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반조건에 따른 공동주택의 지진응답

        최지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Seismic design refers to designing buildings to withstand earthquakes to prevent them from collapsing due to earthquakes.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seismic design include equivalent static analysis, the dynamic analysis methods include response spectrum analysis, and time history analysis. In the Building Seismic Design Standards (KDS 41 17 00), seismic loads are calculated using a design response spectru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ground specified in the Seismic Design General (KDS 17 10 00). When considering ground amplification, it is designed using -ground. Compared to -ground,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of -ground increases its spectral acceleration in the entire section, but only in a specific section when comparing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with the response spectrum amplified by the actual ground. Considering the ground amplifica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results for the -ground and the time history analysis results of the ground motion that performed the ground response analysis for the actual ground conditions, so it is not exactly consistent in determining the seismic loa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arget structure is compared and analyzed layer shear forces by performing equivalent static analysis, response spectrum analysis, and a time history analysis on the ground motion in which the ground response analysis. Finally,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se spectrum of the ground motion and the form of each floor shear force for a total of three ground condition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earthquake response in apartments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내진설계는 건물이 지진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건축물을 지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내진설계 시 사용되는 해석방법에는 등가정적해석, 응답스펙트럼해석, 시간이력해석이 있다.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에서는 내진설계일반(KDS 17 10 00)에서 규정한 지반의 분류에 따라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지진하중을 산정한다. 지반 증폭을 고려할 경우 지반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있다. 지반에 비해 지반의 설계응답스펙트럼은 전 구간에서 스펙트럼가속도가 증가하지만, 설계응답스펙트럼해석과 실제 지반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한 응답스펙트럼 비교 시 특정구간에서만 증가가 나타난다. 이처럼 지반 증폭을 고려하여 지반에 대한 내진설계시 응답스펙트럼해석결과와 실제 지반조건에 대해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한 지반운동의 시간이력해석결과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진하중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정확히 부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 구조물을 등가정적해석과 응답스펙트럼해석, 지반응답해석이 수행된 지반운동에 대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층전단력을 비교·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지반주기의 길이에 따라 선별한 총 3가지 지반조건에 대해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한 지반운동의 응답스펙트럼과 각각의 층전단력 형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반조건에 따른 공동주택의 지진응답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국내외 청소년 미술치료 연구동향분석 : 2010-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최지원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국내와 해외의 청소년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살피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청소년(adolescent)과 미술치료(Art therapy) 등을 검색어로 학술연구정보(RISS),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 한국학술정보원(KISS), Science Direct, Taylor & Francis Online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등재 학술지 게재 논문을 선정해 국내논문 130편, 해외논문 42편을 최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연도별 & 연구 영역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이며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2015년에 29편(22%)으로 가장 논문의 빈도수가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해외는 2016년까지 비슷한 빈도로 연구가 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였다. 연구유형별 동향에 따르면 미술치료 과정 및 성과 연구가 국내 97편(75%), 해외 25편(60%)으로 가장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97편(75%)으로, 해외는 24편(81%)으로 연구대상이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국내외 모두 10명에서 29명 사이의 집단 크기가 각각 54편(44%), 10편(25%)으로 많게 나왔다. 연구대상의 특성에서 국내외 모두 일반 청소년 대상이 가장 많았으나 두 번째로 높은 수를 보면 국내는 문제행동 특성이 40편(30%), 해외는 외상경험 특성이 12편(28%)으로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연구를 실행한 기관은 교육기관이 국내 69편(56%), 해외 14편(33%)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혼합연구가 46편(35%), 해외에서는 경험적 연구가 9편(21%)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 총 회기에서 국내는 10에서 19회기 진행이 74편(60%)으로 해외는 1에서 9회기 진행이 14편(35%)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 모두 주 1회 치료를 진행한 논문이 각각 49편(46%), 15편(43%)으로 나왔으며 국내는 60분이 30편(28%)으로, 해외는 알 수 없음을 제외하면 90분이 4편(11%)으로 높게 나왔다. 국내와 해외 모두 투사검사보다 객관검사를 측정도구로써 많이 사용하였으며 심리 정서와 관련된 주제를 다룰 때 가장 측정도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국내외 모두 미술치료 단일기법을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자료 내용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자료분석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내용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자기 관련 변인이 45회(28%), 해외는 심리 정서 변인이 18회(39%)로 가장 빈도수가 많게 나왔으며, 연구주제에 따른 치료기법에서 국내는 자기 관련과 심리 정서 관련 주제를 다룰 때 각각 15회(34%), 해외에서는 심리 정서 관련 주제를 다룰 때 4회(67%) 치료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청소년 미술치료에는 차이를 보이는 분류항목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청소년 미술치료의 흐름을 봄으로써 앞으로의 청소년 미술치료의 발전에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 체면에 따른 허세와 내숭이 개인 평판에 미치는 영향 :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조절 변인으로

        최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easures for tapping Heosae and Naesoong, which are interpersonal strategies for impression management in Korean society. Heosae and Naesoong represent a bluffing strategy and a pretending innocence strategy respectively although the nuance of the two concepts in Korean society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society. I was curious about the fact that the act of Heosae or Naesoong of some people is taken positively while that of others is taken negatively. Therefore I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how commonplace Heosae and Naesoong strategies are evaluat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s. I paid a careful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osae and Naesoong do not reveal one’s own information honestly, which indicates that such acts are an act of deception, and this act of deception in turn is utilized as a strategy to manage one’s impression. Howev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Chaemyen(face) as a factor in the impression management of Koreans, I predicted that Chaemyen would influence Heosae and Naesoong. Further, I employed personal reputation, which was thought as a result of impression manag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on which Heosae and Naesoong would influence. I also expected communication styles, which have to do with how to convey messages, would play a moderating role in case Heosae and Naesoong influenced personal reputatio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nd to test the hypotheses, first, I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a measure of gauging the act of Heosae and Naesoong.