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조와 Blues를 활용한 퓨전국악 작곡기법 연구 : 정현진 작곡 ‘Korean Blues'(2016)를 중심으로

        정현진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연구는 Blues와 국악의 특징 요소를 활용한 fusion 국악의 작곡기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두 genre가 가지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Blues의 화성 진행과 국악의 산조 형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작곡되어진 실험적 작품 정현진 작곡 ‘Korean Blues(2016)’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fusion 국악의 제작 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나기 위해 국악의 요소를 부각시키는 장단이나 시김새의 표현은 중요하다. 장단은 각 타악기를 제외한 다른 악기들에서도 나타나야하며, hemiola의 사용 역시 국악의 특징을 부각시킬 수 있다. 둘째, 시김새의 사용은 선율악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반주에서도 나타나야한다. 특히 electric guitar는 시김새의 표현에 효과적인 서양악기이다. 셋째, 다양한 음계를 사용하기 위해 dominant 7th chord의 사용은 선율의 표현과 편곡에 있어 효과적이다. 특히 즉흥성을 강조하는 음악에서 dominant 7th chord의 연속 진행은 사용가능한 음계의 범위를 넓힌다. fusion 국악을 작곡할 경우 국악기의 사용을 넘어 국악의 음악적 요소와 서양의 음악적 요소를 접목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역시 국악기의 사용을 배제하고 대중음악에서 사용하는 band 기반의 악기와 multi track recording을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 태권도 교육과정 중 인성교육 내용분석

        정현진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의 인성교육 관련 교과(도덕, 체육)교육과정을 토대로 태권도 도장에서의 인성교육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분석을 통해 인성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제Ⅱ장에서는 인성과 인성교육에 대해 이론적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제Ⅲ장에서는 학교의 인성교육 관련 교과인 (도덕, 체육)교육과정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태권도 도장에서의 교육과정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태권도 인성교육 내용분석을 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현행 학교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이 도덕적 사고력 중심의 인지적 접근 방법에서 벗어나서 정의적 접근, 또는 행동적 접근에 가까운 통합적 접근의 인성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봉사활동이나 단체활동을 활성화시켜 실제적인 장면에서 학생이 실천하도록 하고 있으며, 학습평가도 학습의 과정과 학습태도 등 수행평가를 중요시하고 있다. 둘째, 특별활동의 운영이다. 전체적이고 일률적인 봉사활동에서 벗어나 현행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개인적이고 자유로운 발달을 보장해 주는 봉사활동으로 실행하며 그들 자신이 내면적인 행복을 찾고 자아실현 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지고 있다. 셋째, 텔레비전을 비롯한 대중매체는 청소년들의 인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곧 매스컴이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TV 프로그램 선정 등에 현장 교사를 비롯한 교육전문가를 참여시켜 방송이 학생교육에 긍정적인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토대로 태권도 교육과정 중 인성교육 내용분석을 살펴볼 수 있다. 태권도장에서 실시하는 인성교육의 내용으로는 크게 인성교육 프로그램, 수련자의 행동지침,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의 세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첫째,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는 국기에 대한 경례, 지도자와 수련자와의 인사교환, 발표시간, 정신통일 및 명상, 규칙을 강조하는 단체활동, 태권도 정신의 암송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수련자의 행동지침에서는 질서 및 규칙 준수, 정숙한 수련분위기의 조성, 지각 및 결석 삼가, 존대말 사용, 차량이용시 질서지키기, 다른 수련자와 싸우지 않기, 수련시간집중력, 바른 자세 갖추기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기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으로는 웃어른 존경하기, 부모님께 효도하기, 나라에 충성하기, 다른 사람과 다투거나 따돌림 금지, 귀가 교육, 심한 장난 통제교육, 안전교육, 전자오락 게임 등 유해 놀이 금지, 교통질서 및 안전 보행, 수련용품 정리 정돈 잘하기 등이 있다. 또한 태권도는 정신적, 이론적, 기술적인 자질을 갖추어 상급자는 하급자를, 유단자는 유급자를 지도할 수 있으며, 유단자는 사범의 지도를 받으므로, 태권도 수련자는 누구나 교육자, 피교육자의 다양한 입장 변화에 의한 경험을 통하여 인성교육에 효과가 있음을 밝힌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청소년기에 있어서 태권도 수련은 인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성교육 활동이다.

