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R. Schumann 의「Violin Sonata No. 1 Op.105」의 분석 연구
19세기 낭만주의는 문학에서 유래된 용어로 주관적인 감정이나 감상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지칭한다. 이 시기는 오늘날의 음악문화와 가장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음악회, 오페라, 방송, 음반계 등 많은 부분이 19세기 음악에 의존하고 있다(홍정수 외,2003,P.252). 이 시대의 음악적 특징은 어원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문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9세기 낭만주의의 많은 작곡가들 중 특히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은 형식에 맞추는 음악보다는 각각의 예술작품의 의의와 형식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슈만의 음악작품들은 매우 서정적이고 감정적인 것이 특징인데 그의 작품 성향 역시 오늘날의 음악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슈만의 작품 중 「Violin Sonata No.1 in a minor Op.105」는 1851년에 완성되었는데, 그가 이곡을 작곡할 당시의 상황은 정신착란의 증세가 점점 심해지고 있는 시기를 겪으며 홀로 자신과의 싸움을 하고 있었다. 이 작품은 그의 3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중에서 첫 번째의 소나타로 제 3번 소나타에 비해서는 많이 연주되고 있다. 이 곡의 1악장과 3악장은 일반적인 소나타 형식의 특징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소나타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총 3악장인 이곡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악장은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 a minor, 6/8박자로 되어 있으며 소나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2악장은 알레그레토, F Major, 2/4박자로 되어 있으며 A-B-A-C-A 의 론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악장은 알레그로 콘 브리오, a minor, 2/4박자의 변형된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헌적으로 슈만의 생애와 작품, 바이올린 소나타 a단조가 작곡된 배경을 살펴보았고 작품 분석에서는 악보를 통하여 형식 및 구조, 선율 및 리듬 그리고 조성 및 화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주상의 유의점에 대하여 연구하여 연주자들의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s the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is the terminology that originated from literature, it designates tendency of emphasizing subjective emotion or sentimentality. This period has the deepest relationship with today's music culture. Many parts such as concert, opera, broadcasting, and recording industry are relying upon music in the 19th century(Hong Jeong-su et al., 2003,P.252). Musical characteristic in this period can be known the relationship with literature as being able to be found in etymology. Among many composers in the 19C romanticism, especially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1856) thought the significance and a form in each art work to be important rather than music in line with a form. His music works are characterized by being very lyrical and emotional. His work is also having great influence upon today's music culture. Out of Schumann's works,「Violin Sonata No.1 in a minor Op.105」was completed in 1851. As for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at he would compose this music, he was having a battle with himself alone while suffering the period of getting gradually serious in the symptom of a mental disorder. As this work is the first sonata among his three violin sonatas, it is being much performed compared to Sonata No. 3. In this music, the characteristic in a general sonata form is being indicated in the partially-modified sonata form. Composition of this music, which includes totally 3 movements, is as follows. The 1st movement is a sonata form of Allegro appassionato, a minor, 8/6 time. The 2nd movement is A-B-A-C-A of a Rondo form of Allegretto, F Major, 2/4 time. The 3rd movement is a modified sonata form of Allegro con brio, a minor, 2/4 time. This study documentarily examined Schumann's lifetime and work, and the background that violin sonata A minor was composed. In the analysis of work, it researched into a form and structure, melody and rhythm, and tonality and harmony through a musical scor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be conducive to musicians' actual performance by researching into notes in light of performance based on this.
