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및 교사의 인식 조사

        최정임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Future talents, who are willing to adapt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able to learn and make good use of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They also need to do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the ability to create new value and self-directed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addition, it will be good for them to have inquiry skills with unlimited imagination. To do so, information education can play a key role for future generations who learn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cience. Moreover, integrating various disciplines makes them better at creative problem solving. Textbooks reflect the i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new content that can develop future talent.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textbooks are appropriately designed to promote computational thinking and inquiry skills. How teachers think of the organization of textbooks also needs to be examined. Thes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improving textbook quality. In this study, several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nhance the quality of the textbooks by suggesting improvements to these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and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procedures were set. Firstly, in eight different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design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unit named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textbooks’ inquiry potential. Secondly, som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these informatics textbooks’ inquiry potential were surveyed. Finally, the inquiry potential of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compared with that of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r this research, out of sixteen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certifi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August 2017, eight textbooks that were frequently chosen and used in classrooms were selected. Romey’s analysis was applied to these eight textbooks whose inquiry potential was analyzed based on four analytical factors: texts, data, activities,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four textbooks out of eight had high indexes of inquiry in terms of texts (0.756, 0.867, 0.727, and 0.611). Secondly, the inquiry indexes were high in four textbooks out of eight in terms of data (1.331, 0.946, 1.133, and 0.986). Thirdly, four textbooks out of eight also showed high indexes of inquiry in terms of activities (0.675, 0.969, 0.514, and 0.627). Lastly, high inquiry indexes were confirmed in all eight textbooks in terms of evaluation (1.35, 0.924, 1.274, 1.333, 0.625, 0.6, 1.483, and 0.764).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inquiry potential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were also examined through a survey. A chapter of the information textbook, called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was mainly dealt with in the survey, and 44 teachers responded. The survey questions with relation to the inquiry potential of this chapter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texts, data, activities, and evaluation, with response options on a 5-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responses received, activities gaine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four areas (3.78), and evaluation scored the lowest (3.63). In terms of the adequacy of the information curriculum, the teachers did not respond positively, ‘moderate’ or ‘below average’. This negative result concerning the curriculum management was found to be due to lack of class hours. In the case of comparing inquiry potential of infor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had more improved inquiry potential elements in terms of analytical factors of texts, data, evaluation than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 inquiry index was also found to be 0.54 in terms of activities. This can suggest that the textbooks based upon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had high inquiry potential, and the textbooks adequately reflected the intention of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umber of informatics textbooks can be considered to be desirable with high inquiry potential. However, information teachers seem to recognize that the textbooks are insufficient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 of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the textbooks have great inquiry potential along with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 it will be essential to actively seek teachers’ opinions on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Effective in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subject of information can enable learners to achieve the core competencies and develop as future talents. For students to do this, informatics textbooks with high inquiry potential need to be designed. In additi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should be required to efficiently manage information classes.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를 수용할 미래 인재는 정보처리기술을 습득하고 바르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가치 창조와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팅 사고력과 무한한 상상력을 요구하는 탐구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 교육을 통해 미래 세대가 정보기술과 컴퓨터과학을 학습하도록 하고,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융합하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한 것으로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새로운 내용을 수용하고 조직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과서가 컴퓨팅 사고력과 탐구력 증진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교과서의 품질 개선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교과서의 탐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과 교사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개선점을 제안함으로써 교과서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절차를 설정하였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정보 교과서 중에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단원에 대한 탐구성을 분석한다. 둘째, 중학교 정보 교사를 대상으로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정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정보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7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으로부터 인정도서로 승인된 중학교 16종의 정보 교과서 중에서 활용 빈도가 높은 8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Romey 분석법을 사용하여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4개 분석요소를 기준으로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정보 교과서 8종의 탐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 분석요소에서는 4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가 각각 0.756, 0.867, 0.727, 0.611로 확인되었다. 자료 분석요소에서는 4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는 각각 1,331, 0.946, 1.133, 0.986으로 확인되었다. 활동 분석요소에서는 4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는 각각 0.675, 0.969, 0.514, 0.627로 확인되었다. 평가 분석요소에서는 8종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구지수는 각각 1.35, 0.924, 1.274, 1.333, 0.625, 0.6, 1.483, 0.764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해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정보 교과서의‘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단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44명의 교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탐구성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문항의 답변은 5점 척도로 조직하였다.