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bluffing in the context of business and the concept of self-concealment in the context of counseling, I compiled questions to construct a measure of Heosae and Naesoong. The questions were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ideas derived from the concepts of bluffing and feigning innocence, the concepts of assertive and protective strategies in impression management, and analyses of Namuwiki and Naver blogs. After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 formulated a total of 14 questions to tap the act of Heosae and a total of 11 questions to tap the act of Naesoong.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main research study, I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The two factors of Heosae were the bluffing to show off and the appearing endurance, and three factors of Naesoong were the making excuses, the being humble, and the protecting respectively. To test the hypothesis, I conduc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I confirmed that the acts of Heoase and Naesoong were affected by Chemyeon sensitivity. Further, Heosa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ersonal reputation, whereas Naesoong had a positive influence. After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osae and personal reputation, I found the dominance style showed a reinforcing effect on Heosae and a conflicting effect on Naesoong, whereas the sociability style had a conflicting effect on Heosae and a reinforcing effect on Naesoong. In other words, the dominance style of communication exhibited a moderating effect of either reinforcing the negative reputation of Heosae or diverting the direction of the positive reputation of Naesoong, whereas the sociability style exhibited a moderating effect of either diverting the direction of the negative reputation of Heosas or reinforcing the positive effect of Naesoong.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measure of common acts of Heosae and Naesoong in Korean society and has provided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expand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by demonstrat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that has identified that acts of managing one’s impression, such as Heosae and Naesoong, influenced personal reputation. Further, by presenting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tyles on personal reputation, the study confirms that the relational contexts should not be overlooked when Heosae and Naesoong influenced on personal reput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thereafter. 왜 누구의 허세와 내숭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누구의 허세와 내숭은 부정적으로 평가되는가? 본 연구는 일상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허세와 내숭이 각자의 맥락에서 다르게 평가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허세와 내숭이 개인에 대한 정보를 온전하게 전달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기만 행위로 파악하고 이러한 기만 행위는 인상 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의 인상 관리는 체면의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체면이 허세와 내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인상 관리 전략의 탐색에 그치지 않고, 인상 관리의 결과라 할 수 있는 개인 평판을 종속 변인으로 사용하여 허세와 내숭이 개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현 형식인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허세와 내숭이 개인 평판에 영향을 미칠 때 일정한 조절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하였다. 이러한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허세와 내숭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다. 비즈니스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허세(bluffing)와 상담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자기은폐(self-concealment) 개념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분석한 후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허세와 내숭 척도를 구성하기 위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문항은 허세와 내숭의 사전적 개념, 인상 관리의 적극적 전략과 보호적 전략 개념, 나무위키와 네이버 블로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14개의 허세 측정 문항, 11개의 내숭 측정 문항이 도출되었다. 예비 문항의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허세는 과시적 허세와 인내적 허세로, 내숭은 변명적 내숭과 겸양적 내숭, 보호적 내숭으로 각각 요인화 되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허세와 내숭은 체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세는 개인 평판에 부적 영향을, 내숭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배적 스타일은 허세에 강화 효과를 내숭에 대립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적 스타일은 허세에 대립 효과를 내숭에 강화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지배적 스타일은 허세에 대한 부적 평판을 강화하거나 내숭에 대한 정적 평판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절 효과를 나타내며, 사교적 스타일은 허세에 대한 부적 평판의 방향을 전환시키거나 내숭에 대한 정적 평판을 강화하는 조절 효과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허세와 내숭에 대한 실증적 측정 척도를 개발하여 제시했으며, 인상 관리 차원에서 시도되는 허세와 내숭이 개인 평판으로 이어지는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제시하여 인상 관리 이론의 확장을 시도했다는 이론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개인 평판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여 개인 평판의 관계적 맥락이 간과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 및 전문성 신장

        최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6명의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또한 교수일지 작성을 통한 반성적 교수능력을 활용하여 수업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교사 당 5회분의 교수일지를 수집하였고 이 내용을 보충 및 심화하기 위해서 교사별 개인 심층면담이 2회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들은 본인이 작성한 교수일지를 온라인 기반 학습 공동체에 공유하여 다른 교사들과 함께 영어 수업 및 행정적 업무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질의응답을 주고받았다. 이처럼 다면화된 자료를 분석하고 범주화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신규 영어교사들은 신규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직무연수에서 영어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이는 신규 영어교사들이 임용고시를 치루고 난 후 영어교사가 되기까지 이들을 돕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입문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교에 발령을 받고 난 직후 이들은 경력교사와 같은 수업진행과 업무 수행능력을 요구받아 학교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정체성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영어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수업 활동의 구성, 교실 영어 사용, 영어 관련 행정적 업무 등 특정한 분야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교사가 된 이후에 교사학습자(teacher learner)로서 능동적인 태도로 연수, 학습공동체, 장학, 컨설팅 등 공식적 입문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특히 같은 영어 전담 교사로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및 비원어민 동료 교사와의 관계 형성이 신규 영어교사들에게 영향을 많이 미쳤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 협의를 통해 수업과 관련된 아이디어 및 노하우를 획득할 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또한 임상장학을 통해서 영어 수업과 관련한 관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받는 경우, 신규 교사로서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교사로서의 자긍심을 느끼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혀졌다. 