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31, No.3 in E♭major에 관한연구

        장유진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베토벤이 살았던 18세기 유럽은 나폴레옹의 종말과 산업혁명, 프랑스 혁명으로 인하여 계몽주의가 출현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시민계급은 이성적으로 자각 할 수 있게 되었고 귀족들만 누릴 수 있었던 예술을 시민계급들도 향유하게 되었다. 베토벤은 대표적으로 9개의 교향곡, 16개의 현악 4중주, 5개의 피아노 협주곡과 32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하였는데 그 중에서 피아노 소나타는 베토벤의 생애에 걸쳐 작곡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베토벤의 음악적인 양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잘 볼 수 있다. 그는 특히 악기로서의 피아노를 최대한 사용하려했고 그 결과 넓은 음역과 풍부한 음량을 끌어내었다. 소리적인 면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 감정, 철학적 사상, 인생에 대한 통찰을 담았다. 어떠한 형식에 의해 틀에 갇혀 있는 소나타가 아닌 작품 하나하나가 개성적이면서 음악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되는 작품으로 만들어냈다.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는 양식과 연대기 순으로 적게는 2기에서 많게는 5기까지 다양하게 여러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855년 빌헬름 폰 렌츠(Wilhelm von Lenz 1809-1833)에 의해 출판된 <Beethoven and his three styles>라는 책에서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의 작품을 초기, 중기, 후기의 세 개의 시기로 나눴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것을 택하여 연구하였다. 초기(1770~1802) 작품에서는 하이든과 비슷한 소나타 구조와 형식으로 전통을 수용하고 이와 함께 베토벤 본인이 가지고 있는 혁신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중기(1803~1814) 작품에서는 형식, 선율, 악구 구분 등 전통에 기초하면서 역동적인 개성이 확립되어 베토벤의 특징을 보다 더 잘 드러난다. 후기(1815~1827) 작품에서는 1818년 정도부터 거의 들을 수 없게 되면서 내면세계의 감동적 표출을 하고, 인성(삶의 고통과 평화)을 포함한 모습을 보이는 등 낭만주의 성향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할 작품은 피아노 소나타 Op.31, No.3 in E♭major로 중기에 속하는 작품이며 1802년부터 1803년에 걸쳐 작곡되었다. 중기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4악장의 곡으로 느린 악장이 없고 모두 빠른 악장으로 구성 되어 있다. 또한 2악장에 스케르초와 3악장에 미뉴엣이 들어간 확대된 규모의 소나타이다. 시대적 배경과 베토벤의 생애, 그리고 피아노 작품의 특징을 비롯하여 악장별로 여러 가지 기법과 음악적 표현들, 베토벤만의 아이디어를 분석한 것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가 시기별로 변화하고 발전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The 18th century Europe of Beethoven’s time saw the proliferation of enlightenment ideals, influenced by the downturn of the Napoleonic era and the advent of the French and industrial revolutions. In this socioeconomic climate, art which was once reserved for the aristocracy was opened to the new middle class. The middle class, in turn, opened up a market for more progressive compositions; this was the audience for which Beethoven wrote. Beethoven’s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9 symphonies, 16 string quartets and 5 concertos and 32 sonatas for the piano. Of these, his 32 piano sonatas span the length of his lifetime, allowing the musicologist to trace the developments in the compositional style of Beethoven over time. Beethoven strived to draw from the full potential of the piano, and as a result was able to exploit unprecedented range and dynamics in his compositions for the instrument. These compositions were significant also in that they embodied within their sounds a philosophy; an interpretation of life and its emotions. Free from traditional limitations, Beethoven’s progressive compositions for the piano were each unique and histor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scheme used to group the works, Beethoven’s sonatas for the piano have been classified into two to five different categories. This paper follows the triadic chronological periodization suggested in 1855 by Wilhelm von Lenz in his work Beethoven et ses trois styles. The sonatas of the formative period, from 1770 to 1802, reveals a traditional sonata style à la Haydn with some overlays of Beethoven’s own progressive innovations. Meanwhile, though the works of the middle period spanning from 1803 to 1814 still exhibit traditional forms, melodies and phrasing, they see the establishment of a more dynamic individualism that is strongly recognizable. The mature period from 1815 to 1827 was likely influenced by Beethoven’s loss of hearing in 1818 and is characterized by a romantic inclination for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self and the life it inhabits. This paper mostly discusses Piano Sonata No.18, Op.31 No.3 in E♭ major. Composed in the time between 1802 and 1803, this work belongs to the middle period bu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 of the period in that it comprises four movement all of which are fast. It is also an extended sonata with a scherzo and minuet in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s respectively. This paper examines Beethoven’s ideas and their musical expressions in each movement of the sonata as a piano composition in light of Beethoven’s life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time. In this way it attempts to elucidate the developments in the compositional style of Beethoven’s sonatas through the various periods.

