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류 패션의 동남아시아 진출을 위한 시장 분석 및 디자인 개발 : 베트남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최혜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중반부터 중화권과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시작된 한류 열풍은 이미 유럽과 미국, 러시아 등 세계 전 지역으로 확산되어 하나의 범세계적인 문화 현상으로 그 열기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초기단계에서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중․장년층 연령대를 공략했던 한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웹 서비스가 급격히 발달하면서 전 세계의 정보를 쉽게 생산하고 소비하는 비교적 젊은 층에게 전파되어 단순히 1차적인 문화콘텐츠의 수출을 넘어 패션, 관광 등 지속적인 이익 창출이 가능한 2차 연계산업까지도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및 성공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중국의 대체지로 각광받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신흥경제국들은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함에 따라 차세대 내수시장으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으며 침체에 빠진 한국 내수시장을 극복할 수 있는 훌륭한 신흥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패션기업과 브랜드들은 한류를 활용하여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시도를 거듭해왔으나 체계적인 진출 전략 및 시기적 적합성의 부족으로 큰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침체되어있는 내수시장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류의 소비가 활발한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글로벌 시장의 진출은 한국 패션 기업과 브랜드가 수행해야 할 필수 과제가 되었으며 따라서 이들 시장으로의 진출이 시급한 시점이다. 베트남은 높은 노동생산성 및 잘 갖추어진 인프라와 네트워크 등을 바탕으로 섬유․패션 산업의 요지로서 높은 경쟁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미 한국과의 오랜 교역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고 선호도가 높은 지역으로 손꼽힌다. 또한 최근 급속도로 이루어진 경제 성장으로 인해 소비패턴이 다양해지고 소비 수준이 고급화되어 새로운 패션 제품과 소비 활동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K-pop 스타를 중심으로 한 신한류는 이러한 시기에 적절하게 전파되어 한국의 대중문화와 한류 스타들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문화 상품에까지 베트남 소비자에게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문화․경제적 환경의 변화 속에서 다각도로 나타나는 베트남의 한류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한류 패션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나가고 있는 한류의 발생 및 발전 단계 및 각 국가와 지역별로 한류의 확산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류 영향 국가 중 특히 국내 패션 산업의 유망 소비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베트남 지역을 타깃 시장으로 선정하고 베트남 지역의 한류 현황 및 그들의 패션 시장에 나타난 특성과 현황 및 한류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지 실사를 통한 패션 시장 조사를 실시하여 베트남의 패션 시장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패션 제품 스타일 특징을 스타일 별로 분석하여, 이들의 선호 스타일을 중심으로 베트남 패션 산업의 소비 주축인 여성 소비자 중, 한류 및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10대∼20대를 위한 캐주얼웨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드라마를 중심으로 중․장년층의 소비자를 주로 공략했던 한류는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콘텐츠 개발의 부족으로 잠시 주춤하는 듯 보였으나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한 K-pop의 열기와 함께 다시 한 번 열풍을 몰고 와 신한류라는 새로운 양상의 한류를 선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패션, 식품, 전자제품 등 한국의 경제상품의 인지도가 상승하였고 이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한류 열품을 활용한 관광, 쇼핑 등 다양한 분야로 다원화하여 국익 도모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류 콘텐츠를 소비하고자 하는 세계 시장의 소비자들 특성을 분석하여 보다 전략적이고 구체화된 계획 수립을 통해 한류 소비자들을 공략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변화 속에서 베트남은 외국 문화의 빈번한 유입으로 인해 새로운 문화와 환경에 대한 수용도가 높고 소득수준이 향상되어 한류의 유망 소비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이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의 제품을 소비하는 것 뿐 만이 아니라 이들의 감성과 문화를 함께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침체되어있는 내수시장을 극복하고 새로운 경제적 이익창출을 지속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시장의 개척을 위해 타깃 시장 소비자들의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및 패션 제품 선호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전문화된 패션 제품 디자인을 개발 및 제안이 필요한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 개발에 앞서 베트남 패션 시장의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2011년 9월 4일부터 9일까지 5박 6일간의 베트남 호치민시 현장 실사를 통해 대표적인 백화점과 패션 쇼핑몰을 선정하여 제품 사진 촬영을 통해 1,023장의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진은 1차적으로 패션을 전공한 전문가 집단 13인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668장의 사진 자료를 추출하였다. 디자인 분석을 위해 추출된 사진 자료의 스타일 분류를 실시하여 캐주얼, 로맨틱, 엘레강스, 클래식의 4가지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캐주얼 스타일은 전체 패션 시장에서 64.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로맨틱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이 각각 14.2%, 12.9%로 그 뒤를 이었고 클래식 스타일은 8.4%의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의 10대∼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대부분 캐주얼 스타일의 차림새를 선호하였으며 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및 바람을 차단하기 위한 이유로 긴 소매의 상의와 발목이 덮이는 길이의 하의를 선호하였다. 