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유빈의 졸업 작품 「Walkin With」 해설

        차유빈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71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예술적 전위는 몇 세대 간의 문화적 격차를 뛰어넘어 21세기를 살고 있는 나에게 끊임없는 영향을 준다. 본 작품의 제목은 <Walkin With>이고 주제는 ‘전통 재즈’ 이다. 50-60년대 재즈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 들을 현재 나의 음악에 적용하여, ‘전통 재즈’의 예술적인 의미를 오늘을 살고 있는 나의 관점으로 재해석 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매력을 느끼는 ‘전통 재즈’ 스타일의 특징 요소들을 적절히 구현 한 곡들을 작곡하고 연주하여 관악기 편성의 50-60 년대 재즈 스타일 연주기법과 악기들의 기능적 활용을 연구하고자 한다.

      • Polymer Gel Formed by Photo-CrossLinking Reaction and its Reversible Sol-Gel Transition

        차유빈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Polymer networks are materials crosslinked by interactions, such as hydrogen bonding or coordination interactions polymer materials show very interesting and specific properties resulting from their dynamic nature, such as self-healing, stimuliresponsiveness and adaptability. In this study, the method of polymerization in polymer-based networks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coordination polymer particles and supramolecular polymer. In chapter 1, A polymer gel was prepared from 3-cyanocarbazole-based building block 1 and thymine-based building block 2 via photo-cross-linking between 3- cyanocarbazole and thymine groups by irradiation UV, a novel and simple method to obtain a synthesis material. Values for storage and loss moduli of 1 and 2 steadily increased during photo-cross-linking. This polymer gel was transformed back to the solution state by decomposition of the polymer network to the monomers via irradiation with 312 nm specific UV light. In chapter 2, A Spherical and cubic shaped coordination polymer 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a facile solvothermal method of both alanine-appended benzene tricarboxamide building blocks 1 and/or terephthalic acid-based building blocks 2 in the presence of Zn(NO3)2 in DMF. First, high concentrations of 1, spherical particles were obtained in high yield because of the pliability of the building block bearing three-substituents. In contrast, cubic particles were obtain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2 due to their rigidity of this building block. The crystalline content of the cubic shaped p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pherical shaped morphologies. Ultimately, particle shapes produced depended on the relative ratio of both building blocks used. 고분자 네트워크는 수소결합이나 공유결합과 같은 물질 네트워크의일종이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은 아주 흥미롭고 특이한 성질을 잘 보여주는데 예를 들어 자가치료나 외부 자극에 의한 반응 그리고 적용성 같은동적인 기능들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폴리머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 하였으며 각각 배위 고분자(CPPs)와 초 분자 물질에 대해 실험하였다. 1장 에서는, 3-Cyanocarbazole과 Thymine기를 갖는 두 화합물의 수용액에 자외선 빛을 통해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광 가교 결합을 통한 고분자화로 초분자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먼저 thymine이 도입된 calix[4]arene 유도체를 3단계, 알킬사슬의 양쪽에 3-cyanocarbazole을 도입한 빌딩블럭을 2단계에 거쳐 합성하였다. 이러한 두 빌딩블록은 양쪽의 존재 하에 365 nm 라는 특정 빛 파장을 조사하게 되면 광 가교결합을 통한 공유결합 형성으로 고분자화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물질의 졸-겔 전이와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NMR, IR, UV 를통해 물질의 반응 과정을 관찰하였고 SEM 관찰을 통하여고분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증거를 확인 하였다. 반대로, 312nm의 빛을 조사하게 됨으로써 다시 고분자젤이 단분자체로 돌아가는 것을 확인하여 이 물질의 가역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챕터 2에서는, tricarboxamide를 기반으로 알라닌을 합성한 빌딩블록1을 합성하고 시판하는 물질인 Terephthalic acid 두가지를 이용하여 배위 고분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Dimethylformamide 용매에 충분한 Zn(NO3)2를 첨가한 후에 빌딩 블록 1과 2를 넣어 간단한 용매열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빌딩블록 1을 높은 비율로 첨가하여 용매열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한 결과 빌딩블록 1의 C3 구조의 특성과 유연성으로인해 구형의 모폴로지가 합성 되었으며 빌딩블록 2가 높은 비율로 첨가되면 빌딩블록 2의 구조적 경직성에 의하여 큐브 형태의 모폴로지로 합성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큐브 형태의 경우 구형보다 결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두 모폴로지의 형태는 각각의 빌딩 블록의 비율에 따라 결정 된 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 아두이노와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한 연구