本文主要硏究了唐代愛情類傳奇文學之特徵. 通過這樣的硏究, 進一步探討了唐代文化的某些特點以及東亞的傳統?事所具有的特性, ?考察了區別於西歐的東亞特有的文化特徵./ 勿論古代還是現代, 男女之間的愛情是人類所關心的永?的主題, 因爲生活離不開愛情. 愛情存在於人們本能的慾望和意識形態之間. 人們在不斷地追求異性的同時, 又時刻警?著淫愛所可能招致的傷害. 結果, 在男女之間的愛情行爲裡, 出現了無數的禁忌. 一旦出現的禁忌, 又不斷地受到人們企圖衝破?的挑戰. / 結果, 男女之間的情愛就變成難以判斷的複雜的事案, 只好剝開包圍著?的社會和文化的層層外衣而全方位考察?. / 本文結合上述男女愛情所具有的特點討論唐代愛情傳奇小說. 本文硏究了唐代愛情傳奇産生的社會原因和其表現形式; ?探討了這種傳奇小說爲什?只能採取該特定的文學形式的緣由. / 唐代的愛情傳奇, 其作者和讀者皆是當時的統治階層 ? ‘士人’ 階層. 他們的文化基礎是儒家思想. 他們的倫理觀念徹底排除男女之間通過自由戀愛結成夫妻. 他們要求男女的結合必須根據嚴格的婚姻程序進行, 他們痛斥婚前戀愛, 逃婚, 婚外情等行爲. 但是由於曾在上邊?述過的原因, 士人們必然在下述兩個慾望之間困惑; 一是, 作爲儒家思想的體現者和社會的旣得利益集團的成員的慾望; 一是, 追求自由戀愛的人的本性的慾望. 這樣, 士人所具有的欲望的雙重性將以傳奇小說的形式出現在社會, 而社會將收容?./ 社會之所以對傳奇表現出寬容, 是因爲所謂的 ‘奇’是用傳統的?事方式 - ‘傳’的形式出現的. 也就是說, 當婚前戀愛, 逃婚, 婚外情等被禁止的禁忌, 如果出現在傳奇小說的話, 無論是作者還是讀者, 都可以免受社會的冷待./ 特別是在? 본고는 唐代 愛情類 傳奇의 문학적 의미를 깊이있게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작업을 통해 당대 애정류 전기에 반영된 당대 문화의 제요소들을 도출해내고 더 나아가 동양의 전통서사가 지닌 특성 및 서구와 변별되는 동양문화의 의의를 환기시키고자 했다. /남녀의 애정이라는 것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관심의 대상이며 삶, 그 자체이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적 욕망과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유랑한다. 즉 인간은 異性과의 감정을 추구하면서 또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의 자유로운 발산으로 인한 폐해를 경계하기에 남녀의 애정행위는 무수한 금기들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인간은 자신들이 만들어낸 그러한 금기들을 깨뜨리고자 하므로 남녀의 애정은 결국 쉽게 단정지을 수 없는 문제가 되고 겹겹으로 싸여진 사회적, 문화적 층위 속에서 다각적으로 검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당대 애정류 전기를 바로 이와 같은 남녀의 애정이 지닌 본질과 연관시켜 논의한다. 이는 곧 당대에 성립된 전기라는 서사양식 속에서 남녀의 애정이라는 제재가 다루어진 이유 및 그것의 표현방식과 함께 그러한 표현방식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던 문화적 맥락의 문제로 귀결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남녀의 애정을 다룬 작품, 즉 애정류 전기의 창작층이자 독자층이 당대의 지배계층인 士人계층이었음은 본고의 논의전개를 위해 주요하게 다루어야 할 논점이라 할 수 있다. 당대의 사인들은 유가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계층이다. 그들의 윤리관념에 의하면 자유로운 연애를 통한 남녀의 결합은 사회적으로 인정될 수 없다. 그러므로 그들이 상정하는 남녀의 만남이란 것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교육신념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진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국문초록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육신념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전문성 인식과 교육신념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전문성 인식과 교육신념에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 프로그램 질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보육 프로그램 질의 관계는 어떠한가 ? 4.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전문성 인식이 보육 프로그램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 법인, 가정 등의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집을 무작위 표집 하여, 각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 기록식 질문지법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를 측정하기 위해 P.Lindsay & C.H Lindsay(1984)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번안하여, 이향(1995), 권혁진(1995). 이화경(2011)의 교사 역할 항목 기준을 토대로 작성,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Verma(1974), Peters(1985)가 제시한 TBTI를 기본으로 권창길(1998)이 개발한 설문지를 오희승(2000), 이진화(2014)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 프로그램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석(1990)의 한국 유아교육시설기관의 표준평가척도, 권영례(1999)의 유치원 교육환경 평가척도, Harms, Clifford & Cryer(1998_)의 ECER-R, 미국의 NAEYC가 개발한 유아교육기관의 인준기준을 심성경(1989)이 수정, 번안하여 사용한 척도를 구은미(2004)가 요인 분석하여 재구성한 척도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구체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문항내적 합치도인 Cronbach α 값을 분석하였다. 2)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육신념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고, Scheffé 의 사후검정을 통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3)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 프로그램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Pearson-r) 분석을 실시하였다. 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육신념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차이는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적 지식, 사회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의 차이는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적 지식’, ‘자율성’, ‘사회 경제적 지위’, ‘직업 전문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전문성 인식의 차이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적 지식, 자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근무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차이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인 전문적 지식, 사회직업윤리,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차이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보육교사의 교육신념의 차이는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하위요인인 성숙주의, 행동주의, 상호작용주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근무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교육신념의 차이는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하위요인인 성숙주의, 행동주의 상호작용주의 신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 프로그램 질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보육 프로그램 질과의 관계는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하위요인인 성숙주의 신념과 보육 프로그램의 질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보육 프로그램 질을 약 35%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인 전문적 지식과 보육 프로그램 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인 사회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미치는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베타값을 기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과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과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과 