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비행의 관계

        최영수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investigation's purpose is a positive searching examination that youth's participation for sports activity influences delinquency of them or not, after lightening up the different meaning between themselves. To achieve this goal, preferentially, this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a population, concluded middle and high school pupils, in North Cholla province, secondly, we selected two classes per a school among the twelve schools unconditionally and then, finally, we recruited whole 340 people, considered sex distribution. We used questionnaires to collect materials and it's analysis contained questionnaire's reliance degree identification frequency, Chi-square, one-way ANOVA. analysis of covariance and a standard multiple regqression. Throughly this investigation's way and procedure we earned conclusion after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themselves. Firstly, this investigation has the difference of youth's delinquency degree partly according to four elements in vital statistics. Especially, male pupil's home, school, social life's delinquency degree is higher than female's and high school pupils have more emotions than middle school's. Secondly, it's different for them to participate sports activity to the youth's delinquency degree. Particulary, youths, participating sports activity, have less delinquency experience and degree of social life's delinuency than other's. Thirdly,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ports activity don't influence the delinquency of youths.

      • 자아 치유로서의 상징적 표현 연구 :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최영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자는, 어린 시절 불우했던 가정환경에서 비롯된 사회적 차별의 상처로 인해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회피하는 과정에서 미성숙・신경증적 ‘자아 방어기제’를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며 지냈다. 상처의 아픔들을 억누르며 생활하던 중 미술 활동을 통해 불안증세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를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다. 본 연구의 시작은, 연구자가 어린 시절에 겪었던 상처(트라우마)와 스스로에 대한 치유, 즉 ‘자기 치유 및 자아의 통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방어기제’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함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의 작품 연구와 창작행위의 중심적 어휘는 ‘방어기제’가 되었으며, ‘방어기제의 상징화’는 본 연구의 핵심이 되었다. 이 상징화는 곧, 연구자의 심리와 자아를 상징적 표상으로 전치(轉置)시키는 무의식적 방어기제이자 조형 언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본인이 어린 시절에 사용했던 방어기제가 무엇이었는지 그 개념을 파악했고, 방어기제와 치유와의 관계를 탐구하여 그 안에 내재하는 심리적・조형적 특성을 분석・추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가시(thorn)의 형상을 작품에 활용하게 되었는데, 뾰족한 가시의 형상이 마치 타인과의 관계로부터 육체적・정신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공격적인 성향을 내뿜는 미성숙한 방어기제의 행위와 유사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작품 제작의 기법은 블로잉(blowing)과 콜드워킹(cold working)을 사용하였다. 블로잉 기법으로는 미성숙한 방어기제에서 보이는 ‘갇혀 있는 공간’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콜드워킹 기법으로는 타인에게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는 날카로운 가시의 형상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어기제의 상징화를 통해 연구자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자아의 평정과 심상을 정화시키고자 하는 데에 두었으며, 아울러 본 작품을 관조하는 이들로 하여금 내면세계의 감정과 정서를 순화시킬 수 있는 동기 유발의 매개체가 되도록 하는 데에 부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처를 감추려 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더 강하게 표출하려고 하는 본인의 모습을 자각하게 되면서 스스로의 심리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지난날의 상처(트라우마)를 떠올리며 창작을 하고자 하는 것은 한편으론 스트레스를 받는 일일 수도 있지만, 역설적으로는 곧 창작 활동의 동기 및 의욕이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내적 자아의 평정과 심상의 정화에 이르고자 하는 무의식적 조형 행위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작품 연구의 결과, 밀도 있는 상징적 조형 표현이나 의도 전달에 있어서 많은 아쉬움과 미흡함이 있지만, 본 연구가 자아의 평정과 심상의 정화를 찾고자 하는 내면의 동기에서 출발한 만큼 소기의 목적은 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향후 더 폭넓은 조형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두고 싶다. In the process of avoid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due to the wounds of social discrimination stemming from an unfortunate childhood background, I unconsciously used immature and neurotic "ego-defense mechanisms." For a while, I learned to suppress the pain of the wounds, and then I found a way to solve anxiety symptoms through art activities, which freed me from the fear of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study originated from my desire to understand “defense mechanisms” in depth based on my childhood experience (trauma) and healing experience, that is, “self-healing and self-control.” Therefore, the central vocabulary of my work research and act of creation is “defense mechanism,” and the core of this study is “symbolization of defense mechanisms.” Symbolization can be seen as an unconscious defense mechanism and formative language that displaces the psychology and ego into a symbolic representation. For this study, I first identified the concept of the defense mechanism used in my childhoo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fense mechanism and healing, and analyzed and extracted the psych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herent within the defense mechanism. As a result, I used the shape of a thorn in the work, judging that the shape of a sharp thorn is similar to the immature defense mechanism that shows aggression to physically and mentally protect the self from relationships with others. Blowing and cold working techniques were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blowing, the “space of confinement” seen in the immature defense mechanism was expressed, and the shape of a sharp thorn implying one’s aggression to others was displayed through cold working.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olve my psychological anxiety, gain self-composure, and purify the mind through the symbolization of defense mechanisms. The secondary purpose was to serve as a medium of motivation for those who contemplate on my work to purify their internal emotions and feeling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research work, I was able to grasp my psychological state in detail as I became aware of myself intentionally expressing the wounds more strongly, instead of trying to hide them. Th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 work while recalling the wounds of the past (trauma) may be stressful, paradoxically, it means that the wounds become the motivation and drive for creative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unconscious formative act striving to reach inner self-composure and mental purification. In result, though there are many regrets and inadequacies in expressing dense symbolic formations or conveying intentions, the desired purpose has been achieved, a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nner motive to find self-composure and mental purifi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s futur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re extensive formative expressions.

