one is artists’ self-awareness of him/herself, and the other is artists’ awareness of the world”, I drew the strands of the attempt of the production of theatre for youth which has its own content and form based on the self-awareness of my own childhood and the awareness of lives of contemporary children. This trial offered me an opportunity that I could shed a point of view that I, as an adult, might consider children as objects for protection or education. Instead, I obtained the precious enlightenments that there are universal human emotions and values within lives of children which became main factors that drew good responses toward <My cat says> throughout the audience of all age. While looking back into my own childhood, ‘Solitude’ caught my attention, which was the most powerful emotion that was laid in my childhood. Also I realized I used to spend most of my time while playing with dolls. So I decided to analyze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playing with dolls’ and to apply these to the production of my own work. As an outcome of these efforts, I could create a play called <My cat says> which is a drama about loneliness of an 11 year old girl with the theatrical methods extracted from ‘playing with dolls’. In addition to this, I could figure out the subject of independenc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mong contemporary children’s lives. I wove all these findings, so the main concept of my play has been completed which was a story about pain and growth of a lonely 11 year old girl who met a cat and parted from it. On the course of writing the script, I studied the subject of‘solitude’ and contemporary 11 year old children. With results of the study, I could design detailed characters, emotions of main characters, and the plot. For a form of the play, I used four main features of ‘playing with dolls’ which are ‘projection’, ‘storytelling’, ‘transformations of spaces’, and ‘naming and animism’. Furthermore, during a rehearsal period, I encouraged actors, designers, and directing staffs who participated in the play to redefine their own childhoods and to develop their own artistic languages that would be expressed throughout the play upon these findings. <My cat says>, premiered in March, 2005, has been played for 3 years since, and also modified and developed. Although it was a play about a little girl’s life with a method of playing dolls, it waked echoes among audiences of all ages. Moreover, it assured huge possibility which is that the theater for youth could hold a role as a theatrical art which allows both adults and children enjoy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chieve its own value as a theatrical art, the theater for youth should set its purpose of production on realization of art. Only the plays for children which hold artistic values in them can be venues for audiences’ communication and sympathy. Toward this, theatrical artists for young people should be able to melt their own characteristic points of view of children’s world and lives in their creations. Also, the theater for youth should be cautious in order not to regard childhood as only times of good memories or of the past. The theater for youth holds power which can enable both adults and children to redefine their childhood as holders of meanings and values which affect their entire lives. Every human being once used to be a child and play theatrically; therefore, both adults and children share their emotions and feelings through the theater for youth which deals with children’s lives with the methods of theatrical plays. I, as an author of this thesis, claim that theatrical artists for youth should realize their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are obtaining unique points of view of children’s world and lives, creating artistic works based on these points of view, and practice the virtues of their works while living their lives. 아동극예술은 고유의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는 성인극과 대비되는 개념 정도로 협소화되거나 아동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혹은 교육 컨텐츠로 그 의미가 축소되곤 한다. 필자는 연극을 표현수단으로 관객과 소통하려는 창작자로서, 아동극 고유의 예술성을 담보하는 아동극 창작의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예술은 예술가의 자기인식과 세계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가지 지식이 내포되어 있다”라는 미학자 까간의 말에서 발상해, 아동극창작자의 자기인식과 세계에 대한 인식, 즉, 창작자 자신의 아동기에 대한 인식과 동시대 아동의 세계와 삶에 대한 인식에서 공연의 내용과 형식을 찾는 아동극제작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는 창작자로서의 필자에게, 아동을 보호와 교육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성인의 시각으로부터 벗어나, 아동의 삶에서 인간의 보편적 정서와 범인간적인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서와 가치는 <고양이가 말했어>가 폭넓은 연령대의 관객으로부터 호응을 얻게 하는 큰 요인이 되었다. 필자는 자신의 아동기에서 가장 인상이 깊었던 ‘고독’이란 정서에 주목했다. 그리고 아동기에 주로 했던‘인형놀이’가 필자의 아동기에서 어떤 기능과 작용을 하였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11살 아동의 고독에 대한 이야기를 인형놀이형식의 공연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여기에 더불어 동시대 아동에 대한 인식에서 발견한 ‘삶의 주체성’문제에 대한 갈등을 사건으로 만들어, ‘11살의 고독한 아이가 고양이와 만나며 헤어지며 겪게 되는 아픔과 성장의 이야기’를 쓰게 되었다. 이 이야기를 공연화 하기 위해, 내용적으로는 ‘고독’이란 소재와 동시대 11살 아동의 삶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인물, 인물의 정서, 사건을 텍스트화 하였다. 형식적으로는 인형놀이의 특징을 네 가지-투사(投射), 스토리텔링, 공간 변형, 명명(命名)과 애니미즘-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공연 양식화하며 희곡화 하였다. 더불어 공연제작에 참여한 배우, 디자이너, 연출부 등의 창작자도 자신의 아동기와 동시대 아동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자로서 자신고유의 언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공연제작과정을 구성하고 진행하였다. 2005년 3월 초연된 <고양이가 말했어>는 이후 3년여 동안 공연되며 수정되고 발전해 나갔다. 아동의 일상적 삶을 인형놀이로 표현한 공연임에도 불구하고 성인관객들의 많은 관심과 반향을 일으켰고, 아동극이 성인과 아동관객이 함께 보고 소통할 수 있는 연극예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극이 아동극 고유의 가치를 가지려면, 창작의 목표가 예술의 구현이여 야하며, 예술성을 담보한 아동극만이 관객과 감정과 삶의 의미를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아동의 세계와 삶에 대한 창작자 고유의 독창적인 관점에서 비롯된 세계관이 작품에 녹아있어야만 한다. 아동극은, 아동이라는 삶의 한 시기가 ‘좋은 시절’이나 ‘추억’으로 가려지거나 왜곡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동극은 아동의 삶이 인간의 평생의 삶을 거치며 갖는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아동과 성인 모두가 공유 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아동으로서의 삶을 살고 연극적 놀이를 한다. 아동극은 아동의 삶을 연극적 놀이로 표현하는 공연예술이기 때문에 아동과 성인을 아우르는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것이다. 필자는, 예술가로서 아동의 세계와 삶에 대한 독창적 관점을 갖고 이를 바탕으로 공연을 제작하고, 삶에서 그 가치들을 실천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아동극예술가의 의무이자 책임임을 본 연구를 통해 주장하는 바이다.

