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로환경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만성질환과의 관련성

        임명선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많은 직업들이 생기고, 근로시간대 역시 단시간부터 장시간까지 다양하며, 사회적 필요에 의해 교대근무와 같은 근로시간 주기 형태의 변화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취업자는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 잦은 음주와 흡연, 불규칙하고 서구화된 식생활 및 산업화와 생활의 자동화에 따른 운동부족 등으로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으로 인해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고지혈증 등의 만성 질환의 유병률도 증가하여 사회적으로는 직접, 간접비용의 증가 및 생산성 저하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자들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와 만성 질환 유병율의 증가를 줄이기 위한 근로 환경 특성에 맞는 건강증진 관리에 관한 보건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시행된 건강 설문 조사, 검진 조사 자료를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수는 만 19세 이상의 2,972명 취업자의 체질량지수와 만성질환 유병률(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이다. 체질량지수는 아시아·태평양 비만학회에서 제시한 비만도에 따라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23 kg/m2 미만을 정상 체중(Q1), 23~25 kg/m2 미만을 과체중(Q2), 25~30 kg/m2 미만을 비만(Q3), 30 kg/m2 이상은 고도비만(Q4)으로 사분위 구간으로 분류하였다. 독립변수는 근로환경(직종, 정규직여부, 주당 평균 근로시간, 근로형태)이다. 기타변수로는 사회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 및 개인 소득수준),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요인(음주, 흡연, 운동,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증 경험)변수를 사용하였다. 일반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비율,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설명하였다. 범주형 변수의 경우 Pearson's Chi-square statistics, 연속형 변수의 경우 연속형 변수는 분산분석을 이용한 t-test 통계량을 사용하였다. 근로환경과 만성질환의 관계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근로환경에 따라 직종은 사무직, 정규직여부는 정규직, 근로 형태는 주간근로, 종사상 지위는 임금 근로자,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0시간이하를 기준으로 다른 군의 오즈비(odd ratio, OR),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95% CI), p-value등으로 설명하였다. 근로환경과 만성질환과의 독립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각 질환에서 잘 알려진 위험인자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로환경과 체질량지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오즈비(odd ratio, OR)를 계산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일반특성 차이는 남성보다 여성, 연령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비흡연자에게서 체질량지수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로환경에 따른 체질량지수는 비사무직, 주간근로, 자영업자와 고용주, 주당 평균 근로 52시간 초과군에서 체질량지수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로환경에 따른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은 변수 보정 후 비정규직과 근로형태 중 저녁, 야간, 교대근로와 주당평균 근로시간에서는 주 40시간 이하와 주 52시간 초과군에서 고지혈증 질환 오즈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로환경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만성질환과의 상호작용분석에서는 사무직이 비사무직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만성질환 중 고혈압과 당뇨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아시아·태평양 비만 분류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증가는 우리나라 사람의 질병이환과 관련이 있으며, 근로환경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증가와 만성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 및 고위험 근로자 건강 증진 관리에 관한 보건 정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임명선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과의 상관관계와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2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어린이집 보육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을 충남, 경기 지역의 국·공립, 민간, 가정, 법인,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Google Forms 설문지와 현장 설문조사를 하였고 배부된 설문지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339부를 본 연구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측정도구는 김진숙(2009)이 개발한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실행 수준 체크리스트’를 정선영(201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측정도구는 김근주, 도미향(2021)이 제작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을 구성하는 6개의 구성요인이 포함된 척도를 참작·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측정 도구로는 조부경과 백은주(2004)가 개발한 ‘유치원교사의 전문성 발달 자기 평가도구’를 이윤희(2016)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검사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내적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보육교사 코칭역량, 전문성 발달,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 통계량을 살펴봄과 동시에.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수준이 높게 나타 났으며,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수준과 전문성 발달의 수준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 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로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및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발달함에 있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근거로 앞으로의 보육현장에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키워드 : 보육교사 코칭역량, 전문성 발달,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right-respected child car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on early childhood right-respected child care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right-respect child care?