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선칠보기법을 활용한 길상무늬함 작품제작 연구

        임희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금속공예기법인 칠보(七寶) 중 유선 칠보 기법을 활용한 작품 제작과 그 제작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선 칠보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각각의 6세트 작품에 있어서 제작 진행 과정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기록하여 유선 칠보 기법의 전통기술 계승의 토대를 마련하고, 기술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칠보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후 유럽으로 전래 되어 비잔틴 시대에 성행하였다. 실크로드를 통하여 동아시아로 전래된 칠보는 한국·중국·일본 등 각 나라의 문화와 개성을 담아 계승·발전하였다. 한국의 칠보는 신라 시대 경주 금령총에서 발견된 금제가는고리귀걸이를 통하여 살펴보았을 때 삼국시대부터 그 원형이 확인되며, 고려·조선 시대를 지나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금속공예기법 중 하나이다. 이렇게 전래 되어 계승·발전된 칠보에는 다양한 기법이 존재한다. 그중 유선 칠보 기법은 금속판 위에 다양한 금속선을 원하는 문양에 따라 모양을 만들어 세운 뒤 금속선 사이에 칠보 유약을 채워 구워내는 기법이며, 섬세하고 화려한 문양 표현과 다채로운 색상 표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 칠보를 제작함에 있어 금속 동판을 활용하고 둥근 은선(丸銀線)을 눌러 만든 납작 은선을 사용하였다. 바탕 금속 동판을 활용해 칠보의 투명 유약과 불투명 유약을 다양하게 사용하였고, 금속선의 두께는 얇아지고 높이는 높아진 납작 은선을 사용해 더욱 유선 칠보 기법의 특유의 특징인 섬세한 문양 표현과 다채롭고 풍부한 색 표현이 가능하도록 진행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유선 칠보 기법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물 중심의 입체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기물 중에서 물건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용도를 지니고, 오브제로서의 활용도 가능한 함(函)을 선택하였다. 물건을 담아 보관하는 함에 유선 칠보를 활용하여 기능적인 면에 심미적인 요소를 부여하고, 예로부터 길하고 상서로운 의미를 띄는 길상무늬를 넣어 기능적인 용도가 있는 함에서 귀하고 중요한 물건으로의 의미가 확장되도록 작품을 제작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문양인 길상무늬를 기반으로 문양을 새로이 도안화하고 이를 납작 은선으로 옮긴 뒤 칠보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작품에서 유선 칠보가 활용된 면적을 넓히고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여 칠보의 비중을 두었다. 물건을 담아내는 아래 함에 경우 금속 위에 칠보를 올리거나 옻칠을 사용해 표면을 마무리하여 칠보의 화려한 색상과 섬세한 은선 표현이 최대한 돋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롱하고 화려한 색과 섬세한 문양 표현을 위해 효과적인 납작 은선을 활용한 유선 칠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현대 한국 칠보의 아름다움과 유선 칠보의 지속 발전 가능성이 보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길상무늬의 전통적인 이미지와 귀중함을 담아내는 의미를 활용하여 함이라는 공예품을 제작해 조금이나마 한국의 전통 칠보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현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골반근육운동을 병용한 전기자극요법이 중년여성의 복압성 요실금에 미치는 효과

        임희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실금은 임신과 출산, 노화와 관련하여 중년이후 여성에게서 빈발하고, 요로감염, 피부손상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우울증을 발생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요실금의 비수술적 치료로 전기자극요법, 바이오피드백요법, 콘요법 등이 있으나, 기구를 몸 안에 삽입해야 된다는 거부감이 들고 감염 등의 부작용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비삽입 형태의 기구로 전기자극요법을 적용한 후 복압성 요실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복압성 요실금이 있는 여성에게 전기자극요법을 적용하여 요실금 증상, 요실금 관련 삶의 질, 질수축압을 측정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의 중년여성으로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으로 총 54명이었다. 실험군에게 비삽입 형태의 전기자극기구를 제공하여 골반저근의 전기자극운동을 하루 2번 15분씩 시행하도록 하고, 자가로 골반근육운동을 하루 3번씩 반복할 수 있도록 매주 1회 전화코칭을 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골반근육운동 방법만 교육하고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실험처치는 총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실험처치의 효과검증을 위해 요실금 증상은 The Bristol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BLUTS)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고, 요실금 관련 삶의 질은 King's Health Questionnaire (KHQ)를 사용하였으며, 골반저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perineometer를 사용하여 최대 질수축압, 지속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 시간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및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전기자극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요실금 증상이 감소할 것이다'의 검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요실금 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07, p<.001). 따라서 요실금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2. 제 2 가설 '전기자극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요실금 관련 삶의 질이 향상 될 것이다'의 검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요실금 관련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85, p=.006). 