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진로기대가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와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최선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진로기대가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성격강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일반 고등학교 2개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1개교의 1, 2학년 남, 여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임영진(2015)이 개발한 지각된 부모 진로기대 척도, 황성원(1997)의 검사지를 사용한 진로 스트레스 척도, 역기능적 사고를 측정하도록 개발된 진로사고검사(Career Thoughts Inventory)를 이재창, 최인환, 박미진(2003)이 번안한 역기능적 진로사고 척도, 김인자(2008)가 번안한 약식 성격강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진로기대는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 스트레스 또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 진로기대가 높아질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 스트레스 점수가 높아지며,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높아질수록 진로 스트레스 점수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부모의 진로기대와 진로 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진로기대는 진로 스트레스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영향을 주어 진로 관련 준비 행동 과정에서 왜곡된 신념을 형성하여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성격강점 중 용기와 정의 덕목은 진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수준의 부모 진로기대를 받더라도 용기와 정의 수준에 따라 진로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의 의미를 종합해보면,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진로기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성격감정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결과를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부모 진로기대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의사결정혼란, 외적갈등이 클수록 진로 스트레스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과 진로 결정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기 쉬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이 부모 진로기대와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 상담 장면이나 상담 프로그램 구성 시 고등학생의 진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비집착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최선경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비집착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장애인 부모연대 소속회원과 복지관 이용자의 부모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 Version 3.5를 활용하여 순차적인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 비집착, 자기자비, 우울,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 간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둘째,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비집착과 자기자비를 거쳐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이어지는 순차적인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비집착을 거쳐 우울로 이어지는 단일매개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돌봄 스트레스가 비집착 을 거쳐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 단일매개경로는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비집착과 자기자비의 순차적인 이중매개 경로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돌봄 스트레스가 높은 성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우울을 낮추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비집착과 자기 자비에 기반을 둔 심리개입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양성평등을 위한 도덕윤리교육 지도방안연구

        최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남성과 여성을 이분법적 사고로 나누는 전통적인 성 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양성평등 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덕교과는 학생들에게 도덕적 규범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남성과 여성이 정당한 사회적 인식 하에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는 바람직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덕교과에서 양성평등 의식교육에 대해 다룰 필요가 있다. 현재 양성평등사회 조성을 위한 양성평등 정책과 교육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행되고 있는 현 정책 및 교육과 사람들의 의식 사이에는 괴리가 있다. 이는 현재의 제도 및 이에 따른 학생들의 가치관 확립에 문제점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를 문제의식으로 양성평등 의식을 내면화하고 실천할 수 있는 도덕 윤리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논자는 우선 페미니즘 윤리를 통해 여성과 남성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 길리건, 이리가라이, 주디스 버틀러, 안네마리 피퍼를 통해서 남성 중심적인 지배 논리를 극복하려는 여성의 정체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 과정을 통해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유토피아적 사유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성평등을 추구해왔던 페미니즘 윤리의 도덕적 가치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던 여성교육정책들을 살펴보고 양성평등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성역할에 대한 의식의 고정화는 성장과정에서 사회화되어온 결과이다. 학교는 그 어떠한 집단보다 사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관으로, 학교의 문화, 교사들의 태도 등은 청소년들의 문화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학교는 가정이나 사회에서 인식된 잘못된 성차별의식을 바로잡아 새로운 성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할 수 있다. 올바른 양성평등 교육을 통해 성차별의 원인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양성평등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우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도덕2교과서에 나타나는 성 불평등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 중학교 1학년 학생 88명에 대한 표본 조사 학습을 통해 양성평등 의식에 대한 점수화 조사를 실시 후 자아 확립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의 양성평등 의식에 대한 현재 척도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양성평등 수업의 목표는 성차별의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남녀 차별 개선 전략을 습득하여, 성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만들어 실천할 수 있는 방법론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 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과서에서의 내용 측면, 교육 담당자들의 의식전환, 정책적 측면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뒷받침 된다면 양성평등 인식이 올바르게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set of guidelines that will help bolster gender equality by overcoming the social stereotypes of traditional gender roles, which have long been promoted by dichotomous distinctions of men and women. Ethics education aims to encourage students to learn ethical norms and to establish a proper hierarchy of values. It is necessary to cover gender equality as a part of Ethics education in order to help one to be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society with proper hierarchy of values under proper social awareness. Despite continuous efforts through policies and education to promote a society with gender equality, there is still a gap between these efforts and people’s awareness. This is an indicator that there are problems in establishing students’ values according to the current system, and suggests that it requires moral and ethics education that can help students practice and internalize the mind-set for gender equality. In the first place, attaching the importance to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from a feminism perspective, the author seeks women’s identity to overcome the male-focused logic by studying Gilligan, Irigaray, Judith Butler, Annemarie Pieper, and looks at Utopian reasons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lso, the author demonstrates the