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Analysis of the Debate on the Revival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from the Gender Perspective and its Challenge to the Women's Movement in South Korea

        장유미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revival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VEPS), which is a policy which automatically gives extra points to military veterans who take a civil service examination, so as to facilitate their social adaptation in reintegrating into civilian life, is still a controversial issue in South Korea although it was previously abolished by a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thirteen years ago. The women’s rights movement in South Korea was the first to raise issue with the VEPS and launched a movement against it which was particularly active throughout the 1990s and helped lead to the 1999 judgment resulting in its abolit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on the grounds that the system had brought about the result of keeping women and the differently abled from entering employment in the public sector. In reaction to attempts to revive the VEPS system by both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ial administrations from 2005, the women’s movement has taken consistent actions to block the revival of the system. However, the women’s movement has become unintentionally trapped in a genderconfrontation structure,which has dominated the controversy over the VEPS since itrestarted, immediately after the judgment to abolish the system in 1999. This ongoing controversy concerning the VEPShas resulted from an antipathy towards womenas a group due to the influence of deep-rooted militarism in the daily lives of South Koreans.The militarism is in line with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in South Korea. The problem is that the gender confrontation structure of this issue has hindered the relevant debaters from finding a solution to resolve conflicts surroundingits revival and has also inhibited going a further step to develop an in-depth discussion about not only the role of the military and how the conscription system is based on gender hierarchy and discrimination, but finally how to build a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respect,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actions of the women’s movement against the VEPS to date and to reveal a limitation that the women’s movement has encountered. According to this examination, the actions of the women’s movement based on gender difference have been effective in terms of disclosing the aspects of gender inequality surrounding the VEPS. But this debate has exposed a limitation of the approach in that it does not thoroughly consider multiple differences within groups of women and of men as individual people with diverse identities; including gender identification, class, disability, and sexual orientation. Women are not a homogeneous group and neither are men.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caused by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various differences of gender, class, disability, and sexual orientation. These are also entangled in the issue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Thus, I argue that the women’s movement resistance to the revival of the VEPS needs to consider the multiple differences within groups of women and men and by doing so reveal the complex power structure which is reproducing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is power structure has been hardly properly visualized in the distorted gender defined confrontation structur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revival of the VEPS. In this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women’s movement should act jointly with other groups of marginalized minorities to expand dimensions of solidarity against complex social unequal structures, which include the issue of gender discrimination. A productive debate on appropriate and substantial compensation measures for veterans, as an alternative to the VEPS, will be possible to open at that time. Keywords: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the women’s movement, the gender confrontation structure, gender hierarchy, militarism, sexism, gender difference, multiple differences 국문초록 챔더 관점에서 본 군가산점제 부활 논쟁 분석과 한국 여성운동의 도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국제평화전공 장유미 제대군인이 꽁무원 시험을 치를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제대군인가산정제 도(이하 군가산점제)의 부활 문제는 본 제도가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폐지된 지 13 년이나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여천히 논쟁적인 이슈이다. 한국 여 성운동계는 군가산점제가 여성과 장애언의 공직 진출을 저해하는 컬과를 낳는 것애 문제를 제기하고 본 제도를 반대하는 운동을 벌여 1999 년 마침내 헌법재 판소가 군가산점제 폐지 결정을 내리는 데 기여했다 2005년부터는 국회와 행 정부 내에서 군가산점제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엄이 있자 여성운동계는 본 제도 의 부활을 저지하기 위한 행동을 취해왔다. 그러나 1999 년 제도 폐지가 결정 된 이후 이미 보여진 바와 같이, 군가산점제 논쟁에서 여성운통은 의도치 않게 성대결 구도에 갇혀 왔다. 이는 한국의 가부장제와 함께 일상 생활에 깊게 뿌 리내련 군사주의의 영향으로 인한 여성 집단에 대한 혐오가 단적으로 표현된 사례이다. 문제는 이러한 성대결 구도가 군가산점제 부활을 둘러싼 갈등을 풀 어나갈 해결책을 찾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정이다. 나아가 젠더 위계와 차별에 기반한 군대와 정병제도, 분단된 한반도에서의 평화 구축 등에 대한 심 도 깊은 논의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군가산점제에 반대해 여성운동계 가 취한 행동과 그 한계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의 차이, 즉 성차에 기반을 둔 운동 전략은 군가산점제를 둘러싼성 불평등한 측면을 드러내는 데 기여했으나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내의 다 양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한 개인은 성별, 계급, 장애, 성 적 지향 등에 따른 다양한 정체성을 갖는다. 여성들은 동질적언 집단이 아니며, 남생들 또한 마찬가지다. 군가산점제에는 성별, 계급, 장애, 성적 지향 등 사람 들 사이의 다양한 차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서로 다른 유형의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가 얽혀 었다. 따라서 여성운동계는 군가산첨제 부활에 반대하는 과정에서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내의 복수적 차이들을 고려할 펼요가 있다. 이는 군가산점제 부활 논쟁의 성대결 구도에서 가리어진 문제, 즉 배제와 차별을 재생산하는 복합적 권력 구조를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다른 소수자 그룹과 능동적으 로 연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성 볼평등을 포함해 사회의 복합적인 볼평등 구조에 대항한 연대의 범위를 확장시킬 것이다. 그 과정에서 군가산점제에 대 한 대안으로 제대군언을 위한 질질적 보상 방안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의 장을 열 수 있을 것이다.

