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에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0명의 읽기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 명시된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중재 시간은 회기당 20분으로 매주 3회씩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읽기유창성 검사와 읽기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읽기유창성 검사는 사전 검사와 총 5회기의 형성평가를 통해 반복 측정하였고 읽기태도 검사는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독립표본 t-검증과 종속표본 t-검증,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중재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은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을 통해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에 유의한 진전률을 보였으며, 아동 개인에 따라 각기 다른 초기 상태와 직선 기울기를 보였다. 이는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이 각기 독특한 발달 특성을 보이면서 상이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은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은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를 향상시켰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전략을 다양한 학습상황에서 여러 특징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음란물 중독에 관한 연구

        최미라 한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then find out the factors (psycho-social, internet use environment, peer, family) affecting on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pornography addict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for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various scales including Internet Addiction Scale, Pornography Addiction Scale by Young,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 CPIC, UCLA Loneliness Scale, Friends Relation Scale etc.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900 students (815 responded and 790 responses were effective) from 2 middle schools and 6 high schools located in Chuncheon city, Gangwon-do. The major results about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re as follows : (1) Ages when students began to use internet become younger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2) 35.4% of adolescents had mild addiction while 2.2% of adolescents had severe addiction; (3) adolescents who used internet for online-game or pornography showed a higher score in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4) In the regression analysis, self-esteem, daily internet use hours by friends, gender(male), Parental conflict were the factors affecting significantly o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The major results about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re as follows : (1) Ages when students viewed the internet pornography for the first time become younger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that of females is younger than males ; (2) 53.8% of students fall to 'severly addicted level'; (3) Adolescents who viewed visual materials compared to pictures, novels, and cartoons reported the higher scores while high school male students (80.5%) reported the highest scores in Young's Pornography Scale compared to other groups ; (4) In the regression analysis, gender (male), grade, loneliness and parental confliect were the factors affecting significantly on the adolescent pornography addiction. Several suggestions to intervene for the internet addiction and pornography addiction among adolescents were made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to plan early pre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based upon the continuous study on the change of children's internet use and unique developmental aspects of children ; (2) It is important to develop recreational, cultural, sport programs doing with the real-world friends in school and community which will meet the needs of adolescents who otherwise will find the alternative fun from the cyber world; (3)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isual educational programs which will help adolescents to critically distinguish the visual cultural works and pornographic materials.

      • 콩비지 식이섬유의 특성과 분리

        최미라 江陵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fu-residue(biji) which was made on a laboratory scale from the three U.S. and three Korean soybean varieties contained approximately 57% dietary fiber, 20% protein, while the commercial tofu-residue contained 59% dietary fiber and 17% protein. The soluble fiber contents, as a percentage of total dietary fiber were 3% and 46% for residue and tofu, respectively. The tofu-residue was wet milled by blade grinding once or twice, followed by sieving and centrifugation of the liquid fraction. For twice-ground residue, the dietary fiber content increased from 58.7% to 80.6% in the sieved residue, with a fiber recovery of 90.4%. On the other hand, twice-ground centrifuged solids contained 46.8% protein, representing 42.4% of the total protein. Lipid levels in the sieved residue were much lower than in the original residue.

