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화상을 통한 내면의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re must be a purpose for us to be born as there are numerous reasons for existence for every being. To find my life purpose, I chose self-portrait as a tool to find out and express who I am. Self-portraiture is an art genre that reflects and illustrates the times and at the same time, its an appropriate genre to examine how ones identity is expressed in a certain logical formation. A Self-portrait shows an artists true self upon which the artists every opinion is reflected since it develops along with the artists growth and influences the ideas and images of his work. The expressions of the inner self that I try to convey in my self-portraits are exami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studies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self-portraits and how both the self and inner life have been illustrated in self-portraitur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it analyzes and explores the background, progress, as well as the traits of expressive techniques and methods of my work. I produced self-portraits from 2006 to 2008 and I was the theme, as well as my subject matter, in my work. It started from identifying who I was and rather reflected my perspectives that both confirmed and revealed the true identity of my inner self rather than simply depicting the outer image of me. To recognize my inner self and to deliver characteristic, authentic self-portraits that portray self-consciousness, I wanted to create a formatively exquisite image by using new medium, photographs, repetition and other visually experiencing technique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reviews both the origin and history of self-portraits and has examples of works of classical meaning, including masterpieces of portraits and self-portraits and then examines the meaning of self-portraiture. It also estimates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self-portrait in contemporary art and compares selective artists works. Chapter 2 defines the concept of self in a theoretical aspect and interprets what kind of inner world other artists express through the form of self-portrait. To link it to my work, Chapter 3 elucidates how the inner world is portrayed in my work, based on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work. It analyzes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medium in formation and expression techniques. It further demonstrates how I describe my inner side in self-portraits through examples and analysis. The purpose of my work is to find myself in the ceaselessly changing flow of society, invent my own language as I change accordingly with the times and to grow by communicating and sharing with others through the progress of my journey. I will continuously build and develop my own esthetic foundation with efforts to define my identity and to pursue an inquiry into inner world through an analysis of my work. 모든 것에는 존재의 이유가 있다. 우리의 삶 역시 마찬가지다. 연구자는 이러한 삶의 존재 이유를 찾고 알아가기 위한 방법으로 ‘자화상(自畵像)을 통한 내면의 연구’를 논문의 주제로 선택하였다. 자화상은 시대적 초상의 단면이며, 자아의 정체성이 어떠한 형식 원리를 가지고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한 적절한 회화 장르이다. 또한 자화상은 화가가 성장함과 동시에 작품의 사상과 형상 자체에도 영향을 끼치며 발전하기 때문에 화가의 모든 의사가 반영된 화가 자신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자화상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며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 내면 표출을 이해함에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미술 표현에서 자화상이라는 장르의 근원적인 의미와 화가의 자아와 내면성이 그동안 미술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표현되었는가를 탐구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의 작품 형성 배경과 과정, 내외적인 표현의 특성과 방법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2006년부터 2008년 동안 일련의 자화상 작업을 해 왔으며 연구자 자신이 주제이자 소재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연구자의 자화상 시리즈는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자아의 정체성 확인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단순히 연구자의 외형만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내면 속 자아의 확인은 물론 정체성의 표출로 드러나는 연구자의 시각이 투영되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자아를 인식하고 자의식을 담은 자화상을 개성 있고 확실하게 표현하기위해 새로운 매체와 사진, 반복적인 행위와 시각적 체험의 표현방법을 사용하여 조형적으로 특색 있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 3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장에서는 자화상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 고찰하고 자화상과 초상화의 대가들의 작품을 예로 들어 고전적 의미의 자화상을 살펴본 후 자화상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대미술에서 보여 지는 자화상들의 가치와 의의를 알아보고 몇몇 작가들을 예로 들어 그들의 작품을 비교 연구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측면에서 자아의 개념을 알아보고 자아의 정체성에 대해 연구하며 자화상 형식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표현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예로 들어 자화상을 통해 내면을 전달하려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 형성에 관한 배경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에 있어서 내면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형식의 매체적 특성과 표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연구자가 자화상 작업에서 어떻게 내면을 표현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자의 작업은 단순히 자화상이란 하나의 표현 방법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자아를 찾고 시대와 함께 변화되어 가는 연구자만의 표현 언어를 만들어 가면서 자기를 알아가고, 그 과정을 작품으로 풀어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감하며 성장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자아에 대한 정체성을 찾고 내면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시도하여 작업을 더욱 연구하고 발전시켜 연구자만의 예술론을 확립하는데 밑거름을 다질 것이다.