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nzyme-Treated Wheat Germ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정희영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Prior studies indicate that the release of 2,6-dimethoxy-1,4-benzoquinone (DMBQ) from hydroquinone glycosides in wheat germ enhances its functionality. Until recently, fermentation is the most popular processing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DMBQ from wheat germ. Here, this study used enzyme based processing to get a better yield of DMBQ and compar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nzymatically treated wheat germ extract (EWG) with untreated wheat germ extract (UWG) using in vitro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macrophage model and in vivo LPS intraperitoneal injection model. EWG reduced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compared with UWG. In vitro, EWG but not UWG, reduced NO and iNOS. EWG and UWG showed a similar inhibitory effect on tumor necrosis factor (TNF)-α but no effects on interleukin (IL)-6. The inhibitory effect of EWG on IL-12 was greater than that of UWG. EWG induced higher levels of anti-inflammatory IL-10 and heme oxygenase 1 than did UWG. The underlying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EWG involved inhibition of p38, JNK, ERK, and STAT1. Mice orally given EWG decreased levels of serum TNF-α and increased serum IL-10 after intraperitoneal injeciton of LPS. Also, macrophage given EWG showed an increase in the uptake of FITC-IgG coated latex bead.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enzymatic treatment of wheat germ enhance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 임상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과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희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임상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과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희영 지도교수 : 박성주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과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에서 환자에게 직접간호를 제공하고 있는 6개월 이상 근무한 임상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200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7월 12일부터 2023년 7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 간호정보역량은 장선미(2020)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측 정도구를, 직무만족도는 이병숙 등(2018)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측정도구 를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은 박미미(2015)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측정도구 를, 간호업무성과는 고유경 등(2007)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 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정보역량은 4점 만점에 평균 2.82±0.53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4±0.49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82±0.47점,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86±0.50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정보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현 근무지 경력(F=2.99, p=.032)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연령(F=3.36, p=.020), 결혼상태(t=0.24 p=.0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6.73, p<.001), 결혼상태(t=0.57, p=.001), 임상경력(F=3.58, p=.030), 월 평균 급여 (F=6.04, p=.003), 병원급(F=5.41,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간호정보역량,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정보역량((r=.53, p<.001), 직무만족도(r=.67, p<.001), 회복탄력성(r=.6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간호업무성과 영향 요인은 직무만족도(β=.31,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나타냈 으며 다음으로 회복탄력성(β=.28, p<.001), 간호정보역량(β=.26, p<.001)순으로 영 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60.8%이었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상태, 임상경 력, 월 평균 급여, 병원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정보역량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 라서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 요인인 간호정보역량,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 력성을 높이는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꾸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창의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희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을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에게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FPSP에 적합한 토픽을 선정한 후 K도 Y시의 초등학교 4학년 과학 영재반 20명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선정하였다. 창의력 검사도구는 TTCT 도형 A형을 사용하였고,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TOSRA를 재편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비 구조화된 질문형식의 질문지를 이용하여 FPSP 적용 후 영재학생들의 인식변화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FPSP를 적용한 후 초등학교 4학년 과학영재들의 창의력이 신장되었다. 창의력의 구성요소 중 특히 유창성, 정교성 계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FPSP는 초등학교 4학년 과학영재의 창의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며, 창의력의 하위요소 중 특히 유창성, 정교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므로 FPSP 모형을 과학영재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으며,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발향 설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 Gold Nanoparticles Coated with Gadolinium-Chelate as a New Bimodal MR/CT Contrast Agent

