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larization and thickness dependence of Raman spectra of WTe2

        한송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ungsten ditelluride (WTe2) is a layered material with the Td structure which has a distorted orthorhombic phase. It has attracted interest owing to large, non-saturating magnetoresistance which can be applied for information storage [1, 2]. The large magnetoresistance is related with its Td structur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lattice dynamics is an important key to the study of WTe2 [3]. Raman scattering measurements on WTe2 have been reported, but the incident polarization dependence and the low frequency part of the Raman spectrum have not been studied yet. We measured the Raman spectra of few-layer WTe2 in the low frequency region in vacuum because WTe2 could be degraded in the air. The Raman spectrum of WTe2 with the Td structure shows strong dependence on the incident laser polarization. We also assigned the phonon mode of each peak by comparing both the incident and the analyzer polarization dependence of the Raman spectrum. We discovered new peaks which have not been observed before. Polarized Raman spectroscopy can also be used to determine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of WTe2. We also measured the thickness dependence of the Raman spectra of few-layer WTe2. The number of layers of WTe2 can be determined by the Raman peak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80 cm̶1 and ~110 cm̶1 peaks. 이 텔루륨화 텅스텐(WTe2)은 Td 구조를 가지는 층상 물질이다. Td 구조란 orthorhombic 구조가 찌그러진 형태이다. 또한 WTe2는 매우 크고 포화되지 않는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 MR)특성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자기장 메모리 등 저장 매체로 응용될 수 있다 [1,2]. 이러한 매우 큰 자기저항은 이 물질의 Td 구조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물질의 구조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WTe2의 라만 산란 연구는 이전에도 발표되었다. 하지만 이전의 라만 산란 연구 결과는 입사하는 빛에 대한 편광 의존성이 고려되지 않았고 저 진동수 영역은 아직 측정된 적이 없다. 이 논문에서는 대기 중에서 WTe2이 변질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 진동수 영역을 비롯한 모든 측정을 진공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WTe2가 입사하는 빛의 편광 방향에 대한 의존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입사하는 빛의 편광에 따른 라만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각 피크의 모드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입사하는 빛의 편광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이전의 논문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피크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편광 라만을 이용하여 WTe2의 격자 방향을 알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층 수에 따른 라만 스펙트럼을 각 파장 별로 측정하였으며 특히 그 중 80cm̶1과 110cm̶`1 부근에 위치한 두 피크를 이용하여 층 수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하였다.

