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적 귀납법에 관한 오류분석과 개념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차은혜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errors students experienced in solving problems by mathematical induction, and to recognize their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o this end, we raise the following two questions : First, what are types of errors that students show when they solve problems by mathematical induction? Second, what are the influences of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analogy using 'domino' on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induction? The followings conclusions. First, students make errors in solving problems by mathematical induction because they just depend on the format of mathematical induction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ideas.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induction and mathematical induction through this study. Third, by understanding the ideas of mathematical induction, they learned how to deal with mathematical induction accurately.

      • 전이금속 양이온이 도핑된 나노-다공성 폴리아닐린 전도성 복합체의 가역적인 색도변화

        차은혜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열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합성의 용이성 등이 우수한 장점인 폴리아닐린은 범용 용매에 녹지 않고 불융 성질로 인하여 가공성이 매우 낮다. 최근 나노-다공성 및 나노 섬유 형태의 폴리아닐린 합성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2006년 Nature지에 발표된 자기 안정화 분산 기법(self-stabilized dispersion polymerization, SSDP)에 의해 제조된 나노-다공성 폴리아닐린은 불용, 불융 임에도 불구하고 고분자를 용매화 할 수 있는 적당한 범용 용매에 분산시키면 쉽게 분산이 가능하여 마치 용액처럼 행동한다. 또한 표면적이 일반 전도성 고분자 보다 매우 커 양성자 혹은 금속 양이온을 도핑 시킬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도핑이 가능하여 전기 전도도, 분자 내 전하-이동, 공액 구조 등의 변화로 인한 칼라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우리는 나노-다공성 폴리아닐린 전도성 입자의 여러 장점 중 에메랄딘 염기(Emeraldine base, EB), 루코에메랄딘 염기(Leucoemeraldine base, LB)의 반응 결합 자리와 적절히 화합된 금속 착물화에 의한 비색과 전도성 변화가 외부 통제를 효과적으로 따른다는 점에 착안하여 폴리아닐린 고분자 사슬 내 페닐렌 고리 양 옆의 N-H 그룹이 금속 이온과의 복합체에 아주 높은 화학적 유연성을 제공하므로 유연한 화학센서에의 응용과 그 변색성을 기반으로 특정 금속 이온의 정성, 정량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안정화 분산 기법에 의해 나노-다공성 폴리아닐린을 제조했다. 에메랄딘 염기(Emeraldine base, EB), 루코에메랄딘 염기(Leucoemeraldine base, LB)와 금속 이온과의 착물 형성 시 금속 이온에의 선택성과 복합체가 이루는 각각의 구조적 형태에 따른 가역적인 비색 특성을 UV-vis 스펙트럼과 I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 경기도 지역연결체계에서의 광주의 위상변화

        차은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역은 다른 지역과의 상호관계를 갖으며, 이는 체계적 접근을 통해 규명 가능하다. 하지만 지역체계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현대 지역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지역의 역사적인 과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지역체계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전통지역체계에서 현대지역체계로의 변화과정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경기 광주는 조선의 4대 유수부중의 하나로 중요성이 매우 컸던 지역이다. 하지만 오늘날 광주는 서울의 교외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을 뿐 과거의 중심성은 사라진 상태이다. 근대로의 전환과정에서 광주는 뚜렷한 변화를 맞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연결체계의 변화과정을 이해하고, 경기도 지역연결체계에서 광주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그래프 이용을 원용하여 분석적으로 밝혀 보고자 한다. 먼저 행정과 교통 측면에서 광주의 위상 변화를 파악하였다. 경기도 일대의 도로 네트워크 행렬을 구축하고, NetminerⅡ 2.6을 이용하여 경기도의 도로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도로 네트워크에 그래프이론을 적용하여 지역연결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광주는 4대 유수부중의 하나로 조선의 정치·행정·군사 요충지이자 교통의 결절점이였다. 조선후기 광주는 경기 남동부지역연결체계에서 제1차 결절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 국토 전반에 걸쳐 지역체계의 대대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신작로 건설과 전통적인 중심지인 남한산성의 쇠퇴는 광주의 행정구역의 축소와 행정위계의 격하라는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반면 이 시기에 인천은 새로운 항구도시로 급성장 하였다. 