셋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전담교사로서 특히 학생들의 통제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담임교사와 달리 학생들에 대한 개별정보가 부족하고 학생들과의 개별적 래포 형성이 어려운 상태에서 학생들이 문제 행동을 일으켰을 때 대처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지 못했다. 이는 교사로서의 자신감 하락 및 부정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점차 교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학생들에게 인성 요소를 직접적으로 지도하고 담임교사와의 교류를 통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신규교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교사로서의 확고한 신념을 확립해 나가려 했으며 특히 영어 학습 부진아 학생들을 위한 지원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하지만 교과서, 교사 커뮤니티 외 다양한 교수 자료가 부족하고 과도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인해서 학급 내 수준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서술했다. 다섯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교실영어 사용 비중 및 활용 방법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시간의 효율성, 학습자들의 이해 정도에 따라서 교실영어 사용의 비중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여섯 명의 신규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체계적인 입문교육을 경험하지 못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노력을 통해서 자신의 영어전문성을 향상시켜 나갔다. 첫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흥미 및 수준에 알맞은 실제적인 수업 자료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재구성하였다. 둘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점차 주체의식을 가지고 영어과 관련 연수 프로그램과 학위 과정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규 영어교사들은 교실영어 사용비중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본인의 개인적 여가시간을 영어 실력 향상에 투자하거나 의도적으로 발화 속도 조절하기, 명확하게 말하기, 제스처 사용하기 등 다양한 전략을 토대로 교실영어 사용 비중을 높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영어 교육 정책가들은 신규 영어교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공식적 입문교육 프로그램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영어교사들이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관계에서 상호 교류를 하는 모습을 토대로 동료 교사들끼리 소통을 활발히 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 및 동아리를 구성하는 정당성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에 나아가서 예비교사교육 현장과 학교 현장간의 괴리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영어에 관심이 있는 예비교사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영어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실습 현장에서 영어 수업 실연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content and methods about the induction of six elementary novice English teacher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he study attempted to find specific ways to improve teaching skills by examining teachers’ journals which served as a means for the teachers to reflect on teaching ability. For this purpos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tw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teacher to complement the contents of the journals. The novice English teachers submitted journal entries through an online-based learning community where they also freely interacted with other teachers about English classes and administrative affairs. The multifaceted data was analyzed and several results were drawn. The teachers in the study reported that at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they had littl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mal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teachers. This implies that novice teachers are not gaining systematic and effective induction experiences before they are official appointed as an English teacher. This seems to be because shortly after the teachers were issued to a school, they were immediately immersed i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work which led to a negative impact on teacher identity and adaption to the school. The novice English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reas such as organizing class activities, classroom English use, and English-related administrative tasks. The novice English teachers in the study were proactive and reporte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mal induction programs, teacher training programs, advanced degree programs, and consulting as productive teacher learners as time went on. The relationships they had with the native English teachers influenced their teaching and consulting enhanced their pedagogy. In addition, by participating in clinical supervision and receiving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s, the novice English teachers were able to establish a positive identity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as an English teacher. Novice English teachers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because they were specialist teachers who were not assigned a homeroom. Due to this role, English teachers had trouble dealing with students’ misconduct because they did not possess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students and had difficulty forming rapport with students. This also led to the decline of confidence as a teacher and formed negative identities. Over time, the data showed that the novice English teachers’s conviction as teachers matured over time. However, the lack of diverse teaching materials, teacher communities, and time due to excessive work loads prevented the teachers from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mixed proficiency of the students in their classes. Thus, it seems that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As for English use, the novice English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English in the classroom and how to use it appropriately. In particular, the teachers’ use of English differed on how class time was managed by the teachers and the level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lthough the six novice English teachers did not experience sufficient systematic and effective induction education in general, they enhanced their professionalism as an English teacher through several ways. First, the novice English teachers took the initiative to actively constructed authentic teaching materials that matched the interests and level of learners. Second, the teachers gradually participated in English-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gained a sense of ownership. Finally, to maximize the frequency and efficiency of classroom English use, the teachers invested their off-work time to improve their English competence and engaged in reflective teaching practices.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design and implement formal English teacher induction program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are customized for novice teachers. As novice English teachers seem to benefit from interacting with peers, more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clubs should be formed.

