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 선재의 금속 이온 용출 및 내부식성 평가

        정경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금속성 교정장치는 구강 내와 같이 전해질이 있는 곳에서 부식을 일으켜 금속 성분이 유리되며 그 결과로 장치의 기계적 성질과 형태에 변화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장치의 부식에 의하여 생성된 부식산물의 독성이 주위의 조직이나 체내로 흡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교정용 스테인리스강 선재는 일반적으로 302, 304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이러한 강 종은 염소이온의 환경에서 공식 및 틈부식과 같은 국부부식 저항성이 낮아 구강 내에 사용시 부식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 교정장치의 금속 유리가 교정치료의 결과 및 전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알려지며 보다 높은 내식성을 가지는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스테인리스강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는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SR-50A)으로 금속 브라켓 및 선재를 시험 제작하여 상용 스테인리스강 선재인 Dentarum사의 .016 x .022 스테인리스강 Remanium(RW), NiTi 선재인 Tomy사의 .016 x .022 Bioforce Sentalloy (NW), TMA 선재인 Ormco사의 .017 x .025 TMA(TW)와 비교하였으며, SR- 50A 브라켓과 Tomy사의 스테인리스강 standard edgewise 브라켓을 비교하였다. 또한 브라켓과 교정용 선재가 결찰되었을 때의 금속 이온 유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SR- 50A 브라켓과 Tomy사의 스테인리스강 브라켓의 슬롯에 준비된 4 종류의 선재를 각각 삽입한 후, O- ring(Ormco)으로 결찰하고 이를 여덟 군으로 분리하여 인공 타액내에 12주간 침적시켰다. 인공 타액내에서의 침적 시간에 따른 각 실험군의 금속 유리량을 측정하였으며 표면 관찰과 기본적인 물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1. 선재의 경우, 니켈의 유리량은 SRW와 NW는 침적 기간에 따라 유의차가 없었으며, RW는 12 주에서 유의성 있게 니켈 유리량이 증가하였다. 모든 선재에서 크롬의 유리량은 침적기간에 대해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브라켓의 경우, 니켈 유리량은 침적 기간에 따라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었으며, SB와 TB간 니켈 및 크롬 유리량에 유의차가 없었다. 3. 브라켓-선재의 경우, 니켈 유리량은 1 군(TB-SRW)에서 8 주부터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며 2 군(TB-RW)에서는 4 주부터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며 12 주에서 모든 실험군 중 가장 높은 유리량을 보였다. 3 군(TB-NW)에서는 모든 기간에서 니켈의 유리량이 아주 작았고 4 주부터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다. 4 군(TB-TW)에서는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었다. 크롬의 유리량을 보면 약 0.1 ppb 이하로 매우 작았으며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4. 니켈의 유리량은 5 군(SB-SRW)에서는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었으며, 6 군(SB-RW)에서는 12주에서 니켈의 유리량이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나 Tomy 브라켓에 비해 그 유리량이 훨씬 적었다. 7 군(SB-NW)과 8 군(SB-TW)에서는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았다. 크롬의 유리량은 약 0.05 ppb 이하로 매우 작았으며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5. 표면 관찰 결과 대부분의 시편은 모든 침적 기간동안 부식의 양상을 관찰하기 힘들었으나, 2 군(TB-RW)에서 8 주 이후부터 브라켓 표면에 생성된 부식 산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식 산물은 Elastic O-ring와 선재가 결찰된 브라켓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SR50-A) 선재는 기존의 스테인리스강 선재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며, 교정학 영역에서 선재의 제작을 비롯한 교정장치의 신소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etal orthodontic appliance is known to release metal ions in an electrolyte like oral cavity and, as a result, to lead to changes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shape of appliance. It is not advisable that toxicity of corrosive products derived from corrosion of appliances is absorbed in the tissue and the body. Orthodontic stainless steel wir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302, 304 stainless steel types. However this types are known that the possibility of corrosion is increased in the oral cavity, since the resistance of local corrosion is low in the chloride ion. By release of metal ions in this stainless steel or thodontic appliance is known to have an effect on the resul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systemic health, the development of the new materials having higher anti-corrosive property has been accomplished. Therefore, we manufactured metal bracket and wire with super stainless steel(SR-50A) which have more excellent anti-corrosive proper ty than general stainless steel and compared it with Dentarum's .016x.022 stainless steel Remanium(RW), Tomy's .016x.022 Bioforce Sentalloy(NW), Ormco's .017x.025 TMA(TW). SR- 50A bracket was compared with Tomy's stainless steel standard edgewise bracket. Also, in order to measure the release of metal ion when wires were ligated in brackets, we ligated wires of above 4 types in SR-50A and Tomy's bracket with O- r ing (Ormco) and divided into 8 groups, and then immersed them into artificial saliva for up to 12 weeks. We measured amount of metal release of each group, according to soaking periods and observed surface change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Finally, we came to conclusions as follows : 1. Wire : SRW and NW didn't show difference of Ni release as time of immersion increased, meanwhile, R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Cr release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all wires. 2. Bracket : the increase of Ni release didn't show any difference as time of immersion increased and between SB and TB. Cr release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all periods. 