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연관성규칙을 이용한 협동적 추천시스템의 개발 : 백화점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진경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overflowing information because of the advancement of Internet, We want to get the most suitable one easily, quickly, precisely. Just like the case of E-commerce, customers would like to find the right items for them and sellers hope to find out profitable customers on their goods. It has bee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automatic search systems, recommendation systems, and many studies are now under way. There is a lot of distinction between each domain therefore, it would be different for customers to purchase items to their taste. In this study, we develop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BF, CF, Association Rules, K-Means clustering algorithms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of the department stor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ample, which was done in connection with association rules, showed the best outcome than any others.

      • 웹툰의 인터랙션 효과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한진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ebtoons, now a representative digital cultural content covering all generations, continue to expand the industry to 1 trillion won in sal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ovies, dramas, games, novels, etc. Accordingly, as the webtoon industry has recently grown, the webtoon platform and the government continue to expand their IT webtoon business, in which technologies are concentrated.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webtoons is being introduced as new types of interactive webtoons such as moving toons, AR toons, VR too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ons on various platforms such as Naver, Daum, and Kakao Page. As the webtoon industry is actively moving, research on the interaction effects used in webtoons is required,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interaction effects in webtoons affect users. This work focuses on the various interactions used in webtoons to understand how the use of interactions in webtoons affects users and to analyze features and problems of interaction methods to propose efficient ways to use each type of interaction.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this study adopts a quantitative survey and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After selecting a total of 60 interactive webtoon case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the interactions used for each webtoon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6 types (moving effect, sound effect, haptic effect, VR effect, AR effect, and face recognition effect).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webtoon were produced as a video so that the subjects could experience it well and included it in the questionnaire along with a webtoon link, and a face-to-face and online survey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o find out the subjects' direct responses. A total of 103 survey subjects were recruited, and survey evalu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on how each interaction type affects users' immersion, persistenc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types in webtoon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s' immersion, persistenc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lthough the face recognition effect and AR effect received high scores in the immersion drawing, their scores tended to fall in terms of persistence due to the strong UI that interfered with the vertical scrolling of webtoons. The VR effect was measured lower overall than other variables due to its horizontal scroll UI, and effect sounds with UI buttons that the subjects could choose showed a high preference in terms of persistence. Overall, the higher the deviation from the vertical scrolling, the lower the immersion and persistence score, but if the interaction effects and narrative are done well, the higher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after the surve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played a positive role in genres in which the immersion of the story or worldview is importa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but the response was not good in everyday or comic fil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new possibilities of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its approach, to develop the interactive webtoon industry where users can easily feel the various technical effects that novels, movies, or dramas cannot offer, to defin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webtoons,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user-desired interaction effect types. 웹툰, 현재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대표적인 디지털 문화 콘텐츠로서 영화, 드라마, 게임,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목표 매출 1조원으로 산업 규모를 계속해서 확대시키고 있다. 그에 맞춰 최근 웹툰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웹툰 플랫폼 및 정부에서 기술이 융합된 IT웹툰 사업을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다. 기술과 웹툰의 결합은 네이버, 다음, 카카오페이지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무빙툰, AR툰, VR툰, 인공지능툰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인터랙티브 웹툰으로 선보여지고 있다. 웹툰 산업이 활발히 움직이는 만큼 웹툰에서 사용되는 인터랙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 중 웹툰 속 인터랙션 효과가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웹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인터랙션 효과에 대해 주목하여 웹툰 속 사용이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그 방식에 대한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해 각 인터랙션 효과 유형별 효율적인 사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본 연구는 정량적 설문 진행 방식 및 대면 인터뷰를 채택하였다. 현재 나와있는 인터랙티브 웹툰 사례 총 60개를 선정한 후 각 웹툰 마다 사용된 인터랙션 효과를 총 6가지(무빙효과, 효과음, 햅틱효과, VR효과, AR효과, 얼굴인식효과)로 분류하였다. 웹툰 속 효과를 피험자가 잘 경험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제작해 웹툰 링크와 함께 설문지에 포함시켰고, 피험자의 직접적인 반응을 알아보고자 대면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병행하며 진행하였다. 총 103명의 설문대상자를 모집하였으며, 각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도, 지속성, 이해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 평가 및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웹툰 속 인터랙션 효과 유형은 사용자의 몰입도, 지속성, 이해도,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얼굴인식효과와 AR효과가 몰입도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웹툰의 세로 스크롤을 방해하는 UI가 강했기에 지속성면에서는 점수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VR효과는 가로 스크롤 UI를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다른 변수에 비해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고, 실험자가 선택할 수 있는 UI버튼을 가지고 있는 효과음은 지속성면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세로 스크롤을 벗어날 수록 몰입도 및 지속성 점수가 낮게 나오지만 인터랙션 효과와 서사가 원활히 이루어지면 이해도 및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설문조사 이후 진행한 개별 인터뷰를 통해 스토리의 몰입이나 세계관이 중요한 장르에서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일상 또는 코믹물에서는 반응이 좋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새로운 가능성과 웹툰의 접근방식을 새롭게 분류하고, 소설, 영화 또는 드라마에서 얻을 수 없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를 사용자가 웹툰을 통해 쉽게 느낄 수 있는 인터랙티브 웹툰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진행하였으며, 인터랙티브 웹툰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랙션 효과 유형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뉴미디어 기술과 웹툰의 혼합이 웹툰 산업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에 의의가 있다.

