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 수학교과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광주, 완도지역을 중심으로

        임영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the Middle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 in Mathematic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Gwangju & Wando - Lim Young-hee Advisor : Park Soon-Cheol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private education in a metropolis areas and rural areas,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model of private educat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Gwang-ju and Chon-nam Wan-do area. The number of sample was 300, and 27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PSS 18.0 was used for outcom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onduct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ulations, t-test, regression analysis. Cronbach alpha coefficient were used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features were structured a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mathematics skill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surveyed give a positive assessment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mathematics skill. Secondly, Students who lived in Gwang-ju take more private lessons than students who lived in Wan-do. Students who lived in Wan-do were more satisfied with private education. Thirdly, The study achievement was high when th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n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s higher and the math skill is better. The group who takes the private lesson demands more necessity in private education when the number of siblings are smaller and the math skill is better. Finally, The higher price of the private education,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more positive assessment of students' math skill have an effect on making better grade in mathematics in Gwang-ju area. Students who assess their math skill as good in wan-do area made better grade in mathematics.

      • 빅데이터 기반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이용동기가 소비자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영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사람들로 하여금 관심을 갖게 하는데, 그 기술이 보여주는 특성에 따라 주목을 받거나 혹은 외면당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그 기술을 받아들이는 능력 등 개인적 특성에 따라 활용 정도가 달라지고 어떤 용도로 그 기술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능도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기술적 특성과 그 기술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개인적 특성, 그리고 이용 동기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사람들에게 유용한지, 그리고 다시 사용할 의도가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논문들을 통해 연구한 결과, 기술적 특성을 정보품질과 시스템 품질로 나누었고, 개인적 특성을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지식으로 나누었으며, 이용동기를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및 유희적 동기로 각각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것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에서는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경험이 있으며 레스토랑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성인을 연구의 모집단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만일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법도 알려주어 사용경험을 갖도록 한 후에 설문을 하도록 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로부터 받은 설문지 중에 250명의 데이터를 유효표본으로 확보하였다.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거나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2016년 9월 1일부터 2016년 9월 30일까지 1개월 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수의 기본적인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들이 설문 응답자로부터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고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거친 측정변수들의 공분산행렬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추정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과정에 있어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은 R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은 AMOS Ver.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대한 실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술적 특성이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한 두 가지 설명 요인,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이었는데 이용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고 이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의미 있는 설명 요소임을 입증하였다. 이 부분에서 특이한 점은 시스템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보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품질에 상관없이 높은 정보품질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용성과 이용 의도에 높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자들은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도와 레스토랑에 대한 평점 및 정보의 일관성에 대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만족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둘째, 어떠한 개인적인 특성이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SNS 마케팅에 관한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빅데이터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용 의도는 ‘지식’이라는 설명변수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도 받고 지각된 용이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이는 평점에 대한 신뢰와 지식을 가지게 되면 애플리케이션을 더 믿고 사용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기존의 많은 연구들처럼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으로 표현되는 편리성과 시간을 절약하게 해 주고 레스토랑과 메뉴를 선택하게 해 주는 변수들에 의해 레스토랑 추천을 원할 때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됨을 실증하였다. 넷째,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의 특성 요인들 중에서 정보품질, 지식, 기능적 동기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주고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들 중 정보품질과 지식 요인은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이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지각된 유용성을 부분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기능적 동기 요인은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으므로 지각된 유용성을 완전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를 크게 IT관련 종사자와 타 직업군으로 분류를 하였는데 IT관련 종사자들은 시스템품질, 정보품질이 높으면 지각된 유용성도 높은 영향관계를 보여주었지만, 타 직업군은 정보품질에 대해서만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T관련 종사자는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 직업군은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높은 영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게 되어, 직업군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연구였다. 주요어: 빅데이터, 레스토랑 평가, 빅데이터 기반의 레스토랑 평가 애플리케이션, 지각된 유용성, 이용의도 Emergence new technology has initial tendency to attract public attentions, and depending on their exact properties of technology it can attract attention or be turned down by the users. The utilization and effect of certain technology differs depending on how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sceptibility of how well they adapt to new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how restaurants evaluation application based on big data which is considered a cutting edge technology is containing what technical characteristics, is practically useful in terms of considering susceptibility of individual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what would be usage motivations of such technology and the existence of intention of reusing experienced technology(appl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nd along with deeper research about previously done studies,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subcategorized to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pers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divided into self-efficiency, personal innovativeness and knowledge. Finally, usage motivation were consisted of social, functional and hedonic motivations. The structure of thesis were composed in a way how our perceived usefulness affects above three characteristics and how as a result, this influence on our perceived usefulness ultimately changes user’s intention of app usag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defined as any adult who have experience of using restaurants evaluation application based on big data and are able to make a deci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given by the app. However, if there were part of population who never had chance to use this application before, instruction were given to them with enough time to experience the app and the survey was done subsequent to their usage experience. 250 Valid sample were ensured from the data mined from surveys done by all users. Survey was conducted from 2016/09/01 to 2016/09/30 during one month period through Google online survey and dispersing direct questionnaires. For analytic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general properties of universe sampl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as done in order to do basic analysis of measured variables. Also,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and accuracy of survey respondent’s answers. Prior to verify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used to evaluate fit of measurement model and validat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n, based on measured variable of covariance matrix through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are implemented to assume relationship between each latent variables and validate hypothesis. R program i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AMOS Ver.22.0 are used to analyz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All of analysis of actual proof are validated from significance level p<0.05.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ntion of use on technical characters of restaurants evaluation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different results from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which are two description factor from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intention to use. Also, it confirmed that they are mutual independently meaningful description factors. One special point of this part is that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to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show many impact, but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o perceived usefulness shows huge impact. This means that high information quality can provide high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regarding application regardless system quality of application. This reflects that restaurant evaluation application users focus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score of restaurant, consistency of information, and accuracy of information from restaurant evaluation application. Secondly, what is the effe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evaluation appli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knowledge of big data and SNS marketing is a powerful factor of positive influence of intention to use application using big data. Intention to use gets direct influence from knowledge which is explanatory variable, and indirect influence from perceived usefulness. This means that users trust and use the application more if they get truth and knowledge of the score. Thirdly, perceived usefulness provides plus effect on intention to use as other basic researches. This proved positive influence of intention to use of restaurant evaluation application when the users want restaurant recommendation based on the variables that save time and provide convenience shown as perceived usefulness, and choose restaurants and menu. Forth is that this research shows that information quality, knowledge, and functional motivation from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evaluation application affect positively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ffects positively on the intention to use. Also, information quality and knowledge affects directly and positively on intention to use, so it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based on perceived usefulness as partial mediation. Functional motiv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intention to use, so it affects intention to use based on perceived usefulness as full mediation. Lastly, respondents are divided into practician who are related to IT and other occupations. IT people showed high relationship of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but respondents from other occupations only showed positiv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regarding information quality. Besides, usefulness of practicians of IT is not affected on the intention to use, but other group of occupations shows that usefulness affects high influence, which means that it depends on occupations. Key words: big data, restaurants evaluation application based on big data, perceived usefulness, intention to use