policies of female education to date based on ethical and moral values of feminism, which has sought gender equality, and reviews the direction of policies required to realize the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The fixation of awareness for gender roles is the result of socialization through its growth process. Sine school is the institution which affects socialization more than any other institutions, school cultures and attitude of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ultur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eenage students. Moreover, schools can form awareness for new gender roles by correcting the inappropriate 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developed at home or in the society. Henc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gender equality and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of gender discrimination as well as their caus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In conclusion, the author analyzes the factors of gender inequality, which are shown in the textbook of ‘Ethics 2’ in middle school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used currently. Furthermore, this paper conducts a scoring survey for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by sampling a survey of 88 students currentl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t then analyzes the current measures and problems, and argues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This paper not only provides an analysis of the reasons and problems of gender discrimination, but also, suggests a methodological draft of learned strategies to overcome it. In order to realize the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improvements in textbook contents, positive changes in the awareness of educators as well as policies are necessary. Support of such efforts is expected to result in the establishment of a prop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 정보유형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설계 연구 : 웹 기반 컨텐츠의 정보유형을 중심으로

        최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적인 발전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함께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 등을 변화시킨다. 인터넷은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없는 가상공간을 구현하였고, 시대는 이러한 가상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웹’이라는 미디어의 특징 가운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성과 하이퍼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고, 가상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웹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이 제시되기도 한다. 기존에는 일방향적으로 송신자에 의해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정보를 전달받는 일대 다수의 수동적인 수용자의 개념이었다. 하지만 웹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정보를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다수대 다수의 적극적인 사용자의 개념으로 변화되었고, 하이퍼링크에 의해 사용자는 정해진 의미가 아닌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웹에서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면서, 정보유형에 따라 그들의 탐색유형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과거 음성에 의한 구술 단계의 정보는 활자와 인쇄술의 발전으로 텍스트 형태의 정보로 발전하였고, 그후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영상 형태의 정보로 발전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웹에서의 정보는 기존 미디어에서의 정보와 다른 유형과 성격을 가진다. 이렇게 새로운 미디어 문화는 정보의 유형과 각각의 성향에도 영향을 미치게된다. 따라서, 기존 미디어에서와는 다른 웹에서의 정보유형을 파악한다면, 사용자의 효과적인 탐색을 위해 정보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정보·정보유형·정보탐색·정보설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정보유형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설계 방법을 탐구하였다.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을 Identity, Information, Entertainment, Learning, Shopping, Community의 6가지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성향을 홍보·정보전달·재미·사용자참여의 4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의 유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며 실증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에 따른 각각의 성향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정보유형의 구분과 성향이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기존의 미디어와 다른 ‘웹’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문화에 의해 사회가 변화하고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이 변화하였듯이 앞으로도 새로운 미디어에 의한 변화는 계속 일어날 것이며, 따라서 정보의 유형과 성향이 고정적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이후에 앞으로의 새로운 미디어 문화에 의해 변화될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과 성향에 대한 예측이 요구된다. The Intrernet has created the cyberspace which has no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through digitalization and networks. As the new media have changed contents of information and ways of communication, a new paradigm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yberspace is required. The new media characterized with hypermedia and user interactivity, the ‘Web’ has been represented as a suitable communication paradigm for this new space. The web has changed the one-to-many system of communication to the many-to-many system. When the web has not developed much, users had received intended and fixed information from one sender, but in web communication, users can create and consum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ctive web users even make new meanings by hyperlinks and interact with other users, so their information search types become diverse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ormation what they want to get. Moreover, new media affects types and characters of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printing replaced oral information by text-type information, and the television made a shift from text to visual information. The web has also created new type of information, so we can architect information for user’s effective search if we can study about the character and type of information on the web. In this research, the multimedia informati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is studi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information,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Types of information in web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 Identity, Information, Entertainment, Learning, Shopping, and Community. Each type is described in four aspects including promotion, usability, interests, and users' participation. Case studies and surveys on users of EWHA Womans University Home Page are follow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ach information type and plans of effective information architecture are explained and presented. However, the classification and quality of those information types can not be fixed, but can be changea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So the forecast about the future of web-based contents according to new media is required after this research.