      • 국내외 critical pedagogy, critical thinking 관련 EFL 연구 비평적 분석

        한진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국가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국가 간 교류와 왕래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국가 간 무역과 교류의 폭이 넓어지고 다양해지면서 국적과 언어의 제한을 받지 않고 소통할 수 있는 공통어(Lingua Franca)로서의 영어의 중요성이 재조명 되었다. 더불어 국제화 시대,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상호존중,’ ‘화합,’ ‘공존’과 같은 사회적 규범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는데, 이 규범들은 공통적으로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 사회가 다원화되고 복잡해짐으로써 다양성으로 인한 문제들이 사회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사람들의 새로운 문화나, 언어, 인종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이 사회 변화 속도와 맞춰 발전하지 못하는 추세이다. 이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부터 나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양성에 대한 이해는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깊이 있는 사고력이 바탕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리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야 말로 유연한 사고, 깊이 있는 사고를 가능케 한다. 비판적 사고하기를 강조하는 비판적 교육법은 단순히 지식과 기술 전달의 교육이 아니라 사회에 존재하는 모순과 문제에 대한 이해를 핵심원리로 삼는다. 또한 타인에 대한 존중, 다양성과 공존 및 화합하는 법,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교육을 지향하며 학습자가 복잡한 사회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하기와 비판적 교육법은 편견과 차별을 최소화하고 문화적 갈등으로 인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 교육 방법으로 제시된다. 1990년대 이전 영어교육은 사회적 쟁점이나 정치적 이슈하고는 무관하다는 의견이 많은 이유로 대부분의 EFL 교육 환경에서는 영어의 언어적 구조를 학습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언어가 중립적일 수 없으며, 언어 교육이 사회와 지배층의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인지되면서 비판적 교육법이 최근 들어 EFL 영역에서도 많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교육법과 비판적 사고하기를 EFL 교육과 연관 지어 전체적인 이해를 제시하고자 EFL 교육과 비판적 교육법 및 비판적 사고하기 지도에 관한 국내외 연구 양상을 조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수학-과학 통합교육의 적용효과 : 고등학교 수열단원 중심으로