3. Bracket-wire : In the increase of Ni release, 1 group(TB-SR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2 group(TB-RW) showed difference from 4 weeks later and highest release among all groups in 12 weeks. 3 group (TB-NW) showed little Ni release during all periods and difference from 4 weeks later, 4 group (TB-T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In Cr release, all groups were measured within 0.1 ppb and showed no difference. 4. 5 group (SB-SRW) didn't show no difference and 6 group (SB-R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but lower in compared with tomy bracket. 7 group(SB-NW) and 8 group (SB-TW)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Cr release, all groups were measured within 0.05 ppb and showed no difference. 5. As a result of observation of surface change, almost groups couldn't be observed corrosion products during immersion periods, but 2 group (TB-RW) could be observed corrosion product on the surface of bracket between O-ring and wire from 8 weeks later. According to this results, super stainless steel(SR-50A) wire has excellent anti-corrosion in compared with stainless steel wire, and it is possible to use as new orthodontic material for bracket and wire.

      • 하천변 대형관로 준설방안 및Sonar 탐사 신뢰성에 관한 연구

        정경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그동안 관리의 사각지대로 방치되었던 하천변 대형 간선관로에 대하여 첨단장비인 Sonar 등 탐사장비를 활용하여 분석 정밀조사를 통하여 관로 내부상태에 대하여 퇴적․파손 등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고 세계 최초로 분리배출식 준설 이라는 신기술을 도입하여 통수단면 확보 및 체계적인 시설물 관리로 하천 월류사고 예방 및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예상 Through detailed analysis using exploration equipment such as Sonar, a state-of-the-art equipment, for large arterial pipes along the river, which have been neglected as blind spots for management, it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venting river overflow and improving water quality. The issue is a common issue for public sewage management offices across the country, and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Korea's sewage industrial technology to be upgraded further by informing the technology as a case of improvement in water and sewage work in 2022.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nar exploration can investigate the defect status of all kinds pipes and semi-finished pipes without prior preparation such as turning water, and most of the existing investigations are deteriorating without identifying the status of CCTV autonomous vehicle investigation equipment. 2) The assessment is based on 18 structural items as provided in the Sewage Pipeline and Manhole Survey and Status Rating Standard Manual (2017.6), 7 structural items (surface damage, damaged pipe, deformation, collapse, permanent obstacles, connection pipe joint, damage to joints) out of 6 operational items, and one operational item (ground). Defects were found in 39 places: three pipes (large 0, medium 3, small 0), 22 joints (large 7, medium 11, small 4), and 14 tree root infiltration (large 1, medium 7, small 6). Such defects hamper facility management. 3) In the case of separately discharged dredging, the applicable pipe diameter ranges from 700 to 2,000 mm, and the maximum length is about 300 m. The maximum size of the dredging is 70mm, and the number of people put in once is about 5-10 people. The largest core equipment is an inlet 420×400×750, a main suction/pressing device, an air jet, and an exhaust hose. There are three input vehicles, and one cargo crane including a winch and two 2.5 ton trucks will be a combination of equipment for separate discharge dredging. 4) Therefore, in case of the optimal maintenance plan for large maintenance pipes along the river is periodically checked for abnormalities through Sonar exploration, a 10-year basic dredging plan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widely

      • 저장온도가 호화된 쌀알의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정경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화된 쌀알의 노화는 물과 전분 분자간의 수소결합이 깨어지면서 그 뒤에 일어나는 전분 분자간의 결합에 의한 재결정화에 따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호화된 쌀알을 외부로의 수분 이동이 없는 밀폐상태로 포장한 뒤 저장온도와 저장기간별로 조직감을 분석하여 물분자와 전분사슬간의 수소결합에서 전분간의 수소결합으로 전이하는 과정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특성 분석 장치에서 끝이 원판 형태의 측정축으로 Relaxation test를, 끝이 뾰족한 형태의 측정축으로 Penetration test를 실시하여 누르는 힘을 비교하였다. 모든 온도 조건에서 Relaxation test 결과 시료를 누르는 힘은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다 일정시점 이후로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Penetration test의 누르는 힘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두 가지의 측정값에서 교차점이 발생하였으며, 교차점은 노화에 의해 전분간의 결합에 의한 결정화가 일어나는 시점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노화도는 α-Amylase-iodine법으로 측정한 결과 서서히 증가하다 최대값에 이르렀으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노화가 빨리 진행되었으며, 더 큰 노화도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감 측정 결과를 통해서 각각의 저장온도별로 수소결합 전이시점이 나타나는 시점을 확인하였다. 