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igh-rate 이론에 기반한 스펙트럼 양자화 방식

        정원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의 음성 체계는 폐, 성대, 성도로 구성 될 수 있다. 특히 이들 각각은 gain과 pitch harmonic, spectral envelope으로 표현 된다. linear predictive coding (LPC) 필터는 성도를 나타내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LPC를 양자화 할 때, minimum phase 성질이 보존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보통 line spectral frequency (LSF) 형태로 변형하여 양자화 한다. Gaussian mixture model (GMM) 에 기반 한 switched split vector quantization (SSVQ) 는 intra-frame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방법 중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GMM-SSVQ는 split vector quantization (SVQ) 의 sub-vector사이에 상관관계를 부분적으로 이용하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Karhunen–Loève transform (KLT) 가 적용된 GMM-SSVQ (GMM-KLT-SSVQ) 이다. 이 알고리즘은 GMM-SSVQ 에서 각각의 mixture를 KLT domain에서 양자화 하는 방법이다. SVQ와 GMM-SSVQ의 spectral distortion과 outlier 성능을 GMM-KLT-SSVQ의 성능과 비교하면 각각 4비트와 1비트 높은 성능을 기대 할 수 있다. LSF 벡터의 inter-frame 상관관계를 이용한 알고리즘인 predictive split vector quantization (PSVQ)에서 auto-regressive model (AR-PSVQ) 을 적용한 알고리즘은 intra-frame 상관관계를 이용한 알고리즘 보다 높은 성능을 얻는다. 제안한 알고리즘인 conditional PSVQ (C-PSVQ)는 이전 LSF frame이 주어졌을 때 현재 LSF frame 과의 상관관계를 conditional distribution으로 설명 하여 적용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AR-PSVQ와 비교했을 때 C-PSVQ는 spectral distortion과 outlier 관점에서 각각 1비트와 2비트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AR-PSVQ와 C-PSVQ는 채널 에러에 민감하다는 결함을 가지고 있는 알고리즘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채널에러에 영향을 받지 않는 storage devices인 voice recoders, text-to-speech system (TTS), emergency call-back 시스템 등에 사용된다. Adaptive multi-rate wideband (AMR-WB) 코덱에서, LPC 계수는 immittance spectral frequency (ISF) 벡터로 변환되어 양자화 한다. 코드북을 찾는 양자화 과정과 성능을 평가하는 distortion mismatch를 줄이기 위하여 sensitivity matrix가 제안되고, 이것은 spectral distortion 관점에서 더욱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spectrum 양자화 방법은 mobile phones, speech/audio broad casting, audio playback systems, voice recoders, emergency call-back system 등에서와 같이 speech와 audio 코딩에서 사용할 수 있다.

      • 1-Alkylcyclohexyl acrylate의 합성 및 반응성

        정원진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도체 극미세화 공정의 가장 큰 이슈는 Line Width Roughness와 Line Edge Roughness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토레지스트의 현상공정에서 감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rF 포토레지스트용 수지의 acid labile group에 적용 가능한 1-alkylcyclohexyl acrylate의alkyl기를 각각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로 치환하여 4종의 단량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4종의 단량체를 산 조건하에서 분해반응을 진행하였고 GC분석으로 감량을 측정하여 alkyl기에 따른 분해 정도를 비교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PAG에 의한 포토레지스트의 deprotection 반응에서 치환기의 입체 장애 및 보호기의 안정화에 따른 현상 정도를 단량체의 분해 반응으로 대체하여 확인하였다.