        한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지식은 그 양이 아주 방대하며 단순 지식의 학습 보다는 지식의 활용과 다양한 지식들 사이의 융합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 학문 간 경계를 구분 짓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지식의 융합현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문의 통합과 융합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학문을 연구하고 그 학문을 실제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단순 지식으로서의 학습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그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고 융합할 수 있는가 또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춰 통합교육은 여러 방면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적용은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수열단원과 과학과의 통합지도를 통하여 수학 지식과 과학지식의 융합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학과 과학을 통합하여 학습지도안을 설계한 후 이를 실제로 적용하고 분석하였으며, 이는 수학 과학 통합교육을 위한 예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과학문제 상황에서 제시되는 수학적 개념과 적용을 통한 수열학습은 학생의 인지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과학문제 상황에서 제시되는 수학적 개념과 적용을 통한 수열학습은 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A고등학교 1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수학-과학 통합교육 지도안을 작성한 후에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수업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사고와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발적으로 원하는 학생들을 선발하였으며, 이 학생들은 학급 내 중상위권 정도 성적의 학생으로 본 연구에 성실하게 참여하였다. 수열 단원과 과학과의 통합은 물리, 화학, 생명과학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고등학교 ‘수학Ⅰ’이 일차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개념, 원리, 법칙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수열 단원 또한 수열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목표를 두는 만큼 과학을 적용한 수열개념의 학습은 수열의 개념 이해를 돕고 원리파악과 적용을 할 수 있게 한다. 화학의 탄소화합물, 화학반응에서의 반감기는 각각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개념을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물리의 등가속도 운동에서는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등차수열의 합을 적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생명과학의 유전단원에서는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합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과 연계된 수학 수업은 수열의 개념과 원리의 이해를 도왔다. 과학 실험으로 유도된 수열 수업은 수열의 개념이 어떻게 나오게 되는지 수열의 일반항을 왜 그렇게 나타낼 수 있는지, 수열의 합을 구하는 공식이 어떻게 유도되며 수열의 합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였다. 단순히 공식을 배우고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상황에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이 적용될 수 있는지 규칙성을 파악하게 하였으며 실제로 수업 후에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보면 학생들은 수열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었다고 대답하였다. 2. 과학 실험을 통한 수열지도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느끼게 한다. 종이와 펜 만으로 진부하게 진행되는 수학수업은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재미없는 학문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수학수업을 하기 전에 과학실험 기구를 이용해 실험을 하였고, 학생들은 수학 학습이라기보다 수학실험이라 여기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는 많은 연구에서 학생의 구체적 조작활동은 수업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고 제시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과학과 연계된 수학 수열 수업은 수열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학생들은 먼저 과학 학습을 하고 나서 자연스럽게 수열학습을 하였다. 탄소화합물의 분자모형을 학습하고 나서 탄소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일반항을 표현할 필요성을 느끼고 등차수열을 학습하였으며, 물리의 등가속도 운동을 실험하고 나서 구간별 물체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등차수열의 합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반감기를 학습하고 나서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였으며, 유전형질 조사를 하기 위한 조상의 개체수를 찾기 위해 등비수열의 합을 학습하였다. 이처럼 과학학습 후에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수열 수업은 단순한 수식의 계산이 아니라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수열이라는 단원을 배워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통합교육은 시대적 흐름에 맡는 사회적 요구이다. 하지만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을 위해서 수학교사는 수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 뿐 아니라 과학 분야에 대해서도 수준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수학 교과의 효과적 학습을 위해 적용되는 과학지식을 잘못 전달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과별로 따로 운영되는 교육과정 상에서 수학교과와 과학교과를 통합하여 가르치는 것은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이러한 이유들이 시대적 요구와는 다르게 실제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고 나날이 정보가 늘어가는 시대 속에서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융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수학과 과학을 통합하여 교육하는 예시로서 현재의 수학, 과학 지도 방법의 개선 및 수학, 과학 통합교육을 위한 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영양교사제도 도입에 따른 학교 영양교사와 영양사의 직무현황 연구