특정저장온도에서 수소결합 전이시점을 기준으로 호화상태, 수소결합전이시점, 노화가 진행된 상태의 밥알들의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호화상태의 밥알은 전분과 수분간의 수소결합에 의해 균일한 조직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수소결합 전이시점을 지나 노화가 진행될수록 균일한 조직분포를 보였던 밥알은 중심부터 부분적으로 구멍이 생기면서 불규칙적인 조직분포를 이루게 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구멍이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전분과 수분과의 수소결합이 깨어지고 전분간의 결합으로 전이됨에 따라 떨어져 나온 수분들이 증가하여 뭉치면서 큰 덩어리가 되며 중앙으로 모여지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동결건조에 의해 모여진 물이 없어짐에 따라 중앙부분에 큰 구멍이 생기게 되며, 구멍의 크기는 저장기간이 길수록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밥알상태의 호화된 전분의 노화는 크게 세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즉 첫 번째, 전분가닥과 물분자 사이에 형성된 수소결합의 파괴가 일어나지만 물분자들은 여전히 전분가닥들 사이에 존재하는 단계에서 두 번째, 수소결합이 깨어져 자유로운 물분자들이 전분가닥바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거쳐 세 번째, 물분자끼리 흘러서 모이는 단계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설명해 보았다. 따라서 전체적인 경도가 침투력보다 커지게 되는 시점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전분간의 결합에 의해 결정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Retrogradation of steam gelatinized rice grain assumed to follow breakage of hydrogen bond between water and starch molecules and subsequently hydrogen bonding between starch molecules resulting in recrystallization of starch molecules. Two different measuring tips for rheometer were used to find the exact moment of recrystallization of the gelatinized rice grain while storing in a sealed container at various temperatures. Relaxation test measured with disc type tip showed continuous increase of strength to press gelatinized rice grain while penetration test measured with thin rod type tip represented continuous decrease of strength to penetrate gelatinized rice grain during storage for all of the examined temperatures. Both values seemed to converge after a certain storage time. Consequently, the course of the two events meet at a certain storage time presumably revealing the beginning of recrystallization of the gelatinized rice starch. Therefore, degree of retrogradations measured with α-amylase-iodine method increased gradually until attaining maximum value. The fact that the storage time crossing the two events decreased with decreased storage time enables kinetic analysis of not only the first stage for breakage of hydrogen bond between water and starch molecule but also the second stage for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gelatinized rice grain while storage. Cross sectional scanning electron micrograghs and penetration test clearly showed decrease of cohesion of starch molecule as a result of breakage of hydrogen bond between water and starch molecule and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gelatinized starch molecule in a rice grain during retrogradation process.

      • 여성의 신체미와 보디빌딩에 대한 고찰

        정경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의 기준은 시대특성 및 사회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인류가 발생되면서 시작한 오랜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계속 발전해 가고 있다. 인류의 기원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인간은 아름다움을 가꾸는데 많은 시간과 정성을 들여왔으며, 아름다움을 아는 인간에게 아름다운 인체는 미의 중심을 차지한다. 미에 대해 논하려면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리스문화권이 번성하면서 미의 기준이 가장 오래되고 영향력이 큰 황금률을 창조해냈으며, 그리스인들의 관점으로는 ‘어떤 문화나 장소, 시대를 거쳐도 이상적인 최고의 아름답고 완벽한 얼굴’ 즉 완벽한 아름다움이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그 시대의 상위 층의 지도층, 철학자들까지 외모가 아름다우면 그 사람의 심성도 착하고 고결하다고 할 정도로 ‘美’에 큰 관심과 집착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美’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대부분 여성들이며, 본인의 외향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더 아름답게 가꾸고 다듬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자기만족을 위해 몸매를 가꾸기도 하지만 타인의 시선과 남들이 생각하는 미의 기준에 본인도 포함되고자 무한한 시간과 정성을 쏟고 있다. 이렇듯 보여 지기 위한 외향적인 ‘美’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고, 삶의 질이 윤택해지면서 운동이란 건강상이 아닌, 몸 가꾸기를 위한 필수 조건중의 하나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과거의 여성들은 무조건 마른 체형의 여성이 아름답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의 여성들은 사회변화에 따라 탄력적이고 건강미 넘치는 적당한 근육미를 선호하며, 최근 웰빙(well-being)과 힐링(healing) 바람이 불면서 몸과 마음의 건강이 국민적 이슈가 되었다. 국민체력실태 조사를 보면 과거에 비해 영양 상태는 좋아진 반면, 운동부족과 잘못된 식생활습관으로 체격은 커졌지만 오히려 체력이 많이 떨어 졌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인에게 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우리나라 스포츠산업체육시설업 현황을 살펴보면, 문화체육관광부 「전국등록·신고체육시설업 현황」2012년 통계자료에 등록체육시설업 총 56,422개, 체력단련장업 6,608개, 종합체육시설업 236개의 체육시설이 등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포츠 산업이 발달되면서 대중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 스포츠 종목은 보디빌딩이다. ‘육체미’라고 명칭하기도 하며 말 그대로 육체의 미를 심사하는 종목이다. 타 스포츠처럼 기술과 득점을 요하는 종목이 아니라 신체의 건강미, 근육미, 균형미 등을 심사하는 종목이므로 아름다움과 미학적 측면에서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보디빌딩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고 단순히 선수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보디빌딩의 시합참여 여부에 따라 선수와 비선수를 구분지어 나눌 수 없다. 특히 과거 남성 위주의 근비대 운동에서 탈피하여 여성의 체력 향상과 몸매관리 차원에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아직도 대다수 여성의 경우 중량 운동을 하면 남성들과 같이 몸이 근육질로 변할 것이라는 오해를 하고 있으며, 가벼운 중량의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산소성 운동이 다이어트에 최적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여성도 충분히 중량운동으로 단련된 신체미와 건강미를 표현 할 수 있으며, 신체변화를 통해 자신감과 자기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물론 여성은 남성과 생리학적으로 다르며, 체력적·신체적 차이가 있지만 신체구성 및 운동의 효과는 동일하기에 남녀구분 없이 트레이닝법과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성별이나 운동 목적에 따라 운동 강도나 운동법이 달라질 뿐 운동 자체가 변형되지 않는다. 