      • 위암의 원발 종양과 전이 림프절에서의 항암제 감수성 비교 : ATP-CRA (Adenosine Triphosphate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 항암제 감수성 검사와 TS (Thymidylate Synthase) 및 ERCC1 (Excision Repair Cross-Complementing1) 유전자 검사의 의의

        장유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emosensitivity between primary tumor and metastatasized lymph node from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 AND METHODS: We studied 26 human gastric cancer with lymph node metastasis underwent gastric resection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Feb 2007 to July 2008. Chemosensitivity of primary tumors and metastatic lymph nodes were studied using ATP-CRA, TS and ERCC1 Gene. RESULTS: The proportion of accordance result from ATP-CRA test was only 30.8 percentage (8/26). Tumor inhibition rates of metastatic tumor by 5-fluorouracil, cisplatin, doxorubicin, and oxaliplatin were higher than that of primary tumor. Tumor inhibition rates showed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oxorubicin ( 27.734±20.95 vs 38.403±26.87 p=0.021) between primary tumor and metastatic tumor. There were simple correlations of tumor inhibition rates between primary and metastatic tumor in cisplatin (r=0.661, p<0.001) and doxorubicin (r=0.475, p=0.031). TS mRNA expression of primary tumor was very similar to metastatic tumor (0.003642±0.00409 vs 0.003637±0.00380, p=1.000). ERCC1 mRNA expression of primary tumor was lower than that of metastatic tumor (0.03932±0.1999 vs 0.05605±0.38321, p=0.07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We demonstrated differences of first choice chemoagent based on ATP-CRA test between primary tumor and metastatic tumor in lymph nod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correlation between TS, ERCC1 mRNA expression and tumor inhibition rate using ATP CRA test. Therefore, it should be very careful to select of chemotherapeutic agents for adjuvant chemotherapy using chemosenstivity test.

      • 통계적 분포를 고려한 온실가스배출량

        장유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소비의 약 20%를 차지하는 교통부문의 경우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심한 기존의 교통 패러다임을 탄소배출이 적은 녹색 교통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요구가 더욱 거세어 졌다. 이러한 인식하에 정부는 2009년 ‘녹색교통추진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2010년에는 ‘미래 녹색국토 구현을 위한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을 발표하는 등 교통의 패러다임을 지속가능한 녹색 교통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또한 현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BAU : Business As Usual)대비 30% 감축으로 설정하였으며, 교통·물류 부문은 보다 적극적인 감축노력을 시행하여 2020년 BAU 대비 33~37% 감축을 목표로 설정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10위권에 드는 OECD 가입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그 배출량을 산정하는 통계의 수준은 선진국 수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교통부문은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항공분야를 제외하고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배출량만을 산정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정확한 산정에 필요한 활동량 데이터가 없었기 때문이며 이런 자료의 한계로 단순 평균값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에 필요한 각종 통계를 적절히 확보하고 관리하는 업무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미국, 영국 등 외국은 예전부터 이런 문제를 인식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연구를 정부차원에서 꾸준히 진행하여 왔으며 특히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배출계수 산정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우리나라와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고속도로 검지기 정보를 입력하여 네트워크에서 개별차량의 속도의 패턴과 교통류의 특성 변화를 모사하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미시적 접근방법을 택하여 차량의 속도와 교통량에 따른 배출량 산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제시를 통해 그동안 과소·과대 추정되었던 도로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서 정확한 통계에 대한 구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th increasing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its consequent environmental issues globally, regulations and new strategies are constantly being introduced. Most importantly, however, transportation needs urgently to be transitioned to a green transportation system through appropriate measures. It is expected that insufficient greenhouse gas reduction will likely bring about continuous pressure the global community to reduce greenhouse gases and also a huge amount of social and economical costs along with diplomatic disadvantage. Under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is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on each sector of its industry and environment and setting greenhouse gas emission targets, which means that it should investigate potential reduction of transportation, greenhouse gases and suggest proper plans to efficiently implement it. This study contains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construction of a more reliable model that helps to predict greenhouse gas emissions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Models based on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s are based on assumption of air pollutants and energy consumption in the Variable transportation sector. There models have the strength of a concrete understanding