      • 노인고용정책이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장유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review the level of income support, employment opportunity, and social capital per general character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especially verify the relationship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with the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mpirical data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effects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ultimately have on the lives of the elder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To do so, 6 hypotheses were selected under 5 projects. The project 1 attempted to discover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apital. The project 2 put efforts to learn about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e project 3 tried to review the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e project 4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ocial capital. Finally, the project 5 attempted to discover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earch time (April 1,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elderly above 65 who have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for 1 year focused on Changwon-shi, Gyeongsangnam-do. A constructed survey was used as the sampling and survey was the simple random sampling using the table of random sampling numbers among the probability sampling. The elderly directly filled in the surveys and had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re were 1.56 times more women than men. Below the graduation of middle school was the most apparent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with below 490 thousand KRW as monthly income. Most of the income came from the social security or allowances from the children. Alth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relatively good,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was rather difficult. Secon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e welfare-type was the most apparent participation type. The largest proportion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earning the living costs and allowances. And 75.2% were satisfied with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ird, the characteristics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discovered through the questions which measur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the measurements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The level of acknowledgement on the quality of life was appropriate in all questions while the level of acknowledgement for being fun and valuable were relatively high.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which are the parameter were classified into the level of trust, level of network, and degre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for a review. The level of trust was extracted as 3 factors of trust for people, trust for policy, and trust for government authority. And among the trust for people, the trust for the unfamiliar neighbor was the lowest while the level of trust for a spouse was the highest. Among the trust for policy, the level of trust for the contents of community agreements was presented as high. 4 factors were extracted as the level of network: network related to meetings, network related to help, network related to contacting, and network related to interchange. Among the network related to meetings, the frequency of network of family unit was the largest while the community meeting was the lowest. The help from relatives was the most apparent among the network related to help while the contacting with friends was most apparent among the network related to contacting. The interchange through fellowship meetings was the highest in the network related to interchange.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was extracted as 1 factor;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voluntary work was the highest. Fifth, it is found that, in terms of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knowledgement of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life according to the gender, age, marital status, family form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housing statu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and level of income. Consequently,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or level of income led to the higher satisfaction of life. Sixth, the differences o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presen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knowledgement in trust for people and trust for policy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type among the social capital in terms of differences of acknowledgement o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type. Among the network, all had significant difference of acknowledgement except for the help network. There was no difference of acknowled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the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quality of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type in terms of satisfaction of life among the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 in acknowledgement of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rust for people and trust for policy among the social capitals. Among the network, all had significant difference of acknowledgement except for network related to contac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of acknowledge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of life among the quality of life. As can be seen i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there was low acknowledgement of social participation even when participating to earn living costs. Seventh, the Interrelation (Pearson's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quality of life, and social capital presen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had partly a positive relation to the social capital and the overall quality of life. Eighth,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as follows.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tensified th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degree of trust, degree of network, and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Especially, the trus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Particularly, among the social capitals, it was possible to clearly notif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ocial participatio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creased the social participation, thu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kewise,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play a crucial role i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terwards, applie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lthough recently, there is much criticism about the fairness and employment reliability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s the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of the elderly,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can allow the social capital of more elderly to increas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whe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re applied to more general elderly, or in other words when the levels of age and income for the programs are extended.