      •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송희 남서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여 장애아동 양육에 있어 억제해 오던 감정을 표출하고 그들의 심리적 침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내적 강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힘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보여 지는 모래의 사용, 모래상자 내 공간 구성, 피겨의 수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심층적 비교하여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는지 양적 및 질적 연구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 효과성의 대한 결과가 통계상으로 몇 가지 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서 하위변인인 부모의 고통, 부모-아동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모래놀이과정에서 표현된 상태의 변화에 있어 모래사용의 태도는 치료과정 전체적으로 모래를 만지는 행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모래를 만지는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모래상자의 구성은 치료초반에 매우 텅 비어 있거나 피겨들의 간격이 드문드문 놓여 있거나 한쪽으로 치우쳐 있었지만 점차 상자의 공간을 적절히 사용하였고 상자 중앙에 피겨들이 놓여졌다. 장애아동 어머니는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전체적으로 나무나 집 그리고 음식피겨들이 나타났고 치료과정 후반에는 신랑신부의 피겨나 코끼리, 기린, 양, 말의 동물피겨들이 나타났다. 장애아동 어머니는 모래를 만지면서 퇴행시키고 무의식에 있던 사고와 느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내부의 표출되지 못한 우울한 감정과 양육스트레스를 외부로 표출되어 다루려고 하였다.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하는 나무나 집의 피겨들의 사용과 신랑신부나 코끼리, 기린, 말, 양의 지혜, 지성, 은혜나 풍요와 조화를 상징하는 피겨들을 사용하면서 손상된 내면을 변화시키고 부적절한 자아를 치유함으로써 심리적인 재탐색을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로써 신체적, 정서적으로 자녀양육의 내면의 어려움들로부터 안정화되고 무의식과 의식, 정신과 육체를 통합하면서 자아를 발달시켰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별 모래놀이치료의 형태의 양적 및 질적 연구방법으로,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보여 지는 모래의 사용, 모래상자 내 공간 구성, 피겨의 수의 흐름의 변화를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장애아동 어머니들은 우울과 스트레스로 인해 침체되었던 자아의 안정을 찾고, 장애아동 보살핌의 질을 향상을 모색할 수 있는 심리 치료적 접근의 한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핵심어 : 장애아동어머니, 우울, 양육스트레스, 모래놀이치료, 피겨, 상징, 질적 분석 This study applied sandplay therapy to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had them express suppressed emotions while rearing disabled children, thereby intending to improve their power to cope with stress through internal reinforcement that may relieve psychological recessi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use of sand, composition of spaces within sand boxe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figures seen in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Through profound comparison,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ild rearing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decrease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reby,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on whether sandplay therapy may decrease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ild rearing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such process, the effect of sandplay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ild rearing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ome factors in statistical terms. First, sandplay therapy had effect in decreasing depression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Second, sandplay therapy had effect in decreasing stress from child rearing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sub-variables of parents' pain,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children's fastidious temperament). Third, attitudes in use of sand related to changes of states expressed in sand play proces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behaviors of touching sand, and in particular, they touched sand much while counseling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sand boxes was that they were empty, figures were placed here and there, or they were placed at one side at the early phase of therapy but gradually spaces of boxes were appropriately used and figures were placed at the center of boxes. In the sand play therapy process, overall, figures of trees, houses, and foods appeared and in the late part of therapy process, wife and husband or elephants, giraffes, lambs, and horses appeared.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expressed degenerated unconscious thoughts and feelings specifically while touching sand, intending to express and deal with inside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ild rearing not expressed outside. Use of wife and husband, elephants, giraffes, horses, lambs which symbolize wisdom, intelligence, favor, abundance, and harmony, respectively, changed their damaged inside, and cured inappropriate ego, having them conduct psychological re-search. Thereby, their inside difficulties with child rearing in physical and emotional terms are stabilized and their unconscious and consciousness and mind and body are integrated into development of their ego.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individual sandplay therapy form and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at sand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ild rearing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through use of sand, composition of spaces within sand boxe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figures. This study results are consider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as a means of psychological therapeutic approach that can seek for stability of depressed ego resulting from depression and stress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are of disabled children. Keyword :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Depression, Stress from Child Rearing, Sandplay Therapy, figure, symbol, qualitative research