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 care teachers on respecting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60 nursery teachers from July 20 to August 20, 2022.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survey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private, home, corporation, and workplace day care centers in Chungnam and Gyeonggi a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online Google Forms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public, private, home, corporation,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Chungnam and Gyeonggi area. Among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33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was the 'Checklist of the execution level of childcare respecting child care for child care teachers' developed by Kim Jin-sook (2009) and the tool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eong Sun-young (2017) and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by the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easurement too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was used to measure the scale made by the study of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which includes 6 compon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produced by Kim Geun-joo Do Mi-hyang (2021). As a tool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ers, the scale used by Lee In-soo (2013) was used as a scale developed by Cho Bu-kyung and Baek Eun-joo (2004). The scale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along with three professors and exper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the internal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of the question was calculated And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coaching competenc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I examined the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early childhood right-esteem child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 look a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level of child care respecting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level of child care respecting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as high.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development were also high.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right-respected child care. Third, the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n respecting child car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n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lternatives to contribute to child 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in future child care sites. Keywords : early childhood teacher coaching competency, professional development, infant right respect child care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다문화가정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임명선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로써 미술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PTSD) 다문 화가정 아동의 불안감소와 긍정정서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미술 치료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 제는 ‘미술치료를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다문화가정 아동의 불안과 긍정정서의 변화는 어떠한가?’와 ‘미술치료를 통한 외상 후 스트레 스 장애(PTSD) 다문화가정 아동의 불안과 긍정정서의 변화과정은 어떠한 가?’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각한 불안 증상을 보이는 만 11세 다문화가정 아동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대상 아동은 7세 경 막내 동생의 사망사고를 목격하고, 8세 때 부모 이혼으로 갑작스럽게 엄마 와 이별하게 된 연이은 외상 경험으로 강한 부정정서와 함께 침투적사고 등이 있었다. 연구방법은 Creswell의 혼합적 연구방법으로 양적 자료를 통 한 실증분석과 함께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 - iv - 한 다양한 요인과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미술치료는 2019년 3월 9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 주 1회 50분간 16회기로 진행되었다. 또한, 효과성의 증가를 위해 불안과 연관한 상담기법과 함께 새로운 미술 매체를 적용하여 미술치료를 설계하였다. 대상 아동의 사전 사후 변화는 척도검사와 그림검사를 통해 확인하였으 며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 도구로 아동 발현불안 검사(RCMA)와 한국판 긍정정서 부정정서 척도검사(K-PANAS)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검 증을 위하여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비교, 분석하여 미술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한 아동의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불안 감소에 효과 가 있었다. 척도지 검사를 통해 살펴본 불안점수는 변화량 –11(30%)로 현저한 불안감소를 보였다. 