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임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Difficulties and Restoration in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im Yu-mi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Cha Gi-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they've got for themselves throug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overcoming, as well as to identify the suppor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neede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In order to carry out these study purpose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depth inter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study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ategory of experience in parent-teacher rel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is the theoretical paradigm for the parent-teacher experience for child car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key category of experience in teacher-parent relation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fiv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13 times,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from October 18, 2019 to April 24, 2020. The interview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using a portable recorder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recorded data was transferred to the PC through repeated listening after recording once.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repeatedly until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terview had reached a theoretical saturation poin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Corbin (1998; 2001) was applied in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the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a total of 116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of the analyzed categories, caus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he "parent-teacher perceptions difference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teacher expectations differenc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nega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osi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central phenomenon,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caused by excessive demands from parents', 'changes and difficulties of upbringer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parents' uncooperative nurture attitude'. The condition for arbitration was 'distrust of parents due to CCTV and the media' and 'distrust against teachers' expertise', whil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ulted in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utilization of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 suppor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child teacher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growth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requests for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econd, the process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that ‘stag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tage for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experiences of negative and positive outcomes in relationships’, and ‘stage of changes in perception through relationship experience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made efforts personally and using support from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nd as a resul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with parents,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s’ expertise was formed through the process with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Third, the key category of overcom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was identified as 'parent-teacher coop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outline, with this core category at the center, we could see what factors affect the overcoming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what mediation strategies were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Each category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e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of matrix on a context level of 'parent efforts', 'support from childcare institutions', and 'cooperative support of regional systems'. Each level presented its experience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was not only possible with the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orts of parents but also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aken togeth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arent-teacher relations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the cooperation through teachers’ efforts and growth and parents’ efforts must be made, and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re also important. If these conditions can be achieved with positive support and cooperation in the formation of parent-teacher relations, they will not only achieve positive result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ut also implement strong cooperative systems from the home, institutions, and region. 국문초록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임유미 지도교수 차기주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의 과정 및 그 결과를 통해 스스로 얻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고, 더불어 부모-보육교사 관계상의 어려움을 잘 해결할 수 있기 위해 보육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보육교사들을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에 대한 경험의 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관계 경험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 경험에서 나타나는 핵심범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직에 있는 5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8일부터 2020년 4월24일까지 예비설문 포함 총 13회에 걸쳐 교사개인과 연구자의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절차는 반구조화 면담의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동의하에 모든 면담을 휴대용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고, 녹취한 자료는 1회 녹음 후 반복 청취를 통해 PC에 전사하였다. 