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do not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income and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due to the employment until now, they seen to have a great effect in terms of providing the elderly with an employment opportunity and chang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through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study, a few can be proposed as below: First, the fact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had a strong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total level of social capital as well as stronger in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can be considered as that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mong the elderly employment policies bring forth an important positive effect to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is acts as a parameter which has an impact of enhanc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it has been presented that the more social capital had more positive influence over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participating elderly. Thus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capital has been emphasized. Therefore, the social capital can be considered a mechanism which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rate on the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senescence. The course of accumulating trust network through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or forming of trust through opportunity for social participation can act as a factor for a happy senescence. The positive impact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on the life of the elderly can ultimately affect the family, the community, and the nation which interrelates with the elderly. Since the deciding factor which can maximize the amount of social capital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s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the continuity of participation must be considered in greater depth i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 the future. Second, the most apparent motivation in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was to earn living costs and allowances. In add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social capital was higher when the motivation was not to earn living costs or allowances. It was the same, of course, for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Recently, many elderly are staying at a low economic level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And the labor participation rage of the elderly is also low. Considering this reality, the efforts to improve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essential. Consequ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acknowledgement of the suppliers and the demanders,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must be categorized by the typ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elderly to improve the vitality of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Third, the fact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Ultimately, although it may be effective for the labo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o be accomplished in a protective market, the elderly-customized jobs which can function in the competitive system of markets must be developed to contribute to the social production to enlarge the number of jobs in which the elderly can participate. Without extending the number of jobs for the elderly, it is impossible to exte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consistently.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by increas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young labor, only when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of the elderly is conduct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beyond the mere creation of elderly employmen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elderly employment as well as the labo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u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s very important. Fourth, the criticism that the current elderly employment programs do not reflect the desires of the elderly and the realistic status can be due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clear assessment on the effectiveness such as comparison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r the effectiveness per sub-types. In the future, there is a much need to study about the re-organization of the index and assessment method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effectiveness. 본 연구는 노인고용정책 중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소득지원, 노동기회, 사회적 자본 정도를 살펴보고, 특히 노인일자리사업 만족정도가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quality of life)과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이 궁극적으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를 통해 노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 정책인가에 대한 질문에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5개의 연구과제 하에 6개의 가설을 선정하였다. 연구과제 1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노인일자리사업의 특성,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과제 2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삶의 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과제 3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과제 4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 삶의 질,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과제 5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이 노인 전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중 창원시를 중심으로 1년 동안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시점(2010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해서 1년 동안 지속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500명 조사하였다. 표집과 설문은 확률표집(probability sampling) 중 난수표를 이용한 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노인들의 직접 기입방식과 연구자에 의한 면접을 함께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1.5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중졸이하가 가장 많았고, 월 소득은 49만원 이하로 사회보장이나 자녀들로부터 용돈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좋은 편이었으나 주관적 경제 상태는 어려운 편이이었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으로, 참여유형은 복지형이 가장 많았고, 참여 동기는 생계비마련과 용돈마련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을 75.2%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삶의 질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면, 총 8개 문항으로 구성된 주관적인(subjective) 삶의 질을 측정하는 문항과 주관적인 삶의 만족(satisfaction of life)수준에 대한 측정내용을 통해 알아보았다.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의 모든 문항이 모형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있음과 가치있음에 대한 인식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변수인 사회적 자본의 특성은 신뢰정도, 관계망정도, 사회참여정도를 구체적인 항목으로 나누었고, 각각을 요인분석(factor analysis)하여 요인을 추출한 뒤 살펴보았다. 