      • 면진 받침에 의한 교량구조물의 지진격리

        정현진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지진 발생시 교량에서 교각과 받침부에는 큰 변형이 반복해서 발생하여 교각에는 항복을 야기하고, 받침부에는 국부적 붕괴 또는 완전한 붕괴를 일으키는 큰 충격력이나 심한 분리를 일으킨다. 이러한 거동은 교량에 심각한 손상이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면진 받침은 교량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지지 교각과 거더에 작용하는 지진력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지진 발생시 교량의 동적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내진 설계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여러 가지 면진장치 중에서 교량구조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FPB(Fricition Pot Bearing)와 LRB(Lead Rubber Bearing)를 이용한 교량의 응답을 UBC(1997), AASHTO(1996) 시방서 규정에 의거한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통하여 구하고, 기존의 pot bearing을 사용한 교량의 지진응답과의 비교를 통하여 FPB와 LRB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Bridges subjected to earthquake excitations tend to experience large cyclic deformations in the supporting columns and the support. This type of behavior may cause cyclic yielding in the columns and repeated impact and separation of the support. Such behavior can cause the bridge the collapse or suffer severe damage. The Seismic isolation support provides flexibility in bridge, enabling the deck segments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nd reducing the internal seismic forces in the deck and the support. The seismic response of the isolated bridge with FPB, LRB and commonly supported bridge, respectively, calculated through the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of two result, it was known that FPB and LRB is highly effective than commonly support for the seismic load.

      • ‘삶을 위한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국가교육과정의 ‘인간상’과 ‘성취기준’ 분석연구 : 코로나 시대의 미래교육 방향성 모색

        정현진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文是研究科罗纳19年以后未来教育方向的成果,从“生活教育”的角度来看。这项研究从学习者“学习”和“成长”的课程与生活密切相关的问题意识开始。基于这种问题意识,从“生活教育”的角度,设计了“后科罗纳时代教育方向研究”的论文。为了了解问题,我专注于“人类”,课程的最终目标,并考虑了教育与生活有利的原因,重点是“成就标准”,这是实现人类形象的工具。 科罗纳时代的教育将面临一个突破性转折点,成为“生活教育”。“生活教育”是指一个新课程,学生学习和学习的内容可以帮助他们生活。这包括教育价值和哲学概念,包括反思当前教育现实,与实际生活不流通的生活分开。同时,它也是竞争教育制度的替代方法,过度侵犯了学习者的人权。基于这些反思,它指的是教育方向,使学习者能够探索生活的价值和哲学,并提供机会,选择和决定他们生活的现实生活。这一方向和哲学被总结为“生活教育”的表达。 我们教育追求的人类形象是以功能性人类为导向的。教育和生活必须循环的非常自然和常识的必要性,我们教育界的现实是学习和生活是如此有利。这一认识也得到了公众调查的结果的证实。 在国家一级的课程中,提出了“成就标准”,以达到人类形象,同时也提出了“人类形象”。“成就标准”是实现国家课程所追求的人格形象的手段和方法。迄今为止,包括目前适用的2015年课程在内的10次修订的国家级课程中提出的“人类形象”包含了课程在每个时代追求的方向。每个科目中提出的成就标准和当前生活问题越远,教育和生活就越有利。 这项研究通过国家一级课程中人类形象的转变过程,对人类当代意义和社会文化背景和课程中提出的成就标准进行了批判性分析,以将生活与教育联系起来。因此,我们能够确认,国家课程的整体理论中提出的人类形象已经改变,同时接受时代的需求。总论中提出的人性化是对应的科目,通过实现标准的要素,批判性地考虑了具体化的过程。因此,在修订的课程中追求的人类奖已经显示出限制,即即使在包含时代任务和使命的情况下,它也不能超越功能人类奖的水平。成就标准没有包含“现在”,“这里”和“我(我们)”的问题。因此,学习和学习的内容元素通常被埋在空虚的知识和理论中,有利于实际学习者的生活。 这项研究提出了未来课程追求和追求的人类形象和成就标准的替代方案,包括计划未来公布的2022年修订课程。此外,还提出了教育环境变化的方向,并考虑了科罗纳时代未来教育的方向,并应注意学校和教师的作用变化。因此,教师和教师的培训制度以及国家一级的课程的重组是重要的时代要求。学校的功能和作用证实,后科罗纳时代的教育环境处于不可避免的环境中。具体的挑战是“标准化和官僚主义的克服”,“建立社会信任”和“民主沟通过程”。关于教师角色的变化,强调了制定具体替代方案,以加强教师作为“顾问”,“指导员”和“促进者”的作用,是未来教育的重要任务。为了提出这些问题的实际替代方案,我们讨论了科罗纳时代造成的教育环境变化,以及我们错过的教育价值。在科罗纳时代,新出现的教学方法是非面对面在线教育平台下进行的课程,教师和学习者直接会面,学习者失去了与同龄人建立关系的学习和经验的机会。教育是以人类和人类的遭遇为前提的。科罗纳时代的教育环境的变化集中在日常生活中被剥夺的教育经验所造成的混乱和孤立。因此,2022年修订的课程旨在澄清科罗纳时代课程中面向人类的形象和成就标准的教育价值和哲学,包括方向。因此,它提出了“民主公民私有化”,作为克服功能人类形象的局限性的现实替代方案。为了实现这一目标,提出了同情心思维能力,批判性思维能力,创造性思维能力和实际思维能力。具体的例子是,根据绩效标准的重要性和层次结构,通过合并和解过程减少过程,强调质量和数量改进是必要的。基于成就标准的描述方法也提出了成就标准技术的方向,因为教学方法取决于技术方法。 这项研究将讨论的对象限于“综合社会”科目,因此认为将讨论扩大到所有科目和科目是不合理的。此外,没有进一步政治分析总理论的人格形象和实现目标的标准是否有组织,这仍然是这项研究补充和未来的任务。 この論文は、コロナ19以来、将来の教育の方向性を「人生のための教育」の観点から検討してきた研究成果です。学習者の学習と成長を促進するカリキュラムがどのように人生に密接に結びついているかについて、この研究は問題意識から始まりました。こうした問題意識に基づいて,「生活のための教育」の観点から,ポストコロナ時代の教育方向性に関する研究を設計した。教育カリキュラムが目標を指す「人間像」に焦点を当て、教育が人生と利益を得られなかった理由を、人間像を実現するためのツールとして使用された「達成基準」に焦点を当てた具体的な科目を考慮した。コロナ時代の教育は、「人生のための教育」への画期的な転換点を迎えるだろう。「人生のための教育」とは、学生が学び、学習する内容が、実際の生活に実質的に役立つことができる新しい教育課程を意味する。これは、学習と人生の循環なしに、実際の生活と離された現在の教育現実の省察からはじめ教育的価値であり、哲学的概念を内包する。同時に、これまで学習者の人権を過度に侵害していた競争教育体制の代替的アプローチでもある。この研究は、学習者が自分の人生の価値観と哲学的探査を実現し、それに基づいて自分の人生を自分の人生で選択し、決定する機会を提供する教育的方向性を指します。この傾向と哲学は、「人生のための教育」という表現にまとめられています。 現在、私たちの教育が追求する人間像は、多分機能的な人間を目指す。教育と人生循環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極めて当然で常識的な当為の前で、私たちの教育共同体が直面している現実は、学びと人生あまりにも有利されていたのが事実だ。この認識は、一般の人々に対する調査の結果として証明された。国家レベルのカリキュラムでは、「人間像」と「達成基準」が提示され、人間像に到達する。「達成基準」は、その国家レベルの教育課程が目指す人間像に到達するための手段であり、方法となるわけだ。現在適用されている2015年のカリキュラムを含む、これまでに10回改訂された国家レベルのカリキュラムで提示された「人間像」は、各期間にカリキュラムが追求した方向性を含んでいる。各科目で提示された達成基準と現在の生活の問題が離れるほど、教育と生活は有利になるしかない。 