여성 보디빌딩선수도 남성선수와 동일하게 훈련과 식단조절을 하며, 자신의 한계에 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각고의 인내가 고스란히 몸으로 표출된다. 이처럼 힘겹게 만든 몸은 돈으로 지불하여 얻은 결과물이 아니기에 여성 보디빌딩선수의 미를 시각적인 단면만을 보고 판단하기보다 그들이 추구하는 미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그 가치를 인정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미학적 관점을 여성의 신체와 보디빌딩에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여성의 신체미를 돋보이게 하는 운동은 보디빌딩이며, 오히려 여성의 미를 부각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고 신체적·정신적 건강도모에 한 몫을 할 것이라는 점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학, 스포츠 철학, 시대적 변화, 신체미, 여성 스포츠, 여성 보디빌딩에서 여성의 미적 변화와 가치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에 여성 보디빌딩의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여성의 신체미와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Standards of beauty has been changing Various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nd the social environment. Humans have been spend the time and effort to maintain the beauty since the origin of mankind to Modern. The beautiful body is the core of beauty to people who have known beauty. To discuss beauty,We should go back to the ancient Greeks. Beacuse of the development of Greek culture, the standard of beauty created the Golden Rule that the oldest and be powerful, The Greeks thought that there is a beautiful and perfect face which never change even through some cultures, places and the ages. At that time, Obsession about people's looks and beauty was high.Because Leaders and philosophers who were the upper classes have believed that if the appearance is beautiful, those people's mentality would good and noble.And the Beauty is developing with long historical value which to start when human beings occurs. These days,People who most concerned with beauty is women. And they have pay attention to their appearance and trying to keep their body more beautiful. People maintain their's body for their self-complacency but most people spend time for their self-management because they want to be included from the eyes of others and the standard of beauty which others thought. In this manner, people's concern with extroversive beauty that is to be shown begins to increase. Not that exercise is forced to do but exercise occupy one of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maintaining body because of ample quality of life. In the past, women were thought that Beautiful women need to be slim unconditionally but Nowadays, women prefer to have suitable and healthy physical because Social Change and health has become recently a national issue. And the healthy of body and mind has become recently people's issue because of well-being and healing. In Nation Fitness Survey, we could noticed that people are more well-built and well-fed but people's strength declined because of Lack of exercise and wrong diet than in the past. Therefore, Exercise is that people have to do voluntarily if they have free time. Searching by e-Country Index, it could see the statistical data which about Status of physical facilities and Sports Industry in south-korea at a glance. According to statistics 2012 that about "National registration,Sports facility business which is reported"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Sports facilities are registered such as registered sports facility -56,422 , Fitness center- 6,608 , Comprehensive sports facilities- 236.(www.m.index.go.kr) In this way, Bodybuilding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 to public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industry. Bodybuilding had gave a name to "Physical beauty" therewith it is event that examine the beauty of body as it means. Bodybuilding is related to the aesthetic side of beauty because it is the event that examines the beauty of a healthy body,muscular beauty, the beauty of balance and so on unlike other sports that Requiring skill and scoring. Everyone could enjoy the Bodybuilding. The Bodybuilding is not for Bodybuilders and it can't classify player and non-player whether poeple have experiences of bodybuilding competition or not. Especially, The bodybuilding has become a issue to women because of improve of women's Fitness and body beauty but many women misunderstanding that if women do free weight,they would have much muscles like men. Therefore,most women prefer to do Aerobic exercises than weight-training. But Women could express enough their beauty through the muscular beauty and to meet the self - satisfaction by Body changes. Men and women are different physiologically. The size and length of the skeleton ar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and Women have much body fat than men. Men and Women just have differences of physical but they have a same ingredient of the Body Composition which as Bones, muscles, Blood, nerve and Cellular tissue and exercise Effect is also the same then Types of exercise and Training Program could be applied to both Men and Women. In this manner, the