따라서 요실금 관련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제 3 가설 '전기자극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질수축압이 증가 할 것이다'의 검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최대 질수축압(t=3.03, p=.004), 지속 질수축압(t=4.08, p<.001), 질수축 지속시간(t=5.19,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질수축압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전기자극요법은 복압성 요실금이 있는 중년여성의 요실금 증상을 감소시키고, 요실금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질수축압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반근육운동을 병용하여 비삽입 형태의 기구를 사용한 전기자극요법은 중년여성의 복압성 요실금 증상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지역사회 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using a non-invasive device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middle-aged wome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4 middle-aged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xperimental group was 27 women and control group was 27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evice (Smart Kegel, Alphamedic Co. Korea), and assigned to use it for pelvic floor muscle stimulation twice a day for 15 minutes and for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three times a day for 10 seconds, for a total of 8-weeks. These women were coached on how to use the device and on pelvic floor engagement via phone calls that took place once a week.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urinary incontinence symptoms, incontinence-specific quality of life,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and continuous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and its dura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8-week treat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follows : Urinary incontinence symptoms (t=-4.07, p<0.001), incontinence-specific quality of life (t=-2.85, p=0.006),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t=3.03, p=0.004), continuous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t=4.08, p<0.001) and continuous vaginal contraction duration (t=5.19, p<0.001). In conclusio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herapy effectively alleviated the symptoms of urinary incontinence in middle-aged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nhancing their incontinence-specific quality of life and increasing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So electrical stimulated therapy can be available for prevention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self-control program in a local community.

      • 세포막 단백질 Gap junction의 주요 Connexin 단백질 발현 및 Listeria spp.의 p60 단백질 발현 및 단일클론항체생산

        임희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I. 세포막 단백질인 Gap junction의 주요 Connexin protein 발현 Connexin 단백질은 인접한 두 세포막에 존재하는 Gap junction channel을 구성하는 막단백질이다. 상용 Connexin 32, 43, 26 유전자는 Rattus norvegicus의 connexin 유전자를 사용하였으며, Expression vector pQE30과 pQE-gfpII vector는 E.coli에서 각 connexin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정제하는데 용이하여 사용하였다. 이 vectro들에 존재하는 6× His-tag은 친화력에 의해 재조합 단백질을 정제하기 용이하게 사용된다. 각 connexin 유전자의 단백질 암호화되는 유전자만을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에 의하여 증폭하였으며, pQE30과 pQE-gfpII vector에 의하여 클로닝되어 대장균내에서 발현되었다. 재조합된 His-tagged connexin과 GFP-His tagged connexin 단백질의 과발현은 0.5mM의 IPTG에 의하여 유도되었으며, 정제를 위해 8시간이 최적의 유도 시간이었다. 이 재조합 단백질들은 친화력에 의한 Nickel affinity column에 사용하여 정제되었다. 각 Connexin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된 connexin 단백질과 고유의 connexin 단백질의 western blot을 하여 두 단백질이 같은 종류의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His-tagged Connexin 단백질의 생산은 동물세포에 대한 강력한 expression vector system을 구축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GFP-His tagged Connexin 단백질은 Connexin에 대한 항체생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rt II. Listeria spp.의 p60 단백질의 발현 및 단일클론항체 생산 Listeria spp.의 iap (invasion - associated protein) 유전자는 Listeria spp.의 주요 세포외 단백질인 p60을 암호화하고 있다. 리스테리아의 p60 단백질은 Listeria속 고유의 단백질로써, 주요 세포외 단백질이기에, 식품에서 이 세균의 존재를 밝혀주는 중요한 지시단백질로 사용된다. Expression vector pMAL-c2 vector는 E. coli에서 병원성 Listeria spp.의 p60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정제하는데 용이하여 사용하였다. 이 vector에 존재하는 maltose binding protein (MBP) 융합단백질 발현계는 E. 