        한진경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present guidelines on human resources improvement so as to efficiently improve the work system for school nutritionists, in view of the fact that school nutritionists are divided into the regular and the irregular according to the appointment system. In line with this object, both part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rom the standpoint of job satisfac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work performance and importance in feeding services and performing dietetic counsel. Subsequent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00 regular nutritionists (the regular) and 101 irregular ones (the irregular), and its results came out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the irregular showed a lower level compared to the regular. The regular has a strong circle of school teachers and cafeteria staffs, and has enough time to preparing for lectures and consultanc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opensities of managers, the irregular should handle miscellaneous works in addition to main duties. In both parties,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work system. Also, school nutritionists have little opportunity for being trained as professionals. Second, communication ability is necessary for nutritionists to take the effective lead in their organizations. Actually, both parties were good at communicating with others. However, the irregular had mental feud with each other differently than the regular.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user-centered school feeding services, both partie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from the standpoint of work performance and importance relevant to feeding services and dietetic counsel. Results came out as follows: 1. In the case of work importance relevant to feeding servi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parties. Also in the case of work performance, both parties all showed moderate level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2. With regard to work importance relevant to dietetic counsel, both parties showed moderate levels, especially the regular showed a higher level in publicizing dietetic counsel, operating independent counsel offices, and articles and devices necessary for counsel. In the case of work performance, both parties all showed higher levels, especially the irregular showed a lower level in performing visitors-centered dietetic counsel, having a good understanding with visitors, and training programs. Forth, all nutritionist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from the standpoint of work performance and importance in relation to feeding services and dietetic counsel. Results came out as follows: 1. In the case of feeding services, work performance was inferior to work importance in all items. In particular, hand washing in process of entering cafeterias, food coordinating, remodeling cafeteria, and music applying to mealtime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but such things were not well performed. 2. In the case of dietetic counsel, work performance was inferior to work importance in all items. In particular, articles and devices necessary for dietetic counsel, counsel programs, dietetic examination to the healthy, and training program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but such things were not well performed. Fifth, the followings were judged to be necessary to efficiently improve the work system. 1. Both parties strongly hoped recipes will be standardized and computerized, separate departments will be established so as to study menus and educate staffs for cooking. 2. Both parties strongly hoped that the work system will be generally improved, especially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will be systematically developed by a separate department. However, they hardly hoped that their affairs will be partially transferred to cooks. Sixth, currently nutritionists handle all affairs exclusive of drinking water out of cafeterias.

      • 로버트 프로스트 작품세계에 나타난 생태지역주의

        한진경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술문명과 산업사회의 대두로 인해 지역적이고 구체적인 장소는 인간으로부터 소외되었다. 뿐만 아니라 장소가 삶의 터전이 아닌 단순하게 물리적이고 도구적인 개념의 공간으로 전락했다. 이와 함께 고유 지역 전통 문화나 관습 또한 사라진 실정이다. 그 결과 삶의 터전과 지역 생태계 및 지역 전통 문화 복원이 주된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생태지역주의 논의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생태지역주의는 지역생태계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동시에 장소에 뿌리내리는 방법을 강구하는데 로버트 프로스트의 작품세계에서도 이와 같은 시도가 나타난다. 프로스트는 뉴잉글랜드 지방 곳곳의 중심에 들어가 직접 체험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을 그려냈다. 그의 작품들은 인간이 대지의 한 장소에 완전하게 뿌리를 내리고 삶을 영유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그 장소를 잘 알고 이해해야 함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이해를 바탕으로 그 지역에 맞는 생활양식을 갖춰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그의 작품들은 장소가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특별한 정서적 공간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머무는 장소에 완전하게 뿌리를 내리고 정착하기 위해서는 장소와의 유대관계를 강화해야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프로스트의 작품들을 생태지역주의로 조망함으로써 보다 더 그의 작품세계를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생태계와 머무는 장소를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어떤 자세와 노력들이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주제어 : Robert Frost, New England, Bioregionalism, 장소의 소외, 뿌리 내리기 Ever since the emergence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 civilization, distinct regional places have been estranged from humankind. Accordingly, life-places have degenerated to a mere space in a physical and instrumental sense. Traditional regional culture and regional customs can now hardly be foun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ssues of how to recover the life-place, regional ecosystem and the traditional regional culture became the main concern of the ecologically minded people in modern society. Bioregionalism is a theory whi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recognizing the regional ecosystem and seeking for the ways on how to form a deeply rooted life in the place. These aspects of bioregionalism can also be found in Robert Frost's poetry. Frost wrote poetry based on his experiences in the very centers of New England regions. His works show that in order to lead a deeply rooted life in a place, one should first know about the place thoroughly and form an understanding about the place. Only through this intimate understanding of the place, humankind can keep a place-oriented lifestyle. In Frost’s poems, place is a special and affective space to form intimate relationships with humankind. One needs to fully settle in the place by pursuing a deeply rooted life and enforcing the strong ties with the pla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a broader understanding of Frost's works through a bioregionalistic perspective. This would enable u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n what kind of attitudes and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protect and preserve both the regional ecosystem and the health of the life-places. Keywords : Robert Frost, New England, Bioregionalism, degenerated life-places, deeply rooted life