      • 1980년대 이후 한국연극에 나타난 '자연스러운 연기'에 관한 연구 : 수용과 발전 과정에 나타난 오해와 한계, 그 보완점에 대한 제시

        황선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11

        본 논문은 현대 한국연극계의 일상을 소재로 한 연극에서 보여지는 연기양식인 자신을 투영하여 인물을 구축하는 ‘자연스러운 연기’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배우의 시각으로써 지금의 자연스러운 연기의 출발과 현상을 되짚어 보고 그 보완점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한국연극계에서 일상의 이야기를 무대 위에서 다루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무대 위 일상의 삶의 재현은 현실의 삶과 유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기 또한 지극히 일상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에 가까워지고 배우의 연기는 자연스레 일상을 살아가는 현재의 자기 자신을 투영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우는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인물의 형상화에 적극 활용하게 되면서 말은 일상어와 비슷해지고 움직임도 일상과 다름없이 자연스러워진다. 이러한 연기는 무대 위의 사건이 바로 여기서 일어나는 듯한 현장감과 생동감을 발생시켜 관객이 배우의 연기가 자연스럽다고 인식을 하게 되는 바탕이 된다. 한국연극계에서 1980년대부터 확인되어지는 이러한 자연스러운 연기에 대한 추구는 1990년대에 들어 사회적 변화에 의해 일상의 이야기를 다루는 연극이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크게 확산되게 된다. 더불어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전문연기교육자들의 미국 메소드연기와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의 교육은 국내 연극교육계에 ‘자기로부터 출발하는 연기’의 체계적인 교육기반이 되어 주었다. 하지만 무대 위 자연스러움에 대한 추구는 때로는 지나친 자연주의를 형성시켜 배우들은 사실성의 도구가 되기도 한다. 게다가 일상에서와 같이 말하고 행동하는 연기가 자연스럽고 사실적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는 배우는 무대라는 허구의 공간성을 잊고 호흡과 발성, 발음, 신체적 움직임 등을 모두 일상화시킨다. 이로 인해 연기의 자연스러움만을 지향하는 배우는 다양한 양식적 연기를 소화하지 못하고 극의 거시적이거나 유형화된 인물들을 일상적 인물들로 축소시켜 버린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연기의 오해로 인한 한계성의 보완으로 배우는 현실과 무대에서의 사실에 대한 개념이 서로 다름을 새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연기의 자연스러움 또한 철저한 인물의 분석에서 시작됨을 알고 인물분석 없이 자신의 모습으로 연기하는 태도를 피해야 한다. 여기에 자신의 연기가 지나치게 일상으로 흐르지 않게끔 관찰자적 자아의 인식을 가지고서 자신의 연기를 지켜볼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자연스러워야 한다는 개념아래 소홀하게 대해지는 배우의 호흡, 발성, 화술, 움직임 등의 기본적인 훈련들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한편 작품의 주제를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배우의 자세는 연기의 자연스러움만을 추구하는 혼자만의 만족감에 그치지 않게끔 해준다. 나아가 대학의 전문화된 교육과정의 확립은 배 우가 하나의 연기방법만을 고수하지 않고 다양한 연기양식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적으로 유연성을 갖춘 배우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작가와 연출 또한 일상의 빈약한 이야기거리의 반복에서 벗어나 우리의 삶을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출 때 그러한 작품을 함께 공연하는 배우의 연기도 단순한 일상의 재현이 아닌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보완점의 인식을 통한 배우의 자기성찰과 개발은 자연스러운 연기를 함에 있어서도 연기가 일상으로 떨어지지 않는, 발전적인 배우를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natural acting' in the theaters in Korea, which is defined as a type of acting method that builds up a character by projecting actor/actress's self on it and is especially shown in the today's theater showing daily lives in Korea. Thus, the study first looks back at the beginning of 'natural acting' & its phenomenon from the actor/actress's point of view and then suggest a complement to the drawbacks. As daily lives gets to be performed more and more often in the theater, the representation of life on the stage gets to have more similaraties to the life in the real world. As a result, the acting becomes closer to representing very daily lives as real as they are and then it naturally comes that the actor/actress projects himself/herself that currently lives in the daily life onto the character. Therefore, the dialogue of actors/actress are relative to our everyday world and the motions are not forced as it is a natural application of their emotions and impulses to the characterisation of features. This performance brings realism and liveliness to the stage, providing a background for audiences to be able to relate to which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 audience recognising the acting to be natural. The pursuit to this natural acting to be examined in the Korean theatrical world in the 1980's is widely spread as plays to be performed with routine stories are suddenly increased due to the social changes in the 1990's. In addition, the American method acting & the Stanislavski system made by specialized performance educators since 1980's are helped to be the educational foundation as 'the performance starting from self' in the domestic play education world. The pursuit to the naturalness on stag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 this Korean theatrical world makes actors a tool of reality by forming the excessive naturalism every now and then. Furthermore, actors/actress who apply this natural method of acting, using everyday words and emotions will also use realistic and natural breathing, voicing, pronunciation and physical motion to match the method. Any actor/actress who aim only for the naturalness of performance lets the macroscopic or the formalized feature minimize as the routine one, not playing variously patterned performances. To improve the misunderstanding & limitation of this natural acting, actors/actress need to newly establish differences of concept between reality and the stage. Also, they have to abstain from performing their images without analysis of characters, recognizing that the naturalness of performance starts from a careful analysis of characters. In addition to this, they should observe their performances with self-awareness as an observer so that their performances are not excessively played as the according to routine life and shouldn't neglect the basic training such as breathing, voicing, speaking skill, motion, etc under the natural concept. In addition, The attitude to seek to communicate the theme of the theater with the audience prevents an actor/actress from easily satisfying him/herself with pursuing merely the naturalness in the acting. Moreove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curriculum in college will be able to make students become flexible actors/actress in skill so that they can adapt themselves to various performance types without sticking to limiting themselves to only one performance method. Writers and directors also need various views in different ways to gain an insight into our life, with avoiding repeating a hackneyed story. With recognition of this improvement, their self-reflection & development help them become developing actors/actress without leaning on the routine life in the natural performance.

