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 內 괴롭힘에 관한 연구

        이형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 內 괴롭힘을 알아보고자 진행된 것이다. 아직 국내에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없는 관계로 연구 1에서는 척도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괴롭힘의 경험(피해, 가해, 가해-피해, 無경험)이 척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2에서는 괴롭힘의 피해경험과 자기효능감,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고립감이 괴롭힘의 피해경험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괴롭힘 경험(피해, 가해, 가해-피해, 無경험)에 따라 나눈 네 집단 간에 척도의 각 항목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의 괴롭힘 척도를 국내에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2의 결과에서는 괴롭힘의 피해경험과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명백한 공격행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고립감의 매개효과에서도 이를 제외한 적대감 표현행위와 방해 행위, 그리고 괴롭힘 행위 전체에서는 유의한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형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인지적 전략으로 알려진 메타인지 전략을 학습에 활용하는 것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해 보았다. 첫째,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연구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연구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 사이에 학습태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과에 적용할 수 있는 메타인지 학습지를 제작하였고, 6학년 1학기 3단원 ‘계절의 변화’에서 메타인지 전략이 적용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해 보았다. 기존에 수학과에서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던 모형을 분석하고 초등과학의 실정과 학습자의 지적 수준에 맞게 적절히 변형하여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수업의 경우,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의 수준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기본적 처치를 하였을 뿐 최대한 형식 및 절차를 간단히 하여 학습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스스로 자신의 인지 상태를 파악하는 초인지 과정을 경험하기도 하고, 스스로 인지상태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의 경우, 모둠학습의 형태로 서로의 인지상태를 파악해 줄 수 있도록 협동학습의 요소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즉,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즉,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바와 같이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과 학습태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다양한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세 손가락 로봇핸드의 설계 및 제어

        이형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공존하는 빌딩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물건을 원하는 곳으로 배달할 수 있는 로봇시스템의 일환으로 모듈화 되고 재구성이 가능한 범용핸드를 개발한다. 또 다양한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연구한다. 따라서 가볍고 파지력이 높으며 적절한 힘으로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핸드를 개발한다. 또한 기구부의 구조적 신뢰성을 높이고 핸드 안에 모든 부가장치를 구비하여 모듈로써 재구성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발한다. 뿐만 아니라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연구한다. 파지물체의 환경에 관계없이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실험을 하며 힘제어와 위치제어를 통하여 관절각의 여유를 크게 함으로써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함을 알아본다. 핸드의 횡운동을 이용하여 물체를 시험적으로 파지하여 물체의 형상을 인식한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ular, dextrous robotic hand towards the indoor service robotic ap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ontrol the multi-fingered robot hand which can be used as a part of the service robot. The service robot, as a target system, is a self-contained, fully autonomous mobile manipulator platform in order to carry out delivery tasks. In this dissertation, fully-integrated compact robot hand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grasp various target objects. Target objects include cylinder, block, paper, door knob and so forth. Objectives are to achieve simple, compact and light weight mechanism and fingertip contact force sensor implementation. Control issues include stable grasping and shape estimation of target objects.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e usefulness of design and applied control strategies.