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 참여자들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혜원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국문초록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 참여자들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재즈댄스 장르 중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 참여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규명함으로써 재즈댄스의 참여 효과를 높이고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2012년 서울·경기 지역의 재즈댄스 전문 교육기관과 사설학원에서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에 동시에 참여하고 있는 만 13세 이상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총 225명을 표집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의 구성은 기초적 사항에 관한 4개 문항, 재즈댄스 활동에 관한 9개 문항,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의 인식에 관한 각 8개 문항,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의 만족도에 관한 각 11개 문항 등으로 총 5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의 특성별 재즈댄스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참여 동기에서는 자기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 기간은 3년 이상이, 참여 빈도는 주 2-3회, 참여 강도는 1시간 30분 이상, 영향 매체는 지도자와 전문가의 영향을 받은 참여자가 가장 많았다. 재즈댄스 활동의 저해 요소에서는 시설, 장소 부족이 많았으며 개선 방안으로는 대상별 프로그램 및 보급과 다양한 체육시설 확충 및 개방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많고 기혼일수록 참여 동기와 참여 효과가 건강 및 체력증진이었으며 개선 방안은 시설부족으로 인한 시설 확충·개방이 가장 많았다. 또한 전문직일수록 자기만족을 위해 참여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원하는 참여자가 많았다. 둘째, 개인적 요인의 특성별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의 인식을 살펴 본 결과, 릴리컬 재즈의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참여자가 많았으며 30대에서 인식이 가장 높았고 10대에서 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직일수록 긍정적으로 인식, 릴리컬 재즈를 잘하는 사람이 부럽다는 참여자들이 가장 많았으며, 릴리컬 재즈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펑크 재즈의 인식은 릴리컬 재즈에 비해 조금 더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전문직과 학생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참여자가 많았고 펑크 재즈를 잘하는 사람을 보면 부럽다,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릴리컬 재즈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직과 사무직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주부와 학생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리듬감 발달, 선택 결과, 수업내용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펑크 재즈의 만족도는 릴리컬 재즈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전문직과 학생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리듬감 발달, 체력 증진, 선택 결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넷째, 개인적 요인의 특성별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의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직, 사무직에서, 연령은 30대가 릴리컬 재즈의 인식과 만족도가 높았으며 연령과 학력이 낮을수록, 전문직과 학생에서 펑크 재즈의 인식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총체적으로 릴리컬 재즈와 펑크 재즈의 인식과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참여자들이 많았으며 인식은 펑크 재즈가, 만족도는 릴리컬 재즈가 약간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주제어 : 재즈, 릴리컬, 펑크, 인식, 만족도
청소년단체활동이 장애아동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기술과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effect of youth membership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 achieve goals of this study, 8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6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experimental group(4 disabled children and 30 nondisabled children) that did Youth Membership Activities and the other one was comparative group that didn't Youth Membership Activities but picture drawing after reading books without any interchange activities. In this study,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and youth membership activities had hold 25 sessions. The measures of self-concept, social skills have took by self-concept inventory,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nd the measures of disability perception have took by questionaire. The examiner computerized the test scores and retuned questionaires through the program SPSS and u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windows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was made of the data statistical and it executed the t-test and ANCOVA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valu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for comparative group didn't make a big difference but for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post-test and it showed a increase as compared against the pre-test.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youth membership activities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perception. Through youth membership activit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ble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would have advanced one'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ecreased in prejudice by understanding disability in person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기술과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아동 8명, 비장애아동 60명을 2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장애아동4명, 일반아동 30명)은 실험 집단으로 하고 한 집단은 비교 집단으로 하여 실험 집단에는 청소년단체활동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청소년단체활동을 하지 않고 상호교류활동이 없는 독후화 그리는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며 청소년단체활동은 총 25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인 자아개념, 사회성 기술은 자아개념검사와 사회성 기술검사를 사용하였고, 장애인식개선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변인별로 산출된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t-test와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 