本研究では,国家レベルカリキュラムにおける人間的変化過程を通じて,人間的意味と社会文化的文脈とカリキュラムにおける達成基準を,生活と教育の連携の観点から批判的に分析した。その結果、国家レベルのカリキュラムの総論で提示された人間像が時代のニーズを受け入れながら変貌してきたという事実を確認できた。総論で提示した人間像が各論に対応する科目では達成基準という要素を介して具体化している過程を批判的に考察した。その結果、これまでに10回にわたって改正された教育課程で追求した人間像は、時代の課題と使命を込めていながらも、機能的人間像のレベルを超えなかった限界を表わした。達成基準は、「今」、「ここ」、「私」の問題を表わさなかった。このため、学習と学習の内容要素は、学習者が実際に生きる必要がある生活に有利であり、空の知識と理論に埋もれていることがよくあります。今後の2022改正カリキュラムを含む将来のカリキュラムが追求し、追求すべき人間像と達成基準の代替案を提案した。さらに,コロナ時代の将来の教育の方向性を考慮し,学校や教師の役割の変化に注意を払うべきである。従って、教育と教育の教育の育成システムだけでなく、国家レベルのカリキュラムの再編も重要な時代的要求です。学校の役割と機能は、ポストコロナ時代の教育環境が異なる環境に置かれていることを確認しました。これを解決するための具体的な課題としては、「標準化と官僚主義克服」、「社会的信頼構築」、「民主的コミュニケーション過程体得」などを提案した。教師の役割の変化に関しては、教師としての「カウンセラー」、教師としての「ガイド」、教師としての「プロモーター」としての教師の役割を強化するための具体的な代替案の準備が将来の教育にとって重要な課題であることを強調した。コロナ時代がもたらした教育環境の変化とともに、この問題の実践的な代替案を提示するために、私たちが逃した教育価値が何であるかを中心に議論した。コロナ時代に新たに登場した教授学習方式である非対面オンライン教育プラットフォームの下で行われる授業によって、教師と学習者が直接会い、学習者が同年代の友人との関係を結ぶことで体験することができる学習と経験の機会を失った。教育は、人間との出会いを前提としています。コロナ時代の教育環境の変化は、日常生活の教育経験の剥奪によって経験される混乱と孤立に焦点を当てています。このため、コロナ時代のカリキュラムに向けられた人間のイメージと達成基準が、今後2022年の改訂カリキュラムを含む方向性に向けてどの方向性が求められているかについての教育的価値と哲学を明確にしようとしました。その結果、機能的な人間像に偏った限界を克服するための現実的な代替案として、「思考する民主市民」が提案された。共感的思考能力、批判的思考能力、創造的思考能力、実践的思考能力など、達成基準の方向性も提示した。達成基準の重要性と階層によって統廃合意過程を経て縮小する過程を具体的事例として提示した。 量的改善だけでなく、質的な側面での改善も必要な状況であることを強調した。達成基準の記述方法においても,技術的方法によりクラス方法が左右されるため,達成基準技術の方向性を示した。この研究は、議論の対象を「統合社会」の科目に限定して議論を展開したので、すべての科目と科目に拡大するには無理が従うものと考えている。さらに、この研究は、人間のイメージと総論の達成基準が有機的に組織されているかどうかをさらに政治的に分析していない点を補完し、将来の課題として残す。 This paper is a research result that examines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fter Corona 19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lif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how closely the curriculum that should promote learners’ learning and growth was closely related to life. Based on such a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a paper called “Education for Life” was designed to study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In order to understand what was the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the ‘human image’, which is the final goal of the curriculum, and examined the reasons why education was inevitably separated from life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 used as a tool to realize the human image. Education in the Corona era will be a breakthrough turning point to ‘education for life’. ‘Education for life’ means a new curriculum in which the contents of students’ learning and learning can be of practical help to their lives. This implies educational value and philosophical concept, which is based on reflection on the current educational reality that is separated from the life that learning and life do not circulate. At the same time, it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competitive education system that has excessively violated the human rights of learners. Based on this reflection, it refers to the educational orientation that allows learners to explore the value and philosophy of life that they will live in,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choose and decide their own life. This orientation and philosophy were concentrated as the expression of ‘education for life’. The human image pursued by our education is aimed at a highly functional human being. It is true that learning and life were so advantageous in the reality of our educational community in front of the very natural and common sense that education and life should circulate. This perception was also proved by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human image’ and ‘achievement standard’ for each subject are presented to reach the human image. The achievement standard is a means and a method to reach the human image that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is aiming for. The ‘human image’ present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revised 10 times so far, including the 2015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contains the orientation that the curriculum pursued in each era. The more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each subject and the problems of current life are distant, the more education and life are advantageous. This study analyzed critically the contemporary meaning of human imag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curriculum through the process of human image change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in