      • 鄕歌의 祭儀歌的 性格 硏究

        최선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향가의 제의가적 성격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신라 향가는 '羅人尙鄕歌者尙矣盖詩頌之類歟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 非一'이라는 짤막한 논평에서 보듯 연원이 매우 오래되고 천지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는 신비한 힘을 지닌 노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신라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향가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흔히 향가의 마력, 주술성으로 이야기되었고 향가는 마력을 지닌 주가로 이해되어 왔다. 향가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주술적 힘은 향가가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는 데 기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향가에 주술성이 있다거나 향가가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는 사실은 지적하면서도 정작 향가가 제의에서 어떠한 기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해명을 하지 못하였다.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와 주술적 성격의 노래인 주가를 동일시하여 제의에서 불린 노래 모두를 주가로 간주한 것이라든가 의례를 동반하지 않고 불린 노래까지를 모두 주가로 규정한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선학들이 보여준 대표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제의나 주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향가의 성격을 규정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가 보여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출발하였다. 향가의 주술성은 향가가 제의에서 불려진 노래라는 데 근거하고 있다. 향가는 제의에서 발생하고 제의에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노래이다. 따라서 향가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 제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향가가 불려진 당시의 제의의 모습이나 향가의 제의 발생설을 뒷받침해 줄만한 역사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향가가 향유되던 모습이나 향가의 연행방식을 재구하는 작업의 상당부분은 향가가 수록되어 있는 서사의 분석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의문맥으로 해석되는 서사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가와 제의의 관계 및 제의에서의 향가의 기능을 밝혀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초기의 향가 작품으로 알려진 유리왕대 <兜率歌>와 <薯童謠>를 분석해 보았다. <도솔가>는 가사는 전하지 않지만 창작과 관련한 기록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남아 있어 노래의 성격을 재구해 볼 수 있다. 위 기록들을 참고해 보면 <도솔가>는 대규모로 행해진 국가적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 한편 <서동요>는 서사 문맥에서 떼어 놓고 노래만을 분석해 보면 영웅의 탄생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로 영웅의 탄생과 관계된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향가 작품들이 보여주는 이러한 제의가적 성격은 향가의 발생이 제의와 관련되며 향가는 바로 이러한 제의가적 성격을 바탕으로 하는 노래임을 알게 해 준다. 구체적인 작품 분석에 들어가서는 <獻花歌>, <海歌>, <處容歌>, <安民歌>, <兜率歌>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제의 문맥으로 해석되는 향가 배경설화의 분석에서는 제의가 표상화되는 방식과 등장인물이 행하고 있는 제의에서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향가 배경설화의 서사는 사건의 시공간에 관한 기술, 주인공이 신격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 신격을 획득한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건의 시공간에 관한 기술은 설화의 시공간이 제의의 시공간임을 나타내며, 주인공이 신격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은 주인공의 입사제의의 광경을 나타내며,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은 제의를 통해 혼란된 질서를 바로잡고 정상질서를 회복시키는 행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또 이들 설화는 해결해야 할 문제의 발생 → 문제의 원인 및 문제해결방법(者)의 모색 → 누군가로부터 문제의 원인 및 문제 해결 방법을 지시 받음 → 지시대로의 실행 → 문제의 해결이라는 동일한 사건 전개방식에 따라 진행되는데 이들 설화가 이렇게 동일한 사건 전개과정을 보이는 것은 이들이 같은 사건을 서사화한 것임을 말해준다. 실제로 이들 배경설화의 서사가 전개되는 방식은 제의의 진행절차와 대응된다. 제의는 일반적으로 청배- 찬신- 축원- 공수- 공수의 실행- 축원의 성취- 송신의 절차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제의의 절차와 향가 배경설화의 사건 전개방식은 그대로 대응된다. 따라서 서사 문맥 속에 놓인 향가의 위치를 통해 향가가 제의 중 어떠한 절차에서 불렸으며 제의 중에 향가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했는가를 알 수 있다. 이들 향가의 제의가로서의 위상을 정리해 보면 <처용가>는 축원의 단계에서 불린 노래이고, <헌화가>와 <안민가>는 공수의 단계에서 불린 노래이며, <해가>와 <도솔가>는 공수의 실행 단계에서 불린 노래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Shilla's Hyang-ga has been deeply loved by Shilla People for a long time as songs, origins of which can be traced many centuries ago, having mysterious powers that moved spirit s of heaven and earth, as shown in a short statement of "Shilla people have respected Hyang-ga from the earliest times. Generally Hyang-ga is a kind of Si,Song, which has moved spirits of heaven and earth more often than not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of Hyang-ga have been regarded as it s magic power and incantation. The power of incantation of Hyang-ga h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it has been sung in ceremonies. However, most of literature on this field to date does not focus on what role Hyang-ga played in ceremonies but only on the power of incantation and ritual characteristics of Hyang-ga. Some literature has identified ritual songs with spells so that it has regarded all song of ceremonies as spells or it has taken songs without rites for ritual songs, which arises from misunderstanding of ritual songs and spells. This study attempt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existing studies. Incantation of Hyang-ga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has