        정희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X-선 CT 조영제와 상자성 MRI 조영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은 이완자기율을 가지는 이중 분자 영상 조영제(bimodal molecular imaging contrast agent)를 설계 및 합성하고, 이를 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조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의료용 진단 시약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밝혀내었다. X-선 조영제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요오드를 기반으로 하는 조영제인데 본 연구에서는 요오드 계통의 기존 X-선 조영제보다 우수한 조영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 입자를 기반으로 하는 X-선 조영제를 개발하였다. 나노 입자는 일반 분자 영상 조영제에 비하여 혈관 내 반감기가 길어, 인체 내에서의 약물 전달을 관찰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들 입자들은 다른 기능을 가지는 분자들로 쉽게 표면 수식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특히 금 나노입자(AuNP)는 탁월한 X-선 조영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과 표면 개질이 용이하다. 또한 높은 조영 효과(높은 자기이완율)을 얻기 위해서는 가돌리늄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금 나노입자를 가돌리늄 킬레이트로 수식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약 3000개의 가돌리늄 킬레이트를 금 나노입자 위에 도입함으로써 이완율을 증가시킬수 있었다. 실험 방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5-20nm 크기를 갖는 수용성 금 나노입자(AuNP) 의 합성. 둘째, 높은 자기이완율과 열역학적 안정성이 검증된 가돌리늄 킬레이트(GdL)의 설계 및 합성. 셋째, GdL로 코팅 된 금 나노 입자(AuNP@GdL)의 합성이다. DPTA-bis-amide 형태의 리간드 및 이를 이용한 가돌리늄 착물은 현재 상용화된 조영제보다 높은 자기이완율 및 열역학적 안정성을 가졌고, in vivo자기공명영상에서 높은 신호증강을 나타내었으며 독성 실험에서는 낮은 독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In vivo MRI 및 CT 영상에서 효과적인 신호증강을 나타냄으로써 MRI 뿐만 아니라 CT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다중 분자 영상 조영제로의 응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환경,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정희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환경,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응급실 간호사들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며 이직의도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조직의 유효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放送ㆍ通信 融合에 따른 水平的 規制體系 모델에 관한 硏究 : IPTV 規制 適用을 中心으로

        정희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융합환경의 대응적 관점에서 규제체계 모델의 재정립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특히 수평적 규제체계 적용의 관점에서 IPTV를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아 현행 방송과 통신의 이원화된 분리체계의 문제점을 토대로 관련 대안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기구 등을 중심으로 한 융합의 논의와 수평적 규제체계 모델과 관련해 계층 모델, 산업구조 모델, EU 규제체계 모델, 국내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응하기 위해 수평적 또는 수직적 규제체계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국가의 규제모델의 특성은 어떠한가? 2.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나라 현행 관련 법령 체계의 한계점과 정책기구의 규제체계 전환 정책의 논리는 무엇인가? 3.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이상적인 규제체계 모델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의 적절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수평적 규제체계를 도입한 국가와 수직적 규제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 가운데 프랑스, 영국, 일본, 미국을 사례 비교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편 이상의 연구방법과 병행하여 해외 정책기관 실무진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는 문헌조사 연구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인터뷰 대상자는 비교분석 대상 국가인 프랑스 CSA(conseil superieur de l'audiovisuel), 영국 DCMS(department of culture, media and sports) 일본 총무성, 미국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의 정책 실무진들로 문헌상 제한이 있는 사항의 파악 및 관련 정책 자료의 접근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 또는 수직적 규제체계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국가들에 대해 IPTV 적용 방식을 중심으로 규제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수평적 규제체계로 전환한 프랑스와 영국의 경우는 미국과 일본에 비해 네트워크와 서비스가 연동되지 않는 규제체계 특성으로 인해 유사 서비스들에 대한 규제의 일관성 유지 및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규제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U 공동체의 규범하에 수평적 규제체계로 전환한 프랑스와 영국의 경우에도 콘텐츠 부문에서 규제 적용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채널 패키징 서비스와 관련하여 자국의 제도형성의 특수성에 기초해 이에 대한 규율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우리나라 헌법상의 방송의 자유는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의 특성에 대한 강조에 따라 방송 규제의 제한범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었으며, 한편 단행법 체계에서 방송과 통신은 서비스의 범주, 사업자 정의 개념에서 중첩적이며 상충적인 제도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융합정책과 관련하여 정책기관들이 제시하고 있는 규제체계 전환의 정책논리는 기존 법상의 제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IPTV 규제정책의 쟁점을 서비스 성격, 사업자 면허, 네트워크 접근 문제로 나누어 고찰해 볼 때 실시간 프로그램 제공을 기초로 서비스 성격과 진입 면허에 대한 규제적 형평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네트워크 접근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IPTV 법률의 문제에서는 자체채널, 콘텐츠 제공자의 진입방식, 콘텐츠 심의규정, 콘텐츠 및 네트워크 동등접근에 대한 적용방식에 있어서 경쟁매체와의 관계에서 규제적 차별성과 법률의 내재적 모호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는 수평적 규제체계를 설계하기 위해 계층별 기능과 특성을 구분하여 콘텐츠 계층, 공중 미디어 서비스 계층, 전송 서비스 계층,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네트워크 계층은 유무선 물리적 하부구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접근 규제에 대한 규율체계를 형성하며, 전송 서비스 계층은 네트워크 설비 계층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통신 주체간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서비스 및 방송의 전송 사항을 규율의 대상으로 한다. 공중 미디어 서비스 계층은 PP(program provider), CP(content provider)와 같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콘텐츠를 선택, 배열, 조합하는 패키징 서비스를 공중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계층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경쟁 제한성 문제와 사회ㆍ문화적 측면에서 다원성 유지의 관점이 함께 고려된다. 