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침의 두통 완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이현은 차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배경 : 두통 완화에 대한 침의 효능을 조사한 다수의 연구가 있다. 그들 중 일부는 침이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일부는 샴 치료(sham acupuncture)나 대체 치료방법보다 우수하지 않다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합하여 두통에 대한 침술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본 메타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 메드라인에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검색하여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표준화된 평균차(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각각의 효과크기를 역변량가중치를 적용하여 전체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 12편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결과, 통합효과크기는 0.33이었고, 전체 효과크기에 대한 95%의 신뢰구간은 0.29~0.3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조군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메타분석한 결과, sham acupuncture를 대조군으로 설정한 연구에서는 효과크기가 0.06 (95% CI : -0.13~0.2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메타분석 결과, 침술이 두통 완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ham acupuncture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침이 두통 완화에 효과가 있었지만, 침의 효과가 경락이론에 근거한 전통적 방식의 취혈 때문만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조군으로서의 sham acupuncture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침술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체계화된 임상 연구와 침의 작용기전 연구, 적절한 대조군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Backgrounds Acupuncture is often used as an intervention to reduc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dach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relieving headache remains controversial. The objectiv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relieving headache.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acupuncture for headache were collected using Pubmed(Medline) search engin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 we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eated and control by the pooled standard deviation. Then, overall effect size is estimated by combining each effect size. Results Twelve trial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Overall effect size of 0.33 (95% CI, 0.29 to 0.36) showed that acupuncture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control group for headache relief.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upuncture and sham acupuncture(ES=0.06, 95% CI, -0.13 to 0.25).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relieving headache.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for an effect of real acupuncture over sham acupuncture. This suggests that puncturing non-acupoint also has headache-relieving effect. That is, headache-relieving efficacy of acupuncture may not be due to acupoints selection based on traditional meridian theory. These findings have to be interpreted with caution.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and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clarify the efficacy of acupuncture. Keywords : Acupuncture, Headache, Tension-type headache, Migraine, Meta-analysis

      • 영화 <영웅본색>(1986)과 리메이크 영화 <무적자>(2010)의 비교연구

        이현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오우삼의 영화적 삶에서 폭력미학을 담은 자신만의 영화 스타일을 선보여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폭력의 인식을 완전히 전복시켜 폭력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세계적으로 제공했다. 오우삼의 영화적 삶은 세시기로 나눠 볼 있다. 첫 번째는‘코미디 영화와 무협 영화의 시기’(1973~2003), 두 번째는 그가 홍콩에서 영화를 제작했던 시기(1986~1992), 세 번째는 미국 할리우드에서 영화를 제작했던 시기(1993~2003)이다. 특히 두 번째, 홍콩에 있을 때 만든 영화는 사람들이 ‘영웅’시리즈라고 한다. 이 시기의 영화를 만들 때 그는 자신이 만든 영웅의 감정을 영화 속으로 주입해 스크린에서 새로운 영웅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송해성 감독은 졸업 후 근 10년의 조감독 생활을 했다. 이는 그러한 조감독 생활에서 그는 영화경험을 많이 쌓였다. 1999년 송해성 감독은 그의 처녀작 <카라>와 2001년의 두 번째 작품 <파이란>으로 충무로를 주름잡고 대종상과 청룡영화제라는 큰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송해성 감독은 <역도산>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등의 영화를 찍었고, 2010년에는 홍콩영화 <영웅본색>(1986)의 스토리를 한국적인 <무적자>를 제작했다. 이 두 편 영화는 30년 사이에 두고서 같은 스토리 배경과 다른 감독, 다른 국적 그리고 다른 디테일이 각 영화의 스타일의 차별화를 주었다. 두 영화의 주제와 내용이 의리를 다룬 것이지만, 그러나 영화 <영웅본색>(1986)이 보여준 의리는 강호의 의리를 보여준 것이고, 이와는 달리 <무적자>(2010)가 보여준 것은 형제 간의 정이다. 본 논문은 이 두 영화의 주제와 영화의 시각적 스타일과 청각적 스타일의 분야에서 대비해 분석해보았다. 클로즈업과 슬로모션, 도구, 대사와 사운드라는 다섯 개의 부분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는데, 이러한 분석은 같은 스토리 아래 다른 감독이 만든 영화 스타일의 다름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의 서론 부분에서 두 편 영화의 비교분석에 대한 필요성 및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두 번째 부분은 오우삼과 송해성, 두 감독에 대한 전체적인 소개한다. 세 번째 부분에서 여섯 부분까지는 오우삼의 ‘영웅’ 시리즈의 시작인 <영웅본색>(1986)과 한국 영화<무적자>(2010)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두 영화의 주제, 인물, 시청각적 요소 등 부분의 비교는 두 영화의 색다른 스타일에서 오는 매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CAN 기반의 동적 ID 할당을 이용한 선박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이현 부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thesis proposes a marine engine state monitoring system using dynamic ID application and scheduling method of network sensors which collects the state of bearings temperature and pressure of engine through the CAN network. This thesis proposes the effective monitoring method for marine engine system, which is implemented based upon CAN (Controller Area Network) network. As the marine engine monitoring system requires various kind of information, a lot of sensor nodes are distributed to several places. The dynamic application mechanism of CAN protocol ensures, which all nodes are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node identifiers. All the CAN modules are connected to the SCU (Signal Control Unit) module for the efficient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SCU module of the time master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of CAN module message. Through these methods, message with low-priority were ensured to transmit message and node balancing on CAN bus. This design reduces the cost for wiring and improves the data transmission reliability by recognizing the sensor errors and data transmission errors.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as RS232 and RS485 is supported for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Marine Engine State Monitoring System. Therefore state of marine is able to be checked in ER(Engine Room).