of greenhouse gas emission volumes of the sector involved and the analysis of effects on it. However, they need a connection with models of other parts at the national level because the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sector. In this study, available speed and Traffic information are used to build up models which estimate greenhouse gas emission volumes and the models would be applied to predict greenhouse gases at certain districts or new towns or construction that could generate much traffic congestion. In addition, the model suggested from this study would also estimate changing patterns in greenhouse gases with changes in carrying out new policies. Keywords : Greenhouse gas emission, Vehicles Considering Statistical Distribution, Express Way, Peak/Non-Peak emission

      • 질식 자궁근종 절제술의 임상적 고찰

        장유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근종절제술은 일반적으로 개복수술을 통하여 시행되며 복강경 수술은 그 적응증에 제한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질식 자궁근종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경과 및 수술 후 합병증 여부를 분석하여 질식 근종절제술의 안정성 및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 1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질식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한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나이, 출산력, 근종의 크기, 수술시간, 실혈양, 술 후 합병증 등에 대해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41.54±5.8 세였고, 근종의 평균 크기는 6.79±1.75cm이었다. 평균수술시간은 81.51±35.87분이었고 수술 후 평균 혈색소 감소량은 2.67±1.26g/dL 였다. 수술 중 개복술로 전환한 경우는 없었으며 술 후 후복막 내 출혈로 재수술을 했던 경우가 1명 있었으며 술 후 24시간 이후에 38℃이상의 발열을 보인 경우는 1명이었다. 결론: 질식 근종절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방법이며 본 연구에서 수술 성공율은 100% 였다. 개복을 통한 근종절제술과 복강경하 근종절제술을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질식 근종절제술의 임상적 유용성을 더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질식 근종절제술이 보다 대중화되고 효과적인 수술방법이 될 것을 기대한다.

      •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가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기업 K사를 중심으로

        장유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가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기업 K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업 구성원의 실행공동체 참여여부에 따른 집단간의 조직사회화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고, 실행공동체 참여정도 및 특성이 조직사회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구성원의 실행공동체 참여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구성원의 배경특성은 조직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실행공동체 참가여부, 참여정도 및 특성은 조직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조사도구는 나이, 연령, 성별, 직급, 학력 등의 인구 통계학적 변수; 실행공동체 참여여부, 참여정도, 특성을 파악하는 독립변수; 조직언어, 조직역사, 조직 가치와 목표, 대인관계, 사내정치, 직무숙련 등 조직사회화의 여섯 가지 영역을 측정하는 종속변수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집단 789명중 설문 응답자는 244명이었으며,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 11명을 제외한 최종 233명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검증된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별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후에 적합한 문항만을 선별하여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실행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113명(48.5%), 과거에 참여했으나 현재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60명(25.8%) 그리고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이 60명(25.8%)이었다. 둘째, 재직기간과 연령은 조직언어, 목표가치, 조직역사, 직무숙련, 대인관계 등 5개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숙련도와 대인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네 요인에서는 상위직급으로 올라갈수록 사회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숙련도 요인에서는 3급 직원들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직의 경우도 대인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근속자가 많은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실행공동체 참가여부를 기준으로 구분한 세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시행한 결과 조직사회화의 여섯 개 요인 모두에서 참가한 집단 또는 참가경험 집단의 조직사회화 정도는 참가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후, 이들 세 집단을 참여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으로 구분하여 차이를 비교한 t 검정에서는 조직언어학습수준은 95% 신뢰수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사내정치 요인에서는 90% 신뢰수준에서 참여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 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실행공동체의 참여강도는 목표가치, 조직역사, 대인관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언어, 직무숙련, 정치관계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공동체의 특성은 전반적으로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실행공동체의 지역동일성은 조직사회화 영역에 전반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동일성은 직무숙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행공동체의 현장적용 및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공기업과 사기업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공기업의 특성에 맞는 실행공동체 운영 및 조직사회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공기업의 HRD 담당자는 전문성을 확보하고, 공공부문에서 실행공동체 운영과 조직사회화의 연구대상을 확장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12주간의 기구 필라테스가 비만 중년 여성의 건강체력, 심혈관기능 및 혈관내피세포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기구 필라테스 운동이 건강체력, 심혈관기능 및 혈관내피세포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이고,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30~40대의 비만 여성을 필라테스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하였다. 