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4개 영역 중 활동이 5점 만점에 3.78점으로 가장 높고, 평가가 3.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정보 교과 운영의 적절성에 대한 응답에서는 보통 수준이거나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교과 운영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는 수업시수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과정에 따른 탐구성 비교의 경우,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정보 교과서가 2009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서보다 본문, 자료, 평가 분석요소에서 탐구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 분석요소에서도 탐구지수가 0.54로 확인되어 탐구성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교과서가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 취지를 잘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다수의 정보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바람직한 교과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보 교사들은 교과서가 정보 교과의 핵심역량을 배양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교과의 핵심역량과 함께 탐구성이 높은 교과서가 되기 위해서는 교과서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정보 교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효과적인 정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인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탐구성이 높은 교과서 개발과 함께 정보 교과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 Beethoven Sonata 21번(OP53) 대한 분석과 이해

        최정임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1855

        Beethoven is a typical composer in the 19 century, who developed its early music of the Romantic group as well as an examplary composer of the Classicism. Among a lot of works of his, 32 pieces of piano sonata were known to everybody as an important and excellent works in the history of music. We have found out through piano sonata's analysis that Beethoven had composed a music with his soul by sublimating such as a music with a rigid form and a simple pleasure at that times. So he established a unique style of his own more and more even in a transition period. This paper divided som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into 3 parts according to its period: The first period: Beethoven's young age, the second period: more matureperfect age of works for his originality, the third period: old age of expressing a spiritual sound.

      •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을 중심으로

        최정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많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준거 지향 평가에 대한 것이다. 준거 지향 평가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교수·학습과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1학년도부터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다. 해당 영역의 성취 기준을 개발하기에 앞서 제 7차 과학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여 중학교 과학 1의 성격을 알아보고,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에 대하여 과학과 교육과정과 개정된 7종 교과서 내용의 분석을 통해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6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13개의 필수 학습 요소가 선정되었다.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한 다음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은 탐구(P), 지식(K) 및 태도(A) 세 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개발하였는데, 이 중 탐구(P)영역과 지식(K)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의 하위영역 수준에서 개발하였고, 태도(K)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은 대영역 수준에서 개발하였다, 개발한 성취 기준은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14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19개이다. 개발한 성취 기준을 토대로 하여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평가 기준은 성취 기준에 근거하여 탐구(EP), 지식(EK) 및 태도(EA)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상/중/하 세 수준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기준은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11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16개이다. 마지막으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맞추어 학생들의 실제 성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평가 다양화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수행 평가의 유형들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평가 도구는 상태 변화와 에너지 영역에서 5개(서술형 2개, 토의기록문 1개, 실험보고서 1개, 조사보고서1개), 소화와 순환 영역에서 6개(서술형 2개, 논술형 1개, 개념도 1개, 포트폴리오 1개, 실험보고서 1개)이다. 평가 도구 11개에는 평가 기준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5개이고, 두 개의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3개이며, 세 개의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3개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에 대한 상세화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처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앞으로도 상당히 많은 평가 도구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는 모두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현실적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제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2001년을 시점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서 이 연구의 결과들이 효율적으로 활용된다면 점차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준거 지향 평가가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for criterion - referenced evaluation in the 7th national science 1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e units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Digestion and Circul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1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le as follows : 1. First of all,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carefully analyzed. The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for the units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Digestion and Circulation were determined. Based upon required learning elements in the two units,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detail in terms of the process skill(P), knowledge(K), and attitude(A). It can be an actual guidelin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14 items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19 items in the unit of Digestion and Circulation. 2. Based upon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made. The assessment standards divide students' achievement into three level(high/middle/low) and state each level so that it can guide evaluation of achievement. It was also developed in three areas of EP, EK, and EA.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11 items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17 items in the unit of Digestion and Circulation. 3.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to probe students' achievement level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used rather than multiple choice type. The developed assessment instruments are as follows: 5 items(2 descriptive types, 1 discussion report, 1 lab reports, 1 research project)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6 items(2 descriptive types, 1 essay type, 1 concept map, 1 portfolio, 1 lab report) in the unit of Digestion and Circul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f science teachers us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which a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y can make a lot of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in the unit of Change of state and Energy, Digestion and Circulation. 2. If one assessment instrument is used, its utility will decrease to be hasty.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catch the process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in this study. In spite of the same contents of science 1, science teachers can make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if they change context or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content validity and can be used in the school effectively in the year of 2001.