지역연결체계에서 광주는 제2차 결절점으로 높은 위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는 하나, 전통적인 중심지 기능은 상실하게 되었다. 셋째, 1970년대 서울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광주에서는 서울의 위성도시로서 성남이 분리 독립하였다. 지역연결체계에서 용인이 제2차 결절점으로 새롭게 등장한 반면, 광주는 제3차 결절점으로 결절성이 낮아졌다. 넷째, 현대의 지역연결체계에서 광주는 하남을 포섭하는 제2차 결절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0년대 하남과 여주·이천 지역을 연결하는 중부고속국도의 개통이 작용한 결과이다. 하지만 지역연결체계에서 광주는 용인에 종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연결체계 상에서 광주는 조선시대 행정과 방어, 교통의 중심지에서 중규모의 서울의 배후지로 그 위상이 변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고속도로에 의한 접근성이 높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Region is interdependently related with other regions, which can be interpreted by systems approach. However, up to now, studies on regional systems have focused upon current situation without regarding its historical process. It would be necessary to divert our attention to traditional regional systems and how they have been evolved. Gwangju city had been one of the traditional central pla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nowadays it has just belonged to one of hinterland area of Seoul. However, it is hardly to find studies about this significant changes of Gwangju city.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o underst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regional system of Gyeonggi province and 2) to analysis how to change Gwangju city in regional linkage system using graph theory. First, in terms of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transformations of status of Gwangju city could be found. Next, using Netminer Ⅱ 2.6 program, Gyeonggi province's road network has been analyzed. Then graph theory was applied to road network matrix to identify regional linkage syste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wangju was one of the four major commanding points in terms of politics, administration, military and transportation. During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Gwang-ju was classified as the first nodal region in the south Gyeonggi regional linkage system. Secon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restructured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including Gyeonggi Province. The advent of new roads and decline of Namhansanseong that used to be traditional center resulted in its sudden change in administrative systems as well as siz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unit. However, Incheon as a new port city had grown rapidly in colonial times. Gwangju city has barely kept its position to the second nodal region with losing its traditional central functions. Third, in the 1970s, as Seoul has grown bigger metropolis, Seongnam as a satellite city became independent city out of Gwangju. Gwangju was degraded to third nodal region while Yongin, nearby newly growing city, was upgraded to second nodal region in the regional linkage system. Fourthly, in the recent regional linkage system, Gwangju became the second nodal region nesting Hanam city due to construction of Jungbu Highway which connects Gwangju to other cities. However, Gwangju is currently subordinated to Yongin in regional linkage system. It can be concluded that Gwangju has experienced the changing status in the regional linkage system from traditional central place with functions of administration, defense and transportation in Joseon dynasty, to medium sized hinterland city of Seoul in South Gyeonggi-do with relatively high accessibility level by highway.