        차유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4차 산업의 혁명의 도래로 다양한 국가와 연령층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 심을 가지고 참여할 뿐만 아니라 높아진 수요에 따라 초등교육에서부터 고등교 육에 이르기까지 필수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여 경쟁력을 갖추며 인 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코딩 교육현장에서는 누구나 손쉽게 접근 가능 하고 컨트롤이 가능한 아두이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아두이노는 플랫폼 특성 상 간단한 프로그래밍 부터 IOT 연계까지 응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분야가 매 우 다양하기 때문에 독창적이고 융합적인 부분으로 범위를 넓혀 연구가 가능하 다. 또한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아두이노 특성을 이용한 특정 상품의 개발이나 서비스의 제공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4차산업 의 정보 통신 분야에서의 가장 큰 화두는 단연 빅데이터이다. 여러 기업들은 양 질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획득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가하고 있다. 다시말해 데이터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경쟁력이 된 셈이다.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보다 너무나 방대하여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수집, 관리, 분석하는 역량을 넘어서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빛을 발하는것이 바로 데이터의 시각화이다. 데이터의 시각화는 여러가지 분야를 아우르며 우리 의 일상생활 전반에 다양한 형태로 자리잡고 이용되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은 대학 및 교육연구기관에서만 특정적으로 교육이 되고 있어 배움의 기회가 크지 않은 편이다. 이에 중·고등교육에서의 활용 또한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부분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아두이노와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고 배울 수 있는 연구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 개발의 주된 내용으로는 학생들이 쉽게 접근 가능하고 흥미유발에 용이한 1) 스마트팜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한 ‘스마트 플랜트 시스템과 ‘ 2)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를 결합하여 진행 할 예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같은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워드클라우드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고등교육 연구, ‘스마트 플랜트 워드클라 우드’ 를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함양 할 수 있으며 이 를 통해 목표하는 ‘Design Thinking’을 자연스럽게 학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어렵게 느껴지는 프로그래밍 활용교육의 진입장벽과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며 부가적인 응용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한국영어학습자의 어휘오용화석화현상 : 개념적 불일치성을 보이는 한.영어휘를 중심으로

        차유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ssilization of word misusag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due to conceptual mismatch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word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currently used 7th grade English textbooks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conceptual mismatch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words will affect the persistence of fossilization in acquiring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To this en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juniors and seniors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rammatical errors account for 64.82% of the errors found in the English textbooks, followed by conceptual errors(27.62%) and others(8.65%) respectively. Confirmed misused conceptual errors were categorized into verb, noun, preposition, adverb, and adjective. Noun misusages top the rank of 34%, with verb representing 29.33%, preposition 20.67%, adverb 4.67% and adjective 11.33%. Secondly, the survey of the 100 subjects reveals that the most errors are of grammar accounting for 80.71%, followed by preposition(78.18%), noun(69.91%), adjective(63.38%) and adverb(44.85%). The subjects of juniors make poorer performance in terms of correct usage of noun, verb, preposition, and adverb when the findings from those two grade groups are compared each other. Thus, it is imperative that more comprehensive and thorough research be conducted in order for the revision of new textbooks to be revised. It is desirable to design new English textbooks that enable student to effectively distinguish the words with similar meanings. Furthermore, they should be designed to direct students’ attention move on the appropriate usages of verbs, which the subjects were worst in the text.