      •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대상 연극놀이의 치료기능 연구 : 학교생활 내 사회적 수행성 향상을 중심으로

        장은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11

        ‘상상력’은 예술의 핵심일 뿐 아니라 인간의 뇌신경세포의 활동을 실제로 변화시켜 질병이 치료될 수 있게 하는 구체적 뇌 기능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발달 및 의사소통에 심각한 제약이 있는 신경발달장애인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아동들의 사회성 치료과정에도 상상력은 발휘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출발하였다. 본고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수행성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 사건’에 대해 아동 스스로가 즉흥적으로 ‘반응해 보는 경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모방’과 ‘상상’이 기초가 됨을 주장한다. 그리고 연극놀이는 ‘행동을 기본으로 하는 허구의 세계에 기초한 하나의 공동체 사회’로서 가족과 함께 놀며 사회적으로 반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에게도 집단에 속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시켜 자연스럽게 사회적 행동이 발현되도록 할 수 있음을 논한다. 2010년 3월 5일부터 2012년 10월 19일까지 전국에서 모인 58명의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과 그 가족들은 학교생활 내 사회적 수행성(Social Executive Function) 향상을 목표로 11단계의 연극놀이를 경험하였다. ‘모방’은 사회적 수행성의 구성요소이자, 사회적 결합감과 소속감의 기본이 된다. ‘모방’과 ‘놀이성’은 ‘인간의(특히 아동의) 본성’임에도 불구하고 ‘자폐’로 흔히 알려진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은 모방과 자발적인 상상놀이에 결핍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이 ‘다르게’ 모방하며, ‘다르게’ 논다는 전제 하에 부모님들이 아동의 행동을 다양하게 모방하며 ‘노는 것’(‘따라하기 놀이’)으로 연극놀이 첫 단계를 시작하였다. 연극놀이 1-3단계까지는 몸과 감각을 통한 모방과 자기인식에, 4-6단계는 상황 인식에 그 목표를 두었다. 7단계는 본격적인 사회적 인식을 위해 내러티브(narrative)를 역으로 적용한 상상을 활용하였고, 8단계부터는 상징을 사용해 ‘상상할 꺼리’를 통한 학교 생활 연상을 강조했다. 9단계에서는 시청각적 상징으로 학교 공간을 정교하게 구축해 10단계인 가상 학교 공간 안에서의 역할 경험을 시도했다. 마지막 11단계에서 참가아동들은 현실에서 금기되었던 자신들의 단점이 드라마 안에서 ‘자유로운 상상’으로 재탄생되는 경험을 하였다. 연극놀이 11단계를 거치며 참가아동들이 향상시킨 학교 생활 내 사회적 수행성은 ‘모방’과 ‘상상’을 기초로 한 사회적 행동, 상대방에게 관심을 가지고 함께 같은 주제를 바라보는 연합집중능력,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지속성 등 이었다. ‘사회적 행동기술’은 개별적 교육과 반복 훈련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어야만 ‘사회적 수행성’으로 발현될 수 있다. 인간의 삶이 그러하듯, 똑같은 사건과 상황은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예견 불가능한’ 사회적 사건에 대해 주체적으로 ‘반응’해 보는 경험은 ‘사회적 수행성’ 향상을 위한 기본 요건이 된다.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은 연극놀이에서 실생활이 연상되는 ‘하나의 사건’을 우연히 마주쳐 몸과 감각으로 반응하며 실재(實在)하였고, 부모님들은 연극놀이 안에서 참가아동들과 함께 소통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어, 사회적 수행이 연극놀이 안에서 뿐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발현되도록 기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어린이가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것은 ‘사회적 기술’만이 아니라 그 사회 자체에서 ‘살아보는 경험’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자유로운’ 예술적 시각이 실재하는 연극놀이 사회에서는 장애를 가진 어린이도 ‘한 사람의 사회 구성원’으로 당당하게 역할하며 그들의 ‘사회적 삶’을 축적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이 연극놀이 안에서 ‘살아보는 경험’은 교육이나 훈련에서는 오히려 잘 드러나지 않는 사회적 반응성(Social Responsiveness)과 ‘사회적 감정’, 그리고 ‘인식과정’을 축적하여 타인의 의도와 상황을 ‘읽을 수 있게’ 하였다. 연극놀이는 실생활에 바탕을 둔 허구적 사회경험을 통해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도 사회적으로 합당한 행동을 스스로 인식하고 모방하며 배우는 장(場)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rapeutic Function of Drama for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Focused on Improvement of Social Executive Function in School. Name: Eun Ju Chang Department: Acting, School of Drama Thesis Advisor: Young Ai Cho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at Drama can improve Social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PDD), not so much Drama educates the children, but as it reveals Social Responsiveness which was hidden by the 'socially difficult characters' of their behaviors. This study focuses on 'social awareness' and 'social emotion' in dramatic events which can enhance Social Responsiveness in actual life. Awareness makes situation readable so that the children with PDD can respond to the 'unpredictable and casually occurring' social events. Drama, not as a performance, but as 'a' experience of participants, emphasized this process using fictional stories which were based on their real life experiences, especially in school. From March 5th in 2010 to October 19th in 2012, 11 steps of Drama Experiences were given to 58 Korean children with PDD. The 1st to the 3rd steps of Drama focused on 'Imitation' and 'Self- awareness' of the children to build up their physical perceptions and sensations. During the 4th to the 6th steps the children slowly started to expand their communication to practice core competencies in daily life. In the 7th step the children witnessed their indirect mind reading while their parents narrated their action and drawings. To prepare for Social Executive Function in school the 8th step was actualized. By using visual and audial symbols the children were encouraged to associate Drama Experience with School life. Elaborate fictional school space was created in the 9th step and the children and family members could 'live in' the fictional classroom as different student roles in the 10th step. The previous role experiences transformed into the roles of imaginative Drama world in the 11th step. The free mental act of imagination in art provided the children with the opportunity to be a part of 'the different members' in the Drama Society. When the tasks were given, many of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 of social behaviors which are based on imitation and imagination: joint attention, continuity and generalization. Fun and Playfulness induced the need for belonging so that the basis of social behaviors were naturally learned through drama experiences by the children. By active social responses in drama group, the children with PDD could integrate 'Social Skills' which had been educated and trained individually. When 'Social Skills' could be voluntarily applied in social context 'Social Executive Function' could be improved. The children with PDD could aware of 'Social Context' in 'Drama Group': a fictional community which is formed by the member's action 'here and now'.