      • 정신분열병 대상자의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

        최정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heart rate variability of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total 308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satisfied with the selective standards at two hospitals and a sanatorium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y 1, to June 30, 2008. The classification of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non-metabolic syndrome group fall into category of NCEP-ATP III. For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after measuring them in a sitting posture for five minutes. The statistical method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test by SPSS win program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tabolic syndrome was 19.8 percents, while non-metabolic syndrome was 80.2 percents. 2.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showing high LF/HF at the systolic pressure, high HF at triglyceride and low LF at HDL-C of female subjects in the total subjects with schizophrenia(t=2.14, p=.037; t=1.988, p=.048; t=-2.162, p=.033). 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SDNN in the waist measurement of male with metabolic syndrome among schizophrenic patients(t=-2.165, p=.036). 4.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non-metabolic syndrome group in heart rate variability but it appeared to be partially reduced in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대상자의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사증후군 이환여부가 심박동수 변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5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2개의 병원과 1개의 요양원에 입원하여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만족하는 308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집단과 비대사증후군 집단의 분류는 NCEP-ATP Ⅲ의 범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였다. 심박동수 변이의 측정은 5분 동안 앉은 자세에서 시행한 후 시간과 주파수 범위 분석으로 자료를 얻어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SPSS win program 15.0을 사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사증후군은 19.8%, 비대사증후군은 80.2%로 나타났다. 2. 정신분열병 대상자 전체 수를 살펴보면 수축기압에서 LF/HF이 높았고, 중성지방은 HF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 대상자의 HDL-C에서는 LF가 낮게 나타나 이들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4, p=.037; t=1.988, p=.048; t=-2.162, p=.033). 3. 정신분열병 대상자 중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에서 남성의 허리둘레가 SDNN, RMSSD, LF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SDNN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165, p=.036). 또한 남성의 HDL-C에서 LF가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평균치가 높게 나타나,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에서 대사증후군 집단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부분적으로 심박동수 변이의 감소가 나타났다.

      •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 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연구 : 수술실과 중환자실 중심으로

        최정임 가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일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를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6년 2월 15일부터 2월 29일까지 B광역시에 위치하는 200-300병상 종합병원 수술실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에 대해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한은옥(2009)이 개발한 방사선 방어 지식, 태도 및 행위 도구를 수정 · 보완한 것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또는 one-way ANOVA, 사후 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에서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 72.9%였다. 방사선 피폭에 대한 불안감은 75.8%이었고, 방사선 방어 용구는 77.1%만이 사용하고 있으며, 방어용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착용할 시간이 없어서’가 56.3%로 나타났고, ‘방어 용구가 없어서’가 21.3%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점수는 14점 만점에 평균이 9.21점으로 성별(t=2.60, p=.010), 학력(F=3.10, p=.047), 근무부서(t=6.00, p<.001), 직위(F=6.41, p=.002),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t=-5.6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 부서에서는 수술실 간호사는 중환자실 간호사보다 지식 점수가 높았으며, 방사선 안전 교육 여부에서는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받지 않은 간호사 보다 지식 점수가 높았다. 