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하소영 慶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fter schoo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experience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experience of lecture for after school activities were set as background reason. The subject of inquiry is following. First, what perceptions do elementary teachers have on purpose and necessity of after school activities? Second, what perceptions do elementary teachers have on selection of instructors for after school activities, teachers' participation as instructors, tuition and students' application for classes? Third, what perceptions do elementary teachers have on the effect, problems and improvement of after school activities? The result of study is following.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perceptions that after school activities are mostly 'necessary'. In the aspect of the reason for its necessity, they had perceptions that after school activities are necessary 'because it can absorb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into school. And in the aspect of their perceptions on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after school activities, they recognized 'to develope students' talent and aptitude'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Second, the perception on proper instructors for each class was that 'people who are board certified in specialty' are most proper. And the perception on curriculum was that teachers are most proper. In the aspect of difficulty in selecting instructors for after school activities, the perception that 'it is hard to look for instructors who are board certified in specialty' was the most. The number of teachers who don't want to participate in after school activities as an instructor was more than the number of teachers who do. As for the reason that they want to serve as instructors for after school activities, they showed highest perception on 'because of hope to do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difficult to do in curriculum, such as specialty and aptitude, originality and personality, etc'. And as for the reason that they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after school activities as instructors, 'because time to teach as an instructor is insufficient owing to the burden of heavy workload in school' was recognized overwhelmingly high. The highest perception on appropriate tuition was showed on 'less than three thousand or four thousand won'. The highest perception on voucher support was that it must contain up to 'low-income class and the second highest class'. And the highest perception on support for proper school facilities was that 'classrooms only for after school must be offered'. Third, in the aspect of the greatest effect of after school activities, 'they are helpful for development of children's talent and improvement of their learning ability' was recognized the highest. And in the aspect of problems of after school activities, 'pleasant school facilities and school furniture are insufficient' was recognized as the biggest problem. Their main perception on priority to be solved was that 'the classes after school activities must be diversified depending on demander's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after school activities. And they hoped that diversification of opened classes ,quality improvement of instructors and support for school facilities will be achieved more systematically. Based on this, teachers must contribute to increase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ctivities inside schools by having more interest in class and instructors and operation status and through support and promotion for after school activities. And for activation of after school activities, schools must not load teachers with heavy tasks of after school activities. And professional administrators for after school activities are needed to be assigned to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배경 원인은 교직 경력, 방과후학교 강의 경험 유무로 정했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방과후학교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초등교사는 방과후학교 강사의 선정, 현직 교사의 강사 참여, 수강료, 학생 수강 지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셋째, 초등교사는 방과후학교의 효과와 문제점, 개선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방과후학교가 대부분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필요한 주요 이유로 ‘사교육 수요를 학교 내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방과후학교의 가장 중요한 목적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소질·적성 계발을 위한 것이다’를 가장 주요한 이유로 인식하였다. 둘째, 각 강좌의 적합한 지도 강사에 대한 인식에서는 ‘각 강좌별 전공 자격 소지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교과 강좌에서는 ‘현직교사’를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방과후학교 강사 선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문 자격을 가진 강사를 구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가장 많았다. 방과후학교 강사 참여를 희망하지 않는 교사가 강사를 희망하는 교사보다 많았으며 방과후학교 강사를 희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교과 수업 시 하기 힘든 특기적성·창의 인성 등의 다양한 교육 활동을 하고 싶기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과후학교 강사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과중한 학교 업무 부담으로 인해 방과후학교 강사로 지도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절한 수강료에 대해서는 ‘3000원~4000원 미만’이 가장 높게 인식되었고, 수강권 지원에 대해서는 ‘저소득층·차상위 계층까지 포함해야 한다’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적절한 학교 시설 지원에 대해서는 ‘방과후학교를 위한 전용 교실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가장 큰 효과에 대해서는 ‘아동의 소질 계발 및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게 인식되었고, 방과후학교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방과후학교 강좌를 위한 쾌적한 학교 시설 및 교구가 부족하다’를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해결되어야 할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방과후학교 강좌가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화되어야 한다’를 주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다면 초등교사는 방과후학교가 필요하다고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방과후학교의 개설 강좌의 다양화, 강사의 질 향상, 학교 시설 지원이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희망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방과후학교의 강좌와 강사, 운영 현황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방과후학교에 대한 지원과 홍보를 통해 방과후학교의 참여율을 높이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방과후학교의 활성화를 위해 학교에서는 교사들에게 방과후학교 업무를 과중시키지 말고 방과후학교를 위한 전문 행정 인력을 학교에 투입할 필요가 있다.