신뢰정도는 사람에 대한 신뢰, 제도에 대한 신뢰, 공직자에 대한 신뢰의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사람에 대한 신뢰 중에서 모르는 이웃에 대한 신뢰가 가장 낮았으며, 배우자에 대한 신뢰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도에 대한 신뢰 중에서 지역합의 내용에 대한 신뢰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망 정도는 모임과 관련된 관계, 도움과 관련된 관계, 연락과 관련된 관계, 교류와 관련된 관계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모임과 관련된 관계 중 가족단위 교류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상회 모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움과 관련된 관계는 친척으로 부터의 도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락과 관련된 관계 중 친구와의 연락이 가장 많았으며, 교류와 관련된 관계에서는 친교모임을 통한 교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참여정도는 1개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봉사참여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혼인상태, 가족형태(가족 수), 주거상태에 따른 삶의 질 및 삶의 만족에 대한 인식차이는 유의미한(significant)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교육수준이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참여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인식차이는 사회적 자본 중 사람신뢰와 제도신뢰는 참여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계망 중에서는 도움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참여는 참여유형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며 삶의 질 중 삶의 만족에 대해서는 참여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인식차이는 사회적 자본 중 사람신뢰와 제도신뢰는 참여동기에 따라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계망 중에서는 연락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참여는 삶의 질 중 삶의 만족에 대해 참여동기에 따라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참여동기에서도 알 수 있지만 생계비 마련을 위해 참여한 것이 같이 참여를 하더라도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노인일자리사업, 삶의 질, 사회적 자본간의 상관관계(Pearson's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살펴보면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특성이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에 부분적인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검증은 다음과 같다. 노인일자리사업 만족정도는 삶의 질과 신뢰정도, 관계망정도, 사회참여정도는 직접적인 효과를 강하게 주며 특히 노인 삶의 질에 신뢰가 매우 큰 영향을 미쳐 삶의 질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 중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사회참여를 증가시켜 노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렇듯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사회참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후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최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공정성과 고용안정성에 대한 여러 비판이 많으나 노인의 삶에는 조금씩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노인일자리사업을 좀 더 보편적인 노인기준 적용하는 것 즉 연령과 소득수준에 대한 기준을 확대한다면, 더 많은 노인이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삶의 질도 향상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노인일자리사업은 고용으로 인한 소득과 주관적 경제 상태에 대해 긍정적인 기여를 하지는 못하고 있었지만, 노인에게 고용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자본 축적을 통한 전체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점에서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언해보고자 한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만족정도는 삶의 질과 총사회적 자본정도에는 강한 직접적인 효과를 주며 특히 삶의 질에 대해서는 더욱 강한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노인고용정책 중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 전체 삶의 질에 중요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며, 이로 인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은 노인 전체 삶의 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주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사회적 자본이 많을수록 참여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기제로 볼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하여 관계를 통한 신뢰관계를 쌓는 과정이나 사회참여에 대한 기회를 통한 신뢰 형성은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결국 노인과 관계하고 있는 가족,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의 양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결정요인은 지속적인 참여이므로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에 관련한 정책수립에 있어서 참여의 지속성이 보다 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동기가 생계비를 마련과 용돈마련을 하기 위한 것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 만족도,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는 생계비 마련이나 용돈마련의 경우가 아닐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물론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인 삶의 질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최근 많은 노인들이 최저생계비(the minimum cost of living) 이하의 낮은 경제수준에 머물고 있고 노인의 노동참여율(labor participation rate) 마저 낮은 현실을 고려한다면,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율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참여 동기 유형별로 노인일자리사업을 유형화시켜 참여활성화와 동시에 참여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난 것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참여의 만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효과적이겠지만, 사회적 생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경쟁체계 내에서 기능할 수 있는 노인 적합형 일자리를 개발하여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의 수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의 수를 확대하지 않고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수를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 불가하며, 나아가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노인일자리사업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젊은 노동자층을 고려하면 단순한 노인일자리 창출이 아닌 평생교육체계의 확대를 통한 노인의 인적자원화 촉진이 수반될 때 노인일자리의 확대와 노인의 노동참여 확대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여하튼 노인일자리사업의 양적확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사실 현재의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욕구와 현실적 상황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은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 비교 및 하위유형별 효과성 비교 등의 명확한 효과성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향후 효과성 평가와 관련된 지표의 재구성 및 평가방식의 변경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 반투막 시료 도입부를 이용한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질량분석 연구

        장유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리콘 반투막의 시료도입부를 이용한 소형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대기 중에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극미량 측정에 필요한 높은 감도, 편리한 작동, 적은 제작비용, 현장 이동성 등 여러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25 cm의 짧은 비행경로에도 불구하고 m/z 78에서 400정도의 우수한 분해능을 나타냈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의 경우 ppb 영역의 낮은 감도, 특히 103이상의 넓은 농도 영역에서도 분석이 가능하였다. Polydimethylsiloxane (PDMS) 실리콘 고분자 반투막의 75 ㎛와 127 ㎛ 두께에 따른 시료의 투과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이론식과도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할로겐 원소를 포함한 극성분자들과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들에 대해서도 확산계수, 응답시간, 감도 등을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비행시간 질량분석기의 시료 도입부에 사용되는 실리콘 반투막을 double-stage로 해주었을 때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투과 특성들을 비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반투막 시료도입/비행시간 질량분석기가 실시간-환경오염 모니터링과 같은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A miniaturized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TOFMS) with a sheet membrane introduction (MI) has been developed.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mass spectrometer include high sensitivity, simple structure, low cost, compact volume with field portable capability, and ease of operation. A mass resolution of 400 at m/z 78 has been obtained with a 25 cm flight path length. Under optimized conditions, the detection limits for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tudied were in the ppb range with linear dynamic range greater than three orders of magnitude. The response time for various VOCs were measured using a polydimethylsiloxane (PDMS) membrane assembly of 75 ㎛ and 127 ㎛ thickness. The results were well fitted by a non-steady state permeation equation. The diffusion coefficient, response time, and sensitivity were determined experimentally for a range of polar (halogenated) and nonpolar (aromatic) compou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mbrane inlet/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will be useful for a wide range of field applications, especially for real-time environmental monitoring.

