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체 종사자의 전문적 상담 추구 의도에 대한 연구 :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경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n employee’s public stigma and self-stigma affec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and intention. For this, I have studied 576 working employees over 19 years of age nationwide. I also set up a theoretical model for public stigma, self-stigma, relationship of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and its intention, which wer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nd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it was proven that the intention is the main variable in predicting behaviors, studies on professional help-seeking is expanding from attitude to intention. Before starting this study, I developed intentions to professional help-seeking inventory. I have prepared a preliminary study on service by EAP, company counseling subjects, and analysis on counseling requests. I have also prepared open-ended questionnaires for 104 employee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a company. Moreover, 19 questions were composed in family, health, mental, personality, relationship, career path, and work place matters.Results for theoretical model of an employee’s public stigma, self-stigma, attitude and intention to seek professional help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tigma and self-stigma is positively related.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done with college students, this interrelation is higher with employees. This means that the employee’s public stigma affects self-stigma more. Therefore, to activate the counseling service for employees, managements and employees of the company should have a positive awareness and support the usage by promoting its efficiency. Furthermore, there needs to be an institutional support for confidentiality to prevent any discrimination. Secondly, self-stigma fully mediates public stigma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is means that one’s public stigma is internalized to make self-stigma, and this self-stigma leads to negative relations of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Thus, the counselor should use the strategy to decrease self-stigma. Lastly, it was proven that the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is a suppressor variable. It was guessed that ATSPPH-SF,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recognized as a requirement for counseling rather than its “good or bad” counseling evaluation, and thus by increasing intentional direct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the pursuit of help-seeking expanded from its previous study on college students to employees. Secondly, by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stigma and the pursuit of professional help-seeking, it provides information on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al strategy to activate the employee counseling service. Thirdly, it developed professional help-seeking intentions for employees to study them by predicting its process. Lastly, this study directly reflects needs by employees since it was done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Therefore, I expect it to be useful in figuring out his/her counseling needs in employee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기업체 종사자의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및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체에 종사하는 만 19세 이상의 남녀 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의도의 관계를 이론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목록을 개발하였다.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목록은 EAP의 제공서비스, 기업상담 주제, 근로자 상담요구 분석 등에 대한 선행연구와 104명의 국내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전문가 평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가정문제, 건강문제, 정신건강 & 성격, 이성문제, 진로문제, 직장문제 등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19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기업체 종사자의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및 의도의 이론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낙인이 높을수록 자기 낙인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와 비교하여 기업체 종사자의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업체 종사자의 경우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업체 종사자의 상담서비스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경영자 및 직 원들이 상담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이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기업상담에 대한 효용성을 개인적․조직적 차원에서 홍보하고 비밀보장 및 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차별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한 환경에서 상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자기 낙인은 사회적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낙인이 내면화되어 자기 낙인을 형성하고 자기 낙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 로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는 자기 낙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와의 관계에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가 매개변수가 아닌 억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단축형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가 상담에 대한 호의적․비호의적 평가보다는 상담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식되어 낙인과 의도의 직접효과를 높이게 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에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의 관계를 기업체 종사자로 확장하여 탐색하였다. 둘째, 기업체 종사자의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기업체 종사자의 상담서비스 이용을 활성화 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셋째,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개발하여 기업체 종사자의 전문적 도움추구 과정을 예측하는데 있어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를 포함한 연구가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목록은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제작되었으므로 기업체 종사자의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실제적인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업상담에 있어 기업체 종사자의 상담 요구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진경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남 및 세종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92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근무환경, 전문성 인식, 이직의도에 대해 설문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 이직의도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근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지영(2002)이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에서 제작한 설문지를 인용하였으며 ‘유치원’이라는 용어를 ‘어린이집’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혜린(1993)과 김지연(1997)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이 경(2002)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직의도는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고 서지영(2002)이 번안하여 유현숙(2013)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의 alpha 값을 산출하고,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전문성 인식, 이직의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등의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 차이검증(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 및 이직의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을 때 근무환경은 평균 3.35(SD =.55), 전문성 인식은 평균3.70(SD =.45)로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의 경우 3.36(SD=.98)으로 보통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는 교사 특성변인은 근무기관 유형이었다.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들에 비하여, 민간이나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직의도가 더 높았다. 보육교사의 결혼상태와 연령도 이직의도와 관련성이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은 대체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근무환경 및 전문성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근무환경 수준을 높게 인식할수록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으며, 근무환경 또는 전문성 인식에 대해 낮게 인식할수록 이직의도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지위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의 하위요인으로는 보상정도, 원장의지지. 의사결정 참여 정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이 이직의도와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이직률을 낮추어 영유아에게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관장의 지원 및 의사결정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근무환경이 필요하고, 보육교사 스스로가 보육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업이라고 인식할 만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s a childcare teacher,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192 childcare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do, Chungnam and Sejong, were surveyed regarding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enters types, marital status and age of childcare teachers had associations with turnover intention. Also,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working environment and professionalism had meaningful relations with turnover intention. Teachers’ positive ratings of their work environment were linked with low turnover intention. In the same manner, teachers’ high professionalism as a childcare teacher was associated with low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sound work environment and soc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might be key factors for high quality childcare.

