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
최미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을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유형 중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 직무소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유형 중 표면적 행동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나는가? 셋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유형 중 내면적 행동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9부를 제외한 204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질문과 감정노동, 직무소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활용하여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 모델 6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표면적 행동은 직무소진과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면적 행동은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무소진은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표면적 행동은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면적 행동은 직무소진이나 교사효능감을 거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내면적 행동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내면적 행동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개인성취감 저하와 교사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내면적 행동은 교사효능감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유형 중 표면적 행동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높이기 위하여 소진을 상쇄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면적 행동은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을 높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면적 행동이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며, 교사로서 해야 할 행동을 함으로써 교사효능감을 높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내면적 행동은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개인 성취감을 높여 직무소진을 줄이고,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내면적 행동으로 많이 나타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by differentiati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verify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affecting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from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during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Three research questions suggest achieving the following research purpose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from emotional labor type of childcare teachers, job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Second, is there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influenced from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from the type of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surface acting? Third, is there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influenced by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from the type of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deep acting?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to 233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nursery hom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29 who insincere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exempted, 204 surveys were analyzed.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on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job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the measurements on the degree of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to measur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an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is. In addition, PROCESS macro model number 6 proposed from Hayes(2013) was used and analyzed to examine du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burnout while deep act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Job burno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while teacher 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Second, the surface acting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its influence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through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Hence, surface acting showed its effect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via job burnout or teacher efficacy. Third, deep acting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luence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showed no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However, dual mediating effect showed its significance between a decline of personal achievement and teacher efficacy, the sub-factors of job burnout, and in the influence of deep acting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Also, deep acting showed its influence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through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present research, there needs to be routed to reduce burnout to increase positive effects and to reduce negative effects derived from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type of childcare teachers. All the more, surface acting increases job burnout, and teacher-children’s interacting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This presents that surface acting is not just negative and can be interpreted as increasing teacher efficacy by letting the teachers act the way they are supposed to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deep