purpose of exercise and gender make different exercise strength and exercise method but never change exercise itself. women's bodybuilder had worked out and did diet like men's bodybuilder and the body of women's bodybuilder is worth more than the value of money. Therefore People should do honor to women bodybuilder's internal pertinacity and patience instead of evaluation of the standards of beauty. This treatise was applied to Women body and Bodybuilding about variety of aesthetic of view and it also considered the beauty of a healthy body of women's bodybuilding. In conclusion,this paper say that the women's exercise which could make women's body beauty is the bodybuilding. Methods of research are that refer to sundry records about the standard of beauty attendant upon Variety of aesthetic theory , understanding the value of sports,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nd changes. Hereupon I wish that to activate research which is related to the female body beauty for the development of female bodybuilding.

      • 엘리트 여성 보디빌더의 운동과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정경진 상지대하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엘리트 여성 보디빌더의 운동과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로서 보디빌딩 운동을 통하여 변화된 삶과 다양한 경험들과 그 의미는 무엇이며,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자신의 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연구참여자는 대한보디빌딩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최소 5년 이상의 선수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여성 보디빌더의 운동과 삶에 대한 내러티브로부터 도출된 6개의 핵심주제에 대하여 선행연구결과와 연결하여 논의하였으며,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정체성을 통하여 여성이 보디빌딩에 참여하면서 겪은 경험과 운동의 의미와 삶을 이해하고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해석된 여성 보디빌더의 생활세계에 대한 지식은 여성 보디빌딩의 발전과 한국 스포츠계의 불평등 현상을 진단하는 나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a narratives research on the elite female's bodybuilder exercise and life, and its purposed to find out what the various experiences and meanings changed through the bodybuilding exercise are, how it affects their lives, and explore the perceptions they have about their bodies.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ten female athletes for at least five years who are currently registered with the Korean Bodybuilding & Fitness Federation (KBBF). Six key topics derived from the narrative on exercise and female bodybuilders' lives were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prior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for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bsequent research have been put forward.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experience, meaning of exercise and life experienced by female participating in bodybuilding through their narratives; and the knowledge of the living world of female bodybuilder interpreted through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female's bodybuilding and diagnosing the inequality in the Korean sports world.

      • eCommerce 앱 사용 시 고령자가 경험하는 복잡성 문제와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한 작업 수행의 효과

        정경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을 이용한 eCommerce의 활용은 경제활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며, 특히 고령자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기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고령 사용자들은 사용성과 접근성 문제로 인해 eCommerce 관련 기술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다.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하면 ‘기술 사용 과정의 어려움’은 고령자가 더 유용한 고급 기술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범주의 사용성 문제는 현재까지의 접근성 문제 연구에서 비교적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eCommerce 앱 사용 시 고령자가 경험하는 복잡성 문제와 그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령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eCommerce 앱 디자인 사례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차 연구에서는 eCommerce 사용 시 고령자가 겪는 복잡성 문제 파악을 위해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관찰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복잡성 문제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실험은 고령자가 실험용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세 개의 작업 시나리오 중 하나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고령자의 인지적 사고 과정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Think Aloud’ 방법론과 인터뷰가 사용되었다. 고령자가 겪는 복잡성 문제에 대한 1차 연구의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복잡한 네비게이션은 고령자의 앱 사용에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쉬운 네비게이션의 구현을 위해 ‘대화형 네비게이션’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2) 화면 상에 다수의 상호작용 요소가 존재할 경우, 고령자는 혼란을 느꼈으며 무엇과 상호작용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각 화면은 최소한의 주제 단위로 상호작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간결한 화면을 유지해야 한다. 3) 고령자의 작업 수행 과정은 선형적이고 평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복잡한 하위 작업이나 반복적인 되돌아가기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경우 고령자는 작업 프로세스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4) 로그인과 결제과정에서의 어려움은 고령자의 앱 사용 포기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쉽게 