      • 미얀마 분쟁과 기독교 평화교육

        차은혜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People in many places in the world are suffering from war, conflict and violence. Conflict regions in the world, specifically Myanmar, one of poorest countries is still in the conflict situation due to various complex problems. This study tried to derive tasks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peace education and analyzing the conflict situation in Myanmar. Peace education was vitalized as people came to feel the necessity for preventing war and maintaining peace after the 2nd World War. In light of this, the UN was organized and specifically the UNESCO played an educational role. By 1960s, the UNESCO was criticized in terms of such that it neglected structural problems by attributing peace to individuals, and accordingly critical peace education came to exist as an alternative. Critical peace education considered not only direct violence but also structural one as causing non-peace and classified peace with the active approach of the realization of justice through resolving structural violence. In 1970s-1980s, people tried coping with conflict and violence at from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to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s. Peace education came to lay emphasis on not only knowing what constitutes non-peace itself but also developing and having skills and attitudes with which one can create better situations in practice. Myanmar has problems of military dictatorship politically and is also in difficult situations due to Burmese socialistic economy advocated by Ne Win economically. In addition, there are also problems of minority races resulting in constantly existing risks of conflict development. Parts of people under suppression by the military government are struggling for democracy and minority races engage in anti-government activities requesting their autonomy resisting the integration policy by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in Myanmar, what tasks are set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Christian peace education presupposes shalom. Shalom means the well-being of everybody including antiwar-peace, righteous peace and liberation peace. Jesus came to this land in order to deliver people from peace from a Roman perspective which is forced to be maintained through violence and realize real peace based on justice. First of all, in terms of attitudes regarding approach,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uld have ecumenical attitudes. From an ecumenical perspective, the Myanmar are our brothers and sisters and also neighbors.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uld be peace education for settling disputes pursuing shalom. Shalom means antiwar and liberation peace including righteous one. Second,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uld support Myanmar in resolving conflict situations through communications between religions. Third,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uld support and encourage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of all is education and movements generated from the inside but at the same time international support and cooperation should be involved.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곳곳은 전쟁과 분쟁과 폭력으로 신음하고 있다. 세계의 분쟁지역 중에서 미얀마는 특히 최빈국중 하나로 여러 가지 복합적인 문제로 분쟁의 상황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평화교육의 발생과 발전의 내용을 이해하고 미얀마의 분쟁상황을 분석하여 기독교 평화교육의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평화교육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사람들이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낌으로 활발히 시작되었다. 그렇게 조직된 기구가 UN이며 특히 교육적 역할을 담당한 것이 UNESCO이다. 1960년대에 이르러 유네스코는 평화의 원인을 개인에게만 찾음으로서 구조적 문제를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게 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판적 평화교육이 나오게 되었다. 비판적 평화교육은 직접적 폭력뿐 아니라 구조적 폭력이 비평화를 만들어낸다고 보았으며 구조적 폭력의 해소를 통한 정의의 실현이라는 적극적 접근으로 평화를 분류했다. 1970~80년대에는 국가적·세계적 차원에서 지역적 개인적 차원에 이르기 까지 갈등과 폭력의 문제에 관심을 같고 대응을 시도하게 되었다. 평화교육은 무엇이 비평화인지 아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더 나은 상황을 만들기 위한 기술과 태도의 영역과 함께 가야함을 강조하게 되었다. 미얀마는 정치적으로는 군부독재의 문제를 안고 있고 경제적으로는 네윈에 의해 주창된 버마식 사회주의 경제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하는 힘든 상황이다. 게다가 소수민족의 문제 또한 있어서 분쟁의 위험이 늘 잔존하고 있다. 군부독재의 탄압아래에 있는 민중들은 민주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일부가 투쟁하고 있으며, 소수종족은 군부의 통합정책에 반발하여 자신들의 자치권을 주장하며 반정부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미얀마의 상황에서 기독교 평화교육은 어떠한 과제를 가지는가? 기독교 평화교육은 샬롬을 전제로 한다. 샬롬은 공동체 안에서의 모든 이의 안녕을 의미하는 말로 반전평화, 정의로운 평화, 해방 평화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말이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것은 폭력으로 진압하여 유지되는 로마의 평화에 맞서서 민중을 해방 시키고 정의에 토대를 둔 평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우선은 접근의 태도에 있어서 기독교평화교육은 에큐메니칼의 태도이여야 한다. 에큐메니칼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미얀마는 우리의 이웃이며 형제이다. 기독교 평화교육은 첫째 샬롬을 향한 분쟁해결 평화교육이어야 한다. 샬롬은 정의로운 평화와 함께 반전 평화와 해방 평화를 의미한다. 둘째로 기독교 평화교육은 종교 간의 대화를 통해 미얀마의 갈등상황을 해결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로 기독교 평화교육은 국제협력을 지원하고 장려하여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부로 부터의 교육과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지만 동시에 국제적인 지원과 협력 또한 함께 해야 한다.