면담 내용이 이론적 포화점에 도달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추가적 면담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부모-보육교사 관계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Strauss& Corbin(1998; 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분석한 결과, 총 116개의 개념, 27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분석된 범주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르면 인과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경험한 부모-교사의 인식차이’와 ‘부모-보육교사의 기대차이’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부정적 관계 요인‘,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긍정적 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로 인한 어려움’, ‘사회변화에 따른 양육자의 변화와 어려움’, 부모의 비양육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중재조건으로 ‘CCTV와 매스컴으로 인한 부모의 불신’,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부모-교사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 체제 지원 활용‘으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정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성장‘,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체제의 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과정분석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단계’, ‘보육교사의 노력 단계’, ‘관계의 부정적, 긍정적 결과 경험단계’, ‘관계 경험을 통한 인식변화 단계’로 나타났다. 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보육교사는 개인적 노력과 기관 및 지역의 협력체제 지원 활용을 통한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 부모와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경험하게 되었고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과정을 통해 교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 극복에 관한 핵심범주는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으로 파악되었다. 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해 보육교사와 부모관계 어려움 극복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중재전략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각 범주들은 상황 매트릭스 분석에 따른 보육교사와 부모관계의 어려움 경험이 ‘부모의 노력’, ‘보육기관의 지원’, ‘지역체제 협력지원’의 맥락 차원으로 나타났다. 각 차원은 ‘부모-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이 제시되었으며,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은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의 노력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육기관과 지역협력 체제지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과 성장 및 부모의 노력을 통한 협력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보육기관과 지역 협력체제의 지원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들이 부모-보육교사 관계 형성에 있어 긍정적 지원과 협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부모-교사 관계의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과 기관, 지역의 강력한 협력 체제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 네일 서비스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임유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여성의 사회 진출은 심리적 자신감과 독립된 경제력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고, 다양한 미용 산업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연구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급성장중인 미용 산업의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구매 행동과 선호도를 파악하여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미적 욕구와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종사자에게는 서비스 개발에 따른 소득 향상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네일 샵 방문 고객과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지는 할당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추출한 표본은 서울, 경기 지역 소비자 499명,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6.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t-test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네일 서비스 소비자의 98%에 이르는 대다수의 여성이 네일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20대 후반∼30대 초반의 서비스직이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월 평균 200∼300만 원 정도의 수입을 올리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는 20대 전․후반의 월 평균 300만 원 미만의 여성(97%)으로 네일 전문 샵에 종사하는 경력 3년 미만의 직원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타 직종 유경험이 많아 네일 서비스 비전공자이거나 이직률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2.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구매 행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경우 네일 서비스를 외적 아름다움과 기분 전환을 위해 이용하며, 인조 네일 서비스는 손․발톱이 잘 부러져서, 예뻐 보이기 위해 이용한다로 나타났다. 네일 샵 선택 기준으로는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칼라 선택 기준은 그때의 기분에 따라, 시술자의 추천 순이다. 주 이용 네일 샵은 네일 전문 샵 이었고, 주 정보원은 과거의 방문 경험이었으며, 주 영향자는 단짝친구였다. 관리에 있어 손은 계절에 상관없이 이용하며, 발은 노출이 빈번한 여름이 가장 많았다. 관리 횟수로는 손은 1개월의 2번, 3번이었으며, 발은 1개월에 2번, 1번 순으로 나타났다. 주 관리 부분은 손· 발 모두 관리를 받으며, 발 관리보다는 손 관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만 원 이상∼2만 원 미만의 손 관리 비용과,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의 발 관리 비용을 지출하였고, 적정 비용으로 손 관리는 1만 원 이상∼2만 원 미만, 발 관리는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 아트는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 인조 네일은 10만 원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종사자의 네일 서비스 이용 동기로는 외적 아름다움을 위해, 손님들에게 샘플로 보여 주기위해였고, 인조 네일 서비스는 리무버(remover)에 잘 지워지지 않아서로 나타났다. 종사자 대부분 본인이 종사하는 샵에서 관리를 받고 있고, 타 네일 샵 이용시는 정보 탐색용 기술의 필요에 의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라 선택 기준은 그때의 기분에 따라, 계절과의 어울림이었고, 주 정보원이나 주 영향자는 직장 동료나 과거 방문 경험으로 나타났다. 홍보를 위해서 계절에 관계없이 관리를 했으며, 관리 횟수는 손·발 모두 1개월에 2번, 1번순으로 나타났다. 손· 발을 정기적으로 관리하였고, 관리 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리비용은 본인이 종사하는 샵이기 때문에 지불하지 않거나 할인받았고, 적정 비용으로 손·발 기본 관리, 아트 모두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이었으며, 인조 네일은 10만 원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네일 서비스 소비자가 종사자보다 상대적으로 네일 서비스 구매 후 기술, 직원의 응대 태도, 시설과 환경, 사용하는 제품의 품질, 위행 상태, 서비스 이용 시간의 편리성, 예약 서비스의 편리성 등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 소비자의 손 관리 경우 기본 케어와 칼라, 랩핑(wrapping) 순이었고, 발 관리는 기본 케어와 칼라, 각질관리로 나타났다. 인조 네일 서비스는 프렌치 팁(french tip)이었으며, 아트 서비스로는 스펀지 기법의 그라데이션(gradation), 꽃무늬 등의 핸드 페인팅(hand painting)순 이였다. 선호 칼라는 핑크였고,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종사자는 손의 경우 기본 케어(care)와 칼라, 아크릴과 핸드 페인팅 순이었고, 발은 기본 케어와 칼라, 핸드 페인팅으로 나타났다. 인조 네일 서비스로는 화려한 스타일의 디자인 스컵춰(design sculpture)를, 아트 서비스는 그림 형태의 핸드 페인팅, 인조 보석, 그라데이션 순으로 나타났다. 칼라는 파스텔 계열을, 브랜드는 친환경 제품인 누바(Nubar)를 가장 선호하였다. 4. 