      • 국가론에 제시된 무시케(mousike)교육의 의의

        임영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오늘날 초등교육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플라톤의 무시케 교육을 통해 해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시작은 올바른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대치될 수 있는데, 「국가론」은 올바른 삶의 가치를 가장 치열하게 일상의 삶에 비추어 설명한 책이다. 플라톤은 천상의 세계에서 이상을 외친 것이 아니라 지상에서 일상의 삶에 묻혀 삶의 가치를 생각하지 못하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삶의 가치를 일깨우고자 하였다. 무시케 교육은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사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플라톤의 위대한 생각을 보여주고 있다. 이야기와 음악으로 대표되는 희랍의 교육 내용은 인간의 삶의 위대함과 길고 긴 진리의 여정에 입문하는 아동에게, 보여주고 들려주어야 할 이성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적 판단을 기준으로 교사는 이야기를 선별하고, 아동은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참된 삶의 면모를 볼 수 있게 된다. 음악은 아동이 아름다움을 친숙하게 받아들여 어지러운 세상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놓치지 않게 감각을 단련시켜 주며 절제와 조화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한다. 모방으로 표현되는 희랍 교육의 방법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아동이 어떻게 삶의 형식을 받아들이고, 지식을 습득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무시케 교육은 교사로서 산다는 것이 어떠한 삶인지 보여줌과 동시에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 얼마나 멀고 긴 여정의 시작인지를 암시하고 있다. 교사는 이런저런 가치와 각자의 이상들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삶의 현장에서 아동이 올바른 삶의 가치를 교과 공부를 통해 이해하고 자기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교사는 교육이론을 공부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이해하고 동시에 그 의미를 실현하는 사람이여야 한다. 무시케 교육은 인간의 사욕 추구에 대한 욕망의 크기에 비례하여 그것을 절제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임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 아이를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초등교육은 어린 아동을 교과에 입문시킴으로써 그들을 올바른 삶의 가치에 한 발자국 다가서게 한다. 그들에게 사회의 이런 저런 규범과 지식을 주입시키는 것만이 초등교육의 목적은 아니다. 플라톤은 어린 아동을 무시케 교육을 통해서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도록 만들고자 하였다. 오늘날 초등교육 역시 그 궁극적 목적은 어린 아동이 참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what teachers teach and how they teach it well, as these subjects relate to Plato's the Republic. The questions of curriculum and pedagogy could determine how we live "The Good Life." The Republic discusses the correct value of life in light of the everyday. Plato never forced celestial ideals; rather he grounded his thought in relevant and immediate analogies ones, that would have been readily accessible to his contemporary audience. Plato's mousikē education explained curriculum, methods, and the basis for the teacher's existential purpose. As for the students, mousikē education utilized myth and music to put them on the journey of truth, since these artistic elements revealed the value of reason and beauty. Moral judgements were discovered in stories that the teacher selected and the children would have instantly connected to real life. If the children were attuned to the beauty of the music, then they would seek harmony even in the dissonant chaos of life. They would organically learn temperance and harmony as well. Thusly trained in the way of imitation, the essential mode of Greek education, students could accept the form of the Good. Mousikē education demonstrated the difficulty of living as a real teacher; indeed, they were figures of sterling integrity. Even today, they should study subjects for teaching students. In other words, by learning Platonic educational theory, teacher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nd realize Plato's ideal in the classroom. It is hard to wholly restrain human desires, but it is nevertheless possible to be moderate. Mousikē education told modern educators that to educate children properly was to make them temperant. Primary education leads children to the Good. Merely to socialize them. Plato wanted children to become good citizens through mousikē education. The ultimate value of primary education is that children live the right way through curriculum.