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부모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의 자기성찰에 의한 자녀양육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하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부모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모의 자기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세 ~ 7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원가족 부모애착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양육불안 척도, 자기성찰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SPSS PROCESS Macro 3.1을 이용하여 변인간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부모애착은 자녀양육불안과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자기성찰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다고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원가족 부모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양육불안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냇다. 셋째, 자녀양육불안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의 자기성찰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모의 원가족 부모애착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녀양육불안이 매개된 상태에서 모의 자기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이 낮아질수록 자녀양육불안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양육효능감이 낮아진다는 결과와 자녀양육불안이 높아지더라도 모의 자기성찰이 높다면 양육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을 완화시켜준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모의 자기성찰이라는 정서적인 특성이 자녀를 양육하는 데 있어 느낄 수 있는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있어 완충작용을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神門穴과 內關穴 白芥子 자극이 국소마취하 감마나이프수술 환자의 상태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하소영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神門穴(신문혈)과 內關穴(내관혈) 백개자(白芥子) 자극이 국소마취하 감마나이프수술 환자의 상태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자료수집은 2007년 1월부터 6월까지 부산소재 I 대학병원에서 국소마취하 감마나이프수술을 받는 자로서 실험군 35명, 대조군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 실험처치로 神門穴(신문혈)과 內關穴(내관혈)에 백개자씨앗을 종이테이프로 고정한 후 수술시작 5분전부터 수술 1~2단계, 3단계 시작 30분 후까지(60~80분 소요)의 과정동안 약간의 통증을 느끼지만 상쾌한 기분이 들도록 하는 쾌압(고광석, 2000)을 적용하여 처음 1-2초간 자극을 시작하고, 3-4초간 압력을 더 가하고 5-6초 후에 서서히 떼는 것을 반복하였다(Ming 등, 2002). 대조군에게 다른 관심전환요법이나 백개자 자극 없이 진행하였다. 사전조사로 수술당일 아침 수술실 입실 시에 기질불안, 상태불안, 불안VAS,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수를 측정하였으며, 사후조사로 수술 3단계 시작 30분 후에 기질불안, 상태불안, 불안VAS,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수, 통증VAS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백개자 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백개자 자극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평균 상태불안이 실험군에서 11.09점, 대조군에서 16.37점으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t=-10.147, p=.000). 2) 가설 2 ‘백개자 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백개자 자극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 VAS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평균 불안VAS가 실험군에서 2.90점, 대조군에서 5.04점으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t=-8.190, p=.000). 3) 가설 3 ‘백개자 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백개자 자극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축기 혈압이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평균 수축기 혈압이 실험군에서 121.29mmHg, 대조군에서 138.89mmHg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3은 지지되었다(t=-5.508, p=.000). 4) 가설 4 ‘백개자 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백개자 자극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완기 혈압이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평균 이완기 혈압이 실험군에서 79.86mmHg, 대조군에서 85.86mmHg으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4는 지지되었다(t=-2.289, p=.025). 5) 가설 5 ‘백개자 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백개자 자극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맥박수가 적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평균 맥박수가 실험군에서 72.51회, 대조군에서 79.03회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5는 지지되었다(t=-2.915, p=.005). 6) 가설 6 ‘백개자 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백개자 자극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이 적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평균 통증이 실험군에서 2.66점, 대조군에서 3.91점으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6은 지지되었다(t=-5.923, p= .000).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신문혈과 내관혈 백개자 자극이 국소마취하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상태불안과 통증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문혈과 내관혈 백개자 자극은 감마나이프수술 환자에 대한 근거중심 한방간호중재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quasi experiment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hinmun(Heart Meridian : HT7) and Naegwan(Pericardium Meridian : 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on state anxiety and pain of regional anesthesia patients during the Gamma-knife radio surgery. The subjects were 35 patie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patients as the control group, who fit into the selection standard, during regional anesthesia Gamma-knife radiosurgery at I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Busan from January to June 2007.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Each accupoint was pressed for 6 seconds each time, when these points are pressed with paper-tape on to the semen sinapsis albae. The initial application of pressure was carried out for one~two seconds, pressure was applied continuously for three~four seconds, and a slow release of pressure was carried out for five~six seconds. This formed a cycle, which was repeated from the period of 5 minutes before the operating starts to 30minutes after the third stage of operation. The pressure method is used one must gradually go from light to heavy, so that the patients feels a definite pressure, but no pain.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is study method , the pre-test was measuring the trait anxiety, state anxiety, anxiety-VA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hen the patients was went into the operation room on operation day. The post-test was measuring the trait anxiety, state anxiety, anxiety- VA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pain- VAS at 30minutes after the third stage of ope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atient give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state anxiety than control group(t=-10.147, p=.000). 2. The patient give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anxiety-VAS than control group(t=-8.190, p=.000). 3. The patient give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systolic blood pressure than control group(t=-5.508, p=.000). 4. The patient give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than control group(t=-2.289, p=.025). 5. The patient give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pulse rate than control group(t=-2.915, p=0.005). 6. The patient give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pain-VAS than control group(t=-5.923, p=.000). In conclusion,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reduced the state anxiety and pai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Shinmun(HT7) and Naegwan(PC6) semen sinapsis albae stimulus is proposed as an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for Gamma-knife radiosurgery.

