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형생활주택 공급균형에 관한 연구 : 원룸형 타입을 중심으로

        임채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Recently the influence under the change of family type, views of marriage and change of values centering around individual life reduced the size of family member. Accordingly small sized family with average 1 to 2 members is rapidly increasing, but supply of small housing needed to them is lacking. To complement this kind of problem, to fulfill the issue of increasing 1 to 2 member household through mass supply of lacking housing and to complement this kind of housing problem that can be shown in the future in spite of increase of small sized household, the government systematized urbanized small housing May 2009. Urbanized small housing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encouraging small housing supply. The government tries to activate the supply by alleviated construction standard and simplified supply procedure in order to make the urbanized small housing affordable while its agreeableness and stability guaranteed. Government's supply-oriented policy made relatively insufficient efforts to protect consumers' residential environment or to improve the quality. The system and regulations relaxation policy prepared for expanded supply of urbanized small housing resulted in producing lots of social problems rather than attaining the origina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plans to solve the problems. Followings are the plans. First, as a plan to ease the housing expenses charged to low income residents is presented. A system is also suggested to recommend the cooperative investment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Second, in case that more than 2 buildings get together in construction or remodeling providing infrastructure and public space for the sake of securing urban space, it is necessary to grant the owner incentive inducing activation. Third, the limit of maximum area of 50㎡ together with the least standard residential area needs to be eased. Fourth, public space like rest room or community space is needed within the urbanized small housing to increase contact among residents and to inspire the spirit of community. Finally, a plan is necessary to solve the parking problem in urbanized small housing, If the problem concerning urbanized small housing is not solved in short time, the gradually increased number of building will make the problem worse and government-initiated plan of settlement will not be easy ei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urry to prepare a countermeasure. 제목 : 도시형생활주택 공급균형에 관한 연구 - 원룸형 타입을 중심으로 - 최근의 현실은 가족형태의 변화에 따른 영향과 결혼관, 개인적 생활 중심 가치관 등의 변화로 가족구성원 규모의 감소로 평균 가족 수가 1~2인 정도의 소규모 형태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들에게 필요한 소형주택 공급은 부족한 상태이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고 부족한 주택의 대량 공급을 통해 1~2인 가구의 증가를 충족시키며 향후 미래에 소규모 가구 증가에도 나타날 수 있는 주택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는 2009년 5월 도시형생활주택을 제도화 하였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정부의 소형주택 공급 장려책으로 인해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정부는 도시형생활주택을 쾌적성, 안정성이 보장되면서도 부담이 가능하도록 건설기준 완화 및 공급절차 단순화로 공급의 활성화 도모를 하고자 하고 있다. 정부의 공급위주 정책은 상대적으로 수요자의 주거환경 보호 및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며, 도시형생활주택의 확대공급을 위하여 마련된 제도완화와 규제완화책은 도시형생활주택의 당초 목표 달성이 아닌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을 양산한 결과를 초래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거주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더불어 공공과 민간이 협력 투자를 권장하는 제도를 제안한다. 둘째, 도시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2개동 이상의 건축물의 동시 신축 또는 리모델링을 통하여 공공기반시설 및 공동의 공간을 제공할 시 소유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최저 주거기준 면적과 더불어 50㎡로 규정되어 있는 상한면적의 제한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시형생활주택 내 휴게공간 및 커뮤니티공간 등의 공용공간에서 거주자들의 접촉을 증가시키게 되어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도시형생활주택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도시형생활주택의 문제점을 빠르게 해결하지 않는다면, 점차 완공되는 건축물의 숫자가 늘어날 수록 문제의 범위가 커지게 될 것이며, 정부 주도의 해결방안 마련 또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기에 빠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다원적 관점의 역사교육이 초등학생의 통일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임채환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gree of change in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division situation and how they formed consciousness related to unification after participating in multiperspectivity in history teaching on division and the Korean War. In a preliminary survey to understand the level of learners' perception of the Korean division. the "the process of Korean division" and "Korean War" were selected as the topics of history education, and a total of seven hours were applied.