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건축연한 증가에 따른 공동주택의 관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장기수선계획 및 장기수선충당금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조태제 서울産業大學校 住宅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정부의 주택공급 촉진정책으로 2003년 말 국내주택 보급율은 101.2%가 되었으며 그중 단지규모가 20호 이상의 공동주택은 52%인 645만호에 이르게 되어 공동주택이 국내 주거의 대표적인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라이프사이클의 변화에 따른 탄력적인 공간 변화 및 재산증식 등의 이유로 재건축이 활발히 진행되게 되었으나 최근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일련의 주택시장 안정정책으로 기존재고 주택의 재건축 추진은 많은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재건축 연한의 증가는 공동주택의 장수명화와 더불어 환경보전 및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주거문화의 향상을 위해 공동주택의 관리방법에 대한 검토 및 개선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이 사회적 재화로서의 역할과 생활환경 향상 및 장수명화를 위한 최적의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설정된 목적에 부합시키고자 하였다. 공동주택의 장기수선계획 및 장기수선충당금에 대한 선행 연구자료와 문헌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서울시내에 위치한 공동주택 40개 단지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우편설문으로 공동주택 장기수선계획 수립과 장기수선충당금 적립 및 사용에 따른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는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각 장르는 공동주택의 개념 및 국내의 현황, 공동주택관리의 목적 및 특성, 법적근거 및 변화과정, 공동주택관리의 유형을 고찰하고 일본, 미국, 영국의 외국 공동주택 관리 제도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공동주택관리제도와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점을 도출하며, 공동주택의 장기수선계획 및 장기수선충당금에 대한 의의 및 법적근거, 장기수선계획수립과 처리방법, 실태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전체 연구과정을 통해 재건축 연한의 증가에 따른 공동주택의 관리방법 중 장기수선계획 수립 및 장기수선충당금 적립, 사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대책 및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기수선계획 수립 및 장기수선충당금 적립 의무대상을 2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여 소규모 공동주택의 관리를 강화하고 관리구조 개선을 위해 공동주택관리공단 등의 기구를 신설하여 공동 관리를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되어야 하겠다. 둘째, 장기수선계획의 수립 및 조정 시 전문가에 의한 적정성 검토를 실시해야 하며 건설경과년도가 장기화된 공동주택에 대한 장기수선계획의 재수립으로 형식적인 계획 작성 및 운영을 방지하고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주기적인 확인을 위한 법적인 검토 또한 뒷받침 되어야 한다. 셋째, 보다 적극적인 개념의 공동주택관리를 위해서는 강제성을 갖도록 과태료 부과대상 및 부과금액을 높여 형식적인 운영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해야 하며 단지규모별 적립기준도 설정되어야 한다. 넷째, 적립당사자에 대할 보상혜택으로 거래 시 적립된 수선충당금을 매매당사자간 확인 후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부동산 중개법을 보완하고 적립금에 대해서는 비과세 저축으로 인정하여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방안 등도 검토 되어야 한다. 다섯째, 충당금의 사용에 대한 투명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입주자 대표와 이를 관리하고 있는 관리소장에 대한 전문성 향상 법정 직무교육 실시 및 홈페이지를 통한 주택관리정보를 제공하여 투명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지방행정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리, 감독 행정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공동주택의 장기수선계획 수립 및 장기수선충당금 적립은 공동주택을 개인의 재산으로 국한하지 않고 국가적인 자원의 관리를 위한 개념으로, 보다 강제적이고 적극적인 조치가 수반되어야 하며 소유자가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및 계도가 이루어 져야 하겠다. The end of the year 2003, a domestic residential occupancy rate marks 101.2 percent during the Fifty year strategic planing goal from the government to increase satisfiable level of housing supply. Out of 101.2 percent the share of the multi-complex dwelling units witch has more than 20 units reached 6,450,000, witch consist of 52 percent of ratio. Multi-complex housing became a dominant style among the local supplied housing units. The changes of living style concerned the factor such as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economic up dating requires very fast. That is why re-modeling of living spaces was a part of this very active reconstruction process. However, it has been a lot difficult aspect for reconstruction of somewhat old housing units since the government presently acts rather typical safety tactics on housing market place. The demand on reconstruction allows the longevity of the multi complex, conservation of environment, meet the variety of consumer's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of living society. It must be looked after the revision and development of how to implement the old multi-complex houses. For the main goal/object in this research, how the major role of the multi complex housing market positively reflects on our valuable society, provide a better life environment on top of longevity and for the superior living quality.