로맨틱, 엘레강스, 클래식 등 다소 포멀한 스타일의 의상은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20대 후반 이상의 여성들에게서 가끔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의 패션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서구화·다양화 되고 있는 것에 비해 소비자들의 의식은 아직까지 크게 다양화되지 않은 과도기 단계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데님 팬츠와 티셔츠, 혹은 블라우스 착장을 선호하였으며 다양한 재킷, 점퍼, 카디건 등의 가벼운 아우터를 매치하여 입었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용적이고 합리적이면서도 개성이 돋보이는 자신만의 패션을 추구하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다양한 소비성향을 반영하여 ‘Daily Romantic'이라는 컨셉 아래, 분석 결과 높은 비중을 차지한 진 캐주얼, 로맨틱 스타일을 기본으로 2012 F/W 트렌드를 반영하여 뮤즈 및 상황 설정에 적합한 5스타일의 로맨틱 진 캐주얼웨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베이직한 진 캐주얼의 디자인에 부분적으로 디자인의 변형 및 디테일을 통해 로맨틱한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상황설정을 통해 최대한 실용적이고 다양한 디자인의 캐주얼웨어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타깃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한류 스타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최근 K-pop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가 하나의 범세계적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은 시점에서 내수시장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세대 시장으로의 진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점차 확대되어지는 베트남의 한류 패션 산업 현황 및 베트남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의 디자인적 특징을 파악하여 베트남 패션 시장에서 나타난 패션 제품의 스타일 별 디자인 특징을 바탕으로 베트남 여성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통해 베트남 시장으로의 한류 패션 산업 진출을 위하여 보다 전문화된 캐주얼웨어 디자인 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Korean wave which has begun in China and Southeast Asia Since the middle 1990s has spread to Europe, U.S and Russia, and it has been steadily popular as a global culture phenomenon in all over the world. At the beginning, Korean wave which targeted the middle-aged people and seniors with soap operas and movies has spread to young people who easily produce and consume the information in all over the world, being rapidly developed web service through supply of internet and smart phone. It could make the advances and success possibilities for the secondary related industries which can make profit continuously like fashion, and sightseeing beyond exporting the primarily culture contents. Newly develop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which are in the limelight as the alternative of China have rapidly achieved economic growth in spite of global economic slump. So they attracted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s next generation domestic market and are considered as great promising markets which can make Korean domestic markets in slump overcome. Accordingly, Korean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tried to enter into global markets by using Korean wave, but they couldn't achieve the big effect due to lack of systemic strategy and inappropriate timing for entering. In order to overcome the depressed domestic market, the entry of global markets targeting young people who consume Korean wave actively became the essential assignment to perform for Korean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So it should be urgent to enter into this market. Vietnam is known as strategic place of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and had high competitiveness based on high labor productivity, well-organized infra and network. And they have good image toward Korea through trading with Korea for a long time and Korea has been considered high preference area. In addition, due to rapid growth of economy recently, pattern of consuming became various and consuming level became high class, therefore their needs for new fashion products and consuming activities are increasing. New Korean wave with K-pop stars was spread properly at this moment so Vietnamese buyers liked Korea fashion products by using Korean popular culture and the image of Korean wave stars. So it is timing to develop Korean wave fashion design which can satisfy Vietnamese buyers who have various needs that was come out of this change of social, finan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is study studied birth of Korean wave, growth stage and spread of Korean wave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Vietnam was chosen as a target market because they are in the limelight as a promising consuming market of Korean fashion. So the status of Korean wave in Vietnam, traits of their fashion market and effect of Korean wave were studied. Through local inspection, fashion market survey was conducted and traits of Vietnamese popular fashion products was analyzed by style. So on the basis of their preferred style, casual wear design was developed for teenagers and twenties women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wave and cultures among female buyer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Korean wave which targeted middle-aged