terms of linking life and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image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has been transformed by accepting the needs of the times. In the subject subject of the human image presented in the general theory, the process of embodying through the element of achievement standard was critically considered. As a result, the human image pursued in the revised curriculum for 10 times so far has revealed the limit that it has not exceeded the level of functional human image while containing the tasks and calling of the times. The achievement standards did not contain the problems of ‘now’, ‘here’, and ‘we’. For this reason, the content elements that learn and learn are often buried in empty knowledge and theory, away from the life that the actual learner should live.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human image a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the future curriculum should pursue and aim for, includ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be announc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is suggest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in the Corona era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role change of schools and teachers should be noted. Accordingly, it is an important time request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the teacher training system of the teachers and shifts.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chool was confirmed to b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post-corona education is inevitably changed. To solve this problem, I suggested ‘overcoming standardization and bureaucracy’, ‘building social trust’, and ‘learning democratic communication process’. Regarding the change of teacher’s role, it emphasized that the preparation of concrete alternatives to strengthen teacher’s role as ‘counselor’, teacher as ‘guider’ and ‘promoter’ is an important task for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we discusse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the Corona era and what educational value we are missing. The class, which is under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platform, which i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emerged in the Corona era, lost the opportunity of learning and experience that teachers and learners can meet directly and learners can experience by making relationships with peer friends. In the end, education is based on the meeting between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Corona period focused on the confusion and isolation that the daily educational experience is deprived. For this reason, I tried to clarify the educational value and philosophy of the direction of human image and achievement standard that are aimed at the curriculum of the Corona era includ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democratic citizen’ was presented as a realistic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were biased toward functional human beings. The key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are empathic thinking,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practical thinking. The process of reduc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hierarchy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presented as a concrete example, emphasizing that improvement in quality as well as quantitative improvement is necessary. The direction of achievement standard technology is suggested because the teaching method depends on the description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 In this study,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subject to all subjects and subjects because the subject of discussion was limited to the subject of ‘integrated society’.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human image of the general theory and the point of achievement of the general theory are not more politically analyzed is a point to be supplemented and remains a task in the future. 이 논문은 ‘삶을 위한 교육’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이후 미래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한 연구성과물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배움’과 ‘성장’을 촉진해야 하는 교육과정이 과연 얼마나 삶과 밀착되어 있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그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삶을 위한 교육’의 관점에서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의 미래교육 방향성 연구 논문이 설계됐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최종목표인 ‘인간상’에 주목했고 그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육이 삶과 유리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구체적 교과목을 대상으로 고찰했다. 