been sung in rites. It is assumed that Hyang-ga has emerged and been practiced in rites. Therefore, under standing of rites is essential to reconstruct the real feature of Hyang-ga. However, no records exist either explaining what rites were like when Hyang-ga was sung or supporting the theory that tries to look for the origins of Hyang-ga in rites Consequently, effort s to reconstruct how Hyang-ga was enjoyed and how it was performed largely depends on analyzing stories that Hyang-ga belongs t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ang-ga and rites as well as the role of Hyang-ga in rites based on analysis of stories in the context of related rites. This study analyzes <Dosolga>(兜率歌) and <Seodongyo>(薯童謠), which are early works of Hyang-ga. Regarding <Dosolga>, no words of songs do not remain but some records of writing are found in 『Samgukyusa』 and 『Samguksagi』 to enable us to reconstruct the feature of these songs. The above records show that <Dosolga> was a ritual song in large-scale national ceremonies, while <Seodongyo> can be viewed as a ritual song in ceremonies related with heros, looking into the song it self, which was written on the subject of a hero's birth, apart from it s epic context. These characteristics of early Hyang-ga works as ritual songs display that the emergence of Hyang-ga is related with rites and Hyang-ga is based on these ritual characteristics. Looking at individual works such as <Hunhwaga>(獻花歌), <Heaga>(海歌), < Choyongga>(處容歌), <Anminga>(安民歌) and <Dosolga>(兜率歌), I focus on how rites are symbolized and what role each character played in rites in analyzing background stories of Hyang-ga in the context of rites. My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of stories as background of Hyang-ga is a combination of a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of events and a description of how leading characters acquire godhood and how they solve the problems. The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of events shows that time and space of stories are those of rites. The description of how leading characters acquire godhood displays a scene of initiation (acquiring Godhood), while the description of how they solve the problems implies an act of transforming chaos to cosmos. In addition, these stories are based on the identical way of development : the occurrence of events → searching for causes and solutions → receiving directions for causes and solutions → following directions → solving problems. This implies that they are epics that arise from the same event s. In fact, the way of development of epics as background stories corresponds to the way of proceeding of rites. Generally, rites follow the procedure of obeisance, admiration, praying, receiving divine messages, performing, achieving, sending off gods, which exactly corresponds to the way of development of background stories of Hyang-ga. Consequently, where Hyang-ga is put in the context of stories tells when it was performed in the ritual proceedings and what role it played there. Looking at the statu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briefly, <Choyongga> was sung at the stage of praying, while <Hunhwaga> and <Anminga> was sung at the stage of receiving divine messages and <Haega> and <Dosolga> was sung at the stage of performing divine messages.

      • 사과 탄저병에 대한 과실과 잎의 발생 상관관계 분석

        최선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pple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 one of the severe disease causing economically damage on apple fruit. ‘Honro’ variety, known to susceptible to anthracnose has increasing cultivation area but it also increasing the yield loss. Accordingly, it is urgently required to breed the anthracnose resistant variety, but still has lack of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resistance determination technique and the selec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 To establish the screening method for anthracnose-resistant variety, the degree of resistance was determined at early stage of young trees and fruit and leaves was artificially inoculated on. By wound inoculation, all varieties was observed the disease incidence and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egree of resistance, however, it has effective and is easier to discriminate the degree of resistance by incidence at five days after non-wound inoculation. From the investigation the incidence on fruits and leaves of each apple variety, high resistant variety to the anthracnose was determined as ‘Alps otome’, ‘Chicheng’, ‘Hwahong’, ‘Idajon’, ‘Melrose’ and ‘Tsugaru’. Susceptible variety was recorded as ‘Hongro’, 'Shinano Gold’, and ‘Yellow Bellflower’. Resistant variety in fruit showed also resistant to leaf. Bu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uit and leaf anthracnose incidence was lower.