      • 서울시 고층 건축물의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최미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술에 따라 도시의 경제적 위상이 달라지고, 도시 내부 기능지역들의 기능, 규모, 위치가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도시의 공간적 재구조화’라 불린다. 즉, 산업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도시는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화와 서비스 산업의 기술을 수용하며, 이것이 도시 공간 곳곳에 반영되는 것이다. 건축물은 도시의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 중 하나로서, 도시적 경관을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 거대한 규모와 높이를 자랑하는 고층 건축물은 권력과 자본의 집중을 반영한다. 시․공간의 수렴화는 대도시의 고층화를 촉진하였지만, 도시 전체에 고층 건축물이 들어서는 것이 아니라, 일부 권역을 중심으로 차별적 고층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비슷한 높이의 고층 건축물이라 할지라도 어느 권역에 입지하느냐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상이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내부구조라는 맥락에서 서울시에 분포하는 고층 건축물의 입지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층 건축물, 지대와 지가, 도시내부구조에 대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서울시의 높이 70m 이상의 고층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도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층 건축물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후 현지조사를 통하여 고층 건축물 내부의 기능체, 건축물의 향(向), 도로, 주변의 기능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더불어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 개별공시지가, 건축법규, 서울시 조례, 고도지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의 고층화를 견인하거나 차단한 요인을 밝혔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고층 건축물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내용 : 2011년 11월 현재 서울시에는 316동의 고층 건축물이 있으며, 도심과 부도심에 84.49%가 밀집해 있다. 고층 건축물의 대부분은 업무시설이며, 업무시설은 도심과 강남, 영등포에 주로 분포한다. 판매복합시설과 숙박시설은 도심의 비중이 높고, 공공용 시설과 교육연구시설, 의료시설은 강남의 비중이 높다. 용도지구제의 영향 때문에 도심과 영등포에서 고층 건축물의 층수는 비교적 등질적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 작용했던 강남에서 고층 건축물의 층수는 비교적 다양하다. 그러나 최근 도심 재개발로 인해 도심에도 초고층 건축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까지 고층 건축물은 도심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1980년대부터 여의도와 강남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강남으로의 확산이 강해졌고, IMF 경제위기로 인해 1990년대 말 신규 고층 건축물의 수가 감소했다. 경제위기 극복 이후 강남 방향으로의 확산이 유지되었지만, 테헤란로와 강남대로 변의 포화, 도심재개발과 기타 지구의 개발로 인하여 2010년 이후 고층 건축물의 강남 지향성이 약화되었다. 둘째, 도심, 강남, 영등포에 입지한 고층 건축물의 공간적 분포 : 고층 건축물은 CBD, 영등포, 강남 순으로 밀집되어 있다.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1980년대 밀집도가 컸고, 집중(1970~80년대) → 분산(1990년대) → 집중(2000년대 이후)의 경향성을 보인다. 그리고 1980년대 이후 소공동의 남대문로를 중심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고층 건축물이 확산되고 있다. 강남은 1990년대 고층 건축물의 밀집도가 컸고, 2000년대까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고층 건축물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테헤란로 주변 고층 건축물의 포화로 인해 2000년대부터는 고층 건축물이 북쪽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영등포는 여의도를 중심으로 고층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고, 여의도동의 고층 건축물과 비(非)여의도동의 고층 건축물이 이질적인 양상을 보인다. 향후 여의도에 초고층 건축물의 완공과 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변화가 예상된다. 한편 도심은 도로의 방향과 필지가 불규칙하고 도로의 계층이 다양하기 때문에 고층 건축물의 향(向)도 다양하다. 반면 강남은 광로(廣路)와 대로(大路) 배후의 용도 규제 때문에 광로와 대로를 따라 고층 건축물이 선형(線形)으로 입지해 있고 건축물이 북서-남동의 방향성을 보인다. 여의도는 여의도 개발 과정에서 광로와 대로가 놓이면서 블록이 형성되어, 블록 내부에 고층 건축물이 규칙적으로 입지한다. 셋째, 고층 건축물의 수직적 기능 분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 서울시 고층 건축물에서 저층부일수록 개인 서비스업과 은행의 비율이 높고, 고층부일수록 전문서비스 사무소, 금융, 지식 기능을 중심으로 한 오피스의 비율이 높다. 그리고 지하 1층은 개인 서비스업의 비율이 높으며, 지하 2층 이하는 주차장이 대부분이다.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지하~저층부에서 판매 기능의 비율이 높으며, 고층부로 갈수록 은행, 보험, 운송 회사의 본사 또는 지사가 입지한다. 반면 강남의 고층 건축물은 소프트웨어 기능이 특화되어 있고, 다른 지구보다 중층부 이상에 제조업, 유통, 건설․토목 관련 오피스가 밀집해 있다. 영등포는 지상의 전 층에 걸쳐 증권 기능이 특화되어 있다. 한편 은행이 소유하고 은행 사옥으로 활용하는 고층 건축물일수록 기능체의 분포가 단순했다. 반면 건물임대 업체, 개인, 협회 및 단체가 소유하고 다수에게 임대하는 건축물일수록 기능체의 분포가 복잡하며, 내부에 의료 기능이 입점한 사례가 많았다. 넷째, 서울시의 고층화를 견인하거나 차단한 요인 : 높은 접근성과 지가, 도시내부의 고차위 지역, 고층 건축물과 연계된 주변의 기능은 고층화의 견인 요인이다. 그러나 정부의 개입, 도시내부의 저차위 지역, 고층 건축물과 연계되지 못한 주변의 기능은 고층화를 차단시키는 요인이다. 특히 건축물의 높이와 층수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건축주의 이윤 추구와 결합하여 웨딩케이크 모양이나 사선 모양으로 건축물의 형태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그 결과, 정부의 개입은 건축물의 높이와 형태를 다양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금융을 중심으로 한 업무 기능과 공공행정 기능을 바탕으로 주변의 대기업 본사, 외국계 기업의 지사, 호텔과 결합하여 중요한 클러스터를 이룬다. 그리고 도심의 고층 건축물은 판매 기능이 특화되어 있는 지구에서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쾌적한 판매 환경을 제공한다. 강남의 고층 건축물은 도심에서 분산된 제조업체의 사무소와 소프트웨어 기능 등의 사무소로 이용되고, 영등포의 고층 건축물은 도심에서 이전된 증권과 자산운용 기능의 사무소로 이용되면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단, 고층 건축물만 보면, 공공행정 기능의 비율이 부도심보다 도심에서 높기 때문에, 도심이 강남과 영등포보다 중추적인 관리 기능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반면 도심과 부도심 이외의 기타 지구에서는 고층 건축물 내부의 기능과 외부의 기능이 이질적이거나 연계성이 약했다. 지금까지 고층 건축물의 수직적 공간도 우리의 중요한 생활권 중 하나라는 인식 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고층 건축물의 입지와 수직적 성장 및 분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가 주거용 고층 건축물과 건축 당시의 특성을 다루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포괄하는 차후 연구가 필요하다.