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has focused review of literature especially concerned the previous study and statistic data, documents and web study of the main point on a long term maintenance planning scheme and contingency fund,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questionnaires has conducted as a research methodology by mail to find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 main point on a long term maintenance planning scheme and how to save and utilize the contingency fund through analyzation at over forty housing estates in Seoul. The contents of other chapter are consisted as following steps, Definition of multi-complex, current standing, purpose of managing them and their characters, legal aspect and developing procedure, styles for managing a multi-complex house, comparison of other countries to find better ways, purpose of the focal point on a long term maintenance planning scheme and contingency fund, legal evidence of it. Planning and execution of a long term maintenance planning scheme and analyzing any problem based on research. The last part of this study summarizing detail schemes to achieve and improve the existing long term maintenance plan and expand contingency fund system as follows, 1. Mandatory limit shall be expanded from twenty units replacing 300 units. It able more units of house as smaller group which may increase their responsible decision for better dwelling. 2. For implementing a long term maintenance planning scheme, advice from expert shall be considered, and to eliminate and to protect reorganizing an informal reconstruction planning for those original construction time frame, got longer, legal procedure must be renegotiated and pursued. 3. For the better and safe driving of multi complex house, a harsh individual as well as group fine table shall be applied to eliminate informality. 4. A real estate brokerage legislation shall protect and give indemnity for people who save their fund for contingency usage or and in any transaction arises in between a vendor and purchaser. The fund which saved for the contingency shall be clarified as tax free item by government. 5. It is wise to indicate to both tenant representative and management executive for the better security and cleanness usage of the contingency fund by providing a real time legal training session and through web site base training to earn the better residential management information. By doing so, clarity of investing the fund may increase, and the enthusiasm level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each local administrative shall be incorporated with an acceptable legislation. A true meaning of a long term focal planning for maintenance and saving account of contingency fund for a multi complex house shall not be only mistreated as a limitation of one's asset but also treated as national source. Despite of rather compulsive and constructive method must be noticed by whoever owns for, more positive follows, promotion and directing shall be able to guide its understanding and adherence of importance and inevitability.

      • 공동주택의 부위별 중요도에 관한 인식 차이 분석

        조태제 동국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residential housing market has been led by construction firms rather than consumers, which in essence has made it a suppliers' market. However, the market is experiencing a rapid transition to a buyers' market. This can be confirmed by one indicator: the housing supply rate reached around 101.2 percent as of 2009. Of all the housing units, community-type housing, including apartment and commercial-residential mixed complex types, accounts for about 71 percent. Along with the surplus of housing unit supply, the paradigm shift to a preference for long-term rental rather than ownership also led to the depression of housing market. This implies that there is increased competition among the residential building suppliers, which means that construction firms need new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As well, consumer satisfaction should be valued more highly than in the past, and should be a baseline in formulating a constructio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especially in the residential housing market. Given the above market change and the need to develop a new strategic pla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onsumer priorities according to the grade of finish quality over specific periods. Based on theories, empirical observations, and expert views, 7hypotheses were formulated and tested. Samples collected in this study include 799 initially moved-in residents from the 11 apartment complexes completed between 2006 and 2008. Gallup Korea collected resident responses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during this period. For the 13 pre-classified building segments, resident satisfaction level was recorded. To derive the satisfaction index, SAS, an important analysis software program, was utilized. For the purposes of comparison, separat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34 CS (Customer Satisfaction) experts to evaluate their perceptions on the weighing priority for the classified 13 building segments. Data obtained from a survey of experts was analyzed utilizing AHP technique. Major research outcome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are summarized below. First, for the 3 segments (porch, living room, and bedroom), customer satisfaction was increased as the grade of finished quality (grade of finished materials and performance of craftsmanship) was upgraded. Stated differently, the thre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t the 95% level.