      • 특허 정보 및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기술주도형 기술로드맵 작성 방법론

        진경미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echnology is now a core competence to strengthen our competitive advantage and to create wealth. Technology make new products and service create new market and play a key role in being more competitive through the cost deduction and product differentiation. One of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ools supporting the process of technology innovation is a technology roadmap (TRM), an approach that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or emerging technology to meet business goals. Many studies have dealt with TRM designed primarily for a market-driven technology planning process. However, a technology-driven TRM is far less well-studied than the market-driven one. Furthermore, approaches to a technology-driven roadmap using quantitative echnological information have rarely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to identify both profitable markets and promising product concepts based on technology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ology is for drawing up technology-driven TRM starting with a given technology that has been developed. The process is largely composed of two sections, one of which is the process to identify existing technologies, products and market the firm has. The other process is for presenting new technology. This study suggests two QFDs to draw up the TRM, to find new business opportunities. A case study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proposed approach, using patents on the solar lighting devices, which is catching on as a high-tech way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uce fuel cost.

      • 다중 영상에서의 텐서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생성

        진경미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영상 기반 렌더링(Image-Based Rendering)이라는 실시간 영상 생성을 위한 새로운 가시화 기법이 제안되었다. 영상 기반 렌더링은 3차원 장면의 새로운 형태를 렌더링하기 위해서 볼륨의 구성없이 단면 영상들만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2차원 참조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추출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본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된 실세계의 물체 영상으로 대상 물체나 카메라의 위치와 같은 기하 정보의 고려 없이 새로운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여 Laveau와 Faugeras에 의해 제안된 fundamental matrix로부터 2차원으로 투영된 영상의 각 점들에 관계를 파악하고, A vidan과 Shashua에 의해 제안된 trilinear 텐서를 적용함으로써 제한된 범주 내에서 이동된 시점에서의 영상을 재투영하여 생성한다. 또한 두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임의의 시점에서 바라본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중 영상의 사용으로 물체를 360도 회전하며 볼 수 있도록 확장하기 위해서 참조 영상의 수를 확장하여 변화하는 시점에 따라 해당되는 참조 영상으로 부터 새로운 영상들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참조 영상으로 육면체, 비너스와 같은 컴퓨터 그래픽스에 의한 2차원 영상과 실세계의 사물을 카메라로 획득한 2차원 영상을 사용하였다. 육면체와 실사물 영상인 컵 영상의 두 참조 영상을 사용하여 가상카메라의 이동과 회전 등 여러 시점에서의 새로운 영상들을 생성하고, 18쌍의 비너스 영상을 사용하여 시점이 물체 주위를 회전하며 바라볼 때의 영상들을 생성한다. Recently, Image-based Rendering was proposed as new visualization technique to generate images in real-time. Image-based Rendering use image of only one face without constructing volume to render new appearance of 3D scene, which generate image viewing at any position by drawing out 3D information from 2D reference images. In this paper, novel image is generated in real-time with object images of real world that is acquired by using general camera without geometry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of object or camera. Images are reprojected images in restricted view with two images by using fundamental matrix which represent relation of each points on images projected to 2D plane and trilinear tensor which is proposed by shashua. Also, multi-image is used to view surrounding of object and novel images are generated from two suitable reference images along novel view. And I experiment with cube image and venus image made by computer, and cup image acquired in real world as reference images.