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included the conversion of historical agent and historians' multiple perspectives on the Korean War into visual images and videos among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the National Insititute Of Korean History, the Korean Oral History Associtation, and previous curriculum textbooks.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learners on the level of unification-related consciousness,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by classifying North Korean awareness, division and peace awareness,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nations, and unification education into four areas.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interested in unification in the field of unification awareness increased,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only explained their thought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a unification plan that considers individual benefits to a community-oriented unification plan that considers common goo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negative views on North Korea in the fields of North Korean perception, division, and peace perception have changed to a more positive perspective, and the response that “There is something I can do for peace of Korean Peninsula.” has also increased. In the field of relations with surrounding nations, it was judged to be relatively important in that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nation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Russia was somewhat underestimated. In the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increased, and there was a tendency to know more about North Korea's current state.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ut together, learners were able to form their own perspective by looking at the diverse perspective of historical agent and historians such as veterans of Korean war, human rights activists, and refugees on the Korean War. However, considering that it was a limited curriculum for the seven times of elementary school class,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North Korean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and as a result, the level of awareness of unification remained at the level of considering North Korean society and unification from their daily standpoint. However,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learners to raise interest in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as well as grasp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nations on unification. Therefore, when dealing with controversial learning contents, not just historic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m into a curriculum that compares and analyzes learner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possibility of gradual promotion from a Multiperspectivity. In addition, as a practical topic that learners can actively discuss, as well as teach unification education as a national and narrative of should tihinking, we confirmed the need to prepare a curriculum linked to secondary education so that learners can devise unification plans to contribute to peace and worl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분단과 6.25 전쟁에 대한 다원적 관점의 역사교육에 참여한 뒤, 그동안 분단 상황을 어떻게 인식했고 통일과 관련된 의식은 어떻게 형성해나가는지 그 변화 정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분단 상황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주제 탐구 예비조사에서 흥미와 인지도가 높은 ‘분단과정’과 ‘6.25 전쟁’을 역사교육 주제로 선정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사회, 도덕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통일 관련 주제 단원을 재구성한 총 7차시 분량을 적용하였다. 재구성에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내용 선정의 객관성을 충족하고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구술사학회, 이전 교육과정 교과서 등의 사료 중 분단과정과 6.25 전쟁에 관한 역사행위자, 역사가들의 다원적 관점을 시각이미지, 영상 등으로 변환한 내용을 포함했다. 학습자들의 통일 관련 인식 수준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2020년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원의 학교통일실태조사 문항지와 2019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인식조사지를 토대로 북한인식, 분단 및 평화인식, 통일인식, 주변국과의 관계, 통일교육을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통일인식 분야에서 통일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었으나 북한에 대한 이해 수준이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수준에 그쳤다. 또한 공공선(common good)을 생각하는 공동체지향적 통일 방안보다 개인의 편익을 생각하는 통일방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북한인식, 분단 및 평화인식 분야에서 학습자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보다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단 상황을 해소되어야 할 상태로 인식하여 남북 평화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응답 또한 증가하였다. 