      •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성인여성의 모발염색 행위에 관한 연구

        최지원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인은 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개성의 추구와 더불어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 자신을 보다 젊게 보이도록 하고 아름답게 꾸미고자 하는 것은 모든 생물의 본능적인 욕구이다. 외모는 대인관계에서 개성을 부각하고 자신감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헤어스타일은 얼굴의 인상과 외모의 특징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발염색은 헤어스타일 연출의 중요한 요소로서 자기 연출과 사회활동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염모제의 화학적 성분을 자연모발에 침투시켜 색상을 변화시키는 시술로서 미용실 모발염색과 자가 모발염색으로 행해진다. 염모제 시장은 현대인의 외모 관심도가 높은 사회문화적 경향에 편승하여 다양한 염모제품의 출시와 더불어 유통경로가 확대되고 있다. 모발염색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는 어디서든 다양한 염모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전문가 손을 빌리지 않더라도 손쉽게 모발염색을 할 수 있는 기능성 제품과 시술방법을 알려주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유통경로의 확대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무분별한 모발염색 행위를 조장하고 그에 따른 인체의 위해성 논란과 부작용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염모제의 위해성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고 부주의한 시술의 우려가 높은 노인이나 청소년층은 염모제의 위해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현대인은 사회활동의 증가와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기관리 차원의 외모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와 관심 또한 높다. 외모의 아름다움과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에 비추어 볼 때, 모발염색의 부작용과 위해성은 건강한 삶과 상충된다고 볼 수 있다.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위해서 모발염색을 하지만 결과적으로 두피와 신체 건강의 위해성을 감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모발염색 행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율배반적인 심리와 행위의 선택에 작용하는 요인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발염색 행위를 선택하는 소비자 심리에 작용하는 기제를 건강신념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강신념이란 스스로 건강행위라고 굳게 믿고 있는바에 대한 의존적 심리이다. 건강신념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어기제로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예방적 행위와 신체증상에 따른 조치행위, 그리고 건강의 회복과 증진을 위한 노력행위 등의 적극적인 동기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신념과 행위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신념은 경험과 지식을 통해서 형성되며 그것의 정도에 따라서 신념의 수준 또한 달라진다. 신념의 수준은 행동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관계에서 신념의 토대가 되는 인식의 내용과 행위의 동기로 작용하는 욕구에 따라 구체적인 행위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모발염색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은 건강신념을 강화시키는 요인인 반면, 모발염색을 통해서 외모관리 및 개성표출에 대한 욕구는 건강신념을 위배하는 요인의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모발염색에 있어서 건강신념을 유지함과 동시에 염모제의 위해성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며 모발염색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모발염색 행위의 실태조사 및 분석을 통해서 모발염색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체의 위해성과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모발염색 행위의 선택은 소비자의 건강신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여 조사와 분석에 접근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건강신념 변인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정의 수립하였으며, 서울․경기․강원 지역의 모발염색을 경험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임의 표본 추출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연구문제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연구문제 검증의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제시하여 기술하였다. 첫째, 모발염색 행위 요인에 따른 자가 모발염색과 미용실 모발염색 행위의 특성 분포, 그리고 이들의 시술행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모발염색 행위와 건강신념 변인의 관계성 평가와 모발염색 행위 군에 따른 건강신념 변인의 인지도 검증을 하였다. 셋째, 모발염색 행위에 작용하는 건강신념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넷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의 차이와 유의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건강신념 변인과 건강행동가능성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여섯째,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모형 검증에 관한 종합적인 논의를 하였다. 모발염색에서 논의의 핵심은 염모제의 안전성에 관한 문제이다. 염모제 생산 기업은 보다 안전한 염모제 성분을 보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소비자는 자신의 안전과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염모제의 위해성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염모제의 성분인식과 더불어 올바른 선택을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모발염색이 모발 상태에 따라 전 처리와 후처리와 같은 주의와 절차가 필요한 시술 행위임을 인식하고 올바른 행위의 조건과 내용인식을 토대로 안전한 모발염색 행위의 신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건강신념 변인의 인지도 수준 안에서 자가 모발염색 또는 미용실 모발염색 행위의 선택이 결정되는 인과성을 유추할 수 있다. 특히 건강신념 변인의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건강관심도가 높으면 보다 안전하다고 인식되어지는 미용실 모발염색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염색 행위와 건강신념의 관계성을 분석한 본 연구는 모발염색에 관한 HBM 측정의 사례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모발염색의 건강신념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모발염색 예방행동 강화를 위한 헬스 캠페인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안전한 모발염색을 위한 선택과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고 무분별한 자가 모발염색을 조장하는 미디어와 마케팅 활동을 평가하는 지침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자가 모발염색을 지향하는 소비자에게 자가 모발염색을 함으로써 생기는 장애요인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고,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모발염색을 위한 인식의 전환과 건강신념을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중심어 : 건강신념모델. 