people and seniors with soap operas has seemed to slow down slightly due to lack of developing new contents since the middle 2000s. However, Korean wave became popular again with enthusiasm of K-pop on the basis of Teen idol groups and it showed new Korean wave. The awareness of Korean products like fashion, food, and electric products has been higher and this is related to interest in Korean culture. So it is contributing to national profit by varying fields like sightseeing and shopping using Korean wave. In term of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capture Korean wave buyers through setting up the strategic and detailed plan by analyzing the traits of world market buyers who want to consume Korean wave contents. Second, in this change, Vietnam is in the limelight of Korean wave as a promising consuming market because they accept easily new cultures and improved their income level due to frequent inflow of foreign cultures. They consume not only global brand products but also their emotion and culture.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epressed domestic market and open up the market which can make new financial profit continuously, it is to propose and develop the specialized fashion products design based on systemic analysis about social, finan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preference to fashion products of buyers in target markets. Third, before developing design,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yle which Vietnamese buyers prefer in Vietnamese fashion market, the representative department stores and fashion shopping mall were selected and 1,023 photos were collected through taking product photos through local inspection in Ho Chi Min city, Vietnam for 6 days from 4th to 9th of September, 2011. Collected photos were selected as 668 sample photos primarily by thirteen specialists group who majored in fash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or design analysis, sample photos were classified into styles and casual, romantic, elegant, and classical style were decided. As a result, casual style occupied 64.5% as the biggest portion. Romantic style, and elegant style took 14.2%, 12.9% respectively and classical style occupied 8.4%. Various color and graphic T shirts were popular and denim pants showed various length and designs. It was coordinated with outer garments like casual jacket and cardigan. Also, as a result of survey about street fashion style from Vietnamese teenagers and twenties women, most of them prefer casual style and long sleeved clothes and long pants can cover their ankles in order to block ultraviolet rays and wind in spite of hot weather. A kind of formal style like romantic, elegant, and classical was very low at their preference and this formal style can occasionally seem from late twenties women. It seems Vietnamese fashion market is becoming western style and diverse, however, consciousness of buyers remained at the stage of transition which isn't still quite diverse. They preferred wearing denim pants and T shirts, or blouse clothing and matched with light outer garments like various jackets, jumper and cardigan. Forth, based on the above result, as a result of analysis under concept of ‘Daily Romantic' with applying various propensity to consume that Vietnamese buyers intend to pursue their own practical, reasonable, and individual fashion, 5 styles of romantic jean casual wear designs which are suitable on muse and setting up the situations were proposed with applying 2012 F/W trend based on casual style having a great deal of weight. Generally, it is to express romantic emotion through the design of basic casual jean with partial change of design and detailed thing and to propose the casual wear of practical and various design by setting up the situations. In particular, fashion design development was attempted by using the image of Korean wave stars with applying the trait of target countries which are strongly affected by Korean wave. As a result of reviewing above, recently K-pop has taken the leading position as global culture phenomenon and it is necessary to enter into new markets as a solu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omestic market. It shall be figured out the status of gradually increasing Korean wave fashion industry in Vietnam and also design features which Vietnamese buyers prefer. It will help the plan for specialized casual wear design through the design development which can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Vietnamese female buyers based on design features per style of fashion products shown at Vietnamese fashion market so that Korean wave fashion industry can enter into Vietnamese market .