콘텐츠 제공 계층은 시청각 콘텐츠와 정보 콘텐츠로 이원화되며, 기본적으로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중 미디어 서비스의 개방구조 여부에 따라 규제의 차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수평적 규제체계의 접근방식을 IPTV 규제에 적용했을 경우, 현행 IPTV 법률이 내재하고 있는 규제적 모호성과 차별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규제 합리성 및 형평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송ㆍ통신 융합의 대응적 관점에서 결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정책설계의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적 규제체계 도입에 있어 서비스 특성의 구분의 기본적 전제로써 사적 커뮤니케이션과 공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나누어 이의 규율 체계를 구분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서비스 경쟁을 촉진시킴으로써 이용자의 선호와 편익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 정책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며, 콘텐츠 패키징 서비스 영역의 경쟁 수단의 강화에 있어서 경제적 측면과 사회ㆍ문화적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셋째, 수평적 규제체계 도입시 동일 또는 유사 서비스에 대한 규제차별을 제거함에 있어 기존 규제가 추구했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대안적 방식에 대한 탐색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향상된 규제 방식의 도입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gulatory model in the view of responding to the regulatory problems under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Especially, with the given object, the study is approached to draw an alternative, focusing on IPTV as an object of analysis, in the view of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to the problems caused from separated regulatory systems i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Following the review of related studies like layered models, industry structure models, the regulatory framework of European Union and domestic studies,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for this study. 1. What is the regulatory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s introducing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or maintaining vertical regulatory framework. 2. What is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laws related to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to cope with regulatory challenges from convergence and political logics of regulatory authorities to shift regulatory framework 3. What is the ideal regulatory model to replace the current regulatory framework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To answer these question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search is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 and a comparative case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France,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research is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is analysed that when comparing the nations converting to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with the other nations maintaining the vertical framework,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sustains the more consistency in regulating similar services provided on different networks and has the easiness to apply regulations for the new services such as IPTV. Meanwhile,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have the common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sectors of networks and transmission services while they have different regulatory systems in the field of contents regulation. Especially, the regulatory system that regulates channel packagers has differences. In France, CSA licenses the channel packager as service distributers that aggregate channels and provide packaging channels.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kingdom, OFCOM licenses them as television licensable contents service providers that provide the electronic program guides(EPG), based on the respective specificity of contents regulations. 2. It is analysed that the freedom of broadcasting has the differences in the regulatory restriction according to emphasis on a subjective side or an objective side, and the current broadcasting laws and telecommunications laws have overlapped and conflicted in the definition of services. Also it is analysed that the logics of the regulatory authorities in policy coping with convergence has compiled to a strategy to maintain the current regimes. As a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regulatory policy on IPTV issue, it is needed to ensure the equity of entry regulation focusing on the linear programming service and reinforce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 for the network access, and it is necessary to get rid of inner ambiguity and the regulatory discrimination between the competitive media on the internet multimedia operation law(IPTV law). 3. This study designs the horizontal regulatory model that divides the classification of layers into the network, transmission service, public media service and content. Network refers to physical infrastructures which include all of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s. Transmission service means a service which consists in the conveyance of signal, including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s and transmission services used for broadcasting. Public media service means a service which provides packaging contents through selection of contents by packagers for the reception of the public. Content means material comprised in signals conveyed by means of networks, which is divide into audiovisual contents and information contents. Contents should be regulated differently by the degree of the openness for public media service sector. When this models is applied to the IPTV. it is expected to promote the reasonableness and ensure equity of regu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considerations. First, it is needed to divide the basic regulation systems for the character of services into the private communications and public communications to promote the reasonableness of regul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benefit and preferences for user through promoting service competition, improving the regulatory systems of networks and considering not only the economic aspects but also the social and culture aspects in reinforcing competition on the content packing services sector. Finally, considering the equity of regulation between the similar services, it is also needed to try to find the alternative method to achieve the goal that the current regulation has pursued for the better regulations.