      • 유아교육기관 인사관리로서의 담임교사 학급배정에 관한 원장의 인식 및 실태

        최선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bout homeroom teacher class allocation as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e reality of their class allocation and their actual difficultie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ide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What is the overall awareness of principals on considerations for homeroom teacher assignment?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principals according to institutional variables and their own personal variables in awareness of considerations for homeroom teacher assignment? Third, How much are the considerations reflected in homeroom teacher assignment? Fourth,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principal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homeroom teacher assign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3 principals who run kindergartens,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and home-based daycare center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ir overall awareness of homeroom teacher assignment for infant and preschooler classes and their priority. Also,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principals according to institutional variables and their own personal variables in considerations for homeroom teacher assignment was analyzed, an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their actual state of homeroom teacher assignment was analyzed as well. In addition, six principals who ru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usan and Ulsan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grasp their difficulties in homeroom teacher assignment and the reality of i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awareness of the principals on homeroom teacher assignment, they gave top priority to executive skills, followed by physical/emotional conditions, qualifications, human relations, and the state of classroom management. In terms of priority for human relations, executive skills, physical/emotional conditions and classroom management,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eachers'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guidance skills, age and meeting of teachers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awareness according to institutional variabl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he daycare center principals in awareness of executive skills only,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ther elements.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principal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awareness. As to the impact of gender, type of institution and number of classes, the principals who were aged between 46 and 50, who run kindergartens and who had three classes or less attached more importance to human relations, qualifications and physical/emotional conditions, and the principals who had eight classes or more were better at class allocation.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principal career, the principals who run the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for 16 to 20 years considered classroom management more important, and the principals who had more teaching experience gave more weight to human relations. The principals who run another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or academies in the past were better at class allocation. The principals who had work experience in other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placed more importance on qualifications, and those who had 16 to 20 years of career gave the most weight to qualifications. As to the number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principals for whom four to six teachers worked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executive skills and physical/emotional conditions. Concerning the number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incipals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in awareness of physical/emotional conditions. In terms of classroom management, meeting of teachers was most prioritized, followed by career. Third, as for the state of homeroom teacher assignment, the largest group considered the desire of teachers. And the biggest group assigned experienced teachers to infant classes, followed by assigning experienced teachers to kindergarten classes, assigning teachers in the meeting of teachers, assigning older teachers to infant classes, assigning experienced teachers to infant classes, assigning teachers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governing committees, assigning teachers by rotation, assigning less- experienced teachers to infant classes, assigning teachers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parents, assigning the same teachers to the same classes, and assigning younger teachers to infant classes. Fourth, when the principals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find out about their difficulties in class allocation and its reality, they told it's not easy to secure teachers. In terms of class allocation, they accepted the request of teachers, and they told that their desire depended on extra pay for homeroom teachers provided by the Nuri curriculum, rather than their own characteristics or ability. 유아교육은 유아기의 성격형성, 지적 발달, 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아기에 적합한 교육을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유아교육에서 보호 차원의 교육을 겸비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질 향상이 매우 중요하며 교육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적 조직체로서 유아를 지도할 사람들의 인사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시설이나 설비 등 물리적인 환경이 아무리 잘 갖추어졌다 하더라도 결국 운영하는 것은 사람이므로 교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인사관리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직원에 대한 전반적인 인사관리 규정을 개선 할 필요가 있고, 담임 배정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급담임배정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원장을 대상으로 기관내 학급 담임 배정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원장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인사관리상의 어려움을 탐색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인사관리실제와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학급 담임 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원장의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2.기관변인과 원장의 개인변인에 따른 학급 담임 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3. 학급 담임 배정 시 고려사항의 적용 실태는 어떠한가? 4.원장들이 들려주는 인사관리 및 학급 담임배정의 어려움과 현실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 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원장의 전반적인 인식은 교사의 실무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교사들의 실무능력을 높이려면 실무 경험이 많아야 하는데 교사들의 높은 이직률은 실무능력을 높이는데 걸림돌이 된다. 교사에 대한 국가적인 처우가 개선 되어야 할 것이며, 교사 스스로도 직업에 대한 사명감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기간변인과 원장의 개인변인에 따른 학급 담임 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 차이는 원장의 현장 경력기간과 교사 수에 따른 반 배정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현장을 경험한 원장들은 각 반 담임의 역할을 알고 근무기간이 긴 원장의 인식도가 높은 것을 보면, 원장들의 현장 경험 기간이 중요하며 그 경험이 공정한 반 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학급 담임 배정의 실태에서는 교사의 희망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가 자기의 역량과 전문성을 스스로 알고 있기에 자기에게 어울리는 반을 선택하게 되고, 선택한 반은 적극적으로 지도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있다. 넷째, 인사관리 및 학급 담임배정의 어려움과 현실에서는 교사가 사명감을 가지고 직업을 선택하고, 수당이나 일의 양에 따른 반 배정 희망이 아니라 자기의 역량과 자질을 파악해서 소신껏 반 배정을 희망 할 수 있는 교사를 희망한다.