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을 추출하고 얻기에 효과적인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iap gene은 polymerase chaine reaction (PCR)에 의하여 Listeria welshimeriII의 게놈 DNA로부터 증폭하였으며, pMAL-c2 vector에 의하여 cloning되어 E. coli에서 발현되었다. 재조합된 p60 단백질의 과발현은 0.5mM의 IPTG에 의하여 유도되었다. 발현양은 유도시간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정제를 위해 8시간이 최적의 유도 시간이었다. 이 재조합 단백질(MBP-p60/welII)은 amylose resin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되었다. BALB/c mouse는 Listeria spp.의 p60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얻기 위해 정제된 MBP-p60/welII 단백질을 이용하여 면역시켰다. 그 결과 생산된 항 p60항체 1H4는 다른 미생물에는 반응하지 않지만 병원성 Listeria 균주인 L monocytogenes, L.ivanovii, L. welshimeri II에 특이적으로 강한 항체반응을 보였으며, Listeria속의 비병원성균인 L.innocua 등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약한 항체반응을 보였으며, 타 세균의 단백질과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1H4항체는 복수생산법에 의해 대량생산되었으며, 이 항체의 특이성은 면역학적 방법에 의한 리스테리아 검출키트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ap(invasion-associated protein) gene of Listeria spp. is encoding p60 that is major extracellular protein of Listeria spp.. The p60 protein of Listeria spp. is a Listeria-Genus-specific, major extracellular protein, which is used as a indicator protein for the detection of these bacteria from contaminated foods. pMAL-c2 vector was used cloning because it is easy to express p60 of Listeria spp. in E. coli and isolate its protein. In this study, iap gene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rom genomic DNA of L. welshimeriII, it has been cloning by pMAL-c2 vector and expression in E. coli. The overexpression of recombinanted p60 was induced by 0.5mM IPTG. It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expression was increased with inducing time and that 8 hours was optimal inducing time for the purification. The recombinant protein(MBP-p60/welII) had been pruified using amylose resin based column chromatography. Antibody from hybridoma cell line, 1H4, specific reacted with native p60s isolated from pathogenic Listeria spp. such as L. monocytogenes, L. ivanovii, L. welshimeri II, but is relatively weak or no reacted with non-pathogenic Listeia species, L. innocua or different bacterial proteins. Antibody of 1H4 was produced using ascites fluid method and it may be useful to develope the Listeria-detection kits based on immunological method.

      • 초기(1893~1906) 미국 북장로교 평양 선교지부에 관한 연구

        임희영 장로회신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893~1906년 미국 북장로교 평양 선교지부를 연구하므로 평양에 선교지부가 어떻게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었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대표적인 인물(선교사)을 연구하는 것이 아닌 조직 즉 선교지부를 연구하고 여타 다른 선교지부와 평양 선교지부를 비교하여 평양 선교지부의 특징을 밝히고 성장 동력이 무엇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평양 선교지부의 위치인 평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평양은 이북지역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한반도 역사에서도 수도가 되었던 도시로 역사적, 지리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평양 선교지부가 설립될 시기에 평양은 급변하는 시대에 빠르게 상업화가 진행되는 도시인 평양을 조명하였다. 두 번째로 평양과 이북지역 선교의 시작을 짚어보며 토마스 목사의 순교를 살펴보고 로스 목사의 성서번역을 통한 북쪽 지역 선교루트의 형성을 연구하며 이북지역 선교의 시작을 조명하므로 평양과 이북지역의 선교 초기의 역사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평양 선교지부의 형성과정 중에 있었던 고난의 사건을 살펴보며 기독교 박해사건으로 인해 미국 공사와 선교사들의 협력과 기도로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을 조명하였고, 곧이어 청일 전쟁을 겪으며 기독인들이 전쟁의 무대가 되었던 평양에서 흩어져 평양 선교지부의 기능이 전쟁으로 마비되는 상황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로 전쟁이 끝나고 평양 선교지부가 다시 복구되었을 때 평양 선교지부의 교회들이 성장과 분립 그리고 개척을 통하여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어 낸 것을 조명하였고 서울 선교지부와 북감리교 평양 선교지부의 관계를 통해 미국 북장로교 평양 선교지부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로 평양 선교지부 성장의 기틀을 마련한 네비우스 선교정책을 조명하였고 네비우스 정책의 강력한 신앙교육을 통한 신앙의 성장과 복음 전도가 이루어져 교회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네비우스의 자립 전도할 수 있는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세우고 교회들의 영적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조명하였다. 여섯 번째로 평양 선교지부의 병원 사역을 통해 북감리교 평양지부와 협력과 연합의 관계 속에서 병원선교의 협력을 조명할 수 있었고 이는 추후 연합하여 하나의 대형병원을 설립하여 평양지역의 복음화에 이바지하였음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평양 선교지부가 폭발적 성장을 이룬 원인을 밝히고 평양 선교지부의 형성과 발전의 과정을 통하여 평양 선교지부의 장점을 조명하는데 있다.

