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食材料인 가지를 利用한 설기떡의 품질특성화에 관한 硏究 : 가지떡의 품질을 中心으로

        홍영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효과와 당뇨병 예방과 같은 생리활성이 있는 가지 이용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쌀가루 대신 가지 파우더를 첨가하여 설기떡의 품질특성을 연구하였다. 첫째, 가지 파우더의 첨가량을 0%, 1%, 2%, 3%, 4%와 0%, 2%, 4%, 6%, 8%로 다르게 하여 일반성분과 환원당, 색도, 점조도, ph(용액의 산성도를 가늠하는 척도로서 수소이온농도의 역수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이다. 또는 수소이온농도의 상용로그 값에 마이너스를 붙여서 구할 수도 있다. pH = log10(1/[H+])= -log10[H+])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둘째, 관능평가에서는 색(Color), 향(Flavor), 점도(viscosity), 맛(taste), 전반적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가 가지껍질 파우더 3%와 통가지 파우더 4%를 첨가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지 파우더를 사용한 설기떡 제조 시 가지껍질 파우더 3%와 통가지 파우더 4%를 첨가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가지떡은 여러 가지 유용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떡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저장성을 높이는 효과를 보이고 있어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떡이 제조되어 상품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extend the usage of the eggplant which lowers cholesterol levels, has antioxidative effects and prevents diabe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using eggplant as thickening agent instead of rice flour. General composition, reducing sugar, color, viscosity, and pH were tested and sensory evaluation were conducted on the varying quantities of 0%, 1%, 2%, 3%,4% and 0%, 2%, 4%, 6%, 8%. of the added eggplant powder.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eggplant-skin powder 3% sample and eggplant-whole powder 4% proved to be the best in color, flavor, viscosity,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when making eggplant-rice cake with eggplant-skin and whole powder, it is best to add 3% of the eggplant-skin powder or 4% of the eggplant-whole powder. Eggplant-rice cake contains many valuable nutrients and shows the effects of delaying retro gradation and enhancing the storage time of rice cak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rice cake as a functional food .

      • 제품 컨셉과 광고모델 컨셉의 일치성 여부가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

        홍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들어 유명모델의 겹치기 출연이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모델이 각기 다른 이미지의 제품을 광고함으로써 브랜드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해 보았다. 스키마 일치이론과 조화가설에 관한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여 유명 보증인과 제품 간의 이미지의 일치성 및 신선도가 소비자 브랜드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 결과 기존의 연구 결과와 모두 일치하였다. 우선 가설 1과 관련하여 광고모델과 제품특성의 조화에 대한 기존의 조화가설이 본 연구에서도 다시 검증되었다. 광고모델의 성별 일치성(Kanungo & Pang, 1973)이나 신체적 매력도와 같은 특성이 일치할수록(Rossiter & Percy, 1980, 1987) 광고모델의 광고 효과가 증진한다는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브랜드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일치할수록 브랜드 선호도 제고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키마 이론에서는 Berlyne, Bettman 그리고 Raju의 광고모델과 제품 혹은 브랜드 이미지와의 일치성이 역 U자형 관계라는 결론에 따라 다소의 불일치성은 소비자가 광고모델의 선정이 기존의 패턴과 달라 다소 의외이며, 신선하게 받아들일 때 더욱 깊이있는 정보처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조사 결과 광고모델의 선정을 소비자에게 신선하게 받아들여질수록 브랜드 선호도 제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광고모델 선정은 단지 광고모델의 유명도에 좌우될 것이 아니라 모델과 제품 카테고리의 이미지 적합성, 그리고 모델의 신선도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광고모델의 선정은 자사 제품 혹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일치해야 광고 효과에 긍정적이다 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일치성과 선호도에 대한 통계수치를 봤을 때 일치성이 낮은 브랜드들은 거의 선호도 역시 낮다는 사실에서도 입증이 되고 있다. 또한, 광고모델의 선정은 일치성만 고려할 경우 소비자들이 지루해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저해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에서 봤을 때 신선도가 낮은 제품은 일치성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신선도가 일치성과도 연동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Recently, overlapping appearance made by famous models is being raised as controversy. In this research, an identical model advertised various products having different images to find out its influence on the brand preference.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involving the Schema's Confirmation Theory and the Matching Hypothe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if freshness and consentaneity of image between famous guarantor and product have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brand preference. All results of this research matched that of the previous researches. As for hypothesis 1, the preexisting matching hypothesis on matching of the spokesmodel and product features was again verified in this research. Similar to the research result report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spokesmodel's advertising enhances as consentaneity of spokesmodel's gender(Kanungo & Pang, 1973) or particularities such as level of physical attraction (Rossiter & Percy, 1980, 1987) match at a higher level, it was found out in this research that the effectiveness of brand preference enhances as the image of spokesmodel and brand match at a higher level. In addition, as for the Schema‘s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conclusion reporting that consentaneity of Berlyne, Bettman, and Raju's spokesmodel and product or brand image contain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it can be seen that some little non-consentaneity was unexpected since the pattern of consumer's selection of the spokesmodel differed from the previous pattern and that it is more in-depth information processing when freshly accept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is survey, it was found out that the brand preference enhances as the selection of the spokesmodel was more freshly accepted by consumers. Therefore, the selection of the spokesmodel shouldn't only be depended on awareness of the spokesmodel, but it also should be depended on suitability of image of the model and product category. In addition, the freshness of the model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gained from these research results, The selection of the spokesmodel must comply with the image of brand or product of a company to result in positive advertising effectiveness. Observing the statistical values on preference and consentaneity of this research, it was certified that the brands having low consentaneity also had low preference. In addition, when only consentaneity is considered in selecting the spokesmodel,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can be decreased since consumers may get bored. Giving consideration to the research results, products with low freshness also had low consentaneity and this implicates the fact that freshness is also connected to consentaneity.