상기 연구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 간의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대해 세분화하여 분석했을 때 각 집단에서 서로 다른 성격의 특성이 발견되었음은 네일 서비스 현장에서 이들의 차이를 서로 보충, 보완하는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소비자는 외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네일 ABSTRACT A Study on Nail Service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Lim, Yu Mi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Women's rising social status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ir psychological confidence and economic independence, providing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beauty services and the studies on th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that might occur between the nail service providers and the consumers so that the latter can get better served, the former getting financially better off. The survey questionnaire that targeted the nail salon customers and service staffs was based on quota sampl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involved 499 customers from Seoul and Gyeonggi area and 100 service staffs working there. The results of frequencies analysis and t-tests performed via the SPSS 16.0 Version are as follows. 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ail service consumers and providers show that most women accounting for up to 98% consumers had interest in nail care, most being service employees or professionals in their late 20s or in their early 30s earning 2 to 3 million won salary per month. Up to 97% nail art staffs, who were mostly in their 20s, worked for less than three years at a nail art shop, being paid less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Many were not quite nail art technicians and not a few, with an experience or two in other jobs, showed a high turnover. 2. The purchase behaviors of nail service consumers and staffs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most of the consumers used the service for beauty and for being in a better mood; especially, they preferred to get quality service as nails will easily lift or crack and because they want to look pretty. Skilled technicians were most valued when they opted to get nail art service; colors and shades were chosen as occasions arose; finally, recommendation from other customers affected the choice of the nail art shop. The most frequently used art shop was a nail art technician's shop while the major source of information was the visit made in the past, with the major informant being one's best friend. Concerning the seasonal variable, hand care was taken all year around while foot care was taken in summer more often when legs are more frequently exposed. The average number of hand care was 2 to 3 times per month while that of foot care was 1 or 2 times per month. Regular cares included hand more frequently than foot. The customers paid in average 10,000 won to 20,000 won for hand care while they paid 20,000 won to 40,000 won for foot care. They believed the prices were reasonable for hand care and foot care although they believed 20,000 to 40,000 won would be appropriate for art design and 100,000 won for artificial nails service. The main reason for staffs' using nail service was to illustrate beautiful output themselves; they used artificial nail service because it is hardly erasable when removers are applied. Mostly staffs were cared at their own shop although they went to visit other salons for informational foray. Colors or shades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mood variation or for the seasonal congruence. The major informants or affects were colleagues or past visits. For promotion purposes, they received care all year around with the frequency of twice-per-month hand care and once for foot care. Both hand and foot were cared on a regular basis and the degrees of ca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are was done either costless or at a discount; however, they thought 20,000 won to 40,000 won would be reasonable for basic care and art with 100,000 won for artificial nail service.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staff satisfaction compared, the nail service consumers were found to get relatively more satisfaction in terms of precision, staffs' friendliness, facilities and environment, quality of products, hygiene, accessibility, etc. 3. The preference of nail service consumers and staffs showed the preference order from basic care to color to wrapping for hand care while the order went from basic care to color to callus remover pedicure for foot care. French tip was preferred for artificial nail service, and for art service sponge method gradation was preferred over hand painting such as flower patterns.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pink and there was no preference for some specific brand. Staffs' preference order went from basic care to color to acrylic sculpture to hand painting for hand care, and from basic care to color to hand painting for foot care. For artificial nail service, design sculpture with an exuberant style was preferred; for art service, pictorial form of hand painting, rhinestone, and gradation constituted the preference order. Pastel tones were most used for shade and eco-friendly Nubar products were the most preferred brand. 4.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group, namely, the nail service consumers and the nail shop staffs has develop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ir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Therefore, a marketing strategy with which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se two groups is in order. In general, the customers purchase the service to get the best looking nails, but at the same time they prefer manicure and color service over the nail art, which might cause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fe. Nail service and artificial nail service differ in price and frequency. Inexpensive yet frequent nail services will cost as much as expensive yet durable artificial nail services, so it would be better to promote a modest artificial nail service to the customers, raising the awareness of this difference. Since the consumers come for the service when they are financially well off and they buy the service for beauty and for being in a better mood, setting a realistic price is a necessity so that the service will get more popular. It is also d

      •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연구