acting increases personal achievement, a sub-factor of job burnout, by reducing job burnout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ren’s interaction. Therefore, there need to be efforts put in for deep acting to be shown for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미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beliefs on their instructional creativity Mi-Ra Cho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ung-Hee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and differences in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by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s 2. What are the difference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Research Questions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layfulness and the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5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D and S cities.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Cronbach's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ne-way ANOVA and Scheffé's post-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the play beliefs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variabl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the cheerfulness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the divergent thinking and behavior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workplace type, and children age group in charg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cheerfulness, spontaneity, and imagination among the playfulness sub-factor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general knowledge and thinking-ba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s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reer, the improvisa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and the general knowledge and thinking-based and the specific-area knowledge-based and skill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cheerfulness and extraordinariness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As for the difference by the type of workplace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isa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and the intensively performing tasks, the motivation, and causing motiva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ccording to the children age group in char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it was found that the playfulness and the play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play beliefs had more influence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than the playfulnes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verifie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In order to promote the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in the future, the playfulness and the play beliefs of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keyword : playfulness, play beliefs, instructional creativity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 미 라 지도교수 이 성 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과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D광역시와 S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43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 창의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사후검증을 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세 변인 중 놀이신념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창의성은 확산적 사고와 행위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인 배경특성(연령, 경력, 학력, 근무 기관 유형, 담당 연령)에 따른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 즉흥성, 상상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즉흥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 특정 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 기발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놀이신념과 교수창의성은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즉흥성과 교수창의성의 하위변인 중 집중하여 과제 수행하기, 동기와 동기유발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담당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교수창의성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놀이신념이 놀이성보다 교수창의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증진 시키기 위해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토대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최미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이 연구는 도덕이라는 주제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서 사회학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론에 대한 풍부한 고찰과 관련된 실증연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한국사회의 도덕문화의 구성과 다양한 사회적 사안을 둘러싼 도덕적 판단의 양상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는 도덕사회학의 쇠퇴와 귀환이 문화적 전환이라는 사회과학 전반에 걸친 학문적 패러다임과 관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 도덕사회학 연구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도덕심리학 연구와의 간학문적 소통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그중에서도 도덕기반이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도덕기반이론은 도덕적 판단의 기제로서 직관에 주목하고, 범문화적인 도덕성의 유형 분류체계를 고안해내 이를 기반으로 도덕성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사회학적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증연구 측면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론적 논의들이 한국사회에도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사회의 