필라테스집단의 대상자들은 12주간, 주 3회, 회당 50분의 기구 필라테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두 집단의 모든 대상자들은 12주간의 처치기간 동안 평소의 식이 습관과 신체활동 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격 및 신체구성과 관련하여, 필라테스집단의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그리고 허리엉덩이둘레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건강체력과 관련하여, 필라테스집단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 심혈관기능과 관련하여, 필라테스집단의 SV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4) 혈관내피세포기능과 관련하여, 필라테스집단의 혈관 이완 시 혈관직경, 혈관 이완 시 혈류량, 그리고 %FMD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 실시한 기구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 여성의 체격과 신체구성, 그리고 건강체력을 개선시키며, 심혈관기능 및 혈관내피세포기능의 개선에 공헌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2-week equipment-based pilates training on cardiovascular function,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obese middle-aged women. Twenty-four women, aged 34 to 47 years, with a body mass index of 25 or greater and a percent body fat of 30% or greater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a pilates group (n=12) and a control group (n=12). Subects in the pilates group participated in pilates training 3 sessions/wk, 50 min/session for 12 weeks, whereas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heir normal life patterns for the same period of intervention. Variables regarding cardiovascular function,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s well as between two tests utilizing a repeated two-way ANOVA. Main results of thw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ing physique and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waist-to-hip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ilates group. 2) Regarding physical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ilates group. 3) Regarding cardiovascular response, SV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ilates group. 4) Regarding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vascular diameter during vasodilation, blood flow during vasodilation, and %FMD positive impact in the pilates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12-week equipment-based pilates program would improve the physique, body composition,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obese middle-aged women.

      • 트립토판으로 변형된 킬레이트형 블록 공중합체 기반 금속 결합 hybrid polyionic complex의 형성 및 광학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장유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여러 무기 약물을 장착할 수 있는 다기능성 생체 적합성 나노 입자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노 구조체의 기본 골격이 되는 생체 친화성 고분자의 합성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고분자는 무기 약물을 다중 로딩할 수 있는 기능성 배위 리간드를 지니고 있으며, 고분자의 말단부가 생체 친화적이며 소수성을 띠는 아미노산 중 하나인 트립토판으로 변형되어 응집력이 약한 금속을 로딩하기에도 적합하다. 먼저 시판되는 poly(ethylene glycol) (PEG)를 이용하여 macroinitator를 합성하여 생체 적합성을 높이고, 여기에 원자 전이 라디칼 고분자 중합법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을 이용해서 acrylate-based polymer인 poly (acrylic acid) (PAA)를 이어서 중합한다. 그리고 고분자 말단의 Br이 nucleophilic substitution (SN2) 반응을 통해 트립토판으로 치환된 이중 친수성 블록 공중합체인 Trp-PEG-b-PAA를 합성한다. Acylate block은 전자가 풍부한 carboxylate 작용기를 통해 금속 무기 화합물과 쉽게 배위 결합하며, 말단에 위치한 약간의 소수성을 띠는 트립토판이 고분자의 자가 조립을 도와 응집력이 약한 금속도 로딩이 가능하게 해준다. 합성된 블록 공중합체와 상자기성 금속 이온인 코발트(Ⅱ), 망간(Ⅱ)이 장착된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고 여러가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말단부가 치환된 고분자 나노 구조를 개발함으로써 응집력이 약한 금속 무기 약물의 다기능성 운반체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functional biocompatible nanoparticle platform that can be loaded with multiple inorganic drugs. To this end, the synthesis of a biocompatible polymer that becomes the basic skeleton of the nanostructure was carried out. Such a polymer has a functional coordination ligand capable of multiple loading of inorganic drugs, and the end of the polymer is biocompatible and modified with tryptophan, one of hydrophobic amino acids, so it is also suitable for loading metals with weak cohesion. First, a macroinitator is synthesiz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poly(ethylene glycol) (PEG) to increase biocompatibility, and poly (acrylic acid) (PAA), an acrylate-based polymer, is subsequently polymerized us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And Trp-PEG-b-PAA, a double hydrophilic block copolymer in which Br at the end of the polymer is substituted with tryptophan through a nucleophilic substitution (SN2) reaction, is synthesized. The acylate block easily coordinates with metal inorganic compounds through electron-rich carboxylate functional groups, and the slightly hydrophobic tryptophan at the terminal helps the self-assembly of the polymer, enabling loading of metals with weak cohesion. Nanostructures equipped with the synthesized block copolymer and paramagnetic metal ions such as cobalt (II), manganese (II) were formed, and various properties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development of a polymer nanostructure substituted at the distal end is intend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used as a carrier for metal inorganic drugs with weak cohesion.