셋째,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태도 점수는 45점 만점에 평균 41.80점으로, 근무부서(t=3.21, p=.002)와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t=0.02, p=.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 부서에서는 수술실 간호사는 중환자실 간호사 보다 태도 점수가 높았으며, 방사선 안전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받지 않은 간호사 보다 태도 점수가 낮았다. 넷째,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행위 점수는 50점 만점에 평균 32.57점이었다. 방사선 방어에 대한 행위 점수는 성별(t=4.80, p<.001), 근무 부서(t=3.67, p<.001), 근무기간(F=3.69, p=.006),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t=0.35, p=.001)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근무부서에서는 수술실 간호사가 중환자실 간호사보다 행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에서는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받지 않은 간호사보다 행위 점수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간호사들은 방사선 방어에 대한 안전교육을 27.1%만 받았으며, 방사선 피폭에 대한 불안감은 높으며, 방사선 방어 용구는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사선 방어 지식과 행위 점수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 방어 지식의 향상과 행위 증진을 위한 교육과 방사선 방어 관리 및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examined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the radiation protection of the nurses who work in some hospita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40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and intensive care units of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Date were collected from Feb. 15 to Feb. 29, 2016. The instruments which Eun-ok Han developed to measur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for radiation protection in 2007 were modified and improved, and then used after reviewing the validation evalu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for Windows 22.0 and were calculate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2.9% of the nurses had never been educated for radiation safety. 75.8% of the nurses be anxious radiation exposure. only 77.1% of the nurses is used radiation shielding. The reason why not use the radiation shielding is ‘busy with work(77.7%), lack of shielding(21.3%). Second, the mean score of knowledge for radiation protection was 9.21(out of 14). The knowledge score of radiation safety educated nurses is higher than uneducated of nurses(t=-5.67, p<.001). The mean score of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is higher than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t=6.00, p<.001). Third,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s radiation protection was 41.80 (out of 45). The attitude score of radiation safety educated nurses is lower than uneducated of nurses(t=0.02, p<.030). The mean score of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is higher than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t=3.21, p<.002). Fourth, the mean score of behavior for radiation protection was 32.57 (out of 50). The behavior score of radiation safety educated nurses is higher than uneducated of nurses(t=0.35, p=.001). The mean score of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is higher than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t=3.67, p<.001).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nurses had lack of the radiation safety education, radiation shielding is shortfall. Overall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s radiation protection wa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radiation protection and to educate, manage, and improve processes to increasing compliance with protective measures against radiation

      • 『三才圖會』와 朝鮮後期 繪畵

