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헬스케어 앱의 디지털 트윈 정보 시각화 연구 : A Study on Digital Twin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Healthcare Apps

        차혜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With increasing interest in body shape and health management, the mobile healthcare market has been experiencing high growth rates, leading to active research on healthcare app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current healthcare apps have limitations in managing and analyzing user-entered data, which necessitates effective methods for managing healthcare app data.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which involves managing and analyzing data, to healthcare apps, as well as conducting research on user-centered information visualization, an area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in healthcare apps. To underst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digital twin technolog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rough this, we established the hypothesis that information visualization can aid user understanding and effective presentation of data, while digital twin technology, if visualized in healthcare apps, can effectively present data through virtual avatars. Subsequently, we analyzed healthcare apps to determine the need for applying digital twin technology and proposed ways to implement it in current healthcare apps. In the case study of healthcare app information visualization, we categorized human-like characters into five stages: hyper-realistic, realistic, semi-realistic, simplistic, and hyper-simplistic. Next, through user surveys, we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in healthcare apps and derived four approaches: "providing body shape changes rather than just weight changes," "showing post-management results rather than just recorded data," "providing predictions of body shape changes upon achieving goals," and "offering personalized management methods and feedback." Finally, to achieve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healthcare apps with applied digital twin technology, we developed eleven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previously classified five human-like character categories. We conducted user evaluations using the four proposed approaches for applying digital twin technology in healthcare app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human-like virtual avatars were not used, higher levels of realism cor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trust, while hyper-simplistic avatars received higher likability ratings. When human-like virtual avatars were combined with data graphs, lower levels of trust and likability were observed for higher levels of realism, while higher levels of trust and likability were observed for hyper-simplistic avatars. Additionally, evaluation tools consisting of only data graphs received lower trust and likability scores overall.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o effectively use virtual avatars, healthcare app objectives and types should be considered, and selectively choosing their use is desirable.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simple representations of human-like virtual avatars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rs when accompanied by quantitative information in the form of graph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four approaches for applying digital twin technology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data in current healthcare apps. Through user evaluations,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avatars in terms of trust and likability for efficient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integrating digital twin technology into healthcare apps and user-centered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ch has yet to be explored extensively. 최근 체형과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도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헬스케어 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현재 헬스케어 앱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앱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인 디지털 트윈을 헬스케어 앱에 접목하기 위한 방안과, 아직 사용자 중심의 정보시각화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부분에 집중하여 헬스케어 앱의 디지털 트윈 정보시각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정보시각화와 디지털 트윈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시각화는 사용자의 이해에 도움을 주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과, 디지털 트윈이 헬스케어 앱에서 시각화되어 제공된다면, 버추얼 미를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이어서 헬스케어 앱의 디지털 트윈 적용 필요성과 현재 헬스케어 앱의 디지털 트윈 적용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헬스케어 앱 분석을 진행하였고, 헬스케어 앱 정보시각화 사례조사에서 인간형 캐릭터의 구분 단계를 극사실형-사실형-중간형-단순형-극단순형의 5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이후 사용자 조사를 통해 헬스케어 앱의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체중변화가 아닌 체형변화 정보 제공’, ‘기록된 내용만이 아닌 관리 후의 모습 제공’, ‘목표 달성 시 사용자 체형 변화 예측 모습 제공’, ‘맞춤 관리법 및 피드백 제공’의 네 가지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디지털 트윈이 적용된 헬스케어 앱의 정보 시각화를 위해 앞서 분류된 5가지의 인간형 캐릭터 분류 사례를 기준으로 11가지의 평가도구를 도출된 헬스케어 앱의 디지털 트윈 적용 방안 4가지를 활용하여 제작해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평가 결과, 인간형 버추얼 미만 사용된 경우 극사실형에 가까울수록 높은 신뢰도를 보였지만, 호감도에서는 극단순형에 가까울수록 높은 지표로 나타났다. 인간형 버추얼 미와 데이터 그래프가 함께 사용된 경우는 인간형 버추얼 미만 사용되었을 경우보다 극사실형에 가까울수록 낮은 신뢰도와 호감도, 극단순형에 가까울수록 보다 높은 신뢰도와 호감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데이터 그래프로만 이뤄진 평가도구는 전반적으로 낮은 신뢰도와 호감도 점수를 받았으며, 평가를 통해 버추얼 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앱의 목적과 유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지며, 정량적인 정보인 그래프가 함께 제공될 경우 적절한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간형 버추얼 미는 단순하게 표현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헬스케어 앱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낮은 사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 적용방안 4가지를 도출하였다. 이의 효율적인 정보 시각화를 위해 신뢰도,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버추얼 미를 사용자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트윈의 헬스케어 앱 접목과 아직 이뤄지지 않았던 사용자 중심의 정보시각화 관련 후속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재생지역에서 근대주거건축물의 활용 방안 연구 : 서울 회현동을 중심으로