디자인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단계에서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보다 짧은 대체 인증번호를 사용하거나, 생체 인증 방법을 사용할 것 등이 제안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고령자 친화적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 ‘작업 성공률’, ‘작업 소요시간’ 및 기타 사용성 요인에 대한 평가를 통해 프로토타입이 복잡성 문제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프로토타입은 기존 승차권 구입 어플리케이션 ‘코레일’의 주요 기능을 리디자인(Redesign) 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었으며, 51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프로토타입과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두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2차 실험 결과, 고령자는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였을 때 기존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보다 더 많은 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었으며, 초급 사용자 집단과 고급 사용자 집단 모두에서 그 차이는 상당히 크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프로토타입의 디자인이 복잡성 문제를 개선하는 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급 사용자 집단은 프로토타입의 ‘지각된 쉬움의 정도’를, 고급 사용자 집단은 프로토타입의 ‘지각된 학습 용이성’을 각각 기존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지각된 만족도’ 측면에 있어서는 기존 어플리케이션과 프로토타입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이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고령자가 선호할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하였다. 또한, 실험 진행 과정에서 새롭게 관찰된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문제들은 대화형 인터페이스와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유한 복잡성 문제들을 보여주었고, 프로토타입 디자인의 보완과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eCommerce applications can benefit its users by saving the time and efforts spent on economic activities. For such a reason, many studies have noted that eCommerce can have more importance in the life of elderly people. However, a significant number of elderly people are not taking advantage of eCommerce due to accessibility problems. Though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the ‘complexity of using technology’ was one of the primary barriers to adapting more advanced technology for elderly users,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type of problem.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different types of complexities in eCommerce applications and propose an actual design case of an elderly friendly app based on the findings. Study 1 reports the results of an observation study that describes different types of complexity in eCommerce apps and proposes a set of domain specific design guidelines that can help minimize these problems.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on 10 elderly participants who were asked to perform one of the three sets of eCommerce-related tasks under video recording. The ‘think-aloud’ observation method and three interview session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cognitive process. Some important complexity issues foun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licated navigation was one of the main barriers to elderly users. To address the issue, the implementation of ‘Conversational Navigation’ was suggested. Second, too many interaction elements on a screen confused the participants and made it hard for them to decide which one to interact with. It was suggested that each screen interact only for one topic at a time and remains as simple as possible. Third, the task process design for elderly users must be ‘linear’ and ‘flat’. Task processes involving complex sub-tasks are likely to confuse elderly uses. Fourth, difficulties in personalization and the payment process could lead elderly users to quit using the application. The use of simpler alternative passwords or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s was suggested to minimize the complexity in these processes. Study 2 proposes an elderly friendly design prototype with embedded conversational agent and demonstrates its performance in 9 usability factors. Prototype was made by redesigning an existing ticketing application ‘Korail’ and all usability factors were evaluated for both systems for comparison. 51 participants performed 3 task scenarios using either of the two systems and answered a questionnaire for usability eval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elderly users could complete more tasks when using the prototype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significant. Such a result implied that the prototype’s design was effective in addressing complexity issues of ‘Korail’. Also, the less tech-friendly group evaluated the prototype’s ‘Perceived ease of use’ to be better than ‘Korail’ and the tech-friendly group evaluated the prototype’s ‘Perceived learnability’ to be better than ‘Korail’.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systems meaning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sign a conversational interface in an ‘affective’ way for the elderly. Furthermore, some participants experienced complexity while learning how to control the voice interaction and using the multi-modal interface(Touch and Voice) indicating that the prototype’s design needs further improvement for better usability.