일반아동의 장애인식에 대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후 검사의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실험집단은 유의한 향상도를 보이는 반면 비교집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들이 청소년단체라는 집합 속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고 그 속에서 경험한 유대감과 친구와의 교류는 개인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도움이 되었으며 또한 일반아동도 장애를 서로의 개성으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게 가지고 있었던 편견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단체활동은 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일반아동의 장애인식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치료적 집단 놀이가 발달지체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발달지체 아동은 사회적 기술의 결함으로 원활한 상호작용과 또래 집단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행동을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발달지체아 3명에게 노는 즐거움과 신체접촉, 눈 맞춤, 정서적 교류를 경험할 수 있는 치료적 집단놀이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회성이 변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아바쿠스 사회화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고 사회적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바쿠스 사회화 집단프로그램 구성행동 중 관찰 가능한 항목을 발췌하여 기초선 3회, 중재 12회, 유지 3회를 주 1회, 총 18주의 놀이 프로그램 실시 기간동안 관찰하였다. 결과는 첫째, 치료적 집단놀이 프로그램이 연구대상 아동 모두의 아바쿠스 사회화검사의 사회성 향상에 변화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놀이행동, 감정에 대한 인식,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인식, 사회적 행동, 사회적 정보 순으로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사회적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아동 모두는 치료적 집단놀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집단 활동에 참여하기, 순서 기다리기, 규칙 따르기, 지시사항 수행하기 등 사회적 행동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치료적 집단놀이는 발달지체아의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집단 놀이 활동이 유용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apeutic group play would enhance soci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ve difficulty in proper interaction and social behaviors required in peer group. Thus they need adequate intervention to cope with these problems. In this research, they were provided with group play program to help them feel the joy of play and examined whether playing skinship, looking eyes with each other and emotional exchange can help them change recognition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and to improve their adaptive sociality. It was administrated the social section of "ABACUS" after and before the treatment to evaluate the sociality of the 3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apeutic group play program turned out to improve the sociality of participating children. Entirely playing behaviors, emotional recognition, recognition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social activities and were also improved. Second, therapeutic group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ng group activities, waiting orders, obeying the rules and following the given instructions. It is clear that therapeutic group play improved the social activity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운동 목표지향성, 직접적인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서울시 일개 남자고등학교 31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65,528명을 대상으로 한 제 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운동 목표 지향성 및 신체활동정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서는 직접적인 신체활동에 대한 구강건강 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서울시 남자고등학생의 1주간 신체활동 횟수는 평균 5회이며,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경우에는 3회 이상 신체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36.16%로 나타났다. 2.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은 설문조사의 경우 84.5%가 건강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경우 83.5%가 건강하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청소년이 자신의 구강건강을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운동 목표 지향성과 신체활동 참여횟수와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4. 직접적인 신체활동 참여의 정도,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운동 목표 지향성이 높은 학생들은 점심 후 잇솔질을 시행할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신체활동의 정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신체활동이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구강건강 증진행위 교육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적극 권장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iO₂ 함량에 따른 고대 제철 슬래그의 미세조직 특징 연구
철재는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물이며 고대 제철방법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한반도의 중원지역은 한반도 제철 관련 유적 중 철재가 많이 발견되고 있고 고대부터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원지역과 그 일대를 중심으로 채집, 발굴되었던 철재 중 Ti이 포함된 제련재들을 분석하여 특징적인 미세조직이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특히 Ti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 미세조직들을 전자현미경,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판별하고자 하였다. 이는 철재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이전의 연구보다 더욱 정확한 판별방법을 제공하고 고대 한반도 제철기술의 발달과정을 파악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중원지역을 중심으로 출토된 철재 중 Ti 함량이 높은 13점을 선정하고, 또한 Ti 함량이 낮은 경주 사철을 이용한 제련실험을 통해 얻은 4점의 유출재 시료를 추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화합물 분석 결과 모든 철재 시료에서 주상인 Fayalite와 Wüstite만 확인되고 다른 화합물들은 동정되지 않았다. 주성분 분석 결과, No.1∼No.13 시료에서는 TiO2의 값이 1wt%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No.14∼No.17는 TiO2의 값이 1wt% 이하로 나타나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미세조직 분석 결과, 주성분 중 TiO2 1wt% 이상인 그룹에서 미세한 백색 조직들이 확인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Magnetite와 같은 물질들로 동정되었던 조직들이다. 