      • 실내공간과 가구의 상호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진경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urniture plays an important role of connecting human and architecture, and in accordance with which furniture is placed in a space, it often defines the characteristic of the space and expresses one's lifestyle. Furnitures must establish a rational relationship with other elements created in the space by finding harmony with the physical elements in the architectural space. Today's modern society could be said that it is an era of confusion and diversity, where the pace of change is rapidly accelerating every second. In the flow of global socio-culture, the border of different territories has broke down and enable to exchange significant influence to each other. The recent interior design trend is to attempt a more unfixed and liberal space form which we do not often experience in our daily life. Along with the deconstruction idea form postmoderis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border of other territories have been destroyed and this also result as obsc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rniture and other interior components. In other words, furniture is no longer a individual element in a space, but it interacts with architecture. It ables to create diverse interior space, as in times furniture be subject to architecture and become an architectural space and in other times architectural components become furniture. This thesis 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elements and furniture, concentrating on its ambiguous border in the two. Beforehand the research of interrelation between space elements and furniture, first an theoretical study on space elements and furniture and the study on relations of two in modern architecture was taken place. In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ivide the interrelations in three trends. First where components become a furniture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form or function, second where furniture does the function of interior elements, and third the most common case where elements and furniture combine.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few case studies are mad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ations between space elements and furniture. They are taken in three different sorts, the form expressive side, space constitutive side and systematic side. The analytical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ations in the form expressive perspective could be continual expression, objet expression and organic expression. Firstly, consecutive expression is a characteristic, which the elements composing interior space such as, wall, floor, ceiling and stairs are combined with changeable elements as furniture, and the space seems to have an consistent connecting continuity throughout the whole surface. This consecutive surface is often expressed when space elements and furniture is uniformed. Secondly, the interactiveness of elements and furniture creates a new form and function, and this gains the symbolism as an objet expressing the interior space. The objet space composition is find in various interrelations as when elements and furniture are combined, when elements become furniture, and when furniture becomes the element. Thir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 and digital technology in these days, more freedom is allowed in designing form. Introducing the organic expression in the processing perspective, the borders of elements are demolished and space is organically becoming uniformed. This organic unity is often expressed in the case where elements and furniture combined. In the spatial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ations are defined as changeable space, reiterating space and ambiguous space. Firstly, the inter-relation of elements and furniture shows changeable characteristics, where it creates a new space through the interactiveness of the subject remaining in the space. Secondly, when programs are reiterate, a more complex function is found, where diverse activities and events are possible to happen. This function reiteration is often expressed when elements become furniture, as more events are taken place in the components. Thirdly, interrelation eliminates the hierarchy of space, creating a space with vague borders. Influenced by flux and continual space flow, modern space classification, such as interior/exterior, upper/lower, functional division becomes unclear, and as a result, borders are expanded. In the systematic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ations are revealed as functional change system, system unification, and network system. Firstly, when furniture takes the major role of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space, and when it is possible to disjointing and assembling a number of standardized unit furniture according to is form or purpose, a effective space is formed, along with its natural flexibility. Especially, when one needs a various function in a limited space, a furniture can solve different function needs. Secondly, systematic uniform can be achieved by breaking form the standard box shape, and combing furniture and digital products to provide diverse function and form within the furniture. This made it possible to come up with organic forms and a user friendly system. Thirdly, network system is closely inquiring a furniture with new form and function by adding digital technology into its character, and making it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user. Especially, as it is being introduced to space and furniture, it can develop to a complex stage of multi-functional, and by giving a network information electronics, a new space system is created. Throughout the studies taken, it is possible to find a new significance and potentiality in the relationship of space elements and furniture. In the interior design, interrelations proves that furniture is no longer an individual object in a space, but in a continuity of space elements, closely connected to the interact between the architecture. This rejects the existing definition of furniture, and opens a new potentiality, and hopely become an opportunity to renew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modern furniture in interior design. 실내공간에서 가구는 인간과 건축물을 연결하는 요소의 하나로서 공간에 어떠한 종류의 가구가 놓이느냐에 따라 공간의 성격이 규정되며 생활양식이 표현된다. 또한 이러한 가구는 건축공간의 물리적 요소들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다른 공간요소들과도 합리적인 관계를 가져야 한다. 