      • 괴각(Sophorae fructus) 추출물이 흰쥐의 항산화 활성 및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崔榮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래 들어 우리나라는 서구화에 따른 식습관의 변화로 고지혈증에 기인하는 순환기계 질환의 사망률 증가를 유발하고 있으며 더불어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률의 급격한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많은 만성질환들은 특히 동물성 지방의 과다섭취로 인하여 동맥경화(atherosclerosis),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고혈압(hypertension) 등과 같은 혈관순환계 질환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질환들에 미치는 활성산소 및 지질변화에 대해서 본 실험에서는 괴각(Sophrae fructus)으로부터 추출한 물이 지질대사와 항산화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하여 4주령의 sprague-dawley rat(S.D.)에 추출물 식이를 0.5% 수준으로 4주간 급여한 후 활성산소 및 항산화, 혈중 지질농도를 측정하였다. 2주에 한번씩 활성산소 및 항산화를 측정하였는데 괴각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항산화 능력이 높아졌으며 활성산소는 대조군과 같이 둘 다 생기지 않았다. 4주간 식이 섭취가 끝난 후 단두 도살하여 장기를 적출하였으며 혈액을 체취해 원심분리 후 혈청을 이용하여 혈액내 지질을 분석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괴각 추출물 급여군은 HDL-cholesterol이 높았으며 total cholesterol의 양은 현저히 줄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괴각 추출물을 S.D.에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항산화 활성 및 혈청의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앞으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활성산소 억제 및 지질대사 개선에 기능성을 갖는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며 향후에 단일 활성 분리 및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on antioxidative potential, free radical generation and the lipid levels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2 groups either AIN-76 diet (control group) or modified AIN-76 diet with 0.5% Sophorae fructus extracts for 4 weeks. The result are as follow; 1. The analyzing result of general composition, Sophorae fructus extract by freeze dry contains moisture (13.8%), carbohydrate (65.5%), ash (4.5%), crude protein (14.1%), crude lipid (2.1%). 2. The analyzing result of dietary fiber for Sophorae fructus extract, the contents of soluble and insoluble fiber were 8.93%, and 0.94%, respectively. 3. The analyzing result of the amino acid for Sophorae fructus extract showed that asparagine (1438.95 ㎎/100g), threonine (229.94 ㎎/100g), serine (199.45 ㎎/100g), glutamine (569.19 ㎎/100g), proline (408.24 ㎎/100g), glycine (288.97 ㎎/100g), alanine (301.97 ㎎/100g), cysteine (18.65 ㎎/100g), valine (389.51 ㎎/100g), methionine (35.93 ㎎/100g), isoleucine (225.43 ㎎/100g), leucine (373.92 ㎎/100g), tyrosine (1414.91 ㎎/100g), phenylalanine (265.67 ㎎/100g), histidine (417.97 ㎎/100g), trytophane (66.29 ㎎/100g), lysine (306.25 ㎎/100g), arginine (578.19 ㎎/100g). 4. The analyzing result of mineral for Sophorae fructs extract, the content of calcium is 457.6 ㎎/100g, magnesium 197.3 ㎎/100g, sodium 35.7 ㎎/100g, potassium 1,324.6 ㎎/100g, phosphorus 256.8 ㎎/100g, iron 16.4 ㎎/100g, zinc 2.79 ㎎/100g, copper 0.97 ㎎/100g, manganese 1.56 ㎎/100g. 5. The analyzing result of antioxidant vitamin and β-carotene for Sophorae fructus extract, the content of vitamin C, niacin, vitamin B6, vitamin B2, vitamin B1 and β-carotene were 24,224.5 ppm, 536.8 ppm, 734.8 ppm, 1,138.4 ppm, 599.4 ppm and 0.7 ppm, respectivley. 6.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Antioxidative potential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fed Sophorae fructus extracts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free radical generation was no differences in both groups. 7. Organs weight(heart, kidney, liver, spleen) in rats were not differences in both groups. 8. Total cholesterol level in Sophorae fructus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 compared to control group.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Sophorae fructu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Serum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Sophorae fructus group were no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Sophorae fructus extracts may contribute to beneficial effects of antioxidantive potential and lipid levels in rats.