도덕성의 유형이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검증된 5요인 체계와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사회의 논쟁적 사안으로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네 가지 이슈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각 사안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도덕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셋째, 각 사안의 도덕적 판단에 사회인구학적 특성, 도덕기반, 가치관과 문화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대 이상 성인남녀 34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EFA),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도덕기반은 서구사회에서 확인된 바와 다르게 ‘감정적 혐오감’, ‘공정성 추구’, ‘결속 중시’, ‘종교적 승인’이라는 네 가지 요인으로 유형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감정적 혐오감’ 요인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도덕성의 형태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성은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사안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의미에 차이가 있었다. 분석 결과, 낙태는 도덕적인 이슈이지만 찬반이 분분하게 나뉘는 이슈, 안락사와 임산부 배려석은 도덕적인 이슈이면서 찬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슈, 노키즈존은 다양한 결에서 의견이 갈리어 복잡한 성격을 갖는 사안임을 알 수 있었다. 네 가지 사안에 대한 도덕적 평가에 어떠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도덕기반과 가치관 및 문화성향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사안마다 도덕적 판단을 설명하는 변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낙태와 안락사의 경우에는 이에 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도덕기반이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판단에도 도덕기반이 가장 큰 설명요인이었다. 그러나 노키즈존에 대한 판단에는 도덕기반의 설명력이 다른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높지 않아, 각 사안이 사회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에 따라 도덕성의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도덕문화를 유형화하여, 다른 문화권과 한국사회 도덕문화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도덕성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사회학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안을 다양한 맥락과 결에서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일반적인 차원부터 맥락적인 차원까지 다차원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인 방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결의 사회적 사안의 성격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도덕기반의 영향력의 범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dea that morality, once marginalized in social science, is in fact an important theme that must be addressed sociologically and examined in the field of sociology. This study includes theoretical inquiry on the sociology of morality as well as empirical investigation on moral culture and judgment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e-fol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lace the advent of “new sociology of morality” in relation to the cultural turn, and to explore the compatibility of Moral Foundations Theory with the sociology of morality. Wit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Korean moral culture and examine it’s effect on various types of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n society: abortion, euthanasia, no-kids zone, and priority seat for pregnant woman. Empirical data of 340 adult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First, Korean moral culture i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including ‘emotional disgust’, ‘fairness’, ‘unity and authority’, and ‘religious approval’.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moral foundations were heterogeneous to that of the Western society, thus characteristics of morality has cross-societal difference. ‘Emotional disgust’ factor especially reveals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at has connection with rise of hate and phobia in Korea. Also, 4 issues had different meanings to the respondents: (a) abortion was a moral issue that is still controversial, (b) euthanasia was a moral issue that has come to a social agreement, (c) priority seat for pregnant woman was similar to euthanasia but the problem of efficiency and application scope was raised, and (d) no-kids-zone was more complex in that people had disparate positions on pros and cons, justifiability, legalization and whether it is moral issue or not.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ral foundations, values and cultural disposition had different effects on moral judgment, depending on the issues. On moral judgment on abortion, euthanasia, and priority seat for pregnant women, moral foundations had outstanding effect compared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ral judgment on abortion was primarily driven by ‘religious approval’ factor, positions on euthanasia was best predicted by ‘religious approval’ and ‘fairness’, and on priority seat, ‘emotional disgust’ and ‘fairness’ had greater effect. On the other hand, on the moral judgment no-kids-zone moral foundations were not strong predictors. By classifying moral culture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highlights societal cultural differences of morality within and across societies. Also, this study shows different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ral foundations on moral judgment and behaviors of various types of social issues in Korean society.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적용에 관한연구 : SK, KTF 이동통신사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웹이라는 매체는 우리의 일상에 다양한 형태와 목적을 가지고 스며들어 이제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공간매체’가 되었다. 