        최정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中國 明 萬曆年間(1573∼1619) 金陵(南京)에서 간행된 圖說百科事典인 『三才圖會』와 17세기 이후 조선시대 繪畵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三才圖會』는 松江 출신 王圻와 그의 아들 王思義에 의해 天文, 地理, 人物로 엮어져 1607년에 제작되었다. 그 후 1609년에 王思義가 11개 항목을 증보하여 『三才圖會』 續集을 간행하였다. 『三才圖會』가 조선시대 유입되었음을 보여주는 문헌상의 이른 기록은 『芝奉類說』(1614)의 「地理部」와 「經書部」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저서는 李수光이 저술한 것으로 인용된 내용을 통하여 당시 續集이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의 『三才圖會』를 언급한 문헌으로 肅宗朝의 『朝鮮王朝實錄』, 李瀷(1681∼1763)의 『星湖僿說』, 徐有구(1764∼1845)의 『林園經濟志』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三才圖會』가 17세기 초 유입된 이후 18, 19세기까지 꾸준히 읽혀졌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 첫 번째로 『三才圖會』의 제작배경과 문헌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繪畵와의 관련성이 보이는 「地理卷」, 「人物卷」, 「人事卷」에 수록된 삽도들의 내용과 구성 체제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앞서 살펴본 사항들을 토대로 17세기 이후 조선시대 회화와의 관련성을 「地理卷」, 「人物卷」, 「人事卷」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규명하고자 하였다. 『三才圖會』는 天文, 地理, 人物, 時令, 宮室, 器用, 身體, 衣服, 人事, 儀制, 珍寶, 文史, 鳥獸, 草木 등 총 14개 항목에 106권으로 이루어졌다. 즉 天·地·人을 기본으로 하여 인간의 삶과 관련된 衣食住와 자연 만물에 이르는 총제적인 지식을 그림과 글로 수록하였다. 이와 같이 그림을 앞에 싣고 글을 뒤에 첨부하는 백과사전의 형태를 圖說百科事典이라 한다. 기본적으로 『三才圖會』는 中國 周나라 『爾雅』로부터 시작된 類書의 역사를 따르고 있으나 이러한 圖說百科事典의 성격은 元代의 『事林廣記』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元代의 『事林廣記』나 明代 『圖書編』 등에 수록된 삽도는 정교하거나 풍부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三才圖會』는 다양하고 비교적 정교한 삽도들이 실렸는데 이는 編者였던 王氏 父子의 제작의도와 관련이 있다. 王圻는 御使에 까지 올랐던 학자로 말년까지 저술을 일삼았고 그의 아들 역시 일찍이 관직의 길을 포기하고 저술과 학문에 전념하였다. 序文에서 알 수 있듯이 王氏 父子는 '河圖洛書' 이후 역사 속에서 소외되었던 그림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었다. 따라서 그림의 效用性과 敎育性을 구현하고자 圖說式으로 구성된 『三才圖會』를 편찬하였다. 『三才圖會』의 14개 항목 가운데 「地理卷」과 「入物卷」 그리고 「入事卷」에서 보다 많은 회화적 성격을 찾을 수 있었다. 그 가운데 「人物卷」 과 「入事卷」의 삽도는 각각 微派 판화인 洪應明의 『洪氏仙佛奇踪』 (1602)과 金陵派 판화인 周履靖의 『夷門廣牘』(1598)을 인용한 것으로 당시 江南에서 제작된 板刻本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地理卷」의 名山大川圖는 中國의 華北지방에서 華南지방까지 각 주요 省에 소재하는 名勝名所를 담은 실경삽도이다. 이러한 실경삽도는 이후 『海內奇觀』(1609)에 일부 차용되었으며 「地理卷」의 구성체제는 이후 明末淸初에 제작된 실경산수판화의 선례가 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人物卷」의 佛祖圖像은 釋迦牟尼의 正法을 이어받은 직계제자의 계보인 33祖師와 18羅漢, 포대화상과 관음상으로 이루어져있다. 神仙圖像의 경우 老子로부터 시작되는 63명의 신선들과 도교관련 여러 도상들을 포함하였다. 이 도상들은 일부 『洪氏仙佛奇踪』에서 차용해왔으나 전체적인 구성은 編者의 의도에 따라 새롭게 편집되었다. 또한 「地理卷」과 마찬가지로 「人物卷」의 佛祖·神仙圖像에서 또한 그림과 원문과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人事卷」의 《畵竹圖》, 《畵梅圖》, 《畵蘭圖》, 《寫翎毛圖》 등의 삽도들은 周履靖의 판각본을 전부 인용하였다. 이는 각각 竹, 梅, 蘭, 翎毛를 그리는 법식을 소개한 것이다. 그 수록체제는 세부표현으로부터 시작하여 전체적인 화면 구성을 이루는 畵法을 단계별로 소개하였다. 이 항목 또한 앞에서 살펴본 삽도들과 같이 중국 역대 회화와의 관련성을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三才圖會』의 삽도들은 17세기 이후 조선시대 회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7세기에 가장 이른 예가 종실출신인 李霆의 <墨竹圖>(1622)이다. 이후 그의 조카 金世祿의 《竹譜》, 吳達濟와 金明國의 墨梅圖. 趙涑의 花鳥畵 등에서 「入事卷」과의 연관성이 살펴졌다. 이후 17세기 종반 이후 화원화가인 韓時覺과 曺世杰의 實景山水畵에서 「地理卷」의 영향관계가 파악되었다. 또한 17세기 말, 18세기 초에 걸쳐서는 南人이었던 海南尹氏 가문의 도석인물화에서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尹德熙의 친척이었던 息山 李萬敷(1664∼1732)의 『坐觀荒紘』에서는 「地理卷」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파악되었다. 18세기에 들어서면 書材나 화가계층에 있어 보다 영향관계가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人物卷」의 佛祖圖像은 18세기 全南의 사찰에서 확실한 영향관계가 보였으며 神仙圖像은 金德成과 金弘道 등의 도석인물화에서 관련성이 간취되었다. 또한 「人事卷」과의 관련성은 柳德章, 姜世晃, 林熙之, 劉淑 등의 작품들에서 살펴보았다. 끝으로 19세기에 이르면 「地理卷」의 영향은 점차 사라져가고 「人物卷」의 佛祖, 神仙圖像과 「人事卷」의 사군자류 등의 영향관계가 살펴졌다. 이와 같이 「地理卷」의 영향은 17세기의 다른 산수판화들로 인하여 그 영향관계가 지속되지 않은 반면에 「人物卷」과 「人事卷」은 불교화사와 화원화가, 사대부 여기화가들에 의하여 19세기 조선말까지 지속적으로 참고했음을 알 수 있었다. 살펴본 바와 같이 『三才圖會』는 17세기 초 유입된 후 왕실과 사대부들에게 전해졌으며 17세기 중기 이후 李瀷과 같은 近畿南人界 실학자들에게 중국을 이해하는 주요한 문헌으로 읽혀졌다. 이후 널리 파급되면서 문인화가를 비롯하여 화원화가와 佛敎畵師에게 열람되었고 19세기 중인들에게까지 전해지면서 다양한 畵材들이 응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三才圖會』는 17세기 이후 조선화단에 유입된 『顧氏歷代名公畵譜』, 『唐詩畵譜』, 『十竹齋書畵譜』, 『芥子園畵傳』 등과 같은 畵譜는 아니었다. 