      •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동산자산구조 특성 분석

        장유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동산자산 비중이 높은 베이비 붐 세대의 자영업자 가구는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고용구조의 변화, 인구고령화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가계자산구조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계자산 관련 연구는 거시적 측면에서 주요기관에 의해 행해져 왔으며, 선행된 미시적 연구도 실물자산인 부동산 중심의 연구는 미흡했기 때문에 미시적인 관점에서 가계자산, 특히 부동산자산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은퇴를 앞두고 있는 베이비 붐 세대 중 자영업자 가구가 처해있는 경제적 현황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들 가구의 부동산자산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에 적합한 데이터로 『2011 가계금융조사』마이크로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맞춰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2011년 가계금융조사』의 조사대상가구 중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베이비 붐 세대에 해당하는 1955년부터 1963년에 출생한 이들 사이에서 종사상 지위가 자영업자(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기타종사자)에 해당하는 가구이다. 따라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5,176가구 중 베이비 붐 세대에 해당하는 1,104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이중에서도 종사상 지위가 자영업자인 가구를 선택하여 최종 390가구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3인 이상 5인 이하의 가구원 구성에서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고졸이하이고, 남자이며, 3차 산업에 종사하고, 직업은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인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이들의 주거특성은 전용면적 85㎡이상-131㎡이하의 자가 소유 아파트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가 국민주택규모 혹은 중형 규모의 주택을 자가로 소유하며, 주로 3차 서비스산업에 종사하는 영세자영업자라는 현실을 반영한다. 둘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가계경제특성을 분석한 결과, 금융자산보다 실물자산의 비중이 전체 자산대비 84.1%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물자산 중에서도 부동산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채의 경우는 담보대출을 포함한 금융부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베이비 붐 세대가 실물자산의 비중을 낮추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높인다는 가족생활주기가설과는 달리 여전히 실물자산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사업용 부동산이 존재하여 다른 집단보다 부동산 비중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저축액 등의 금융자산이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동산자산구조를 알아본 결과, 부동산 중 비 거주주택 부동산의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부동산 자산 대비 비중에서는 거주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이는 일반적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전체 부동산 자산에서 평균적으로 거주주택이 비 거주주택 부동산보다 차지하는 비중은 더 높으나, 소수 상위 소득분위층의 비 거주주택 부동산의 규모가 매우 커서 평균자산규모가 높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영업자 가구 사이에서 부익부빈익빈이 심화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부동산 관련 부채의 경우 담보대출이 가장 많았으며, 규모면에서는 거주주택 담보대출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동산의 순수자기지분 비중과 거주주택의 순수자기지분 비중, 비 거주주택 부동산의 순수자기지분 비중을 분석하였을 때 모두 평균 80%로써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대출종류에 따른 대출의 유무를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가계가 담보대출을 이용 중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출의 중복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1가지 대출 > 2 가지 대출 > 부채 없음 > 3가지 대출 > 4지 대출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모든 경우에서 담보대출을 포함한 대출의 중복이용이 비 담보대출을 포함한 대출의 중복이용보다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는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자산 중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담보대출이 비 담보대출보다 목돈을 빌릴 시 더 용이하기 때문에 다른 대출종류보다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담보대출이용가구는 제 1 금융권에서 만기일시상환방법으로 대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났으며, 대출용도로는 소비성 부채의 경우 '사업자금 마련'으로, 자산관련부채의 경우 '거주주택 마련'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가계부채 이외에 사업을 위한 중소기업대출이 존재하는 것을 감안할 때, 이러한 사업자금 마련을 위하여 가계부채를 사용하는 것은 부채증가를 유발하므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만기일시상환 대출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향후 경제여건 변화에 따라 차환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경제상황 악화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에 비해 자영업자의 소득은 일정하거나 감소하여, 상대적 소득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현 상황은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부채상환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금융부채 비중을 분석한 결과, 매우위험집단인 '0.7이상'이 가장 많이 나타나서 현재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채부담이 심각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상환액의 비중이 40%가 넘는 차입자를 부실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군으로 분류하는데,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0.4 이상'이 임금근로자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향후 상환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다분하여 부채확대 가능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넷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동산 비중이 매우 높고 이를 토대로 하는 담보대출의 규모 역시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 부동산자산구조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이며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동산 자산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 주거특성이 부동산자산비중에 가장 영향력을 많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 중에서는 '거처구분'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는 주택이 자가 소유일수록, 자산이 증가할수록, 거주주택의 규모가 클수록, 고용원 수가 많은 자영업자일수록 전체 자산규모에서 부동산 자산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영업자 가구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동산 비중은 부채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부동산구입 시 순자산보다는 부채를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관련 부채 비중에는 가계경제특성이 가장 영향력을 많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 중에서는 '전체부채(부채총액)'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부채가 증가할수록, 자산의 규모가 작을수록, 주택이 자가 소유일수록, 부채부담이 클수록 전체 자산규모에서 부동산 관련 부채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부채의 증가가 부동산 관련 부채에서 기인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채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일수록 비교적 접근이 쉬운 담보대출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채취약가구에서 부동산 관련 부채의 증가가 더욱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거주주택의 비중에는 주거특성이 가장 영향력을 많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 중에서는 '거처구분'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거주주택이 자가 소유일수록, 자산과 부채의 규모가 작을수록, 종사하는 산업이3차 산업일수록 전체 부동산 자산규모에서 거주주택 자산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주주택의 경우 담보대출의 지속적인 상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구의 경우 대부분의 자산을 거주주택마련에 사용하기 때문에 거주주택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채가 증가할수록 부동산자산비중이 증가하며 부채의 대부분이 부동산 관련 부채로 나타난 앞선 분석결과를 고려해 볼 때, 거주주택의 경우는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비 거주주택 부동산의 구입시 담보대출이 가계부채증가의 원인으로 사료된다. 