      • 療養病院 看護師의 內·外的 統制信念, 스트레스 및 疲勞가 臨終看護 遂行에 미치는 影響

        임희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경험적 자료와 모형의 적합도를 경로분석으로 검정하는 모형검정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각 개념들이 임종간호 수행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외생변수로는 내·외적통제신념,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내생변수는 임종간호 수행으로 가설 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모형에서 가설이 9개 도출되었으며 검정 결과 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병원 26개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3월 11일에서 동년 3월 31일까지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로 자료를 수집하여 총 42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19.0 프로그램,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공분산 구조모형이 연구가설에 적합한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이론적 모형에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양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임종간호 수행과 관련된 특성요양병원 근무경력이 5년이상일수록, 간호직에 만족할수록, 술을 마시지 않을수록, 규칙적인 운동을 할수록,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연구가설 모형의 경로분석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확인한 결과 가설 1. 내적통제신념의 경우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경로계수=-0.169, CR=-1.867, p<.05). 가설 2. 외적통제신념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경로계수=0.096, CR=1.262, p>.05). 가설 3. 피로의 경우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경로계수=0.346, CR=6.310, p<.01). 가설 4. 피로는 내적통제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기각되었다(경로계수=-0.037, CR=-0.361, p>.05). 가설 5. 외적통제신념은 피로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경로계수=-0.532, CR=-6.534, p<.01). 가설 6. 내적통제신념은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경로계수=0.321, CR=3.224, p<.001). 가설 7. 외적통제신념은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못미치는 것으로 기각되었다(경로계수=0.85, CR=1.119, p<.0.132). 가설 8.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경우 임종간호 수행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경로계수=-0.131, CR=-2.336, p<.009). 가설 9. 피로는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되었다(경로계수=-0.120, CR=-2.220, p<.026). 결론적으로 첫째,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그리고 내적 통제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다. 둘째, 요양병원에 임종간호 수행에 참여하는 간호사는 외적 통제신념을 지닌 간호사보다는 내적통제신념이 높은 간호사의 채용과 배치가 적절하며 외적 통제신념이 높은 간호사는 임종이 적은 일반병동이나 일상생활능력이 높은 경증 환자들이 있는 병동으로 근무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세째,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임종간호 수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를 낮추는 프로그램이나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의료기관은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과 인력부족, 업무과다를 낮추고 임금보장, 근무환경개선, 복지향상에 제도적 개선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초콜렛 포장디자인의 시각이미지에 관한 연구 : 무설탕 초콜렛을 중심으로

        林希英 숙명여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강지향 분위기를 배경으로 과자시장은 저칼로리 타입의 제품 개발이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무설탕 껌 등 일부 품목은 이미 일반화 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에 가세해 초코렛 분야에서도 저칼로리 무설탕 상품의 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다. 포장 디자인은 다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제품판매의 무기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현대 정보사회의 구조 속에서 포장의 기본 기능인 보호, 보관, 배분, 유통, 사용 이외에 소비자의 구매동기를 주는 심미성과 감각성을 중요시하게 되있다. 본 논문은 설문지의 조사분석을 통해 일반 초코렛과 차별화된 무설탕 초코렛의 소비자 인식과 반응 정도를 조사 분석하고 제품과 포장 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해서 업계의 포장디자인 개발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초코렛 제품은 주 소비층이 10대에서 20대 여성으로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새로운 것과 유행에 민감하면서도 남과는 다르기를 원하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들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새롭고 신선한 느낌의 포장 디자인을 꾸준히 개발하여야 한다. 이들 소비자들은 무설탕 초코렛의 포장 디자인으로 어둡고 진한 칼라보다는 기존의 일반 초코렛 포장과는 차별화된 밝고 가벼운 느낌의 칼라를 원하고 한눈에 읽을 수 있고 강한 느낌을 주는 로고를 선호하는 걸로 나타났다. 초코렛 등 과자업계는 라이프싸이클이 지극히 짧고 변화가 많아 포장 디자인의 개발이 빈번한 분야이다. 그러므로 업계에서는 항상 긴장을 늦추지 말고 세련되고 현대적인 디자인 감각으로 신선미를 주며 부가적으로 신뢰감 있는 기업 이미지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Cookie market's developmentation of low calorie type product, which is surrounded by the atmosphere of health, is forming a large flow. Sugarless gum and some other partial items are already is a generalized state. In a support to this low calorie sugarless product's, development in the chocolate field is showing liveliness. Packing designs are being spotlighted as a manufacturing sale's weapon in the current society which is changing everyday. Especially in the structure of today's infomation-oriented society, protection, custody, distribution, circultation usage, which are packing designs's fundamental function and also sensibility and aesthetics, which give purpose of purchasing to curstomers are all being attached to great importance. This treatise is studi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custmers