        차혜지 한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도시는 사람들과 함께 공생하는 유기적인 존재로, 개발이 지난 후 쇠퇴가 지속된다. 인구 감소, 구도심 쇠퇴 등 도시에 나타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역사성을 내재한 건축물은 지역의 정체성을 되찾는 요인으로 주목받았다. 특히 군산, 목포, 대구 등 근대시기의 주된 인구 밀집 지역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근대주거건축물을 활용하며 도시의 활성화를 점차 이뤄내고 있다. 이와 반대로 서울시의 경우 근대주거건축물이 많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철거하는 경우가 많았다. 철거가 아닌 재생이 중심이 되는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었음과 동시에 이색적인 분위기를 지닌 근대주거건축물들이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음에 따라, 서울시에서도 근대주거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이 점차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활용은 근대주거건축물의 공간적 의미를 결여한 채 지역사회의 공공공간으로 사용하거나, 방문객들을 이끌기 위한 외형적 활용에 그쳤다. 근대주거건축물은 지역주민의 생활사의 집합체로서 지역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곳이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담고 있을 때, 공간의 외형적 모습만 재생하는것이 아니라 스토리를 내재한 근대주거건축물은 지역역사문화자원으로 인식되며 고유의 지역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근대주거건축물은 현재까지도 주민들의 거주지로 활용되며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되었을 때 거주지 개선, 공동체 활성화 등 지역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대주거건축물이 밀집된 지역 중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근대주거건축물의 활용도를 이끌어낸 회현동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회현동의 사례를 조사한 후 지역정체성 강화 및 도시재생과 연계할 수있는 공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근대주거건축물을 활용한 상업적 공간을 구성할 시 외관을 중심으로 한 방문객 유도는 일제강점기라는 고난의 역사를 외면한 채 근대주거건축물을 문화적으로만 소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공간과 스토리를연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방문객들이 공간의 이해를 돕도록 유도한다. 둘째, 지역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할 경우 근대주거건축물을 지역의 부족한 공공공간의 대체재로 여기는 것이 아닌 지역 역사교육의 살아있는공간으로 인식하여 바른 지역의 이해를 돕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시도는 근대주거건축물의 활용과 도시재생사업을 연관지어 근대주거건축물 밀집 지역에 지속가능한 재생방법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Cities are organic beings that coexist with people, and decline continues after development. In order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city, such as population decline and the decline of the old downtown, buildings with local historicity received attention as a factor in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region. In particular, major population-dense areas in the modern period, such as Gunsan, Mokpo, and Daegu, are gradually revitalizing cities by using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eoul, there were many cases of demolishing even though many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remained.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entered on regeneration rather than demolition were implemented and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with a unique atmosphere became popular with people,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was gradually progressed in Seoul. However, such utilization was limited to use as a public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without the spatial meaning of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or for external use to attract visitors. A modern residential building is a collection of the life history of the local residents, and is a place that contains the local story. When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contained,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that not only reproduce the external space of the space but also have a story are recognized as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can solidify their own local identity. In addition,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are still used as residential areas for residents, and when connected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ocal problems such as residential improvement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can be solved. Therefore, in this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Hoehyeon-dong, which drew the utilization of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ound Seoul Station among the areas where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are dense. After examining the case of Hoehyeon-dong, a plan for utilizing the space that can be linked with strengthening local identity and urban regeneration was suggested. First, when constructing a commercial space using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inducing visitors centered on the exterior will be able to consume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only culturally, ignoring the history of hardship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by implementing a program that can connect the space and the story, it induces visitor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pace. Second, when used as a local community facility,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ubstitute for insufficient public space in the region, but as a living space for local history education to help understand the right region. This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sustainable regeneration method in a densely populated area of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by linking the utilization of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양파의 품종 및 시비방법이 생육, 수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차혜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adaptable onion cultivar to the Uisung region in Kyoungbuk among mid cultivar 'Magicgold', mid-late cultivar 'Superwhang' and late cultivar 'Nongwoodaego', and to find out the optimum amount of application with putting 1,500kg, 2,500kg, and 3,000kg of pig barnyard manure per 10a for onion cultivation. In the late cultivar, 'Nongwoodaego', growth was better, and the bulb weight was heavier and the yield was higher than other cultivars. The bulb shape index(height/diameter) of mid cultivar, 'Magicgold' was 1.02 on the harvested bulb, so enough bulbing was not accomplished. The inorganic content of harvested bulbs between each cultivar was not signigicant. The rate of decayed bulb during storage was shown the lowest in mid-late cultivar 'Superwhang'. Growth as influenced by the pig barnyard manure amount of application was shown to be good in the smaller amount of application, and it was the best in the 1,500kgㆍ10a-1. The bulb weight and yield was shown the maximum in the 1,500kgㆍ10a-1 amount of application with pig barnyard manure. The nitrogen content of harvested bulbs was the lowest in the 1,500kgㆍ10a-1 amount of application with pig barnyard manure. The rate of decayed bulb during storag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increase the pig barnyard manure amount of application.