코로나 시대에서의 교육은 ‘삶을 위한 교육’으로의 획기적 전환점을 맞이할 것이다. ‘삶을 위한 교육’은 학생들이 배우고 학습하는 내용이 실제 살아갈 삶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배움과 삶이 순환하지 않고 실제 살아가는 삶과 괴리된 현재의 교육 현실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한 교육적 가치이자 철학적 개념을 내포한다. 동시에 그간 학습자의 인권을 과도하게 침해했던 경쟁교육 체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성찰에 근거하여 학습자가 실제 살아갈 삶의 가치와 철학적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이 실제 살아가는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적 지향을 일컫는다. 이러한 지향과 철학을 ‘삶을 위한 교육’이라는 표현으로 집약하였다. 현재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분히 기능적인 인간을 지향한다. 교육과 삶이 순환해야 한다는 지극히 당연하고 상식적인 당위 앞에서 우리 교육공동체가 처한 현실은 배움과 삶이 너무나도 유리되어 있었던 게 사실이다. 이러한 인식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설문 조사결과로도 입증되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인간상’과 함께 그 인간상에 도달하기 위한 과목별 ‘성취기준’이 제시된다. ‘성취기준’은 해당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인간상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자 방법이 되는 셈이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2015 교육과정을 포함해 지금까지 10차에 걸쳐 개정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은 시대마다 교육과정이 추구했던 지향점을 담고 있다. 각 교과목에서 제시된 성취기준과 현재 삶의 문제가 멀어질수록 교육과 삶은 유리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인간상 변천 과정을 통해 인간상의 당대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맥락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성취기준을 삶과 교육의 연계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는 인간상이 시대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변모해 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이 각론에 해당하는 교과목에서는 성취기준이라는 요소를 통해 구체화하고 있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10차에 걸쳐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추구했던 인간상은 시대적 과제와 소명을 담아내고 있으면서도 기능적 인간상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성취기준이 ‘지금’, ‘여기’, ‘나(우리)’의 문제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이유로 배우고 학습하는 내용 요소가 실제 학습자가 살아가야 하는 삶과 유리된 채, 공허한 지식과 이론에 매몰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고시 예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포함해서 미래 교육과정이 추구하고 지향해야 하는 인간상과 성취기준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이와 연계한 교육환경의 변화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시대 미래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함과 더불어 학교와 교사의 역할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에 따른 사범대와 교대의 교원양성체제는 물론이고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도 중요한 시대적 요청이다. 학교의 기능과 역할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의 교육적 환경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했음을 확인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과제로는 ‘표준화와 관료주의 극복’, ‘사회적 신뢰 구축’, ‘민주적 의사소통과정 체득’ 등을 제안하였다. 교사의 역할 변화와 관련해서는 ‘상담자’로서의 교사, ‘안내자’로서의 교사, ‘촉진자’로서의 교사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 대안 마련이 미래교육을 위한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코로나 시대가 초래한 교육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우리가 놓치고 있는 교육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코로나 시대에 확산된 교수학습방식인 비대면 온라인교육 플랫폼 아래에서 진행하는 수업으로 말미암아 교사와 학습자가 직접 만나고, 학습자가 또래 친구들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체험할 수 있는 학습과 경험의 기회를 상실했다. 결국, 교육이란 인간과 인간의 만남을 전제로 한다. 코로나 시대 교육환경의 변화는 이처럼 일상의 교육적 경험이 박탈됨으로써 겪게 되는 혼란과 고립에 주목하였다. 그런 이유로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포함한 코로나 시대의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인간상과 성취기준이 어느 방향을 지향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철학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 그 결과 기능적 인간상에 치우쳤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사유하는 민주시민’을 제시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공감적 사고역량, 비판적 사고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실천적 사고역량 등을 제시했다. 성취기준의 방향성도 제시했다. 성취기준의 중요도와 위계에 따라 통폐합의 과정을 거쳐 축소하는 과정을 구체적 사례로 제시했다. 양적 개선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의 개선도 필요한 상황임을 강조했다. 성취기준의 서술방식에서도 기술 방식에 따라 수업방식이 좌우되기 때문에 성취기준 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논의 대상을 ‘통합사회’ 교과목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했기에 모든 교과목과 교과로 확장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으로 생각한다. 아울러 총론의 인간상과 각론의 성취기준이 과연 유기적으로 조직되어 있는가 하는 지점을 더욱 정치하게 분석하지 못한 점 등은 본 연구가 보완해야 할 지점이자 추후 과제로 남는다.