reaction and perception of regular chocolate and distinguished chocolate, through a thorough analysis of questionares. And also find problems between the product and the wraping designs leading to ways of proper development of paking design business. Chocolate product's main consumers are the teens and 20's women. They mostly are sensitive to new things and vogue. But also because they want to be different than otherss, manufacturers constantly have to develop packing designs that are vivid and that has a fresh feeling to it. All these has to match the consumers taste. These concumers want a bright and ligth feeling color for the sugarless chocolate paking design, rather than dar and heavy color which are the paking color for the general chocolate. Also they prefer bold Gothic-type logo that gives a strong felling. Because the chocolate business's lifecycle (including chocolate) is short and have many changes, paking design develop repeatedly. Therefore the industry must not lessen the tension and must develop fresh and reliable business image with polished and up-to-date design senses.

      • 텔레비전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임희영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going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ies, the number of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is increasing, and the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living in Korea have a hard time communicating with their family due to social problems as well as family troubles. So Korean Education concentrates on TV drama that involves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chapter Ⅰ I suggest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precedent studies are examined. A study about Korean Education for women immigrants gives a lot of importance to the Korean teacher as 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In addition we need a study as Korean Education that uses drama as TV drama providing practical language usage to have the motivation of the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an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In chapter Ⅱ, the theory of linguistics, cultural, and media is studied. In chapter Ⅲ, before the learners is taught, interview is reserched so as to find out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Through the interview, they are showed the most necessary communication skill for the learners in their daily lives. And dramas that are used as the practical language usage are much helpful for their language learning. as a result, both the goals and the thaching principles for the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are proposed in this chapter. In chapter Ⅳ, the methods to choose learning materials for language learning as well as teaching procedure and teaching contents in learning model with Kim young-hee(2006) and Miller(1983), which is thought as an appropriate teaching procedure, are suggested. Also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the dramas chosen on the resulted are suggested. And then after teaching them, I study the effect of it. In chapter Ⅴ, the contents discussed in previous chapters are summarized and the meaning and the limit of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the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to communicate well, they must know the expressions used in real conversations with the partners like members of a family. So it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that language education must focus on the communication skill, which the most required skill for the inter-married women immigrants, which can learn and communicate Korean easily through TV dramas

      • 5468796 아키텍처의 공동주택 건축계획 특성 연구

        임희영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거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소 중 하나이며, 그에 따라 건축이란 인간에게 필수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우리나라는 그간 소득수준의 향상과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주택부족 현상이 점차 심화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도시를 개발하거나 도시 외곽에 대규모의 고층 아파트를 건설하는 등 주택의 대량 생산에 목적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를 통해 양적인 면은 충족되었으나,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화 된 단위평면과 주거공간과 이웃과의 사회적 관계 단절 및 공동체 의식의 상실은 문제점으로 대두되며 주택의 질적 측면에서는 불충족적인 결과를 불러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일찍부터 캐나다와 미국, 유럽국가 등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공동주택을 발달시켰다. 이는 각기 다른 평면의 단위평면과 주민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공간으로 여가생활을 돕고, 커뮤니티를 조성하여 이웃 간의 상호작용을 도와 주거의 가치를 높일 수 있었다. 캐나다는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에 있는 국가이며 영국연방에 속한다. 면적은 약 9,984,670㎢로 북아메리카 대륙의 40%를 차지하고 러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은 나라로서, 위도 지방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기후는 거의 냉대 기후에 속한다. 