      •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차혜지 창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As one of the most common traumatic events, traffic accidents often caus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uffering, but this distress can potentially yield positive and meaningful psychological changes, known as post-traumatic growth. The aim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resilience and social network on post-traumatic growth in traffic accident patient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 2018 to August 31, 2018,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158 traffic accident cases of 5 hospitals with over 100-bed capacity in a city C of province K. In order to estimate the patients’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d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traffic accident questions of Ki-Hoon Park, and the physical severity scale of Sung-Man Bae. To measure post-traumatic growth,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Korea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of Seung-Hoon Song.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estim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 by Hun-Jeong Eun et al. We used the Korean Resilience Quotient of Ju-Hwan Kim to measure resilience, and social network tool of Koang-Kuey Lim to estimate the size of social network.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conducted in IBM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for post-traumatic growth item was 2.65 out of 5 points,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tem averaged at 1.52 out of 4 points, resilience item average was 3.44 out of 5 points, social network item mean was 3.68 points out of 5 points. Second, post-traumatic growth with characteristics examined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ast accident experience.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covery resilience, social network of patients. We observ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while social network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ormer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atter. Finally,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The results, while scor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study as 36.9%, reveals that social network and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isplay the strongest effect(respectively). The results of additional statistical analysis also reveal that social network shows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larger social network of the traffic accident patients and stronger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lead to higher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size of a patient’s social network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social network and resilience in order to help post-traumatic growth of traffic accident patients. Also,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hrough repetitive and long-term observation of the a for mentioned patients. 본 연구는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K도 C시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 5개 병원의 교통사고 환자 15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인 특성과 박기훈(2017)의 교통사고 관련 질문과 배성만(2011)의 신체손상 심각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외상후 성장은 송승훈(2007)의 한국판 외상후 성장척도를 사용하였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은 은헌정 등(2005)의 한국판 사건충격척도를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은 김주환(2011)의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은 임광규(2015)의 사회적 관계망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 문항평균은 5점 만점에 2.65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문항평균은 4점 만점에 1.52점, 회복탄력성 문항평균은 5점 만점에 3.44점, 사회적 관계망 문항평균은 5점 만점에 3.6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외상후 성장은 과거 사고경험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본 연구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회복탄력성, 사회적 관계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회복탄력성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관계망은 관계가 없었다.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관계망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연구의 설명력은 36.9%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사회적 관계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관계망은 회복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통사고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이 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이 클수록 외상후 성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은 회복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성장을 돕기 위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 향상 방안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통사고 환자에 대한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 외상후 성장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1990년 이후 복식에 나타난 장식 유형과 기법 분석 : 뵐플린의 시형식을 바탕으로