      • 20~30대 외모지향 남성 소비자의 속옷 태도 및 구매 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

        하소영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social concept and consciousness of behavior towards appearance, the desire for beauty among male consumer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hence has led the society to naturally regard appearance as a competitive edge. Due to the change, underwear is also recognized as a fashion item and, moreover, the underwear market encounters an increased demand by male consumers with changed motives for underwear purchasing. Since the size of male underwear market has been expanding, with greater social attention towards appearance, a study for the attitudes and attributes of underwear purchasing by male consumers is necessary. This study is on fashion conscious males in their 20s-30s who seek for variety in underwears, to understand their motives for high-involvement in underwear purchasing as they have greater interest in appearance and the attributes of underwear purchasing behaviors by figuring out the degree of their attitudes towards underwear purchasing.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analyze appearance management, underwear attitude and attributes of male consumers with high interest in appearance. According to Jung Woo Kim (2010), frequency and methods of underwear purchasing are main criteria to distinguish purchasing groups between high-involvement and low-involvement. Following the same distinction method,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a group of 7 male consumers who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and fashion items with underwear purchasing frequency of 1-2 months and discarding frequency of 1-3 months. To distinguish and differentiate attributes and attitudes of underwear purchasing, from general male consumers, a thorough interviews of the subjects are perform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odel of decision making proces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earance oriented male consumers have high tendency to evaluate themselves generously and the area of appearance management ranges from hair style to skin condition, which is greater than general male consumers. Moreover, they are fully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so they consistently work on their problems and accept others' criticism. Second, they initially had purchasing behavior with low-involvement in underwear but as they gained purchasing power after getting jobs or released from armies, with changed personal values, they started purchasing underwears by themselves and felt changes from increased self-esteem,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the high-involvement group. Also, they feel acknowledged when they are complimented for refined taste, and high-involvement is induced by the intention to present oneself better to the opposite gender, colleagues or others. On the other hand, they feel ashamed when their underwears are not properly dressed. Third, underwear purchasing attitude is analyzed; suitable style, brand, items, materials and images are main decision making criteria. Also those male consumers accurately know the product concepts of the brand they use by gathering information from sources both online and offline. Also their purchasing patterns depend on materials, comforting functionality, unique shape, colors or patterns, appealability, design and colors. Fourth, after purchasing products, satisfactory consumption give positive motive and thus they actively recommend the products to others which created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s. However, when the products are not satisfied, unsatisfaction is expressed through online after-purchase comments or products are discarded. Overall, male consumers with high interest in appearance have high self-satisfaction and treat underwear as a fashion-item, hence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purchasing motives. Further in-depth studies in the purchasing attitudes of underwears would mak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and its marketing strategies. Key words :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gree of satisfaction in appearance, underwear purchasing behaviors, purchasing attributes, high-involvement 최근 우리 사회는 외모행동에 관한 사회적 개념과 인식이 변함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남성들의 욕구가 점차 증가하였고, 외모를 하나의 경쟁력으로 인식하는 것이 사회 전반적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경쟁이 심하지 않았던 속옷시장은 속옷을 패션 일부로 생각하는 분위기로 확산되면서 남성들의 구매력 또한 높아졌고 속옷 구매동기가 변화되고 있다. 외모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외의와 함께 남성 속옷의 시장 규모도 확산되어 속옷시장에서의 남성 소비자의 속옷 태도와 구매 특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모를 가꾸는 데 관심이 많고 속옷에 있어 다양성을 추구하는 20~3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외모관심도가 높음에 따라 속옷에 고관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며, 속옷에 대한 태도 차원을 밝혀 구매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외모지향 남성 소비자들의 외모관리와 속옷 태도 및 구매 특성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하는 것이다. 김정우(2010)의 연구에 따르면, 외모 고관심 집단과 저관심 집단의 범주화에 있어 속옷 구입 빈도 및 방법이 준거의 하나로서 포함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질적 연구의 대상자는 외모에 관심이 높고 패션상품에 관심이 많아 스타일을 중시하며 속옷 구매 빈도가 1개월~2개월 안팎이고 속옷 폐기는 1개월~3개월 정도로 구매력이 높은 20~30대 남성 소비자집단 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심층면접과 인터넷 커뮤니티, 속옷 구매 장소들의 관찰을 통한 남성 소비자들의 속옷 태도 및 구매 특성의 차별성과 구별성을 끌어내기 위해 소비자 행동의 의사결정과정모델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지향 남성 소비자의 외모에 대한 태도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자기평가가 긍정적이며 일반 남성들에 비해 외모관리의 범주가 헤어스타일, 피부 관리에까지 이를 정도로 넓고 관여의 정도가 높았다. 