        임유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Comprehensiv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bsite IM, Yu Mi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Ro, Jin Young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whether the website of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as user friendly or no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making suggestions to improve usability of the site. In order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site, Jakob Nielsen's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as used. Based on Jakob Nielsen's ten evaluation criteria, nine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evaluating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set. The nine evaluation criteria include visibility, reality, control and freedom, consistency and standardization, error prevention, intuitive cognition, flexibility and efficiency, aesthetic integrity and conciseness, and offering help. Furthermore, based on the nine evaluation criteria, 49 evaluation items were set. Five teacher librarians with more than three-year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as evaluator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usability of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consistency and standardization, and flexibility and efficiency recorded the highest score of 3.8. Aesthetic integrity and conciseness received 2.96, and visibility recorded an average of 2.8. Furthermore, control and freedom received an average of 2.5, error prevention 2.2, and offering help 2.0.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blems of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bsite were examined. Slow response speed, the color of the item of menu and unclear distinction between font sizes were found to be the problems of the system. Furthermore, the use of terminologies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users' educational levels made it difficult for site visitors to understand things written on the site. Moreover, the absence of some icons, such as back and home link, inconsistent usage, error message, lack of help and the use of difficult terminologies made the site less user-friendly to us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to improve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bsite were made. First, as people of various educational levels use the site, a website separated according to users' educational levels should be established. Especially, w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cognition ability have not fully developed use the system,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sizes and colors of icons and font types occur. Next, the response speed of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As users want fast processing and are not willing to use a website with slow response speed, the response speed of the site should be improved to reach 0.1 second. Moreover,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of mistakes and errors. Furthermor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users' potential mistakes as much as possible. Lastly, when a problem occurs, optimized help and an error message should be provided to help users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problem for themselves.

      •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유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강점관점에 기초하여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에 가족탄력성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보고자 한 것이다. 기존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선행연구는 결점관점에 근거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왔고, 이러한 결점 관점은 부적응의 감소측면에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게 개입하고자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부모가족을 새로운 가족의 형태로 받아들이면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을 강점관점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그 흐름 중 하나가 가족탄력성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개념을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게 적용하여, 가족탄력성이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가족탄력성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하여 가족탄력성이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에 미치는 영향을 주효과와 완충효과의 조절효과, 매개효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혼스트레스보다 가족탄력성이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을 더 잘 설명하는 변인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강점관점의 시각으로 전환시키고, 강점 성장의 개입을 시도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at the family adaptation by applying strength perspective. In other words, which factor explained better on adaptation of a family supporting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between divorce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was studied. Also, the importance of family resilience for improving those families' resilience were tried to prove through verification of hypothesis on mediating effect and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facto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family adaptation is well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divorce stress. Divorce stress and adaptation are in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divorce stress is 29%.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have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resilience is 69%. It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is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Second, family resilience functioned to moderate family adaptation between divorce stres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family adaptation was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divorce* organizational patterns. Therefore, it concluded that family resilience is not only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but also in relation to divorce stress have interaction effect. Third, of find that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act as a mediator variable on negative influence on family's adaptation by divorce stress supporting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a multiple regression was executed on three conditions of a mediator variable, which are influence of divorce stress on family adaptation, influence of divorce stress on family resilience's subordinate factors, and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s subordinate factors on family adaptation. As a resul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patterns was proved, a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patterns acted as a full medium form thorough verification of its medium function.