      • Clinical effectiveness of electrical fire needling for shoulder pain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차은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들은 질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상하지의 근육 약화가 나타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게 됨으로써 빈번하게 관절의 구축과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어깨 관절에서 나타나는 통증 및 구축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매우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견비통 치료에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치료법이 발달되면서 여러 치료법이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火鍼療法의 연장선상으로 電氣 火針 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견비통을 호소하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에게 전기 화침 치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하였다. 총 18명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는 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나뉘어 치료군은 일주일에 2회, 총 4주 동안 전기 화침기기를 이용한 시술을 받았고, 대조군은 가짜 전기 화침치료 시술을 받았다. 그리고 VAS와 PROM을 측정하여 통증과 운동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VAS는 치료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ROM은 치료 전과 치료 후를 비교한 결과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에는 VAS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기 화침치료 이후 견관절의 통증감소와 운동성 증가의 결과를 보인 것으로 보아 전기 화침 자극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견비통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 is a progressive and incurable disease that causes degeneration of the motor neurons of the brain stem and the spinal cord. About half of ALS patients reported pain and joint contracture. Especially, the pain and contracture in shoulder joint are the main causes of decreasing quality of patient's life. Electrical fire needling is a therapeutic measures of applying the stimulation of both acupuncture and heating. And it have effects of relieving pain and joint contracture. ALS patients with shoulder pai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in Wonkwang Gwangju Medical Center had taken electrical fire needling therapy for 8 times. We evaluated the relief of their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VAS), and Passive Range of Motion(PROM). The pain evaluated by VAS w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mobility calculated by ROM was general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generall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electrical fire needl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reducing shoulder pain.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are need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

      • 예술적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 방법론

        차은혜 감리교신학대학교 목회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현대 기독교교육의 대안으로서 예술적 기독교교육의 의미와 가능성을 연구하였고, 그 사례로서 온양한올중학교의 종교수업을 제시하였다. 예술적 기독교교육을 전개하기 위해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해 연구하였고, 그것을 예술적 기독교교육으로 발전시켜 이론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실천한 사례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예술은 인간이 숨을 쉬듯 삶속에서 매일 만나게 되는 경험이다. 