또한, 긍정정서는 변화량 +10(20%)의 상승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긍정정서 변화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불안과 긍정정서의 현저한 변화과 정과 함께 적응적인 행동 변화에도 직접적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문화가정 아동의 불안감소와 긍정정서 향 상을 위해 불안과 연관된 상담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이 역 기능적 인지를 수정하고 행동 교정이 이루어졌으며, 미술 활동을 통해 원 활하고 안전하게 외상의 기억을 분리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술치료는 외상 후 스트레스(PTSD) 다문화가정 아동의 불안을 감소하고 긍정정서 향상으로 아동의 정서와 행동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 비판적 탐구토론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임명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비판적 탐구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논증의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과학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8년 9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이루어진 공동탐구활동과 비판적 탐구토론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탐구토론의 전 과정을 녹화하고 이를 전사한 후, 툴민의 논증 분석틀, 인지적 논증구조분석, 증거의 수준 및 증거의 유형을 분석하고 예비교사들의 공동탐구와 비판적 탐구토론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툴민의 담화분석결과, 전체 1010개의 요소 중에서 주장이 426개(42.2%)로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그 다음으로 근거(Warrant)로 277개(27.4%), 자료(188개, 18.6%), 반증(100개, 9.9%), 뒷받침(19개, 1.9%)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화단위별로 분석하였을 때, 모두 9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는데, 의미 있는 총 426개의 대화중에서 CW가 143개(33.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CD(106개, 24.9%), CDW(58개, 13.6%), CWR(52개, 12.2%), CR(27개, 6.3%), CDR(16개, 3.8%), CWB(16개, 3.8%), CDWR(5개, 1.2%), CDWB(3개, 0.7%)의 순이었다. 인지적 논증구조분석 결과, 총 513개 중에서 답변이 233개(45.4%)로 가장 많았고, 반론이 106개(20.7%), 정보요구질문이 87개(17.0%), 의견요구질문이 67개(13.1%), 정교화가 20개(3.9%)의 순이었다. 예비교사들이 제시한 증거의 유형 분석결과, 경험·단순사고·일반상식이 121개(39%), 실험 및 관찰이 159개(51.3%), 전문가가 7개(2.3%), 책 및 논문·참고자료가 22개(7.1%) 그리고 인터넷이 1명(0.3%)이었다. 또한 실험 및 관찰을 통해서 논증활동을 했기 때문에 증거 수준의 위계로 보았을 때에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공동탐구와 비판적 탐구토론에 대하여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물론 장기간의 탐구활동과 토론을 준비하는 과정이 다른 활동에 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힘들다는 의견도 많았다. 그러나 예비교사로서 차후 학생들을 지도해야 하는 입장에서 과학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탐구의 경험을 갖게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탐구토론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토론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자신의 보고서를 보다 더 충실하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고 상대방의 반론에 대한 대비를 하면서 보다 더 완성도 높은 탐구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비판적 탐구토론은 토론 자체로서도 의미 있을 뿐만 아니라 탐구 자체가 보다 더 완벽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argumentation which is conducted through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and to achieve the science educational implication. For this paper, collaborative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discussion which were executed for about 4 months from Sep 1st to Dec 20th2008. In this paper, after recording and transcribing whol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discussion, ‘The Toulmin Model of Argument’, 'Analysis of cognitive argumentation structure', ‘The level of evidence’ and ‘The type of evidence’ were analyzed. Also, the survey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gnition about collaborative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discuss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oulmin’s communication analysis show that out of the whole 1010 elements, there are 426 claims (42.2%) and 277 warrants (27.4%) followed by data (188, 18.6%), rebuttals (100, 9.9%) and backings (19, 1.9%). And 9 types of argumentation pattern were found. CW (143, 33.6%) has the largest portion of all 426 sentences, and then CD (106, 24.9%), CDW (58, 13.6%), CWR (52, 12.2%), CR (27, 6.3%), CDR (16, 3.8%), CWB (16, 3.8%), CDWR (5, 1.2%) and CDWB (3, 0.7%) were following. The result of cognitive analysis of argument structure says that the answer(233, 45.4%) was much of data in total 513 and then 106 refutations (20.7%), 87 questions for information request (17.0%), 67 questions for opinion request (13.1%) and 20 clarifications (3.9%) followe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ype of evidence which was give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re were 121 experience, simplistic thinking and common sense (39%), 159 experiment and observation (51.3%), 7 specialists (2.3%), 22 book, paper and reference (7.1%) and 1 internet (0.3%). Also, because they argued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 the scheme of evidence appeared pretty high level.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collaborative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discussion as positive in general. There were some opinions that it is too hard to set up the whole process because they put a lot of time and effort into the work. However, Pre-service teachers thought of it positive to get first-hand experience of the inquiry which was important in science field because they would teach students in the future. Also, while experiencing the new type of inquiry discussion, they could write in-depth reports through the preparation against their opponents’ reputation. In conclusion, it is worth conducting scientific inquiry discussion because it gives opportunities to make the inquiries perfect and it has the value of the discussion as well.