      • 무용과 웰빙문화와의 상관관계

        임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우리 사회에는 작은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물질적인 풍요와 스피드를 중시하던 삶의 형태에서, 양적 팽창을 줄이고, 내면적인 깊이와 정신적인 삶을 중시하는 문화가 도래하게 되었다. 그런 삶의 형태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 웰빙이다. 웰빙의 트랜드는 2002년 말 우리나라에 유입되어서 2005년 현재 건강, 의류, 건축, 등 사회 전반에 웰빙의 단어를 빼 놓고선 문화의 양상을 논할 수 없을 만큼 사회 전면에 대두되고 있다. 웰빙이 ‘잘 사는 것’이란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하면서, 아동의 학습지조차 ‘웰빙’을 표방하고 있다. 마케팅의 전반에 웰빙이 대두되고, 정서적인 안정을 찾기 위한 노력이 요가나, 건강진단 등 좀 더 고차원적이고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웰빙의 형태나 유형이 바뀌고 있다. 이런 사회적인 흐름은 우리 삶의 모습을 변화 시키고 우리의 인식 또한 변화시킨다. 생존 경쟁이 치열하고 먹고 살기 급급했던 과거의 우리 실정에서 벗어나 정서적이고, 안정적이며, 개인적 효용감을 갖고자 하는 웰빙 시대가 무용의 저변화(低邊化) 또는 문화적 콘텐츠로서 무용이 바뀔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무용이 고차원적이고 고급스러운 문화의 일부에서 좀더 대중화 되는 시기가 지금이 아닌가 한다. 무용에 대한 대중화 즉 일반인이 무용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무용에 대한 효용성 확대와 무용인구의 증가 등에 상호작용을 하여 보다 활기차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일 것이다. 이 연구는 웰빙과 무용이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각각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웰빙문화와 무용과의 상관관계가 어떻게 파악하는지, 무용의 효과에 대해서 다른 운동과 비교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웰빙과 무용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차이가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웰빙 관여도와 무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무용의 효과에 무용은 몸매관리, 체력향상 등 신체적 효과는 다른 운동과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스트레스해소나 심리적 안정감 등 심리 및 정서적 효과에 대해서는 다른 운동과의 독립적으로 인식 되었다. 즉, 웰빙 시대의 무용에 대한 인식도 웰빙을 느끼고 인식하는 사람일 수 록 무용에 쉽게 접근 가능하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웰빙 시대의 웰빙 문화에 무용의 발전 가능성이 크며 무용의 대중화에 적합한 시점임을 알 수 있다. A breeze of change set to rise in our society from the early-21st century. That is, the culture orienting internal depth and spiritual life is spreading while the pursuit of the quantitative expansion, material abundance and speed decline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igns of this living trend is the well-being. The well-being firstly introduced around end-2002 prevails now in the entire industries including health, clothes and architectures in 2005 so that the current cultural facets can not be discussed without mentioning it. Even the children's textbooks adapt the motto of 'well-being' as the word 'wellbeing' is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live-well' in general. Wellbeing is highlighted in the marketing at large, and its type is shifted into the form of high-leveled efforts like Yoga and medical check-ups aiming at the higher living qu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 social trends facilitate the change of the living facets and perceptions. These well-being trends which orient toward emotion, stability and individual satisfaction differently from the past trends of keen surviving competition and economic orientation may motivate the dancing culture expanded or strengthened as a cultural content. It is supposed to be the right time for the dance performance to transit from a high-class or high-end culture into the public one. The dance popularization, in other words, the changed public perception on the dance shall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utility of the dance and the increase of the dancers, which may, to the contrary, give the public an opportunity to ensure active and qualitative living. The core meaning of well-being lies in the health, which comprises the mental health as well as physical one. Therefore, more and more people are willing to actively take part in dancing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awareness of dance. To cope with this social trend of well-being, the dance environment needs to be changed. For example, the program which induce people's interests to the dance and which people can approach easily should be developed so that it plays a role to increment the public awareness on dance through people's constant participation. People's increasing awareness on dance sha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ir living quality and to the constant growth of dance culture.