      • 시 그림책 창작 과정에 나타난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에 관한 연구

        한진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readers’ imagin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and appreciating poetry, and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aspects of the students’ imaginative experiences. According to Bachelard, imagination is the dynamic ability to create a new figuration by transforming and reconstructing images beyond the images formed by perception or memory. Therefore, educators must guide students to read poetry in depth and express it actively in order to teach dynamic imagination in the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poetry. From the perspective above, this study is to induce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on experiences by having them create their own poetry picture book. As the 3rd to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by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s) are the periods to lear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express various thoughts and feelings that come to min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t as the 3rd to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n one class (24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one class (20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as students lack experience in poetry picture books compared to general picture books, it s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picture books and to practice expressing poem texts and picture texts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this study focuses on guid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picture book step by step so that they can organize and complete a poetry picture book by themselves. Accordingly, a total of 10 poetry picture book creation guidance processes were designed using five poems, including the poem “A Piece of Jujube”. The first session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em and a poetry picture book, the second session wa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texts and picture texts in the poetry picture book, and the third and fourth sessions were to know the role of the cover of a poetry picture book. The fifth and sixth sessions were to compose the images into scene units, the seventh and eighth sessions were to create the poetry picture book, and the ninth and tenth sessions were to share the poetry picture 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pre and post questionnaires, record materials, student interviews, and self-composed poetry picture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picture 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are based on the materiality of the poem. As the materiality inherent in the poem is variously modified by the students,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begin. For example, in the poem “When Mom Is Sick”, the material images of the earth of mom or home appeared as sadness or loneliness when the mother was sick. Second,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begin with resonance actions proceeds to empathy actions and reverberation actions. After reading the poem “By the Sea”, the students tried to convey the topic of the poetry picture book in one piece by combining the experience of the sea, the fact known about hermit crabs, and the appearance of hermit crabs from his perspective. Third, the expansion from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to empathy and reverberation actions are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oetry picture book creation process. The students initially stayed in the picture text to represent the poem text as it was, but gradually learned that the poem text and the picture text helped each other convey meaning, and actively applied it to create poetry picture books. Fourth, after completing the poetry picture book,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change steadily. While sharing the poetry picture book, the students found that the imagination activities of oneself and other students differe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how to express them. Since then, students have added color or drawn backgrounds to their poetry picture books and added new expressions that clarify the intention of the scene. Fifth, the students’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in the poetry picture books appear in various ways through the interaction of poem text, picture text, and paratext. The students made their own story by continuously constructing the images that came to mind after reading the poem. In addition, the poem text was segmented or a line was added; the topic of the poetry picture book was revealed or the meaning that was not conveyed in the text was conveyed by using the cover and the endpapers, which are paratext. In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the teaching of imagination through the poetry picture book increases the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poem, give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ith self-expression, and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as active readers. However, it is suggested for a follow-up study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of study to proceed to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poem, the qualitative change of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through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can be promoted, and it is possible to broaden the dynamic imaginative experiences by creating poetry picture books based on the poems written themselves. 