      • 성인 정신지체인 가족의 부양부담과 가족지원 서비스 연구 : 소비자와 제공자의 종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최선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정신지체인을 가정에서 부양하는 가족의 부양부담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는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질적 연구이다. 다시 말해, 우리사회에서 성인 정신지체인의 가족들이 경험하는 경제적,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차원의 부양부담은 무엇이며, 각 차원에서 요구되어지는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는 무엇인가를 규명하여 앞으로 보다 구체적인 가족지원 서비스의 개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주부양자) 7명과 제공자(사회복지사) 10명의 진술을 토대로 가족의 부양부담 4차원과, 각 차원에서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였으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경제적,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차원의 가족지원 서비스의 임상적·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족이 경험하는 부양부담(경제적,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은 무엇인가· <소비자 관점, 제공자 관점> 2) 가족이 경험하는 부양부담(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각 차원에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는 무엇인가· <소비자 관점, 제공자 관점> 3) 소비자와 제공자가 진술하는 부양부담과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 관점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소비자와 제공자의 종합적 관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적 부담과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종합적 관점 두 집단이 진술한 경제적 부담은 현재 비용발생 부담과 미래 비용발생 부담으로 분류되었다. 현재 비용발생 부담과 관련하여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정부의 지원의 폭 낮음으로 인한 가계지출 부담,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이용 비용부담, 사교육비 증가 및 지출이라는 경제적 부담을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반면에 소비자, 제공자 각각이 표현하는 진술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소비자는 비 장애자녀에게 돈이 들어감으로 현재 비용발생의 부담을 경험한다고 하였고, 제공자는 정신지체인의 경제적 의존에 따른 의식주 비용 문제, 보호 작업장 취업과 소득창출이 이어지지 못함, 의료비 부담, 부양에 의한 경제활동 제한으로 경제적 부담을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미래 비용발생 부담과 관련해서는 미래 비용발생에 대한 불안감과 막막함, 미래를 위한 목돈마련으로 경제적 부담을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이상과 같은 진술을 토대로 두 집단이 필요하다고 표현한 경제적 차원의 가족 지원 서비스로는 직접적 비용(현금) 지원방식으로의 부양수당/장애수당/장애연금 이었으며, 간접적(세제, 편의, 기회, 제도) 지원 방식으로는 금전 및 재산 관리 역할의 후견인, 보호 작업장 시설 수 확대 지원, 주·단기 보호서비스 비용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한편, 소비자와 제공자는 각기 다른 유형의 가족지원 서비스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하였는데 소비자의 경우 교육 제공의 사립기관 연계 서비스였으며, 제공자의 경우 정신지체인의 여가활동을 위한 각종 할인 혜택 서비스라고 진술하였다. 2. 신체적 부담과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종합적 관점 신체적 부담은 정신지체인의 장애특성 및 수행능력 한계에 관한 부담과 정신지체인과 소비자의 건강문제에 관한 부담으로 분류되었다. 장애특성 및 수행능력 한계와 관련된 부담에서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정신지체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한계, 부적절행동 문제, 성관련 중재문제로 신체적 부담을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건강문제와 관련된 신체적 부담 부분에서 소비자들은 건강약화의 원인이 정신지체인의 부양에 있다고 표현하였다. 소비자들은 부양의 과정에서 고혈압, 디스크, 위장장애 등의 고통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제공자들은 정신지체인의 장애 특성상 식욕억제에 관한 능력 부족 등으로 정신지체인이 당뇨, 관절, 골다공증의 질병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는데 소비자가 신체적 부담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소비자의 경우 소비자 자신의 건강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제공자는 피부양자인 정신지체인의 건강에 초점을 두고 신체적 부담을 설명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진술을 토대로 두 집단이 필요하다고 표현한 신체적 차원의 가족지원 서비스는 정신지체인의 장애특성 및 수행능력 한계에 관련된 서비스와 정신지체인과 소비자의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로 분류되었다. 한편, 가정 밖 주·단기 보호 서비스와 직업재활 서비스는 제공자만이 언급하는 신체적 부담 관련 서비스로 제시되었다. 3. 심리(정서)적 부담과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종합적 관점 심리(정서)적 부담은 가족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부담과 정신지체인의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부담으로 분류되었다. 가족관계의 심리적 부담과 관련하여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정신지체인과 비 장애 형제 관계의 염려스러움과 미안함, 부부간 갈등이라는 심리적 부담을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정신지체인의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정서)적 부담과 관련하여 두 집단은 성과 결혼·임신에 대한 걱정, 정신지체인의 외부활동 불안감, 부모 사후 정신지체인에 대한 가슴 아픔과 고통, 갈 곳 없어짐에 대한 막막함을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심리적 부담 경감을 위한 가족지원 서비스 부분에서 두 집단은 정신지체 장애전반에 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진술하였다. 소비자와 제공자 각각이 진술하는 가족지원 서비스로는 소비자의 경우 사회복지기관 및 이용시설 확충 등의 공간마련이었고 제공자의 경우 후견인 제도라고 진술하였다. 4. 사회적 부담과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종합적 관점 두 집단은 사회적 부담으로 편견어린 시선과 고립감, 여가활동 제한 및 대인관계 축소를 경험한다고 진술하였다.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족지원 서비스 진술에서 소비자는 서비스를 기대하지 않는다고 진술하였다. 제공자는 옹호로서의 인식개선 활동이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족지원 서비스라고 진술하였다. 한편, 사회적 부담 경감과 관련한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 진술에서 두 집단은 활발한 관점을 전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원인을 첫째, 사회적 부담과 관련하여 이미 성인 정신지체인의 가족은 소진되어 있었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차 표현하기를 거부한다고 해석되었다. 둘째, 사회적 부담과 관련한 현존하는 가족지원 서비스가 부재한 우리의 현실에서 적합한 서비스를 언급할 만큼의 자원 및 정보가 부족하다는 사실에 기인하였다. 셋째, 이미 경제적, 신체적, 심리(정서)적 부분에서 진술한 많은 내용들은 사회적 부담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는 별도로 사회적 부담 관련 필요서비스를 제시할 만큼의 욕구가 높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제공자 역시 사회적 부담 경감을 위한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진술을 옹호활동에 국한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은 우리 사회에서 정신지체인의 가족이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 및 여가활동의 제한 등의 사회적 부담이 개별 가족이 해결해야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될 수 있었다. 혹은 사회적 부담이라는 자체가 경제적, 신체적, 심리(정서)적 부담에 내포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시할 수 없는 한계에 기인된다고 이해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우리사회 고유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사회에서 성인 정신지체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부양 부담과 이에 대한 경감방안으로서 필요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이 표현한 진술 내용의 범위에서 경제적,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가족지원 서비스의 개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이러한 계층의 가족을 위한 공적 지원체계가 미비하고 관련 문헌자료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개입방안과 관련한 기존 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향성을 제시하여 앞으로 구체적인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study that what the family is support the adult mental retardation over eighteen years old, and what the family support service to solve this problem is. In other words, through the study of economical, physical, and social burden of the family supporting the adult mental retardation, and what the family assistance service is to deal with those four-dimensional