      • 비대칭 방향성 결합기 설계를 위한 결합선로 파라미터 추출 연구

        최영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비대칭 방향성 결합기 설계를 위한 결합선로 파라미터 추출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비대칭 방향성 결합기에 대한 특성 파라미터 추출 유도 하는 방법으로 시작하여 EM시뮬레이션과 서킷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출하는 방법, 1:j Transformer de-embedding Techque를 이용하여 디임베딩하는 방법, EM 시뮬레이션에서 Wave Port와 Lumped Port의 위상 차이를 제안 하였다. 현재에는 시뮬레이션의 결과까지만 기록을 하였지만 향후 더 나아가 실제 제작을 하여 각각의 측정을 통해 디임베딩을 실시하여 결과가 용이함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설비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한 경영효과 분석

        최영수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의 무한경쟁하의 기업환경에서 경쟁우위를 달성하기 위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이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두되고 있다. 설비관리는 제조업에서 원 재료비, 인건비 다음의 큰 비용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달성하는데 설비관리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은 설비관리 수준의 고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달성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개선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런 개선활동의 결과를 측정하고 지표화하는 표준이 없어 동일한 결과에 대해서 각 업무단위 별로 측정하는 평가가 상이하며, 실제 현장 업무담당자들이 내리는 평가와 서로 상이한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비관리 수준의 진단을 위하여 기존 문헌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프레임 워크의 구성항목을 도출하고, 이렇게 도출된 구성항목들이 기업의 설비관리 고도화 수준을 표현 할 수 있는 설비관리고도화 수준 진단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각 구성항목들을 검증하고자 한다. 설비관리 고도화 수준 진단 프레임워크는 표준 프로세스, 지표개선 그리고 재무이익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 프로세스는 혁신 업무의 성과를 반영하는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표개선은 현장 업무 담당부서의 성과지표를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재무이익은 기업전체의 재무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설비관리 고도화 수준 진단 프레임워크는 설비관리 고도화 수준의 진단과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기업이 설비관리 고도화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행착오와 비용을 최소화하며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노인 일자리’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대전광역시 ‘노인 일자리’ 참여자를 대상으로