비 거주주택 부동산 비중에는 주거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 중에서는 '거처구분'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거주주택이 자가 소유가 아닐수록, 자산과 부채규모가 클수록, 1차 산업에 종사할수록, 가구원 수가 많은 수록, 부채비중(전체부채/전체자산)이 낮을수록 전체 부동산 자산규모에서 비 거주주택 부동산 자산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유자금이 많을수록 투자 및 사업목적의 비 거주용 부동산을 구입한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앞선 부채총액과 거주주택 비중의 부(-)의 관계를 고려할 때,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채증가요인은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의 비중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거주주택 담보대출 비중에는 주거특성이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변인들 중에서는 '거처구분'과 '전체부채(부채총액)'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는 일반적으로 무급가족 종사자 일수록, 주택이 공동주택 일수록, 자가 소유일수록, 자산의 규모가 작을수록, 부채의 규모가 클수록, 부채부담이 클수록 거주주택 자산규모에서 거주주택 담보대출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거주주택의 순수자기지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의 경우 단독주택에 비해 시장에서 수요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담보대출을 받기 용이하고, 부채상환능력이 떨어져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가구주가 상대적으로 보수의 개념이 없는 무급종사자인 가구일수록 거주주택의 순수자기지분 역시 작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들 사이에서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사사하고 있다. 비 거주주택 부동산 담보대출 비중에는 가계경제특성이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 중에서는 '전체부채(부채총액)'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베이비 붐 세대의 자영업자 가구는 가구원수가 증가할수록, 1차 산업에 종사할수록, 주택이 공동주택일수록, 자가소유가 아닐수록, 부채규모가 증가할수록 비 거주주택 부동산 자산규모에서 비 거주주택 부동산 담보대출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비 거주주택 부동산의 순수자기지분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1차 산업 종사자들이 농업·임업 등의 사업목적의 부동산을 담보대출로 구입하여 가계부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의미하며, 가족원 수가 많을수록 부모부양이나 자녀양육을 위한 목적으로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을 구입하기 위해 담보대출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부동산자산구조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종속변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주거특성과 가계경제특성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특성의 경우 '거처구분'이, 가계경제구조 특성의 경우 '부채총액'이 부동산자산구조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전체 자산 중 대부분이 실물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향후 현금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보유 부동산을 활용한 소득 확보 방안인 역 모기지론이나 주택연금상품의 활성화가 향후 은퇴이후 오는 노년기에 필요할 것이므로 현재 주택금융상품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 및 문제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들 사이에서 부익부빈익빈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의 경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자영업 시장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실정인데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실직자들이 임금노동자로 흡수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할 때,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영업자를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들은 향후 경제여건 변화에 따라 차환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농후하고, 중소기업대출이라는 또 다른 부채를 감안할 때 상환가능성이 축소되어 매우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부채확대 가능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하며 시중 금융권은 적절한 검증절차 마련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부채확산을 사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넷째, 대부분의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구들이 자영업 창업을 시작할 때 향후 자영업으로부터 창출되는 소득이나 현금흐름에 대한 계획 및 인지 없이 사업규모를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자영업 창업에 대한 충분한 계획 없이 가구의 상환능력을 벗어나는 부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베이비 붐 세대 중 자영업 창업을 희망하는 가구에게는 계획단계부터 적절한 사업규모 결정과 부채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자영업자에 대한 대책은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계획에 근거해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불가피한 자영업의 구조조정 속도를 완화시키고 그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하며, 향후 베이비 붐 세대들의 은퇴대비를 위한 자영업 창업지원을 위해서라면 자영업자 가구의 가계경제구조를 보다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베이비 붐 세대 자영업자 가계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을 담보대출 형태가 아닌 주택연금이나 역모기지론 등을 사용하여 유동화 시키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며, 가계경제를 위협할 정도의 부채확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직종에 따른 대출심사제도 및 모니터링의 보완 등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As the retirement of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63 began, the socioeconomic impacts on the society will be expected to be tremendous. Due to the gap between involuntary early retirement age and the normal pension age or minimum retirement age, many of the baby boomers, especially those who are the head of a household and forced to work, are likely to choose starting their own business. Since the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have few resources available for obtaining the seed money for a business start, it is likelihood that they utilize real estate assets, and the way in most cases often aggravates their household financial situation. With the alarm on growing household debts, this study examines the financial situation of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to analyze their real estate asset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net asset value of real estate. In doing so, this research uses Household Finances Survey 2011, the secondary data conducted in the nation and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the Bank of Korea,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390 cases are selected for the data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this research employ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al analyses. The key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highest proportion of household asset for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is real estate, and the heavy dependence devalues the asset value in an economic downturn and lacks liquidity in later life causing ‘real estate rich, cash poor.’ In particular, non-housing properties accounts for most of household real estate assets.