burden,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ategy to strengthen the family support function. For this reason, the desires of family support services are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provider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what the family care-giving burden (economical, physical, and social burden) is and what the family support service required in every level of family burden is and from the converging perspective, what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are. The investigation method is to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s and interviewed seven consumers (the representatives of the 1. Economical burden and converging perspective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commonness and difference> The burdens are divided into the present economical burden and the future economical burden. For the present economical burden, both groups commonly explained that they experienced the family spending burden, of using social welfare facility, increasing and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because the government had decreased the amount of support. However, it was also classified into each explanation of consumers and providers. Consumers experienced the burden of the present cost due to spending on non-mental retardation children, providers experienced the economical burden owing to food, clothes, and housing cost problems for mental retardation's economical defending, no jobs at conservatory work and no money, the limitation of economic activity for medical burden and support. With the regard to future economical burden, they told that they experienced economical burden because of the unsafe of future economical burden and saving money for the future. They both groups said that there should be cash subsidy such as support fee, mental retardation fee, stipend and monetary support to decrease economical burden. They also said that there should be supporters for monetary control, increasing conservatory working facility, low cost for respite service in terms of the system as indirect support way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and providers told the need of each different type of family support service, which was private facility related service of education in case of consumer and which was discount service or benefit for leisure time in the case of providers. 2. The converging perspective of physical burden and family support service<commonness and difference> The burden is classified into those for disable care giving burden, limitation of action ability and those for health problem of the mental retardations and consumers. In the burden related to disable care giving burden and acting ability, both groups told that they experienced burden owing to the limitation normal life, the problem of acting, and the problem of sex. In the burden related to health problems, consumer expressed that their health are threatened to support mental retardation. They told that they experienced high blood pressure, disc, gastrointestinal problem. They thought that consumers can experience the burden to control mental retardation who may have been suffered from diabetes, arthritis, and osteoporosis for the lack of food. While consumers focus on their health condition, providers are explaining the physical burden with focusing on mental retardation's health. With the talks above, both groups are classified into the service related to mental retardation's characteristics and the limitation and mental retardation and consumer's health for the family support service. On the other hand, respite service and job rehabilitation service are given as the service which is only for providers. The service for suppliers could also be important data, it is because providers, social workers, can make new view points for the service of decreasing physical burden with more objective place owing to many real experiences. 3. The converging perspective of the psychological burden and the needed family support service<commonness and difference> The psychological burden was categorized by two burdens, which are originated from family and derived from the disabled person social rela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burden from family relation, two groups said that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burden, such as the relationship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being fury, sorry, and marital conflict. In terms of psychological burden from the disabled social relations, two groups said that they experienced the worries of sex, marage, and pregnance, the instability of the disabled activity, the sorrow of the disabled after death of parents, vagueness of nowhere to go. About the area of family service for relieve of psychology, consumers said they did not expect the service. Consumers tried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burden through spouses, friends, and other family members as an informal factors. Also, they said there is lack of the service concept and the information to relieve psychological burden. But in the course of interviews, consumers have wanted various service. It is estimated that consumers want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 and they feel comfortableness about informal psychological support and the above that they did not expect because of the lack of concept for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 and lack of information. In the other hand, it is sai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m to delegate information for relieve of psychological burden that is derived from the disabled social relations. The family supporting service which are said by consumer groups and producer groups is different from two groups. The consumer want to space lik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the expansion of utilities the giver want to patronage institute. The consumer do not expect the service in terms of family supporting service to relieve social burden. The giver said the action of improvement for perception is family supporting service to relieve social burden. 