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다래의 작품 연구 : 1.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 (2017) 2.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2017) 3.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메나리토리> (2017) 4. 소프라노와 실내앙상블을 위한 <가지 않은 길> (2017)

        임다래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작곡과 임다래의 석사 졸업 연주회를 위한 네 개의 작품에 관한 연구다. 대상은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 (2017),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2017),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메나리토리> (2017), 그리고 소프라노와 실내앙상블을 위한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 (2017)이며, 이화여자대학교 국악연주홀에서 2017년 5월 30일 초연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각 작품의 창작 배경과 의도를 밝히고 형식과 구조, 작품의 재료로 사용된 소리의 원리 등 작품에 적용된 중요 요소들을 분석했다.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은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 1874-1963)의 <가지 않은 길>을 읽은 뒤 얻은 개인적 심상을 음악으로 작곡한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이 작품은 프로스트의 시어가 제공하는 관조와 더불어, 개인적 사유, 즉 내 삶을 지배하던 순수한 열정도 담고 있다. 이 작품의 피아노에 등장하는 규칙성, 즉 같은 음과 유사한 음정의 반복은 지나온 날들의 내 순수함을 의미하는 반면, 클라리넷의 자유로운 패시지들은 내가 아직 가보지 못한 새로운 길을 향한 희구를 표현한다. 한편 이 작품의 기본적인 구조는 시의 구조와 닮아있다. A-B-C-A’-D-E라는, 회귀하는 법이 드문 구조를 가지게 된 이유를 밝힌 후, 각 부분을 형성하는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했다.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는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 1929- )의 텍스트와 존 H. 하비슨(John H. Harbison, 1938- )의 음악에서 영향을 받았다.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 나오는 “앞은 파악할 수 있는 거짓이고, 뒤는 이해할 수 없는 진리” Milan Kundera,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이재룡 역 (서울: 민음사), 114쪽. 라는 문장에 담긴 진실과 허위의 상반되는 의미를 두 악장을 통해 표현했다. 반대되는 두 개념처럼 두 악장의 형식, 소리의 원리 등이 대조적이다. ‘프렐류드’라는 부제를 가지는 첫 악장이 ‘수수께끼 같은 내면’에 담긴 ‘진실’을 노래하는데, 이 진실이란 음형 속 014의 모양으로 발견된다. ‘명징한 외면’을 가장한 ‘가벼운 거짓’을 나타내는 2악장은 존 하비슨의 <String Quartet No.2, 2악장 Concerto: Allegro, leggiero>에서 ‘레지에라멘테(leggeramente, 빠르고 가벼운)’ 부분의 재현을 의도한 것이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메나리토리>는 한반도 동부 민요 메나리토리의 요소를 담고 있다. 메나리토리는 상행 선율과 하행 선율이 서로 다른 것과 ‘레·도’ 장식음이 많은 것이 특징인데 이 작품도 같은 특징을 갖는다. 메나리토리의 시김새를 작품에서는 3도와 4도의 음정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 음정은 곡의 전개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민요의 특징인 선창, 후창의 형태를 이 작품에서는 첼로와 피아노가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작품의 구조와 음악적 소재, 음과 음정의 사용 방법과 더불어 한국 전통 음악인 ‘메나리조’에 관해 알아본 후, 이 작품에 전통 음악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프로스트의 기악적 인용이 Bb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가지 않은 길>이었다면 소프라노와 실내앙상블을 위한 <가지 않은 길>은 이 시의 성악적 인용이다. 시의 4연 구도를 따라 작품도 네 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으며, 관조적이면서도 목가적인 시의 텍스트가 작품의 전반적 분위기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작품의 구조를 밝히고 각 부분을 특징짓는 음악적 요소를 분석했으며, 시어가 의미하는 맥락과 이미지를 어떻게 음악화 하였는지 그 과정을 분석했다. 또한 이 작품의 소리는 음향의 면에서 불협화와 협화가 혼재되어 있는데 이에 담긴 의도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위 연구를 통하여 네 개 작품의 작곡 배경 및 의도를 알아보고 각 작품이 무엇으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각 곡의 부분들을 구성하는 중요한 음악 요소와 그 특징에 관해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of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structural devices and pitch materials of Da-rae Lim’s recent works. These were performed on her graduate recital on May 30th, 2017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and included the following: The Road Not Taken for Clarinet in Bb and Piano, Trio for Clarinet in Bb, Violoncello, and Piano, Menari-tory for Violoncello and Piano, The Road Not Taken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musical materials. The Road Not Taken for Clarinet in Bb and Piano, in single movement form, is inspired by American poet Robert Frost. The clarinet’s pastoral timbre was specially selected as the instrumentation to express the poetry’s sensibilities. The figural regularity on piano expresses a feeling of expectation and desire, whereas the clarinet’s freer passages expresses possibility. The form of the piece (ABCA’DE)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poem, which has only few repetition in stanza. The study of this work also focuses on the details of its non-functional pitch centricity based on a series of trichords. The Trio for Clarinet in Bb, Violoncello, and Piano is inspired by the novel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by Milan Kundera. In his novel, he expresses that “the crystallized surface is a mendacious matter, but the covered truth is a labyrinth.” which is used to form the musical narrative. The contrasting words of “truth” and “untruth” becomes the body of expression for each movement. The first movement, inspired by Mozart’s Kegelstatt k. 498, is a “Prelude” containing “a deep truth of humaness” based on a series of Set-Class prime forms derived from (014). The second movement, inspired by John Harbison’s String Quartet no. 2, focuses