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re is no effect on the rest of the segments. Specifically, shared segments such as main door area have negative (-)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finished quality. On the other hand, a positive (+) relationship is observed between finished quality and variabl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area, external environment, balcony and landscape. Hypothesized statements are tes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s and are detailed in the text. Secon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h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the following estimated values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were obtained: external environmental(2.249), attached building(1.974), underground parking(1.972), other finish(1.860), kitchen(1.809), balcony(1.746), living room(1.700), bed room(1.675), landscape(1.653), porch(1.644), bath room(1.622), main entrance(0.294), and stairs/elevator (0.018). Third,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Duncan method, which is used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e.g., Seoul metropolitan area vs. local region), indicat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is higher (3.963 points) for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ose in smaller cities. Finally, a comparison between tenants and CS experts indic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luation of each building segment. This implies that construction firms, the providers, have not effectively responded to customer needs and thus provided unattractive (or uncompetitive) housing products in the market. The research outcomes drawn from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related academia and construction industry: 1)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related to construction quality, particularly from the firm's strategic perspective, and thus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ody of knowledge related to quality management 2) from a industry perspective, specific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nalysis can be a valuable basis for preparing marketing and product development in the highly competitive residential building market. However, this study also has shortcomings due to such factors as a limited analyses period and the utilization of only a single firm's data. The above research limitation will be resolved if more structured research follows. Therefore, in a future study, a wide array of data should be collected, and more provider groups should be included according to firm size. 주택공급 확대에 따라 주택보급률이 2009년에는 101.2%에 이르게 되었으며 주택부족 문제가 다소 완화됨에 따라 전체 주택의 71%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의 패러다임이 양적 공급중심에서 소비자의 만족을 더욱 중시한 질적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 건설사가 새로운 공급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공급하고 있는 주요 건설사의 품질 및 CS (Customer Service)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통해 공급자 측면에서 공동주택의 각 부위별 마감수준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한편, 소비자의 입장에서 11개 공동주택단지 799세대의 입주자에 대한 공동주택 13개 부위의 마감수준 등급 변화 적용에 따른 만족도와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두 그룹의 인식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수요자의 요구에 대하여 공급자가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그룹의 부위별 마감수준의 중요도 분석결과 대분류에서는 단위세대, 공용부위, 부대시설 순으로 중요도의 우선순위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세대에서는 주방, 공용부위에서는 주현관, 부대시설에는 조경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13개 부위에 대한 종합적인 중요도 분석결과에서는 주방, 거실, 주현관, 침실, 욕실, 계단/승강기, 조경, 외부환경, 현관, 부대동, 기타부위, 발코니, 지하주차장 순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주방의 경우 가장 낮은 지하주차장에 비하여 6.96배의 상대적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입주자 그룹의 경우, 부위별 마감수준의 변화가 고객만족도 및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위세대 부위인 현관, 거실, 침실, 욕실, 기타 마감변경은 마감등급을 상향 조정할 경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방, 발코니는 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용부위인 주현관의 경우는 마감수준의 등급변화가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대시설인 지하주차장, 외부환경, 조경, 부대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감등급의 변화에 따른 각 부위의 중요도를 종합 분석한 결과 외부환경이 가장 높았으며 부대동, 지하주차장, 기타, 주방, 발코니, 거실, 침실, 조경, 현관, 욕실, 주현관, 계단/승강기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특성에 따른 Duncan 방법을 이용한 다중비교 분석결과에서는 동일한 마감적용 시 비수도권 지역이 수도권에 비해 3.963점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각 부위별 중요도에 대한 전문가 그룹과 입주자 그룹의 인식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급자인 건설사들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고객의 요구를 분석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현 상황에서 학문적으로는 관련연구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업계측면에서는 시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의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입주자 그룹에 대한 분석기간(2006∼2008)이 한정되어 있다는 측면이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대형 공급자뿐만 아니라 중소공급자까지 포함하여 분석대상 그룹을 확대하고 분석기간 또한 확장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