4. The converging perspective of social burden and the needed family support service<commonness and difference> Both groups confess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with biased treat, loneliness, restriction of out door activity and minimization of personal relation to other people. Consumer described they do not expect any services with family support service which can reduce social burden. Providers described that to convert recognition into perspective with advocacy is family supporting service minimizing social burden. Both groups, however, could not deploy their active perspective. The reason can be explained with three aspects. First, family members with adult mental retardation do not want to express their desire to this service because they depressed too much adult mental retardation. Secondly, they do not have resource and information enough to mention appropriate level of service in current situation, that there is no family support service. Thirdly. their description earlier on economic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 is already related to social burden. Apart from this, their desire is not as higher as to express their needs for service minimizing social burden. It can be partial example showing each individual family can not help taking this social burden such as social isolation and limitation of social activity, that providers' insist also is inhibited only to advocate the service needed can not be classified apparently because it, social burden, imply economical, physical, mental burden. Like these two description of groups, supporting with multi-aspect expressed as very close relation in which economical, physical, mental and social burden affects with each other. The family support service needed was suggested as a fruitful resource which can reduce the burde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give us basis of the service as a solution for reducing family support burden of family with adult mental retardation. For this, the research suggested solution for family support service with economical, physical, mental, social aspects based on the descriptions of two group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more concrete strategy for introduc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과 교사역량 간의 관계

        최선경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유아교사의 역량이 중요시되고 강조되어짐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과 교사역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은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창의적 리더십은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 교사역량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 교사역량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성민(2015)의 성인 창의적 성향 검사(K-ICT) 도구, 창의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이경화, 박춘성(2014)의 성인 창의적 리더십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교사역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옥경(2014)의 유치원 교사 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 및 Pearson의 상관계수분석,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성향은 유아교사의 교사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영향력이 있었으며 둘째, 창의적 리더십은 유아교사의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 교사역량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이 높을 경우에는 교사의 역량도 높을 수 있는 결과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연령, 근무경력, 보유자격증)에 대한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 교사역량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 리더십은 교사역량 간에 영향을 주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창의적 성향과 창의적 리더십을 높이 발휘하면 교사역량의 효과적인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이는 교육과 보육의 질적인 향상 및 유아교육현장에서 창의성 교육의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며 이는 유아교사의 능력과 역량을 높이는 교육적인 발전이 될 것이다. As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becomes more important and is emphasized as society changes with the times,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tendency, creative leadership, and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refore,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follows. Study Subject 1. How does creative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Study Subject 2. How does creative 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teacher competency? Study Subject 3. What correlation does exist among childcare teachers’ creative tendency, creative leadership, and teacher competency? Study Subject 4.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creative tendency, creative leadership, and teacher competency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315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K-ICT Scale (Korean-Integrative Creativity Test) for adults (Kim Seong-Min; 2015) and Creative Leadership Scale for adults (Lee Gyung-Hwa, Park Choon-Seong; 2014) were use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creative tendency and creative leadership respectively. And Competency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Im Ok-Kyung; 2014) was also used to measure the teacher competency. The data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analyze reliability of sca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a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s well as Scheffe’s test for post 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as follows. First, creative tendency had influence on improving the teacher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creative leadership had influence on the teacher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Thir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among childcare teachers’ creative tendency, creative leadership, and teacher competency. This indicated that high levels of creative tendency and creative leadership can lead to a high level of teacher competency.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tendency, creative leadership, and teacher competency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ge, work experience, licences) of childcare teachers. From the study results, it has been observed that creative tendency and creative 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have influence on the teacher competency, and that a high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mong them. Therefore, if teachers demonstrate high levels of creative tendency and creative leadership, it will result in an effective increase of teacher competency. It will not only help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care, bu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e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is will be an important step forward for educational development that raises the ability and cap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