      • 유과제조의 최적조건 확립을 위한 조건

        임영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박사

        RANK : 247631

        찹쌀의 침지과정중 일어나는 각종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효소에 의한 작용들을 파악하여 유과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유과 반데기를 제조한 후 튀김유의 가열시간에 따라 일어나는 이화학적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원료 찹쌀의 조지방 함량과 조단백 함량의 변화는 침지 초기에 원료 찹쌀의 30-50%가 침지액 중으로 용출 제거되었으나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이상 용출 제거되지 않았다. 침지액의 pH는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저 pH3.3까지 감소한 반면 침지액의 brix는 최고 13.6Bx까지 증가하였다. 침지액과 낟알의 물 추출 산도는 20℃ 침지 온도에서 22.9와 3.4까지 증가하였으며 30℃ 침지구에서는 29.8과 4.0까지 증가하여 고온 침지에서 현저한 유기산 발효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침지과정중 생성된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으나 90% 이상이 glucose의 형태로 존재하였고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2397.8mg%까지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sucrose는 침지 1일 이후부터는 검출되지 않았다. 원료 찹쌀에는 미량 존재하는 malic, citric, 그리고 succinic acid가 HPLC에 의해 검출되었으며, 총유기산 함량은 101.88mg%로서 원료 찹쌀중에는 87.35%가 malic acid로 존재하였다. 침지온도 30℃ 처리구에서는 citric acid와 malic acid가 20℃보다 급격히 분해되어 citric acid는 침지 2일 후부터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malic acid는 14.98mg%까지 감소한 반면 succinic acid는 왕성하게 생성되어 최고 256.44mg%를 나타내었다. 침지과정중 찹쌀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점도특성을 살펴본 결과 침지에 의한 호화개시온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최고점도가 20℃ 침지구에서는 침지 2일 후에 450BU까지 증가했다. 침지 3일째 60BU로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독특한 점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30℃ 침지구에서는 침지 1일째에 650BU까지 급격한 점도 상승을 나타내었으며 이후에도 20℃ 침지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효소 screening test는 amylase, protease, lipase에 대한 기질을 각각 첨가한 agar배지를 제조한 후 일정량의 조효소액을 paper disc를 이용하여 접종하고 2-3일 동안 배양하여 각 효소에 적합한 활성 확인방법을 통하여 paper disc주위에 clear zone(또는 pink zone)의 형성유무를 본 결과 amylase, protease에서만 형성되었다. 원료로 사용한 찹쌀의 경우 자체적으로 amylase가 존재하여 침지기간이 늘어날수록 점차 amylase의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에서 침지한 시료는 저장후 4일경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반면 30℃에서 조제한 시료의 경우 이보다 약간 빠른 3일 부근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성 protease와 중성 protease는 모두 20℃에서 침지한 시료에서 저장일수에 따라 활성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30℃에서 침지한 시료는 침지후 4일째에 이르러 최대활성을 나타내고 다시 감소하였다. 한편 5일 이후 30℃에서 침지한 시료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유과 제조공정에 따라 최적조건을 본 결과 찹쌀을 30℃에서, 3일간 침지한 것이 적합하였으며, 분쇄정도는 100mesh, 반죽의 수분함량은 50%, 증자시간은 20-30분이 적당하였다. 유과반데기의 건조조건은 25℃ 냉풍건조한 것이 열풍건조한 것보다 5.7배로 많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의 수분함량은 12%가 적당하였으며 이에 도달하는 시간은 24시간이었다. 튀김방법은 콩기름을 이용한 결과 110-120℃에서 1분간 두어 반데기의 1.5-2배 정도로 팽창시키고, 170-180℃정도의 온도에서 2분가 2차튀김을 하는 것이 양호한 조직감의 유과를 제조할 수 있었다. 가열시간에 따른 튀김유와 튀김횟수에 따라 제조한 유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가열 16시간까지 튀김유의 산가는 0.08에서 0.23, 과산화물가는 0.08에서 178meq/kg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튀김유와 유과의 지방산 조성변화는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조성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는 오히려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objectives of study were to determine physicochernical properties and enzyme reaction during soaking period of waxy rice and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s for Yukwa mak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ugh with different cooking time were evaluated after Yukwa making and the results were: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during soaking time Crude fat and protein contents of soaked waxy rice decreased up to 30∼50 %, respectively, compared to raw rice,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soaking period. As the soaking period increased, pB of soaking solution was decreased from 6.4 to 3.3 while Brix was increased from 8.5 to 13.6. Titration acidity of soaking solution and soaked waxy rice were increased to 22.9 and 3.4, respectively, as the soaking period increased to 9 days at 20℃ , but increased rapidly to 29.8 and 4.0, respectively, at 30℃ The four kinds of free sugar such as fructose, glucose, sucrose, and maltose were detected. Glucose was the major free sugar (90%) during soaking and increased up to 2397.8mg% and decreased after that. Sucrose was not detected after I day-soaking period.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 showed that malic, citric, and succinic acid were detected and the content of malic, citric, succinic acid and total acid were 88.99mg%, 9.21m%g, 3.68mg% and 101.88mg%, respectively, but content of malic acid was 87.35% in raw material. Citric acid and malic acid was drastically degraded at 30℃ treatment and citric acid was not detected after 2 days. Malic acid was decreased down to 14.89mg% while succinic acid was increased up to 256.44mg%. Characteristics of amylographic viscosity on soaked waxy rice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asting temperature by the soaking time and temperature, but the maximum viscosity was drastically increased up to 450Bu. at 20℃ treamtment on 1∼2 days soaking time, and decreased rapidly after 3 days whereas at 30℃ treatment showed that sharp peak for I day-soaking time, but similar to 20℃ treatment after 2 day-soaking time. 2. Change of enzyme during soaking time Crude protein content of soaking solution (waxy rice) slowly increased as soaking time increased at 20℃ treatment while it rapidly increased after 2 day-soaking time and decreased after 5 days. Amylase, protease, lipase were added to agar and crude enzyme solution was subjected to determine enzyme activity. Those results showed that amylase and protease made a clear zone. Raw waxy rice contains amylase and enzyme activity increased as soaking time increased. 20℃ treatment showed a maximum enzyme activity after 4 days while 30℃ treatment showed after 3 days. Activity of acidic protease and neutral protease were increased as soaking time increased at 20℃ treatment, while 30℃ treatment showed maximum enzyme activity after 4 days and then it decreased. 30℃ treatment showed lower enzyme activity 5 days. 3. Establishment of optimal conditions for Yukwa making It is recommended that appropriate soaking condition was for 3 days at 30℃, and that optimal particle size were 100 mesh. Recommended moisture content of dough for Yukwa production was about 50% which resulted in the best aeration and swelling power. Optimal cooking time was about 20∼30 min. Cold air drying at 25℃ gave the softer texture with 1.6 Kg hardness, and 5.7 times more expanded than hot air drying. Moisture content was 12% after drying and it took 1 day. The most desirable frying methods to have a best texture was that dried Yukwu plate fried at 110℃∼120℃ for 1 min. as a first stage and fried again semi-dried Yukwu plate at 170℃∼180℃ for 2 min. as a second stage. 4. Characteristics of Yukwa on different frying time The effect of soybean oil on frying time and number of frying treatment on quality of Yukwa were examined. As the frying time increased, acid value and POV were increased from 0.08 t o 0.23, and 1.78, respectively. But the quality of Yukwu was not influenced by the frying time. And as the frying time increased, unsaturated fatty acid (oleic and linoleic acid) was decreased, and saturated fatty acid (palmitic acid) was increased. The color was drastically changed on frying oil which showed a dark brown colo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Yukwu. As the frying time increased, acceptability was decreased on sensory evaluation, but not significantly.