      • 팀티칭을 경험하는 영아반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장유진 배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and the wishes of the infant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team teaching by listening to their stori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al difficulties and wishes of the teachers for the team teaching in the infant classes and to find the way to apply the team teaching method effectively to the infant clas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Q.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wishes of the infant teachers who experience the team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team teaching in the day care Center located in D area. Two in-depth interviews and one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on the difficulties and the wishes of the teacher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lasses from the beginning of the team teaching for 16 weeks from 20th April to 31st July, 2018.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and the researcher' journal were repeatedly read, differentiat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difficulties' and 'wishes' that the infant teachers experienced the team teaching from the beginning and the whole process of the team teaching. Regarding the difficulties of the infant teachers of the team teaching, first, the teachers felt difficult in organizing the teams at the beginning of the team teaching. The team organization was done by the decision of the director rather than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Therefore, from the beginning of the team teaching in the infant class, the teachers started to teach the team uncomfortably. Second, the infant teachers experiencing the team teaching had difficulties in sharing their roles between the team teachers. The teachers had questions about the direction of work because the manual about role sharing was not structured in the day care center. The lack of time to talk to the team teacher about proper role sharing and the failure of one of the team members to perform the role gave a difficult task for the colleague team teacher in carrying out more work. Third, the difficulty came from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eaching methods between the team teaching members. Two team teachers leading one class, had a conflict with the issue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eaching methods. Fourth,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personality with the team teachers were caused by failure t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 and to treat each other with respect. Fifth, there was a difficulty from the experience or age difference between the team teachers. If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career, the gap of understanding was widened so that they did not understand each other well. Finally, due to the lack of time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am teachers, they had a difficulty in coordinating or sharing opinions with the team teachers. Regarding the wishes of the infant teachers of the team teaching, first, the teachers wanted something for the directors. When the teachers had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the teachers wanted to have their opinions respected and accepted. It was also hoped that there would be a manual related to the team teaching role for the team teaching class in the day care center. Especially, it was one of the ways that the teachers who did not experience the team teaching before or who moved to this institution, could understand the new jobs and the flow of the team teaching through the manual and could solve the difficulties. Second, the teachers hoped to have enough time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am teaching members as it was important to have a thought of 'community', and 'one' to respect and care for each other in the team teaching class. The most important part of getting along with the team teacher was emphasizing the role sharing and the unification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ird, the teachers had a desire to be supported by parents and society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day care centers. The teachers talked about the special aspect of infant classe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manpower to help with assistant teachers and the necessity of infant allowance by the government. Also, the teachers talked about the necessity to simplify a large amount of documents required by the evaluation for accreditation. In addition, because there were plural teachers in one class due to the team teaching, the parents seemed to compare the teachers or rely solely on one teacher. So the teachers hoped that parents should look at the teachers equally as a homeroom teacher. Because there was a tendency to treat the infant teachers as a teacher who played only a role of child care, the teachers hoped that they could be treated equal to children's teachers.