또한 TiO2의 함량에 따라 10∼20wt%, 20∼30wt%, 30wt% 이상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함량이 증가할 때마다 조직들은 각이 진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조직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미세결정들은 백색 화상 또는 다각형의 조직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표준 Raman shift와 비교하여 동정하였을 때 모두 Ulvöspinel 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어온 제련재의 미세조직이 TiO2의 함량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TiO2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조직은 또렷하고 각진 모양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명확히 동정하고자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Ulvöspinel로 동정할 수 있었다. 즉 지금까지는 미세조직의 모양과 성분만을 가지고 조직을 구분하였으나 이 결과만으로는 정확하게 판별하기 어려운 미세조직이 많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철재의 판별하기 어려운 미세조직을 정확하게 알아보는데 주사전자현미경과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서 어려운 미세조직을 판단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이용한 철재의 미세조직 판별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 고대 제철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Iron slag is the residual substance of the steel making process and it is an important evidence that the ancient steel making method can be traced. A decent amount of iron slag has been found in the relics related to iron making sites in Jungwon area in Korean peninsula, a very important region from the ancient times. This study analyzed the iron slags collected and excavated around the Jungwon area and its vicinity, especially the smelting slag containing Ti, investigated if any conspicuous microstructures exist, an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ED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ttempted to precisely identify these microstructures whose properties vary by Ti cont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more accurate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operties of iron slag than previous studies, an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evolution history of the steel making technology in ancient Korean Peninsula. Among the iron slags excavated from the Jungwon area, 13 iron slags with high Ti content were selected, and 4 smelting slags with low Ti content obtained from the smelting experiment using Gyeongju iron sand were added for comparison. As a result of the compound analysis, only the main materials of Fayalite and Wüstite were identified in all iron slag samples. The microstructure components to be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not detected.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iO2 was found to be 1wt% or more in No.1 to No.13 samples, and 1wt% or less in No.14 to No.17 samples. The micro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analyses observed the fine white structures exist in the group with TiO2 content of 1% or more. They were identified as the materials such as Magnetite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groups of 10 to 20wt%, 20 to 30wt%, and 30wt% or more by TiO2 cont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TiO2 content increases, the structures appeared to be angular shape. Raman microspectroscopy was performed for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se structures. These microcrystals were shown as white flower structure or polygonal structures, and when comparatively identified with the standard Raman shift, they were all identified as Ulvöspin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microstructures of the previously studied smelting slag by TiO2 content. As a result, the microstructures transformed into the sharp angular shapes as TiO2 content was increased, and by performing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for more accurate identification, it was identified as Ulvöspinel. Until today, the microstructures have been distinguished only by their shapes and the components; however, based on these results, many of the microstructures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accurately.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ED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is useful for determining microstructures of iron slag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Going forward, further researches on the identification methods of microstructures in iron slags using Raman microspectroscopy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iron making.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삶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 근거이론 접근방법 -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knowing and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process of the old people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rogra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 Corbin(1998). One male and six females all of who were over 65 years old have joined in this project. Theoretically suitable for the Strauss & Corbin(1998)'s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theoretical sampling was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ubjects.