on four different thematic sources (as a “fragmental mobile”) and symbolizes “a mendacious matter” through the expression of leggiero in the strings. The third piece, Menari-tory for Violoncello and Piano contains a folk-like tune from the Eastern province of Korea. The name, Menari-tory refers to a musical tradition of Korea. This composition’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olk music and how it influences the musical materials of Lim’s Menari-tory. Based on a “germ motif,“ this piece is analyzed into seven different sections (A-B-A’-Codetta-C-D-A’’), where this motif prevails the almost entirely. The pitch material employed in Menari-tory has several characters, such as the prevailence of major 3rds and perfect 5ths, which is in reference to the intervallic content of the soource material. Furthermore, the signature ornamentations from the traditional music are incorporated into Lim’s music, with some transfiguration. Within this discussion, the paper also demonstrates the relevancy between new and tradition. For the fourth piece, The Road Not Taken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is also a citation of The Road Not Taken by Frost. While the prior composition is a narrative through (non-vocal) instrumental music, this is a vocal text setting. The structure of the piece reflects the form of the poetry, being divided into four parts (A-B-C-D.) The “quasi-appoggiatura,“ a type of dramatic motive from the introduction, prevails nearly the entire piece. Even though this music is composed on the basis of atonality, several parts employ emotionally quasi-tonal lyric sentences based on the 4th and 5th intervals. This study details the structure, manner, characteristics, and word painting tendencies, while demonstrating its relationship through non-functional pitch centricity. In conclusion,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various textural ideas from literature, Korean tradition and personal experience shape the creative ideas of the compositions. Outlining the overall concept, while characterizing each piece, the musical atmospheric signature is explained. These elements define the purpose and personal style of the composer.

      •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s for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es : RT-LAMP 기법을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신속 특이 진단법 개발

        임다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es (FMDV) is essential for the prompt control of FMD outbreaks.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real-time quantitative RT-PCR (qRT-PCR) are used for routine FMDV diagnosis as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recommended diagnostic assays. However, these PCR-based assays require sophisticated equipment, specialized labor, and complicated procedures for the detection of amplified products, making them unsuitable for under-equipped laboratori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a simple, rapid, and cost-effective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assay was developed for the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serotype O or A FMDV circulating in the pool 1 region. The amplification could be completed in 40 min at 62°C, and the results could be visually detected by the naked eye without any additional detection systems. Serotype O FMDV-specific RT-LAMP assay specifically amplified the VP3 gene of serotype O FMDV, but did not amplify the VP3 gene of other serotype FMDVs or any other viruses. The limit of detection of the assay was 102 TCID50/mL or 103 RNA copies/µL, which is 100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RT-LAMP assay without swarm primers. The new assay is 10 times more sensitive than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is comparable to the sensitivity of real time RT-PCR (qRT-PCR). Evaluation of the assay using different serotypes of FMDV strains showed 100% agreement with the RT-PCR results. The previously reported serotype O FMDV-specific RT-LAMP assay did not detect 20 out of 22 strains of serotype O FMDVs, probably due to multiple mismatches between the primer and template sequences, showing that it is not suitable for detecting the serotype O FMDVs circulating in Pool 1 region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contrast, the developed sRT-LAMP assay with improved primers can rapidly and accurately diagnose serotype O FMDVs circulating in Pool 1 region countries and will be a useful alternative to RT-PCR and qRT-PCR. Serotype A FMDV-specific RT-LAMP assay specifically amplified the VP1 gene of the Sea-97 genotype of serotype A FMDV, but it did not amplify other viral nucleic acids. The limit of detection of the assay was 102 TCID50/mL, which is 10 times more sensitive than RT-PCR and is comparable to the sensitivity of qRT-PCR. Evaluation of the assay using different FMDV strain serotypes showed 