주변국과의 관계 분야에서도 남북 이외의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과의 주변국 관계가 통일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소 낮게 평가하던 모습에서 비교적 중요하다는 쪽으로 판단하게 되었다. 통일교육 분야에서도 교육만족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북한의 현재 모습에 대해 더 알고 싶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학습자들은 분단과정과 6.25 전쟁에 대한 참전용사, 인권운동가, 새터민 등 다양한 역사행위자와 역사가들의 견해를 보고 하나의 사건에 다원적인 관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여 자신만의 관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다만 초등학교 7차시의 제한된 교육과정임을 고려했을 때 학습자들에게 북한 사회의 정치, 사회, 문화 등의 현재 모습을 논의하기까지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 결과 통일에 대한 의식 수준이 자신의 일상적 입장에서 북한 사회와 통일방안을 고려하는 수준에 머물게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 내용은 학습자의 북한과 통일에 대한 흥미제고는 물론 통일에 대한 주변국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비단 역사적 내용이 포함된 교과만이 아니라 논쟁적인 학습내용을 다룰 때에는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과 다원적 관점의 점진적인 증진 가능성을 믿고 다양한 사료를 제공하여 이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통일교육을 민족적, 당위적인 서사로서만 지도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적극 논의해볼 수 있는 실천성 있는 주제로서 학습자가 한반도의 평화 및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통일방안을 구상해보도록 중등교육까지도 연계된 교육과정을 마련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벼메뚜기 추출물의 장 손상 모델에서의 항염증 효능 및 활성물질 탐색

        임채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에 효과적인 천연물 치료제를 찾기 위해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70% 에탄올 추출물(OCE)을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및 인간 대장암세포 유래 Caco-2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세포주에 처리 후 염증 관련 효능을 분석하였다. 초파리 IBD 모델을 만들기 위해 dextran sulfate sodium (DSS) 농도는 기 보고된 논문을 참고하여 반수치사량인 5%로, 투여 후 처리 시간은 초파리의 장 길이가 높은 신뢰도로 유의미하게 줄어드는 20시간으로 선정하였다. OCE의 농도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2 ㎎/㎖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파리에 DSS와 함께 OCE 경구 투여 후 5일간 초파리 생존율 확인 결과 DSS 단독 투여에 비해 OCE 동시 투여시 증가되었고, DSS 및 OCE 동시 투여 후 20시간 경과 시 장 길이는 DSS 단독 투여에 비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OCE의 장 투과도(perme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SMURF assay를 실시한 결과, DSS 및 OCE 동시 투여시 DSS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미한 투과도 감소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OCE의 장 손상시 장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TUNEL assay를 한 결과, OCE 및 DSS 동시 투여시 단독 DSS 투여 그룹에 비해 유의미한 세포사멸의 감소가 관찰되어 OCE의 DSS에 의한 장 손상 억제 효능은 세포사멸과 관련되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초기 신호전달 과정과 관련된 proinflammatory cytokine 유전자인 eiger와 upd3의 전사체 발현량을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을 통해 측정한 결과, DSS와 OCE 동시 투여시 단독 DSS 투여 그룹에 비해 유의미한 eiger 및 upd3 전사체 발현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의 목표는 인간 IBD에 대한 벼메뚜기의 효능을 분석하는 것이므로 인간 대장암세포 유래 Caco-2 세포주를 대상으로 OCE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이 때 DSS 농도는 초파리 실험 및 선행 논문을 참고하여 5%로, 처리 시간은 유의미한 세포 생존율의 감소가 일어나는 20시간으로 선정하였고, OCE는 독성이 없는 100 ㎍/㎖의 농도로 세포 실험을 진행하였다. OCE 및 DSS 동시 처리시 DSS 단독 처리에 비해 세포 생존율 감소가 억제되었고, Lucifer yellow assay를 이용한 투과도 측정 결과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OCE 및 DSS 동시 처리시 DSS 단독 처리구보다 뚜렷한 투과도 감소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염증 유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umor necrosis factor-α와 interleukin-6의 전사체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DSS 단독 처리 그룹에 비해 OCE 동시 처리시 감소되었으며,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및 세포사멸 또한 OCE 동시 처리시 유의미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OCE는 장 손상을 유발한 초파리(in vivo) 및 Caco-2 세포주(in vitro) 모두에서 염증 유발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후 OCE 중 염증 억제 효능이 있는 활성물질 추적을 진행하였다. 우선 OCE를 극성에 따라 용매별(hexane, ethyl actate, chloroform, butanol, distilled water)로 분획한 후 용매분획물별 효능을 검정하기 위해 초파리 및 Caco-2 세포의 생존율, Caco-2 세포주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 유전자 전사체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중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감소 억제 및 IL-6 발현 억제 효능이 가장 우수한 butanol 분획물을 선발한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 (이동상 = EtOAc : MeOH : DW = 600 : 99 : 81)를 통해 7개의 분획(B-1 ∼B-7)으로 나누어 활성검정을 반복하였다. 그 중 효능이 가장 우수한 분획물 B-5 선발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 (이동상 = EtOAc : MeOH : DW = 600 : 120 : 81)를 통해 3개의 분획(B-5-1 ∼ B-5-3)으로 나눈 후 활성검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B-5-3 분획물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므로 이를 대상으로 prep-HPLC를 실시하여 회수한 5개의 분획(B-5-3-1 ∼ B-5-3-5)을 대상으로 세포 생존율 감소 억제 및 TNF-α 발현 억제 효능이 우수한 2개의 분획물(B-5-3-1, B-5-3-2)을 얻었다. 추후 B-5-3-1, B-5-3-2 분획을 대상으로 추가 활성검정을 통해 벼메뚜기 유래 장 손상시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단일물질 분리 및 동정을 할 예정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OCE는 IBD에 의한 장 손상시 항염증 억제를 통한 장 세포 사멸 억제, 장 길이 감소 억제, 생존율 감소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까지 상기 활성이 이행된 분획물(B-5-3-1, B-5-3-2)을 얻었다. 