      • 소설 텍스트를 소재로 한 청소년 연극 만들기의 텍스트 재구성 과정 연구 : 소설 '유진과 유진'을 소재로 한 상명사대부여고의 연극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정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xample that you can have aesthetic experience and reflect on various forms of life through the process of youth-theatre.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play experience is presented as the plan which can recover the limit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that ignores sensibility and intuition and a model that academic high schools with burden about making the plays due to heavy studies can make the practicable plays is presented. For this, this researcher presented media that the participant can tell their own stories to them, made them enjoy making the plays itself instead of spending a lot of energy to make the conflict structure by using novel text, not the existing play scripts and did them their unconscious and intuitional appreciation about text be absorbed in making the plays by using all improvisation in the process that they read text, share appreciation about it and select the part of making plays in it. This study treats the process of youth-theatre as 'Yujin and Yujin', the novel arranged with students in a play club of Attached Girl’s High School to the College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for about 3 months. It's the girl's high school that the author is working and the intention is to make unique sensibility and interests of life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t is difficult most of high schools to find a proper script when they try to make plays because many of them are divided into female high schools and male ones. In this case, joint creation method can be done and the process can be changed to much more joyful and richer learning one if it will be done based on the tex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participants. 'Yujin and Yujin', the text that this study handles is the story about growing pains of different persons with the same name who were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problems of them and the surrounding eyes which treat them. The point that youth-theatre treats the problem of children sexual violence which recently is on the rise as the serious social problem could be a challenge and at the same time, burden. But the participants could approach the text without any burden because it treats children after abou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ccident occurred, not the time of it and how they find themselves in surrounding eyes and prejudice. 'Yujin and Yujin' can be the suitable text for female high schools in that it overcomes the limit of the material that the youth-theatre treats and handles the essential problem of 'finding self' in that period of tim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more deepened their critical minds that they superficially know about problems of 'children sexual violenc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he play and they get to realize how the surrounding prejudice is violent.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the play was the one that they learned life seriously as well as it was a joyful experience. Play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not the splendid stage gave th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hey got to check that play is the art which creates fictitious space time and became a field that audience and actresses can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cause it is the small space. This experience got to check that making plays by adolescent is enough value and possibility which can be carried out in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Recently, the cases that trials to make youth-theatre focusing on 'process' are carried out in the school fields have been increas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e and those trials will be gradually active in the fiel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연극만들기의 과정을 통해 심미적(審美的) 체험을 하고, 삶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감성과 직관의 영역을 도외시하고 있는 한국의 현행 교육 과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극 경험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과중한 학업으로 인해 연극만들기에 대해 부담을 안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도 실행가능한 연극만들기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기존의 희곡 대본이 아닌 소설 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풀어 놓을 수 있는 매개체를 제시하였고, 갈등구조를 만드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 연극만들기 자체의 즐거움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텍스트를 읽고, 그것에 대한 감상을 공유하는 과정, 그리고 소설 텍스트에서 연극화할 부분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모두 즉흥을 활용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참여자들의 무의식적이고 직관적인 감상까지 연극만들기에 녹아들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상명사대부속여고의 연극놀이반 학생들과 함께 약 3개월에 걸쳐서 진행된 소설 ‘유진과 유진’으로 연극만들기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필자가 재직 중인 이 학교는 여고로서, 여고생 특유의 감성과 삶의 관심사들을 연극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한국의 고등학교 중 많은 수가 남고, 여고로 분리되어 있어 이들 학교의 경우에는 연극을 만들려고 할 때, 적절한 대본을 찾기가 더욱 어렵다. 그럴 경우에는 공동 창작의 방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참여자들의 특성과 관심에 맞는 텍스트를 토대로 한다면 공동창작의 과정이 훨씬 더 즐겁고 풍부한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과정으로 변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유진과 유진’이라는 텍스트는 아동성폭력의 문제와 그것을 다루는 주변의 시선, 성폭력의 피해자였던 동명이인인 두 여자 아이가 청소년이 되어 겪는 성장통을 다루고 있다. 근래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아동성폭력의 문제를 청소년 연극에서 다룬다는 점은 도전 거리인 동시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텍스트 자체가 당시 사건 당시가 아닌, 10여년이 지난 후의 아이들의 삶을 다루며, 주변의 시선과 편견 속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스스로를 찾아가는지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참여자들이 큰 부담을 갖지 않고 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었다. 청소년 연극이 다루고 있는 소재적 한계를 뛰어넘되, ‘자아 찾기’라는 그 시기의 본질적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유진과 유진’은 여고생들이 다루기에 적합한 텍스트라 할 수 있겠다. 참여자 대다수는 ‘아동성폭력’ 문제에 대해 피상적으로 가지고 있던 문제 의식을 연극만들기의 과정을 통해 좀 더 심화시킬 수 있었으며, 주변의 편견이 얼마나 폭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되었다고 말한다. 즉 연극만들기의 과정은 즐거운 체험일 뿐 아니라, 삶에 대한 진지한 배움의 과정이 되었던 것이다. 화려한 무대가 아닌 교실에서 올린 연극 발표는, 일상의 공간이 변형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연극이 허구의 시공간을 창조하는 하나의 예술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작은 공간이었기에 관객들과 연기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청소년 연극만들기는 고등학교 과정 안에서 실행될 충분한 가치와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근래 ‘과정’을 중시하는 청소년 연극만들기에 대한 시도가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본 연구가 하나의 작은 밑거름이 되어 현장에서 그러한 시도가 점차 활발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찾아가는 판소리극에서의 교육감독(Education Director) 역할수행과정 사례 연구 : 판소리극 '뎅뎅뎅 솔뫼골 이야기'를 중심으로