웹이라는 공간은 실제가 아닌 가상의 공간이지만 몰입하여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들의 무의식에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다가와 가상현실이 아닌 실재감까지도 느끼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웹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스토리텔링구조와 인터페이스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경험에 대한 유형을 도출한 후,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웹 인터페이스의 모형을 발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웹사이트, 모바일, 디지털 TV 등과 같은 인터랙티브 미디어들은 모두 사용성을 중심으로 한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의 방향성을 갖고 디자인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의 요소들은 정보 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아이덴티티(Indentity), 사용편의성(Usability), 시각효과(Visual effect),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등의 많은 관점에서 그 접근이 가능하지만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 구조와 인터페이스에 주목한다. 이는 스토리텔링의 특성이 감성과 상호작용이 수반된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반면,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이며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단순한 속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 두 속성의 결합으로 여러 가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방식들은 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제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해서 논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온라인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속에서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구조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웹 사이트에서 발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구조와 웹 인터페이스에 관한 유형들을 ‘사용자(user)의 참여’를 기준으로 분류한 후 전체적인 분류에 대한 분석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러한 유형별 분류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모형으로 웹인터페이스 모형제시를 통해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웹에서 컨텐츠와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원활하게 하고 찾고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얻고자 하는 것, 즉 사이트의 목적에 부합하면서 효과적인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해 연구 하였다. 스토리텔링 구조와 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과 사용성, 정보설계의 디자인 해석들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발전을 통해 우리들이 경험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된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웹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발전 모형을 제안함으로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질을 향상시키는 인터페이스 개발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웹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나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논의 들이 있었고, 또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짧은 역사에 기인한 웹 인터페이스 자체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이 마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구조와 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온라인 컨텐츠 개발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발전이 단순히 스토리의 내러티브에 관한 접근뿐만 아니라 구조를 통한 스토리텔링도 중요하며 그것을 위한 인터페이스도 스토리텔링의 일부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초기철기시대 청동유물의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전북지역의 초기철기시대 유적지인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 유적은 금강과 만경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3점(동검 5점, 동경 4점, 동사 2점, 동과 1점, 동모 1점)의 제작기법과 산지를 추정하여 한반도에 선진문물이 유입된 경로, 고대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수준 등을 탐구하는 데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을 위해 금속현미경 관찰, SEM-EDS, EPMA, DAS 분석, 납동위원소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동검은 모두 수지상조직이 관찰되었다. 동경은 조세문경의 미세조직에서 수지상조직이 관찰되며 세문경의 미세조직에서 δ상과 (α+δ)상이 관찰된다. 이는 조세문경보다 세문경의 Sn 함량이 많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금속 상(phase)이 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조세문경과 세문경을 제작할 때 Sn 함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세문경과 세문경의 출토지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제작기술의 차이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동기를 제작할 때 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합금조성 및 주조 또는 단조공정을 선택하여 제작방법을 조정했으며, 그 방법은 유물의 종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유물의 미세조직에서 납편석물이 관찰되는 것 역시 납의 금속적 성질을 경험적으로 알았던 고대인들이 용융점을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한 재료로 생각된다. 매장 청동유물의 미세조직에서 주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존재형태에 따라 형성원인이 다른 것으로 여겨지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부식층 사이, 납 Hole, 부식된 공석상, 균열 등의 위치에서 형성되는데, 분석대상 유물의 미세조직에서 관찰되는 이차생성구리는 탈주석 또는 구리의 재석출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추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완주 덕동 유적과 전주 효자동 유적의 청동유물은 한국 남부 지역의 광산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이용하여 제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금강 유역에 위치한 군산 관원리 유적과 익산 오룡리 유적의 청동유물은 중국 북부지역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이용하여 제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금강과 만경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인은 서로 다른 곳의 원료를 수입?채굴해서 청동기를 제작하거나 다른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청동기를 수입하여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완주 덕동, 익산 오룡리, 군산 관원리, 전주 효자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13점은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거나 중국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을 것이다. 