      • 외래관광객의 체험지향성에 따른 체험활동 선호도 및 참여의향에 관한 연구

        한송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촌관광으로의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해 효과적인 농촌관광 상품개발 전략 수립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인바운드 시장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미주/구주 관광객을 대상으로 잠재 외국인관광객의 체험지향성을 파악하여 체험활동 선호도와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관광객의 체험지향성을 파악하여 추구하고자 하는 체험 성격을 규명하고, 이러한 체험지향성이 체험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둘째, 외래관광객의 농촌관광 체험지향성과 참여의향간의 어떠한 관련성과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외래관광객의 체험활동 선호도와 참여의향간의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추가적으로, 국적 및 농촌관광 경험에 따른 농촌관광 체험지향성, 체험활동 선호도, 참여의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지향성 5개 요인 중 관계적 체험지향성, 행동적 체험지향성, 감성적 체험지향성이 체험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체험지향성을 추구하는 집단은 농촌생활체험과 전통문화체험을 선호하고, 행동적 체험지향성을 추구하는 집단은 기타활동체험과 음식문화체험을 선호하며, 감성적 체험지향성을 추구하는 집단은 자연생태체험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체험지향성에 따른 참여의향에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성적 체험지향성과 관계적 체험지향성이 참여의향(전반적 참여의향, 농촌에서의 여가의향, 농촌관광 체험활동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성적 체험지향성과 관계적 체험지향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참여의향이 높은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참여의향을 높게 인식하는 외래관광객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촌관광에 있어 감성적 체험지향성과 관계적 체험지향성이 높은 체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체험활동 선호도가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기타활동체험, 전통문화체험, 자연생태체험이 참여의향(전반적 참여의향, 농촌에서의 여가의향, 체험활동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타활동체험, 전통문화체험, 자연생태체험을 선호할수록 전반적인 참여의향, 농촌에서의 여가 의향, 체험활동 참여의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즉, 참여의향이 높은 기타활동체험, 전통문화체험, 자연생태체험을 선호하는 외래관광객을 위해 이러한 체험활동의 비중을 늘려 매력 있는 상품 구성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국적 및 농촌관광 경험에 따라 체험지향성, 체험활동 선호도, 참여의향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적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체험지향성은 감성적 체험지향성과 인지적 체험지향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성적 체험지향성은 일본이 가장 낮게 지각한 반면, 그 외 국적은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지적 체험지향성은 미주/구주가 가장 높게 지각하고, 일본인이 가장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활동 선호도는 음식문화체험을 제외한 4개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농촌생활체험은 중국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일본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활동체험은 중국, 동남아시아와 미주/구주, 일본의 순이었다. 전통문화체험은 미주/구주와 중국이 높게 지각하고, 일본이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생태체험은 중국, 동남아시아, 미주/구주는 높게 지각한 반면,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의향의 차이 분석 결과는, 전반적 참여의향, 농촌에서의 여가의향, 농촌관광 체험활동 참여의향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Scheffe 사후검증 결과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주/구주, 동남아시아, 중국이 평균값이 높은 집단으로, 일본은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농촌관광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체험지향성은 감성적 체험지향성, 인지적 체험지향성, 행동적 체험지향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농촌관광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활동 선호도는 기타활동체험과 자연생태체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을 살펴보면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이 있는 집단은 자연생태체험의 평균값이 높았고, 경험이 없는 집단은 전통문화체험의 평균값이 높았다. 셋째, 참여의향에서는 전반적 참여의향, 농촌에서의 여가의향, 농촌관광 체험활동 참여의향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attract more foreign tourists to a rural tour, we assumed that base data service concerned is necessary to set up a strategy and guide line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 package. We had surveyed such tourists from Japan, China, Southeast Asia and Western countries holding a major portion of inbound market. And we had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periential orientation and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As the first, we tried to catch up the concern about what kind of hands-on experience do they expect and tried also to find out such concern has an effect on their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Secondl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tourist's experiential orientation and their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what they like. Third, we studied whether there is any impact or not each other between foreign tourist's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and their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y. Additionally, we had analyzed the difference upon experiential orientation,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and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upon their nationality and experience on rural tour. The outline of study is as below; As the first, it has developed that such factors relative to experiential orientation, active to experiential orientation and emotional to experiential orientation among the five factors consist of experienccial orientation have an impact on the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A party of relative had preferred a rural tour in farm village and tourism activity for traditional culture. A party of active had preferred such experience in other activities and food culture. A party of emotional had preferred tourism activity about a natural ecology. Secondly, as the result of the study about the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impacted from experiential orientation, it has developed that emotional experiential orientation and relative experience orientation impacted on the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especially for joining overall activities, leisure in farm village and joining a rural tour. We could assume a party more sensitive on emotional experiential orientation and relative experiential orientation may have more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In order to make a party who has a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put into action, rural tour package should be consist of such hands-on experience to satisfy the emotional or relative concern. Third, we analyzed the impact of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to the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The result is come out that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were impacted from hands-on experience such as other activitie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ecology including join to overall activities, leisure in farm village and join to a rural tour. We found that a party who prefer tourism activity such as other activitie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ecology has also a high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Therefor rural tour package should be designed as an attractive contents for such foreign tourist who prefer tourism activity such as other activitie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ecology. Additionally, we had analyzed the difference upon experiential orientation, preference for experience activity and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y upon their nationality and experience on rural tour. We had reviewed such differences upon nationality as first. As the first, it has developed that experiential orientation was expressed differently in aspect of emotional concern and relative concern. Japanese tourists were less sensitive on emotional concern but tourists from other countries were highly sensitive on emotional concern. Tourists from western countries were highly sensitive on cognitive experiential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Japanese were less sensitive on cognitive concern. Second, we found that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is different except food culture. About preference level for rural tour in farm village, chinese got the highest points in average but Japanese was the lowest. Preference for other activities in order were China, South East Asian countries, Western countries, Japan. Tourists from western countries and china were sensitive on tourism activity for traditional culture but Japanese were not so sensitive.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of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we found meaningful difference on every aspect of joining overall activities, leisure in farm village and join to a rural tour. The result of post verification by Scheffe method also displayed differences. The group of Western countries, South East Asian countries, china got high points in average but Japanese were low points group. As the result of analysis upon having an experience of rural tour or not, as first, we found that experiential orientation was expressed differently in aspect of emotional concern, cognitive concern and active concern. And a party having an experience of rural tour were more sensitive than those party not having an experience of rural tour. Second, about the preference for tourism activity, we found meaningful difference on aspect of other activities and natural ecology. In average points of evaluation, a party having an experience got high points than those party not having an experience. A party having an experience got high point in natural ecology but those not having an experience got high points in traditional culture. Third, about the intention to take part in actual activities, we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 on aspect of joining overall activities, leisure in farm village and joining a rural tour. In general, a party having an experience were more sensitive than those not having an experience.