      •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 Application of Ar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Pattern

        임유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의 비율이 늘어나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낯선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적응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부적응 아동은 학급 운영에 있어 교사에게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부적응 아동 스스로 좌절감을 느끼고 나아가 또 다른 문제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이 거부감 없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그 효과 또한 많은 선행 연구에서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각광받는 방법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미술치료는 부적응 아동의 특정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자아 존중감, 학습동기 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 각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목적성을 세분화하여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내담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련의 프로그램을 똑같이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아동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부적응 행동 유형을 ‘내재화 문제 행동 유형’과 ‘외현화 문제 행동 유형’으로 나누고 선행 연구에서 활용된 여러 가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목적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부적응 행동 유형에 효과적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교부적응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행동 유형을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교사용(TRF)에 따라 ‘내재화 문제 행동 유형’과 ‘외현화 문제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한다. 둘째, 미술치료 선행연구와 관련 서적에 나오는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목적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한다. 셋째,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행동 유형을 ‘내재화 문제 행동 유형’과 ‘외현화 문제 행동 유형’으로 나누었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목적에 따라 10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아동의 특성과 치료 목표에 알맞은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각각의 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아동에게 적용한 결과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RF) 검사에서 평균 78.3이었던 사전 점수가 사후 검사에서는 54.3으로 크게 감소하여 –30%의 평균 감소율을 보였다. 이는 개인의 특성에 맞게 개별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각 아동에게 가장 효과적인 활동 형태나 재료를 제공하여 치료의 효과를 더욱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에서 초기에는 위축되거나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던 아동들이 점차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에서 교사나 또래 사이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졌으며,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발성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부적응 아동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던 문제 행동들이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하여 본 연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여 치료자가 치료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부적응 문제 행동 유형에 따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추후에 부적응 아동의 특성에 맞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 연구가 다양한 원인을 통해 발생되는 학교부적응 아동 문제를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 모형으로 접근하여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를 검증하고 전문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 관련 요인

        임유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방문간호 직무 지식과 임상적 추론 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적 추론 역량 관련 요인을 확인하여 향후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5점 만점에 평균 3.41±0.43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지적통합이 평균 3.70±0.5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성이 2.88±0.78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은 평균 5점 만점에 3.56±0.42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실행이 3.76±0.55점으로 가장 높았고, 임파워먼트가 2.97±4.89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방문간호 직무 지식은 5점 만점에 3.46±0.4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검사업무, 피부간호가 각각 3.56±0.61점, 3.56±0.5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카테터 관리가 3.29±0.64점으로 가장 낮았다. 4) 대상자의 임상적 추론 역량은 75점 만점에 55.42±6.63점으로 나타났다.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나는 대상자 정보 수집을 통해 대상자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로 3.98±0.89점으로 가장 높았고, ‘나는 대상자 상태가 악화될 때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가 3.56±0.9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상적 추론 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연령(F=10.744, p=<.001), 성별(t=-3.940, p=.006), 종교(t=-5.107, p=<.001), 최종학력(F= 7.351, p=.001), 방문간호 경력을 제외한 임상경력(F= 13.232, p=<.001), 방문간호 경력(F=7.744, p=<.001), 직위(t=4.887, p=<.001), 월평균급여(F=7.417 p=<.001), 고용상태(t=-3.525, p=.001), 이전 근무기관 유형 중 상급종합병원(t=3.572, p=<.001), 종합병원(t=3.338, p=.001) 병원(t=-3.702, p=<.001), 보건소ㆍ보건지소ㆍ보건진료소(t=2.834, p=.005), 기타기관(t=2.772, p=.006), 전문간호사 자격증 유무(t=-4.398, p=<.001)에 따른 임상적 추론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cheffé 사후 검정에서 연령은 40대와 50대 이상이 30대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최종학력은 석사 이상인 경우가 학사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방문간호 경력을 제외한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15년 미만, 20년 이상의 집단이 5년 미만과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집단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방문간호 경력은 10년 이상의 집단이 3년 미만, 5년 미만, 10년 미만의 집단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월평균급여는 100만원 이하,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집단이 300만원 이상의 집단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6) 대상자의 임상적 추론 역량은 비판적 사고 성향(r=.691, p<.001), 전문직 자율성(r=.770, p<.001), 방문간호 직무 지식(r=.55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전문직 자율성(β=.494 p=<.001), 비판적 사고성향(β=.176, p=.026), 방문간호 직무 지식(β=.157, p=.030)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약 66.