      • 배달 앱 서비스 이용자들의 불만족과 불평행동 대한 연구

        정원진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elivery food service has brought a variety of food delivery services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dual-income coupl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based on location, delivery food service has become possible anywhere. In addition, the COVID-19 virus around the world has brought major changes to the restaurant market. The change is non-face-to-face, and the food delivery market is expected to grow exponentially in the future. However,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delivery app service, dissatisfaction with the delivery service users is increasing and it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Although many preceding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growing delivery app,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among delivery app service us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usage patterns of delivery app services are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compensation methods for dis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related variables and the compensation methods on the intention to reus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survey and related theories were reviewed, and 23 items were set after classifying the delivery service quality dissatisfaction into three categories. Complaint behavior is 8 items. Compensation methods are 10 items, and the effect on re-use intention is set to 3 items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emographic frequency analysis, Baemin had a high rate of use. The rate of use at home was high. Used once or twice a week, 30,000 to 40,000 won per time, and 4 family members. Chicken was the highest for delivery. It can be seen that various desserts (coffee or cake) are delivered with the development of packaging technology. The reason for using the app is that it is easy to search and you can pay with a card at once. Concerns include false reviews and fake restaurants. Delivery app users can see that a family of four spends about 30,000 to 40,000 won at home through non-face-to-face communication, but they have a problem with false reviews and fake restaurants.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related variables was divided into dissatisfaction, complaining behavior, compensation method, and reuse intention, and analyz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usage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action and physical reward by gender, and by marital status,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ivery staff service dissatisfaction, Public Complaint Behavior, and inaction. In the case of dissatisfac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expenditure amount, frequency of use, and concerns. Complaining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expenditure amount, and concerns.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use intentions in terms of age, expenditure amount, frequency of use, and concerns.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ward method showed that the physical reward had a significant effect. Considering that the compensation method for service failure showed that physical compensation was a significant result for non-face-to-fac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hysical compensation for service recovery. 배달외식 서비스는 1인 가구의 증가와 맞벌이 부부 등으로 배달음식의 다양성을 가지고 오며 위치기반으로 인한 IT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어디든 배달외식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또한 세계적으로 코로나 19의 바이러스가 외식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는 비대면으로 배달외식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이 되며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배달앱 서비스 성장과 함께 배달외식 서비스 이용자들에 불만은 가중되고 사회적 문제까지 되고 있다. 그동안 성장 중인 배달앱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배달앱 서비스 이용자들에 불만과 불평행동에 관련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달앱 서비스의 이용행태를 파악하며 불만족과 불평행동, 보상방법에 대한 요인분석하고 관련된변인간 차이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보상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적 조사와 관련 이론을 검토하여 배달외식 서비스 품질 불만족 3가지로 구분하고 23문항들을 설정하였고 불평행동은 8문항과 보상방법에 관한 10문항으로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3문항으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빈도분석 결과는 배민의 이용률이 높았으며 집에서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고 주 1~2회 사용하며 1회에 3~4만 원, 가족 구성원은 4명 배달음식은 치킨이 높았지만, 디저트(커피나 케이크)나 다양한 메뉴가 포장기술의 발전으로 배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앱 사용이유는 검색이 쉽고 카드로 한 번에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이며, 우려되는 사항은 허위리뷰 및 가짜 맛집 등이 있다. 배달앱 이용자들은 비대면으로 집에서 4인 가족이 3~4만 원 정도를 사용하지만 허위리뷰와 가짜 맛집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관련변인간 따른 차이분석은 불만족, 불평행동, 보상방법, 재이용의도로 나누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행태로 분석하였다. 성별에 차이로는 무 행동과 물리적 보상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로는 배달직원 서비스 불만족, 공적 불평행동, 무 행동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불만족에서는 연령, 학력, 지출금액, 사용횟수, 우려사항이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불평행동으로는 연령, 학력, 지출금액, 우려사항이 유의한 차이를 있으며, 보상방법에는 연령, 사용횟수, 우려사항이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재이용의도에는 연령, 지출금액, 사용횟수, 우려사항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상방법에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물리적 보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실패에 보상방법으로 물리적 보상이 비대면 서비스에 유의한 결과로 보아 서비스 회복을 위한 물리적 보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합성곱 신경망(CNN)을 이용한 위성 영상 판별 및 정확도 향상에 대한 연구

        정원진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has launched numerous satellites from Earth into space over the past few decades. Among them, Korea has 22 satellites, including the Arirang satellite. In the past, satellites were used for military and communication purposes, but satellite data is becoming more and more public. Analyzing these data through algorithms such as CNN will provide a lot of information while minimizing manpower consumption. For this reason, research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satellite image object recognition through CNN, which was attempted to achieve through the data preprocessing process.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data were to be processed so that the accuracy could be higher than the prediction rate of the original image, 89%, but as a result of learning with improved data, the accuracy was about 3% lower than that of the original image. Although the target prediction rate was not achieved, it is significant that the data was processed and learned. Key word: CNN, Image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지난 수십 년 동안 지구에서 우주로 수많은 위성을 발사했다. 그중 한국은 아리랑 위성을 포함한 22개의 위성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에는 위성을 군사, 통신 용도로 사용하였는데 위성 데이터들이 민간에 점점 공개되어가고 있다. 이 데이터들을 CNN과 같은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석하면 인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CNN을 통한 위성 영상 객체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는데, 이를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달성하려 하였다. 연구 초기에는 원 영상의 예측률인 89%보다 정확도가 높게 나올 수 있도록 데이터들 가공할 예정이었지만 개선 데이터로 학습한 결과 원 영상보다 약 3%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목표 예측률은 달성하지 못하였지만, 데이터를 가공하여 학습시켜 보았다는 것에 의의를 두려 한다. 주제어 : 합성곱 신경망, 이미지 처리, 인공지능