100%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RT-PCR. Surprisingly, the previously reported RT-LAMP assay did not detect all eight tested strains of serotype A FMDVs, due to multiple mismatches between primer and template sequences, demonstrating that it is not suitable for detecting serotype A FMDVs circulating in pool 1-region countries. Conversely, the newly developed RT-LAMP assay using improved primers can rapid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genotype of Sea-97 strains of serotype A FMDVs from the pool 1 region. The established RT-LAMP assays in this study is a simple, rapid, specific, sensitive, and cost-effective tool for the detection of serotype O or A FMDV in the resource-limited pool 1-region countries. 구제역 발생 시 효율적인 초기 방역을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법의 개발 및 활용이 필수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실험실에서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추천하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 (RT-PCR) 및 실시간 정량 RT-PCR (qRT-PCR)과 같은 PCR-기반 진단법들을 구제역 진단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PCR-기반 진단법은 고가의 장비, 전문인력, 복잡한 판독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반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일반 진단실에서는 활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간단한 장비를 이용하여 등온조건에서 O 및 A 혈청형 구제역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RT-LAMP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개발 RT-LAMP 진단법은 62℃에서 40분 이내에 반응이 완료되었으며, 증폭결과를 추가적인 과정 없이 바로 육안으로 판독할 수 있었다. O 혈청형 구제역바이러스 진단용 RT-LAMP의 경우, O 혈청형의 구제역 바이러스의 VP3 유전자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하였다. 스웜프라이머를 추가로 적용한 sRT-LAMP의 검출 민감도는 스웜 프라이머 비첨가 RT-LAMP에 비해 100배 이상 향상되었으며, 현행 표준진단법인 RT-PCR보다는 10배 높았고, qRT-PCR과는 동등하였다. 다양한 혈청형의 구제역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검출효율을 비교한 결과, RT-PCR 결과와 100% 일치하였다. A 혈청형 구제역바이러스 진단용 RT-LAMP의 경우, 혈청형 A의 Sea-97 유전형에 속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VP1 유전자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하였다. 진단법의 검출 한계는 102 TCID50/mL로 RT-PCR보다 10배 더 민감하였으며 qRT-PCR의 민감도와 유사하였다. 다양한 혈청형의 구제역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검출효율을 비교한 결과, RT-PCR의 결과와 100% 일치하였다. 한편, 이전에 다른 연구자에 의하여 보고된 RT-LAMP 진단법의 경우에는 해당 프라이머와 공시 구제역바이러스의 목표 유전자간에 다양한 염기서열 불일치로 인하여 pool 1 지역의 O 및 A 혈청형 구제역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이 연구에서 개발한 RT-LAMP 진단법은 pool 1 ​​지역 국가에서 유행하는 O 및 A 혈청형 구제역바이러스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현행 표준진단법(RT-PCR 및 qRT-PCR)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신념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다래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신념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재직 중인 다문화유아 지도 경험을 가지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228명이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다문화 감수성 측청하기 위해 chen과 Starosta(2002)가 개발하고 김옥순(2008)이 번안한 ‘다문화 감수성 척도(Intercultural Sensitivity)’를 사용한 박정희(2014)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다문화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성영화(2010)가 개발한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다문화 효능감 측정 도구는 Guyton와 Wesche(2005)가 개발한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Multicultural Efficacy Scale: MES)를 최종옥, 모경환(2007)이 번안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9.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보육교사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t-test)과 F검증(ANOVA: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및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신념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선형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유아 지도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문화 신념’은 보육기관 형태, 다문화 교육 관련 이수경험, 학력, 연령, 일반교육경력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 효능감’은 학력, 다문화 유아 지도경력, 일반 교육 경력, 다문화 교육 관련 이수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 효능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신념이 다문화 효능감의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은 다문화 효능감 전체의 25%정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효능감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은 다문화 효능감의 ‘일반기능’을 21%정도 설명하였으며, 다문화 효능감의 ‘수업기능’의 17%, 다문화 효능감의 ‘인간관계’를 22%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Molecular diagnosis and epidemiology of foot-and-mouth-disease in Korea