본인의 외모 장·단점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여 다른 외부의 비난이나 지적에도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고 수용하였으며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속옷에 대한 고관여 행동은 초기 속옷에 대해 저관여 구매행동을 보이다가 군대제대, 자신의 가치관 변화, 취업으로 자기 스스로 속옷을 구입할 수 있는 경제력이 생기면서 직접 구매하게 된 동기가 되었고 자기존중감이 충족되어 변화됨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세련된 취향에 대한 주변의 인정이 자신이 인정받고 있다고 느꼈으며, 고관여하게 된 태도는 이성, 동기 등에게 잘 보이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속옷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는 수치심을 느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속옷 구매 행동 을 분석한 결과 구매결정의 기준은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 브랜드, 아이템, 소재, 이미지 등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추구하는 제품의 콘셉트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추구하는 패션정보는 모두 온라인, 오프라인의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구매패턴은 소재와 편안한 기능성, 독특한 모양·색상·문양, 관능성, 디자인과 색상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 후 행동특성을 살펴보면 대체로 만족하는 속옷을 착용하면 자신에게 긍정적인 동기 여가가 되었으며 만족한 상품을 구매하였을 경우 커뮤니티 또는 대화를 통해 적극적인 구전효과를 일으켜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반대로 구매 후 인터넷 구매후기 작성 , 착용감에 따른 폐기방식의 불만족행동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외모관심이 높은 남성은 자기 만족감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속옷을 패션 아이템으로 여기며 구매동기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속옷 태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제품을 기획하고 속옷제품에 있어 차별적인 마케팅 전략에 수립을 돕는데 있다고 생각된다. 주제어 : 외모관심도 , 외모관리행동 , 외모만족도 , 속옷태도 , 구매특성, 고관여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신건강을 위한 차 명상 활용 방안

        하소영 동국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temporary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as radical as the past industrial revolutions, but many people who need to be prepa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ace difficulties due to unclear objective, process, and details. Especially, the change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to the social fields can solve dimensional problems and enable immediate use of massive data to make people’s lives more convenient. Still,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reats human beings as a tool, which will worsen the human alienation, threaten the human dignity, and cut off human relations. Eventually, contemporary people suffer from various mental difficult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ausing new problems. Among them,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personal stress issue. Many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mental health and stress among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problems,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and tried to find solution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ere limited to criticizing mental health problems and focusing on job stress without suggesting solu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o strengthen the tea meditation by utiliz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 tea meditation is an activity that uses tea and meditation to stabilize the body and mind. The tea drinking controls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mentally stressed situation and increases resistance against stress. In physical aspects, tea contains catechin, caffein, vitamin, etc., to activate the body functions. The tea meditation cultivates and strengthens the mind to reduce stress and boost psychological wellbeing. In tea meditation, tea makes people concentrate more easily in the body and mind training and stabilizes the mind for better meditation. A meditation is a psychological stabilization activity without a clear definition, and it is hugely influenced by the psychological situation. Considering such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hat strengthens the tea meditation activity by utilizing metaverse technology us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order to stabilize the unstable mental state and reduce the strong stress from the psychological pressure that people experie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Metaverse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that populariz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consists of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mirror world, and cloud technology. Among them, this study excluded the cloud technology, which is hard to utilize in the tea meditation, and utilized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mirror world to boost the tea meditation. The virtual reality world creates a virtual environment to assist people concentrate deeper during the tea meditation and it also adds depth to the tea meditation. The augmented reality provides both actual and virtual information to people and help people mediate with tea in a proper way. The above methods strengthen tea meditation to relieve job stress and other stresses of contemporary peopl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order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현대의 4차 산업혁명은 과거의 산업혁명에 비해 과격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목적, 과정, 내용 등에 대한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해야 하는 많은 사람들은 어려움에 놓여 있다. 특히, 사회의 전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는 차원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기존의 대용량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어 인간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을 하나의 도구로 이용해야하는 상황으로 인하여 인간소외 현상이 심화될 것이고, 인간의 존엄성이 위협받게 될 것이며, 인간관계가 단절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인간은 많은 정신적 어려움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또한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개인의 스트레스 문제에 대하여 많은 우려를 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제점 중 정신건강 혹은 스트레스를 논하면서 어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향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4차 산업혁명에서 발생하는 정신건강에 대한 문제를 지적함과 동시에 직무스트레스 중심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있어 해결방안에 대한 제안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로 차 명상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차 명상은 차와 명상을 통하여 심신의 안정을 찾기 위한 활동으로서, 우선 차(茶)라는 음료를 음용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율 신경계를 조절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신체적으로 카테킨류, 카페인, 비타민을 복용함으로써 신체기능 활성화한다. 