      • 통신기능 탑재를 통합 P형수신기의 통합관리에 관한 연구

        정원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indings by examining the firefighting managing of the buildings equiped with the P-type receiver show that the firefighting managing has some following prolbems , and authorized personnel will not detect fire signals properly: 1. The P-type receivers are separately equipped in each building 2. They are often installed on the stair walls of the buildings 3. The offices with the P-type receivers are often used as warehouses 4. The offices have no standing watchers 5. The P-type receivers are often closed with locking devices In order to reduce the high-qualified workers on the design and supervision and the working outfits the changing to the R-type receiver requires in old buildings and apartment buildings , through mounting communicating functions on the existing P-type receiver equipped in the buildings, this suggested firefighting facilities can reduce working periods and expenses because unexperienced workers can also connect wires and use easily. So I am assured through the tests that the efficient firefighting management in large-scaled areas as well as in old existing buildings is possible. In order to provide the P-type receiver with communicating functions, which are the weakness of the P-type receiver, this suggested system especially provides the existing P-type receiver with I/O Modules and communicating boards. As a result, it can manage fire signals centralizedly. Furthermore, through GDS(Graphic Display System) this system can locate a fire place exactly and maximize firefighting management efficiency. In addition, because GDS has some convenient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ng function tests, prevention record logs and the display of fire signals on the monitor, the suggested system enables controllers with no related knowledge to control a fire Besides, when the fire prevention office is located using the CAF-type firefighting facilities which this research suggests, the office can be composed of the input of natural lights , a resting room and a maintenance room, in addition to requisite conditions required by firefighting regulations. The main functions of the CAF-type firefighting facilities this research suggests are as follows : P형수신기가 설치된 대상물의 방화관리 문제점을 확인한 결과 건물별로 분산되어 설치되었거나 계단에 설치되어져 있고, 대부분 P형수신기가 설치되어진 장소는 창고 등으로 사용되어져 상주된 감시 인력이 없고 잠금장치로 폐쇄되어 있어 관계자가 화재신호를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소방 설비는 노후 된 건물 및 아파트에 설치되어진 P형수신기를 R형수신기로 교체 시 요구되는 설계 및 감리부분에 대한 고급인력이나 공사 장비 등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P형수신기에 통신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비숙련자도 쉽게 결선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 하였고, 기존의 노후 된 건축물뿐만 아니라 대규모 단지 내에서도 효율적인 방화관리가 가능토록 하였으며 이것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특히 제안된 소방설비는 P형수신기의 가장 취약점인 통신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I/O Module 및 통신 Board를 기존 P형수신기에 장착하여 건물 간 화재신호를 집합 관리할 수 있고, 제안된 GDS(Graphic Display System)를 통해 정확한 화재발생지점을 알 수 있어 방화관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GDS 프로그램은 사용자 편리를 위하여 통신기능 이상여부 TEST 기능 및 방재 기록일지, 단지 내 화재신호 발생지점등을 모니터상에 나타낼 수 있는 여러 가지 편리한 사용자 기능을 가지고 있어 관리소 및 관계자가 소방시설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화재발생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이외에도 CAF(Connector Area Fire-Signal)형 소방설비를 이용하여 방재실을 선정할 시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필수요건 이외에도 자연채광이 가능하고, 휴게실, 정비실 등이 갖추어진 방재센터 구축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제안한 CAF형 소방설비의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다. 1. 화재 발생장소의 정확한 지점과 작동된 설비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건물 내 거주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2. 방화관리자가 타업무로 인하여 방재센터를 이석할 경우에도 화재신호를 즉각 통보할 수 있는 자동 문자 메세지(SMS) 발송장치 연결기능이 있다. 3. 당해 건물에 설치된 소방기기의 설치 현황과 과거에 작동되었던 이력을 보존하여 언제든지 검색, 인쇄하여 관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4. 로컬 기기의 이상이 발생하였으나 즉시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이상 발생기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임의 제거할 수 있다.