      • 회화작품에서 물의 상징적 의미와 치유적 성격에 관한 연구

        임명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ater is as important to humans as they can not live without it, which is in accord with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has been where water is sufficient. In addition, the water has been the target of the reason for the philosophers and the motif of creative inspiration for the artists. However, in spite of such importance, studies on the influence of water in artistic creation and the emotional effect are not yet made active. Historically, water, in both East and West, has been understood having a meaning of the circulation like birth, death and regeneration. That is the reason why the society and values having the belief such as a new birth in the cycle of life after death have come into existence. And in such an awareness through the water, sometimes people could unconsciously overcome fear of death and get the transcendental power which made them accept death as sacred. Carrying these meanings, water is subject to art therapy, today's new research area, where it is asserted that "water symbolizes the depression." This study was based on such assertions, but investigated the grounds of them which existing studies had not disclosed sufficiently, through the analysis of ideas and art works of East and West. For this goal, this study considered how water was imaged and gave a healing effect in the works of paint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psychoanalysis, when the inner mind of human beings with repressed emotions is sublimated into artistic production by the embodiment in symbols, a healing effect on the human emotion can take place, in which process the image of water sometimes plays an important role. Carl G. Jung understood the symbols of metaphors that appeared in works of art as the archetypes existing in the depths of one's inner mind, where these were regarded as the shape of psychological energy, and he believed that as these archetypes rose to the surface of the conscious, "the union of the opposites" reach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And he argued that this process relieved one's inner conflict or a psychological clash and had the ability to heal the wounds of mind. In this sense, most of all, th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se symbols visualize the inner conflicts of people and enable them to be cleared up, leading to the sublimation, which is the reason why those activities using symbols are important. In this process, especially the image of water is expressed as a "symbol"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unconsciou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In such a symbol, we check the repressed unconscious hurt with our own eyes, and th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are for the first time integrated. Above all, when that image of water is combined with the human collective unconscious, and is symbolized leading to creative activity, more powerful self-healing process is formed. Kramer, the pioneer of art therapy, said that the creative process of art was a dialogue with one's inner mind, which was the re-experience of the inner conflicts of a human and at the same time the sublimation action capable of resolving such conflicts. Artistic creative process enables us to have access to the unconscious of mind, which makes us face it and also provides psychological energy by which we overcome the conflicts. In such a process, water as a vehicle to provide boundless imagination may imply a wide range of