이는 대외적 교류를 통해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던 초기철기시대의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미세조직의 관찰 결과 대체로 같은 유물에서 같은 형태의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유물별로 제작방법의 틀은 같았으며, 이는 목적에 따라 청동기의 성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강도나 문양의 섬세함을 취했기 때문일 것이다. 산지추정 결과 만경강 유역은 한반도 자체적인 청동기 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지만 금강유역은 중국 북부와 활발한 교류를 통해 청동기를 수입하거나 원료를 수입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최미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교 2018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영국의 작곡가 로저 퀼터(Roger Quilter, 1877-1953)의 연가곡집《줄리아에게》(To Julia)가 분석연구 된다. 《줄리아에게》는 로버트 헤릭(Robert Herrick, 1591-1674)의 시집 『헤스페리데스』(hesperides)에 등장하는 줄리아라는 여인을 향해 쓴 시 중 8개를 퀼터가 선택하여 만든 연가곡집이다. 퀼터는 영국 낭만후기 가곡의 정점을 찍은 작곡가로서 시를 선택 할 때 매우 신중하였으며 시에서 주는 단어의 억양과 분위기를 잘 살려냈다. 그는 자연과 사람의 관계를 문학작품 속에 병치하여 표현한 헤릭의 시를 가져와 사랑하는 여인을 자연에 빗대어 표현한 아름다운 시의 분위기를 퀼터 특유의 서정적이면서도 낭만적인 기법으로 《줄리아에게》를 작곡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작곡가와 시인의 삶과 작품세계에 대해 조사 하고 《줄리아에게》에 등장하는 헤릭의 시를 먼저 그 의미와 형식을 파악하였고 퀼터의 음악성과 작곡기법을 연구하여 시와 음악을 중심으로 분석연구 하였다. 연가곡집은 제1곡과 7곡에 피아노만으로 된 전주곡과 간주곡으로 되어있다는 점이 특이한 점이다. 제1곡〈전주곡〉(Prelude)은 연가곡집을 관통하며 나오는 줄리아의 테마를 보여주는 곡으로 피아노 솔로로 되어있다. 제2곡〈팔찌〉(The Bracelet)는 줄리아에게 매여있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한 곡으로 16분 음표와 성악과 반주의 끊임없는 연결들이 마치 끊어지고 싶지 않은 작가의 마음을 드러낸 곡이다. 제3곡〈처녀의 붉어진 얼굴〉(The Maiden Blush)는 연인과의 첫날밤 후 수줍은 줄리아의 볼을 노래한 곡으로 포르테 없이 부드럽게 연주되는 곡이다. 제4곡〈데이지에게〉(To Daisies)는 줄리아가 잠들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 드러난 곡으로 낭만적인 선율과 풍부한 화성들의 조화가 어우러진 곡으로 복잡하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곡 〈밤의 조각〉(The Night Piece)은 밤중에 줄리아와 만나고 싶은 마음이 드러난 곡으로 시의 의미들을 선율보다는 반주의 기법이나 분위기들로 표현하고 있다. 스타카토와 가벼운 동형진행을 통해 빛나는 것들을 표현하고 걱정과 염려가 있을 땐 단조로 문제가 해결이 되었을 땐 장조로 전조하며 줄리아를 향한 사랑을 표현 할 때는 〈전주곡〉에 등장한 줄리아의 테마를 사용한다. 제6곡 〈줄리아의 머리카락〉(Julia`s Hair)은 줄리아의 머리카락이 주는 아름다움을 노래한 곡으로 연가곡집 중 유일하게 변박이 일어나는 곡이다. 마치 시의 내용을 눈에 보이듯 묘사하고 있는 곡이다. 제7곡 〈간주곡〉(Interlude)은 마지막 곡 앞에 위치해 있는 피아노 솔로로 이전에 등장했었던 곡들을 정리해줌과 동시에 마지막 곡을 향해 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8곡 〈체리가 익다〉(Cherry Ripe)는 줄리아의 입술이 마치 체리와 같고 그리고 그녀가 성숙한 여인이 되었음을 의미해 주고 있는 곡으로 매우 생기발랄하면서도 관능적인 곡이다. 퀼터는 이 곡에서만 시의 전체를 반복하거나 부분적으로 떼어 반복하고 있다. 본 연가곡집을 통해 퀼터는 시에서 오는 서정적인 분위기를 낭만후기의 특징과 접목시켜 시와 음악의 짜임새 있는 가곡을 만들어 냈다. 그렇기 때문에 17세기의 시인을 20세기 작곡가가 시대를 뛰어넘어 자신만의 스타일로 표현한 퀼터의 유일한 연가곡집 《줄리아에게》는 충분히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곡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곡으로 본 논문을 통해 《줄리아에게》 연가곡집이 연주계에 소개되어 지고, 이 곡을 접하는 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최미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기술에 따라 도시의 경제적 위상이 달라지고, 도시 내부 기능지역들의 기능, 규모, 위치가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도시의 공간적 재구조화’라 불린다. 즉, 산업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도시는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화와 서비스 산업의 기술을 수용하며, 이것이 도시 공간 곳곳에 반영되는 것이다. 건축물은 도시의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 중 하나로서, 도시적 경관을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 거대한 규모와 높이를 자랑하는 고층 건축물은 권력과 자본의 집중을 반영한다. 시․공간의 수렴화는 대도시의 고층화를 촉진하였지만, 도시 전체에 고층 건축물이 들어서는 것이 아니라, 일부 권역을 중심으로 차별적 고층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비슷한 높이의 고층 건축물이라 할지라도 어느 권역에 입지하느냐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상이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내부구조라는 맥락에서 서울시에 분포하는 고층 건축물의 입지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층 건축물, 지대와 지가, 도시내부구조에 대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서울시의 높이 70m 이상의 고층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도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층 건축물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후 현지조사를 통하여 고층 건축물 내부의 기능체, 건축물의 향(向), 도로, 주변의 기능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더불어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 개별공시지가, 건축법규, 서울시 조례, 고도지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의 고층화를 견인하거나 차단한 요인을 밝혔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고층 건축물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내용 : 2011년 11월 현재 서울시에는 316동의 고층 건축물이 있으며, 도심과 부도심에 84.49%가 밀집해 있다. 고층 건축물의 대부분은 업무시설이며, 업무시설은 도심과 강남, 영등포에 주로 분포한다. 판매복합시설과 숙박시설은 도심의 비중이 높고, 공공용 시설과 교육연구시설, 의료시설은 강남의 비중이 높다. 용도지구제의 영향 때문에 도심과 영등포에서 고층 건축물의 층수는 비교적 등질적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 작용했던 강남에서 고층 건축물의 층수는 비교적 다양하다. 그러나 최근 도심 재개발로 인해 도심에도 초고층 건축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까지 고층 건축물은 도심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1980년대부터 여의도와 강남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강남으로의 확산이 강해졌고, IMF 경제위기로 인해 1990년대 말 신규 고층 건축물의 수가 감소했다. 경제위기 극복 이후 강남 방향으로의 확산이 유지되었지만, 테헤란로와 강남대로 변의 포화, 도심재개발과 기타 지구의 개발로 인하여 2010년 이후 고층 건축물의 강남 지향성이 약화되었다. 둘째, 도심, 강남, 영등포에 입지한 고층 건축물의 공간적 분포 : 고층 건축물은 CBD, 영등포, 강남 순으로 밀집되어 있다.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1980년대 밀집도가 컸고, 집중(1970~80년대) → 분산(1990년대) → 집중(2000년대 이후)의 경향성을 보인다. 그리고 1980년대 이후 소공동의 남대문로를 중심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고층 건축물이 확산되고 있다. 