이 연구는 시를 읽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독자의 상상력에 주목하며 학습자의 상상 경험이 가지는 특징과 구체적인 양상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바슐라르(Bachelard)에 의하면 상상력은 지각이나 기억으로 형성한 이미지를 넘어서서 그것을 변형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 역동적인 능력이다. 그러므로 시 감상교육에서 역동적 상상력을 지도하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가 시를 깊이 있게 읽고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 이에 시 그림책 창작을 활용하여 시를 각자 구성한 이미지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담은 작품을 만들어보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을 유도해보려고 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3∼4학년으로 설정하였다. 초등학교 3∼4학년은 시의 기본적인 특성을 익히고 떠오른 생각이나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해보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에 초등학교 3학년 1학급(24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한 뒤, 초등학교 4학년 1학급(2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만 학습자가 일반 그림책에 비해 시 그림책을 본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 그림책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맞게 시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를 표현해보는 연습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예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시 그림책의 특성을 단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시 그림책 한 권을 스스로 구성하고 완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시 「대추 한 알」을 비롯한 다섯 편의 시를 활용하여 총 10차시의 시 그림책 창작 지도 과정을 설계하였다. 1차시는 시와 시 그림책의 관계 알기, 2차시는 시 그림책에서 시와 그림의 관계 알기, 3∼4차시는 표지의 역할 알기, 5∼6차시는 이미지를 장면 단위로 구성하기, 7∼8차시는 시 그림책 만들기, 9∼10차시는 시 그림책 공유하기 순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사전 사후 검사지, 수업 녹화 및 녹음 자료와 학생 면담 자료, 창작한 시 그림책 등을 분석한 결과, 시 그림책 창작 과정에서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이 갖는 특징과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은 시 텍스트의 물질성을 기반으로 한다. 시 텍스트에 내재된 물질성이 학습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면서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이 시작되는 것이다. 예컨대 시 「엄마가 아플 때」에서 엄마 또는 집이라는 대지 이미지가 시 그림책에서 엄마가 아플 때의 슬픔이나 적막감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은 반향 작용에서 시작하여 공감 작용과 울림 작용으로 나아간다. 학습자는 시 「바닷가에서」를 읽고 따뜻한 햇살, 시원한 바람 등을 떠올리며 바닷가에서의 경험, 소라게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라게의 모습 등을 하나로 엮어 시 그림책의 주제를 전하려고 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에서 공감 및 울림 작용으로의 확장은 시 그림책 창작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처음에 학습자는 시 텍스트를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데에 머물렀지만, 점차 시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가 서로 도와가며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을 알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 그림책을 만들었다. 넷째, 시 그림책을 완성한 이후에도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은 꾸준히 변화한다. 학습자는 시 그림책을 공유하면서 자신과 다른 학습자가 상상한 내용이 다르고, 이를 표현하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후 학습자는 자신의 시 그림책에 색칠을 더하거나 배경을 그리기도 하고, 장면의 의도를 분명하게 하는 새로운 표현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다섯째, 시 그림책에서 학습자의 역동적 상상 경험은 시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 파라텍스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하게 나타난다. 학습자는 시를 읽고 떠오르는 시적 이미지를 연속적인 장면으로 구성하면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갔다. 뿐만 아니라 시 텍스트를 분절하거나 시행을 추가하기도 하였고, 파라텍스트인 표지와 면지를 활용하여 시 그림책의 주제를 드러내거나 본문에서 전하지 못한 의미를 전하기도 하였다. 시 감상수업에서 시 그림책을 통한 상상력의 지도는 학습자의 시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고, 자기표현 행위로 만족감과 성취감을 주며, 능동적인 감상 주체로서 참여하게 한다. 다만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시 텍스트를 통한 자기 이해의 과정까지 나아갈 필요가 있다는 점, 교과 간 융합을 통해 역동적 상상 경험의 질적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 학습자가 직접 쓴 시를 바탕으로 시 그림책을 창작하게 하여 역동적 상상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 등을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는 바이다.

      • 호스트-게스트 상호작용을 적용한 고편광 녹색 유기 발광 소자 연구

        한진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편광된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는 선편광 특성이 우수할 경우 영상진단장치, 광학 기억 장치, 광통신,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고대비 OLED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선편광된 빛은 일축으로 정렬하는 물질들을 사용하여 구현하므로 우수한 정렬 특성을 갖는 발광 물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고분자 발광 물질의 경우 효율이 낮고, 저분자 발광 물질의 경우 편광 특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신규 발광 물질의 개발만으로는 고편광 OLED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선편광 특성을 위해 액정상을 갖는 청색 및 녹색 발광 저분자 물질들을 호스트와 게스트로 사용한 녹색 발광 저분자 OLED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호스트-게스트 시스템이 발광 물질의 정렬도 향상과 OLED의 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복굴절 측정과 액정상 상전이 온도의 감소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고선편광 저분자 OLED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고 3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초고해상도 O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