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2010 May to September through observation by depth interview. This researcher had chosen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some question list made out in advance to conduct depth interview more naturally. And used recorder not to omit important contents of the interview, and then gathered the record 24 hours after the recording. Gathered record were put to transfer and then open co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Strauss & Corbin(1998), and in axial coding stage, they were put to paradigm based categorical data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In selection coding, detected core category, wrote down story line, and drew out category-connection centering around core category and then classified patterns. Besides, put out contingency model as a complete and persuasive explanation for central phenomenon. 84 concepts from open coding, 34 sub 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rawn out through this study. In axial coding, paradigm based category analysis put out 'We're old in age but young at heart' as the causal conditions of changing process of the old people joining in the old people's employment project. In central phenomenon, 'entering into a new world so called, employment for the old people' was brought up. The contextual conditions brought up such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various living experiences went through while young', 'difficulty in entering into the society' In central phenomenon, 'intervening conditions triggering interaction strategy' appeared to be the ideal view of the old', 'social support' Besides, 'the attitude toward work was drawn out for in reaction/ interaction strategy, and as its result, 'healthier life', 'detecting positive myself in me, 'self-help happiness, 'working youth were brought up.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senior job programs appeared to be 'stage of suffering pain', 'stage of looking for and being involved', 'stage of finding myself again'. The first stage of 'suffering pain' revealed various pains the old people are going through.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degree, most old people suffered from four pains(pain of sickness, pain of poverty, pain of loneliness and pain of inaction, and that went for the most of the senior job programs. In the second stage of 'looking into and being involved' the old people make efforts to get out of their pains through diverse courses, and one of their solu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senior job programs. In third stage of 'finding myself again', their joining in the project was helpful for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and they were thankful to such help. The participation of the old people in the project enabled them to secure support system by family, peer & clan culture, public support and in local society realizing 'working youth[working silver]' through the joining in more stable senior job programs. The core category of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old joining in the project appeared to be 'in pain', found the job', 'found myself'. The result of the confirm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inually appearing categories focusing on the core category was the patterns of changing process in living of the old joining in the project which were' designing positive future', 'designing obscure future', 'complacent attitude ' patterns. The participants of 'designing positive future pattern' thought on the living until their joining in the project hard. They had lived the life much harder than that of other people, but experienced various life, and they thought the experiences as their firm basis in making their living. The participants of 'designing obscure future pattern' also remembered their living until the joining in the project difficult. They said the had loved harder life suffering from many twists and turns. But, they said that their current problems were much worse than the hard experiences in the past. They spoke out their still difficult life due to the suffering from personal sickness, financial difficulty, role loss & loneliness and depression all of which seemed to be very serious. They were managing to get along right now, but diverse problems before them were making them design their future for finding themselves obscure. Lastly, regarding the participants of 'complacent attitude pattern', they didn't think their experiences until the joining in the project very hard. They had lived smooth life without much of ups and downs, and still relatively living abundant life compared with the old people had lived hard life. Besides, their present problems were less serious setting them to settle for the present.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of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based on such results above. First, the senior job programs need to be taken as 'a process for the old to successfully find myself'. Programs(projects) for welfare have focused mostly on the youth or the people maladaptive to society relatively excluding the active(productive) project for the old till now. That' why the concern about the old in their productive, active adaptation to the society needs to be extended without fail. Second,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senior job programs or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participants were sort of leaning toward quantitative side. Accordingly, this researcher carried out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old joining in the project which enabled me to conduct deeper s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