예술자체가 이 세상을 살고 있는 인간내면의 표현이며, 사회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예술을 현실의 일부만이 즐기는 문화로 보거나 삶과는 유리된 추상적인 관념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본 논문은 예술을 구체적 현상으로서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주변에서 우리의 마음 속 깊이 스며들어 우리에게 즐거움과 기쁨을 안겨주며, 우리의 생을 윤택하고 충실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예술은 미학이라는 학문으로 체계가 세워지며 미학은 바로 그처럼 소중한 미 및 예술에 관한 학문으로서, 신비롭고 불가사의한 그 정상을 해명하고 그 가치를 탐구하려는 지성적 노력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지성적 탐구활동에 의해서 성찰적 태도로 미나 예술에 관한 이론적·비판적·체계적 지식을 얻음으로써 그 진상을 이해하게 된다. 나아가서는 인류가 이룩한 학술적·문화 도덕적 문화·종교적 문화에 각각 대응되는 진(眞)·미(美)·성(聖) 등 문화가치와 함께 문화의 한 영역을 차지하는 미적 내지 예술적 문화가치의 창조 실현에 있어서 인류의 격조 높은 미적 정조와 세련된 심미안, 건전한 미적 취향을 달성하는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미적 경험을 토대로 예술적 기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수-학습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예술적 기독교교육은 예술적인 도구를 사용한다는 도구적인 방법이라기 보다는 가르침이 예술적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뜻한다. 예술적 기독교교육을 통해 심미적인 경험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감성이 도야된다. 즉, 통전적 교육이 가능해 진다. 학생들은 예술적 기독교교육을 통해 감각의 세계에서 영혼, 정신의 세계로까지 의식을 확장시켜 나가게 되며 이러한 의식의 확장과정은 결국 육체와 영혼, 정신이 조화를 이룬 통전적 인격으로서의 인간을 조화롭게 발달하게 된다. 이제까지의 기독교교육의 교육과정이 추상적 설교, 교리문답, 강의식 공과공부와 같은 주지주의적 언어의 틀에 고정된 수업방식을 전승해 왔다면 이제 그 대안으로 예술적 교육과정을 이야기 해야 한다. 시를 통해 성서의 내용을 서정적으로 깨닫고 역할극을 통해 성서인물을 파악하고, 음악을 통해 나를 위로하고 계시는 실존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하는 일은 고정된 수업방식에서 탈피하여 통전적인 방식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집중한 예술적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 방법론은 학교의 종교수업사례로서 2005년 한 해동안 온양한올중학교 학생들에게 교육하였다. 학생들은 예술적 기독교교육을 통해 심미성을 경험하고 감성을 도야하게 되면서 의미있는 종교수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다소 생소한 방법들과 참여와 표현을 요구하는 수업에 학생들은 불편을 호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적응기간을 거친 후에 학생들은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인간이 통전적 인간으로 조화롭게 성장한다는 의미를 발견하고 최선을 다해 수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물론 학교현장 뿐 아니라 교회의 현장에서도 다양하게 시도해 볼 수 있다. 음향과 공간, 멀티미디어 시설이 갖추어진 교회는 예술적 기독교교육의 도입이 가능하다. 이미 교회는 예술적인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피아노나 음향기기, 그림이나 언어적 접근을 시도해왔다. 이러한 시도와 더불어 심미적 경험과 감성도야를 시도하면서 통전적으로 이를 엮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술적 기독교교육의 통전적 인간형성이라는 목표에 따라 교육의 장이 되는 공간을 재구성하고, 언어와 음악, 회화를 통해 예술적 기독교교육을 시도해야 한다. 성도들이 예배하는 예배공간의 조명, 가구배치, 현수막, 꽃장식, 환경판을 안정감있고 편안한 디자인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늘 강단에만 장식했던 꽃 대신계절을 알릴 수 있는 식물의 화분을 예배를 드리는 여러공간에 배치하여 놓는다거나 표어를 크게 써 놓은 현수막 대신 아름다운 성화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 학생들의 예배 공간이나 활동공간은 생동감있고 활기찬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햇빛을 가리는 블라인드에 교회 아이들의 얼굴을 넣은 사진을 장식할 수도 있고, 함께 학생들과 십자가를 제작하여 개성있고 아름다운 십자가를 장식할 수 있다. 아름다운 사진과 함께 시를 적어놓는 환경판이나 아름다운 그림장식, 따뜻한 색감을 사용한 방석 등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얼마든지 예술적 공간으로 재구성 할 수 있다. 또한 강의식으로 고정되어 있던 언어는 풍부한 창조성을 지닌 방식으로 구성해야하며 설교와 공과공부, 다양한 교육활동에서 사용하는 언어도 예술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강의 위주의 설교대신 성화를 보며 함께 토론하고 그 의미를 함께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성서의 인물에 대해 강의식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역할극이나 영상에 세이, 편지글의 형식으로 재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또한 예술적으로 구성하는 예배를 통해 음악을 통해 느끼고, 서정적 언어로 고백하며, 회화를 통해 의미를 발견하는 식의 예술적 접근은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을 하나로 엮어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예술적 기독교교육을 통해 하나님을 경험하고, 하나님의 존재를 깨닫고,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이를 나의 삶 속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실천하여 영혼과 육체와 정신의 세계로까지 의식을 확장시켜 통전적 인격으로서의 성장하게 될 것이다.