      • 칼 오르프의 음악교육법을 적용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임영희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목 : 칼 오르프의 음악교육법을 적용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칼 오르프의 음악교육법을 적용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독일의 작곡가이자 유아음악교육의 새 지평을 연 칼 오르프(Carl Orff, 1895.7.10~1982.3.29)의 다양한 음악교수법을 활용하여 유아, 초등, 중등의 음악교육의 실질적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현실성에 그 초점을 두었으며 교육의 대상자가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음악을 받아들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자는 유아를 대상으로 오르프 수업을 유아교육기관에서 6년 동안 지도하였고, 3년 동안 유아교육기관에서 오르프 수업하는 성인강사를 교육하였다. 초등을 대상으로 합창과 아동성악을 지도한 경험이 있으며, 중등학교에서 음악정규교과를 수업한 경험이 있다. 6년간 유아를 대상으로 오르프 수업을 함에 있어서 독일 함부루크의 시립음악원에서 이수 받은 오르프 교수법을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재구성하여 교육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교육하였다. 독일에서 이수한 오르프의 음악교육에 신선한 충격과 흥미로움을 가지고 유아음악교육만이 아닌 초등음악교육과 중등음악교육에도 부분적으로 접근하면 정말 재미있고 다양하게 음악교육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유아의 음악교육에서는 노래 부르기와 말하기, 악기연주, 신체표현으로 유아의 발달과정에 맞추어 수업마다의 주제를 정해 자연스럽게 음악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고, 초등의 음악교육에서는 노래 부르기에 신체표현과 음악적 파라미터로 접근하여 지도하고, 중등의 음악교육에서는 오스티나토를 이용한 연주와 바디퍼커션 및 생활의 소리를 이용하여 노래와 악기연주에 흥미롭게 다가가는 교육을 연구하고자 한다. 오르프 음악교육법은 음악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기초 교육이 될 수 있고, 교육의 보편적인 대상자들이 음악교육을 통해서 보편적인 창의성을 기르는데 더 효과적인 교육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칼 오르프의 생애와 교육 철학을 여러 가지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오르프 교육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노래 부르기와 말하기, 기본적인 악기 연주, 신체 표현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상자들이 주체가 되어서 음악을 하나의 놀이로써 즐길 수 있고, 다양하고 재미있게 음악을 느낄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제시 해 본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대상자들이 좀 더 행복하고 즐겁게 음악교육을 받을 수 있고, 보편적인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음악교육이 되기를 바란다.