        임다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우제류 가축과 야생 동물에서 발생하는 매우 강력한 전염성 바이러스 질병인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은 구제역 바이러스(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로 인해 발생한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무역에 영향을 미치고 가축 생산이 감소하여 경제적 손실을 일으킨다. 구제역바이러스는 Picornaviridae과 Aphthovirus 속에 속하며, 특징적인 유전학적 및 면역학적 특성을 갖춘 7개의 서로 다른 혈청형(O, A, Asia 1, C, Southern African Territories (SAT) 1, SAT 2, SAT 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O, A, 및 Asia 1 혈청형이 발생한다. O 혈청형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 혈청형이며, 2020년 이후부터는 O 혈청형 중에서 O/ME-SA/Ind-2001e 유전형이 우세하게 발생하고 있다. A 혈청형은 유라시아에서 가장 유전적으로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URO-SA, AFRICA, ASIA 세 가지 지역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중에서 아시아 국가에서 주로 발견되는 지역형은 ASIA이다. Asia 1 혈청형은 유전적 다양성이 적은 편이며 아직 충분한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은 1934년 이후 구제역 발병이 없었지만, 2000년, 2002년 및 2010년에 구제역이 발생했다. 2010년 발생으로 인해 36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2011년 초부터 구제역에 감수성이 있는 모든 동물에 예방접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강력한 예방접종 정책이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O 혈청형(O/ME-SA/PanAsia, O/ME-SA/Ind-2001e, SEA/Mya-98)과 A 혈청형(ASIA/Sea-9)의 구제역이 발생하여 총 11회의 발병이 있었다. 그리고 2023년 5월, 충청북도 청주와 증평 지역에서 소와 염소 목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으며, 9일간 지속되었다. 구제역의 효과적인 예방과 통제를 위해서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특성 분석 및 백신 매칭 테스트가 이루어지며,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구제역바이러스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다. 따라서 신속하고 정확한 구제역 진단은 필수적이다. 현재의 진단법은 RT-PCR 및 항원 검출 ELISA를 주로 포함한다. 하지만 저소득 국가의 열악한 실험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RT-LAMP 검사는 PCR과 유사한 감도와 특이도를 제공하지만, 더 편리한 사용과 더 쉬운 수행이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구제역바이러스의 O, A, Asia 1 혈청형의 동시 감별을 위한 real-time RT-PCR과 구제역바이러스의 모든 혈청형을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할 수 있는 real-time RT-LAMP(RRT-LAMP)를 개발하였다. 또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에서 발생한 O/SEA/Mya-98 및 O/ME-SA/Ind-2001e 유전형에 역학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한국 및 그 이외의 지역에서의 발생하는 구제역의 진단 및 통제에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FMDV를 신속하게 검출하고 혈청형을 감별할 수 있는 multiplex real time RT-PCR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VP1 부위를 타겟으로 하는 primers/probe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개발 multiplex real time RT-PCR은 FMDV RNA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고, 다른 바이러스와 음성대조군은 검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개발 진단법의 검출한계는 10-102 copies 수준으로 기 보고된 진단법(3D real time RT-PCR, 염기서열분석법)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하거나 1000배까지 민감하였다. 임상시료에 대한 진단효율 검증 결과, 개발된 진단법은 기존의 진단법에 비해서 검출율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우수하게 혈청형을 감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multiplex real time RT-PCR은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구제역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3종 혈청형(O, A, Asia 1)을 감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MDV를 신속하게 검출하기위한 real time RT-LAMP(RRT-LAMP)를 개발하고 FMDV 표준시료 및 임상시료를 이용하여 진단효율을 평가하였다.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RRT-LAMP 개발을 위해 assimilating probe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RRT-LAMP는 62°C 등온에서 FMDV RNA만을 특이적으로 증폭시켰으며, 다른 FMDV와 돼지 병원체는 검출하지 않았다. 임상시료에 대하여 개발된 RRT-LAMP와 기존 real time RT-PCR 진단법의 진단효율을 비교한 결과, 검출률 (39/69)이 일치하였으며. 검사 시간 면에 있어서는 기보고된 real time RT-PCR에 비해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개발된 진단법의 반복성 및 재현성 변동 계수는 106-103에서 1.0% 미만으로 우수한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RRT-LAMP 분석은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를 보이면서도, 임상 시료에서 FMDV를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법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향후 현장에서 FMDV의 진단과 역학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진단장비와 핵산추출방법 등의 개선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전국적인 백신정책을 실시하고 백신 후 모니터링(PVM)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바이러스와 우리나라 주변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를 수입하여 구제역의 유입경로와 전파경로를 추측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2010년부터 2019년도까지 독립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8번 유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16년도 구제역 발생은 2015년도에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잔존에 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구제역은 대부분 주변 구제역 상재국으로부터 유입되어 발생하며 유입 및 전파를 막기위해서는 강력한 백신 프로그램과 방역정책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발생 구제역의 역학을 이해하고, 차후 발생 구제역을 대비하고 통제하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oot-and-mouth disease (FMD) is a highly contagious viral infection affecting both domestic and wild cloven-hoofed animals, caused by the 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 FMD outbreaks have been associated with substantial economic losses, impacting trade and livestock productivity. FMDV, belonging to the Picornaviridae family and Aphthovirus genus, comprises seven serotypes (O, A, Asia 1, C, Southern African Territories (SAT) 1, SAT 2, and SAT 3), each with unique genetic and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Serotypes O, A, and Asia 1 are prevalent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erotype O is particularly wide spread and has various sub-lineages, with