      • 고등학생의 시험불안과 자아존중감 및 부모 양육태도의 관계

        최미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tries to assess the relative factors such as self-esteem, types of parents, grade or sex which may influence a students susceptibility to Test Anxiety. Three basic premise were proposed;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anxiety and self-esteem of student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anxiety and types of parenting?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students and types of parenting?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a highschool located at the Anyang City, Kyonggi-Do Dostrict. A total of 300 students were used for the Test. One hundred and fifty(150) 1st year students comprising equal numbers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 further one hundred and fifty students from the third year comprising both male and female were also studied. Among 300 samples 273 were taken into a final analysis. Initially,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determine factors relating to the individual students, their parents, their self-esteem and reaction to tests in general. It was decided to put self-esteem and parenting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st anxiety as a dependent variable. Analysis showed that an Authoritarian father greatly influences test anxiety.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overcome test anxiety is the students self-esteem in the school. Students whose parents were either authoritative or permissive had the least influence. There was no difference shown between mothers or fathers parenting style. Generally, a mothers parenting style has less influence than the fathers. Economic factor,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of parents only marginally affected test anxiety. For students who may suffer test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unselling such students. One can analyse the basic factor causing test anxiety and point the way to develop self-esteem, especially in the school.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시험불안에 대한 연구로서 학생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가정 환경적 요인으로 부모양육태도가 이들의 시험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시험불안과 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시험불안과 부모양육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경기도 안양시 소재 인문계고등학교 1, 3학년 남, 여학생으로 각150명의 설문을 실시하고 그 중에서 273명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을 통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학생 개인과 부모의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들과 시험불안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부모양육태도 척도들이 사용되었으며, 시험불안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유형,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험불안에 대하여 학생의 학년별, 성별, 및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등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시험불안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유형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척도를 통한 자아존중감 점수를 상.중.하집단으로 나누어 상집단과 하집단의 시험불안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시험불안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에서 시험불안과 관계에서 통계가 가장 유의미한 것은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시험불안이 낮게 나타났다. 시험불안과 부모양육태도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와 시험불안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와 부모양육태도와 시험불안의 회귀분석 결과에서 부모양육형태가 권위주의형일 때 시험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형과 허용형 양육형태의 경우는 시험불안이 낮게 나타나는 아버지, 어머니의 경우 모두 같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의 양육태도보다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의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 아버지, 어머니 모두의 양육태도가 민주적 양육형태 일 때 학생 개인의 자아존중감의 네 하위영역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권위주의적 양육형태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권위주의적 양육형태의 부모 하에서 성장하여 자아존중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시험불안이 높게 나타나고, 민주적 양육형태의 부모 하에서 성장하여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과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의 경우 시험불안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험불안과 학생들의 학년과 성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3학년이 1학년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아주 적은 차로 시험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부모요인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는 부모학력에 따른 자녀 시험불안의 집단별 차이검증, 부모직업에 따른 자녀 시험불안의 집단별 차이검증 결과 부모 학력별, 직업군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험불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 유형의 차이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시험 불안을 겪고 있는 학생 상담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미국 오바마(B. Obama) 행정부의 대(對)중국 외교정책 변화요인 분석