human mental world, where water plays more roles than a simple matter to people. In the fields of creative arts in the modern, as more diverse media can be used, and thus the area of representation can be extended unlimitedly, the utilization of the image of water in works will indeed have infinite possibility. As suc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ses of the symbolism and healing nature of water images through the analysis of ideas and art works of East and West; moreover,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positive meanings of water images as the materials of art work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m. Also, that these examined results will become the significant theoretical base in psychological healing activities of researchers and many artists through creation and fine arts is the expectations of the study. Keywords: water, a symbol, effects of creative activities, sublimatio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healing effect. 물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볼 때도 물이 있는 곳에서 문명이 발달하여 왔다. 또한, 물은 철학자들에게는 사유의 대상으로 예술가들에게는 창조적인 영감의 모티브가 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예술창조와 정서적 작용에 있어서 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물은 역사적으로 볼 때, 동ㆍ서양에서 모두 탄생과 소멸, 재생의 순환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한 이유에서 죽음 뒤에 새로운 탄생이라는 생명의 순환에 대한 믿음을 가지는 사회와 가치관들이 생겨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들에서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물을 통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고 죽음을 신성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초월적 힘을 얻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를 지니는 물은 오늘날 새로운 연구 분야인 미술치료에서도 연구대상이 되는데, 이 분야에서 ‘물은 우울을 상징하는 것’으로 주장된다. 본 연구는 그와 같은 주장을 바탕으로 하되, 기존의 연구들에서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근거들을 동ㆍ서양의 사상과 예술작품들의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물이 회화 작품에서 어떻게 이미지화되고 어떻게 치유적인 효과를 주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심리분석이론에 의하면, 억압된 감정의 인간 내면이 상징으로 형상화되어 예술로 승화될 때 인간의 감정에 치유의 효과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물 이미지는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융(C. G. Jung)은 예술작품 속에 나타나는 은유의 상징들을 인간 내부의 심층에 존재하는 원상으로 이해하여 이를 심리적 에너지의 형상으로 평가하고, 이러한 원상이 의식의 표면에 부상함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으로 인한 ‘대극의 합일’에 도달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과정이 인간 내부의 갈등이나 심리적 충돌을 완화시키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기능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무엇보다 그러한 상징을 통한 창작활동은 사람들의 내면 갈등을 가시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며, 그것의 해소를 가능하게 하여 승화에 이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특히 물 이미지는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과 연관되어 하나의 ‘상징’으로 나타나게 된다. 우리는 그러한 상징에서 무의식에 억압된 상처를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게 되고, 그럴 때 의식과 무의식이 비로소 통합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그러한 물 이미지가 인간의 집단 무의식과 결합되고, 상징화되어 그것이 창작활동으로 이어질 때는 더욱 강력한 자기 치유의 과정이 형성된다. 미술치료의 개척자인 크레머(Kramer)는 미술창작과정은 내면과의 대화로서 인간 내면의 갈등의 재경험이자 동시에 그러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승화작용이라고 했다. 예술창작과정은 우리를 마음의 무의식에 접근하도록 하여 이를 대면하고 갈등을 이겨낼 수 있는 심리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물은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는 매개체로서 인간의 다양한 정신세계를 함축하기도 하여 사람들에게는 단순한 물질 이상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미술창작에서는 현대에 이르러 더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표현의 영역이 끝없이 확장될 수 있기에 작품소재로서의 물 이미지의 활용과 가능성은 실로 무한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물 이미지가 가지는 상징적 의미와 심리 치유적 성격을 동ㆍ서양의 사상과 미술작품들의 분석을 통해 그 근거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작품소재로서의 물 이미지의 긍정적인 의미를 살펴보고 그 활용 가능성을 탐구해봄으로써 연구자 및 많은 작가들의 창작과 미술을 통한 심리 치유 활동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물, 상징, 창작의 효과, 승화, 의식과 무의식, 치유적 효과.