자가 모발염색, 미용실 모발염색, 성인여성, 모발염색행위, 염모제 유해성 As society advances and develops, people show a keen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It is a basic instinct for all creatures to make themselves look younger and better. In fact, appearance is a critical element that makes a person’s personality stand out and makes him/her more confid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hair style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a person’s impression and appearance. Hair dyeing is an important element in hairstyling. It has become more diverse as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ctivities become more important. In terms of a treatment that sends the chemical ingredient of a hair dye, there are beauty salon hair dyeing and self-hair dyeing. With people’s high interest in appearance, a variety of hair dyes have been released and distributed through diverse channels. Consumers are now able to get various hair dyes easily. In addition, they can easily access a product with which they can dye their hair on their own and unproven information on hair dyeing. However, this expansion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have accelerated unproven hair dyeing practices and caused some problems such as health hazards and side effects. In particular, the youth and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irresponsible hair treatment without sufficient knowledge about the risk of the hair dyes could be exposed to the hazards that come with hair dyeing. In modern society,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a healthy lifestyle as well as a better appearance as their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levels improve. Considering this desire for beauty and a healthy lifestyle, the side effects and hazards of hair dyeing run counter to a healthy life. People dye their hair to look more beautiful, taking the risks of hazards to their scalp and health. In order for consumers to engage in healthier and safer hair dyeing, it is necessary to perceive the factors needed in selecting contradictory psychology and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onsumer psychology in selecting hair dyeing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health beliefs. ‘Health belief’ refers to dependence on a strong personal belief regarding health behavior. As a defensive mechanism to protect health, a health belief works as active motivation, such as preventive acts to stay healthy, actions taken for bodily symptoms and efforts to recover and improve health. In general, belief and ac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Belief is formed through experience and knowledge. Depending on the degree of such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level of belief varies. In terms of the degree of belief, a specific act is selected within the level of desire that works as the description of awareness and motive for action in the relationship that occurs i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hair dyeing is harmful to human health strengthens the ‘health belief’. In contrast, appearance care through hair dyeing and desire to express personality can violate this health belief. 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retain the health belief about hair dyeing and, at the same time, satisfy the desire for hair dyeing by minimizing damage from the hazards of hair dyes. This study determined factors affecting the possibility of health behavior in hair dyeing through a hair dyeing survey and analysis based on such perception. The selection of hair dyeing that minimizes human health hazards and side effects is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health belief. Hence, this study approached the survey and analysis after developing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The health belief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 women who had received hair dyeing before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through random sampling. The research topics and hypotheses were then tested. Based on the research topic testing procedures, the results were stated and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air dyeing between at-home hair dyeing and beauty salon hair dye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practic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dyeing and health belief was assessed, and the awareness of health belief in a hair dyeing group was tested. Third, correlations among the health belief variables that are applied to hair dyeing were analyzed. Fourth, differences in health belief an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s were analyzed. Fifth, hypotheses were tested by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health belief and the possibility of health behavior. Sixth, there was a general discussion on research model testing based on the said results. In hair dyeing, the safety of hair dyes is most important. Hair color manufacturers need to develop and provide products that ensure the safety of ingredients while consumers must be more cautious in checking the ingredients of the hair dyes and making the right choice with an awareness of the risk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 belief in safe hair dyeing behavior based on awareness of the conditions for correct use after understanding that hair dyeing is a treatment that requires caution and procedures such as pre-treatment and follow-up.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causality that determines the selection of self-hair dyeing or beauty salon hair dyeing within the level of the awareness of health belief can be derived. If interest in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health increases,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of selecting beauty salon hair dyeing, which is deemed to be safer. As stated above,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hair dyeing and health belief.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case of HBM measurement on hair dyeing.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for health campaigns designed to develop health belief mediation programs and hair dyeing-preventive behavior.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vides the ground for consumers to select and judge safe hair dyeing practices. Furthermore, it can be available as a guide to assess mass media, which encourage uninformed at-home hair dyeing and marketing activities. In particular, it makes those consumers who prefer to be cautious with self hair dyeing be aware of the perceived barriers that occur after self-hair dyeing. Finally, the conversion of a perception for safer and healthier hair dyeing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 beliefs are anticipated. Key Words: Health Belief Model, Self-hair Dyeing, Hair Salon Dyeing, Adult Woman, Hair Dyeing Behavior, Hair Dye Products Harm