      • 고분자 코팅된 리포좀의 특성 및 안정성

        한송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포좀은 제조가 쉽고 생체막과 상용성이 있으며 독성도 작을 뿐만아니라 생분해성 같은 이점 때문에 약물전달 물질이나 생체막 모델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포좀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리포좀의 안전성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인 Poly(vinyl alcohol)과 키토산을 이용하여 고분자 코팅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코팅된 리포좀의 액정상과 온도에 따른 리포좀의 상전이를 시차 주사 열량계와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일반 리포좀에 비해 고분자 코팅된 콜레스테롤 혼합 리포좀은 높은 온도에서도 액정 이중막 상태를 유지하였다. 광산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리포좀 입자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라포좀에 콜레스테롤이 첨가되거나 고분자 코팅될수록 입자크기가 증가하였다. 고분자 코팅된 리포좀 용액을 계면활성제인 Tween60의 존재 하에서 일정시간 보관 후 리포좀 내부로부터 막을 투과하여 나온 calcein의 형광세기로 방출량(%)을 측정하고 라포좀 막의 안정성을 판단하였다. 고온에서의 방출 실험결과 콜레스테롤을 첨가하면 막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리포좀 막에 콜레스테롤을 첨가하면 리포좀 막 구조가 견고해져 리포좀 막으로부터의 calcein 방출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고분자 코팅한 리포좀은 비코팅 리포좀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으며 특히 키토산 코팅된 HPC/CHOL30 리포좀은 고온에서 가장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PVA와 키토산은 리포좀 막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코팅물질로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키토산 코팅 리포좀은 화장품 제조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기대된다. Liposome has been used as drug delivery vehicle or biomembrane model due to the advantages such as easy preparation, biocompatibility, low toxicity and biodegradability. However, the physico-chemical instability of liposomes during manufacturing and storage limits their extensive application. Therefore, considerable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stability of liposomes over the last few year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liposom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epare polymer coated liposomes using water-soluble poly(vinyl alcohol) and chitosan in order to enhance the stability of liposomes.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phase and thermal phase transition of the polymer coated liposomes were investigated by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roplet sizes of liposomes, ranged from several hundred nm to gum, depend on the constitution components and preparation method. The release characteristics of calcein, encapsulated in liposome, were taken as a measure of stability of liposome membrane. For the release test, Tween60, which was used commonly in cosmetics but caused the liposome to collapse, was added in liposome solution. Incorporation of cholesterol into the liposomal bilayer decreased calcein release out from the liposome at high temperature(5 O t) due to increased rigidity of liposome membrane structure. Polymer coated liposomes showed higher stability compared to non-coated liposomes and the chitosan coated HPC/CHOL30 polymer was the most effective in release tests at high temperature.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PVA and chitosan might be an available coating material for the stability of liposome. Especially, the chitosan coated liposome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cosmetics.