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in retirement are likely to use reverse mortgage or asset-based securities. Secondly, balloon payment loans imposed on properties are commonly taken by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and the loans are used for their business start-up. Many of the loan takers already use small business loans, so it illustrates that the borrowers are unlikely to pay back or refinance their debts. Further, the liabilities worsens, so that they need to be reduced and managed effectively by screening high-risk borrowers. Third,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to total household asse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otal liabilities and home ownership, and this implies that borrowing power, so-called leverage, substantially increases the asset value of households owning a house. Lastly, the factors affecting household debts are non-housing real estate assets. The households in this study tend to be outright homeowners while having a substantial amount of their debts from non-housing assets. In other words, the baby boomer households take out the loans for small business start-up by using non-housing assets, so that the financial behavior continuously increases the household debts. To remove bad debts, it’s suggested that a strict lending policy be applied and the financial soundness of households be examined. Also, there have been few alternative tools for household liquidity. As the interest rate has been so low that many households can easily take out loans, household debts have become a growing concern nationwide. In addition, the early retirement of baby boomers redirects the financial landscape at the macro and micro level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burden would be greater to self-employed baby boomer households than regularly paid counterpar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ousehold assets, debt and liabilities, particularly real estate asse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eries of maintain the financial soundness of households are necessarily taken including a lending policy, screening for pre-qualification, and alternative tools for asset liquidity and cash flow.

      • 비만 연계 대장암 마우스 모델에서 성 별 대장 유전자 발현 및 장내 미생물 조성 차이 규명

        장유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장암 발생 위험은 성별, 인종, 식습관, 비만 등의 다양한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비만과 대장암의 상관성은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비만으로 인한 만성 염증, 장내 미생물 불균형, 아디포카인 농도 변화 등이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의 주요한 요인으로 제시된 바 있으나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 기전에서 성별 차이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컷과 암컷, 난소 절제술을 통해 에스트로겐을 고갈시킨 암컷 쥐를 각각 저지방 식이 공급 군과 고지방 식이 공급 군으로 나누어 대장 종양 형성을 유도하여 그 차이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대장 종양 개수는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수컷 군에서 모든 암컷 군 대비 유의적으로 높았고, 종양 개수에서 성별의 유의한 효과와 성별과 식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MUC2 발현을 평가한 결과, 고지방 식이를 공급한 수컷 군 대비 모든 암컷 군에서 MUC2 발현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대장암 발생의 연계성에서 성별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의 종류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과 KEGG enrichment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에서 수컷군과 암컷군 그리고 난소 절제 암컷 군에서 각각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한 유전자 리스트를 대상으로 PPI network analysis를 수행한 후 네트워크 내 다른 유전자들과 상관관계가 높은 허브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 시 수컷 군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는 주로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HIF-1 signaling pathway, Central carbon metabolism in cancer를 포함한 cancer-related pathway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 시 암컷 군에서는 TNF signaling pathway, JAK-STAT signaling pathway, Chemokine signaling pathway를 비롯한 cancer-related pathways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난소 절제술을 통해 에스트로겐을 고갈시킨 암컷 군에서는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 시 Mucin type O-glycan biosynthesis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고, C-type lectin receptor signaling pathway, inflammatory bowel disease, viral protein interaction with cytokine and cytokine receptor, transcriptional misregulation in cancer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컷 군 대비 암컷 군과 난소 절제 암컷 군에서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이 억제된 이유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암컷 군과 난소 절제 암컷 군 간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 기전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장 내 미생물 조성 분석 결과, 성별과 식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난 taxa에는 Ruminococcaceae_uc(genus level), Turicibacter(genus level), Bifidobacterium_uc(species level)가 있었다. 암컷 군과는 달리 수컷 군에서는 고지방 식이 공급에 의해 Deltaproteobacteria를 비롯한 sulfate-reducing bacteria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Odoribacter 비율의 유의적인 증가와 Parvibacter 비율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비만 연계 대장암 발생의 성별 차이와 이에 미치는 유전자 및 장내 미생물 조성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s rela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sex, race, eating habits, and obesity. Th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colorectal cancer is more pronounced in men than in women. Chronic inflammation due to obesity, gut dysbiosis, and changes in adipokine concentration have been suggested as major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obesity-associated colorectal cancer. However,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sex differences in the mechanism of obesity-related colorectal cancer are lacking. In this study, male, female, and ovariectomized female (OVX) mice were divided into groups fed either a low-fat diet or a high-fat diet, respectively. Sex differences in obesity-associated colorectal cancer were investigated by inducing colon tumors in all mice with AOM/DSS (azoxymethane /dextran sulfate sodium). The number of colon tum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hfd (high fat diet) group than in all female groups. We observed the significant effect of sex on tumor number, a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x and diet. MUC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female groups compared to male+hfd group.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gene expression on sex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colorectal cancer. Genes whose expression was changed in the hfd(high fat diet) group compared to the lfd(low fat diet) group in male, female, and ovx mice were referred to as male, female, and ovx-specific DEGs(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Male-specific upregulated DEGs were mainly involved in cancer-related pathways including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HIF-1 signaling pathway, and central carbon metabolism in cancer. Female-specific downregulated DEGs were mainly involved in cancer-related pathways including TNF signaling pathway, JAK-STAT signaling pathway and Chemokine signaling pathway. In ovx+hfd group,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Mucin type O-glycan biosynthesis in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viral protein interaction with cytokine and cytokine receptor, transcriptional misregulation in cancer, and C-type lectin receptor signaling pathway decreased.