      • 짝 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최혜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짝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적 수준이 유사하고, 서로 상반된 대인간 행동양식을 보이는 2명의 아동을 부모의 동의를 얻어 선정하였다. A아동은 충동적이며 공격적이고 행동화하는 특성을 보이며, B아동은 소극적이며 자기표현을 잘하지 못하고 회피적인 성향을 보인다. 짝 미술치료는 2019년 7월 15일부터 2015년 11월 20일까지 주 1회기 60분씩 총 13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아동․청소년 또래관계기술 척도(Peer Relational Scale: PRSS), 협동그림 과제(team art tasks), 동적학교생활화(Kinetic School Drawing) 검사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짝 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참여아동 2명 모두 또래관계 기술 전체와 하위 영역인 주도성과 협동·공감성의 점수가 증가되었다. 둘째, KSD와 협동그림 과제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즉 사전검사에서는 인물상이 부정적으로 표현되고,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인물상의 상호작용이 원활해지고 그림에서 협동성과 통일성이 나타났다. 셋째, 짝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살펴보면, 자신의 것만 주장하거나(A아동), 자기표현이 서투르고 수동적으로 따르기만 행동(B아동)이 서로 의견을 적절히 조율하며 타협하고 협상하는 하는 등 또래관계 기술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짝 미술치료는 아동의 또래관계 향상에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단원에서 고3 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분석

        최혜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Schoenfeld(1985)의 문제해결과정과 문제해결 행동요인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에 관한 문제해결을 분석하고 그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단원에서 Schoenfeld의 문제탐구과정의 여러 요소들과 행동요인이 내적문제해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학생들이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사전검사 이후 D시 소재의 N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학생 4명을 중심으로 5차시의 실험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탐구활동지와 관찰 및 면담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에 대한 내적문제를 다룰 때 교사는 학생들의 미비한 수학적 자원과 일관된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그들에게 정확한 기하적인 성질들을 정립하도록 한 후,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통제를 통해 문제 해결 수행에 성공적인 경험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다수의 학생들이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단원에서 보조선 긋기 위주로 제한된 해결전략을 선택하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Schoenfeld의 문제 탐구과정의 다양한 요소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은 공간에서 선분의 길이를 확대·축소시키거나, 확장된 평면 혹은 주어진 평면을 평행이동한 후 제시된 입체도형에 의해 잘린 다각형으로 변형해보는 등 사고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은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단원에서 증명하는 과정을 소홀히 하고 주어진 그림 위에 간단하게 숫자 또는 기호를 두서없이 적어가며 문제를 해결하는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단원에서 등장하는 여러 공간기하학적인 성질들을 과소평가하지 않고 머릿속에 제대로 정립할 수 있도록 그러한 정리들이 성립하는 이유를 직접 서술해보며 풀이과정을 꾸준히 작성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이외의 여러 단원에서도 Schoenfeld의 문제 탐구과정 및 행동요인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및 특징을 분석하여, 개념학습과 응용문제의 간격을 메울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지도방안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그림(PPAT) 검사 반응 특성

        최혜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검사 반응 특성을 검증함으로써, PPAT 검사가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진 정보 제공의 도구임을 확인하고, 언어적 보고에 따른 검사를 보완하는 검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186명에게 학업스트레스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PPAT 검사를 시행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평균 이상인 아동 중 상위 25% 집단과 하위 25% 집단을 선별한 후, 담임교사 자문 절차,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사를 거쳐 총 48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그림 자료 분석을 위해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Contents Scale)의 기준에 따라 평정을 하였다. 평정에는 PPAT 검사 반응 특성을 주제로 학위논문 연구를 하고 다수의 채점 경험이 있는 박사과정생 2명과 본 연구자를 포함한 총 3명이 참여하였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 중 자기효능감 수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반응 특성 차이 비교를 위해 형식척도(FEATS)에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내용척도(Contents Scale)에서는 문항별 독립표본 t-검증과 교차분석(χ2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형식척도(FEATS)의 ‘통합’, ‘문제해결력’, ‘사람’의 총 3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내용척도(Contents Scale)에서는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 중 어떤 것을 향해 손을 뻗지 않은’, ‘성별 중 모호하거나 막대기 형태’, ‘사람의 나이 중 알 수 없음’ 총 3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PPAT 검사가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반영함을 확인하였고,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아동의 심리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투사적 그림검사를 통해 드러날 수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PAT assessment according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with high academic stress to confirm PPAT assessment tool to provide information that shows the specific perception of the self-efficacy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as a complementary test for verbal reports. 