      • 세마치형 아리랑의 음악적 형식 고찰 : 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을 중심으로

        홍영 남부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아리랑’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억눌려 왔던 우리 민족의 감정과 분노를 아리랑에 얹어 호소했던 까닭에 구전민요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민족의 감정이 엉키고 또 그 공통된 심정을 표백한 노래인 만큼 그 유래에 대한 설도 구구하고, 지방에 따라 해주아리랑,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등 가사와 곡조에 차이가 있다. 굳이 민요라는 장르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한국인들에게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국가 이상의 대표적인 “노래(Song)”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경기지역의 아리랑이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어서 어떠한 아리랑이 원형인지 반대로 가장 현대적 음악어법에 가깝게 만들어 진 것인지 등에 관한 음악적 연구와 작업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아리랑의 실체적 요소와 생성과정을 파악한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심성과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음악적 또는 문학적, 예술적 정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인식화 한다는 것이다. 세마치형 아리랑의 연구대상으로 활용한 세 곡은 토속 민요인 듯 하면서도 통속 민요화 된 진도아리랑과 밀양아리랑, 그리고 현재 온 국민이 애창하고 있는 아리랑이다. 아리랑에 관한 음악적 연구가 미진한 까닭은 노래로서의 아리랑의 선율이나 형식이 너무 짧고 간단하기 때문에, 오히려 음악학자들의 연구의욕을 일으키기에 충분하지 못하였다고 생각된다. ­ⅴ­ 즉 대부분의 아리랑들이 가사의 다양성이나 배경설과는 다르게 선율의 길이가 16마디(두 도막 형식)에 불과하여 동기의 전개나 발전변화를 설명할 만한 여건이 되지를 못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논의의 폭이나 길이를 늘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아리랑의 장르인 민요의 성질을 추가로 논하고자 하는데, 민요(Folksong)는 “특정 개인의 창작이 아니거나 창작자가 문제되지 않는 음악, 엄격한 교육에 의하지 않은 입에서 입으로 전승된 노래, 엄격한 규범이나 형식이 없이 지역이나 창자에 따라 다소의 변경이 허용되고, 어느 정도의 시간적 배경과 전통을 지니고 있는 노래”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은 별다른 이의 없이 음악학자들 간에 보편적으로 인용하거나 사용하여 왔으나 근래에 발행된 “전통음악개론”의 민요 항 에서는 “창작자의 존재, 악보의 유무, 구전의 특성 등의 요소는 민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전통음악에 공통으로 해당되는 현상”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 곡의 선율구조를 마디별 단위와 동기별 단위, 그리고 악구와 악절로 구분하여 형식을 중심으로 논하겠으며, 결론적으로 세 곡 중에서 어떤 곡이 서양음악의 기법에 가깝고 반대로 어떤 곡이 전통적인 기법이 많이 남아 있는지를 비교하여 음악적인 발전관계를 밝히려고 한다. 세 곡의 아리랑이 모두 유절형식의 두 도막 형식으로 짜여 졌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민속음악 장단에서 유일하게 3박자 계통의 세마치 장단으로 불려 진다는 것이다. 결국 이 세 곡 모두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 토속민요에 머무르지 않고 통속민요화 되어 국민들에게 애창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세마치장단이라는 흥겨운 리듬구조로 짜여진 점과 주제(동기)의 발전과 반복이 나타나는 작곡기법과 형식미가 갖추어 졌다는 것이 국민들의 보편적인 음악 정서에 맞는다는 것을 연구하여 보았다. "Arirang" is representative folk song of Korea. It widespread as an oral tradition folk song when we appeal our emotion and sad anger on top of "Arir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origin and the theory of "Arirang" are various as "Arirang" is the song of an way to express our complex emotion and the same feelings. There are different type of "Arirang" like "HaeJu Arirang" "Jindo Arirang" "Jeongsun Arirang" "Milyang Arirang" "Gangwondo Arirang" according to the region that are different for melody and lyrics. We aware "Arirang" as more than a song that represent our own country whether we conscious or unconscious to our mind even if we don't use the word called "Minyo" which means folk song. But because "Arirang" of Gyeonggi region is widely known, we can't tell which "Arirang" is the orginal one and all the works that we have done musically are insufficient in reality.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a substantive element and the process of form creation of "Arirang" is that we cognize and analyze the feelings of Art and culture and music that are inside of it systematically. Jindo Arirang, Miyang Arirang and the Arirang which is all of the people love to sing are popular folk songs and these three arirang are good use of studies for Semachi type of Arirang. But because the melody and the form of Arirang are way to short and simple, that cause some loose in musical research about the song "Arirang". So it was not enough to make a desire of arirang research to musicologists. The length of the meloday of most Arirang songs are only 16measures(two parts)unlike diversity and the background tale story of Arirang lyrics. So it is hard conditions to explain Arirang's progress, motives and Arirang's changes and developments that limits to expand the length and the depth of arirang discussion practically. While I am talking about Arirang, I also like to talk about the character of folk song(Minyo) which is Arirang's genre. Folk song(Minyo)defines the music that has no issues of making a certain individual creations or creators. It defines the song that spread from mouth to mouth and not ruled by strict educations. It allows alterations without strict norms and forms according to the region or people who do "Chang". And also it defines the song that has a tradition and temporal background. These ideas have been used and quoted universally among musicologists. But according to Minyo sections in a book 「Tradition music outline」 it says these ideas which "the existence of creator, Music score, the character of oral tradition" are also applied to any traditional musics. This way of research divides each songs of the melody as a form, as a passage and as a motive that discusses around formality of Arirang. In conclusion, it reveals musical developing relationships that make a comparison in between which arirang song out of three is most close to western music technique and which arirang song out of three remains most traditional technique on the other way.