      • 초강천 하천정비에 따른 담수조류 군집변화에 관한 연구

        이형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하천정비와 관련하여 초강천 하천정비구간을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1차), 2005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2차) 총 4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이화학적 환경요인과 담수조류의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해 하천정비 전·후의 군집변화를 살펴보았다. 조사기간 동안 초강천의 수온은 2.2∼28.6℃, 수소이온농도(pH)는 6.68∼8.11, 전기전도도(EC)는 66.1∼137.0μS/cm, 용존산소(DO)는 6.37∼12.72mg/ℓ의 범위로 조사되었고,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에 pH와 전기전도도가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류하천은 중·하류 하천에 비해 유수량 변화가 심하고 주변 환경에 의한 변화폭이 큰 점을 감안하면 1,2차 조사시기의 이화학적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강천의 유수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강수량은 조사기간 동안 월평균 강수량을 기준으로 11월부터 5월까지는 대부분 100㎜이하로 유사하였으나, 2001년 6∼7월에 약 150∼200㎜정도의 강수량에 반해 2005년 7∼8월에는 250㎜가 넘는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2차 조사시 다소 많은 강수량이 기록되었다. 기온은 조사해당일의 월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최저기온 -3.7℃, 최고기온 25.4℃를 보여 조사기간 동안의 연평균 기온은 대체로 비슷하게 기록되었다. 본 조사기간 동안에 조사대상하천의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는 총 149종으로, 1차 조사에서는 128종이 관찰되었지만 2차 조사에서는 84종만이 관찰되었을 뿐, 녹조류 20종, 남조류 11종, 규조류 10종 등의 분류군별 출현종 감소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출현종은 부착성 조류에 기인하는 종으로 전형적인 부유성 조류는 많지 않았다. 현존량은 전체 평균으로 1차 조사(5.1×102cell/㎖)에 비해 2차 조사(27.2×102cell/㎖)에 약 5.3배의 높은 수치로 증가해 출현종 변화와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1차 조사시 3월, 11월에 Achnanthes minutissima, A. convergens 등과 같은 규조류가 78.5%∼91.1%로 우위를 나타냈으나, 6월, 9월에는 Scenedesmus brasiliensis 등의 녹조류(18.4%∼25.9%)와 Homoeothrix janthina 등의 남조류(15.2%∼20.6%)의 조성비율이 높아져 규조류의 조성비율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2차 조사에서는 각 조사시기에 관계없이 규조류의 조성비율이 74.5%∼97.3%로 절대 우점하였다. 조사시기별로 우점하는 우점종수는 14종에서 11종으로 3종이 감소하였으나, 우점종의 현존량 상대빈도는 높아졌다. 우점도지수는 1차 조사시(평균 0.31)에 비해 2차 조사시(평균 0.53) 우점도지수가 다소 상승하였는데, 2차 조사시 남조류와 녹조류의 우점비율과 출현종이 감소되면서 규조류의 우점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이며, 다양성지수, 균등도지수, 종풍부도지수 등도 대체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착조류의 출현종수는 총 123종으로 1차 조사에서는 99종이 확인되었지만, 2차 조사에서는 84종이 관찰되어 기타 조류가 소량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규조류 5종 등 총 15종이 감소되어 녹조류가 큰 비율로 감소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돌부착 조류를 대상으로 한 현존량은 전체 평균으로 1차 조사(2.0×106cell/㎠)에 비해 2차 조사시(12.9×106cell/㎠)에 약 6.5배의 높은 수치로 증가하였다. 출현종간의 우점비율은 전 조사시기에 남조류와 규조류가 높게 나타났는데, 1차 조사시 3월에만 규조류가 우점하였을 뿐, 나머지 시기에는 남조류가 우점하였고, 2차 조사시 9월과 11월에는 규조류가, 2월과 5월에는 남조류의 우점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우점종수의 감소와 우점종 현존량의 상대빈도가 높아진 것, 그리고 전체 우점도지수를 비롯한 기타 군집지수의 변화는 식물플랑크톤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초강천 수질의 유기오염도 판정을 위한 DAIpo(Watanabe et al, 1990)를 분석한 결과, 1차 조사시 55.28∼97.53의 변화폭에 의해 α-빈부수성에서 극빈부수성 수역으로 평균 68.96(α-빈부수성)을 나타내었고, 2차 조사에서는 54.68∼91.09의 변화폭에 의해 1차 조사시와 동일한 수역으로 평균 70.38(β-빈부수성)로, 전체 수환경은 1차 조사시와 대체로 유사하거나 다소 양호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환경조건이 비교적 유사한 가운데 출현종수가 감소된 것, 우점종류가 단순화 된 것 그리고, 몇몇 특정종들에 의한 전체 현존량이 증가된 것 등으로 담수조류 군집이 단순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원인으로는 강수량 변화와 수질변화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지만, 무엇보다 물리적 교란에 의한 미서식지(microhabitats) 단편화가 주원인으로 판단된다. 생물의 서식공간과 먹이, 피난처를 제공하는 미서식지는 수생태계의 종다양성 증가를 통해 먹이사슬을 유지시키고, 자연정화능력 등의 자연적 하천기능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하천 고유의 역할과 의미를 더해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친수공간이기도 하다. 하천생태계에 있어서 담수조류와 같은 1차생산자의 다양성과 생산성은 동물플랑크톤부터 저서동물, 어류, 양서·파충류 및 조류(鳥類), 포유류 등의 상위 포식자에 이르기까지 견고한 먹이사슬을 이루는 근간이 되며, 이를 위해 미서식지의 보전과 유지는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통수단면적의 확보와 수해방지대책 및 수리시설물 확충 등의 이·치수기능과 하천 공간정비(고수부지, 체육시설, 공원, 주차장 등) 개념에 치우친 근래의 하천관리에 있어서, 생물의 서식지 조성 및 자정능력을 통한 환경기능과 이·치수 기능을 상충하여 서로간의 조화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phytoplankton community disturbance caused by river-improvement,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cological properties of the freshwater algae including phytoplanktons were analyzed twice at four sampling stations of Chogang Stream at Keum River from March 2001 to November 2001(1st Survey) and from September 2005 to May 2006(2nd Survey). During the 1st Survey period,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2.2℃ to 28.6℃, pH from 6.68 to 8.11 and DO from 6.37mg/ℓ to 12.72mg/ℓ. No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1st