그러나 『三才圖會』의 다양하고 풍부한 삽도들은 畵譜와 같이 열람되었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朝鮮時代 繪 가 중국의 다양한 문헌을 통하여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화풍을 형성해갔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study of after 17th century paintings of Joseon Dynasty, which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Chinese encyclopedia with visual effects, San-ts´ai t´u-hui『三才圖會』. It was published in a period of Wa´nli(萬曆年間:1573~1619). The first edition of San-ts´ai t´u-hui was published by Wa´ng Qi(王圻) and his son, Wa´ng Si-yi(王思義), in 1607. The focuses were in 3 categories, Heaven, Earth, and Man. Thereafter, Wa´ng Si-yi expanded the categories to 11 subjects and republished the second edition of San-ts´ai t´u-hui in 1609. During the 17th century in Joseon, the introduction of San-ts´ai t´u-hui was found in Ji-bong Yoo-seol『芝峯類說』 published in 1614. The publisher of Ji-bong Yoo-seol, Lee Soo-kwang, has adopted a style of San-ts´ai t´u-hui and used in his publication. Its influence was found in the chapters of Ji-lee-bu「地理部」, and Kyeoung-seo-bu 『經書部』. Moreover, the evidence of San-ts´ai t´u-hui can be found in the royal record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eong-ho-sa-seol『星湖僿說』, Lee Yik 李瀷(1681-1763); and Lim-won-kyeoung-jae-ji『林園經濟志』, Seo Yoo-ku徐有矩 (1764-1845). Thus, these evidences point to the direction where San-ts´ai t´u-hui was first introduced in early 17th century and it continuously influenced the publications in Joseon until 19th century. First, I will analyze the background and its characteristics as a scholarly work. Second, I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illustrations in the book of Earth「地理卷」, Man「人物卷」, and Human Affairs「人事卷」. Finally, to prov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San-ts´ai t'u-hui after the 17th century in joseon arts, I will layout the detail correlations in 3 categories that I'm going to analyze in the book of Earth, Man, and Human Affairs. San-ts´ai t´u-hui consists of 14 categories, Heaven, Earth, an, Season, House, Tool, Body, Clothes, Human Affairs, Ceremony, Valuables, Literature and History, Birds and Beasts, and Plants. The sum of 106 books makes up San-ts´ai t´u-hui. Its core concentrations were in Heaven, Earth and Man. It also focused on a common lifestyle, basic needs, and the paintings of natural harmony. San-ts´ t´u-hui was developed from the Zho ̄u Dynasty e˘r-ya ̄『爾雅』. However, the closest publication style can be found in Yua´n Dynasty's Shi-lin-gua˘ng-ji 『事林廣記』. The publication was illustrated with the collection of art piece and followed by the descriptions. This style was called the "encyclopedia with visual effects." Although Yua´n Dynasty's Shi-lin-gua˘ng-ji and Ming Dynasty's Tu´-shu ̄-bia ̄n 『圖書編』 were using the encyclopedia with visual effects, these weren't as elaborate and resourceful as Sun-ts´ui t´u-hui, Wa´ng Qi and his son, Wa´ng Si-yi, had a vision of Sun-ts´ai t´u-hui in their early career. Wa´ng Qi was a royal inspector and scholar who devoted his lifetime publishing San-ts´ai t´u-hui. His son, Wa´ng Si-yi, dedicated his work in Sun-ts´ai t´u-hui without seeking an official position in government. They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the art works that can be used as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 They also wanted to prevent them from hidden in the historic contents after He´-tu´-luo`-shu ̄(河圖洛書). Among 14 categories in Sun-ts´ai t´u-hui, the book of Earth 「地理卷」, Man「人物卷」, and Human Affairs 「人事卷」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Moreover, various paintings were exhibited in the book of Man 「人物卷」, and Human Affairs 「人事卷」, which were found in Chinese's Hul-pa ̄ printing(徽派版畵)(Ho´ng ying-ming´s 洪應明, Ho´ng-shi-xia ̄n-fo´-qi-zo ̄ng 『洪氏仙佛奇踪』and jinling-pa ̄ printing(金陵派版畵) ( Zhou - lu˘- jing's 周履靖, Yi-me´n-gua˘ng-du´ 『夷門廣牘』. These printings were made in the south region of China. In the chapter of the book of Earth 「地理卷」, Landscape of Splendid Mountains and Rivers, 名山大川圖, exhibited all part of Chinese provinces´ sceneries and famous localities. The paintings of sceneries and famous localities were called Myeon-seung myeong-so do(scenery and celebrated locality printings, 名勝名所圖). It had become a foundation for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s