      • 만성정신질환자 주거시설 실태와 서비스 및 삶의 만족도 인식

        임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satisfaction at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by surveying the realitie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chronic mental illness, and by grasping the satisfaction at service and at life that is recognized by dwellers for the residential facilities. By doing so, it is further aimed to offer basic material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mental nursing service that installs and operates the diversely residential facilities, which meet the need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that is the ultimate goal of a human being. As for the subjects of a research, it conducted complete enumeration targeting the residential and institutionalized facilities that were registered in the Association of Korean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until July 5, 2005. Among 54 facilities that were registered nationwide, it excluded 1 facility that reported closing, 1 residential facility for alcohol, 3 facilities that rejected questionnaire, and 2 facilities that were blocked contact. And then, it widely distributed totally 513 copies of questionnaire to each of residential facilities by mail, targeting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ho dwell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379 copies, and the ratio of collection accounted for 73.88%. Among them, it excluded 3 questionnaires that were responded unfaithfully, and 8 facilities that were lost questionnaires. The final analysis targeted 39 residential facilities and 376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s for the period of collecting materials, it carried out from Oct. 17 to Nov. 2, 2005. As for a research tool, it used the scale that Park Eun-ju (2002) recomposed with 30 items in 4-mark scale after translating CSI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which McMuty Walter devised, the scale that Lee Hui-suk (1991) recomposed with 30 items in 5-mark scale as for Family Environment Scale (FES R Form), which Moos & Insel(1974) developed, and the scale of satisfaction at life with 33 items in 5-mark scale, which Yang Ok-gyeong (1994) developed. As for the analysis of materials collected, it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multi-response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method, by using SPSS 12.0 vers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1. As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those in their 30-40 (72.7%) dwell, and the unmarried (71.8%) are many. Those have highly academic background (72.8%) with more than high-school graduate. Basic allocatees (61.6%) are more than 1/2, and the majorities are registered disabled people (70.8%). As f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schizophrenia (76.5%) is the most, and the period of having disease is mostly more than 5 years (79.64%). As for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dwelling, the resident period is mostly less than 2 years,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or to determine resident decision comes to brothers/sisters, parents, and the identical person in order. Even as for a role of main guardian, brothers/sisters have priority over parents. As for the resident cost, a case that the identical person first bears was the most. As for the resident motivation, it was the most in the necessity (37.7%) of independently life training. And the next was possessed by the reason (28.1%) that cannot live with family. What is considered most importantly in case of resident, was whether or not the aid of rehabilitation program (42.3%). The monthly utility expense is mostly received, and 120,000 won is expended per month. 3-4 persons live together in one room. As for a contact with family, the contact with around 1-3 times (41.3%) a month is the most, but it is desired to contact more than once a week. As for the family relations, 69.4% got better. Given leaving, the independent life (40.2%) is planned. The priority in what actually became help, was in order of the solution in eating and sleeping, of managing a disease, and of availability for daily life. Also, the priority in what was conducive the most, was in order of the solution in eating and sleeping, of economic aid, and of what came to have ability of a living plan. 2. Given see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most of them are the registered facilities. The government subsidies are supported. Social welfare corporations (43.2%) and individuals (35.1%) are mainly forming the main body of operation. There were the most facilities that are operated independently with (43.2%) residential facilities. More than 1/2 comprise tenement houses, villas, and multi-household residence, and those are being operated through lease. The rental costs were much in corporations (55.6%) and individuals (36.1%). Seoul was distributed the most, and convenience of using transportation was very high. The majorities are occupied by cases (92.3%) in which a manager is a facility chief. The resident management (87.2%) is performed for 24 hours. As the average working personnel is 2-3 persons, more than 70% is being equipped with professional qualification for mental health. The career of mental health in these people is 5 years and 8 months, and the career of residential facilities is 2 years and 6 months. The priority in the standard of selecting residents, is in order of the rehabilitation will in the identical person, of the level in mental symptom, and of adaptation to community life. As for the institutions associated weekly, the majorities ar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47.5%) and mental health centers (32.5%). As for the evaluation of patients in the facilities, about 1/2 are carrying out. 3. The satisfaction at using services is 2.84 marks (the mean value 2.50). The satisfaction at family environment is 3.22 marks (the mean value 3.00). So it was indicated to be 'satisfactory' level higher than the mean value. Therefore, the satisfaction at service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was indicated to be satisfactory level in all. 4. The satisfaction at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s 2.80 marks (the mean value 3.00), thus it was indicated to be satisfactory level lower than the mean value.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at using service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 satisfaction at family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at life,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 was indicated to be insignificant statistically.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at life and the satisfaction at using service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was in order of spheres such as the offer of program, information, and resources (r=.403), others (r=.359), family relations (r=.333), physical environment (r=.297), relationship with staff (r=.257), and relationship with persons living together (r=.105). Thus it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level of p<.01. 7. The correlation by sub-sphere between the satisfaction at life and the satisfaction at family environment, was in order of relational dimension (r=.478), individually growth dimension (r=.469), and system-maintenance dimension (r=.401) Thus it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level of p<.01 of all spheres. Through the results of research in the above, the satisfaction at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s somewhat low level, but the satisfaction at service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was indicated to be high level.