        박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295

        아동극의 배우와 아동관객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공연과 아동관객의 특성이 반영된 교육적 안내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교육적 안내의 대상은 아동관객 뿐 아니라 아동극의 배우까지 포함하여 상호적 접근을 시도해야 하며, 아동극이 독특한 형식적 특성을 가질수록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전통예술의 양식적 수용을 시도한 판소리극의 배우와 아동관객을 위한 교육적 안내의 실행자로서 교육감독(Education Director)이라는 새로운 역할에 주목하고, 그 역할수행과정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우선, 아직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교육감독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영국과 국내의 교육감독 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영국 두 극장의 교육감독의 경우는 소속 된 극장의 모든 교육적 작업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극장 내 공연관련 프로그램은 물론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까지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의 교육감독 사례는 배우와 아동관객의 상호작용을 돕기 위해 교육적 안내를 실행하는 경우와 소속된 단체의 공연기획제작부터 공연 외적으로 연계되는 소통의 장을 확장해나가는 경우로 나뉘어 관찰되었는데, 용어사용에 있어서도 ‘예술교육감독’ 과 혼용되고 있었다. 단체에 소속되어 보다 확장된 역할기능을 보이는 경우가 ‘예술교육감독’에 해당하였는데, 이러한 면에서 ‘예술교육감독’이 영국 두 극장의 교육감독 사례와 더욱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고의 교육감독은 예술교육감독과 구분하여 판소리극의 배우와 아동관객의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역할로서, 두 대상을 매개하기 위한 교육적 안내의 실행자로서 교육감독을 연구하였다. 판소리극의 교육적 안내의 모색은 배우들을 대상으로 아동관객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아동관객의 특성을 기반으로 ‘놀이감각의 회복 및 작품에 대한 내적의미강화’에 초점을 두었고, 아동관객을 위한 교육적 안내는 판소리극 형식에 관한 친숙함을 제공하고자 ‘이야기하기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사례는 판소리극「뎅뎅뎅 솔뫼골 이야기」공연으로 진행되었는데, 전쟁세대의 갈등을 다루는 작품내용의 특성상 아동관객이 느낄 내용적 거리감을 조절하고자 연구자가 작품창작배경에서 발견한 흥미지점인 ‘원작자 권정생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추가 계획하였다. 역할수행은 공연창작과정에서 배우그룹을 대상으로 놀이워크숍, 5학년 아동에 대한 객관적 자료조사 및 배우의 일기장을 활용한 ‘5학년 때의 나’를 환기해보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다각도의 작품탐구를 돕고자 소리꾼 배우와 아동극 배우 간 매개를 통해 판소리를 탐구해보는 자리와 권정생에 관한 영상자료를 보며 함께 토론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공연과정에서는 공연 전에 아동관객을 대상으로 판소리를 총체적으로 경험해보는 ‘판소리 프로그램’ 과 원작자인 권정생의 자료들과 공연 속 소품을 활용하여 인물을 상상해보는 ‘권정생 프로그램’을 각각 실행하였고, 공연 후「교사를 위한 학습지침서」를 제작하여 관극 후 교실활동까지 안내해 보았다. 역할수행결과, 교육감독의 매개를 통해 배우와 아동관객이 공연 전에 친숙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아동관객이 공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관극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감독의 역할수행으로 확장된 관극과정에서 배우와 아동관객이 행위자와 수용자를 넘나들며 예술행위를 주고받는 순환적 상호작용이 발생하였고, 각 대상을 위해 안내되었던 교육적 안내의 과정이 다음 과정의 토대가 되어 유기적이고 연속적으로 발전되어가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는 판소리극과 아동관객의 상호작용을 돕는 매개자로서 교육감독이 가지는 가능성과 가치를 보여주었다.