      •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씽킹 기반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레임워크 연구

        정현진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모형을 제시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로 하는 인재는 단편적인 지식과 능력보다는 상호보완적, 복합적인 기능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창의력, 소통과 협업능력, 비판적 사고를 통한 ‘복잡한 문제의 해결 능력’을 가장 중요시 하고 있다. 기존에 제시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모형은 융·복합 기술의 지식과 이해, 문제해결 방법의 경험 그리고 사고의 유형화에 대한 교육내용과 방안이 미흡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에는 보완이 필요하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법론(pedagogy)측면에서 보다 유연한 구조 즉, 기술의 수용성, 인성과 인지의 균형성, 교육 현장과 실행을 고려한 융통성 그리고 다양한 상황과 여건도 적용될 수 있는 가변성을 확보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는 교육의 방향은 도전정신, 협력, 혁신, 창의성을 기르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 그 맥락을 같이 하므로 창의역량 개발과 창의적 문제해결 중심의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고 보다 실용적인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수준별 단계와 디자인씽킹의 프로세스 그리고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를 범주화한 모듈을 차용하여 3차원 직교좌표 형태로 설계한 교육 모형과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모듈 풀(pool)로 구성되어 있는 ‘LETD교육프레임워크’를 고안하였다. 3차원 직교좌표상의 X축에 습관·태도·지식·기술이라는 기업가정신의 요소별 관점을, Y축에는 학습자별 수준 단계(Level)를, 그리고 Z축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Technology)을 범주화한 기술 주제를 배치하고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업가정신 교육체계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LETD교육프레임워크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준별, 목적별로 교육방법과 수단의 유연성 있는 구조를 가지며 융·복합적 지식함양과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므로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and model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midst of the rapidly chang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being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 the ability of complementary and complex functions rather than fragmentary knowledge and abilities, especially focusing on creativity, communication, cooperation, critical thinking through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re practical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by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that focuses on competency develop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LETD education framework” consists of a training model designed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orthogonal coordinates and a pool of skill modul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borrowing a module categorizing the level-level, design-thinking process, and entrepreneurial components of learners. The LETD education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has a flexible structure of education methods and process for each lev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urpose, and it is designed to enhance complex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르네마그리트 회화의 구름이미지를 응용한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 연구 : D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정현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how window fashion display is the art form produced by formative elements for sales promotion. The display is an art work expressing the cross section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s, fashion trends and a variety of phenomena of the age. The show window fashion display is not a direct promotion tools of fashion goods like advertisement or printed media but a method to captivate customers, inspire unplanned purchases. When the show window fashion display design has a clear goal and theme, it fascinate customers and provide a new form of cultural experience with complete planning.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shhow window fashion display design which is applied dépaysement, René Magritte’s major representation technique. In this study, let it try to find components of window display and to study show window fashion display, surrealism, René Magritte’s dépaysement technique by inquiring into documents, books, preceding researches and journals. This study analyze display trend and directing techniques of 2013 spring department stores window display of United Kingdom and France what have a long history, USA what is a center of contemporary fashion, and Japan what influence Korea’s modern fashion. Theore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indow display design can lead customers to be interested when it has a specific purpose and theme. Second, by analyzing 2013 spring department stores window display of USA, UK, France and Japan, their windows are closed form and independent. Spotlights, downlights and indirect lights are used for effective direct. Seasonal, conceptual, abstract, product informational and trend props are used as decor. It is effective that window display wall uses graphical POP advertisement. Realistic, surrealistic, symbolic, atmospheric and informational stagecraft is used. Among them, surrealistic, symbolic, and realistic stagecraft is mainly used. Third, René Magritte’s dépaysement technique is uncertainty of space, combination of disparate objects and alteration of objec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gritte’s works concentration on dépaysement, image of cloud represents happy moment of childhood. The brand “D” for proposed design is a brand of social consideration companies’ joint store brand operated by Seoul and SBA(Seoul Business Agency). They are running 3 stores at city hall, Gangbuk and Gangnam. Gangnam store doesn’t have store window because of circumstance. Through this work, half-opened movable store window was deployed at Gangnam