      • 지구촌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저개발국 선교방안 : 미얀마를 중심으로

        정경진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촌새마을운동보급을 통한 선교방안 연구는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저개발국가와 미전도 종족들에게 보급함으로써 저개발국가의 국민들을 가난에서 탈피시키고, 그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는 선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현재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의 새마을운동에 대하여 각종 자료조사와 함께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미얀마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사회지도층과 일반주민을 구분하여 그들에 대한 새마을운동 수용의지와 선교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저개발국가에서의 가장 효율적인 선교방안은 그들에게 당면해 있는 가난으로부터의 탈피를 통해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신뢰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아울러 타문화권 속에 있는 영혼들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선교적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빈곤으로 인해 방황하는 타문화권 사람들에게 지구촌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선교는 분명 효과적인 선교전략임에 틀림없다. 연구분석 결과에 의하면 미얀마는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교회의 지원도 수용할 태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한국교회는 이들이 내미는 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에 대하여 저개발국가에서 지구촌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효과적인 선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저개발국가의 지역 주민들에 대한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미얀마 국민들이 기독교새마을운동을 수용할 뜻을 보인 것은 그들이 잘 살기 위해서는 종교적 문제보다 가난을 탈피해 보고자 하는 욕구이다. 따라서 기독교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해서 그들의 전통적 종교로는 가난을 탈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원에 이를 수 없음을 깨우쳐 주는 것이다. 둘째, 미얀마를 비롯한 저개발 국가들에 대한 선교전략은 단기적인 전략보다 중․장기적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신뢰를 통한 선교의 틈새를 노려야 한다. 왜냐하면 미얀마의 경우 전통적으로 불교적 영향력이 강한 나라이고 대외적으로 불교를 국교로 내세우는 한편, 불교문화에 의한 민족성이 강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우선 내부자선교사역을 하는 등의 지혜롭고 효율적인 선교사역이 필요하다. 셋째, 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선교사역에 있어서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해서는 새마을운동 추진단계에 맞는 선교사역이 이루어지도록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은 새마을운동을 통한 그들의 물질적․생활환경적 삶의 변화와 함께 하나님의 도우심을 깨닫도록 함으로서 영적인 변화도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넷째, 기독교새마을운동의 전문성강화와 선교지에서의 합리적인 기독교새마을운동의 추진을 위하여 새마을선교사 양성도 추진되어야 할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가 이 땅에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날을 하루라도 앞당기기 위해서는 이 기독교새마을운동이 이방민족과 미전도 종족들에게 보급하는 일에 적극 동참함으로써 이 운동을 통한 복음사역에 나서야 할 것을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단위 또는 노회단위로 저개발국가의 일정지역을 입양하여 지역적 모델로 기독교새마을운동을 지원하고 변화를 유도하여 그 지역을 선교의 전초기지로 만드는 일이다.

      •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정경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decrease of relationship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mprove interpersonal ability of employees? Second,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decrease interpersonal stress of employees? Third, does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mprove work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24 employees who are interes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waiting control group, with 12 subjects per group. The employees communication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8 sessions (1 session: 120 minutes, total 16 hours), was execut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no measures were executed on a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the program, a pilot survey was execu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 before the progressing program. The post-survey was executed after experiment, and post examination was executed 4 weeks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sustain program effects. To measure interpersonal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ange scale criterion was used, which is presented in thesis of Hye-sook Jang (2002) that was based on the revision by Sun-mo Moon. And interpersonal stress test tool based on study of Jong-chul Baek (2008) which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contents of Cooper & Marshall(1986), Matteson & Ivancevich(1982) and Copper & Marshall(1986) in light of the domestic environments was used.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study of Sang-gum Lee (1996) which had used 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in Minnesota industrial research center and had executed translation and revision in light of the domestic environments. T-verification was executed on data achieved by measuring interpersonal ability, interpersonal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criterions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using SPSS 17.0 version, and the pilot survey was used as covariation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in average difference, while ANCOVA analysis was executed by designating post-survey a dependent variable. Analysis results that have achieved to verify program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s interpersonal ability was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Second, experimental group's interpersonal stress was decreased and the decrease was sustained. Third, experimental group's work satisfaction was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By observing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verified that employees communication program enhances interpersonal ability of employees, reduces interpersonal stress, and improves work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executed as prevention measures regarding problems, such as stress from being unable to form prop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rk dissatisfaction, and work transfer. When observing that the basic goal of education for employees emphasis on the prevention and guidance aspects rather than finding solutions for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has greater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the opportunity to achieve satisfactory performance at a corporate environment. 본 연구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대인관계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직무만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셋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의사소통 훈련에 관심이 있는 직장인 24명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게 총 8회기(1회기 : 120분, 총 16시간)로 구성된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 검사를,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끝난 4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인관계능력 측정은 Guerney(1997)의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문선모가 번안한 것을 기초로 한 장혜숙(2002)의 논문의 것을 사용하였고, Cooper & Marshall(1986)과 Matteson & Ivancevich(1982) 및 Copper & Marshall(1986)의 내용을 국내의 환경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백종철(2008)의 연구를 근거로 한 대인관계 스트레스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네소타 산업 연구소에서 개발한 만족도 설문지(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번역하여 국내의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이상금(1996)의 연구를 근거로 하였다. 