      • 청소년극의 희곡 창작 과정에서 '나'의 문제에서 출발하는 것의 의미 연구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를 찾아 떠난 소녀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윤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연구는 ‘나’의 문제에서 출발해서 희곡을 창작하는 것이 어른 창작자와 청소년 관객에게 갖는 의미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의 문제는 ‘나는 누구이고 어디로 가고 있으며 무엇이 행복인가?’ 질문함으로써 본래의 ‘나’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리고 ‘나’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청소년 노래극『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를 찾아 떠난 소녀의 이야기』의 희곡을 창작하여 관객을 만나고 그 사례가 드러내는 의미를 탐구하였다. ‘나’의 문제를 통해서 본래의 ‘나’를 만나는 것의 의미는 다층적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그것을 희곡의 창작과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탐구할 때에도 다각도로 조명하여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그것이 어른 창작자에게 주는 희열의 실체가 무엇인가, 그것이 어떻게 청소년 관객과의 공감을 부르는가, 또한 그것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한 형식 탐구과정에서는 어떠한 의미가 드러나는가의 문제를 포함한다. ‘나는 누구이고 어디로 가고 있으며 무엇이 행복인가’ 질문하는 것은 보편적 인간의 과업이면서 청소년기에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그래서 필자는 ‘나’의 문제에 대한 어른과 청소년의 입장을 균형있게 이해하면서도 특히 청소년적 자기성찰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본래의 인간을 발견하고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서 본래의 ‘나’에 가까이 있는 청소년의 존재와 ‘나’의 문제에 대한 그들의 진지하고 순수한 태도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희곡을 창작했다는 것은 수련 체험을 통한 작가의 변화가 희곡의 주제 의식과 내용의 배경이 되게 하였음을 의미한다. 필자는 희곡 창작 과정에서 청소년의 존재를 가까이 함으로써 본래적 ‘나’를 통찰하는 것이 창작자에게 희열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청소년은 어른에 비해서 본래의 인간이 훼손되지 않은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을 가까이 함으로써 본래의 ‘나’를 만날 수 있고 인간 내면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으며 풍부한 정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창작자가 인간과 삶을 통찰하고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데 있어서 값진 자산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필자는 ‘나’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창작한 희곡이 청소년 관객의 공감과 감동을 부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나’의 문제는 청소년의 주된 관심이고 그들은 본래의 ‘나’에 가까이 있는 존재들이며 영적 정신적 발달 단계상 그것을 충분히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은 객석의 청소년이 ‘나’와의 만남에 대한 작가의 맺음말에 공감하고 작품의 주인공과 동일시하며 작품의 현실과 자신의 내면을 깊이 연관 짓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청소년이 볼 수 있고 보고 싶은 연극을 창작하기 위해서 의미 있는 발견이다. 한편 필자는 본래적 ‘나’의 의미의 전체를 드러내는데 있어서 어른 창작자와 청소년 관객의 공존이 가치 있고 필요하다는 것 또한 발견하였다. 한편 ‘나’의 문제를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한 형식 탐구 과정에서 몇 가지 발견이 있었다. 원 텍스트의 형식은 일인극이었는데 그것을 연행하는 과정에서 관객이 작품에 대해 내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점이 드러났다. 그래서 형식 탐구과정에서는 주로 미적 거리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그를 위해서 필자는 다수 작업자와의 협업이라는 방법을 택하였다. 타자의 개입을 통해서 필자가 ‘나’의 문제가 주는 희열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것을 극복하고 협업자들과의 소통으로 그 정서의 실체를 객관화하기 위해서였다. 공연 팀과의 협업을 통해서 미적 거리를 확보할 수 있었고 그것은 청소년 관객의 공감과 감동을 불렀다. 그런데 협업 과정에서 필자가 작가로서 ‘나’와의 만남에 감동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공연 팀이 집단적으로 미적 거리를 잃어버리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통해서 ‘나’의 문제가 창작자들에게 풍부한 내용을 만들며 창작의 자산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본래의 ‘나’를 만난 방법이 수련 체험이라고 했을 때 그것을 무대화하는 과정에서 고유한 텍스트 형식을 발견하였다. 극 중 정서에 몰입하는 작용과 정서로부터 거리 두는 작용을 교차하여 표현하는 희곡의 구조와 그에 맞는 글쓰기 방식이 그것이다. 그러한 발견은 창작자 마다 자신의 방식으로 ‘나’를 만나는 것이 고유한 텍스트를 낳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그것은 우리 청소년 극이 다양해질 수 있음을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is a study about what the creation of a play starting from the problem of 'I' means to the adult artist and youth audience.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I' is to encounter the original 'I' by asking the question of 'Who am I, where am I going to and what is happiness?' I wrote a youth songplay(noraeguk) "The Story of a Girl who Left to Discover the Most Beautiful Song in the World" starting from the problem of 'I' which was performed in front of teenagers. This is a study about the meaning of the process above. The meaning of encountering the original 'I' through the problem of 'I' can be revealed on many leve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the meaning from diverse angles even when studying it with a focus on the playwriting process. That is why this study deals with and includes the following issues: What is the substance of the true delight that the problem of 'I' brings to the adult artist? How does the problem of 'I' evoke a sympathy between the adult artist and youth audience? What meaning reveals the process of exploring a proper form to express the problem of 'I'? The asking of the question of 'Who am I, where am I going to and what is happiness?' is the universal man's task but is a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teenagers. That is why I was mostly concerned about the self-reflection of the youth in this study even though I considered both positions of the adult and youth toward the problem of 'I.' I attempted to get near to the existence of youth as well as the sincere and idealistic attitude of them toward the problem of 'I' by discovering and recovering the original human nature through Kukseondo training. The method I chose to write a play starting from the problem of 'I' is to write in a state of having been changed through the Kukseondo training experience. The change of the writer's 'I' became a setting of the theme and content of the play. I discovered during the playwriting process that getting near to the existence of youth and seeing through the original 'I' by doing so brings the artist a true delight. Teenagers' original human nature is less damaged than the adult's. Being near to them lets us encounter the original 'I,' helps us understand the inner purpose of human beings and makes us fill ourselves with artistic emotions. It becomes the artist's asset when seeing through human nature and life and when creating beauty. I also discovered that a play starting from the problem of 'I' evokes the sympathy of teenagers and moves them. It is because teenagers are naturally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I' and because their existence itself is close to the original 'I.' It is also because they are in a spiritual and mental stage of development which makes them ready to fully understand the issue. I could confirm this by the fact that the teenagers in the audience sympathized with the writers final message about the encounter with the 'I,' by the fact that they identified themselves with the protagonist and by the fact that they were deeply connecting the dramatic reality with their inner self. This is a meaningful discovery in the sense that it lets one create a performance which teenagers can see and want to see. In addition, I discovered the fact that the coexistence of the adult artist and the teenager is meaningful and necessary because they together can reveal the whole dimension of the meaning of the original 'I.' Meanwhile there were a few discoverie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roper form to express the problem of 'I.' The original text was written as a monodrama but it was revealed during its first performances that the audience members could not maintain an aesthetic distance toward it. Thus the main concern during the exploration of form was to secure an aesthetic distance. I chose to collaborate with a group of artists to achieve that goal. It was a decision to prevent myself from overly indulging in the delight of encountering the original 'I' by letting others participate in the work. I also hoped to objectificate the substance of the emotion evoked by the problem of 'I' through the dialogue with the collaborators. The collaboration with the performance team secured an aesthetic distance and which touched the audience. But there appeared a phenomenon dur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where the members of the team collectively lost their aesthetic distance toward the piece in a similar way as I had been happily overwhelmed by the encounter with the 'I.' It once more confirmed the fact that the problem of 'I' creates an artistic emotion which becomes an asset of the artist. Additionally I discovered that a unique form of text wa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staging the Kukseondo training experience. I discovered a structure where the function of being immersed in the emotions of the play and the function of keeping distance from the emotions intersect. I also discovered a writing style which harmonizes with that structure. That discover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howed the fact that every artist can create a unique play text by encountering the 'I' in her own way, which means also that our youth theater scene can become more diverse.