      • 小學諺解의 조어론 연구

        임명선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7631

        Sohag-Eonhae is a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Korean compiled by Gyojeong-cheong(Department of Publication) in 1586, which is made up of 6 volumes coming to 900 pages. This volumious literature has many valuable treasures of the 16th Century's Korean language, thus it is worthy of being linguistically studied. This study aims to discover and classify the derivative and compound words in this literature, and then to describe the ways they were formed from a synchronic point of view.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1. Derivation 1.1 Derivatives formed with suffixes 1.1.1 Derivation of Predicatives 1) The types in which predicatives were derived from predicatives are as follows: (1) Causative verbs a. Verbs→Causative verbs ① '-i-' : psi¨-s∂l-i-ta←psi¨-s∂l-ta(clean) ② '-iu-' : him-ski¨j-u-ta←him-psi¨-ta(make effort) ③ '-ki-' : p∂s-ki-ta←p∂s-ta(take off) ④ '-hi-' : nik-hi-ta←nik-ta (be familiar) ⑤ '-o/u-' : ti¨-ri-ti-u-ta←ti¨-ri-ti-ta (hang down), mo-to-ta←mot-ta (gather) ⑥ '-oj/uj-' : al-oj-ta←al-ta(to know), nil-uj-ta←nil-ta (take place) ⑦ '-ku-' : n∂m-ku-ta←n∂m-ta (pass over) ⑧ '-ho-' : nat-ho-ta←nat-ta (appear) ⑨ '-Λ-' : to-rΛ-ta←tol-ta (turn round) b. adjective→verb ⑩ '-i-' : t∂-i-ta←t∂p-ta(hot) ⑪ '-io-' : sil-haj-o-ta←sil-ha-ta (solid) ⑫ '-hi-' : pΛlk-hi-ta←pΛlk-ta (bright) ⑬ '-o/u-' : ol-o-ta←ol-ta (perfect), c∂m-ki¨l-u-ta←c∂m-ki¨l-ta (get dark) ⑭ '-ho-' : ni¨c-ho-ta←ni¨c-ta (late) (2) Passive verbs ⑮ '-i-, -li-' : psi¨j-ta←psi¨-ta (use), ti¨l-li-ta←ti¨t-ta (hear) □ '-ii-' : haj-hΛj-ta←haj-hΛ-ta (harm) □ '-hi-' : cap-hi-ta←cap-ta (catch) □ '-ki-' : k∂-r∂s-ki-ta←k∂-rich-ta (rescue) (3) emphatic verbs □ '-wat-' : ni-ri¨-wat-ta←ni-ri¨-ta (raise) □ '-thi-' : skΛj-thi-ta←skΛj-ta (become sensible) □ '-hj∂-' : ci-hj∂-ta←ci-ta (support) □ '-chi-' : ka-(ni¨-)ri-chi-ta←k∂- (ni¨-)ri-ta (rescue) (4) Derivative verbs formed with other suffixes □ '-tΛt-' : skΛj-tΛt-ta←skΛj-ta (become sensible) □ '-pci¨-' : kΛl-hΛj-pci¨-ta←kΛl-hΛj-ta (discriminate) □ '-suk-' : nik-suk-ta←nik-ta (be familiar) □ '-cju∂ri-' : tik-cju-∂-ri-ta←tik-ta (pick) □ '-spi¨ri-' : h∂l-spi¨-ri-ta←h∂l-ta (speak ill of) □ '-talh-' : si¨lh-talh-ta←si¨lh-ta (sorrow) □ '-ari-' : hj∂j-ari-ta←hj∂j-ta (count) (5) adjective a. verb→adjective □ '-pΛ-' : alh-pΛ-ta←alh-ta (be ill) □ '-ap-' : as-kΛp-ta←as-ki-ta (favour) □ '-p-' : tu-rip-ta←tu-ri-ta (be afraid of) b. adjective→adjective □ '-kap-' : nΛs-kap-ta←nΛc-ta (low) □ '-chi¨-' : s∂j-chi¨-ta←s∂j-ta (strong) □ '-i¨thΛ-' : kup-i¨t-hΛ-ta←kup-ta (curved) □ '-salhΛ-' : swip-sal-hΛ-ta←swip-ta (easy) □ '-hΛ-' : h∂j-ph∂l-l∂-hΛ-ta←h∂j-ph∂-ri¨-ta (loose) 2) The types in which predicatives were derived from substantives are as follows: (1) nominal→verb □ '-ci-' : mul-ci-ta←mul (group) □ '-tΛl-' : aj-tΛl-ta←aj (anxiety) □ 'zero affixes' : pΛj-ta←pΛj (abdomen), misk-ta←misk (bait) (2) nominal→adjective □ '-tap-' : cj∂ng-tap-ta←cj∂ng (normalcy) □ '-rop-' : ko-rop-ta←ko (pain) □ '-toj-' : jok-toj-ta←jok (disgrace) □ '-p-'(←-hΛp-) : ko-map-ta (←ko-ma-hΛp-ta)←ko-ma (respect) 3) The 'hΛ-ta' type verbals □ ki-u-thi¨-ta←ki-us-hi¨-ta, ki-us-hΛ-ta (incline) 1.1.2. Derivation of substantives 1) The types in which substantives were derived from substantives are as