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랍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최성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Arabic speaking audience. Currently, there exists a need for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prior to developing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Arabs. In examining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Korean education for Arabs,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lack of researches concerning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wo currently existing teaching materials for Arabs and researched the Arab learner’s needs in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propose a plan for developing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Examination of the tow current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showed that though the teaching materials included the four aspects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s well a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culture by the textbook through the four aspects, the material lacked teaching objectives and analysis sections, which led to confusion for the learners in establishing a clear purpose of learning. Thus, the current study supplemented the deficiencies by providing a clear learning objectives and including a variety of linguistic exercises for the learners to practice in the proposed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 Furthermore,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on Arab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t Jordan University,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several issues to consider in developing elementary Koran teaching materials. In establishing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grammar was identified as the most urgent in requiring Arabic translation, followed by conversations and dialogues, and introduction of new phrases, respectively. As for the inclusion of materials providing the most contextualization for the learners was found to be Korean dramas, followed by Korean fables and Korean folk songs(K-pop). The research also showed that for the learners, promoting Arabic cultures, highlighting important daily summaries, producing Korean words clearly, and introducing Korean words that are difficult for Arab speaking audiences were found to be the most crucial for inclusion in the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s. Thus, current study developed an alternative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 that propose a clear plan for a study course with specific, distinguishable objectives in each lessons, as well as including a model for the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 with advantages of the current teaching materials included and rectifying the disadvantages of the current materials. Though the study proposed an alternative elementary Korean teaching material based on research, the applicability of the teaching material is yet to be determined.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HLA-A, -B, -DR 혈청학적 특이도의 결정 규칙 추출

        최성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HLA는 인간에게서 알려진 유전자 중에서 가장 다형한데, 고형장기이식에서 기본적으로 검사되는 HLA-A, HLA-B, HLA-DR의 경우 혈청학적 수준에서만 각각 28, 62, 24 종류, 아미노산 서열 수준에서는 2008년 8월까지 각각 527, 911, 546 종류가 보고되어 있다. HLA 대립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간 차이를 명명하기 위해 4 digits 체계가 사용되고 있는데, 첫 2 digits은 혈청학적 특이도를, 나머지 2 digits은 아미노산 서열의 다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보고되는 새로운 대립유전자들은 혈청학적 반응도가 거의 보고되지 않고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도(sequence homology)에 의해서만 명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첫 2 digits 명명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혈청학적 특이도(serologic specificity)를 결정짓는 규칙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IMGT HLA Database http://www.ebi.ac.uk/imgt/hla/)에 보고된 2008년 4월 Release 2.21의 대립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였다. 혈청학적 특이도를 결정짓는 규칙을 추출하기 위하여 2004년 WHO Nomenclature Report 중에서 혈청학적 특이도가 보고된 HLA-A, -B, -DRB1 대립유전자 각각 142개, 304개, 159개를 학습데이타 세트(training set)으로 훈련하여 인공신경망을 구축하였다. 학습된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혈청학적 특이도를 결정짓는 규칙을 추출하기 위해 분해적 접근법(decompositional approach) 기반의 ordered-attribute search (OAS)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또한 학습데이타 세트에 사용하였던 대립유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HLA-A, -B, -DRB1 대립유전자 각각 364개, 568개, 307개를 평가데이타 세트(test set)로 하여 인공신경망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들 중 혈청학적 특이도가 보고된 HLA-A, -B, -DRB1 각각 37개, 51개, 15개 단백질 대립유전자의 경우는 해당 혈청학적 특이도과 인공신경망 결과를 비교하였고, 혈청학적 특이도가 보고되지 않은 HLA-A, -B, -DRB1 각각 326개, 516개, 292개의 대립유전자는 첫 2 digits를 혈청학적 명명으로 간주하고 인공신경망을 평가하였다. 결과: 학습데이타 세트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학습된 인공신경망은 모든 대립유전자들에 대해 100% 일치하는 혈청학적 특이도를 예측하였다. 학습데이타 세트에 사용되지 않았던 HLA-A, -B, -DRB1 대립유전자 각각 363개, 565개, 307개에 대해서는 각각 97% (352/363), 94% (532/565), 97% (297/307)의 일치율을 보였다. 이들 중 혈청학적 특이도가 보고된 HLA-A, -B, -DRB1 각각 37개, 51개, 15개에 대해서는 A*0278, A*3308, DRB1*1457, DRB1*1609 등 4가지에서만 차이를 보여 각각 95% (35/37), 100% (51/51), 87% (13/15)의 일치율을 보였다. 결론: 인공신경망을 구축을 통해 HLA 대립유전자들의 혈청학적 특이도를 결정짓는 규칙을 추출할 수 있었다. 