      • 청소녀의 성별화된 몸(gendered body)에 초점을 둔 연극놀이의 의미와 방법 연구 : 만16-18세 청소녀의 몸짓 및 몸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중심으로

        박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연구는 청소녀(靑少女)들이 연극놀이를 통해 성별화된 몸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몸짓 및 자신의 몸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녀들은 성(性)적 성숙을 경험하며 성인 여성의 신체적 모습을 띈다. 이에 그녀들은 여성으로서의 명확한 성(性)정체성을 형성하고 본격적으로 성역할을 수용하며 여성스러운 몸가짐과 발걸음, 자세 그리고 여성으로서 매력적인 외모를 갖기 위한 미적 관리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소녀들의 몸은 사회·문화적으로 여성에게 요구되는 규범에 적절한 성별화된 몸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청소녀들의 몸짓은 물론 자신의 몸을 바라보는 방식 및 태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로써 청소녀들은 소극적이면서 제한된 몸짓을 형성하고 자신의 몸을 외모중심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사회화 과정이기도 하나 특정한 성(性)의 특성만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청소녀들이 제한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하여 필자는 청소녀들의 성별화된 몸에 초점을 둔 연극놀이를 실행함으로써 그녀들이 여성으로서 요구되는 규제들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몸에 대한 이야기를 솔직하게 드러내고 자유로운 몸짓을 경험하며 자신의 몸을 다양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연극놀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인 ‘즉흥’과 ‘상상과 변형’에 주목하였다. 즉흥은 자신의 내면을 검열 없이 자유롭게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녀들이 제한된 몸짓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상과 변형은 은유를 통해 자신의 몸에 대한 자신만의 고유한 의미들을 생성하여 자신의 몸에 대한 주체적이고 다양한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연극놀이의 실행에서는 위와 같은 ‘즉흥’과 ‘상상과 변형’의 잠재성을 바탕으로 연극게임과 신체 부위 되어 보기 등의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극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발견과 인식을 돕기 위한 촉매제로써 꼴라쥬 작업, 석고 뜨기와 같은 미술 작업을 실행하였고 연극놀이 전반에 걸쳐 각 활동이 끝날 때마다 몸일기를 작성하여 자신의 연극놀이 경험을 의미화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필자는 청소녀들의 몸에 초점을 둔 연극놀이에서는 무엇보다도 청소녀들이 몸에 대한 자의식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몸에 집중하고 자신의 몸을 솔직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여 이를 위해 필자는 참여자들과 스태프 전원을 여성으로 구성하여 ‘리더와 참여자’의 경계를 허물고 각 세대의 여성들이 자신의 몸 이야기를 자유롭고 솔직하게 소통할 수 있는 장(場)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본 연극놀이를 통해 자신을 둘러싼 공간에 대한 경계를 확장시키며 더욱 역동적이고 다양한 몸짓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녀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섬세하게 인지할 수 있었는데 이는 그 순간 주체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자신의 몸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자신이 진정으로 자신의 몸을 알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통찰을 이끌어 내었다. 그리고 극적 상상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은유를 통해 청소녀들은 그저 단편적으로 인식하였던 자신의 신체 부위에 대한 풍성한 의미를 생성하여 일상에서 자신의 몸을 바라보는 외모중심적인 시각 이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시각을 형성할 수 있었다. 연극놀이에서 몸을 중심에 두고 이를 명확한 초점으로 다룬다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일 수 있다. 왜냐하면 몸이라는 초점에 대해 참여자들이 보이는 민감함과 몸에 담겨 있는 다중적인 의미들, 그리고 이를 둘러싼 수많은 담론 등을 고려해야 하며 이에 대해 참고할 만한 연극놀이 연구 성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이 점점 더 상품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는 한 개인의 균형 있는 정체성 형성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에 몸을 초점으로 하는 연극놀이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기에 필자는 앞으로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더욱 넓은 범주의 대상과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맥락의 몸에 초점을 둔 연극놀이 사례가 연구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몸’과 ‘청소녀’ 혹은 ‘젠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부족하게나마 작은 기표가 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This is a study for seeking the ways and considering the meaning that female youths feel free from their gendered bodies and are aware of their own bodies and movement through creative drama. Female youths get adult women’s body somatotype with sexual maturity. This makes them have distinct gender identity and begin to accept gender role. They repeatedly perform feminine behavior and posture and aesthetic care to have charming appearance as women. Through this kind of process of growth, the female youths’ bodies are developed to proper bodies for sociocultural standard which is required to women, which influences their ways and attitude to see their bodies and body movement. This leads them to recognize their bodies focused on appearance and brings their passive and limited movement. Though it is a natural socialization process, this become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m to have limited self-identity with acquisition of one specific gender characteristic. Accordingly, I led creative drama focused on female youths' gendered body in order to let them be able to tell their stories candidly out of the regulation that is required of them as women, experience free movement and recognize their diverse bodies. To achieve this, I focused on 'improvisation' and 'imagination and transformation' which are attributes of creative drama. Improvisation makes them get out of limited movement and move freely without self-censorship. Imagination and transformation make it possible that they recognize their various bodies independently through metaphoric method, which generate their own original meaning. In practice, I have used theatre games based on the potential of improvisation, imagination and transformation. I have also used art works like the collage work and plaster moulding and casting as a catalyst to help discovery and awareness, and had them write ‘body journal’ after each exercise to mak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Additionally I believe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them focus on their bodies out of self-consciousness and show their bodies openly. Thus, the participants and staffs of the project team consisted of all females to make a comfortable field to communicate about their bodies candidly among them breaking up the boundary of ‘a leader and participants’. Meanwhil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more active and various movements expanding the limited space surrounding them. Also the female youths recognized these movements delicately, and they derived the insight about what is truly knowing their bodies from this experience. It was possible because they independently became aware of their moving bodies at that moment. Through the metaphor which stemmed from the process of dramatic imagination, they generated richer meanings about the parts of their bodies that were recognized fragmentarily and got to have an alternative view to see their bodies besides the appearance centered view. In the creative drama it can not be easy to place emphasis on the body with clear focus. It is because the leader has to consider participants’ sensitiveness about the focus on the body and multiple meaning of it, and there are few case studies to refer. Nevertheless, the need of the creative drama focused on the body will grow in this society that the body is being commercialized since the individual balanced identity has great effect on society. Accordingly I hope that more creative drama focused on diverse context of body will be studied with wider category of participants regardless of gender, and this study could act as a beacon to others who are interested in body, female youths or gender.