186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nducted academic stress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drew a picture of PPAT. As research materials, the data from 173 respondents were used except 13 respondents who pooly responded questionnaires an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due to developmental difficulties. Among the data, 82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above average for academic stress scale. The selected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pper 25% group and lower 25% group based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scale. Finally. 24 respondents were confirmed as high level of self-efficacy group and 24 respondents were confirmed as low level of self-efficacy group.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rating system was used to analyze formal elements of the picture, and Contents Scale was utilized to identify detailed contents of drawing. The scoring done by 3 art therapists including the researcher, who have rich experience of conducting PPAT assessment.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PPAT assessment according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independents samples t-test for FEATS and t-test, χ 2 test for Contents Scale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FEAT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3 items including ‘Integration’, ‘Problem Solving’, ‘Person’. In the Contents Scale 3 items ‘Actual Energy of Person(reaching toward nothing)’, ‘Gender(ambiguous or stick figure)’, ‘Approximate Age of Person(cannot tell)’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high level of self-efficacy group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 group who had selected by high academic str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PPAT assessment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as an instrument to show the specific perception of the self -efficacy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high academic stress.

      • 중·고등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와 SNS이용행동의 이중매개효과

        최혜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와 SNS이용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연구 분석을 위해 전남 지역의 중·고등학생 247명(남자 100명, 여자 147명)을 대상으로 자의식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검사 단축형과 SNS이용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프로그램과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모델6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공적 자의식, SNS중독경향성, 의존적 대인관계문제, SNS이용행동 중 생산, 확산, 확인행동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와 생산, 확산, 확인행동은 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의존적 대인관계문제와 확산, 확인행동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중독과 관련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공적 자의식의 수준과 대인관계문제의 정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른 치료 및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영남지역 출토 삼국시대 비취곡옥 연구

        최혜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Jadeite comma-shaped beads had appeared in the Geumgwan Gaya during the 4th century, and It begins to spreading around the Silla and all Young-nam area from the 5th century. However jadeite mine has not been discovered in Korean Peninsula, A lot of jadeite mines and remains which are producing jadeite comma-shaped beads were discovered in Japanese Islands. In this respect, jadeite comma-shaped beads were has received most attention to aim to identify exchanges and trade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The current study focus on proving the area of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have been overlooked. For these reasons, I tried to archaeological study which is focused 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jadeite comma-shaped beads in Young-nam area. As a result, the consumption was controlled by Daesung-dong and Bokcheon-dong groups, and It was buried in a tomb of Daesung-dong and Bokcheon-dong site which is ruling class in Geumgwan Gaya, and reflect high classes. At that time, similar forms had circulated between Geumgwan Gaya and Japanese Islands from the 4th century to the early of the 5th century, and it is also associated with Japan style artifacts.