      • BACH 주제에 의한 오르간음악 연구 : Liszt와 Reger의 BACH 주제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차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BACH 주제에 의한 오르간 음악 연구이다. 많은 작곡가들은 BACH 모티브를 이용한 작품들을 남겼으며, 지금도 이 모티브를 이용하여 활발한 작곡활동을 하고 있다. BACH 모티브는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가 1749년 라이프치히에서 작곡한 「푸가의 기법」(Die Kunst der Fugue BWV 1080)의 마지막 푸가에 첫 등장하게 된다. 마지막 푸가가 수록 되어져있는 「콘트라푼크투스 XIV」(Contrapunctus)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그 중 세 번째 부분의 제3주제로 BACH 모티브가 제시되었다. BACH 모티브는 바흐 자신의 이름을 B^(♭), A, C, B□ 음에 재연하여 나타낸 것으로, 아들 바흐(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와 그의 제자인 크렙스(Johann Ludwig Krebs, 1713-1780)에게 이어져 작곡되어진다. 그러나 BACH 모티브와 바흐의 작품들은 시대 속에서 잊혀지게 된다. 바흐의 재발견은 멘델스존(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1829년 3월 11일 베를린(Berlin) 징아카데미(Singakademie)에서 바흐가 서거한 뒤 초연한 「마태 수난곡」(St. Matthew Passion BWV 244)으로 인하여 바흐 부흥운동의 계기를 마련했다. 이 운동으로 인하여 많은 작곡가들은 바흐 음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바흐의 곡을 재발견 하여 연주하기 시작하였다. 여러 작곡가들은 바흐를 추모하면서 BACH 모티브를 이용한 작품을 작곡하였다.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BACH를 위한 프렐류드와 푸가」(Praeludium und Fuge uber B-A-C-H)를 1855년에 작곡하였고, 1870년에 개정하였다. 이 곡은 메르세부르그(St. Merseburg) 성당의 오르간 봉헌식을 위하여 작곡되어져 1856년에 초연되었으며, 나중에 리스트 본인에 의해서 피아노곡으로 편곡되어졌다. 레거(Johann Baptist Maximilian Joseph Max Reger, 1873-1916)의 「BACH를 위한 판타지아와 푸가」(Fantasie und Fuge uber B-A-C-H Op.46)는 1900년에 바흐의 천재성에 대하여 경의를 표한 곡으로 작곡되어졌다. 이 작품은 레거의 생애를 통해 가장 많이 연주되어진 대표작으로, 라인베르거(Josepeh Rheinberger, 1839-1901)에게 헌정 하였다. 리스트와 레거의 두 작품은 BACH 모티브를 주제로 사용한 오르간 작품 중 가장 유명하고, 많이 연주 되어지는 곡이다. 이 두 곡 외에도 BACH 모티브를 사용한 수많은 작품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작곡가들은 바흐를 악보에 새기면서 마음에도 바흐를 새기었다. “음악의 아버지”라고 일컬을 만큼 바흐의 음악은 음악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나 크다. 베토벤은 바흐를 가리켜 “당신은 작은 시냇물이 아니라 드넓은 대양입니다.”라고 멋진 비유를 했다. 이런 바흐를 음에 재연한 것은 대단한 유산인 것이다. The BACH motif of bach appears in 「the art of Fuga」Die Kunst der Fuge, BWV 1080) composed in Leipzig from 1745 to 1750. Although the final Fuga of 「the art of Fua」 was done unfinished, 「Contrapuntus XIV」 consisted of 5 chapters with 4 parts. After that, the motif was succeeded and composed by his son, Johann Christian Bach and his student Johann Ludwig Keurepseu. As many musics of Bach were rediscovered and there was Bach campaign in 19th century, many composers were interested in his musics and played them, even several composers wrote musics with theme of BACH motif in the memory of Bach. In this study, definition and origin of BACH motif was reviewed and examined and analyzed carefully selected 2 organ works. F. Liszt -「Praeludium und Fuge uber B-A-C-H」, M. Reger -「Fantasie und Fuge uber B-A-C-H, op.46」.There, the use of BACH Motif appears as various types and mostly appears in Fuga musics in which appears as showing, supporting and expressing themes, and it did not stop just showing them but even responding to the themes. The motif themes of BACH has either expanded and reduced types of notes, and changes the key and intervals, which makes theme more splendid and magnificent. Although we examined the use, method and the role of BACH moti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why So many composers used that motif. It is because of the respect and love for Bach. Bach is indispensable like life and air not only in various fields of music of the music history but in the organ musics. Therefore, Bach put his unexplicable feelings in those four notes. When playing these musics, it will have great importance for performer to have Bach in his mind.