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red to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satisfactory level at service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as enhanced. The relationship with staff was indicated the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But Similarly to other research reports, the satisfactory level at the whole life was indicated to be low.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fail to receive family's proper care and come to have difficulty in economic burden and in maintaining daily life, as the family proceeds with being fatigued due to long period of having a disease. Therefore, they come to shun living together at home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us it becomes hindrance to mentally social rehabilitation. And, aiming at the steady treatment, they live in the residental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of residence. In terms of the resident decision for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 decisive right in brothers/sisters has priority over the identical person and over parents (given failing to be respected self-determination), thus it becomes an obstacle to enhancing satisfactory level at life and to rehabilitation. This is relevant to the will of rehabilitation in the identical person who is the first priority in the standard of selecting, which is thought most importantly given the selection of residents. And, it has negative influence upon the independent life, which becomes the basi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Thus, given maximally respecting the autonomously self-determination, it is expected that an effect of rehabilitation service will be great, by which the identical person oneself reinforces the will and responsibility for rehabilitation. It needs to be provided services that combine custom and culture in our country. It will need to be offered services and programs that are reflected social flow and culture, supply 'customized service' in order to become actual help for the resident motivation and for the expectant value aiming to achieve a goal that they desire, recognize autonomy with minimal regulation, and respect and prioritize a sense of ego and the self-determination.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he diversely and individual programs that are expected individual growth, and the offer of services that associate with necessary information and resources.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 주거시설의 실태를 조사하고, 주거시설거주자가 인지하는 서비스와 삶의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여, 만성정신질환자 삶의 만족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조사연구이다. 그리하여 향후 만성정신질환자의 요구충족과 인간의 궁극적 목표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주거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지역정신 간호서비스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사회복귀시설협회에 2005년 7월 5일까지 등록된 주거 및 입소시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하였다. 전국에 등록된 54개 시설 중, 폐쇄신고시설 1개소, 알콜주거시설 1개소, 설문거부시설 3개소, 연락두절시설 2개소를 제외한 총 47개소의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만성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총 513부의 설문지를 각 주거시설에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379부로 회수율은 73.88%였다.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3부와 설문지가 분실된 8개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은 주거시설 39개소와 만성정신질환자 3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5년 10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McMuty Walter가 고안한 주거시설 서비스이용 만족척도(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 CSI)를 박은주(2002)가 번역하여 4점 척도 30문항으로 재구성한 척도, Moos & Insel(1974)이 개발한 가정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 : FES R Form)를 이희숙(1991)이 5점 척도 30문항으로 재구성한 척도, 양옥경(1994)이 개발한 5점 척도 33문항의 삶의 만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버전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정신질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30-40대(72.7%)가 거주하고 미혼(71.8%)이 많으며 고졸이상의 고학력(72.8%)이며 국민기초수급자(61.6%)가 1/2 이상이며, 장애등록자(70.8%)가 대부분이다. 임상적 특성은 정신분열(76.5%)이 가장 많고 대부분 유병기간이 5년 이상(79.64%)이다. 거주관련 특성은 입주기간이 2년 미만이 대부분이고 입주결정에 참여하거나 결정권은 형제/자매, 부모, 본인의 순이고 주보호자의 역할 역시 형제/자매가 부모보다 우선한다. 입주비용은 본인이 우선 부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입주 동기는 독립생활훈련이 필요해서(37.7%)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가족과 함께 살 수가 없어서(28.1%)가 차지했다. 입주 시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재활프로그램(42.3%)의 도움여부였다. 거의 월이용료를 수납하고 용돈으로 월 12만월을 지출하며 한 방에서 3-4명이 함께 기거하고, 가족과 연락은 월 1-3회(41.3%) 정도 연락이 가장 많지만 주 1회 이상 연락하기를 원하며 가족관계는 69.4%가 좋아졌다. 퇴거 시 독립생활(40.2%)을 계획하고 실제 도움이 된 것의 우선순위는 먹고 자는 것 해결, 병을 관리, 일상생활가능의 순이다. 또한 가장 도움이 된 것의 우선순위는 먹고 자는 것 해결, 경제적인 도움, 생활계획 능력을 갖게 된 것의 순서이다. 2. 만성정신질환자 주거시설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거의 등록시설이고 국고보조금을 지원받고 사회복지법인(43.2%)과 개인(35.1%)이 운영주체의 주를 이루고 있다. 주거시설 단독으로 운영(43.2%)하는 시설이 가장 많았고 1/2 이상이 연립, 빌라, 다세대주택이며 임대를 하여 운영하고 있다. 임대비용은 법인(55.6%)과 개인(36.1%)가 많았다. 서울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교통이용 편리성은 매우 높았다. 관리자가 시설장인 경우(92.3%)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24시간 입주관리(87.2%)를 하고 평균 근무 인력은 2-3명으로 70%이상이 정신보건 전문자격을 갖추고 있다. 이들의 정신보건 경력은 5년 8개월이고 주거시설 경력은 2년 6개월이다. 입주자 선정기준의 우선순위는 본인의 재활의지, 정신증상정도, 공동생활적응의 순서이며 주간 연계기관은 사회복귀시설(47.5%)과 정신보건센터(32.5%)가 대다수이며 시설에서 환자의 평가는 1/2정도가 실시하고 있다. 3. 서비스이용 만족도는 2.84점(평균값 2.50), 가정환경 만족도는 3.22점(평균값 3.00)으로 평균값보다 높은 ‘만족’ 수준으로 나왔다. 그러므로 주거시설 서비스 만족도는 모두에서 만족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정신질환자의 삶의 만족도는 2.80점(평균값 3.00)으로 평균값보다 낮은 만족수준으로 나타났다. 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거시설 서비스이용 만족도, 가정환경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삶의 만족과 주거시설 서비스이용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프로그램과 정보 및 자원제공(r=.403), 기타(r=.359), 가족관계(r=.333), 물리적 환경(r=.297), 직원관계(r=.257), 거주동거인 관계(r=.105) 영역 순으로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삶의 만족과 가정환경 만족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는 관계차원(r=.478), 개인성장차원(r=.469), 체계유지차원(r=.401) 순으로 모든 영역에서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만성정신질환자의 삶의 만족은 다소 낮은 수준이나, 주거시설 서비스만족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만성정신질환자의 주거시설 서비스 만족수준이 향상되었다. 직원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다른 연구보고와 유사하게 전체적인 삶의 만족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정신질환자는 긴 유병기간으로 가족이 지쳐감에 따라 적절한 가족의 돌봄을 못 받고, 경제적 부담감, 일상생활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퇴원 후 집에서 같이 사는 것을 꺼려하게 되어 정신사회재활에 방해가 되며 지속적인 치료를 위해 주거의 대안으로 주거시설에 입주한다. 주거시설 입주결정에 본인과 부모보다 형제/자매의 결정권이 우선하여(자기결정권을 존중받지 못한 경우), 삶의 만족수준을 높이고 재활하는데 방해하게 된다. 이것은 입주자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정기준에서 1순위인 본인의 재활의지와 관련이 있으며 재활치료의 기본이 되어 독립생활을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율적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한다면 본인 스스로가 재활에 대한 의지와 책임을 강화하여 재활서비스의 효과가 클 것이라 예상된다. 우리나라 관습과 문화에 어우르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사회적 흐름과 문화가 반영되고 그들이 원하는 목적을 성취하도록 입주동기, 기대치, 실제도움이 되도록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고, 최소한의 규제로 자율성을 인정하고 자아감과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우선하는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개인적 성장이 기대되는 다양하고 개별적인 프로그램과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연계하는 서비스제공이 요구된다.