and 2nd survey. Monthly average rainfall affected Chogang stream's water flow was totally under 100mm during the dry season from September to May, and above 150mm during the rainy season from July to June 2001. But unusual heavy rain fall recorded above 250mm from June to August 2005. Monthly mean temperature ranged from -3.7℃ to 25.4℃ during the survey and differed slightly between 1st and 2nd Survey period. Phytoplankton species number observed are 149 and 128 during the 1st and 2nd survey 84 respectively. Several periphytons namly 20 species of green algae, 11 species of blue-greens and 10 species of diatoms disappeared (were not observed) after the river improvement. Average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ere detected higher level at the 2nd survey(27.2×10²cell/㎖) than those at the 1st survey(5.1×10²cell/㎖). Diatoms such as Achnanthes minutissima, A. convergens appeared dominantly in March and November. but greens(18.4%∼25.9%) of whole standing crop such as Scenedesmus brasiliensis and blue-greens(15.2%∼20.6%) such as Homoeothrix janthina increased their standing crop in June and September during the 1st survey. Diatoms(74.5%∼97.3%) were absolutely dominant throughout the 2nd survey period. But dominant indices increased a little bit from average 0.31 of the 1st Survey period to average 0.53 of the 2nd Survey period, and main composition of diatom community decreased in their species number from 14 species to 11 species but the standing crop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dominant indices(DI) and species number of blue-greens and greens decreased, Species diversity indices(H'), evenness indices(E), richness indices(RI) were also low. From the benthic algal communities, 123 specie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Survey. During the 1st survey 99 species were observed and 13 greens, 5 diatoms, and 3 blue-greens were lost at the end of the 2nd Survey (only 84 species appeared). But whole standing corp increased to 1.0×10^(6)∼3.7×10^(7)cell/㎠. Average standing crop (of benthic algae) were detected higher level at the 2nd survey(12.9×10^(6)cell/㎠) than those at the 1st survey(2.0×10^(6)cell/㎠). Blue-green algae and diatoms are dominated throughout the 2st survey; blue-greens mainly during February to May and diatoms (A. minutissima, A. convergens) in September and November. Main species composition altered to simple so as phtoplankton communities did, relative frequency of dominant species increased. DAIpo(Watanabe et al, 1990) was used to examine water pollution by organic matter. DAIpo(55.28∼97.5) of Chogang Stream during the 1st Surevy indicated the water quality α-oligosaprobic to Xenosaprobic and change of DAIPo(54.68∼91.09) during the 2nd Survey showed water environment after river-improvement was upgraded a little bit. Through this study, freshwater algal community change of Chogang Stream were recognized as simple (eg, decrease of both species number and main species composition, but standing corp of a few species increased) after river-improvement because artificial disturbance made microhabitats diversity simple, even though Monsoon rainfall or water condition changed also acted on the community. Diversity of microbitats in a river as ecological niche, spcae to live, for food and shelter increase river species diversity, maintain food chain and the self-purification ability recovering its own natural function and role.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servation and maintaining the diversity of microhabitats of a river is the most important for nature-human familiar water-space. The diversity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imary producer of a river is connected to healthy community of zooplankton, benthos, fishes, reptiles, amphibians, birds, finally mammals of the environment by food chain. So conservation and maintaining the diversity of microhabitats is very important and significant. So recent river management both in the aspect of water controlling through construction of plants and dams, to prevent waterflood by maximizing carrying capacity and enlarging cross area and in the aspect of space management around river (play area, park, car parking lot, high-water revetment etc) must be readjusted to make harmony between water-control function and environmental function eg encreasing self-purification ability through maximizing the microhabitats diversity.