교사 간 협력,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성을 파악하고, 교사의 개인 변인인 현원에서의 근무경력과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며,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과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서 유형을 고려하여 편의 표집한 총 150개의 기관, 504명의 여자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은 중간 이상의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 하위요인 중 교사의 놀이운영에 대한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데 비해, 관찰 및 계획에 대한 효능감, 놀이평가에 대한 효능감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교사가 인식한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의 문항별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놀이 활동 자료와 기구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교사의 지원 의지를 묻는 문항의 평균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영유아들의 또래 간 놀이경험을 학습과 연결하여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정도의 실행 의지를 묻는 문항의 평균점수는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은 민간 어린이집 교사들이 직장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유의하게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원 근무경력이 3년 미만 교사집단, 3년 이상~5년 미만 교사집단, 7년 이상 교사집단의 순서로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은 중간 이상의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의 문항별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원장이 어린이집 하루일과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항의 평균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보육과정과 관련된 원장의 보육일지에 대한 평가 및 정기적인 관리, 전문적 피드백 정도와 질적 향상을 위한 장학지도 진행 정도를 묻는 문항의 평균점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은 직장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원 근무경력 3년 미만인 교사집단이 현원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교사집단 보다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간 협력은 중간 이상의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교사 간 협력의 하위요인에서는 의사소통 협력과 교육활동 협동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사 간 협력의 문항별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에서 교사들이 협의시간을 즐기는 정도를 묻는 문항의 평균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동료교사의 수업을 관찰하는 정도, 교사 간 교육활동 견해 차이에 대한 공개적 논의 정도를 묻는 문항의 평균점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사 간 협력은 민간 어린이집 교사들이 직장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교사 간 협력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원 근무경력 3년 이상인 교사집단이 현원 근무경력이 3년 미만인 교사집단 보다 교사 간 협력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어린이집 모두에서 교사의 현원에서의 근무경력,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 수준, 교사 간 협력 수준과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모든 기관 유형에서 현원 근무경력,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 수준, 교사 간 협력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이 높아짐을 반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교사의 현원에서의 근무경력,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장,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 모두 교사의 현원에서의 근무경력,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과 현원 근무경력을 반영하여, 개정 표준보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을 원장의 보육과정 지원과 교사 간 협력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개정된 표준보육과정과 관련한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의 중요성, 원장의 전문적 지원과 교사 간 협력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놀이실행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원장과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영유아중심 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와 전문적 지원 행동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교육과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 간 긍정적 관계 형성 및 보육과정에 대한 협력과 협의의 습관화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교사 협력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문제행동 중재가 중증 정신지체학생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modify mal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high school 3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ttending G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KyeongNam, who show problem behavior and who employed through Eyberg Behavior Sacle for chil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at measurement of maladaptive behavior practiced thorough teacher' interview and direct observation by A-B-C behavior scal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about condition setting up based above it, hypothesis about maladaptive behavior intervention was established. The design of this study applied to single subject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in order to reveal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Sub domains of maladaptive behavior, that is, self-injure behavior, interfere behavior, aggression behavior was applied by experiment sta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ll children with sever mental retardation showed reduction over 45% of maladaptive behavior, acquisition to alternative skills. Therefore, positive behavior support have an positive effects to reduction of mal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 mental retardation. All children showed. Because final go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change their general life style, The future studies should be established studies finding out effectiveness on action study in consideration with context(home, school, community life) and problem behavior as well as alternative skills and life style.