store. Intention of work is creation of image that store is happy place for all consumer and supplier and also store is symbolizing win-win place like relationship between cloud and rain with applied Magritte’s cloud figure. The results from works which is produced by proposed design with Magritte’s cloud figure are as follows. First, representation of social value is easy by using cloud image to what is given happiness, win-win and coexistence meaning. It shows that creation of new symbolic valuable cloud image with breaking cloud figure’s stereotype which always used for background decoration. Second, window display with indistinction between background and props is applied dépaysement of space’s uncertainty of Magritte. It makes possible to show symbolism of Magritte’s cloud image and representation of valuable space which is happy for consumers and suppliers. Third, cloud shape props what is combined with rectangle, cube, circle and cylinder arisen from fashion accessories like bag, wallet and hat. Simple props with brand value makes easy to display public brand D’s various products what come from various company. Forth, interference of facing two mirrors in half-opened movable store window is able to represent an extensibility of products and props. Facing mirrors make being easy to show product’s information and depth in space with 45 degree angle. Normal and plain cloud image reinvents space assigned philosophical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It is a brilliant try to improve artistic, brand, products value. The window fashion display grafting art draws customer’s attention continuously and gives durability like brand not volatility. This proposal hope to cause in-depth and systematic hereafter study related with window display grafting art extents. It is expected that spread of artistic window fashion display in Korea.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는 상품 구매 촉진을 위해 조형요소로 연출하는 예술의 한 형태로서, 그 시대의 사회 · 경제의 변화, 패션 경향의 변화 등 다양한 현상들과 연계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의 한 단면을 표출하는 예술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는 패션상품의 직접적인 판매촉진 수단인 광고나 인쇄매체와는 달리, 고객을 사로잡을 수 있는 수단이며, 직접적인 구매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 디자인은 분명한 목적과 테마가 있을 때 고객에게 흥미를 유도할 수 있으며, 철저한 계획을 통해서 새로운 문화적 체험을 제공하고 매력적인 조형미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의 데페이즈망 기법을 응용하여 예술적 의미가 부여된 시각적 표현 방법인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제안함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문헌자료와 선행논문 연구를 통해서 쇼윈도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고찰하였고, 국내보다 오랜 패션의 역사를 가진 영국과 프랑스, 근현대 패션의 중심 미국, 우리나라 근현대 패션에 많은 영향을 준 일본 백화점의 2013년 봄 쇼윈도 디스플레이 표현경향과 연출기법을 분석하였다.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 초현실주의, 르네 마그리트 데페이즈망 기법에 관한 국내 · 외 연구논문과 서적, 정기간행물,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 문헌고찰을 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을 감성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방법인 쇼윈도 디스플레이는 목적과 테마가 있을 때 고객에게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둘째,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의 13개 유명백화점 쇼윈도의 13년 봄 사진자료를 분석결과, 해외백화점의 쇼윈도는 폐쇄형 형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효과적인 연출을 위해서 스포트라이트와 다운라이트, 간접조명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소도구는 계절 · 구상 · 추상 · 상품정보 · 트렌드소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쇼윈도의 벽면은 POP광고로 그래픽처리가 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연출기법은 사실적, 초현실적, 상징적, 분위기적, 정보적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초현실적, 상징적, 사실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초현실주의 르네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 기법은 공간의 불확정성, 이질적 사물의 결합, 사물의 변형과 변화이다. 일상의 사물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결과물인 정신적 오브제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데페이즈망 기법을 중심으로 마그리트 작품 분석결과 구름이미지는 유소년 시절의 행복한 순간을 표현하고 있었다. 쇼윈도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제안할 D브랜드는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사회적배려기업의 공동브랜드이며, 서울시청 및 강남, 강북지역 3개소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여건상 쇼윈도가 없는 D브랜드 강남매장에 적합한 반개폐형 이동 쇼윈도를 제안, 마그리트 구름이미지를 활용한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를 통해 D브랜드는 구름과 비의 관계처럼 지속적인 상생과 공존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며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행복한 공간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본 작품의 의도이다. 마그리트의 구름이미지를 응용한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 디자인개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 상생 · 공존의 상징적 가치가 부여된 구름이미지를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의 모티프로 사용함으로써 D브랜드의 사회적 가치를 표출하는데 용이하였다. 이는 배경으로만 사용하던 구름이미지에서 벗어나 상징적 가치를 부여한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배경과 소도구의 경계를 모호하게 처리한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는 마그리트의 공간의 불확정성을 적용한 디자인이며, 이는 마그리트 구름이미지의 상징성과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행복한 공간인 D브랜드의 공간적 가치를 함께 표출이 가능하였다. 셋째, 패션 액세서리 중 가방, 지갑, 모자의 형태에서 연상한 사각, 사각큐브, 원, 원기둥과 결합한 구름이미지의 소도구는 상품의 형태와 유사하여 안정감과 조화로움을 줄 수 있다. 브랜드의 가치를 담은 단순한 형태의 소도구는 다양한 상품의 종류와 다양한 기업이 입점하고 있는 공공브랜드 D의 상품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반개폐형 이동 쇼윈도에서 마주보고 있는 거울의 간섭현상은 보는 각도에 따라 공간과 상품, 소도구의 확장성을 연출할 수 있었다. 마주보는 거울은 상품정보 전달에 용이하며, 45도 기울기를 줌으로써 시각적으로 쇼윈도의 깊이 감을 더하였다. 구름이미지라는 평범하고 평면적인 이미지가 발상의 전환을 통해 철학적 가치를 부여한 공간으로 재탄생됨으로써 예술성과 브랜드,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예술과 접목한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는 고객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회성이 아닌 브랜드의 가치와 같은 지속성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예술과 접목한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심도 있고 체계성 있게 확대 제안되길 기대하며, 국내에서도 예술적 쇼윈도 패션디스플레이의 확산을 기대한다.