      • 인식의 변화를 위한 중학생과 연극만들기 방법론 연구 : '조각 맞추기' 창작 과정을 중심으로

        김순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5295

        최근 우리나라의 아동 대상의 연극 수업에 대한 연구는 양과 질에서 급증한 반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극 수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일천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 특히, 중학생이 참여하여 그들의 현실적 관심사를 소재로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연극 만들기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현재 이러한 형태의 연극 만들기가 중학생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극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두 가지 이유에서 기인한다. 첫째, 그 연령대의 연극적 활동에 대한 욕구를 이끌어 줄 수 있는 공식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제도적 접근이 부재하기 때문에 그 욕구를 다채로운 예술적 경험으로 나아가게 하는 교육 방법론이 일천하다는 점이다. 둘째, 중학생들의 발달 단계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연극에 대한 독특한 접근 방식 때문이다. 청소년기의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요구 속에 둘러싸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예민하게 주목하면서 많은 혼란을 겪는 현실주의적 태도가 시작된다. 그래서 상상력 넘치는 환상적인 이야기에 감정을 이입하는 아동기의 연극적 활동은 유치하게 느껴지고, 풍부한 삶의 의미를 다양한 시선에서 해석하고 예술적으로 형상화하기는 미성숙한 애매한 연극적 단계에 놓여있는 것이다. 중학생들의 자발적 표현 욕구만을 존중할 때, 자칫 관습적이거나 자기중심적 결론을 반복하는 한계가 있고 인식의 변화나 성장을 강조할 때 교사의 일방적인 결론의 주입이 강요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연극에 대한 현실주의적 접근이라는 중학생 시기의 경향의 의의와 문제점을 동등하게 고려하여 자발적 자기표현에 대한 동기라는 강한 에너지를 좀 더 깊은 자아 성찰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위한 성장의 원동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방법론 연구에 주목하게 되었다. 연극 만들기에서 인식의 변화는 지적, 정서적, 의지적 영역에 걸친 전인적 차원의 의미의 변화를 말한다. ‘연극적 활동을 통한 변형의 체험’과 ‘자기표현의 극대화’는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 도달하기 위한 두 가지 전제이다. 아울러 연극 만들기가 인식의 변화에 도달하는 의미 있는 체험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도교사의 통찰력 있는 지도 방법이 요구된다. 필자는 인식의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극 만들기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을 '동기를 존중하는 안내자', '담론을 활성화시키는 촉진자', '의미를 구현하는 드라마터그'라는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역할은 연극 만들기의 단계별로 적응해야 하는 역할이 아니라 인식의 변화에 도달하는 연극 만들기를 떠받치는 세 기둥으로 동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겨울방학 중 특기‧적성 연극반 수업에서 이루어진 “조각 맞추기" 창작 과정에서 이러한 방법론을 실험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위에서 제기한 전제가 어떻게 실현되었으며 어떠한 한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규범적 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전제를 어떻게 수행하였는가 하는 과정의 기록과 분석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의 이 실험에 대한 기록과 분석은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후 중학생들과 함께하는 연극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채로운 실천과 연구 작업에 본 연구자의 기록이 비판적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 on drama program for adolescent is rare whereas those for children are quite extensive. This paper explores a collaboration work by middle schoolers in which they made a play out of things they care most in reality. This kind of playmaking became most popular among these early adolescents. Two reasons have contributed on this phenomenon in Korea. One is that no theatre education pedagogy is available, which can lead out diverse theatrical activity. The other is somewhat related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adolescent. They feel childish about playmaking with the imaginative and fantastic stories in which children empathize, but often feel immature or helpless at making more aesthetic play out of profound human experience. Theatrically speaking, they are in between. In playmaking with middle schoolers, if only spontaneous desire to express oneself is valued, they often end up with conventional or self-centered conclusion in their play. If, however, paradigm shift or cognitive growth is stressed, there could be only teacher's assertion left. This paper is written for middle school teachers or youth workers, who are looking for effective ways to empower adolescent's spontaneous self-expression desire and assist them to gain insight into themselves and the world around them. Paradigm shift in playmaking, it means the wholistic change that run through intellectual, emotional and belief domains. 'Transformation experience through theatrical activity' and 'Maximizing self-express' are two premises for this paradigm shift. Anything more than teacher's insightful pedagogy is vital if this cognitive change in playmaking is to be a meaningful experience. To facilitate this balanced outcome, the role of teacher in playmaking ought to have three aspects: 'a guide who respects motivation', 'a catalyst who enliven discourse', 'a dramaturg who creates meaning'. These three aspects are not something to be applied at different stages, but a tripod which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Based upon premises and devised role of teacher above, this paper describes "Jigsaw Puzzle", a series of playmaking class with drama club members, which was developed and presented in the winter vacation of Playmaking classes were analyzed to show techniques and methods used and how all expectations were met. This is not a "how-to-do-it" recipe, but rather "how-I-did-it" account. By sharing one's experience and reflections on it, hopefully, more interest and imagination could be sparked toward designing more profoun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