      • A study on the Korean household saving behavior

        홍영 University of Washington 1995 해외박사

        RANK : 1823

        한국은 '80년대 후반 세계적으로 높은 가계저축율(30%이상)을 기록하고 있 다. 이는 한국의 고도경제성장을 설명할 수 있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데 서 논의의 가치가 있다. 지금까지 저축이론은 소비이론의 반대측면으로 이해되어 오면서 평생소득가 설(Life-Cycle Model)이 가장 많이 인구에 회자되었다. 그러나 이 가설은 한 국의 저축패턴의 두드러진 특징은 젊은 세대와 늙은 세대의 높은 저축율을 설 명하기에 역부족이다. 그래서 필자는 한국금융시장을 특징짓는 유동성 제한 (Liquidity Constraint)과 한국의 전통적 가족 구조에 기인한 유증동인(beque st motive)을 통합하여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이론적으로 유동성 제한이 젊은 세대의 집을 사겠다는 요구와 함께 저 축을 높인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명시했으며, 매년 한국의 국민은행이 도시에 거주하는 3,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중 '88~'92까지의 5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도출된 결론을 검증해 보였다. 같은 방법을 중년의 교육비 마련과 늙은 세대의 유산증여욕구등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보고, 조사자료에 나타난 가계저축형태가 실제로 전술한 구체적 저 축목적이 저축율을 높인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지 보고자 했지만 그 결과는 그렇게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 이유는 중년가정이나 노년가정의 구성원의 특 성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저축목적을 규정하기 어려웠으며 노년가 정의 경우 시계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로 얼마만큼의 유증이 이루어 지는지 알아내기 어려웠다. 본 논문이 시사하는 점은 향후 한국의 금융시장이 자율화되고 소비자금융위 주로 전환되게 되면 저축율의 하락이 예상되는데,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하 여는 (이는 물론 저축율과 경제성장율이 정의관계에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 저축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A Study on Korean Household Saving Behayior by Yo1+ng-Man Hong Chairperson of Supeㅁisory CommiUee:Prof匕sor Neil Bruce, Depannlent of konon1ics llle life-cycle model has had htUe success in explaining and predicUng Korea's savingpattem;both young and elderly households save far too nluch. This paper develops amodihed h丘-cycle model, incorporating hquidity constraints and the bequest mohve in 皿effoIt to 1日Lt Korea's idiosyncrahc household saving behavior to obsewed householdcharactehstics. N4uch attention is paid to Korea's high houshg prices and educahonalexpenses, as wen as to her hnper丘ct capital markets and traditionJ f由nny stnKture. Themodel is then ernpiIjcally estinlated. Ushg a sinlulahon nlethod and data conected in aKorean household suwey, the conclusion is drawn that b아h liquidity constraints and thebequest mohve have signincmU, posiUve ef丘cts on Korean household saving.

      • A Study of Disciple-Making Methodology as a Missions Strategy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21st Century Berea Missions Seoul Sungrak Church : 선교전략으로서의 제자삼기방법론에 관한 연구