      • A.Dvořak의 연가곡 <Liebeslieder Op.83>에 관한 연구

        차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드보르작(Anton Dvo&#345;ak, 1841-1904)은 민족의식과 조국에 대한 애정을 높은 예술적 가치로 승화시킨 19세기 후기 낭만주의 국민악파의 한 사람으로 체코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고전형식의 틀 속에서 체코인의 정서와 사고, 언어, 노래와 춤들을 결합시켜 교회음악을 비롯하여, 성악곡, 기악곡, 실내악, 오페라 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100여 곡에 이르는 성악곡은 낭만주의 기법으로 표제음악을 구사하면서 보헤미아 민족주의 음악에 기초를 두고 정통 유럽음악을 추구했으며 , 그의 경건한 신앙과 조국애를 잘 표현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연가곡집 <사랑의 노래>는 드보르작이 실제로 겪은 실연의 괴로움을 달래기 위해 작곡한 곡이다. 본 논문에서는8곡으로 구성된 <사랑의 노래(Liebeslieder, Op. 83)> 전곡의 작품분석을 통해 음악과 선율, 반주와 가사와의 관계는 물론 시의 내용을 어떻게 음악적으로 표현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보는 체코어와 독일어가 병기된 <Masters Music Publications, Inc>에서 출판한 Critical Edition(M1501)을 참고했으며, 대부분의 분석 자료가 독일어를 기초로 하고 있는 만큼 독일어 가사를 기초로 분석을 하였다. Antonin Dvo&#345;ak was good at absorbing elements of folk music into a polished classic form out of racial musicians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he had a lot of effects on diverse composers as a composer representing Slavic music. As a nationalistic composer of Czech, his music has universality of global music phraseology with features of nationalistic music. In his song cycle "The Love Song", we can discover some impressive skills in development of motive, structure of melody and modulation. Such skills express his music phraseology although they are not only his skills. First, most of melody is making the total melody with fundamentally the same matters of melody by continuing to change trans-position or composition in short pieces of about two measures and adding one or two notes partially, not being connected in a long and new way. Such a skill gives strong consistency and unity to the total melody with limited matters of melody. However, he changed structure which might be simple with transposition or modulation. Second, in the side of structure, he is not in a schematic form since he is making free change through transposition or repetition although he keeps a regular form of song in overfall. Through the above, he give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to each song by free melody and development of phrase. Third, we can discover impressive modulation and progerss of harmony in his works. Continuity of phrases deferring solution by irregular half cadence of modulation is forming very impressive, polished and tensed paragraphs. Diverse skills of such harmony and modulation imply that Dvo&#345;ak is a composer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classic frame and a romantic composer at once. Through analysis on Dvo&#345;ak's song cycle "The Love Song" the study examined his music phraseology and reserched how racial of post Romanism was embodied in his works. Dvo&#345;ak made music with universality by combining features of Bohemian folk music with Western classic skills and his song cycle "The Love Song" is his representative work expressing feature of his music well.

      • 프리모 순환계에 대한 연구 : 에반스 블루 용액으로 염색된 쥐의 피부의 유전자 발현 특성 연구

        차은혜 원광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經絡은 氣血循環의 통로로, 人體의 內外上下를 연결하며, 五臟六腑, 四肢, 五官, 皮, 肉, 筋, 脈, 骨과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인체 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인체 내외의 모든 조직과 기관은 經絡을 통해 氣血의 濡養灌漑를 받아야만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韓醫學의 대표적인 治療法 중 하나인 針灸療法은 체표상의 일정한 부위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생체에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治療法으로써, 그 자극부위는 주로 經穴 및 經絡이 된다. 봉한학설은 북한의 김봉한 박사에 의해 주장된 經絡學說에 관한 가설로, 經絡에 관한 조직, 해부학적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초 서울대 소광섭 교수 연구팀에 의해 재조명 되었고, 이를 프리모 순환계(Primo Vascular Circulatory System, PVS)라 하였다. 經絡 및 經穴의 실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여러 시도가 이루어 졌고,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아직 실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피부의 프리모 순환계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Sprague Dawley Rat에 Evans Blue로 미정맥 주사를 하여 일반 피부조직과 다르게 푸르게 염색된 피부 프리모 노드를 선별하였으며, 그밖에 림프노드도 채취하여 세가지 군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보고자하였다. 그 결과, 피부와 피부프리모 노드 사이에 유전자 발현량 차이를 보였으며, 피부 프리모 노드에서는 세포분화와 신경 재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현되었다. A meridian system is considered as the pathways of Qi and blood through which all the energy flow all over the body for circulation. Each of meridians connects to organs and extends to extremities. Therefore, the meridian system can be said to be a unique circulatory one connecting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up to the down and the internal organs. Meridian theory is an important discipline that is the basi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of the oriental medicine. Bong-Han theory(BH theory) was first reported in 1962 by Bong-han Kim(BH Kim), who discovered novel threadlike ducts at the meridians of human and animal skin[5]. He claimed completely new circulatory system called ‘Kyungrak system’ exist not only in the skin but also throughout the body organs and inside the blood and lymph vessel. Recently, led by Ph.D Kwang-Sup Soh, at the Biomedical Physics Labora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 number of Korean research groups dedicated a research to confirm BH theory scientifically and renamed BH theory as primo vascular system.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skin tissue, skin primonodes and lymph nodes by gene analysis. Sprague Dawley Rat was injected with Evans Blue solution to isolate primo nodes in skin. Lymph nodes, skin tissues were also colle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gene expression in three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skin and the skin primo nodes, and the number of genes involved in cell differentiation and nerve regeneration was relatively more expressed in the skin primo node than other tissues.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용언 활용