현대사회는 변화의 속도가 날로 가속화되어가고 있는 혼란과 다양성의 시대라 할 수 있다. 다원화된 사회문화의 흐름 속에서 타 영역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상호간에 많은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이는 문화의 속성을 반영하는 건축공간에서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최근 실내디자인의 경향을 보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미처 경험해보지 못한 탈정형적이고 보다 자유로운 공간구성을 시도하고 있다. 후기 구조주의의 해체적 개념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원화된 사회문화의 흐름 속에서 타 영역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실내공간에 있어서도 가구와 구성요소간의 관계가 모호해져 가면서 상호간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즉 가구가 공간 속에 놓이는 별개의 개체가 아니라 건축과 상호작용하면서 가구가 건축 속으로 들어가 건축공간이 되기도 하고, 건축적 요소가 가구가 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실내공간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간의 구성요소와 가구의 관계에 있어서 영역과 경계의 모호함에 주목하여 현대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적 표현특성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우선 공간 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성 연구에 앞서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현대건축에서의 구성요소와 가구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는 크게 3가지 경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 공간구성요소가 형태 또는 기능의 변형으로 인해 가구가 되는 경우, 둘째 가구의 의미나 기능 확장으로 공간구성요소의 역할이나 기능을 하는 경우, 셋째 현대 실내공간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공간구성요소와 가구가 통합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현대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적 표현특성을 형태 표현적 측면과 공간 구성적 측면 그리고 시스템 구조적 측면으로 으로 나누어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형태 표현적 측면으로서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적 표현특성으로는 연속적 표현, 오브제적 표현, 유기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첫째, 연속적 표현은 실내공간을 이루고 있는 공간구성적 요소들인 벽, 바닥, 천장, 계단들이 가구와 같은 가변적 요소들과 결합되어 마치 공간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막으로 연결된 듯한 표면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속적인 표면은 대부분 공간구성요소와 가구가 통합되는 경우에 많이 표현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오브제적 표현은 공간구성적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는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창출하게 되며, 이는 실내공간을 표현하는 오브제적 요소로서 공간에 상징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오브제적 공간구성은 구성요소와 가구가 통합되는 경우, 구성요소가 가구가 되는 경우, 그리고 가구가 구성요소가 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호관계를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기적 표현은 최근 신소재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 형태의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해지면서 디자인 형태 및 프로세스적 측면에서 유기적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속에서 공간구성요소나 가구적 요소의 경계를 허물어 일체화시킴으로써 공간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유기적 통합은 구성요소와 가구가 통합되는 경우로 많이 표현되어지고 있다. 공간 구성적 측면으로서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적 표현특성은 가변성의 공간, 중첩성의 공간, 경계의 모호성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첫째, 가변성의 공간은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와의 상호관계는 공간에 머무는 주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간의 가변성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중첩성의 공간은 공간 프로그램의 중첩으로서, 공간 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는 특정한 공간에 대한 단일한 기능체계 대신 복합적 기능의 유도를 통해 다양한 활동과 이벤트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의 중첩은 특히 구성요소가 가구가 되는 경우, 즉 구성요소의 가구화로서 다양한 이벤트를 수용함으로써 많이 표현되어지고 있다. 셋째, 경계 모호성의 공간은 공간구성적요소와 가구요소의 상호관계를 통한 공간의 위계소거를 의미한다. 이는 공간구성에 있어 유동적이고 연속적인 공간의 흐름에 의해 내/외부, 상/하, 기능간의 구분과 같은 근대적 공간 구분체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계의 확장을 유발한다. 시스템 구조적 측면으로서의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특성은 기능적 변이구조, 시스템 통합에 의한 구조, 네트워크에 의한 구조로 나타난다. 첫째. 기능적 변이구조는 공간 안에서 공간의 기능 변화를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가구가 가진 형태나 목적에 따라 몇 개의 규격화된 단일 가구들을 분해, 조립하여 자유로운 가변성과 함께 효율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하나의 작은 공간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필요로 할 때 하나의 가구 안에서 여러 기능을 해결 할 수 있다. 둘째. 시스템통합에 의한 구조는 지금까지의 기본적인 박스 형태를 탈피하여 가구와 디지털제품과의 결합으로 가구자체에서 여러 가지 기능과 형태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기적인 형태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했고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하고 인지하기 쉬운 시스템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셋째. 네트워크에 의한 구조는 가구가 가지고 있는 성질과 제품의 기능이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새로운 통합 형태로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추구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고 있다. 특히 공간과 가구에 유입됨에 따라 복합개념의 멀티기능화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가구의 본래의 기능과 네트워크 정보가전 기능에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공간체계로 구조화 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간 구성요소와 가구와의 관계에 있어서 새로운 의미와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는 실내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공간구성요소와 가구의 상호관계는 가구가 공간 속에 놓이는 별개의 개체가 아니라 건축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공간구성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가구의 정의와 다루는 방식에 균열을 가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것으로서, 실내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현대가구의 개념과 역할을 새롭게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비행안전교육훈련의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 Crew Resource Management 중심으로

        진경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rline companies are trying to change crew's safety mind and attitude,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effective execution of flight safety, the ultimate goal of airline companies, and to achieve planned target. CRM(Crew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 training is one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carried out by cabin and flight crew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flight safety. So uninterrupted training is necessary to improve effective education impact of CRM education training as well as to improve personal and company achievement, and introduction of practical education training and its direction is also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uitable management plan for the flight safety by analysing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relation of CRM education training understood by crew, and to improve and maintain the flight safety and effective organization of crew members by set-up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of cabin crew and flight crew organiza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flight accident through education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