        홍영 Berea International Theological Seminary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The Great Commission of the Lord Jesus Christ (Mt 28:18-20) is the duty and mission of the Church and of all believers. In real situations, it is nonetheless regarded as a commandment solely for those who have a special interest in missions, so that it is applied to few individuals or even when it is applied, it is limited to domestic missions. Pastor Ki Dong Kim who understood "The Picture of God's Will" in 1962, planted Sungrak Church in November 30, 1969 with the purpose of fostering lay leaders in order to spread the Berea Movement, a conservative and orthodox Bible movement asserting the need to return to Scriptures. For thirty years, he has been making disciples of his church members on the ground of the method indicated in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those practiced by Jesus, the Twelve and Paul. The disciple-making method in the Old Testament is focused on scripture teaching and transfer of inspiration; the one used in the New Testament is oral education through language, and signs and wonders which testify to God's word. The characteristics of Apostle Paul's method was education and pastoral care through correspondence. The epistles constituted the best method to mediate the gospel in his time and still play a significant role today as canons of the New Testament. Moreover, the present study reviewed Faith Missions, the Bible Institute Movement and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ook into account the occurrences of the Great Commission missions, the Church Growth Movement, Third World Missions and internationalization in the second half. It examined how Kim applied the methodology shown in the Bible itself in addition to the relevant ones of Modern Era to Seoul Sungrak Church. Disciple-making has been performed through general educ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church school, the School of New Comers as well as other associations or age groups called Berea Campus Association (CBA), Youth Berea Missions (YBM). The particularity was the common intensive teaching of "The Picture of God's Will" and missionary practices. The novelty shown by Kim is to disciple his entire congregation through pastoral programs (revival crusade, Lord's Day sermons, lectures which contents are the "Mediators of the Gospel" part in Berea Academy) in a systematic, gradual, long-term perspective. Kim also put into literature his oral teachings and translated them in various languages for the spreading of the Berea Movement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field missions. At the end of such disciple-making, Kim named his lay leaders, "Teaching Shepherds," because this is the ultimate commandment of the Lord Jesus to Peter. Only Jesus' disciples are entrusted to feed and shepherd his sheep, because these are spiritual leaders. In general, pastors seek church-growth centered pastoral ministry and education, but the Bible's clear direction is missions, for the methodology of disciple-making itself is a missions strategy and mission purpose. Here lies God's wisdom. 