      • 대설사례를 대상으로 한 WRF Simulation의 Nudging 기법에 따른 민감도 연구

        최지원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너징 기법에 따른 WRF 수치모의의 결과에 대한 강수량 및 바람 예측에 있어, 자료동화를 적용하지 않은 실험(CNTL 실험)보다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살펴보고, 얼마나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너징 기법은 관측 너징과 분석 너징을 각각 적용하여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종관 강제력이 약한 사례(사례 A)와 종관 강제력이 강한 사례(사례 B)에 관측 너징과 분석 너징을 각각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사례에 대해 관측 너징과 분석 너징을 적용하기에 앞서, 각 너징에 최적화된 옵션을 선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후, 선정된 옵션을 적용한 관측 너징 실험과 분석 너징 실험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종관 강제력이 약한 사례 A(영동 해안지역에 약 10 mm)의 경우, CNTL 실험은 주 강수지역인 북강릉과 강릉의 강수량을 과대모의 하였고, 북강릉의 강수 집중시간대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으며, 영동지역뿐만 아니라 그 이남지역의 앞바다로 강수를 과대모의 하여, 이러한 결과를 개선시키고자 너징을 적용하였다. 너징에 최적화된 옵션을 설정하는 민감도 실험의 결과에 따라, 영향반경을 15 km로, 너징계수를 6.0×10⁻⁴s⁻¹로 설정한 관측 너징 실험(ONG 실험)과, D1과 D2에만 너징을 적용하며 너징계수를 6.0×10⁻⁴s⁻¹로 설정한 분석 너징 실험(ANG 실험)을 CNTL 실험과 비교・분석하였다. ANG 실험을 적용함으로써, 과대모의한 북강릉과 강릉의 강수량을 개선하였고, 북강릉의 강수 시간대도 잘 모의하였다. 그리고 3시간 누적강수량의 통계적 검증을 통해, ANG 실험은 CNTL 실험보다 개선되었고, ONG 실험보다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ONG 실험의 경우, 시간당 바람성분의 통계적 검증 결과, CNTL 실험보다 개선되었고, ANG 실험과 함께 가장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ANG 실험에 비해 강수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또한, CNTL 실험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종관 강제력이 강한 사례 B(영동 해안지역에 약 50 mm)의 경우, CNTL 실험은 북강릉의 풍향과 두 번째 강수 집중시간대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으며,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너징에 최적화된 옵션을 설정하는 민감도 실험의 결과에 따라, 영향반경을 20 km로, 너징계수를 4.0×10⁻⁴s⁻¹로 설정한 관측 너징 실험(ONG 실험)과 D1에만 너징을 적용하며 너징계수를 4.0×10⁻⁴s⁻¹로 설정한 분석 너징 실험(ANG 실험)을 CNTL 실험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너징 실험 모두 CNTL 실험의 결과보다 관측과 유사한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보였다. ONG 실험을 적용함으로써, 관측과 유사한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보이며, 3시간 누적강수량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ONG 실험은 CNTL 실험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고 ANG 실험보다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CNTL 실험보다 북강릉의 시간당 풍향을 잘 모의하였고, 시간당 바람성분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ONG 실험이 CNTL 실험과 ANG 실험보다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ANG 실험을 적용함으로써, ONG 실험과 마찬가지로 총 누적강수량 분포를 잘 모의하였으나, ONG 실험에 비해 바람을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즉, 종관 강제력이 약한 사례는 강수에 대해서 ANG 실험이, 그리고 바람에 대해서 ONG 실험이 가장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종관 강제력이 강한 사례는 강수와 바람 모두 ONG 실험이 가장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지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U시에 있는 Y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4∼6학년 아동 70명 중 프로그램 참가에 희망하는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아동·청소년 문제행동척도(K-CBCL)에서 63T이상, 내재화·외현화척도 점수에서 60T이상인 아동 16명을 선별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2011년 12월 20일부터 2012년 2월25일까지 주 1-2회, 60분으로 총 16회기로 진행되었다. 검사도구는 정서지능검사와 아동·청소년 문제행동평가(K-CBCL)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0.0 Program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과 단순 주 효과, 다중비교(Duncan- 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정서에 대한 지식을 일깨우고, 아동이 비언어적인 미술작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데서 비롯되었으며 또한 집단원간의 협동 미술작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정서를 활용, 조절할 수 있는 계기를 통해 타인의 정서까지 이해 할 수 있게 되어 정서지능의 향상을 도모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문제행동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억압된 감정을 분출하면서 자신을 이해하게 되고 비슷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로부터 얻은 정서적 지지가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고 서로 공감함으로 타인을 수용할 수 있게 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역할극과 공동작업, 미술작품 표현을 통해 긍정적 자기상을 발견하고 집단원 간의 긍정적 피드백으로 문제행동 감소 중 특히 내재화 영역에서 감소를 보이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Among 70 children in 4 to 6 grade taking after-school programs at an elementary school in a city, 22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therapy program took K-CBCL, a child-adolescent behavior problem scale. 16 children whose scores were above 63T on K-CBCL and above 60T in th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domains were chosen to be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of 8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8.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ran a total of 16 sessions from Dec. 20th, 2011 to Feb. 25th, 2012, once or twice a week, each session 60 minutes long. The instruments included a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K-CBCL. A pretest and posttest were giv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follow-up evaluation was given 4 weeks after the program comparing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an Analysis of Variance for repeated measures. Simple main effects were calculated and Duncan test was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changi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itiv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anging the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 매끄러운 존재들을 통한 삶에 대한 사유 : 본인의 회화 작업을 중심으로