      • 분산전원 연계 허용용량 개선을 위한 스마트인버터 기능 최적 설정 방안

        이형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환경 문제 및 연료 고갈 문제 해소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전원 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과 8차 전력수급계획에 의해 2030년까지 발전량 비중의 20%를 재생에너지로 구성 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배전계통에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V)의 연계용량이 증가 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되는 분산전원 용량의 증가는 선로의 과전압 및 상시최대운전용량 초과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책 목표 달성과 함께 안정적인 배전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분산전원 연계 허용용량(Hosting Capacity)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분산전원 연계 허용용량 개선을 위해서는 분산전원 출력으로 인한 선로의 과전압 및 상시최대운전용량 초과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 기존 선로의 과전압 문제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배전용변전소 주 변압기의 탭 제어, 선로전압조정장치(Step Voltage Regulator, SVR) 설치 방안이 있다. 기존 상시최대운전용량 초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선로의 동적용량 평가, 분할연계율 증가 방안이 있다. 그러나 기존 방안들은 선로의 과전압 및 상시최대운전용량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로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배전계통에 연계된 대부분의 분산전원은 인버터 기반의 태양광 발전이므로 스마트인버터 기능을 활용한 방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인버터의 전압-무효전력 기능은 연계점 전압에 따라 무효전력 출력 지령치를 제어하며 전압-유효전력 기능은 연계점 전압 에 따라 유효전력 출력 지령치를 제어한다. 기존 스마트인버터의 기능 설정과 관련되어 있는 연구들은 대부분 정해진 기본 설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기본 설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기존 방안은 다양한 배전계통에 효율적인 적용이 어렵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인버터 기능 적용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배전계통에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 전압-무효전력 기능 및 전압-유효전력 기능을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최적 설정 방안 과정에서는 최적으로 설정되는 매개변수 수, 기능 설정 업데이트 기간, 군집화(Clustering)를 활용한 기능 설정, 개선 요소 중요도를 고려함으로써 기존 방안들과 비교하였을 때 분산전원 연계 허용용량 개선 뿐 아니라 시스템 성능, 분산전원 출력 감소 억제에 대한 효과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스마트인버터 기능 최적 설정 알고리즘은 준 정적 시계열(Quasi-Static Time-Series) 시뮬레이션인 OpenDSS와 Matlab을 활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To solve the environmental and fuel depletion problems, the capacity of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renewable energies is being increased.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policy aims to realize 20% of the total power generation to be composed of renewable energies by 2030. Photovoltaic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increases to achieve the policy targets. However,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distributed generation causes problems such as over-voltage and excess thermal capacity. To ensure a stabl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 research on improving the hosting capacity of distributed generation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osting capacity, the problems of over-voltage and excess thermal capacity caused by the distributed generation must be solved. Existing methods to resolve the over-voltage problems include the tap control of the main transformer in the subst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a step voltage regulator. Existing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of excess thermal capacity include the dynamic rating evaluation and the division-ties increase method. However, the existing methods have certain limitations. Therefore, because most of the distributed generation is inverter-based photovoltaic, the method using the smart inverter function has gained attention. The volt-var function of the smart inverter controls the reactive power command according to the voltage at the point of common coupling. The volt-watt function of the smart inverter controls the active power command according to the voltage at the point of common coupling.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smart inverter function focused on analyzing the effects by applying the default settings. It is challenging to efficiently apply the method to choose from default settings to various distribution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optimal function setting method using a genetic algorithm for efficient application in various distribution systems. The proposed algorithm comprises various considerations that help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thods. Initially, this study confirms the parameter number effects that are flexibly and optimally set in the function. Subsequently, the effect of the setting according to the update period is analyzed. Then, the effect of the optimal function setting using clustering is verified. Finally, the effect of the optimal function setting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improvement factor of the multi-objective function is confirmed.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e hosting capacity and system performance, and suppresses the output reduction.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 through the simulation using OpenDSS and MATLAB.