        차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Decoration is a fundamental motive of creation in arts, which is abstracted by a particular form principle and has been used to describe a certain form of orderly beauty. Also, decoration has not just influenced individuals but has influenced the value along with other art products incorporated with the sociocultural value and the aesthetic value of generations. In order to bring out the originality of modern fashion, decoration has functioned as the main element of arts in dress by expressing visual and psychological high-level formativeness in different means of expression. This study focuses on elements that influence the transition of types and techniques that also influences the meaning of decoration both privately and in sociocultural aspect since the 1990s. This is done by implementing an actual analysis of the types and techniques of 『Donna Collezioni』 expressed in dress since the 1990s that has been influenced by the transition. The study shows the different aesthetic qualities that gradually took to position following analysis of the transition by case studies and what was found as the general commonalities in the types and techniques of the decorations in applying Heinrich Wölfflin's formative perspective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evaluations of the study. First, with the multi-layered expansion of culture since the 1990s under the influence of pluralism, fashion also took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senses and forms in respect of customers' tastes. Customers wanted to fulfil their aesthetic and emotional desires more than the past generations, and pursues contentment through spending. Apparel industry is making use of decorations as a means of distinguishing and characterization, along with premium pricing that fulfills customers' emotions. Development in technique also made it possible for the variety in forms and fine processing of the decorations.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protectionism is gradually disappearing but the artistry in visual prospect is increasing. Also, the decorations in dress displays a new form of wealth and social position in the modern society, maintaining the sociocultural symbolism by providing customers' contentment by such. Secondly, a total of 6678 photos using decorations were found, along with 7307 techniques, and 283 types of techniques were found in analyzing the 『Collezioni』photo collection of twenty years since the 1990s. The types of needlework decorations that modifies the surface of the matter are the following: pleats, tucks, pin-tucks, shirring gather, smocking, fixing, origami, quilting, cording, embroidery, decoration stitch, print, slash, punching, cut work, hem line decoration. The technique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were the following: patchwork, knit, lace, fur, weaving, binding, piping, frill, ruffle, flounce, rouche, fagoting, lace-up, zipper. decorations by attachment made use of beads, spangle, acrylic, crystal, stud, eyelet, hotfix, mirror, coin, safety pin, hanger loop, button, ring, ribbon, epaulet, emblem, casting, wire, braid, other tapes, applique, feather, tassel, fringing, tape, cord, knit thread, and chain. Representing combinational decoration were beading decoration using various material, attachment of fabric motif, and others using the aforementioned types and techniques alone or in a combination in dress. The types of techniques per year ranging from 1991 to 2010 were gradually increasing, which indicates the increasing importance in dress decorations. For the past 20 years, types of decorations have developed in the order of attachment decoration type, 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modification of the material surface, and combinational type. Approaching the late 2000s, the proportion of using combinational decoration increased. This signifies how decorations are developing from the prior limitations of using decorational material to a more complex and varied style. Thirdly, the analysis of transition of dress decorations based on five pairs of the basic principles of Wölfflin's formative perspectives shows that linear decorations expresses the outer boundary of decoration and each material and color explicitly. Painterly decoration expresses the decoration as a whole vaguely and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material and color of the decoration. Plane decoration is displayed in parallel unity, explicating the boundaries which induces audience to fix sightline upon observance. decorations with depth create a recession giving it a moving quality to it, and not so much focus on the boundaries. The observer of the decoration looks with a curve chord that controls the sight line. A closed form decoration gives a stationery feeling b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ayout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decoration. An open form decoration eliminates the directional elements and displays a free layout, resulting in an incomplete and disorderly form, which at the same time pursues dynamic balance. decorations with multiplicity emphasizes each element separately, in part, with visual equality. Decorations with singular unity is acknowledged in entirety and bears amalgamated system. Subordinate elements harmonize as the main decoration is emphasized and the rest of the decorations seemingly take on the subordinate role. Decorations with absolute clarity displays the separate form explicitly in a stationary manner without vitality. Decorations with relative clarity use distortion, emphasis, and omittance of a part, by which it conveys the general impression as a whole, and has fluid and uniform character. This study has made an effort to redefine decorations as they appear in dress since the 1990s and build to the data on modern fashion design, and to contribute to creative thinking in dress and decorations by doing so. 