대인관계 능력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 척도 측정도구에 의한 자료는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평균 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능력은 프로그램 직후에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프로그램 직후에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처치받은 실험집단의 직무만족도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올바른 대인 관계를 맺지 못하여 일어나는 스트레스와 직무불만족 및 이직과 같은 문제에 대해 예방적 차원에서 행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직장인을 위한 교육의 기본적 목표가 문제발생시 해결책보다는 예방과 계도에 초점을 두는 것에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직장생활에서 더욱 만족스럽고 성과를 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의 활용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 관광전공 대학생의 그릿,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경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의 그릿, 진로 정체감, 진로 준비행동의 하위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진로 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조사(pre-test)를 실시하였고, 본 조사에 맞도록 설문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2021년 10월 22일부터 2021년 12월 5일까지 최종 254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관광전공(관광, 호텔경영, 항공서비스, 카지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구글 설문지의 URL을 SNS에 개재하고, 오프라인 설문은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대면으로 설문지를 회수한 후, 모든 응답자에게 기프티콘을 증정하였다. 총 254부의 유효 표본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중 노력의 지속성은 진로정체감의 하위 요인인 자기이해와 진로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의 일관성도 진로 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와 진로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인 흥미의 일관성은 진로 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목표달성활동)을 예측하지 못했지만, 노력의 지속성은 진로 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목표달성활동)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정체감(자기이해, 진로준비)의 하위요인 2가지 모두 진로 준비행동의 하위요인(정보수집활동, 목표달성활동)중 정보수집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 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진로준비 만이 진로 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목표달성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이 진로 정체감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그릿이 진로 정체감 형성과 향상에 심리적 기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그릿의 하위요인인 노력의 지속성이 진로 준비행동을 촉진 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그릿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관광전공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준비헹동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 정체감의 하위요인(자기이해, 진로준비)은 진로 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목표달성활동)을 향상 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진로정체감이 높을 때, 진로 준비행동 수준도 높다는 점을 시사하므로 진로 정체감 확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을 대구 경북 등 경상도에 치우쳐져 있다. 전국적인 분포도로 다양한 대학교 관광전공 대학생을 측정한다면 보다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예상된다. 둘째, 관광전공 대학생들을 2년제, 4년제 그리고 남, 여로 나뉘어 볼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여 그릿과 진로 정체감과 차이가 있는지, 그 차이가 진로 준비행동과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 관계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 준비행동의 하위 구성요인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2개의 하위 구성요인만으로 진행이 되었다. 더 많은 표본을 수집하여 하위 구성요인을 도출한다면 더 많은 하위 구성요인으로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의 제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의의가 있다.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그릿, 진로 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 관계를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그릿과 진로 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 진로 준비행동을 촉진 시키는 요인을 규명하여 관광업계로의 긍정적인 진로준비에 도움을 주는 데 연구의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b-component factors of grit,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It also examines how grit and career identity are related and how they influence career preparing behavior. A pre-test was completed to confirm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s were changed and added to fit this survey. Also, the surveys of the last 254 participants were gathered from October 22, 2021, to December 5, 2021, an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tourism, hotel management, air service, casino) in Korea. In the online survey, the Google questionnaire's URL was publicized on social media. In the offline survey, gift icons were given to every responder once surveyors visited the school and physically collected the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254 valid sampl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persistence of effort, one of the sub-factors of grit (durability of effort, consistency of interest), has a large positive (+) impact on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reparation,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Th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repara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 impacted by the consistency of interest. Second, while being a sub- factor of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did not predict career preparing behavior (information-gathering activity, goal achievement activity). The durability of effort, however, was shown to have a substantial positive (+) association with career preparing behavior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goal achievement activities). Third,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preparing behavior, were shown to have a substantial positive (+) influence on both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self-understanding, career preparation)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and goal achievement activities). Additionally, only career preparation—a sub-factor of career preparing behavior—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goal attainment activity, one of th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The following are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results and ideas for further study. First, the result that grit influences career identity raises the possibility that grit functions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establishing and enhancing career identity. Second, it demonstrated how persistence in effort—a sub-factor of grit—promotes career preparing behavior. This research thus looks for strategies to improve grit and offers information on efficient job prepar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Third, the career identity sub-factors (self-understanding, career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shown an improvement in career preparing behavior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goal achievement activities). This shows that developing a career identity should be prioritized since when career identity is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lso high.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First, Daegu and Gyeongbuk are inclined toward Gyeongsang-do as study subjects. More significant findings should follow if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is calculated using a countrywide distribution. Second, separating male and female, 2-year and 4-year, tourism-major university students are importan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reer identity as well as how this distinction influences the interaction with career-preparing behavior is required in order to achieve this. Third, just two sub-component factors were employe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sub-component factors for career-preparing behavior. The study is seen to be more significant if there are more sub-component variables, which may be determined by gathering more samples. This study's shortcomings aside, it has the following relevance. It is regarded as significant since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s grit,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ing behavior. Additionally, by identifying factors that encourage career-preparing behavior, the study result will support in the development of a strategy to enhance the grit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as well as in helping them positively prepare for careers in the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