이 논문은 비유가 생성․이해되는 원리와 특성에 근거하여 국어교육에서 비유를 어떤 원리와 방법으로 교육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 의하면 비유는 언어와 관련된 문제만이 아니라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표상하며,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핵심적인 도구이며 기제이다. 따라서 인지 기제로서의 비유가 갖는 개념적 속성을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생성하도록 국어 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마련된 비유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은 언어인식 능력, 어휘 능력, 의미 이해 및 생성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behind the formation of figurative language, and to propose a fundamental method by which figurative language can be taught.This thesis posits that the very nature of cognitive linguistics lends itself to the fundamental construct and goals of Korean education; that is, to effectively utilize and cherish Korean as a language and to cultivate abilities and attitudes so that the Korean linguistic culture may be appreciated. It is with these goals in mind that this study proposes to map out and effectively demonstrate contents, goals and methods of teaching figurative speech in terms of cognitive linguistics.
최진아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1997년 국내에 외환위기가 몰아닥친 이후 대한민국의 기업들은 정부주도 하에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하게 된다. 이 때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등장한 것이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이다. 외환위기의 틈바구니에서 많은 외국계 자본이 국내에 진출을 하였고 그 외국자본이 하나같이 소리높여 지적하였던 점이 국내 재벌기업위주의 기업지배구조의 문제였다. 이후 국내에서는 외환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또한 김대중 정권에서 출발한 재벌개혁 이슈가 현 노무현 정권에 그대로 계승이 되어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재벌의 개혁 및 길들이기를 추진하게 된다. 또한 노무현 정권하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는 것이 시민단체이다. 참여연대를 기점으로 한 여러가지의 시민단체가 재벌기업의 경영활동을 감시하고 소액주주의 입장을 대변한 활동을 활발히 벌이면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 졌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본격적인 기업지배구조펀드의 활동으로 이어진 것은2002년 SK Group과 Crest 증권을 앞세운 Soverign의 경영권 다툼에서 비롯되었다. Soverign은 Crest 증권의 이름으로 SK(주) 지분 최대주주로 등장한 이후 경영권 참여를 요구하며 공식 보도자료를 통하여 SK의 기업지배구조를 개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Soverign은 한국 경제에 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라는 이름을 최초로 알리게 되었다. 이후 한국에는 Hermes 및 Oppenheimer 등의 기업지배구조펀드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Elliott Advisors의 적극적인 활동이 뒤늣게 이어진다. 또한 한국 내의 토종 기업지배구조펀드가 2003년부터 설립을 준비해 올 2004년 여러 가지의 펀드들이 생겨나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Antonio Gaudi의 작품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영문초록 :With the improved standard of living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consumption code of consumers is becoming much individualized, diversified and advanced. The field that can accommodate such a change in consumption code in the textile industry is textile design.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original, creative textile design is rising as it is highlighted in its importance as the core element that can regrow the recent stagnant textile industry. The field of design has attempted to collaborate with fine arts to develop original design or gain a new inspiration. Or it has given birth to the unanticipated famous design produc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designers engaged in several fields and artists and introduced them to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bine architectural design and textile desig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duce the textile design combined with architectural plastic beauty through study on the works of Antonio Gaudi, the Spanish architect making a free expression of artistry and creativity and provide the idea that could become a motive for textile design. This study found out through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at the building of Gaudi wa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he mosaic method of colored tiles and heterogeneous materials for the color or form of natural things to achieve the development and decoration of peculiar art nouveau using curved lines and curvatures by the free skeleton as well as the attainment of integrated harmony through the composition of colors using their contrast. An attempt was made to manufacture textile desig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al elements of Gaudi's works to it.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and p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could become the motive of textile by making the textile. Second, a new expressive technique could be represented by grafting the surface texture of material used in the building and its interior and exterior decoration on textile design. Third, the mosaic technique or handicraft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can be reborn as the high value-added design of new image preferred by contemporary consumers when they are applied to textile design. It could be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develop diverse expressive techniques and new motives by applying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