장식은 예술 창작의 하나의 근본 계기로서 일정한 형식 원리에 의해 추상화되고 규칙화된 미를 표현해 왔다. 또한 장식은 개인 뿐 아니라 시대별 사회·문화적 의미와 미적 가치를 내포해오면서 다른 예술들에 수반되어 그들의 가치를 강조한다. 현대 복식에서의 장식은 복식의 독창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법과 표현으로 시각적·심리적인 고도의 조형성을 나타냄으로써 복식의 예술적 주요 요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사회 문화적인 배경 요소를 사적 분석한 후 이로 인해 변화하고 있는 장식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1990년 이후 복식에 나타난 장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그 유형과 기법에 관해 『꼴레지오니(Donna Collezioni)』를 통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식은 복식을 바탕으로 한 공간을 2차원·3차원적으로 다룬다는 점과 시대가 흐름에 따라 점차 다른 미적 특성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뵐플린의 시형식을 적용하여 장식 유형과 기법의 일반적인 공통점을 도출, 그의 변화 양상을 사례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다원주의를 바탕으로 여러 문화가 다층적으로 전개되면서 복식 역시도 다양한 감각과 양식이 혼합되고 소비자 개개인의 취향을 존중하게 되었다. 소비자는 이전 시대보다도 심미적이고 감성적인 욕구를 충족하길 바라며 소비를 통한 즐거움을 얻기를 원한다. 이에 의류 산업은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하는 차별화·특성화된 상품과 가격 프리미엄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복식에 장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술적인 발달 역시 장식의 다양한 형태 변화와 수월한 공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로 인하여 장식 기존의 심리적 보호성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시각적인 측면에서의 미적 예술성은 증대하고 있다. 또한 복식에 나타난 장식이 소비자의 부와 지위를 새로운 형태로 나타내며 사회적·심리적 만족감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상징성은 유지되고 있다. 둘째,『꼴레지오니』를 통하여 1990년 이후 20년간의 컬렉션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식을 활용한 복식의 사진은 총 6678장이 수집되었으며 이 자료 안에서 나타난 장식 기법은 총 7307개, 장식 기법의 종류는 283가지가 나타났다. 봉제에 의한 장식 유형 중 소재 자체의 표면 변형하는 것으로는 주름, 턱·핀턱, 오리가미, 꼬집기, 셔링·개더·스모킹, 퀼팅, 코딩, 자수, 장식 스티치, 프린트, 슬래쉬, 펀칭, 컷워크, 원단 끝처리 기법이 나타났다. 소재와 소재를 결합하는 것으로는 패치워크, 니트·레이스·모피, 위빙, 바인딩·파이핑, 프릴·러플·플라운스·루시, 패고팅, 레이스업, 지퍼 등의 기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부착에 의한 장식으로는 비즈, 스팽글 및 기타 아크릴·크리스탈 장식, 스터드, 아일렛, 핫픽스, 거울·동전, 옷핀·걸고리·단추, 링, 리본, 견장·엠블럼, 주조, 와이어, 브레이드, 기타 테이프 장식, 아플리케, 깃털, 타슬, 프린징, 테이프, 코드사, 니트원사, 체인 외에도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기법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혼합적 장식으로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비딩 장식, 자수나 커팅을 이용한 원단 모티프의 부착이 있었으며 그 외에 앞서 설명한 각종 유형과 기법을 혼합하여 복식 위에 따로 혹은 중첩하여 표현된 장식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991년부터 2010년까지 각 연도별 사용하는 장식 기법의 종류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는 복식에 있어서 장식의 중요도가 점차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 20년 간 장식 유형은 장식물 부착 유형 다음으로 소재와 소재의 결합 유형, 소재 자체의 표면 변형, 혼합적 양상의 유형 순으로 나타나며 2000년대 후반으로 올수록 한 해 동안 사용된 장식 유형의 비율은 혼합적 장식이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장식 재료와 활용 방법의 범위에서 벗어나 복식에 나타나는 장식이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방법으로 발전 중임을 의미한다. 셋째, 뵐플린의 시형식 다섯 쌍의 기초개념을 바탕으로 복식에 나타난 장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선적인 장식은 장식 외관의 윤곽선과 각 재료, 색채를 뚜렷하게 표현한다. 회화적인 장식은 전체적인 덩어리로 모호하게 외관이 나타나며 장식의 재료와 색채는 구별하기 어렵다. 평면적인 장식은 일률적·좌우 병립으로 배치되며 윤곽선이 강조됨에 따라 관찰자는 고정된 시선으로 장식을 바라보게 된다. 깊이 있는 장식은 입체적인 공간을 형성항 조형적인 측면에서 운동감을 가지며 윤곽선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장식을 바라보는 감상자는 내진적인 동선을 가지고 시선을 움직이게 된다. 폐쇄적 형태의 장식은 복식의 정면이나 정측면에 수직적·수평적인 배치를 통하여 구축적이고 정적인 느낌을 가진다. 개방적 형태의 장식은 복식에 방향적 요소를 배제한 채 자유롭게 배치되면서 불완전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며 동시에 유동적인 균형감을 추구한다. 다원적 통일성을 띤 장식은 각 요소가 부분적이고 개별적이며 시각적으로 균등하게 강조된다. 단일적 통일성을 띤 장식은 전체를 통틀어 인식되며 융합적인 체계를 가진다. 각 세부 요소는 서로 조화를 이루는데, 하나의 주요 장식이 강조되며 나머지 장식은 이에 따라 부수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명료한 장식은 개별 형태가 명백하게 드러나며 정적이고 생동감이 결여되어 있다. 불명료한 장식은 부분의 의도적인 왜곡과 강조, 생략 등을 통하여 전체적인 인상을 남기며 유동적이면서도 통일감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복식에서 나타난 장식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의를 재정립하고 현대 복식 디자인의 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으며, 이로 인해 복식과 장식 디자인의 창의적인 발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Functional Role in Pre- and Postsynaptic AT_(1)Receptors in Purinergic and Noradrenergic Vasoconstriction in the Mesenteric Artery

        차혜 Univ. of Georgia 1993 해외박사

        RANK : 1823