follows: □ '-pi¨j-' : p∂t-pi¨j←p∂t (friend) □ '-aj' : an-haj←anh (inside) □ '-pho' : nal-po←nal (day) □ '-sΛm' : mal-sΛm←mal (language) □ '-∂k' : th∂-r∂k←th∂l (hair) □ '-w∂l' : ki¨l-w∂l←ki¨l (letter) □ '-cil' : pu-ch∂j-cil←pu-ch∂j (fan) □ '-tj∂ng' : phΛl-tj∂ng←phΛl (arm) □ '-kan' : twis-kan←twi (rear) □ '-tΛj' : ki¨-tΛj←ki¨ (it) □ '-kos' : nΛs-kos←nΛs (←nΛch) (face) □ '-uthi¨j' : sok-u-thi¨j←sok (interier) 2) The types in which substaatives were derived from predicatives are as follows : (1) verb→noun □ '-i' : sul-m∂k-i←sul-m∂k-ta (drink) □ '-(i)m' : mΛ-chΛm←mΛch-ta (finish) □ '-u(o)m' : chum←chi¨-ta (dance) □ '-∂m' : cu-k∂m←cuk-ta (die) □ '-∂j/aj : ul-∂j←ul-ta (to roar), nol-aj←nol-ta (play) □ '-kaj' : nΛl-kaj←nΛl-ta (fly) □ '-Λs' : no-rΛs←nol-ta (play) □ '-kΛ-ci' : mot-kΛ-ci←mot-ta (meet) □ '-n' : al-un.←-ta (marriage) □ '-l' : ni-pi¨l←nip-ta (wear) (2) adjective←noun □ '-i' : nom-nΛs-ka-i←nom(←nop)-nΛs-kap-ta (high and low) □ '-wi' : t∂-wi←t∂p-ta (hot) □ '-um' : sj∂l-um←sj∂lp-ta (grievous) □ '-vj' : no-phΛj←nop-ta (high) (3) other parts of speech→noun □ '-∂m' : ch∂-∂m(←ch∂-z∂m)←ch∂s (first) 1. 1. 3 Derivation of adverb 1) The types in which adverbs were derived from predicatives are as follows: (1) verb→adverb □ 'inflectional from' : mo-ta→mot-ta (meet) □ '-i' : pis-ki←pis-ta (slant) □ '-o' : mo-to←mot-ta (gather) □ '-ok' : t∂-ok←t∂-i¨-ta (add) □ '-kom' : hΛj-j∂-kom←hΛj-j∂(←hΛj-ta) (make one do) □ 'Zero affix' : mis(←mich)←mich-ta (reach) (2) adjective→adverb □ 'inflectional form' : nal-hoj-j∂←nal-hoj-ta (slow) □ '-i' : swip-sa-ri←swip-sal-hΛ-ta (easy) □ '-o' : cΛco←cΛc-ta (frequent) □ 'the others' : il-ci¨k←j-ri¨-ta (early) □ 'zero affix' : pa-rΛ←pa-rΛ-ta (right) 2) The types in which adverbs were derived from substantives are as follows: □ '-naj' : mΛ-chΛm-naj←mΛ-chΛm (luckily) □ '-i' : nat-na-chi←nar-nach (each one) □ '-so' : mom-so←mom (body) □ '-co' : son-co←son (hand) □ '-ro' : nal-ro←nal (day) □ '-hj∂' : tok-hj∂←tok (alone) □ 'tj∂' : a-rΛm-tj∂←a-rΛm (personal) 1.1.4 Derivative attributive adjectives The types in which attributive adjectives were derived are as follows : □ 'article form' : mo-tΛn←mot-ta (gather) □ 'numeral' : hΛn←hΛ-nah (one), s∂j←s∂jh (three) 1.1.5 Derivative post-position The types in which post-positions were derived are as follows: □ 'inflectional form' : tΛ-rj∂←tΛ-ri-ta (take with) □ 'adverb' : skΛ-cang (until) 1.2. Derivatives formed with prefixes. 1.2.1. Derivative substantives □ 'n∂s-' : n∂s-hal-mi←hal-mi (grandmother) 'hal-' : hal-(∂-)ma-nim←(∂-)ma-nim (mother) 'si¨j-' : si¨j-kol←kol(←kΛ-01) (County) 1.2.2 Derivative predicatives □ 'ci¨s-' : ci¨s-mi¨--ri¨-ta←mi¨-ri¨-ta (mellow) 'ma-': ma-mΛ-rΛ-ta←mΛ-rΛ-ta (dry) 2. Compounding 2.1 Syntactic compounds 2.1.1. compound substantives a. 'noun+noun' : □ son-nj∂j (company-entertaining) b. 'article+noun' : □ ni¨1-ki¨-ni (old man) c. 'numeral+noun' : □ hΛn-ka-ci (same) d. 'numeral+numeral' : □ tu-a-jal (several tenth) e. 'numeral+article form' : □ Si¨mi¨-na-mΛn (twenty and old) 2.1.2. Compound predicatives a. 'verbal+verbal' : □ to-ra-ka-ta (return) b. 'nominal+verbal' : □ ka-zam-al-ta (manage) c. 'adverb-verbal' : □ tat-sal-ta (separate) 2.1.3. compound adverbs: □ na-am-na-am (progressively) 2.2. Asyntactic compounds 2.2.1. Coordinative asyntactic compounds a. 'verb+verb' : □ c∂-thu-ri-ta (be afraid) b. 'adjective+adjective' : □ ∂-wi-khi¨-ta (immense) 2.2.2. Subordinative asyntactic compounds a. 'verb+verb' : □ tol-po-ta (help) b. 'verb+adjective: □ t∂m-sk∂-chi¨l-ta (weedy) 2.2.3. Derivative asyntactic compound: □ om-ki-hil-hu-ta (rem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