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reason why the occurrence of obesity-linked colorectal cancer was suppressed both in the female and ovariectomized female groups compared to the male+hfd group. Also, we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mechanism of obesity-associated colorectal cancer between the female mice and ovariectomized female mice. Taxa showing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sex and diet included Ruminococcaceae_uc (genus level), Turicibacter (genus level), and Bifidobacterium_uc (species level). The proportion of sulfate-reducing bacteria, such as Deltaproteobacter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oviding high-fat diet in the male group.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genes and gut microbiota composition as factors related to sex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obesity-associated colorectal cancer.

      • Concept of Communicative Approach and Education of Chinese Language

        장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has been a couple of decades since Korea started teaching foreign languages in high school. The history of Kore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not as long as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e Method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has developed from a typical Teaching method, which is based on grammar and translation, to Audio-Lingual Method, Audio-Visual Method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hich is being under discussion these days. During this time, almost of all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s are introduced and practiced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aim and the way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s.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is about the way, and it needs to be relevant to the aim as well. So, it is obvious that if the aim is changed, the way of achieving the aim should be changed as well. That is why we are learning foreign languages with many different goals and in various ways.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has developed to reach these goals. Simply reading and understanding foreign literary works used to be good enough but,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that we have to not only communicate with foreign people for an exchange, but also create someth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foreign people. That is the main reason why we cannot have the sam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any more. In other words, because the goal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has been changed by the times, the teaching method has to be changed as well. Given the developments in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we have a huge improvement in Korea’s foreign education system. A lot of teaching methods have been practiced in the field within a short time and we have had an improvement in teaching method every time we have a new method. To learn foreign languages, we need have the input and output of understandable languag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These learning conditions need to be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bjects in the class room should focus on the communication rather than correction of false and they also need to be intriguing, relevant to learners. It is also really important experience for the people studying second language to express their thoughts with the second language. If they only focus on memorizing what they learn without expressing their thoughts with the second language, they cannot use the second language in a real situation. Therefore we need to practice and use the second language as much as possible in the class room. At this point, I want to talk about the teaching method specifically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Chinese such as teaching method, teaching process, teaching consulting, teaching administration and teaching evaluation aimed a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I also want to suggest how to organize a class with a consideration of the feature of Chinese and learner’s feature and language ability. I hope all of my suggestions would be practical and useful for teachers so they would be able to organize their class better.

      • 최확수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비브리오 패혈증균 정량분석법 확립 및 검증

        장유미 부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Vibrio vulnificus is an opportunistic pathogen which is highly lethal and responsible for the majority of seafood -associated deaths worldwide. The common method used for the detection of V. vulnificus was utilized thiosulfate citrate bile salts sucrose (TCB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quantitative count method of V. vulnificus, and the most frequent method for quantitative cell count was plate count method. However, using TCBS agar plate for viable cell count of V. vulnificus is not suitable to detect the damaged V. vulnificus due to growth inhibition by high selectivity. In this study, I suggested a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 using alkaline peptone water medium for quantitative cell count of V. vulnificus. And the MPN-PCR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salinity, temperature and organic acid-adjusted pH on V. vulnificus. The MPN-PCR method showed 2 log higher cell number than that of TCBS agar plate. Similar result was also found in the control, which is Luria-Bertani agar containing 2% NaC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using the MPN-PCR method, V. vulnificus was more salinity-dependent than temperature. It can also be seen that low pH such as pH 4, 5 affects V. vulnificus growth. Among them, the water adjusted with acetic acid was controlled V. vulnificus the greatest. Therefore, the MPN-PCR method can be utilized a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ction of viable cell count of V. vulnificus in fish as well as shellfish sampl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ggest a method for enhancing the hygienic safety of aquatic products by conducting V vulnificus contro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