O/ME-SA/ Ind- 2001e dominating since 2020. Serotype A is the most genetically diverse among Eurasian serotypes, classified into EURO-SA, AFRICA, and ASIA topotypes. ASIA topotype is prevalent in Asian countries. Serotype Asia 1, while less genetically diverse, remains insufficiently classified. Korea experienced sporadic FMD outbreaks in 2000, 2002, and 2010, causing substantial economic losses. Despite vaccination policies, FMD outbreaks continued from 2014 to 2019, primarily caused by serotypes O and A (ME-SA/PanAs ia, ME-SA/Ind-2001e, SEA/Mya-98 for O, and ASIA/Sea-97 for A). In May 2023, FMD outbreaks affected cattle and goat farms in Cheongju and Jeungpyeong, Chungcheong bukdo, persisting for nine days. Genetic and vaccine matching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global FMDV epidemiology and control measures. For effective FMD control, rapid and accurate assays are essential. Current molecular assays include RT-PCR and antigen detection ELISA, but new methods are required for under-equipped laboratories . RT-LAMP assays offer comparabl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PCR-based assays but are more convenient. This study developed a multiplex real-time RT-PCR for specific detection and differential serotyping of FMDV serotypes O, A, and Asia 1 from clinical samples. Additionally, an advanced real-time RT-LAMP (RRT-LAMP) assay was developed for the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all seven FMDV serotypes. The regional context of type O FMDV lineages causing outbreaks in Korea (O/SEA/Mya-98 and O/ME- SA/Ind-2001e) was reconstructed.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FMDV surveillance, diagnostics, and control in Korea and beyond. First, we developed a multiplex real time RT-PCR diagnostic that can rapidly detect FMDV and differentiate serotypes. By using a set of primers/probes targeting the VP1 region, we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multiplex real time RT-PCR specifically detects FMDV RNA, but not other viruses and negative controls. The limit of detection of the developed assay was 10-102 copies and was equally or up to 1000-fold more sensitive compared to published assays (3D real time RT-PCR, sequencing).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efficiency verification on clinical samples showed that the developed diagnostic method not only had a higher detection rate than the existing diagnostic method, but also had excellent serotype discrimination. Therefore, the multiplex real time RT-PCR developed in this study can accurately diagnose FMD with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and differentiate three serotypes (O, A, and Asia 1). In addition, an RRT-LAMP for rapid detection of FMDV was developed and its diagnostic efficiency was evaluated using FMDV standard samples and clinical samples. An assimilating probe was used to develop an RRT-LAMP that can be diagnosed in real time. The developed RRT-LAMP specifically amplified FMDV RNA at 62°C isothermal temperature and did not detect other FMDV and porcine pathogens.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the developed RRT-LAMP and the existing real-time RT-PCR diagnostic method on clinical samples showed that the detection rate (39/69) was consistent. In terms of test time, the test time could be shortened compared to the reported real-time RT-PCR.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the developed diagnostic method were found to be less than 1.0% in 106-103, indicating excellent accuracy. Therefore, the RRT-LAMP assay developed in this study has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and can be utilized as a rapid diagnostic method for FMDV in clinical samples. However, further improvements in diagnostic equipment and nucleic acid extraction methods are needed to make it useful for diagnosi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of FMDV in the field.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wide vaccination policy and post-vaccination monitoring, Korea continues to experience outbreaks of FM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ortation of FMDV from 2010 to 2019 in Korea, as well as viruses that occurred in the vicinity of Korea, to estimate the introduction and transmission routes of FM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eight independent outbreaks of FMD in Korea from 2010 to 2019. In particular, the outbreak of FMD in 2016 was confirmed to be caused by the remnants of the FMDV that occurred in Korea in 201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MD in Korea is mostly caused by importation from neighboring FMD-affected countries, and that strong vaccination programs and control policies are needed to prevent importation and transmis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us understand the epidemiology of the FMD outbrea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