      • Glam과 Punk 헤어스타일의 비교연구

        정희영 부경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70년대의 글램 패션과 펑크 패션의 특징을 살펴보고 1970년대의 글램 헤어스타일과 펑크 헤어스타일의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헤어스타일의 외적 환경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추후 새로운 패션의 영향으로 발생 될 헤어스타일에 대한 이해의 기반과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1970년대의 글램 패션과 펑크 패션으로부터 저항(抵抗), 앤드로지너스(Androgynous), 추(醜)의 미(美), 페르소나(Persona)등 네 가지 공통적 특성을 추출한 후 이를 분석의 틀로 하여 사진자료를 통해서 두 헤어스타일을 비교분석하였다. 글램 패션과 펑크 패션의 특징은 패션 및 미용관련 서적과 논문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헤어스타일 관련 사진자료는 패션 및 미용관련 서적과 인터넷 사이트 등에서 수집하였다. 1970년대의 글램 패션과 펑크 패션에서 추출된 네 가지 공통적 특성을 기준으로 1970년대의 글램 헤어스타일과 펑크 헤어스타일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글램 헤어스타일과 펑크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저항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글램 헤어스타일에서는 전통적 남성의 헤어길이와 상반되는 웨이브 진 긴머리와 자연모발에 인공적인 색상을 추가하여 주황색이나 파란색의 염색을 함으로써 반규범적인 헤어스타일로 기성세대에의 저항적 의지를 표현하였다. 펑크 헤어스타일에서는 고전적 헤어스타일의 단정하고 안정된 형태에 대한 도전으로 머리카락의 일부분을 완전히 밀어버리거나 아주 짧게 자르고 특정부분만을 강조하는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형태로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였다. 원색의 현란한 모발 염색을 통해 그들 내부의 결속력을 다지고 외부세계에 대한 저항적 의지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글램 헤어스타일과 펑크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글램 헤어스타일에서는 남성들이 웨이브 진 긴 머리를 주로 하였으며 여성적인 노란색이나 주황색의 모발염색도 서슴지 않았다. 반대로 여성들은 짧은 헤어스타일을 함으로써 남성적 특성을 드러내었다. 펑크 헤어스타일에서는 남녀가 동일하게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헤어스타일과 현란한 원색의 머리염색으로 앤드로지너스를 표현하였다. 글램 헤어스타일과 펑크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추의 미를 비교분석한 결과 글램 헤어스타일은 머리에 백콤(Back Comb)을 넣어 과장되게 부풀림으로써 균형미를 파괴하고 색이미지 조화의 일탈을 통해 추의 미를 표현하였다. 펑크 헤어스타일에서는 밑머리는 완전히 밀어버리고 중간의 머리만 꼿꼿이 세움으로서 전체적인 머리의 형태가 불균형을 이루거나 어느 한쪽 부분만 강조하여 밸런스가 맞지 않는 탈구성적인 형태를 나타내었다. 펑크 헤어스타일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보색대비 등 현란한 모발 염색으로 색이미지의 부조화를 통해 추의 충격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며 그들의 집단 정체성을 표현하였다. 글램 헤어스타일과 펑크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페르소나를 비교분석한 결과 글램 헤어스타일에서는 우주적 이미지의 헤어스타일이나 동물의 페르소나를 표현한 헤어스타일을 통해 현실 도피와 앤드로지너스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펑크 헤어스타일에서는 주변머리를 짧게 자르거나 밀어 버리고 윗머리만 남겨서 위로 뻗치는 헤어스타일을 함으로서 전사의 페르소나를 통해 자신들의 불만과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의지를 표현하였다. 두 헤어스타일을 비교분석한 결과 글램 헤어스타일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앤드로지너스였다. 그들은 헤어스타일의 전통적인 색상과 형태에 도전함으로써 성역할의 전복을 꾀하였다. 현대패션에서 펑크에 비해 글램이 부각되지 못했던 것은 글램의 외적 요소들이 펑크로 일부 흡수되었고 그들의 사상 자체가 도전적이라기보다는 사이키델릭이나 우주지향적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현실 도피적이었기 때문이었다. 펑크 헤어스타일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저항이었다. 그들은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헤어스타일로 기성세대에 저항하며 자신들의 집단 정체성을 표현하였다. 현대패션에서 펑크가 하이문화(High Culture)로 수용될 수 있었던 것은 청소년 문화가 강하게 대두되면서 펑크의 저항정신과 청소년들의 도전의식이 상통했기 때문이다. 인간은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외모를 통해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글램과 펑크족들이 그들만의 헤어스타일을 통해 개성과 정체성을 추구하려 했던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각자의 개성과 정체성 표현의 중요한 요소로서 헤어스타일의 역할은 더욱 더 부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wi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xternal environments of hairstyle but also to provide the basis of understanding and perspicacity as to the hairstyle which will b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new music by contemplating distinctions between Glam Fashion and Punk Fashion of 1970s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distinctions between Glam Hairstyle and Punk Hair Style of 1970s. As the method of this study, first of all four common factors, which are resistance, androgynous, beauty of ugliness and pursuit of pleasure through persona, were able to be abstracted from both Glam Fashion and Punk Fashion of 1970s, and then by using that factors as analyzing instrumental frame, the above two hairsty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photographic materials in this study. Distinctions of Glam Fashion and Punk Fashion were researched through books and treatises on fashion and beauty and photographic materials related to hairstyles are collected from books on fashion and beauty and from internet websites etc.. Based on the above four common factors which are abstracted from Glam Fashion and Punk Fashion of 1970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stinctions between Glam Hairstyle and Punk Hairstyle are as follows: As a consequenc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ach resistance distinction expressed in the Glam Hairstyle and Punk Hairstyle, Glam Hairstyle expressed the will of resistance against the pre-existing generation with the anti-norm style such as by