      • 식이성 항산화물질이 염증반응과 류마티스 관절염에 미치는 효능평가

        정원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폭넓은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있고 신체 전반에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관절 활막의 과다증식과 함께 골과 연골조직의 파괴가 수반되는 대표적인 염증성 질환이다. 최근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류마티스 관절염, 대장암 및 동맥경화증 등 만성질환의 발생에는 산화스트레스가 공통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즉 이들 질환의 발생 시 수반되는 조직손상 및 비정상적인 세포분열 등은 산소라디칼에 의해 촉진되고 그 결과 체 내 항산화체계의 적극적인 개입이 유도되며 적합한 영양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결과적으로 체 내 환자의 혈액과 관절 활액에서 지질과산화물 증가와 항산화효소 활성저하가 관찰된 바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질환관리에 필수적인 식생활에 관한 정보는 매우 취약하여 영양소 섭취상태 및 특정 영양소의 과부족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① 대식 세포주에서 식이성 항산화물질에 의한 염증 관련 산화스트레스 및 면역반응 억제효능을 평가하고 ② 류마티스 관절염의 환자에서 혈 중 염증반응 지표의 개선과 임상증세 완화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1에서는 LPS로 자극한 세포주 RAW 264.7에 5, 10, 20μg/ml 농도의 α-tocopherol, β-carotene, quercetin을 처리하여 염증반응 관련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IL-6와 TNF-α, nitrite 생성량은 5μM quercetin 처리군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α-tocopherol(20μM)처리군에서는 TNF-α, IL-6, nitrite 생성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그러나 PGE2생성량은 항산화물질 처리에 의해 유의적인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세포 내 COX-2 발현과 iNOS발현은 5μM의 quercetin 처리군에서 감소하였다. 연구2에서는 19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double-blinded, cross-over 디자인으로 α-lipoic acid, quercetin, placebo군으로 나누어 4주동안 600mg/day 공급하고 2주 wash-out 한 후 혈장에 축적된 TNF-α, IL-1β, IL-6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TNF-α, IL-1β 생성량은 군 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IL-6와 C-reactive protein(CRP) 생성량은 α-lipoic acid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quercetin 섭취군에서 IL-6, CRP의 분비 감소와 류마티스 관절염 기능 평가 설문조사(KHAQ / VAS) 통증 정도가 완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식이성 항산화물질 처리가 대식세포주에서는 항염증 효능이 유의적으로 관찰되었으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항산화물질의 보충이 염증을 완화시키는 경향만을 보였다. 따라서 항산화물질인 quercetin과 α-lipoic acid의 효능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아직 이르며, 향후 섭취량과 기간, 형태에 따른 다양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heumatoid arthritis(RA) is an auto-immune disease accompanied by hyperplasia of articular synovial membranes and destruction of bones and cartilage tissues. In recent years, a great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ossible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aetiology and pathogenesis of RA. There is evidence indicating that a low antioxidant status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developing RA. Furthermore, the rheumatoid inflamma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generation of oxidants(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contribute to tissue destruction. Antioxidant defences limit the damages caused by oxidants, such as those formed during inflammation, In addition, in vitro studies and animal studies have shown that antioxidants also posses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is implies that antioxidative defence mechanism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patients with RA and that the effects of antioxidative nutrients ought to be further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1)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quercetin on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inflammation related molecules in macrophages and (2)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quercetin and α-lipoic acid on inflammatory markers and disease severity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study 1, LPS-stimulated cell line RAW 264.7 was treated with α-tocopherol, β-carotene and quercetin in concentration of 5, 10, and 20uM. Results indicated that TNF-α and IL-6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5-20uM quercetin treatment, and 20uM of α-tocopherol treatment. Nitrite rele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5uM quercetin treatment. Expressions of COX-2 and iNOS were effectively reduced by 5uM quercetin treatment. In study 2, Nineteen patients with RA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 Each group received 600mg/day quercetin, α-lipoic acid, and placebo capsules for 4 weeks in a double blinded, cross-over design with 2-week washout period between treatments. Rheumatoid arthritis functional evaluation survey(KHAQ / VAS), C-reactive protein(CRP) and serum TNF-α, IL-1β and IL-6 level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Results indicated that IL-6 and C-reactive protein level in patients with RA were reduced by quercetin supplementation, but not significantly. And quercetin supplementation improved quality of life measured(KHAQ) and decreased VAS in patients with RA. In conclusion, Dietary antioxidants possess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RAW 264.7 cells. However antioxidants supplementation in RA patients show only a tendencies to reduce IL-6, CRP, and to increase KHAQ(joint function) and to decreased VAS(pain relaxation). Further studies on the levels and duration of antioxidants intakes are required.