      • 포털사이트 스토리텔링 로고디자인에 대한 평가분석 및 방향성 제시

        한송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 미디어가 대중화되면서, 웹 포털사이트는 단순 포털의 개념을 넘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합 토털사이트로서 거듭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포털사이트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스토리텔링 로고변형이란 다양한 표현방법과 미디어기술을 기반으로 특정 기념일의 스토리텔링을 로고변형에 적용시켜서 표현하는 것으로, 로고변형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재미, 흥미유발과 인지적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에 몰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구글(Google)과 네이버(NAVER)등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스토리텔링은 맥락적 구성에 의한 사용자 정보 인지와 자기반영을 통한 몰입효과에 의해 정보의 가치를 지적 활동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던 전통적 미디어와는 달리 표현수단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디지털미디어에서 그 효과는 날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영향력과 사용자가 느끼는 재미, 흥미를 통한 몰입, 심리적 요인들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한 후, 포털사이트 로고변형에서 보이는 스토리텔링 정보디자인을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정보전달의 유용성 및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글과 네이버 등 스토리텔링 로고변형 디자인 사례를 통해 실제 사용자들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사용성평가를 하였다. 사용성평가는 만족도, 재미/흥미 유발, 몰입, 정보전달성, 사용의 편의성 등 5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일반인 사용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앞선 사용성 평가의 결과와 제이콥 닐슨(Jacob Nielsen)의 유저빌리티 평가기준 항목을 참고하여 스토리텔링 로고변형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스토리텔링 로고변형 디자인은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정보가 가지고 있는 흐름의 명확한 전달 뿐 아니라 사이트의 다른 콘텐츠 이용의 편의성 또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지속적으로 사이트를 방문하게끔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는 스토리텔링정보전달의 경험이 있는 사용자와 비경험 사용자를 모두 포괄하여야 할 문제이며, 이렇게 디자인된 스토리텔링 로고변형은 보다 효과적인 정보전달 매개체로 다가갈 것이다.

      •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학습방안 연구

        한송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가 급변하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나라간의 거리는 가까워졌다. 이로 인해 다른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들을 매스컴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접하게 되고, 생소했던 문화의 특성을 알게 되어 하나로 압축되어져 가는 세계화 시대를 살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는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유학생, 국제결혼의 증가 등으로 문화적, 인종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로의 문화적, 민족적 배경을 서로 공유하고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인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교육하는데 있어서 음악은 누구나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지녔음으로 음악을 통해 문화적 특징, 가치 등을 알고 이해하는 것은 도움이 되는 역할이다. 각 나라의 특징을 반영한 음악은 그 나라에 대한 지식습득뿐 아니라 노래와 연주, 감상 등 직접적인 경험으로 그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교 음악 교육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수업을 통해서 그 나라 문화의 특징을 알고 편견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에서 배우는 대 다수의 곡은 서양의 음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교사들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지도방안 부족으로 인해 학생들은 다문화적 요소를 잘 배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에서 다양한 나라의 민요와 문화적 특징에 대해 조사,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화요소를 접목한 수업을 계획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중 국제결혼으로 만들어진 다문화 가정 중 배우자 비율이 가장 높은 중국과 베트남 민요와 인류 문명의 발상지인 아프리카 민요 중 케냐민요를 선정하여 수업지도안을 계획하고 그 수업지도안을 실제 적용하여 전북 정읍시 고등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수업한 후 학생들의 인식변화와 문화 이해도를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민요수업은 진행되지 않고 있었다. 문화를 접목한 수업 지도안 중 케냐의 민요 ‘말라이카’를 수업 한 후 학생들의 아프리카 문화에 대한 관심과 그 동안 가지고 있던 문화에 대한 편견의 변화가 있었고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학교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이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노력과 교육청, 더 나아가 정부의 지원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육 세미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들이 배우게 되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고, 많은 자료들을 제공 하여 시·청각 교육이 되게 해야 한다. 이러한 대책들을 실현 할 수 있도록 예산 편성에서 적재적소에 좀 더 효율적인 예산 편성이 되어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 공무원 교육 또한 필요하고 하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해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oday, the distance of the world is much close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 we can easily learn about many cultures of other countries by using Internet or mass media. On the other hand, even it can mean that everything such as the borders,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can be destroyed.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different races and culture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ly influenced by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inter-cultural marriage couple.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share the cultural diversities and characteristics of many other cultures to understand and acknowledge in a multi-national country. In this social situation, music can play a key role which helps comprehend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foreign cultures because it has so universal codes that can be readily understood and shared. So teaching students various music which reflects the features of each country not only gives them a comprehension of other cultures but also helps understand them by experiencing their music. Therefore, teachers especially in public schools are required to teach pupils the different music styles from other countries to guide them not to get a bias against them but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music. However in public school, students are mainly taught the western music. It is because many teachers in public school don't have enough awareness of multiple cultures and there are lack of the guide lines of training and teaching stud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 plan about how to integrate cultural factors and teaching methods by investigating folk songs from other countries and features of the cultural differences. In practice, the folk songs from China, Vietnam and Kenya where a number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stly involved in are selecte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212 random samples who ar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geup-City based on the lesson plan. This survey shows the lack of teaching different cultural folk songs in the public school. After having a lesson of Malaika which is the folk song of Kenya, there were many changes of awareness in other cultures and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s.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required to imply in public school. So the effort of teachers will more be needed to give students more chances of getting lessons of various cultures. And the support from office of Education, and even the Government will be essential. The office of education or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a teaching program based on experience-oriented training such as seminar with many materials. In order to apply it in the field, the appropriate system will be required with proper budget by the government.