학습된 인공신경망과 추출된 규칙은 향후 새로운 대립유전자를 정확히 명명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추출된 규칙은 혈청학적 에피토프(serologic epitope)를 규명하는 기초자료가 되며, 고형장기 이식에서 시행되는 panel reactive antibody 검사와 같은 체액성 면역반응을 해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arametric Modeling을 이용한 맞춤형 마스크 제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성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신체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디자인에서,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통해, 대상 신체에 최적화된 제품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파라메트릭 모델링은 형상이 만들어지는 알고리즘을 미리 구성하고, 이 알고리즘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들을 입력하고, 수정하며, 이를 피드백 받아 원하는 형상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이때까지의 파라메트릭 모델링은 기계 설계와 건축 영역에서 일부 작업을 보조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지만, 맞춤디자인에서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사용한다면, 기존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제품을 디자인 하는 과정이 작업프로세스 상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맞춤디자인과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사용하여 현재 미세먼지 마스크의 상반된 문제인 착용시의 답답함과, 마스크의 누설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파라메트릭 모델링의 알고리즘에 입력될 데이터로 사용자의 얼굴을 입력하여, 이 얼굴에 맞는 마스크의 3D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연구한다. 이 연구과정을 통해 개개인에 최적화된 마스크를 만드는 알고리즘을 직접 만들고, 평균적인 얼굴크기의 남자와 여자의 얼굴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 정상적인 마스크의 디자인이 출력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의 사람이 일일이 직접 맞춤 디자인 작업을 하던 것을, 자동화된 작업으로 대체할 수 있기에, 사람의 신체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디자인 영역에서, 생산적인 면, 경제적인 면에서 상당한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파라메트릭 모델링이 마스크 외에 다른 인체공학 제품디자인의 개발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in the custom design for the human body, I studied how to design products optimized for the target body using parametric modeling. Parametric modeling is a technique that precomposes an algorithm and inputs and revises basic data to the algorithm and gets feedback to produce desired shape data. Until, parametric modeling has been used only to assist some tasks in the mechanical design and construction. If parametric modeling is used in custom design, the design process of the product is expected to be efficient in the work process compared to the existing design process. This study solves both the tightness of wearing and the leakage of the mask, which are the opposite problems of the current fine dust mask using custom design and parametric modeling. In this study, we study the process of creating the 3D data of a fine dust mask that fits the face by inputting the user's face as the input data. In this process, I made an algorithm to make a mask that is optimized for each individual. And I confirmed that optimized mask design is outputted when inputting the face data of men and women of average face size. Approach design using parametric modeling can replace traditional custom design work with automated work, which can lead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roductive and economical aspects of custom design for the human body. It is also anticipated that the parametric modeling will be of great help in the development of ergonomic product designs in addition to masks.

      • 자동차 텔레매틱스 사용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최성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모바일 및 IT 산업의 발달은 운전의 행태에 있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차량 익스테리어 디자인 외에도 정보 디자인, 즉 텔레매틱스 관련 콘텐츠에 대해서 새로운 촉각을 세우고 있다. IT 기술의 발달로 등장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텔레매틱스의 결합은 운전 중 다양한 콘텐츠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지만 그 안전성에 있어서는 장담할 수 없다. 자동차 텔레매틱스 관련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들이 접근 할 경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첫 번째로 산재해 있는 선행 연구들을 들 수 있다. 다양한 제조사에서 진행되는 선행 연구들을 디자이너가 한 가지씩 찾아보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두 번째로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자동차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사안이 안전이기 때문에 운전자 주의분산, 운전자 시선 등에 대한 실험적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운전자들이 특정 기기를 차량에서 사용할 때의 운전 정황을 고려한 사용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세 번째로 디자인에 적용되어야 할 요소들과 디자인 평가를 위한 요소들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주행이라는 상황은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 고정하고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특수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디자인과 사후 평가가 적절히 고안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업계에서 다년간 갱신되어오고 있는 AAM(Alliance of Automotive Manufacturer)와 JAMA(Japan Automotive Manufacturer Association), 그리고 UMTRI(University of Michigan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의 기술 보고서를 토대로 가이드라인을 취합, 분석하고 사용성 요소들을 추가로 적용하였다. UX전문가와 자동차 차량 제어 전문가를 상대로 분석을 진행하여 그 내용에서 시스템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평가 체크리스트를 구분하여 디자이너를 위한 텔레매틱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 디자이너들이 자동차 텔레매틱스 디자인에 있어서 보다 쉽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人性 敎育을 위한 初等學校 漢字 敎材 構成 方案