        최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life of smooth things and study the expanded world through the process. "Smooth Things" are 'Porcelain dolls' with smooth surfaces which appear in my work. To me, the smooth surface was beautiful, but it was also expressed as an unstable feeling. This shows that life consists of ambivalent aspects, and through this concept, we try to view and understand the aspect of life. Modern people in the 21st century exploit themselves to achieve perfect results. The atmosphere of the society where people live solely on results burdens its contemporaries. Exploitation to the point where everything becomes intolerable will eventually lead to individuals falling into powerlessness. Moreover, the current social trend of being involuntarily exposed to numerous information and images surrounded by media along with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makes individuals more insensitive. COVID-19, which impacted all around the world, has isolated individuals and made them feel disconnected. I captured the individual's insensitive and isolated emotions inherent in such society, and projected it onto Porcelain dolls, smooth things, and expressed it as a work of art. It functions as a perfect shell that pretends to be alive, but only on the outside to cover up the hollow emptiness within.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a framework that serves as the motivation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work and continues with the analysis of the work. In Section A of the main text, the way of looking at objects is developed focusing on 'Haptic Visuality'. The moment when the impulse to painting arises in me is when I look at the smooth, haptic surface. Hapticly looking at the surface of an object through both ey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arting point of one's work. Section B studies the aesthetics of the smooth surface and the signifier of death inherent in Still Life. I describe the reason why am I became fascinated with porcelain dolls and reveals that the smooth surface is beautiful and gorgeous, but the inside is empty and easily broken through the dual characteristics which overlap with our lives. This reflects our desire to fill the empty void behind the smooth surface with a gorgeous exterior.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including porcelain dolls appearing in my work, are analyzed along with the concept of Vanitas, meaning the ephemeral nature of life. Through this, we look at the signifier of death in the 17th century Still Life and compare them with the present perspective. Section C compares and analyzes works in which life and death coexist. Through Sigmund Freud's concept of The Uncanny, that is, works that induce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look for similarities within the art works, examines the gap between life and death expressed in detail of the work and how you view the dolls. In addition, I analyze the role of Mise-en-Scène's directing method in my work in terms of formality. Through Porcelain dolls, I looked at life with the emotions inherent in this era. This thesis is a study of works which express contemporary emotions. I intend to capture the story of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I want to collect and expand fragments of personal memories and experiences to create works which will capture the emotions of this era. This will open the door to understanding, empathy, and imagination about the world. 본 논문은 매끄러운 존재들을 통해 삶을 반추하고, 이를 현시대의 삶에 대한 이해로 확장하여 표현한 본인 작품을 서술한 연구이다. 매끄러운 존재들은 본인의 작업에 등장하는 대상으로서, 매끄러운 표면을 지닌 ‘도자기 인형’을 의미한다. 본인에게 매끄러운 표면은 아름답지만 불안한 감정으로 발현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삶이 양가적인 모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모습을 바라보고 파악하고자 한다. 21세기의 현대인들은 완벽한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자신을 스스로 착취한다. 오로지 결과만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사회의 분위기는 현시대의 사람들에게 큰 무게감을 안겨 준다. 견딜 수 없을 때까지 극단적으로 스스로를 착취하다 보면, 결국 한 개인은 무력함에 빠지게 된다. 더불어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며 미디어에 둘러싸여 수많은 정보와 이미지들에 강제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은 개개인을 더욱 무감각하게 만든다. 전 세계적으로 찾아온 코로나19는 개인을 고립시켜 단절감이 가중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본인은 이와 같은 사회에 내재된 개인의 무감각하고 고립된 정서를 포착하고 이러한 정서를 매끄러운 존재인 도자기 인형에게 투영하여 작품으로 표현한다. 도자기 인형은 속이 텅 빈 공허함을 덮어 내기 위해서 겉으로만 살아 있는 척하는 껍데기로서 완벽하게 기능한다. 본 논문은 크게 작업의 동기와 이론적 토대가 되는 틀로 구성되며, 작품 분석으로 이어진다. Ⅱ장의 A절에서는 ‘촉각적 시각성’을 중심으로 본인이 대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본인에게 회화 충동이 일어나는 순간은 매끄러운 표면을 바라볼 때이다. 두 눈을 통해 대상의 매끄러운 표면을 촉각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본인 작업에 중요한 시발점이 된다. B절은 매끄러운 표면이 가지는 미학과 더불어 바니타스 정물에 내재한 죽음의 기표들을 연구한다. 본인이 도자기 인형에 매료된 계기를 함께 서술하며, 아름답고 화려하지만 그 속은 텅 비어 있어 쉽게 깨질 것만 같은 매끄러운 표면의 이중적인 특징을 살피고, 이것이 우리 삶의 모습과 겹쳐 보임을 밝힌다. 이는 매끄러운 표면 이면의 공허함을 화려함으로 채우려는 우리의 욕망을 반영한다. 또한 본인 작품에 등장하는 도자기 인형을 비롯한 다양한 소재들을 삶의 덧없음을 의미하는 바니타스의 개념과 함께 분석한다. 이를 통해 17세기 바니타스 정물에 내재한 죽음의 기표들을 분석하면서 이를 현재의 시점과 교차시켜 비교한다. C절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작품들을 예시로 제시하여 이를 본인 작품과 비교 분석한다.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 즉 익숙한 낯섦을 유발하는 작품들과 본인 작품사이의 유사점을 찾는 동시에 또한 본인 작품 속 살아 있음과 죽음 사이의 간극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본인이 도자기 인형을 어떤 태도로 바라보고 있는지 서술한다. 더불어 형식적 측면에서 미장센의 연출 방식이 본인 작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본인은 도자기 인형을 통해 이 시대에 내재된 정서와 삶의 모습을 바라본다. 본 논문은 현시대의 정서를 나타낸 작품을 논의한 것이며, 지금의 이야기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개인적인 기억과 경험의 편린들을 모으고 확장하여 이 시대의 정서를 담아낼 수 있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계에 대한 이해와 공감, 상상의 장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다발성 중증외상환자