북극해 연안은 툰드라 기후이며, 그 남쪽에는 침엽수림이 넓은 지역을 덮고 있다. 따라서 큰 영토에 비해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곳은 한정되어 있다. 이에 캐나다 정부에서는 일찍이 난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고 주거시설이 지어질 때부터 추위에 대비하게 되었다. 또한 정부가 정책적으로 최소한의 인권을 보장할만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택분양과 관련한 제반규정, 도시계획법, 임대차보호법, 건축관계법, 주택모기지 보험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어 기본적인 주거환경이 유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의 임대전용 아파트에도 겨울철에 일정온도 이상의 난방을 유지하도록 법으로 의무화 시켜두고 있으며, 공원이나 녹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고 아파트나 콘도미니엄의 경우 건물 내에 운동시설 등 거주자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1870년대에 정착된 위니펙시(Winnipeg)는 1900년부터 1912년, 1950년부터 1960년까지의 두 시기에 걸쳐 뚜렷한 경제 성장 및 건축 혁신이 일어났다. 건축 혁신이 일어난 두 경우 모두 시카고에 대해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연관성과 흥미로운 디자인 유산으로 이끄는 새로운 건축적인 아이디어들이 있었다. 1900년대 초, 위니펙시는 선구자적인 정착지에서 캐나다 서부의 가장 큰 중심지로 바뀌어 고층 건물이 집중되었고, 북아메리카에 남아있는 최고의 웨어하우스 지구(Warehouse District) 중 하나가 되었다. 수많은 유명한 북아메리카 출신의 건축가들에 의해 설계된 건물들은 ‘혁신적이고 기능적이며 세련된(Innovative, Functional and Stylish)’ 건축 방식을 반영했다. 본 연구는 캐나다 매니토바 주, 위니펙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5468796 아키텍처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축계획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위니펙 내에 계획되고 실제 구현된 공동주택 세 개를 대상으로 건축특성과 공간구조를 분석한다. 이는 공용공간과 단위평면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본 연구의 범위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의 분석에는 공간구조 분석인 J-Graph를 사용하였고, 시각적인 구조는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인 Depth map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고 본 연구의 틀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세계 2차대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캐나다 및 위니펙시의 건축적인 역사와 주택 유형 및 주거문화, 소셜하우징 제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캐나다의 디자인 스튜디오 5468796 아키텍처의 설립 배경과 가치관, 건축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분석 대상 공동주택인 Centre Village, BGBX, youCUBE의 일반적인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도구로 사용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건축계획 특성분석에는 배치 특성, 단위평면 특성, 공용공간 특성 및 입면특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공간특성분석에는 공간구조 및 시각구조로 나누어 Depth Map 프로그램과 J-Graph를 사용하였다. 5장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파악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468796 아키텍처는 공동주택 내에 하나 이상의 중정을 설계하며, 단위세대는 이 중정을 거쳐야만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분석대상 공동주택 중 BGBX는 주도로에 접한 단위세대만 도로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주출입구와 중정에서 진입할 수 있는 부출입구가 있으며, 서쪽의 골목길에 접한 단위세대는 중정에서만 진입할 수 있다. 나머지 두 개의 공동주택 Centre Village와 youCUBE는 중정에서만 진입이 가능한 구조이다. 둘째, 5468796 아키텍처의 공동주택 단위평면은 다양한 유형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거주자에게 다양한 선택지가 되는 동시에 주거의 차별성을 강조한다. 분석대상인 세 개의 공동주택 모두 여러 가지 유형의 단위평면을 조합한 구조로서 층별 공용공간인 복도가 없이 단위세대가 단독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는 거주자가 전망과 채광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며, 공간이 여러 층에 나누어 배치되어 규모에 상관없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BGBX와 youCUBE는 도로에서 바로 접근이 가능한 곳에 상업적 용도의 플렉스 공간을 설계하여 거주자의 Live-work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공동주택 용도의 다양성과 대지의 밀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었다. 셋째, 단지 내의 공용공간은 모두 도시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도시적인 커뮤니티가 형성된다. 세 개의 공동주택 내부에 설계된 공용공간은 모두 거리를 향해 열린 구조로서 출입에 대한 별도의 제한이 없어 거주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프로젝트의 사회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도시를 연합하며, 단순히 사용 대상을 거주자로 국한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적으로 확장되어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넷째, 5468796 아키텍처의 공동주택은 단순한 외부 입면에 대비되는 장치를 사용한다. 다섯째, 5468796 아키텍처의 공동주택의 단위평면을 공간구조 및 시각구조적으로 분석한 결과, 공간구조상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은 거실이었으며 모두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위계가 뚜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세 개의 공동주택의 J-Graph 상 연결도와 통합도가 최대로 나온 것을 통해서도 증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거실에서 연결도와 통합도의 최솟값이 나오는 경우 또한 존재했는데, 이는 원룸형 단위평면으로 설계되어 거주자가 거실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간을 배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석대상 공동주택 모두 외부에서 거실로 진입하는 구조로, 깊이 1에서는 거실만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깊이 2에서부터 다양한 실들이 파생되기 때문에 결국 단위평면의 중심은 거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공동주택의 외부 공용공간을 시각구조적으로 분석한 결과 시각적 연결도의 최댓값은 공용공간의 중앙에서 나왔다. 중앙은 시각적으로 열린 구조로서, 그 면적이 가장 넓고 시야가 확장되며 실질적인 접근이 가장 용이한 곳이기 때문에 방사형으로 넓게 펴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시각적 통합도 역시 공용공간의 중앙으로, 이는 인접한 공간이 많고 다른 공간으로의 접근이 가장 쉬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시각적 연결도와 시각적 통합도의 최솟값은 모두 단위세대가 시야를 막는 부분으로, 최댓값이 나오는 공용공간의 중앙보다 협소한 면적을 가지며 시각적으로도 제한된다. 