      • 최서해 문학에 드러난 아나키즘적 경향 연구

        이형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최서해 문학에서 발견되는 민중, 자유, 폭력 등을 아나키즘 사상으로 분석하여, 민족과 계급의 양분적 구도로 최서해 문학을 논의한 기존 연구를 지양하고, 최서해 문학 전반의 연속성과 현재적 의의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최서해와 아나키즘 사상 간의 관련양상을 확인하기에 앞서, 최서해가 활동하던 시대의 담론적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1920년대 아나키즘의 유입된 배경 및 전개, 분화의 논리를 살펴보았다. 식민지 조선은 사회진화론을 부국강병의 논리로 받아들였으나 1차 세계대전 이후 제국주의의 논리임이 밝혀지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 중 아나키즘 사상도 유입되었는데, 1920년대 초 식민지 조선에서는 아나키즘과 사회주의 사상이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사회주의가 과학적 공산주의로 발전하게 되면서, 아나키스트들과 공산주의자들 간의 운동방법상의 차이가 점차 드러나게 되었다. 아나키스트들은 공산주의자들과 결별하고 독자적인 조직을 형성하여, 공산주의와 이념노선투쟁을 전개한다. 이러한 분화는 문단 내에서 아나-볼 논쟁으로 이어졌다. 김화산은 이 논쟁에서 정치적 자율성의 동의어인 예술적 자율성을 주장하였으나, <카프> 문인들로부터 예술지상주의라는 비판을 받고 제명당한다. 이 논쟁에서 확인되는 아나키스트 문인들의 신념은 본능, 자율성, 자유 등이었다. Ⅲ장에서는 아나키스트들이 보인 신념이 최서해 문학에서 확인됨을 살펴보았다. 먼저, 1절에서는 최서해가 받아들인 허무주의가 크로포트킨의 아나코-코뮌주의임을 확인하였다. 다음 2절에서는 최서해 창작집『혈흔』서문에 드러난 충동, 반역, 양심, 자유 등은 자신의 자유를 억압하는 불합리한 제도를 타파하고, 창조적 본능을 실현할 수 있는 자유로운 사회에 대한 갈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자유는 아나키즘 사상의 출발점이다. 또한 최서해는 자신의 사상과 반항적 기질이 지도나 교육에 의해서가 아닌 삶의 경험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아나키즘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이지 않음’, ‘학습이 아닌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반항의식’과 연결된다. 3절에서는 최서해 소설이 특정 계급이 아닌 다양한 주체를 형상화한 이유를 살펴보았다. 최서해는 지식인의 지도가 아닌 민중의 자발적 참여로 전개되는 투쟁을 강조하였다. 문학가나 지식인들은 민중의 길라잡이다. 4절에서는 민중이 행사하는 폭력이 실효성이 없는 우발적 행위가 아니라, 합리적 의사가 불가능한 식민주의 사회에서는 불가피한 조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서해 소설의 폭력은 민중 자신의 잠재적 힘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 계기의 요소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직접행동의 선전적 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인도주의적 윤리감을 통하여 최서해 문학 전반의 연속성을 규명한 다음, 최서해와 <카프>의 상관성 및 최서해 문학의 현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기존에 부정적 관점으로 고수되었던 후기 인도주의 문학의 인도주의는 타인의 고통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한 자신 혼자서만 평온한 생활을 누릴 수 없다는 ‘참인간의 참생활’을 천명한 『혈흔』서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투쟁의 방법이 극단적인 폭력에서 인도주의를 통한 내면의 양심 투쟁으로 변모한 것이다. 최서해는 방향전환 후에도 <카프>에서 지양된 경제투쟁에 계속 천착함으로써 본능, 생활, 반항으로 구성된 문학을 지향하였다. 거대담론이 해체되고, 이 상황을 대체할 전망적인 사상을 모색하는 오늘날에 아나키즘 사상이 화두에 올랐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0년 이후 문학은 이전의 문학이 간과했던 인간의 실존적ㆍ내면적 문제에 시선을 돌린 90년대 문학의 유산을 이어받아 개인과 사회, 개별의 감각과 감정, 현실에 대한 사유의 지평을 넓혀나갔다. 2000년대 이후의 문학은 특정 이념으로 환원할 수 없을 만큼 정념의 분출로 가득 차 있다. ‘단정적이지 않음’, ‘체계적이지 않음’, ‘원초적임’ 등 최서해 문학의 아나키(즘)적인 것들은, 특정 이념으로 환원하여 해석이 불가능한 21세기 신경향파 문학의 위치를 논의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한다.

      • 규소산화물이 코팅된 세슘납할로젠화물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전기분무법을 활용한 미세입자 제작