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향상을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이고 전문직 자율성을 강화하고, 방문간호 직무 지식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전문직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과 함께 방문간호사들의 직무 지식과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 향상과 함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autonomy,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nd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mong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 to September 22, 2021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200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è’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cored a mean of 3.41±0.43 point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3.56±0.42 points in professional autonomy, 3.46±0.41 points in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nd 55.42±6.63 points in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2. The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ge (F=10.744, p=<.001), gender (t=-3.940, p=.006), religion (t= -5.107, p=<.001), educational level (F=7.351, p=<.001), length of clinical career (F=13.232, p=<.001), length of home visiting nursing career (F=7.744 p=<.001), position (t=4.887, p=<.001), average monthly salary (F=7.417 p=<.001), employment status (t=-3.525, p=.001), tertiary hospital (t=3.572, p<.001), general hospital of previous working institutions (t=3.338, p=.001), hospital (t=-3.702, p<.001), public health center of previous working institutions (t=2.834, p=.005), others among type of previous working institutions (t=2.772, p=.006), and certified advanced practice nurses (t=-4.398, p<.001). Using Scheffè’s test,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with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than in the group with participants in their 30s. Participants that had received education higher than masters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than that of participants with diplomas and bachelors. Groups with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5 years, and more than 2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had a higher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than that of groups with less than 5 years,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home visiting nursing than in groups with less than 3, 5, and 10 years of experience.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an average monthly salary of more than three million won, the groups with an average monthly salary one million won, more than one million won, and less than two million won had higher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3.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691, p<.001), professional autonomy (r=.770, p<.001), and knowledge of home visiting nursing work (r=.552, p<.001). 4.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were identified as professional autonomy (β=.494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176, p=.026), and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β=.157, p=.030).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66.5%.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autonomy, and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refore, improv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ngthening professional autonomy, and increasing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re key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 Charles-Marie Widor의 ogan smphony Op. 13 No. 1 in C minor 분석 연구

        임유미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Widor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Symphonic School. He made 10 organ symphonies that are typically roman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1 in Op.13 as one of the foresaid ten works, ultimately understanding the French organ music of the 19th century and making clear which symphonic features that music had.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backgrounds behind the French organ music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availlé–Coll organ which influenced that music. Next, this study reviewed the life of Widor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his organ music.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all movements of No.1 in Widor’s Organ Symphony Op.13 in terms of time, key and form, determining classic and romantic techniques used in that musical piece and the features of the 19th-century French organ music.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1st movement of No.1 in the above mentioned organ symphony is Prélude that is a 4-part fugato of four-four time. It also imitates Bach’s counterpoint, according to which the theme starts from the pedal part and then moves to another. Having the key of c minor, the first movement has tones varied through frequent modulation, presenting the effect of symphony. Second, the 2nd movement is 3-4 in time and allegretto(♩=100) in tempo. It also has the key of A♭major and the form of A - B - A - C - A' - D - D' - E - F - F' - A'' - G. The second movement progresses through chromatic modulation and makes an end with imperfect authentic cadence. Third, the 3rd movement is Intermezzo that is a variation with some elements of toccata. It is also g minor in key and A – A’-A”-A-coda in form. In addition, that movement has detailed marks of dynamic-tone combination on it, helping a more accurate performance. And the cadence of the third movement is perfect authentic in style. Fourth, the 4th movement is Adagio that is 9-8 in time and E♭major in key. In that movement, a frequent use of accidentals and chromatic progression is found in terms of harmony and melody. The fourth movement has a ternary form of A – B – A’ and the cadence of imperfect authentic style. Fifth, the 5th movement is Marche Pontificale that is a march of 2-4 time. Its key is g minor that is subject to chromatic modulation. Structurally, that movement has a form of Rondo, or in more detail, A – B – A – B’- A’. Notably, the double pedal is used to perform the fifth movement whose cadence is imperfect authentic in style. Sixth, the 6th movement is Méditation that is 6-8 in time and Lento in tempo. It is also e♭minor in key and A – B – A – B’ in form. In that movement, continuant sounds are presented by a chord continuation of keynote(E♭) and dominant(B♭). And the sixth movement has the cadence of imperfect authentic style. And seventh, the 7th movement is Finale that is a fugato of 4-4 time. It is allegro in tempo and c minor in key. That movement has the keynote(C) as a continuant sound in the pedal part of coda. The cadence of the seventh movement is imperfect authentic in styl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would make the following conclusion. No.1 of Widor’s Organ Symphony Op.13 has a wide range of musical elements inside, which range from Bach’s to the post-romantic ones. It makes quite meaningful the history of the French organ music in the Age of Romanticism by establishing the most typical features of that organ music of th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