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adeite comma-shaped beads were brought from Japanese Islands. In the early of the 5th century, Geumgwan Gaya had lost the control on surrounding areas, and the circulation spread to the ruling classes of Ham-an and Gyeong-ju area. At this time, the Japan-Hajiki style pottery which have a variety of lines had still associated with jadeite comma-shaped beads. Above all, the exchanges with Japanese Islands was disconnected for this period. In view of this, jadeite comma-shaped beads were not strongly controlled from the Kinai, also exited the separate exchanges which had continued without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of the 5th century, the most of consumption was concentrated in Gyeong-ju area. As phenomenon resulted from an construction of great tombs in Young-nam area, jadeite comma-shaped beads had appeared in Hapcheon, Goryeong and Changnyeong area. In Gyeong-ju, the tombs of ruling rank had monopolized the consumption of jadeite comma-shaped beads, and had established costume system. This costume system was distributed to Gyeong-san area, therefore these areas forged a political relationship. At that time, it had spread from consumption area to other consumption area as internal exchanges. These patterns had continued after the 6th century. As expanding influence of the Silla on Yeongcheon and Yangsan area, distribution of jadeite comma-shaped beads had spread. It is also that circulation had started to surrounding area as expanding the Dae Gaya’s influence, and jadeite comma-shaped beads are appeared in So Gaya areas while the exchange between Japanese Island is lasting. In comparison with the circulation of the Kofun period, similar forms had been circulated between Young-nam area and Japanese Islands for the 4~6th century. Furthermore considering associated artifacts and distribution, It is a possibility that jadeite comma-shaped beads were brought from Japanese Islands. However, It is indicates that not only existed the pivotal circulation related to the Kinai but also continued different circulation related to the Fukuoka, the Hokuriku area. Meanwhile, the production of jadeite comma-shaped beads had declined in Japanese Islands in the late of the 5th century, the circulation and consumption had increased in Gyeong-ju.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It is a possibility that jadeite stone had flown into Young nam area, and it had been produced a goods. As a result, jadeite comma-shaped beads shows that a new angle on the exchanges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and internal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 in Young-nam area. 비취곡옥은 4세기대 금관가야 지역, 5세기 이후에는 경주를 중심으로 영남 전역에 분포한다. 또한 한반도 내에서는 산지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본열도에서는 산지와 제작지가 확인되어 양국 간 교류관계를 밝혀 줄 고고자료로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원석의 산지비정에 집중하였으며 그 결과, 시·공간적 분포에서 특수성이 드러나는 유통양상의 검토는 부족하였다. 이에 유통과 소비에 집중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4세기 전반부터 5세기 이전에는 대성동과 복천동집단을 주체로 비취곡옥의 소비가 통제된다. 또한 대성동·복천동의 상위집단을 중심으로 부장되고 계층성이 나타난다. 동시기 일본열도의 제품과 동일한 형태가 유통되고 왜계유물을 공반하기 때문에 倭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5세기 전반에는 고구려 남정 이후 금관가야가 주변집단에 대한 통제를 상실하면서 하구지역의 주변과 함안·경주지역의 상위집단을 중심으로 유통이 확대된다. 이 시점에는 倭 중추부와 교류가 단절된다는 점에서 畿內 중심의 경로만을 상정하기 어렵다. 또한 다양한 계통의 하지키계토기와 공반하는 양상은 지속되기 때문에 정치적 상황과 별개의 교류는 계속된다. 5세기 후반에는 경주 중심의 비취곡옥의 유통과 소비가 정점에 달한다. 영남 각지에 고총이 축조되는 현상에 따라 합천·고령·창녕 등에 유통되기 시작하며 주변 중·소 분묘군까지 확산된다. 경주지역의 최상위층은 대형품을 비롯한 소비 자체를 독점하여 복식품으로 착장함으로서 주변집단에 대한 우월함을 드러낸다. 또한 경산 임당집단 간에 특정 형태가 공통적으로 분포하고 임당집단이 복식체계를 수용함으로서 밀접한 관계를 구축한다. 이 시점에는 영남 내부의 유통도 활발해지면서 소비지들 간의 확산도 보인다. 이는 6세기 이후에도 지속되며 영천·양산지역에는 신라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분포가 확산된다. 또한 대가야의 세력 확장에 따라 주변지역에 유통이 시작되고 소가야지역도 왜의 교류가 확인되는 시점에 비취곡옥이 유입된다. 한편 영남지역 출토 비취곡옥의 원류에 대하여 일본열도에서 제품 혹은 원석과 제품이 유입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를 검토한 결과, 5세기 후반에는 일본열도 내의 생산이 감소하고 특정형태가 경주지역에서 급증하고 있어 제품과 원석이 유입되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공반유물과 형식의 분포양상을 고려하면 畿內를 비롯한 福岡·北陸 등의 지역을 통한 유통도 추측된다.