        최지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의 수용 범위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에 대한 대처 방안을 준비하며, 추후 신속진료지침 운영의 효과를 확인하고 진료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근거자료 마련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및 기간은 2006년 6월 12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내원한 다발성 중증외상환자 28명으로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에 내원한 다발성 중증외상환자는 남자가 여자보다 3배 많았고, 20-59세에서 71.4% 발생하였으며, 강동구와 하남시에 거주한 환자는 35.8%였다. 2. 다발성 중증외상환자는 6-12시(39.3%)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12-18(25.0%), 18-24시(21.4%) 0-6(10.7%)순으로 발생하였다. 18∼24시(35.7%)에 가장 많이 내원하였고, 12-18(32.2%), 6-12(21.4%), 0-6(10.7%)순으로 내원하였다. 3.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의 손상 기전은 교통사고(64.3%)가 가장 많았고, 추락(17.9%), 둔상(10.7%), 관통(7.1%)순이었다. 교통사고는 자동차 사고(55.5%)가 가장 많았고, 보행자 사고(33.3%)가 두 번째로 많았다. 4.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의 주진료과는 외과(50.0%), 신경외과(28.6%), 흉부외과(17.9%), 비뇨기과(3.6%)순이었다. 5.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의 평균 재실 시간은 259.8±26.5분이었고, 내원부터 입원장 발부까지 평균 156.4±25.0분이 소요되었으며, 내원부터 수술하기까지 평균 133.2±17.5분이 소요되었다. 6. 다발성 중증외상환가 내원부터 주진료과 담당 의사를 호출하기까지 평균 64.8±7.7 , 후 도착까지 평균 27.8±12.4분, 내원부터 주진료과 담당 의사가 도착하기까지 평균94.1±15.1분이 소요되었다. 7. 다발성 중증외상환자가 내원부터 컴퓨터단층촬영을 처방하기까지 평균 11.9±2.4분, 처방 후 접수까지 평균 25.3±3.6분, 내원부터 검사 완료까지 평균 61.5±25.3분이 소요되었다. 8. 다발성 중증외상환자가 내원부터 영상 중재술을 의뢰하기까지 평균 185.6±33.0분, 의뢰 후 검사실 이송까지 평균 43.2±10.9분이 소요되었으며, 내원부터 시행까지 평균 304.6±26.9분이 소요되었다. 9. 다발성 중증외상환자가 내원부터 농축적혈구를 수혈하기까지 평균 123.9±13.8분이 소요되었고, 신선동결혈장을 수혈하기까지 평균 209.5±29.9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발성 중증외상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속진료지침에 대해 병원 자체적인 교육과 홍보, 그리고 세부적인 내부 지침을 개발하고 주기적인 회의를 통한 정기적인 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추후 다발성 중증외상환자에게 신속한 진료와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었는지 등 신속진료지침 운영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는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ange of Capacity and Characteristics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who visit K.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 Seoul, prepare a plan for the management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check the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guidelines on quick diagnosis and treatment and to prepare the basis of materials that can improve its diagnostic system.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term were 28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June 12, 2006 to December 31, 2014, and a frequency analysis and a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0.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ree times more male than female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visited the emergency room, 71.4% of whom were 20 to 59-year-old, and 35.8% were residing in Gangdong-gu and Hanam-si. 2. Most of the severe multiple traumas occurred to the patients between 6 and 12 o'clock (39.3%), between 12 and 18 (25.0%), between 18 and 24 (21.4%) and between 0 and 6 (10.7%). Most of the patients visited the hospital between 18 and 24 o'clock (35.7%), followed by 12 to 18 o'clock (32.2%), 6 to 12 (21.4%) and 0 to 6 (10.7%). 3. As for the damage mechanisms of the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most were traffic accidents (64.3%), followed by fall (17.9%), blunt trauma (10.7%) and transfixion (7.1%). Most of the traffic accidents were automobile accidents (55.5%) followed by pedestrian accidents (33.3%). 4. Most of the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50.0%), followed by neurosurgery (28.6%), cardiothoracic surgery (17.9%) and urology (3.6%). 5. The average time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stayed in the room was 259.8±26.5, and it took 156.4±25.0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to the issuance of hospitalization sheet, and it took 133.2±17.5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to the operation. 6. It took 64.8±7.7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to the calling of the doctor in charge of the main treatment department, it took 27.8±12.4 min. on average from the calling to the arrival, and it took 94.1±15.1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of the patients to the arrival of the doctor. 7. It took 11.9±2.4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to the prescription of computer tomography (CT), it took 25.3±3.6 min. on average from the prescription to the reception, and it took 61.5±25.3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to the completion of the examination. 8. It took 185.6±33.0 min. on average to the request of radiological intervention from the arrival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took 43.2±10.9 min. on average from the request to their transfer to the examination room, and took 304.6±26.9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to the execution. 9. It took 123.9±13.8 min. on average from the arrival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to the blood transfusion of concentrated red blood cells while it took 209.5±29.9 min. to the blood transfusion of fresh frozen plasma. Based o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the mortality of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who visit an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improve their survival rate, it would be necessary for each hospital to develop its own training and public relations for guidelines on quick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and detailed internal guidelines, and to achieve regular quality control through regular meetings.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continuous follow-up study to check the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guidelines on quick diagnosis and treatment, e.g., whether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have been provided with rapid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