        최영수 우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일자리 관련 참여 특성, 일자리 참여 효과 및 만족도, 일자리 희망욕구 등을 가지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여 일자리 참여 통하여 가치 있는 노년의 삶을 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136명 이었으며,이 들을 대상에 대하여 2007년 11월 6일부터 2007년 11월 23일까지 일자리 사업장․00시니어클럽․00구 시니어클럽․00노인복지관을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존중감에 전체 평균은 25.18로 나타났으며,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의 평균이 3.18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3.14),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3.03),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2.89)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의 평균은 2.75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일자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는 조사대상자의 자녀수와 참여 일자리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과 연령별, 학력별, 종교, 배우자관계, 동거가족 수에 따른 차이는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자리 참여자의 자녀수에 다른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수가 4명인 경우의 평균은 27.63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명인 경우의 22.60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나 자녀수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1) 4. 일자리 참여유형에 따른 공익 형, 교육형, 인력파견 형 일자리의 평균은 28.21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시장 형, 자립형 일자리의 평균은 24.46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나 참여일자리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1) 6. 일자리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 일자리에 참여하게 된 가장 큰 이유와 참여경로, 가까운 친구(친지)의 참여 호응도에 따른 차이는 유의수준에서 모두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라서 일자리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 일자리 참여자의 사회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는 희망 일자리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일자리 참여전의 활동과 일자리 참여로 인한 가족 및 사회관계의 변화정도의 차이는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일자리는 공익강사의 평균이 31.57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비, 단속, 감시원은 평균은 22.14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나 희망일자리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 중 조사에 응한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여자노인이 (61.7%), 남자노인(38.3%)로 여자노인이 남자노인 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별 분포의 경우 66-70대 연령 군노인 비율이(43.6%), 65세 이하 연령 군노인 비율이(37.6%), 71세 이상 연령 군 노인이(18.8%) 의순으로 일자리사업 참여 대부분이 60-70대 연령군의 노인임을 알 수 있다. 학력별로는 초 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36.1%), 중졸이(21.8%), 고졸이(13.5%), 대졸(12.0%), 무학, 서당(12.1%), 대학원이상 (3.0%)로 나타났다. 종교는 불교가 42.9%로 가장 많았고, 천주교가 18.8%, 기독교가 15.8%, 무교가 12.8%,기타(7.5%),유교(0.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유배우자 (67.8%),무배우자(27.8%)로 유배우자 비율이 40%정도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녀의수는 3명이(28.6%)로 가장 많았고, 4명(22.6%), 5명이상(16.5%), 1명(8.3%), 3명이상(24.%), 2명(21.8%) 순으로 나타났다. 동거가족 수는 1명이(29.3%)로 가장 많았고, 본인 혼자(24.1%), 3명이상(24.8%),2명(21.8%) 순서로 나타났다. 일자리사업 참여유형은 시장형, 자립지 형 일자리가(65.4%)로 가장 많았으며, 복지 형, 교육복지형 일자리가(17.3%), 교육형일자리(4.5%), 인력파견형 일자리가 (1.5%)순으로 조사되었다. 건강상태를 보면 건강이 대체로 좋아졌다(61.2%)와 매우 좋아짐을 응답한 비율이 ,(17.8%), 로 좋아졌다가79.0%로 나타났고. 차이가 없음이(17.1%),아주 나빠짐과 나빠짐이 각각(0.8%),(3.1%)로 나타나 조사대상자의79.0%가 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은 30만원미만이(51.6%)로서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이 월수입이 30만원 미만인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노인임을 알 수 있다. 일자리 참여 노인의 주된 수입원은 1순위로 자녀의 도움과 본인 및 배우자의 일로서 일자리 사업의 참여가 생계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주요 지출원인의 경우 응답자의 대다수가 1순위 의료비와 2순위 본인의 생활비를 위해 지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자리사업 참여 전에 주로 해왔던 활동으로는 1순위로 노인복지시설 프로그램에 참여했었다, 2순위는 소득활동, 소일거리, 종교 활동, 여가활동, 경로당, 동네 복덕방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참여 동기는 세 명 중 한 명이 소득마련이라는 경제적인 이유에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노인이 소득마련 을 이유로 인하여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건강 유지가 주요 동기였다. 일자리 참여경로는 일자리 모집 공고 ,친구 .친지의 소개, 신문 방송 매체, 지역소식지 및 신문을 통해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의 경우 전체 조사대상자의 네 명 중 세 명은 일자리사업과 관련하여 적어도 반기별 1회 이상의 보수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근로일수는 조사대상자의 반수가 넘는 비율이(52.8%) 주2-3일 근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5일 근무(31.2%)와 매일 근무(10.4%), 자율근무(4.0%) 기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희망임금수준은 조사대상자의 약 57.4%가20-40만원의 임금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만 원 이상을 희망하는 비율도 17%에 달했다. 즉 희망임금의 경우 전체응답자의 네 명 중 세 명(74.4%)이20만 원 이상의 임금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보수와 상관없이 사업에 참여한 비율도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의 경제적 효과는 조사대상자의(65.9%) 절반 이상이 사업 참여로 얻은 수입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여, 일자리 사업이 참여자들의 경제생활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68,3%)가 사업 참여가 가족 및 사회관계의 긍정적 변화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여, 일자리사업이 참여자들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일자리사업의 만족도는 조사대상자의 열 명 중 아홉 명(97.0%) 이상이 일자리 사업을 추천 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여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접적으로 관련된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태에서도 일자리 참여에 따른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했다는 점에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대전시 거주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 일자리시행 일정에 맞추어 광범위한 대상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2. 일자리 참여 집단과 비 참여집단간의 여러 요인을 통제하고 비교 연구하여 일자리사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3. 일자리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전문화 되고 구체화된 요인을 개발 일자리와 관련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