추후 이들로부터 단일 활성물질 분리 및 동정 후 보다 명확한 효능 및 기전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IBD에 대한 벼메뚜기 유래 장 질환 개선 관련 기능성 식품 혹은 천연물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Oxya chinensis sinuosa extract (OCE) was analyzed in the DSS-induced fly IBD model and the Caco-2 cell damage model to discover natural product treatments effective for IBD. To establish the IBD model in flies and Caco-2 cells the DSS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were determined to be 5% and 20 h, respectively. OCE inhibited the decrease of survival rate of gut-damaged flies and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of damaged Caco-2 cells. It also showed the inhibitory efficacy of apoptosis through the inhibition of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s (eiger, upd3, TNF-α, IL-6) in both models. Thereafter, I carried out activity-guided purification to separate the single component with an anti-inflammatory effect in the damaged gut cells. From OCE, fractions by solvent (Hex, EtOAc, CHCl3, BuOH, DW), silica gel chromatography (B-1 to B-7, B-5-1 to B-5-3), prep-HPLC (B-5-3-1 to B-5-3-5) were sequentially carried out, and fractions with efficacy at each stage were select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survival rate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s. As a result, until now, separation has been carried out from OCE to fraction B-5-3-1 and B-5-3-2 containing an active substance having an anti-inflammatory effect upon intestinal damage. In the future, a single active substance will be isolated from B-5-3-1, B-5-3-2, and its structural analysis and mechanism will be studied.

      • 강우시 하수처리장 일차침전지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효율응집처리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임채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설계용량이상의 월류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단일반응조내에서 응집, 혼화, 침전이 이루어지며 매우 짧은 체류시간만으로도 오염물질이 처리될 수 있는 고효율응집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Jar-test와 실험실 규모의 장치의 운전을 통하여 고효율응집시스템의 설계 및 운전인자를 도출하였고, 실험실 실험결과와 반응조 구조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모사를 통하여 최적의 반응조 내부구조를 도출하였다. 최적의 조건으로 도출된 구조를 반영하여 하루 100톤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의 Pilot-plant를 제작하였으며 실제 하수처리장에 설치하고 운전하여 새롭게 개발된 시스템의 적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장규모장치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톤/일 규모의 파일럿을 제작하여 실제 하수처리장에서 하수와 1차 침전지를 거친 월류수를 대상으로 운전조건을 실험한 결과, Alum 100mg/L, 폴리머 1.0mg/L에서 가장 크고 침전성이 좋은 플럭이 생성되었다. Micro Sand 주입유무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효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것은 하수처리장 월류수에는 침전속도가 빠른 조대 입자상물질의 농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20분이면 플럭의 침전이 충분히 이루어졌다. 원수의 수질이 1000NTU까지 상승하는 월류수를 대상으로 Alum 100mg/L, 폴리머를 1.0mg/L만 주입하고 체류시간 20분으로 연속운전한 결과 처리효율은 Turbidity 93.1%, TCODcr 80.6%, BOD 81.8%, SS 92.5%, TN 72.3% 및 T-P 87.3% 로 나타나 Micro Sand의 주입이 없이도 우수한 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효율응집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는 분류식 관거로 개선하는 설치비를 상당히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부지면적을 절감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본 시설은 총인 제거효과도 우수하므로 한 개의 시설로 강우시 하수처리장 월류수 처리와 청천시 방류수 중 총인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경제적인 공정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효율응집시스템은 원수수질에 따라 응집제, 폴리머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짧은 체류시간만으로도 신속하게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적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ly efficient coagulation system(HECS) that runs treatment with a short retention time to cover the overflow in the rain, which coagulation, mixing and settling are contacted in a single reactor and to estimate the applicability. For this study, planning of HECS and running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Jar-Test and lab scale equipment running, optimum reactor structure was reached through the CFD simulation in term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ab test result and structure of reactor. Pilot plant for disposing of 100ton/day, which reflect the structure of optimum condition was installed in actual sewage treatment facility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HECS The conclusion could be shown as follows. Setting up 100ton/day-size pilot scale plant, the results of running condition of sewage and runoff at the actual sewage treatment facility showed that alum 100mg/L, polymer 1.0mg/L makes the biggest and the fastest settler-floc.