        Angiotensin II의 수용체는 크게 AT₁, AT₂수용체로 나뉘어 진다. AT₁수용체 길항제인losartan은 선천성 고혈압쥐의 mesenteric 및 hindlimb의 혈관확장과 함께 혈압을 저하시켰다. 그러나, 맥박은 변화가 없었다. 혈압과 mesenteric 및 hindlimb의 혈관저항에 미치는 losartan의 효과는 ganglion의 차단에 의해 억제 또는 차단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천성 고혈압쥐에서 관찰되는 losartan의 hemodynamic효과가 부분적으로는 중추신경계에 의해 매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esenteric 혈관계는 총말초저항에 크게 관여하는 중요한 부위로,혈관저항은 purinergic 과 noradrenergic 기전에 의해 매개되는데, 이러한 기전들 angiotensin II에 의해 조절이 될 지도 모른다. Mesenteric 혈관계는 losartan의 중요한 작용부위이므로, 이 혈관계에서의 purinergic과 noradrenergic 혈관수축에 있어서 AT₁수용체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Sprague-Dawley 쥐의 mesenteric 혈관상을 적출하여, angiotensinII를 전처리 하였을 때 , angiotensin II는 동맥주위신경의 자극 및 norepinephrine, phenylephrine에 대한 mesenteric 혈관상의 반응을 증강시켰으며,이러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는 losartan에 의해 차단되었다. 토끼의 mesenteric 동맥에 있어서도, angiotensin II는 nicotine에 의해 유발된 혈관수축을 증강시켰으며, 이러한 증강효과는 losartan에 의해 차단되었다. 그러나,angiotensin II는 외인성ATP에 대한 mesenteric 혈관계의 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Losartan은 norepinephrine의 혈관수축에 대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를 억제한 반면, phenylephrine의 혈관수축에 대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는 억제하지 못했다. 그러나, indomethacin의 존재하에서는 phenylephrine의 혈관수축에 대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가 losartan 에 의해 차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norepinephrine 에대한 mesenteric 동맥의 혈관수축반응에 미치는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는 postsynaptic AT₁수용체에 의해 매개되어 지지만, postsynaptic α -adrenoceptor의 흥분에 따른 혈관 반응에 대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는 angiotensin II에 의한 prostaglandin의 생성에 의해 상쇄될 수 있으며, 이는 아마도 AT₁수용체에 의한 것 임을 시사한다. Losartan자체는 indomethacin의 부재시 norepinephrine 및phenylephrine 에 대한 토끼 mesenteric동맥의 혈관반응을 증강시켰다. 그러나, indomethacin의 존재시에는 losartan은 phenylphrine의 반응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인성 angiotensin II가 noradrenergic혈관수축을 증강시키는 것 같으나, 이러한 효과는 angiotensin 에 의한 prostaglandin의 생성에 의해 상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아마도AT₁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Angiotensin II는 Ca++- free buffer에서 norepinephrine에 대한 토끼 mesenteric동맥의 혈관수축을 증강하였으며, 이는 phospholipase C억제제인, 2-Nitro-4-carboxyphenyl-N,N-diphenylcarbamate (NCDC)에 의해 차단되었다. Losartan은 토끼 mesenteric 동맥에서 nicotine에 의해 유발된 혈관수축반응 중 noradrenergic 부분에 대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를 차단하였으며, 또한 nicotine에 의해 유발된 혈관수축반응 중 noradrenergic 부분에 미치는 ATP의 억제효과에 대한 angiotensin II의 길항작용을 차단하였다. 결론적으로, AT₁수용체는 mesenteric 동맥에서 purinergic 및 noradrenergic neurotransmission 에 대한 angiotensin II의 증강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ostsynaptic AT₁수용체는 phospholipase C를 통해 polyphosphoinositide 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norepinephrine에 대한 혈관의 반응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Angiotensin II는 norepinephrine과 함께 cotransmitter로 분비되어 noradneric neurotransmission,특히 norepinephrine 의 분비를 억제하는 ATP에 대한 생리적 길항제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교감신경계의 neuroeffector junction에 위치하고 있는 AT₁ 수용체에 대한 losartan의 작용이 losartan의 혈압강하효과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noradrenergic 및 purinergic부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G. Puccini와 R. Leoncavallo의 오페라 <라보엠> 中 '무제타 왈쯔' 비교분석

        차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본 논문은 쟈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와 룻제로 레온카발로(Ruggero Leoncavallo, 1857-1919)의 오페라 <라보엠> 중 무제타역의 아리아 ‘무제타 왈쯔’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동일한 원작으로 동시대에 작곡된 두 오페라의 작곡배경을 알리고, 극 중 무제타 아리아의 악곡분석을 통해 두 작품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필자는 푸치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레온카발로의 작품에 관심을 가졌고, 소프라노인 미미가 주인공인 푸치니의 작품과 메조소프라노인 무제타가 주인공인 레온카발로의 작품의 음악적, 내용적 차이에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조연의 역할이지만 극 중 독보적인 캐릭터인 푸치니의 무제타와 극 중 주인공인 레온카발로의 무제타 역할에 같은 왈쯔 리듬의 아리아가 존재하는 것에 흥미를 느껴 두 아리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두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둘의 음악적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리브레토와 주요 캐릭터 비교를 통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이어 ‘무제타 왈쯔’의 가사와 형식과 구조, 악곡을 분석하고 연주자적 관점으로 두 곡을 비교 연구하였다. 푸치니는 보헤미안의 삶 속에 피어나는 사랑을 중점적으로 그려냈고, 레온카발로는 보헤미안의 삶과 생활을 전반적으로 그려냈다. 결과적으로 두 작품은 삶과 사랑을 바라보는 작곡가의 시선에 따라 상반된 특성을 보이고 있고, 같은 배역이 부르는 같은 리듬의 아리아임에도 음악적, 내용적으로 다른 캐릭터가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다. 호소력 짙은 멜로디로 사랑의 감성을 음악에 담아냈던 푸치니에 밀려 레온카발로의 작품은 현재 거의 공연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당시 이탈리아에서 사실적이고 현대적인 오페라로 호평을 받았듯이 독립적으로 훌륭할 뿐 아니라 푸치니의 작곡배경과 원작의 이해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는 작품이다. 그러므로 두 작곡가의 <라보엠>은 베리스모 오페라가 성행하던 시절 보헤미안의 생활을 사실감 있게 담아낸 훌륭한 동명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 및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

        차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를 살펴보고 근무실태 중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이 향상됨으로써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근무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은 어떠한가? 4.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 중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 및 경기도 소재의 어린이집 영아반에서 근무하는 담임교사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사회서비스분야 노동자 현황과 과제(윤정향, 안현미, 이은주, 2020)에서 사용한 설문 내용 중 영역2 소득 및 일하는 시간, 영역3 직장생활과 일하는 환경, 영역4 아동돌봄(보육)에 대한 설문지 내용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였고, 영아반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분리하여 측정하였다.