하지만 이는 VGA 분석의 범위를 대지 내로 한정했을 때의 결과이며 그 범위를 도시로 가정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접근이 쉬운 부분이거나 도시를 향해 열려 있는 구조로서, 결과적으로 시각적으로 열린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5468796 아키텍처의 공동주택은 공동체성의 상실이라는 문제에 대해 공동주택 내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여 그 안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해결하려 하였다. 단순히 거주자의 사용만을 목적으로 두지 않고 지역 주민의 사용을 고려하여 열린 구조의 공동주택을 설계하였으며, 도시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은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공동주택 내에서 상실되어가는 공동체 의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Housing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fore architecture provides essential functions for humans. In Korea, the housing shortage has gradually worsened du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level and the urbanization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mass production of housing is to develop a new city or construct a large-scale high- Policy. Although quantitative aspects were satisfied, the loss of social relations with the neighbors and uniformed unit planes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lifestyles has become a problem, and the loss of community consciousness has resulted in insufficient results in the quality of housing. Recognizing this problem, early on, Canadian, American, and European countries have developed housing that offer alternatives. This allowed them to use different housing unit planes and common spaces that can be used together by residents, helping them to enjoy their leisure time, and creating a community to help their neighbors interact with each other to enhance the value of their residence. Canada is a country in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and belongs to the British Commonwealth.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9,984,670㎢, it occupies 40% of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and is the second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after Russia. The Arctic coast is a tundra climate, with coniferous forests covering a large area to the south. Thus,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places where people can live in comparison to large territories. As a result, the Canadian government has been studying ways to maximize heating efficiency early and has been prepared for the cold when housing facilities are built. In addition, the basic residential environment is maintained as the government enforces various regulations related to housing distribution, urban planning law, lease protection law, building relations law, and housing mortgage insurance system in order to maintain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guarantees minimum human rights in a policy manner. For example, rental apartments for low-income families are required by law to maintain heating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n winter, and the ratio of parks and green areas is relatively high to maintain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while apartments and condominiums have various facilities for residents, including exercise facilities, inside buildings. Founded in the 1870s, Winnipeg witnessed distinct economic growth and architectural innovation during the two periods from 1900 to 1912, 1950 to 1960. In both cases, there were new architectural ideas that led to the most direct and powerful connection to Chicago and an interesting design heritage. In the early 1900s, Winnipeg City changed from a pioneering settlement to one of Canada's largest western centers, concentrating high-rise buildings and becoming one of the best warehouse districts left in North America. The buildings designed by many famous North American architects reflected an innovative, functional and sophisticated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tructure of 5468796 Architecture’s housing, which are based in Winnipeg, Manitoba, Canada. This was analyzed based on the public space and unit plan. J-Graph, the spatial structure analysi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housing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 visual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the Depth Map, a spatial syntax program. Accordingly,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presents the framework for this study. Chapter 2 discussed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Canada and Winnipeg from the post-World War II to the present, housing types and housing cultures, and social housing systems. Chapter 3 discussed the background and values of the Canadian design studio 5468796 Architectur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architecture, and general contents of the analyzed housing, Centre Village, BGBX, and youCUBE. In Chapter 4,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pace Syntax (Space Syntax) used as an analysis tool for this study.