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ith Micro Sand injection shows that there was no big fluctuation with injection of Micro Sand. This was estimated that runoff has high density of coarse particle which has high speed of precipitation. Hydraulic retention time of 20minutes was enough to make precipitation of floc. The result of continuous operation in case of runoff, maintaining 20 minute-retention time at optimum chemical injection condition(Alum 100mg/L, Polymer 1.0mg/L) shows high disposing efficiency(Turbidity 93.1%, TCODcr 80.6%, BOD 81.8%, SS 92.5%, TN 72.3% and T-P 87.3%). This tells that if the raw water will be runoff, there would be excellent efficiency of disposal without any injection of Micro Sand. It is estimated that the large amount of cost for separate sewage system and the and the size of area for system instruction can be reduced if the HECS is applied for CSOs treatment because the HECS is so compact. Finally, the HECS can be also applied for T-P in effluent water from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because it's treatment removal efficiency of T-P is also high. When we see the results, HECS from this study could be able to treat the pollutant quickly within a short retention time with coagulant and polymer, which could show high applicability.

      •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개선에 대한 연구

        임채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import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s the leader in creating jobs and technical innovation is being reappraised, and the needs of it's nurture is brought into relief internationally. Boosted by continuous revitalization policy after the economic crisi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is taking much space in national economy such as employment, exportation, production and added value creation, too. Hence the government has been enforcing many taxation support system as to elevate competitive power and intensify industrial structur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not only is be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ut also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with efficient distribution of resources, balanced distribution of income and stabilization of employment. Korea has as many systems to support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as other countries.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various tax supporting system to encourage the economy adapting to the changes of domestic and foreign economic environment through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cultivating growth potential and improving industry structure. But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of Korea are not well aware of tax information, have difficulty in entering accounts and are hard to acquire professionals of tax area. So they are hard to make use of tax supporting system efficiently. The relative importance and role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e national economy is increasing. These are to prove the just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rearing. It is necessary that the efficient and practical support is made for developing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support means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the rationality of system, the apt support of finance and the support of tax system.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analysis the problem has the present tax support system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is problem limited the part of tax support system. Making full use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ax incentive every year turned out to be beneficial for the financial position improvement. The primary reasons for the low application of tax incentives are that some applicants are not qualified for the program and that others are not aware of the details of the system and its application processes. This research, on the ground of this analysis, has made several suggestions: the extension of application range, the simplification of tax support system and its application through relaxing restrictions of tax reduction, and the automatic program to calculate the tax saving relating to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centive systems. This study is valuable to the effect that we have evaluated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centive systems of the past and have ma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future, verifying that the effect of tax incentive programs has increased since the economic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