wearing waved long hair opposite to male’s traditional hair length or by adding artificial colors to natural hair, for example, dyeing hair orange or blue. Punk Hairstyle also represented the same kind of resistance in the aggressive and destructive form, by cutting some parts of hair completely or cutting it very shortly and emphasizing only particular part of hair. It enabled people to strengthen their internal solidarity and to reveal their will of resistance against the outside world by means of primary-colored and florid hair dyeing. As a consequence of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distinction on androgyny expressed in the Glam Hairstyle and Punk Hairstyle in Glam Hairstyle, men usually wore waved long hair and they didn’t hesitate to wear the yellow or orange hair dyeing, whereas women expressed the masculine character with short hairstyle. In Punk Hairstyle, both men and women expressed androgyny in the same way with the threatened and aggressive hairstyle and primary-colored and florid hair dyeing. As to beauty of ugliness distinctions, in Glam Hairstyle, beauty of ugliness was presented through destruction of balance beauty and departure from color image harmony by way of inserting back comb into whole hair and exaggerating hairstyle. In Punk Hairstyle, unbalanced and anti-formational was shown by unbalancing the overall form of hair or emphasizing one part of hair with the bottom-side hair cut completely and the middle-side hair straight up. Punk Hairstyle demonstrated the shocking effect of ugliness at its maximum and established their group identity through the disharmony of color image with florid hair dyeing such as the contrast of the complementary color between red and green. Speaking of persona, in Glam Hairstyle, we can find the trend of androgyny and escape from reality by way of the cosmic image hairstyle and through the hairstyle expressing persona of the animal. In Punk Hairstyle, people expressed both discontent and the will of resistance against pre-existing generation with the persona of warrior by having their side haircut very shortly or completely or making top hair remain and straight 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wo hairstyles above, in Glam Hairstyle, the androgynous character is the most remarkable distinction. They tried to overturn the gender role by challenging the traditional color and form of hairstyle. The reason why the Glam was not brought into relief in the modern fashion in comparison to the Punk is because the external factors of the Glam were merged into the Punk and their thoughts were close to the escape from reality as you know they were psychedelic or cosmic-oriented rather than challenging. In Punk Hairstyle, the resistance is the most prominent distinction. They expressed their group identity resisting a pre-existing generation by putting on threatened and aggressive hairstyle. Punk was accepted as high culture in modern fashion, which is just because both the will of resistance in Punk and challenging spirit of younger generation were in accord with each other as the younger generation culture emerged strongly. Every human being has her desire to make a display of herself by means of outward appearance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As shown that glam and punk people tried to pursue their personality and identity through their own hairstyle, the more the society is multi-organized, the more the role of hairstyle will become important and emphasized as the factors of expression of personality and identity.

      •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력 차이

        정희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가족구성에 있어서 외동아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외동아가 우리나라 사회구조의 중심축이 될 것이고 외동아의 올바른 학교적응 및 사회화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이 어떤 영향을 받고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여섯째, 외동아와 형제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광역시 소재의 6개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의 외동아 133명과 형제아 133명이다. 외동아와 비교할 형제아는 외동아의 질문지의 숫자와 맞추어 각 외동아가 소재한 학교에서 난수표방식으로 형제아 질문지를 임의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따른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의사소통, 폐쇄형 의사소통 모두에서 형제아가 더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비교에서는 외동아와 형제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교적응력에 있어서 형제아가 외동아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교우관계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력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더 많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하여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적응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외동아가 형제아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