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rgyle(2001)이 개발한 옥스퍼드 행복척도(OHQ: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최영옥(2011)이 수정한 것을 기본으로 사용하였고, 영아반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후 최종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근무실태 중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무실태 중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 중 소득 및 근무시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하루평균 8~9시간 근무하는 교사가 59%로 가장 많았으며, 37%의 교사가 휴게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74%의 교사가 한 달 평균 1시간 미만에서 2시간 이상의 연장근무를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사나 평가 관련 준비로 초과근무를 경험한 교사가 67%로 가장 높았다. 연장근무 수당은 8%만 인정받고 있었고, 휴일근무 시 근무수당에 대한 조사에서는 53%의 교사가 휴일근무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일 근무를 경험한 경우, 19%가 근무수당 대신 대체 휴무일로 제공받고 있고, 9%는 지급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상 교통비가 발생 할 경우 85%의 교사가 업무상 교통비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3%의 교사가 생리휴가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반 교사의 근무실태 중 직장생활과 근무환경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급 병가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곳보다 실시하지 않는 곳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당행위와 차별적 처우, 본인의 업무 외 다른 부가적인 일을 한 경험, 짧은 경력과 근무 형태에 따른 이유로 부당대우를 받은 경험, CCTV 등을 통한 감시나 통제의 경험, 폭언이나 폭행, 성추행을 포함한 성희롱의 경험이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대상은 원장이나 원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나이, 외형이나 성별로 인한 업무상 차별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대상은 주임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당행위가 있었던 경우 그냥 참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퇴사를 결정한 교사가 그 다음 순위로 나타났는데, 부당행위에 대해 무대응 했던 사유로는 75%의 교사가 대응해도 해결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당대우를 경험한 이후 84%의 교사는 보장을 경험하지 못했다. 78%의 교사가 이직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 시기는 1~3년 사이 이직을 계획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교사가 이직이나 퇴직을 고민하는 이유로 64%의 교사가 신체적 피로도가 높은 노동강도로 인해서라고 응답했으며, 45%의 교사가 정신적 피로와 건강상의 이유라고 응답했다. 교사의 채용과정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38%로 나타났고, 공정하지 않다고 느끼는 교사는 26%로 나타났는데, 공개모집을 통해 모집하고 외부인사를 심사위원으로 채용한 경우 공정하다고 느낀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공정하지 않다고 느끼는 이유에 대해서는 원장의 학연 혹은 지연에 의해 면접으로 직접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기본보육시간 도입 이후 28%의 교사는 근로시간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입 이전과 이후 달라진 것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휴게시간은 대부분 보장받지 못하고 있었고, 31%의 교사만 출산휴가나 육아휴가를 보장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이상 근무 시 15일의 휴가를 보장받는지에 대한 여부에 대해서는 71%의 교사가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55%의 교사가 긴급 휴가 사용이 가능했으며, 60%의 교사는 3일 연속 연・월차 사용이 가능했고, 41%의 교사가 정해진 방학 기간에만 휴가 사용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58%의 교사는 법정 공휴일을 포함해 연월차를 받고 있었고, 32%의 교사가 가족생활 돌봄 지원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43%의 교사는 자녀를 양육하며 근무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직원이 일하고 싶은 보육환경을 만들기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 일순위는 급여수준 상향조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실태 중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을 알아본 결과 전체적인 행복감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범주를 살펴보면, 외적 행복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전체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의 하위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행복감의 하위변인 중 외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고, 내적 행복감과 자기조절 행복감에선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외적 행복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근무지의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 및 제도적 환경이 합리적이고 따뜻하며 수용적일 때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아질 것이고 이를 통해 행복감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on working conditions that can ultimately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by increas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fore, a total of 100 teachers working in infant classe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survey used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Yoon, Ahn, Lee, 2020), area 2 income and working hours, area 3 work life and working environment, and area 4 childcare (childcare) were used as basic data, and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separately. Study Issue 1. What is the working status of infant class teachers? 2.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infant class teachers? 3. What is the happiness of the infant class teacher?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the working conditions of infant class teachers? The study surveyed a total of 100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classe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contents used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Yoon, Ahn, Lee, 2020),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on area 2 income and working hours, area 3 work life and working environment, area 4 child care (childcare) were used as basic data, modified and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separately.