        차은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정신 연령이 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언어발달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수행을 보인다. 이는 구문론, 형태론적 측면에서 더 두드러지는데, 형태론적 측면에서 용언의 발달은 성인의 발화와 같은 모습을 띄게 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이 친숙한 용언과 친숙하지 않은 용언을 접했을 때, 규칙성이 있는 용언과 불규칙한 용언을 접했을 때 얼마나 정확하게 용언 활용의 산출이 가능한가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총 20명으로, 언어연령이 만 6~7세인 경도 지적장애 아동 10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0명이었다. 연구 과제는 총 80문항으로, 친숙한 용언 40문항, 비친숙한 용언 40문항 이였고, 각 유형별로 규칙 용언 20문항, 불규칙 용언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용언 당 한 장의 그림이 제시되고, 연구자가 아동에게 그림을 제시하면서 기본 문항을 들려주었다. 아동은 기본 문항을 듣고 연구자의 유도에 따라 하나의 그림 당 총 4개의 어미로 용언 활용을 발화하는 형식으로 진행 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행 능력을 보였다. 둘째, 집단 간 용언의 친숙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 내에서 친숙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 간 용언의 규칙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 내에서 규칙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용언 활용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낮은 수행 능력을 보였으나 두 그룹 간 수행 양상에서 패턴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경도 지적장애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언어 발달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지체를 보이는 특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집단 내에서 친숙한 용언과 비친숙한 용언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두 집단 모두 자신의 경험에서 오는 지식을 토대로 용언 활용을 하기 때문에 친숙도에 따라 다른 수행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규칙 용언과 불규칙 용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아동이 가진 학습 능력과 지식을 기반으로 규칙성을 적용하여 용언 활용을 하기 때문에 다른 수행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경도 지적장애 아동이 용언 활용 수행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 대한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 lower performance in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compared to normal children. This is more apparent in syntax and morphology. The advanced predicates play an important part for a child’s speech to sound like that of an adult. Therefore, this study tested how well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same aged normal children can use various predicates when exposed to a) familiar and unfamiliar predicates, and b) predicates with rules and predicates with no rules. A total of 20 children aged 6-7 were the objects of this study. 10 children ha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other 10 were normal.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a total of 80 questions: 40 familiar and 40 unfamiliar predicates. Each question type was comprised of 20 predicates with rules, and 20 with no rules. The researcher provided a picture describing each predicate, and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read out the base form of the predicate to the children. The children were asked to use the predicate in 4 different endings after hearing the base form of the predicate from the researcher.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compared to normal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miliarity across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 within the group when it comes to familiar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dicates with rules across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 within the group regarding the predicates with rules. As a conclusio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lower performance in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compared to normal children, but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across the two groups and the patterns in aspects of language performance. This appears to be caused by the overall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difference in language performance regarding familiarity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use of predicates is much influenced by experimental knowledge of both two groups. As for the noticeable difference in predicates with rules and no rules, it seems that children apply their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in using these predicates, and therefore, the difference is cau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l have difficulties in using different predicates. Hence, advisors should consider the result of the study while educating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