        이형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자점을 display와 같은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액 상태의 양자점을 용액 상태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래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이용해서 분말 또는 박막을 만들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용액 상태의 양자점을 다시 더 향상시키기 위한 후공정을 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미세입자의 형태를 띄어야 한다. 그러나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이용해서 미세입자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 하였다. 여기, 우리가 CsPbBr3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이용해 균일하고 구형을 띄며 발광하는 미세입자를 만들었다. 이 미세입자를 이용해 color by blue LED 단일 패키지까지 실제로 구현하였다. 미세입자를 만들기 위해서 전기분무법을 이용하였고 전기분무 과정에서 효율감소를 줄이기 위해, 양자점에 SiO2를 코팅하였다. 우선, 전기분무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양자점이 용액상태이면서 SiO2가 양자점에 너무 두껍지 않게 단분산되면서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합성하였다. 그 다음, 전기분무법을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만들 수 있으면서도 양자점의 발광특성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해서, Ti-iso-propoxide 용액을 전기분무 공정 단계에 사용하였다. 그리고나서, 전기분무 단계의 여러 가지변수 조절을 통해 미세입자의 형태와 광특성을 최적화 하였다. 그리고 나서 미세입자를 silicone binder에 섞어 LED 패키지를 만들었다. 미세입자의 발광효율은 최대 ~55% 까지 나왔으며 FWHM 25nm, 발광파장 516nm였다. 미세입자의 지름은 약6~8㎛였으며 LED의 발광특성은 변환효율 24.54%, EQE 15.5%, LE 35.31lm/W, 발광파장 514nm 였다. In order to apply the QD to devices such as displays, the QD in solution must be made solid. Thus,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to make powder or film using perovskite QD. However, in order to further upgrade the solid QD again, it has to be in the form of a uniform microbead.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make microbeads using perovskite QD. Here, we created a uniform, spherical and emitting micro bead using CsPbBr3 perovskite QD. Using this micro bead, we actually realized the color by blue LED single package. Electrospray (e-spray) was used to make the micro bead, and SiO2 was coated on QD to reduce the efficiency decrease during the e-spray process. First of all, in order to apply the e-spray method, it was synthesized so that the QD was in solution and the SiO2 was uniformly coated monodisperse without being too thick on the QD. Next, Ti-iso-propoxide solution was used in the e-spray process step in order to make microbeads using the e-spray method while not losing the luminescence properties of QD. Then, the microbead morphology and optical properties were optimized by adjusting various parameters of the e-spray stage. The microbead was then mixed with a silicone binder to form an LED package. The emission efficiency of microbead was up to ~ 55% and FWHM 25nm, emission wavelength was 516nm. The diameter of the microbead was about 6 ~ 8㎛, and the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ED were 24.54% conversion efficiency, 15.5% EQE, LE 35.31lm/W, and 514nm light emission wavelength.