      • 6.25전쟁기 미군의 포로 정책의 전개 양상 : 전범조사부와 민간정보교육국의 활동을 중심으로

        최혜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6·25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에서 활동한 미 8군 전범조사부와 유엔군 민간정보교육국의 설립과 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매개로 6·25전쟁기 포로 문제의 근원지인 유엔군 포로수용소의 상황을 보다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범죄 문제는 심리전과 선전전의 주요 주제로 부상하였다. 미군은 6·25전쟁 초기부터 공산군의 도덕성을 실추시키기 위해 공산군의 전쟁범죄를 적극적으로 부각시켰다. 이에 따라 1950년 10월, 전쟁범죄의 조사와 처벌을 전담한 미 8군 전범조사부가 수립되었다. 유엔군 사령부가 전통적인 전쟁법 위반자만을 전범재판의 기소 대상으로 규정하면서 전범조사부의 주요 조사 대상은 유엔군 포로수용소에 억류된 포로들이 되었다. 전범조사부는 포로수용소 내에 정보제공자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보제공자로서 포로 인력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전범조사 활동을 전개하였다. 미군은 또한 체계적인 포로 교육을 통해 포로를 북한인에 대한 재교육과 심리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1951년 4월에는 포로 교육 전담 기구인 유엔군 민간정보교육국이 설립되어 포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포로 교육 프로그램은 포로의 일상생활에 걸쳐 폭 넓게 이루어졌으며 포로의 태도를 반공주의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포로 교사나 교육 활동의 조력자로 포로 인력이 적극 활용되었다. 포로들은 이러한 미군의 정책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분열하여 대립하였다. 두 기구의 활동은 일차적으로 수용소 내 반공포로 세력을 형성, 강화시켰다. 두 기구의 활동에 참여한 포로 인력들을 중심으로 반공포로 세력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1951년 7월, 대규모 반공 포로 조직을 조직하였다. 한편, 두 기구의 반공적이고 폭력적인 성격은 친공포로 세력의 결집과 반발을 낳았다. 친공포로 세력은 거제도로의 포로 이송이 시작된 1951년 2월 이후부터 지하조직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미군과 미군의 정책에 협조한 포로들에 대해 반발심을 표출하였다. 그 결과, 두 세력 모두가 조직화를 이룬 1951년 7월 이후부터 유엔군 포로수용소에서는 친공포로와 반공포로 간 갈등이 급증하였다. 포로 간 갈등은 그 내용과 유형 면에서 전범조사부와 민간정보교육국 활동과의 연관성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연관성으로 인해 전범조사부의 정보제공자 시스템은 1952년 1월 폐지되었고, 민간정보교육국의 포로 교육 프로그램 역시 송환 심사 이후, 비송환 포로들만을 대상으로 축소되었다. 냉전의 영향으로 이념적 성격이 강조된 6·25전쟁에서 포로는 단순한 억류의 대상이 아니라 심리전과 선전전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상징적 존재였다. 이러한 냉전의 영향은 유엔군 포로수용소에서 시행된 미군의 포로 정책에도 투영되었으며 정책의 시행 과정에서 포로들의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와 갈등을 낳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