      • 제1형 당뇨병 소아 환자와 부모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

        한송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translated version of the PedsQL 3.0 Diabetes Module as an questionnair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Also,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RQOL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patients and their 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102 children (aged 8-18 years) with T1DM and their parents from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5 teaching and university hospitals in Daegu,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cluding HRQOL, self-car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dex, and a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childre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sQL 3.0 Diabetes Module reached or exceeded Cronbach's alpha values of 0.7 for both child self-report and parent-proxy report. Test and retest of both reports were highly correlated (r=0.82, 0.87). Children's HRQOL for child self-repor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moglobin A1c (p<0.01). In the case of hospitalization in recent a year and in the case of parents with lower education, children's HRQOL was lower. Multi-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lf-care and friend's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children's HRQOL under adjustment of children'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Parents with children diagnosed as diabetic complication reported lower score of HRQOL. Their HRQOL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coping efficacy,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HRQOL for parent-proxy report. In summar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sQL 3.0 Diabetes Module was feasible, reliable and valid for measuring the disease-specific HRQOL in patients aged 8-18 with type 1 diabetes.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better self-management for diabetes would improve children's HRQOL, and positive aspects in children's HRQOL and better psychological status would improve parents' HRQOL.

      •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중학교 음악과 교수적 수정

        한송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장애학생의 학습 기회 확대와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통합교육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 확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통합교육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음악교과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과 자료개발 등의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도의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통합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고 이를 음악과 측면에서 적용하여 중학교 음악과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경도의 지적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수업설계와 실제 학생들 지도하는데 적용 가능한 수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통합교육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 방안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인 교수적 수정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음악과 통합수업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교수적 수정의 방법들을 음악교과에 적용시킴으로써, 실제 음악과 통합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환경, 집단, 내용, 활동, 평가 영역에서의 구체적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셋째, 문헌연구와 본 연구자의 관찰을 통해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수업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와 교과서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경도의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의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보다 실천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의 협력과정을 거쳐 개발하였고, 그 내용을 가창․기악․창작․감상․이해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도의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중학교 음악과 통합교육을 위한 연구이다. 장애학생의 개별 특성에 따라 교육적 요구는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장애학생들을 대상,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도 이루어지길 바란다. 본 연구가 중학교 음악과 통합교육에서 단순한 학습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치지 않고,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음악교사들의 인식과 지속적인 노력에도 영향을 미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Today,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expanding, an awareness of the value of inclusive environment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practice of inclusive environment is emphasized. In this flow of inclusive environment, an interest in qualitative enlargement tends to increase beyond quantitative enlargement of inclusive environment. However, in spite of effort for inclusive environment, there are very insufficient curriculum modifications and practical studies, like material development, for inclusive environment of music class in middle school. Thus, with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occupy most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oretical foundations related to inclusive environment and apply this from the aspect of music class to suggest a direction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will suggest a class design in which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interact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a method of instruction applicable to teaching the actual students.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inclusive environment and discussed the needs for teaching-learning method of music class for inclusive environment. Second, this study sought a method applicable to an integrated music clas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 method of educational inclusiv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pplying the method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o music classes, it looked into concrete methods in the areas of the teaching environment, group, contents, activities and evalu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inclusive music class. Thir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observation by the researcher, this study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ought an instruction method appropriate for their educational needs. First, based on the guidebooks for teachers and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it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and specifically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s and learning materials in a music class of the inclusive class that includes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epare a more practicable method, the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dvi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ontents were presented, dividing into area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This study is a study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at includes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ince educational needs cannot but differ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pefully, in the future, studies will be carried out to prepare more various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with a wider varie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pefully, this study will not stop at being used just as learning materials in integrated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but influence general music teachers' awareness and ongoing efforts for inclusive environment as well.