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ayout, unit plan, public space characteristics, and elevation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in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the Depth Map program and J-Graph were divided into spatial and visual structures. Chapter 5 draws conclus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5468796 Architecture designs one or more courtyard within a housing, and the unit generation uses a structure that can only enter the interior through this arbitration. Of the housing subject to analysis, BGBX has a main entrance that allows only the generation of units exposed to the main road to enter directly from the road, and a secondary entrance that can enter from the main road, and a unit generation that is exposed to the western alley can enter only in the courtyard. The other two apartments Centre Village and youCUBE are only accessible by courtyard. Second, the unit plan of a housing with a 5468796 Architecture consists of different types of combinations that make it a diverse choice for residents, while emphasizing the differentiation in housing. All three housing to be analyzed are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unit plans, and each unit generation is used independently without the corridor, which is a common floor space. This allows residents to gain more perspective and lighting, and the space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layers to protect privacy of any size. In particular, BGBX and youCUBE designed a flexible space for commercial use where access is directly accessible from the road, enabling residents to realize the live-work, which effectively increased the diversity of housing uses and density of the land. Third, all public spaces within the complex are city-connected and urban communities are formed. The public spaces designed inside the three housing are all open to the street, 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access, allowing the use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residents. It acts as a social center for the project, unites cities, and provides facilities for convenience because it does not simply limit the use to residents. Fourth, a 5468796 Architecture’s housing uses a device that contrasts with a simple exterior appearance. Fifth, a spatial and visual analysis of the unit plan of a housing with a 5468796 Architecture showed that the living room was the most central area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and that the structure of the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were clearly defined. This can also be verified by providing the maximum connection and integration on the J-Graph of the three housing. However, there was also a presence in the living room where the highest values of connection and integration were given because they were designed with a single room unit plane and did not place separate spaces for residents to use the living room widely. However, all housings to be analyzed are constructed as they enter the living room from the outside, showing that the center of the unit plan is the living room, since only living room at the depth of 1 is derived from depth 2. Sixth, a visual analysis of the external public spaces of a housing found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visual connection map was derived from the center of the public space. The center is a visually open structure with the widest area, the widest view, and the easiest access to it, so it is radially spread out. Visual integration is also the center of the public space, as it is the most adjacent and easiest to access to other spaces. Both visual linkage and visual integration are areas where the unit generation blocks the field of view,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center of the public space where the maximum value is generated, and are visually limited. However, this was the result of limiting the scope of the VGA analysis to within the ground, and given that the scope of the analysis was either an accessible part from the outside or an open structure towards the city, which could result in a visually open structure. The above-mentioned 5468796 architecture housing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loss of community by creating community space and doing various activities in it. It was designed not only for the use of the residents but also for the use of the local residents and designed to open the residential unit and to be able to serve as an extension of the city. This type of housing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community consciousness that is lost in the apartment due to the privacy protection of the individ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