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of infant teachers,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aire (OHQ) developed by Argyle (2001) was used as a basis based on the translation by Kwon (2008), an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infant class. The IBM SPSS statistics 29.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rend of working conditions of infant class teachers, and an average was calculated to examine job satisfaction among working conditions. Nex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endency of happiness of infant class teachers.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work condi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income and working hours of infant teachers, 59% of teachers worked an average of 8-9 hours a day, 37% of teachers did not have breaks, 74% worked more than 2 hours a month on average, and 67% worked overtime due to events or evaluations. Only 8% of overtime pay is recognized, and 53% of teachers do not work on holidays in a survey on work allowances during holiday work. In the case of experiencing holiday work, 19% are provided as vacation rather than work allowance, and 9% are not. It was found that 85% of teachers did not receive transportation expenses for work when transportation expenses were incurred for work, and 53% of teachers did not know about menstrual rest. Next, looking at the results of a survey on working life and working environment among infant class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places without a paid sick leave system.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ll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including unfair treatment, discriminatory treatment, unfair treatment for reasons of short career and type of work, surveillance or control through CCTV, verbal abuse, assault, and sexual harassment. As for the actor, the head of the agency or the manager was the highest.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work discrimination due to age, appearance, or gender, and the principal teacher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unfair behavior, it was highest to just endure it. Teachers who decided to leave the company came in the next order, and 75% of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as no possibility of a solution even if they responded to unfair acts. After experiencing unfair treatment, 84% of teachers did not experience treatment. It was found that 78% of teachers planned to move to another daycare center, and the most common time to change jobs was teachers who planned to change jobs between one and three years. 64% of teachers said physical labor was difficult for teachers to leave the company. 45% of teachers said their mental work and health were poor. 38% of teachers thought the teacher recruitment process was fair, and 26% felt it was not fair. Most teachers felt that it was fair when they recruited publicly and hired through external judges. On the other hand, most teachers thought that the reason why they felt that it was not fair was because they decided through interviews based on the academic relationship or acquaintance of the head of the agency. Since the government's introduction of basic childcare hours, 28% of teachers reported a decrease in working hours, but 56% said nothing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Most of the breaks were not guaranteed. In addition, only 31% of teachers are guaranteed maternity leave or parental leave. As for whether or not 15 days of vacation are guaranteed after working for more than a year, 71% of teachers said they could use emergency vacation, 60% said they could use three consecutive days of vacation, and 41% said they could only use vacation for a fixed period. 58% of teachers were taking leave, including legal holidays, and 32% said it was possible to use leave for their families. In addition, 43% of teachers were found to be able to work while raising their children. The first priority of the policy that childcare teachers think is most necessary to create a childcare environment where they want to work is to raise the salary level. Second, the results of the job satisfaction survey among the work conditions were found to be a little low.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appiness of infant class teachers, the overall happiness was slightly higher, and when looking at the subcategory, the external happiness was the highest, and the self-regulated happiness was relatively the lowest.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s a who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sub-varia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external happiness among the sub-variants of happine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happiness and self-regulation happines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infant class teachers, the higher the happiness, and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external happiness. In summary, when the physical, human,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the workplace are reasonable, warm, and receptive, the job satisfaction of infant class teachers will increase, which will improve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