기독교의 거대담론인 주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은(마 28:18-20) 모든 믿는 자와 기독교 교회의 의무이며 사명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명령을 특별히 선교에 관심 있는 자에게나 해당되는 말씀으로 간주하며, 일부 교인에게 국한시키거나 비록 전교인에게 적용할지라도 국내 선교에 국한시키는 것이 현실이다. 1962년에 ‘하나님의 의도’를 깨달은 김기동 목사는 1969년 11월 30일 성락교회를 개척할 때부터 평신도 지도자를 양육하여 그들로 하여금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정통적인이며(orthodox) 보수적인(conservative) 성격의 성경적인 운동을 국내외 전개하자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그는 예수의 제자를 양성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성경에서 제시되고 있는 구약의 방법과 예수 자신이 사용한 방법, 또한 사도들과 바울이 사용한 방법론의 원리와 목적을 토대로 30년 이상 전교인을 제자화해 왔다. 구약의 제자삼기 방법론을 다룬 항목에서는 성서를 토대로 한 가르침과 영감의 전수에 주안점을 두었음을 밝혔으며 신약에서는 예수께서 사용한 방법과 관련, 언어를 통한 구전교육방식과 표적과 이적을 통하여 말씀을 확증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고 자연과 사건과 환경을 고려하는 방식을 사용했음을 고찰하였다. 사도 바울의 방법론의 특성은 서신을 통한 교육과 목회관리였으나 이것은 그 당시에 복음을 중재하는 최선의 수단이었고, 몇 백 년이 지난 오늘에 이르기까지 신약성경의 일부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본 연구는 살펴보았다. 그다음 항목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일어난 ‘신앙선교’(Faith Missions) 와 '성서학원운동'(Bible Institute Movement) 및 '대학생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후반기에 '지상명령선교'(Great Commission Missions)와 '교회성장운동'(Church Growth Movement), 선교의 국제화 및 제삼세계선교 등이 제자 삼기 운동의 방법으로 적극 할용되어 큰 영향을 미쳤음을 고찰하였다. 성경 자체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이러한 방법론에 근거한 근대선교의 방법론이 바로 서울성락교회 현장에 적용하여 동일하게 사용되어 왔다. 즉, 베뢰아운동의 중심역할을 하는 서울성락교회가 일반적인 교육조직 내지는 선교 방법으로써의 교회학교, 새신자학교, 베뢰아성경학교 등외에 대학선교회 (CBA), 청년선교회 등 연령별 소그룹으로 조직된 기관에 하나님의 의도를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것과 그러한 선교교육이행을 통해 성락인을 양성해온 핵심내용을 논의하였다. 서울성락교회 목회자 자신이 나서서 교인들을 제자 삼는 방법은 택하였는 데 그것은 목회 자체에 특별 프로그램을 통합시키는 것이다. 즉, 주일설교, 사경회, 심령부흥회 등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장기 교육을 하는 것인데, 이것은 베뢰아 아카데미의 복음중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즉 하나님의 의도를 실제상황에서 전달하고 실천하게 하는 내용이다. 그리고 서울성락교회는 더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그 내용을 번역 문서화하여 베뢰아 운동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확산되도록 문서선교를 병행하는 내용도 다루었다. 그리고 예수를 알아 그의 제자로서 사역할 수 있는 평신도 지도자들에게 ‘목양사’라는 명칭을 부여하며, ‘평신도 목회자’의의미의 ‘목양사’(牧羊師)를 양육 내지 활용해왔다는 점이 특이하다. 곧, 예수께서 수제자인 베드로에게 그의 사랑을 세 차례나 확인한 후 주신 부탁의 결정체를 목회 현장에 적용한 것이다. 그 명령은 예수의 양과 어린 양을 먹이고 치라는 명령이다. 일반적으로 목회자는 교회성장 지향적인 목회와 교육을 생각하고 있으나, 성경은 선교 지향적 목회와 교육을 엄연히 제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제자삼기 자체가 선교전략, 선교목표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나님의 지혜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