      • 초등학교 고학년용 플로리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차유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플로리시는 웰빙을 측정할 수 있는 최선의 기준이며 우리는 플로리시의 향상을 통해 행복을 누릴 수 있다. 플로리시 척도 개발은 응답자의 웰빙 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용 플로리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 고학년용 플로리시 척도의 요인과 문항 구성은 어 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 개발된 플로리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플로리시의 개념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하위 요인을 설정하였다. 둘째, 1차 예비 문항을 구성한 후 초등교사 및 교육심리 전공 석사과정 이상 전문가 6인과 함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항 수정 등의 논의를 통해 요인당 6개의 문항을 선별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을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플로리시 척도를 확정하였다. 넷째,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위해 준거타당도 및 공인 타당도를 산출하였다. 다집단 요인분석을 활용한 교차 타당도 역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5문항, 4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4개의 요인은 각각 긍정적 감정(4문항), 몰입(4문항), 관계(3문항), 목표-성취(4문항)이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긍정적 감정, 몰입, 관계, 목표-성취 4개의 요인으로 이루어진 4요인 모형으로 적합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해당 모형은 적합도 및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적합하게 산출되었다. 셋째, 본 척도와 K-PERMA, 우울, 긍정심리자본, 학습 몰입, 자존감, 지각된 스트레스 등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준거 타당도를 얻었다. 넷째, 다집단 요인분석 결과 교차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교차타당도를 위한 집단들은 연구 대상 내에 무작위 추출법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표집하였으며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두 기준에 맞게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플로리시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였다. 이전까지의 국내 연구에서 플로리시를 측정할 때는 Butler와 Kern(2016)이 개발한 성인용 척도를 번안해 사용하였다. 이는 단순한 번안으로 국내의 문화적‧사회적 상황에 맞지 않을 위험이 있으며, 초등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 초등학생의 플로리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플로리시 척도의 개발이 필요했다. 둘째, 기존 플로리시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Seligman(2011)은 플로리시의 구성요소를 PERMA의 5요인으로 규정하였으나 국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연구를 진행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과정에서 기존에 있던 요인 중 의미와 성취 요인을 합치는 것이 합당하다고 결론 내렸으며, 그 이름을 목표-성취 요인으로 붙였다. 아직 초등학생의 플로리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발견은 향후의 플로리시 연구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셋째,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플로리시 척도의 단순한 번안이 아닌 초등학생의 수준의 어휘와 상황 설정을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다. 초등학생은 성격이 형성되며 사회성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이와 같은 시점에 플로리시를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절실할 것이다. 본 연구의 플로리시 척도를 활용한다면 교육 현장에서 초등학생의 플로리시 상태를 각 요인별로 파악하여 적절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rationalize the flourish scale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actors and items of the flourish scale? Second, What 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flourish scale? The research process for verifying these research problems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flourish and its sub-factors (PERMA)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Second, after creating preliminary items,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with six experts. Six questions were selected per factor. Third, a total of 248 4th to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tems of final scale were selected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final flourish scale was confirmed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rth,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calculated. A cross-validation using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lso verified. Analyses were used the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 Fir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15 questions and four factors being extracted. The 4 factors are positive emotion (four questions), flow (four questions), relationship (three questions), and goal achievement (four questions). Second,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four-factor model for the developed flourish scale had a good fit. And the scale also confirm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ir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K-PERMA, depress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flow, self-esteem, perceived stress, the concurren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verified. Fourth, the cross-validation of the flourish scal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a multi-group factor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flourish scale suitable for the upper-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Since existing scales measuring flourish were developed based on adult and adolescent samples, they were not appropriate for children considering the level of their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cale to accurately measure the flouris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Second, the current scal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lourish theory. While the original flourish scale (PERMA) has five factor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four factors extracte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ppears to be reasonable to combine the ‘meaning of life’ and ‘achievement’ factors take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into consideration. Third, the current scale can be highly utilized in the education field. In this work, questions are specifically tailored to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chool contexts in which they reside. Using the flourish scale of this study, the level of authentic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 assessed and the results can be useful for increasing their flourish

      •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 자존감, 주관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관계

        차유빈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 직업유무, 결혼 상태에 따른 감사성향, 자존감, 주관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 자존감, 주관적 행복감이 생활만족도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창원시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2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은 60대 초반 중년 여성이거나 직업이 없는 여성, 기타 또는 결혼 상태에 있는 중년 여성이 더 높았다. 자존감도 직업이 없거나 기타 또는 결혼 상태에 있는 중년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 자존감, 주관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와 하위요인들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 자존감, 주관적 행복감은 모두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며 설명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은 생활만족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과 자존감 및 주관적 행복감이 생활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 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중년 여성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중년 여성의 감사성향과 자존감 및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년 여성들이 이러한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if age, profession, and married status of middle aged women are attributed to their tendency to gratitude, self-esteem, and scale of happiness, and thus their life satisfaction. To explore this, the date of 285 women currently living in the city of Changwon were specifically analyzed. First and foremost, as a result of this study, married women in early 60’s with no profession have not only stronger tendency of gratitude but also higher self-esteem. Secondly, the probability of being grateful, self-esteem,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daily life have all mutual association. The tendency of feeling grateful, self-dign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ged women is meaningfully related to their life satisfaction, providing vaild evidence that they are considered as significant variable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states that the inclination of gratitude,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affect on the one’s life satisfaction. To improv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n need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the qualities, and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should be encour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