Myeon-seung myeong-so do. The book of Man 「人物卷」 featured two well-known sculptures, Buddhist and Taoism. Buddhist sculpture consisted of Buddha and his 33 immediate followers and 18 Lohans. Taoism displayed Laozi and 62 other enlightened ones. These two sculptures were part of-illustration in Ho´ng-shi-xia ̄n-fo´-qi-zo ̄ng『洪氏仙佛奇踪』; however, these were only used in the broader context of publisher's framework. The layout of the book of Man 「人物卷」 reaffirmed its publication style, encyclopedia with visual effects, and shares the similarity with the book of Earth 「地理卷」. The publishing technique of the book of Human Affairs 「人事卷」 used Zhou-lu˘-jing´s printing method to exhibit Bamboo, Orchid, Plum, and Flower and Bird drawings. Along with these visual exhibitions, the book illustrated the details of drawing rules and the steps that need to follow. This feature also displayed an evidence of strong tie among many Chinese paintings. The exhibitions in Sun-ts´ai t´u-hui played a significant rolls after the 17th century in Joseon arts. Exemplary Bamboo drawing by a Duke of Joseon (Rhee Jung 李霆, 1622) illustrated an influential relationship of Human Affairs. Furthermore, the Bamboo drawing by Kim Se-roc金世祿, Orchid drawing by Oh Dar-jea吳澾濟 and Kim Myeong-kuk金明國, and Flower drawing by Cho Soek趙涑. are the additional proofs and it shows a strong correlation. In the mid of 17th century, the paintings of sceneries and famous localities, Sil-kung sap-do(實景揷圖), were found in the work of two Joseon´s court painters, Han Si-kuk韓詩覺 and Cho Se-keol曺世杰. Additionally, during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the painting of Buddhist and Taoist by Yoon´s family and the publication, Jwa-gwan-hwang-gheing『坐觀莞宏』, by Rhee Man-Boo李萬敷 exhibited a direct-link of Sun-ts´ai t´u-hui's influence that was exhibited in the book of Earth 「地理卷」. In the beginning of 18th century, the expanding influences were found among artists and expanded through all levels of art topics. The influence of book of Man 「人物卷」 was found in work of Buddhist temples, concentrated in southern Chul-Ra全羅南道 and another strong connection was observed in the Taoist paintings by Kim Deok-Seong金德成 and Kim Hong-do 金弘道. At the same time, the features exhibited in the book of Human Affairs ,「人事卷」 were found in various art works from Yoo Deok-jhang 柳德章, Kang Se-hwang姜世晃, Lim Hee-ji林熙之, and Yoo Sook劉淑. However, the 19th century art works were showing a weakening influence of the book of Earth 「地理卷」 because its replacement of popularity by other prints emerged in 17th century. Nonetheless, the characteristics of book of Man 「人物卷」 particularly Buddhist and Taoist painting 道釋人物畵, and Human Affairs 「人事卷」, the Four Gracious Plants四君子, continuously cherished by the group of Joseon artists like, Buddhists, professional artists, and elite scholars until late 19th century. In conclusion, Sun-ts´ai t´u-hui was first adapted by the members of royal families and the group of elite scholars during the mid of 17th century. Lee Yik李瀷 who was a leader of elite scholars group-Southern Party, and a realist used San-ts´ai t´u-hui as a learning material about the Chinese cultural and customs. Thereafter, it rapidly expanded to the group of literary artists, court painters, and Buddhist artists. In the 19th century, its influence was reached down to people and used in various art works. San-ts´ai t´u-hui had clear distinction among other publications that were introduced in the later 17th century, such as Ku-shih hua-p´o( 顧氏畵譜 ), Ta'ng - shi-hua-pu 『唐詩畵譜』, shi-zhu´-ji-shu ̄-hua-pu『十竹薺書畵譜』Chieh-tzu-yuan-hua-chuan 『芥子園畵傳』. Although, these publications weren't sharing the exact ~ characteristics of San-ts´ai t´u-hui but they have exhibited abundant resources that were studied by various group of people. Surely, the art of Joseon had enormous influence by the Chinese publications, however, through these studies, the art of Joseon establised its unique art form.