      • 교육방송을 활용한 영어권 초급 학습자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EBS 한국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송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점점 활발해질 수밖에 없는 추세이며 매체 자료는 도처에 있다. 관건은 어떤 자료를 선택해서 어떻게 활용하느냐 일 것이다. 이왕이면 자료를 정리하여 활용하는 데에 드는 수고가 적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된 자료를 활용하는 편이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이로운 일이다. 교육방송의 한국어 프로그램은 다른 어떤 매체 자료보다 교육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활용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육방송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위하여 우선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서술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교육공학, 영어 교육,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의 여러 분야로 나누어 광범위하게 살펴보았다. 그 후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정한 후 2장에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주제 중심 교수법 및 Gagn'e의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교육방송을 활용한 사례가 없어 영어 교육에서 그 활용 유형을 찾아보았다. 외국어 교육인 영어 교육에서 교육방송의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 교육방송을 적용해도 효율적이리라는 판단 아래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어 교육인 영어교육에서의 활용 유형과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현재 교육방송의 한국어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고, 교수·학습에 적합한 프로그램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이 교실 수업과 가장 유사하고, 내용이 체계적이며, 학습자의 모국어 설명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 EBS의 「쉽고 재미있는 한국어」와 「Hello! 안녕하세요」를 선정하였다. 그 후 그 2개의 프로그램을 목록화하고, 각각 두 개의 과를 골라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교육 방송을 활용하는 방안을 구상해보았다. 교육방송의 활용원리를 알아보고, ‘도입-제시-연습-활용-정리’로 구성한 교수·학습 모형과 여러 수행과제를 바탕으로 주제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2개 제시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어 프로그램 활용 시의 기대 학습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교육방송을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현장에서 효과적인 한국어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현재 교육방송의 한국어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사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가치 있는 자료들이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방송 측의 지속적인 홍보 활동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using EBS(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learning Korean program for Korean class would be effective to Korean learning and teaching and composes way of Korean education using multimedia which is already selected by strict standard. EBS program is made up for learners can select various materials by their own taste and level. In addition, learners can watch EBS program whenever, wherever with VOD(Video On Demand) system so large members of learners can study more easy way recently. This study counts application of using EBS learning Korean program in class would be vitalized for Korean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EBS learning Korean program organization and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sing EBS learning Korean program for application in actual class to Korean learners. This study has 5 chapters for using EBS learning Korean program in Korean studies. In chapter 1,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of using EBS learning Korean program in Korean studies through precedent studies. There are no cases for using EBS learning Korean program in precedent Korean studies. So this study reviews precedent studies with extending in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English education, Korean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using multimedia. In chapter 2, to use and apply for class model, this study researches theory background about theme-based instruction and Gagn’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application teaching ways using EBS English progra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classes. In chapter 3, after look into current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this study suggests selection criteria of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which is suit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analyzes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in reality through it. There are 9 Korean learning programs available to watch in EBS internet homepage. This study selects 「Easy and fun Korean」 and「Hello! annyounghaseyo」in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due to following commons. First, these programs are similar organization system with real class. Second, they have systematic lesson contents and offer explanation with learner’s mother tongue. Indeed, 「Easy and fun Korean」 explains Korean lecture to English, 「Hello! annyounghaseyo」runs lesson with Korean and English explan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beginning Korean level for English learners because these are suitable for beginning Korean level as English learners. This study makes a list of two programs, selects two chapters and analyzes it. In chapter 4, this study looks into general application principle in EBS and then explains about notes when it uses it for real class. After then, to use these program for real class, this study suggests two teaching plans with theme-based model which contains teaching models using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with many tasks through analysis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and explains expected effects when it applies in real class. In chapter 5 as conclusion, this study arranges debates till now and reconfirm about meaning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se, this study is important to teach effective EBS learning Korean programs in real class through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