        최미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국 외교정책이 협력정책에서 견제정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그 변화요인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외교정책의 변화가 오로지 체제적 요인에서 기인된다는 신현실주의자들의 기존 연구들이 일면 타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라마다 상이한 외교정책 결정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국내 정치적인 요인도 필히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국 외교정책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국제체제와 국내 요인을 모두 다루는 신고전적 현실주의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써 미국 외교정책 변화의 일차적 원인을 중국의 경제 및 군사력 부상으로 보았고 내부의 역동적인 측면을 볼 수 있는 정책결정자의 인식이 견제정책으로의 변화를 심화시켰다는 부분을 설명하였다. 또한, 오바마 정부의 경제 및 군사안보 정책에서 일어났던 변화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분석틀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미국의 많은 역대 행정부 중에 오바마 행정부를 연구대상으로 한 이유는, 부상하는 중국 및 아태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국의 관심과 자원을 아시아로 이동시킨 아시아 재균형 전략과 그로 인한 갈등이 트럼프에 이어 현재 바이든 정부까지도 지속 및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U.S.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toward Chin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t explained the validity that not only independent variable but also moderating variable of neoclassical realism that could have been overlooked if only neorealism was dealt with. According to the Obama administration's empirical events, the change is started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defined as China's economic and military rise. Then, the change is intensified by the moderating variable which is defined as the perception of political leaders in this study. As China's economic and military power emerged, the 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the U.S. and China became symmetric which showed a shift to a balance of power. Accordingly, the United States changed the direction of foreign policy toward China in a conflict, and the change in foreign policy are developed by the perception of political leaders. Moderating variable deepened economic and military security foreign policy changes toward China.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political leaders, unlike the first Obama administration where experts with a favorable attitude toward China were deployed, the second Obama administration deployed experts with a strong attitude toward China. Also,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like the situation ahead of Obama's re-election, China's trade deficit and unemployment in the U.S. have affected the perception of political leaders and it is followed by the economic foreign policy changes such as tightening anti-dumping tariffs, while the perception of political leaders involved with interest groups like military-industrial complex has affected military security foreign policy changes. It also made security alliance and partners formed to keep China in check and protect American interests. This influenced foreign policy changes like concluding TPP, strengthening naval strategies and arms exports to Taiwa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US political leaders toward China was changed and their perceptions intensified the policy changes. This study suggests that economic and military rise of other nations changed the foreign policy and the perception of political leaders deepened policy changes. Therefore, both independent and moderating variables are important in explaining changes in U.S. foreign policy toward China and the domestic factor is needed in explaining changes in foreign policy.

      •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최미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387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족변인, 개인변인들이 또래 괴롭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성, 가족구조, 그리고 경제수준을, 가족변인으로는 부모의 학업성취기대도와 가족화목도를, 개인변인으로는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을 하위요인으로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과 가족구조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구조에 따라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변인이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의 화목도와 자녀에 대한 부모의 학업성취기대에 따라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의 화목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학업성취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이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변인이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에 따라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정서조절능력이 낮을수록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변인, 가족변인, 개인변인이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족변인 중 부모의 학업성취기대와 개인변인 중 타인의 정서조절능력이 상대적으로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구학적변인에서 성, 가족구조에 따라, 가족변인에서 가족의 화목도와 부모의 학업성취기대에 따라, 개인변인에서 정서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에 따라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에 따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또래 괴롭힘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의 개인 내적인 건강한 성장과 발달 뿐 아니라 가정과 그를 둘러싼 지지환경 체계에서도 청소년에게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387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on bullying by peers. For such purpose,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included sex, family structure and economic level, family variables includ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on the child and the degree of family harmony, and personal variables included the level of stress caused by academics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Each of the variables was analyzed and the relative effect on peer bullying was studi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indicated vary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families are goal or result oriented. In other words, boys were more likely than girls to take part in bullying, and the type of family structure had an impact on bullying. But the effect of economic status was not paid attention to. Secondly, the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family variables indicated differences in bullying based on the level of family harmony and the degree of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family harmony and greater th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the greater the children's participation in bullying. Thirdly, the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tress caused by academics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did have an effect on bullying.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stress caused by academics and lower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the greater the children's participation in bullying. Fourthl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lative effects of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indicated that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in family variables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in personal variables have relatively less significant impact on participation in bullying.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participation in bullying was effected by sex and family structure i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the level of family harmony an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in family variables,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stress caused by academics in personal variables. Therefore, there is academic practicality in this research since i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medi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youths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the inner health and development of bullying youths but also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respective families and support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