      • 한국 대중가요의 표절성 연구 : 2000년 이후 한국 대중가요의 표절사례

        임영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ed at furthering academic discussions about plagiarism by analyzing cases of plagiarism in Korean pop music since 2000, particularly, ‘Get Ya’ by Lee, Hyori, ‘A Letter to You’ by Mc Mong, and ‘Shouting’ by Lee, Seung Cheol. To define an accurate concept of plagiarism, the paper first discussed techniques that are similar to plagiarism based on western artistic music history, such as adaptation, self-plagiarism, borrowing and quotation, and parody. The paper surveyed the of terminological, academic, and legal definitions of plagiarism.

      •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영희 호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has on juvenil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le lief satisfaction, and 401 students in the 5~6 grade of one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32 questions of family psychological course from a diagnostic test paper for home background made by Jung Won-Sik(1984) were used for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Inventory, which was made by Coopersmith(1976), and translated by Kang Jong-Gu(1986) was used for the juvenile self-esteem scale. The study, which Do Snag-Chul(1982) used in the test of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against school, and then Son Soon-Ja(1993) adjusted for the senior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was used for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questions of measuring the life satisfaction, which Campbell, Converse, and Rodgers(1976) used, and then Kim Hee-Hwa(1998) adapted, were used for home life satisfaction. SPSS Windows 12.0 version was used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d t-test, ANOVA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performed on each research question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difference by genders only in parenting attitude. For father's parenting attitude, girls accepted that it was more opening, dear, and autonomous than boys, and for mother's parenting attitude, girls accepted it was more dear than boys. Second, as the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y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boys perceived it was more achievement-oriented for th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ith master or above than that of parents with bachelor or below, girls had no difference by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as the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in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y numbers of brothers and sisters, and the order of bi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boys and girls. Fourth, as the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mother's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by whether mother worked or no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boys' self-esteem, so boys perceived the relation with others more positively if mother worked, and also had higher self-assertion. Fifth, for the correlation between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by gender, boy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ar-denial, autonomous-heteronomous among parenting attitude, and girl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pening-closing, dear-denial, and autonomous-heretonomous. Sixth, as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of the influence that parenting attitude has on juvenil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by gender, it presented that specially dear-denial, autonomous-heretonomous among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s had influence on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of both boys and girls. Seventh,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largest influence that parenting attitude has on juvenil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by gender, dear-denial was on boys, and autonomous-heretonomous was on girls. Eighth, as the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juvenile-perceived parenting attitude, while boys perceived that mother was more achieve-oriented and dear-oriented than father, girls perceived that father was more autonomous than mother. Despite of some limits on research methodology, there is a meaning that parenting attitude has influence on juvenil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juvenil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o find the method that parenting attitude improves juvenile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ome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으며, 천안시에 위치한 1개 초등학교 5~6학년 40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정원식(1984)이 제작한 가정환경 진단검사지의 가정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32문항을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아존중감 척도는 Coopersmith(1976)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도상철(1982)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검사의 연구에 이용한 것을 손순자(1993)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맞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가정생활 만족도는 Campbell, Converse 및 Rodgers(1976)가 사용한 생활만족도의 측정 문항을 김희화(1998)가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 12.0판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각각 t-검증, 차이검증,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양육태도만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개방적, 친애적, 자율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친애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둘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차이검증결과, 남아는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부모보다 대학졸업이하의 학력을 가진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해 더 성취 지향적으로 지각한 반면, 여아의 경우에는 부모 학력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형제자매의 수 및 출생순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남여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남아의 자아존중감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는 어머니의 직업이 있을 경우 타인과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자기주장 역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간의 상관관계에서, 남아의 경우 부모의 양육태도 중 친애-거부, 자율-타율, 여아의 경우 개방-폐쇄, 친애-거부, 자율-타율이 거의 모든 영역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부모양육태도가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 회귀 분석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친애-거부, 자율-타율이 남여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에 특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는 남아의 경우 친애-거부, 여아의 경우 자율-타율로 나타났다. 여덟째,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아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성취적이고 더 친애적이라고 지각한 반면, 여아는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더 자율적이라고 지각했다. 몇 가지 연구방법론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심리, 정서적인 발달측면을 이해하고,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통한 결손가정 아동의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 변화

        임영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ossible changes in academic self concept, learning attitude, learning habit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QuestionⅠ. Does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make positive changes in learning-related factors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I-1. Does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make positive changes in academic self concept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Ⅰ-2. Does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make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Ⅰ-3. Does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make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habits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Question Ⅱ. Does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make positiv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welve 3rd graders in single-parent families were selected from 4 classes in ○○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Gang-buk Gu, Seoul.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 test for identify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learning and achivement test were given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a prior and post test. On the basis of the program, group counseling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Wednesday and Saturday) for 7 weeks while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found: Ⅰ.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was effective to make positive change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earning-related factors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Ⅰ-1.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didnt led to changes in academic self concept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Ⅰ-2.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led to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Ⅰ-3.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led to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habits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Ⅱ.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led to positiv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The results showed that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children had been improved.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ore various programs for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학업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인 학문 자아개념, 학업에 관한 태도, 학습습관과 학업성취도에 어떤 변화를 가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Ⅰ. 아동의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가정아동의 학업 관련요인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Ⅰ-1.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가정아동의 학문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Ⅰ-2.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 가정아동의 학업에 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Ⅰ-3.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 가정아동의 학습 습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연구문제 Ⅱ.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 가정아동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을 비교하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을 비교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의 4개 반에서 선정한 결손가정 아동 12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각각 6명씩 구성된다. 사전?사후검사는 학업에 대한 정의적 특성인 학문자아개념, 학업에 대한 태도, 학습습관과 학업성취도를 사용한다.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게 7주동안 주 2회로 총 14회가 실시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가정 아동의 학업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Ⅰ-1. 아동의 사회?정서발달프로그램은 결손가정아동의 학문적 자아 개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Ⅰ-2.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가정아동의 학업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진다. Ⅰ-3.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프로그램은 결손가정아동의 학습습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진다. Ⅱ.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 가정아동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진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은 결손가정 아동의 학문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단순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비교로 결손가정 아동의 프로그램 효과로 인한 학업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과 학업성취의 의미 있는 변화를 검증할 수 없고,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으므로 대단위 표본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