      • 팝아트 작가 이하의 풍자기호 해석

        이형진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풍자예술이 사회적으로 상연되고 소비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이하(본명 이병하)의 풍자작품으로 연구하였다. 사실 이하 작품의 사회적 공연과 검찰의 기소는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끝나지 않은 사회적 현상이며 연구하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으나, 일련의 사건들이 수년간 경과한 터라 현재까지의 사회적 공연을 정리하는 것으로도 그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다. 본 연구는 예술의 자율성이 새로운 사회적 현상을 추동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사회적 진보의 단면으로써 저항문화의 수용과 관계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풍자예술에 대한 억압이 우리 사회의 도덕적 기준을 강제하고, 개인은 그것을 수용하는가? 그리고 그 도덕적 기준이 개인의 윤리로 작동하는가? 하는 질문이 꼬리를 물었다. 이는 베버가 그의 책『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를 낳게 된 원인을 종교윤리에서 찾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면 풍자예술이 사회변화의 한 원인으로 작동하고, 이를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예상을 해보았다. 연구대상인 이하의 초기 작품은 주목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대통령 풍자그림으로 기소됨으로써 대중의 이목을 끌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서사적 대립관계도 지속되고 있으며, 연구하기에 좋은 소재가 되었다. 본 논문의 조사시점(2015년 7월) 이후로도 검찰은 이하에 대해 건조물침입 죄 등의 5가지로 기소하고 있다. 분석의 대상은 사이버상의 감상자로 삼았다. 이것은 사이버공론장에서의 빠른 응답과 즉흥성으로 그 변화를 쉽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론장에서의 논쟁과 수용의 과정을 해석적으로 접근하였고, 의미 있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는 린다허천의 패러디 이론을 살펴보고, 이하 작품의 풍자방법과 상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보도하는 언론과 사이버상의 감상자 반응을 뒤르케임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뒤르케임의 성(聖)과 속(俗)은 풍자작품이 사회적으로 상연될 때 예술(聖, 긍정)이냐, 모욕(俗, 부정)이냐를 두고 다투게 된다. 대중은 개인의 윤리에 비추어 미적 판단을 내리고 그것을 억압하는 반대세력에 저항하는 의식을 가지게 된다. 물론 사이버상의 의례행위는 개인을 완전히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인해 그 진정성을 의심할 수도 있으나, 그것을 뛰어넘어 오프라인의 행위를 촉발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이는 사이버공론장이 사회적 의례의 한 방법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공론장에서의 도덕은 권력을 위해 작동되지 않았다. 사이버공론장의 개인은 풍자의 정치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해 또 다른 온‧오프라인 행동을 이어갔다. 그들은 이하의 작품을 붙이러 다니기도 하고, 홍대에 작품을 배포하기도 하기도 했다. 또한 이하의 작품활동을 위한 금전적인 지원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사이버공론장 의례의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풍자작품은 초기 진영의 논리를 벗어나 의례로 다루어지고, 이하와 같은 행위자의 증가와 그들의 의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요한 현상은 기존의 포스트모던과 같은 탈권력을 지향한다. 이는 어찌 보면 당연히 예상된 결과이기도 하다. 이하는 풍자를 통한 저항의식과 자율성을 대중에게 퍼포먼스로 제공했고, 아마추어 작가나 그것을 소비하는 대중은 이하의 작품을 긍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현상은 더 중요한 것을 내포한다. 현상의 결과는 의식의 변화가 원인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본 논문은 예술로 인해 변화의 계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풍자예술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의 발생 지점을 이론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했다. 사심으로는 이를 통해 사회와 나를 이해하는 혜안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