      • 유방암 환자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최정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 여성의 유방암은 1999-2001년까지의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암 발생 중 2위의 암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증가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유방암의 주요 위험요인은 호르몬 관련 인자이고 식이는 환경적 요인 중의 하나로서 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연구 결과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는 새로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유방암 관련 요인, 영양소 섭취량, 식습관 그리고 영양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 산과적 특성, 평소 식사 섭취량, 식습관, 혈액 성상 등을 조사하여 이들과 연령대가 동일하고 사회 경제적 요인이 비슷한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여성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수술 전후 영양상태의 변화와 영양소 섭취량에 대해 조사하고 여기에 유방암 교육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특성과 초경, 임신, 수유, 폐경, 경구피임약 사용, 호르몬 대체요법, 운동, 알코올 섭취 등 유방암 관련 요인에 있어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평소 식습관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식사의 규칙성, 아침 식사의 섭취여부, 매일 유제품의 섭취여부에 있어서는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점수가 낮았다. 혈액 성상 비교결과에서 환자군은 빈혈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유방암 환자의 경우 수술 후 빈혈이 심화되었고 총단백질, 알부민 등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아져 전체적으로 영양상태가 악화되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소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일 권장량에 대한 섭취율은 에너지와 아연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 있어 권장량의 90%를 초과하여 비교적 양호하였다. 에너지와 아연 섭취는 각각 환자군은 권장량의 78%, 대조군은 권장량의 77%를 섭취하였다.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서는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 있어 권장량을 충족하였다. 에너지는 권장량의 83%수준을 섭취하였다. 수술 후 유방암 교육에 참여했던 환자들의 경우 불참자에 비해 동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지방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상태가 더 양호하였다. 반면 이들의 평소 식습관 점수는 불참자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여 주어 이는 유방암 교육의 효과로 판단되었다. 결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 일반적 특성, 유방암 관련요인, 식습관,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가 수술 후 영양상태가 악화되고 유방암 교육을 통해 섭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유방암이 식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유방암 환자의 치료 단계에 따라 또는 치료 후 재발 방지를 위해 영양적으로 어떤 중재가 필요한지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ssess diet, nutritional status and the effect of education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were 22 breast cancer patients(case) who newly identified and 22 healthy women(control)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General characteristics, reproductive factors, dietary habits, food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blood index were studied by personal interview and using medical records. Of breast cancer ris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se and the control. Of usual dietary habit scores, meal regularity, intake of breakfast, intake of milk and dairy produc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 than in control. Of biochemical parameters, hematocrit level of case was below the normal value. The levels of hemoglobin, hematocrit,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cancer operation. Therefore anemia was severed and nutritional status assessed by blood composition seemed to be marginal in breast cancer patients. Of usual nutrients intak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se and the control. Mean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calorie and zinc exceeded 90% of RDA for adult women. The energy and zinc intakes were 78% of RDA in case and 77% of RDA in control, respectively. Some of breast cancer patients attended the breast cancer education program after operation. They were indicated as the 'education group'(EG) and the others indicated as the 'none education group'(NG). Of postoperative nutrients intakes, mean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calorie exceeded 100% of RDA. The energy intake was 83% of RDA. EG's animal protein and animal fat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G's. But EG's usual dietary habit score was lower than NG's score. This result showed the positive effect of education for the breast cancer. In conclusion, further study with more number of subjects should be need to evaluate the breast cancer risk. As for effective prevention & management of breast cancer, it is required to education of diet and life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