강남은 1990년대 고층 건축물의 밀집도가 컸고, 2000년대까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고층 건축물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테헤란로 주변 고층 건축물의 포화로 인해 2000년대부터는 고층 건축물이 북쪽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영등포는 여의도를 중심으로 고층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고, 여의도동의 고층 건축물과 비(非)여의도동의 고층 건축물이 이질적인 양상을 보인다. 향후 여의도에 초고층 건축물의 완공과 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변화가 예상된다. 한편 도심은 도로의 방향과 필지가 불규칙하고 도로의 계층이 다양하기 때문에 고층 건축물의 향(向)도 다양하다. 반면 강남은 광로(廣路)와 대로(大路) 배후의 용도 규제 때문에 광로와 대로를 따라 고층 건축물이 선형(線形)으로 입지해 있고 건축물이 북서-남동의 방향성을 보인다. 여의도는 여의도 개발 과정에서 광로와 대로가 놓이면서 블록이 형성되어, 블록 내부에 고층 건축물이 규칙적으로 입지한다. 셋째, 고층 건축물의 수직적 기능 분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 서울시 고층 건축물에서 저층부일수록 개인 서비스업과 은행의 비율이 높고, 고층부일수록 전문서비스 사무소, 금융, 지식 기능을 중심으로 한 오피스의 비율이 높다. 그리고 지하 1층은 개인 서비스업의 비율이 높으며, 지하 2층 이하는 주차장이 대부분이다.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지하~저층부에서 판매 기능의 비율이 높으며, 고층부로 갈수록 은행, 보험, 운송 회사의 본사 또는 지사가 입지한다. 반면 강남의 고층 건축물은 소프트웨어 기능이 특화되어 있고, 다른 지구보다 중층부 이상에 제조업, 유통, 건설․토목 관련 오피스가 밀집해 있다. 영등포는 지상의 전 층에 걸쳐 증권 기능이 특화되어 있다. 한편 은행이 소유하고 은행 사옥으로 활용하는 고층 건축물일수록 기능체의 분포가 단순했다. 반면 건물임대 업체, 개인, 협회 및 단체가 소유하고 다수에게 임대하는 건축물일수록 기능체의 분포가 복잡하며, 내부에 의료 기능이 입점한 사례가 많았다. 넷째, 서울시의 고층화를 견인하거나 차단한 요인 : 높은 접근성과 지가, 도시내부의 고차위 지역, 고층 건축물과 연계된 주변의 기능은 고층화의 견인 요인이다. 그러나 정부의 개입, 도시내부의 저차위 지역, 고층 건축물과 연계되지 못한 주변의 기능은 고층화를 차단시키는 요인이다. 특히 건축물의 높이와 층수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건축주의 이윤 추구와 결합하여 웨딩케이크 모양이나 사선 모양으로 건축물의 형태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그 결과, 정부의 개입은 건축물의 높이와 형태를 다양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금융을 중심으로 한 업무 기능과 공공행정 기능을 바탕으로 주변의 대기업 본사, 외국계 기업의 지사, 호텔과 결합하여 중요한 클러스터를 이룬다. 그리고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판매 기능이 특화되어 있는 지구에서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쾌적한 판매 환경을 제공한다. 강남의 고층 건축물은 도심에서 분산된 제조업체의 사무소와 소프트웨어 기능 등의 사무소로 이용되고, 영등포의 고층 건축물은 도심에서 이전된 증권과 자산운용 기능의 사무소로 이용되면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단, 고층 건축물만 보면, 공공행정 기능의 비율이 부도심보다 도심에서 높기 때문에, 도심이 강남과 영등포보다 중추적인 관리 기능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반면 도심과 부도심 이외의 기타 지구에서는 고층 건축물 내부의 기능과 외부의 기능이 이질적이거나 연계성이 약했다. 지금까지 고층 건축물의 수직적 공간도 우리의 중요한 생활권 중 하나라는 인식 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고층 건축물의 입지와 수직적 성장 및 분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가 주거용 고층 건축물과 건축 당시의 특성을 다루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포괄하는 차후 연구가 필요하다.
동시에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0명의 읽기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 명시된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중재 시간은 회기당 20분으로 매주 3회씩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읽기유창성 검사와 읽기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읽기유창성 검사는 사전 검사와 총 5회기의 형성평가를 통해 반복 측정하였고 읽기태도 검사는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독립표본 t-검증과 종속표본 t-검증,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중재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은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을 통해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에 유의한 진전률을 보였으며, 아동 개인에 따라 각기 다른 초기 상태와 직선 기울기를 보였다. 이는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이 각기 독특한 발달 특성을 보이면서 상이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은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은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를 향상시켰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전략을 다양한 학습상황에서 여러 특징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자기비난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미라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자살생각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직장 내 괴롭힘의 인식을 증가시켜 긍정적인 간호환경을 조성하도록 돕고, 자살생각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을 이해하고, 상담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간호사들의 직장 내 괴롭힘, 자기비난, 자살생각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간호사들의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셋째, 자기비난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조절 역할을 하는가? 넷째, 직장 내 괴롭힘, 자기비난,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조절된 매개 역할을 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에 있는 병원 간호사들 241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WPBN_TI), 자기비난(DEP),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자살생각(SSI)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 와 AMO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관련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론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효과 검증을 하였으며,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내 괴롭힘, 자기비난, 자살생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이 변인들과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자기비난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비난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 내 괴롭힘과 자기비난,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높은 집단에서 자기비난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자살생각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이 자기비난을 통해 자살생각으로 가는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자기비난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며, 간호사들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수준과 자기비난을 낮춰주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