      • 高麗 宮廷儀禮의 下賜茶에 관한 硏究

        정현진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려시대는 왕과 귀족, 백성들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茶를 즐겨 마셨고, 通過儀禮인 冠婚喪祭 때에도 차를 올렸으므로 음차풍습이 일반화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차생활이 가장 활발했던 고려시대를 통해 宮廷儀禮에서 행한 茶儀와 왕이 신하들이나 서민들에게 下賜品으로 준 차를 살펴봄으로써 고려가 飮茶文化의 전성기를 이루었다는 사실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차생활문화의 형성 배경을 살펴, 고려인들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해보았고, 궁정의례를 통해 왕실의 茶儀를 알아보았다. 고려시대엔 연회 때 차가 없으면 儀禮가 없었다고 할 만큼 차는 필수불가결한 것이어서, 宮廷의 각종 의식에 茶儀가 베풀어졌다. 그 근거로 󰡔高麗史󰡕 禮志의 四禮 중 가례 12종, 길례 1종, 빈례 3종, 흉례 2종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궁정의 차의를 행하기 위해 茶房과 行爐茶擔軍士라는 제도가 있었다. 차방의 직제와 직무가 세분화 되어있어 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행로차담군사는 임금의 행차에 순행하여 차를 전담하였다. 茶는 귀중한 예물로써 왕이 신하에게 下賜하였고, 고려 초기 宮廷에서는 신라에게 호의를 보이며 백성들에게까지 茶와 幞頭를 내렸다. 고려는 국가의 모든 중요한 의식에 차가 필수품이었고, 외국사신을 영접할 때도 茶儀式을 가져 정중한 禮를 갖추었다. 특히 나라의 큰 행사인 仲冬八關會와 煙燈會때 土神과 부처께 獻茶하는 관습은 茶生活文化를 더욱 융성하게 했고, 차촌은 사찰 근처에 있어 절에서 차의 쓰임이 많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 고려시대의 사원에서 儀式때에 茶偈를 읊는다거나 부처께 차를 공양물로 올리는 것은 고려만의 특색이며, 茶偈는 지금도 사찰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관습이다. 일반 서민들은 茶店을 통해 차를 구입해서 마실 수 있었고, 집집마다 항상 차를 보관해 두었다. 차는 왕실에서 뿐만 아니라 서민에 이르기까지 日常茶飯事가 되었다. 여러 신하들의 喪에서는 공로가 많은 신하들에게 관직을 추증하고 諡를 사하고, 차를 부의하는 것은 고려 때에만 볼 수 있는 관례로 보여지며, 최고 품질인 腦原茶나 大茶를 장례에 쓰고 남을 만큼의 양을 賻儀 받았다. 그리고 차가 약 처방으로 쓰였다는 기록 또한 고려인들이 차를 약용으로도 이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tea was enjoyed by grassroots as well as kings and noblemen, to make it natural to say that almost every Goryeo people were used to tea-drinking cul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specifying the prosperity of tea culture in Goyreo era by mainly looking at royal ceremonial tea rite and royal tea grant to the subjects. The study starts from looking at tea rites that were one of the important parts in royal rite of passage. The study also examines cultural background which enabled the prevailance of tea culture. For a closer study on royal rites, the study included some details form the "Four Rites", a chapter of rituals in Goryeosa(The General History of Goryeo). The royal court of Goryeo had well-organized office for tea service such as 'Dabang(special official that was in charge of tea ceremony in court)' and 'Haengrochadamgunsa(special official that was in charge of tea service when the royals traveled). Tea was considered very special and precious grant from king to his subjects, and in early period of Goryeo, the king even gave tea to mere commons of Shilla to earn their favor. Almost every national official events including reception of foreign envoy had tea rites as their essential parts. The tea dedication rites to the god of earth and Buddha in both Palgwanhoe and Yeondeunghoe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regard tea as an essential item of living. Major tea producing villages were placed near temples, because tea was a necessity in temple life. Tea Poems were read and served throughout every temples of Goryeo and it was a uniqueness of Goryeo temples to choose tea as dedication item to Buddha. The common people of Goryeo were able to purchase tea from Tea Stores and they even kept some in their own dwellings. As for drinking tea, there was no class barrier. When it came to the funeral of officials with merit, kings often honored them posthumously with granting posthumous title and top grade tea like Noewon-tea and Dae-tea. Tea was also used as medicine. There are some lines in the documents remarking prescription with tea.

      • EXCEL을 활용한 고등학교 통계단원 지도방안 연구

        정현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등학교 통계 단원을 EXCE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개념이해를 발달시켜 통계 단원의 학습을 의미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터 교육의 도입 배경 및 컴퓨터 환경에서의 수학적 지식의 시각화 및 장단점, EXCEL을 활용한 수학교육에 대해 기술하였다. EXCEL을 활용한 통계지도를 위해 이산확률변수, 이항분포, 연속확률변수, 정규분포, 이항분포와 정규분포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