      • 사용자 주도형 소셜플랫폼의 디자인 소통효과에 관한 연구

        정원진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됨에 따라 서비스산업이 주목받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그중 소셜미디어의 발전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 사람과 정보를 연결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더욱 더 세분화되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 소셜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랫폼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창작자들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시장은 생산자와 소비자 나아가 창작자가 결합된 크리슈머의 형태인 사용자주도(user-driven)형으로 변화하며, 다양한 가치를 발견하는 과정을 계획 및 연출하고, 소셜플랫폼를 통해 콘텐츠, 해결책, 소통을 만들어 니즈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그 과정을 통해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상호소통 제안디자인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들의 평가와 소통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담론을 이끌어내는 디자인사고를 만들어 낸다. 다양한 가치를 이끌어내는 도구인 소셜플랫폼의 개방성의 의한 네트워크의 확장, 창작자의 창의성을 통해 본질을 꿰뚫고 해석하는 디자인이 유연한 소통을 통해 얻는 효과를 찾는다. 창작자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연결되며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작업을 발전시키고 영향력을 만들고 있으며, 창작자와 연결된 소셜플랫폼과 미디어의 활용도 또한 점차 확대되고 세분화되며 미디어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해내며 수요를 만들어 내고 있다.(연구방법) 가장 대중적이고 가입자와, 인지도가 높은 7가지 소셜플랫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비헨스, 핀터레스트, 링크드인, 킥스타터, 테드)에 관한 분석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창작자 분석의 질적연구를 통한 창작자의 미래가치 창출을 찾고, 소셜플랫폼의 기능, 창작자들의 디자인사례연구를 통해 그 관계성을 찾아 지속가능에 관한 디자인 지도를 만들어 필요성을 밝히고자 한다.(결과)이를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수단으로서 적극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찾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소셜플랫폼과 사용자주도형 환경의 창작자, 미디어와 연계되는 소통과정을 도출하고자 한다.(결론) 기존의 수직, 수평의 구조를 넘어 통합된 구조를 만들어 융 복합 된 다양한 가치를 만드는 창작자와 관계를 맺고 제안디자인을 활용함으로서 지역사회 ,기업, 문화, 공공의 이익을 해결하여 사회적 혁신, 사회적 디자인을 만들고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며, 소셜플랫폼을 활용한 창작자들의 인간중심적 디자인사고방식을 통한 해결책을 만들어가는 혁신의 과정을 통해 소통효과 찾는 것을 의의로 한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merged, the service industry has attracted attention and the influence of platforms based on the industry is expan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has evolved into a social platform by providing diverse services, linking people and people, connecting people and information, and sharing various contents. And creators who show their identity by using these platforms are being valued. They plan and direct the process of discovering various values ​​and create content, solutions, and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to observe their needs. And analyze and propose designs through the process. This process leads to evaluation and discourse through users' viewpoints and sharing. Extension of network by openness of social platform which is a tool to derive various values, creativity of creator and interpretation We want to find possibility from transcendence of digital space. Creators connect with a variety of people, develop their work and create influence through feedback, The use of the digital space connected with the creator is also gradually expanding and segmenting, serving as the center of the media and creating deman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e are looking for creation of future value of creator, We will try to find out the necessity by looking at the types of social platforms and design cases of creators. We want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actively utilized as a means of sharing and utilizing valuabl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collaborate with creators and companies that create various values ​​by eliminating the existing vertical relationship structure, by orienting the horizontal relation structure, and by finding out the linkage between the social platform, the creator and the digital space. The goal is to advance to a society that meets various needs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nd it is meaningful to search for possibilities through the process of innovation that creates solutions through the human-centered way of thinking of designers using social platform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