이러한 차를 음용하고 심리적 수양을 강화함으로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심리적 안녕감(安寧感)을 향상시켜주는 활동을 차 명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차는 명상이라는 심신 단련과정에서 보다 쉽게 집중하거나 마음을 안정시켜 보다 나은 명상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명상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정의된 것은 아닌 심리적인 안정화 활동으로서 심리적 상황에 따라 명상을 하는데 크게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신민들이 겪을 수 있는 심리적 압박으로 인한 강한 스트레스와 불안한 심리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활용하고 있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여 차 명상 활동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메타버스는 4차 산업혁명을 일반화시키는 주요 기술로서, 증강현실ㆍ가상현실ㆍ미러월드ㆍ클라우드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차 명상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클라우드 기술을 제외하고 증강현실ㆍ가상현실ㆍ거미러월드를 이용하여 차 명상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상현실 세계에서 차 명상을 하는 사람에게 보다 깊이 집중할 수 있도록 가상의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차 명상을 하고자하는 이에게 깊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현실을 사용할 경우 차 명상을 하고자하는 이에게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방향의 차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각종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강화된 차 명상 방법으로 현대인의 심리적 건강을 개선하도록 제안한 연구이다.

      • 아동 무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존 듀이 경험 교육론을 중심으로

        하소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hood is the time of the most natural display of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and of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inquisitiveness, so it's important to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And this is the time influencing individual attitude or method of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nd therefore it's important to give children proper education to enable them to self-actualize from their childhood. In this regard, dance education, which aims at cultivating the whole person, the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harmony, could be called most suitable as the education required during childhood. The purpose of the dance education is to teach ones the effective use of body through spontaneous participation, boost to problemsolving, the uplift in creativity and fun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individual activities and to pursue the worthwhile life through development of one's physical potential. Hence, the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has a lot to be applied to the dance education which is composed of experience through bodily movements. However, the study of such programs as could be applicable to actual classe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the program of the dance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Dewey's theory. On the basis of his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his education theory and looks at the significance which his educational thought has for the dance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dance education for children, and to study a program according to it. This study deals with the dance education of childhood as the subject of the dance educational program and after learning the concept and essence of experience from Dewey's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covers the standard principle of experience forming the basis of the composition of dance program for children and reflective thinking(the principle of research). And it explains the necessity of the dance program for children, discussing arts education. Based on these, I will propose the object and composition of the dance program for children, and the examples of the progression of the program in line with it to enhance the availability at the arenas of the dance education. The dance program for children should be organized so that children's movements can gain educative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continuity, Dewey's standard principle of experience, and of the interaction, and to attain this, make the step of the reflective thinking(the principle of research) the prototype of its composition.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rmat of impromptu and creative dance, and the logic of the program model is underpinned by including the format of Gilbert's creative dance class. The dance program for children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steps: stretch - identifying the problems(concept researching) - problem thinking(creating and extemporizing 1) - problem solving(technique developing, creating 2) - finale(the application of the conclusion) - and includes the principle of the continuity and the interaction as the creative dance is performed in sequence. And the program is composed in pursuit of the reflective thinking meaning the significant experiences and six programs from A to F are exemplified by combining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through social interaction. This program can lead children to take part in it with interest to produce the positive effect on their emotion and thinking in physical and emotional terms. Through interaction with nature, children can continuously develop their experience and express creative motions. This program of the dance program for children is designed so that children's movements can lead to the educative experiences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continuity, Dewey's standard principle of experience, and the interaction.

      • 전자건반악기를 활용한 초등음악교과서 제재곡의 코드 반주법 연구

        하소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건반악기를 활용한 초등음악교과서 제재곡의 코드 반주법 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