        최성은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hief aim of writing this paper is to check the present situation abou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grope for the method of composing a Chinese textbook. There is no curriculum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in the elementary school, but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 Their teachings are very different, because there is no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s. At present in our natio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formally begins from the middle school, and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in elementary school is being done in spare time or after school. Therefore, the teaching is not in a system but in a state of disorder. In order to solve above problems, this writer researched about composing a Chinese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s like followings. At first, this writer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After that, researched the reason why there are many confusion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 in the elementary school. Up to now, educators have never consulted about teaching Chinese character for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no textbook or a formal teaching. At the second chapter, this writer researched the need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part, emphasized that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is a great help to studying all subjects. At the third chapter, studied on how to select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part, inspected the Chinese character which are concerned with respect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conform justice and citizenship. At the forth chapter, this writer composed a textbook which is connected with interesting vocabulary and personality. this is deferent from the style which put strength on the education of cramming students' head with knowledges. This writer hope, even though this paper is not perfect for education, the researched theories in this paper are helpful for promoting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심미성 중심의 시 교육 연구

        최성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예술로서의 문학이 지닌 기본 속성인 심미성을 중심으로 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문학의 심미성은 예술 작품인 문학 텍스트에 내재된 심미적 요소와 독자의 미적 가치 판단 능력에 의해 발현된다. 그러므로 문학의 미적 가치를 판단하는 데에는 텍스트적 요소뿐만 아니라 독자(讀者)적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텍스트의 심미적 요소로는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가 있으며, 특히 언어 예술인 문학에서 내용적 요소는 텍스트의 미적 가치뿐만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독자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문학 교육의 장(場)에서 작품 속에 반영된 작가의 세계관에 대해 논의하는 활동은 학습자의 미적 인식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전인 교육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미의식은 미를 판단하는 인간의 의식 작용으로, 작가의 세계관은 텍스트의 미의식으로 구현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적 범주를 기준으로 하여 시 텍스트에 나타난 미의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론의 소재로 삼아 소통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심미적 인식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자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Ⅰ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밝히고, 본 연구와 관련된 시 교육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심미성의 개념과 심미적 가치를 결정하는 두 요소인 텍스트적 요소와 독자적 요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시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미의식과 미적 범주 개념을 토대로 시 텍스트에 드러난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학적 소통의 개념과 함께 시 교육에서 소통 활동의 필요성과 소통 활동을 통한 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된 교육 과정의 시 교육 향방을 중심으로 시 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는 본고의 연구 의의를 밝혔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and methods of poetry education focusing aesthetics, a basic property of literature as art.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is represented by aesthetic elements inherent in text literature, an art work, and by a reader's ability to judge aesthetic value. So, judging an aesthetic value of literature should involve not only text elements, but also reader element. The aesthetic elements of text include form and content elements. The content elemen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 writer's view of the world as well as aesthetic value of text, while influencing a reader's view of values, especially in literature, a language art. So, discussions on a writer's view of the world reflected in his/her works in a literature education field i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a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esthetics as well as being as th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with a right view of values. Aesthetic consciousness is a kind of conscious processes related to a judgement of beauty, and a writer's view of the world would represent as aesthetic consciousness of text. Thus, this study examines aesthetics represented in poetry on a basis of aesthetic category, enhance a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esthetics through communicating and discussing activities as a subject matter, and seek a suitable method of poetry education for helping learners to establish a good view of values. Chapter Ⅰ identifies the aim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nd reviews the history of poetry education related to the study. Chapter Ⅱ investigates both text and reader elements, two determiners of the concept and value of aesthetics, and fin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poetry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Chapter Ⅲ examines aesthetics represented in poetry text based on the concepts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esthetic category. Also, it suggests the need of communication and the method of poetry education through communicating activities, with the concept of literary communication. In addition, an improvement plan of poetry education is proposed focusing on the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revised in the year 2007. Finally chapter Ⅳ identifies the meaning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