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difficulties and wishes of the teachers experiencing the team teaching in the infant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the team teaching, to highlight positive aspects of the team teaching, and to settle down the effective team teaching in the infant classes. 본 연구는 연구자가 팀티칭을 경험 하고 있는 영아반 교사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봄으로써 팀티칭으로 인한 어려움과 바람은 어떠한지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경험하는 영아반에서의 팀티칭의 어려움과 바람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영아반에서 팀티칭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팀티칭을 경험하는 영아반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D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영아반 팀티칭을 경험하고 있는 6명의 교사이다. 이들과 함께 2018년 4월 20일 부터 7월 31일까지 약 16주간 영아반에서 팀티칭을 시작 하면서부터 학급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바람에 대한 2회의 심층 면담과 1회의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와 연구자의 저널 등을 반복적으로 읽고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반적으로 팀티칭을 경험하는 영아반 교사들이 팀티칭을 시작하고 학급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바람’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팀티칭을 경험하는 영아반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첫째, 팀티칭을 시작할 때 팀 구성의 어려움이었다. 이는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되기보다 원장님의 결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영아반에서의 팀티칭 시작단계에서부터 교사들은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팀티칭 시작을 하고 있었다. 둘째, 영아반에서 팀티칭을 경험하는 영아반 교사들은 팀 교사와의 역할 분담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어린이집에서 역할 분담에 대한 매뉴얼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 교사들은 업무의 방향성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제대로 된 역할 분담에 대해 팀 교사와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의 부재와 팀원 중 한 명이 맡은 역할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상대 팀 교사가 더 많은 양의 업무를 감당하면서 겪는 어려움이었다. 셋째, 팀 교사와의 교육관과 교육방법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다. 한 학급을 운영하고 이끄는 팀티칭 영아반 교사들은 팀 교사와의 교육관과 교육방법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팀 교사와의 성격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인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배려나 존중 받지 못함으로 생기는 어려움이었다. 다섯 째, 팀 교사와의 경력이나 나이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다. 경력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이해의 간극이 넓어 서로 팀 교사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팀 교사와의 소통을 위한 시간의 부족으로 팀 교사와 팀 교사와의 의견을 조율하거나 공유하는 시간이 부족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팀티칭을 경험하는 영아반 교사들이 이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 갖게 되는 바람으로 첫째, 원장님에게 갖는 바람이 있었다. 교사 면담 시 교사들은 원장님이 자신과의 이야기를 통해 의견을 존중 받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자신의 의견 또한 수렴되기를 원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에 팀티칭 학급을 위한 팀티칭 역할 관련된 매뉴얼이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특히 팀티칭을 처음으로 경험하거나 이직한 교사들에게는 매뉴얼을 통해 새로운 업무를 습득하고 팀티칭의 흐름을 이해하는 부분에 도움이 되고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둘째, 실질적으로 팀티칭이 이루어지는 학급에서 관계를 맺는 팀 교사에게 갖는 바람으로는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며 함께 하는 ‘공동체’, ‘하나’ 라는 생각을 갖고 학급을 운영할 수 있도록 소통의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팀 교사와 함께 지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역할 분담과 교육관의 통일을 강조하였다. 셋째, 학부모와 사회에게 갖는 바람이 있었는데 어린이집 운영 부분의 지원이 필요함을 요구하였다. 교사들은 영아반의 특수성을 이야기하며 보조교사와 같이 도움을 주는 인력 확충의 필요성과 국가에서 지원하는 영아반 수당 또한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평가인증으로 인해 요구하는 많은 양의 서류의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팀티칭으로 인해 한 학급에 복수의 교사가 있음으로 학부모들은 교사들을 비교하거나 한 교사에게만 의지하는 모습도 보여 경력의 차이가 날지라도 동일한 담임교사 입장으로써의 시각으로 봐주기를 원하였으며, 영아반 교사를 단순한 보육의 역할만 하는 교사로서만 보아 유아 교사와의 동등한 교사로 받아들여주기를 바라였다. 이와 같이 영아반에서 팀티칭을 경험하고 있는 교사들은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을 겪으며 그 어려움으로 인해 어떠한 바람을 갖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팀티칭이 이루어지는 영아반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팀티칭이 개선됨으로써 팀티칭의 장점이 부각되고 실효성 있는 팀티칭 운영의 정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가상현실 아바타를 활용한 군인 상담에서의 공감적 이해와 교류 경험

        장유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군은 최근의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대면 상담을 제한하고 비대면 상담인 온라인 화상 또는 전화 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전화 상담의 경우 대면 상담에서 느낄 수 있는 실재감과 공존감의 부족으로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 전달이라는 상담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제한점이 있고, 내담자의 얼굴 또는 수신자 번호 노출로 익명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내담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면서도, 실재감과 공존감을 유지할 수 있고, 라포 형성과 공감적 이해 전달에 유리한 상담방식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18년 군에서 발생한 자살 사건은 총 56건이었다(국가인권위원회, 2020). 자살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간부들은 견딜 수 없는 스트레스를 받는 중에도 전문 상담관에게 상담을 신청하지 않은 채 자살을 선택했다. 장기선발 및 진급에 불이익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들 대부분은 20대 초·중반의 나이로 개별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문화 속에서 살아온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이다. 이제는 이들의 특성에 맞는 그리고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디지털 상담 방식이 필요한 때이다. 가상현실(VR) 아바타를 활용한 상담은 비대면 상담 여건과 내담자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지만, 군 장병들을 대상으로는 실시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예산으로 군에 적용할 수 있는 VR 상담 환경에서 10명의 내담자와 2명의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이 VR 아바타를 활용하여 상담을 실시했을 때 (1)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의 라포 형성 및 공감적 이해 전달이 가능한지, (2) 대면 집단상담의 경험과 교류들이 VR 집단상담에서도 드러나는지, (3) 향후 군이 VR 아바타를 활용한 상담 환경을 설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실무적/교육공학적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상담 경험’이라는 실생활 문제를 관찰·연구하기에 적합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Goetz & Lecompte(1984)와 Morese(1999)가 제안한 사례선택 표집방법에 따라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 Colaizzi(1978)가 제안한 질적연구 방법에 따라 자료 수집·분석·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군 장병들은 첫째, 공간을 초월해 자신만의 공간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으면서, VR을 통해 구현된 해변이나 캠핑장 또는 우주공간을 배경으로 다소간의 해방감을 경험하고, 아바타를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면서, 대면/전화 상담보다 더 빠르게 라포를 형성하고, 익명성을 보장받는 가운데 자신의 정서적 고충을 편안하고 솔직하게 토로했으며, 어느 내담자는 눈물이 날 만큼 깊은 공감적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동일한 신분의 내담자로 구성된 집단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간 그리고 내담자와 내담자간 매우 역동적인 교류가 발생하였으나, VR 집단상담 환경에서는 비언어적 표현의 확인이 제한되어 심층적인 상담의 효과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회차의 VR 집단상담을 진행하거나 대면상담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향후 군내에 VR 아바타를 활용한 상담 환경을 설계할 때, 병사 내담자들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VR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VR 상담을 위한 일과 중 휴대폰 사용 허용이 필요하고, 간부 내담자들을 위해서는 철저한 익명성 보장을 위한 오픈 채팅방 또는 익명/비공개 온라인 게시판 활용 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군 상담에 VR 기술을 활용할 경우 그 경험이 주는 유익은 무엇이며, 한계는 무엇인지와, 군 장병을 대상으로 한 VR 상담 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 도출에 의의를 두었다. A total of 56 suicides occurred in the military in 2018(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20).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who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ose who commit suicide, chose to commit suicide without consulting a counselor, even under unbearable stress. This is because they feared that it would be a disadvantage for long-term selection and promotion. Most of them are in their early or mid-20s, and they are digital natives who have lived in a culture that pursues individuality and diversity. Now is the time for a digital consultation method that suits their characteristics and can guarantee anonymity. Also, now is the untact era. The military also restricts face-to-face counseling and provides video/telephone counseling. What if there was a counseling method that could maintain a sense of presence and coexistence such as face-to-face counseling while consulting in non-face-to-face. If there is a counseling method that can easily form a rapport while guaranteeing anonymity, and that can convey empathic understanding well, it should be applied now. With only a personal smartphone and an HMD worth 5,000 won, VR consultation that can guarantee all these effects can be realized right now. Military service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VR counseling conducted counseling in their own space, transcending space. They expressed their individuality through avatars, and experienced a sense of liberation in the background of a beach, camping site, or outer space realized through VR They formed a rapport faster than face-to-face/telephone consultations, and freely and candidly expressed their emotional grievances while maintaining anonymity and could perceive empathic understanding deep enough to bring tears to their eyes. In particular, a very dynamic rapport was formed in group counseling composed of clients of the same status, and an exchange of empathic understanding occur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o design the environment to generate the optimal effect when VR technology is used for future military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