      • 한식 뷔페레스토랑 브랜드 로고디자인특성과 소비자 반응,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 연구

        이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39

        외식기업은 서비스 산업의 한 분야로 타 업종에 비해 제품을 눈으로 직접 보여줄 수 없는 무형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브랜드를 직접 선택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2010년부터 시작된 한식 뷔페레스토랑이 최근 높은 매출증대와 고객의 사랑을 받으며 외식시장의 블루칩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한식 뷔페레스토랑은 한글을 곧바로 브랜드 로고에 접목시켜 브랜드 네임을 소비자에게 빠르게 인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행동연구에서 감정적인 구성체들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최근 소비자들은 감성적인 소비세대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즉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처리와 해석으로는 완전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감정적인 측면이 더 중요한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소비를 통해 감정의 변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던 외식고객의 인구통계학적 세분화를 중심으로 외식브랜드 로고의 디자인 특성 및 소비자 반응과 브랜드 자산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소비행동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자료를 중심으로 한식 뷔페레스토랑 브랜드 로고디자인의 특성과, 소비자 반응, 브랜드 자산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여 도출된 측정항목을 토대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실증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측정문항을 토대로 서울·경기지역 한식 뷔페레스토랑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단순무작위 표본을 추출하여 2015년 9월 1개월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여 363부를 실증분석 표본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한식 뷔페레스토랑 브랜드 로고디자인의 특성이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 소비자 반응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명쾌함과 자연스러움이라는 로고디자인 특성의 요인에 대해서 소비자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로고디자인 특성은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 반응도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반응이 로고디자인 특성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에 대해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한식 뷔페레스토랑의 로고디자인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우선적인 인지순위를 본 결과에서 시원하다, 깔끔하다, 동적이다, 통일 감있다 등의 항목이 비교적 높은 평균값을 보였는데, 각 브랜드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브랜드 로고디자인의 특성은 눈에 잘 띄고,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하는 로고에 대해서 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레스토랑을 선택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심신의 안정감을 취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것으로, 즉 고객들은 레스토랑의 로고에 대해서 빠른 인식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뷔페레스토랑의 특성상 조용한 분위기보다는 동적인 컨셉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브랜드 로고디자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다는 것은 소비 반응에 긍정적인 감정과 의미를 심어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결국 브랜드 자산을 높이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즉 현재의 소비자 트렌드는 감정과 의미 전달이 하나의 중요한 변수라는 것으로 브랜드 로고디자인은 소비자의 감정을 만족시키고, 명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로고가 제작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랜드 로고는 레스토랑의 컨셉과 동시에 소비자의 욕구가 내포되어 있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따라서 마케터가 디자인한 로고가 소비자의 욕구를 잘 내포시키고 있다면 브랜드 자산으로 연결되어 마케팅에 성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는 단지 제품을 판촉하는 시대에서 브랜드를 판매하는 시대로 전환되었다. 소비자는 브랜드를 선택하고, 구매하고, 소비한다는 것으로 결국 제품과 브랜드는 하나로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기업인 외식기업이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브랜드 로고디자인을 제작할 때 가장 중점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도출해내고자 하였고, 또한 소비자 반응이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 것으로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였고, 브랜드로고 디자인 수립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읽기지도 연구

        이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mart devices in teaching the English rea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by providing English reading clas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its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26 six graders in a classroom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Korea. For this goal,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set up. First, will the children's English capability be improved through the English class using the smart devices? Second, will the children's interest in English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nglish class using the smart devices? As the procedure of study, I have studied the learning theories on the use of smart devices, the theories on reading classes and the method of using the applications through the study of prior literatures and studies. Second, I selected the smart applications which would be easy for children to understand and is interesting. Third, I devised the learning model and made a teaching plan proper to the selected fairy tale and applied them to the experimental class. Fourth, I conducted the inspection before and after class to find out what effect the class has made on the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learning attitud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class using smart devices on the English capability, I evaluated the 20 question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The average score of the examination after the class showed the increase of 2.22 poin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 made a research using the questionnaire to find out how the class using the smart phone affects the interest of children in English and learning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est in English showed a rise of 4.00 after the class from before the clas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 but that the conviction in English declined by 2.27, down from before the class, making i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described above, the English reading class using the smart device helps children to develop their English and also improve their interest in the English. So, I made a conclusion that the use of the smart device is very effective in English class.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영어 읽기 지도를 시도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읽기 지도를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초등학교 어린이의 초등영어 지도를 통하여 아동들의 영어 능력은 향상될 것인가? 둘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초등학교 어린이의 초등영어 지도를 통하여 아동들의 영어 흥미도는 향상될 것인가? 연구 절차로는 첫째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적절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이론 및 읽기지도에 관한 이론과 어플리케이션 활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아동들의 수준에 맞고 이해하기 쉬우며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동화에 맞게 학습 모형과 학습지도안을 구안하여 실험 수업에 적용하였다. 넷째, 수업 전과 후에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영어 읽기 능력과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활동이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수업 전-후에 동일한 문항으로 총 20문항을 평가하였다. 검사결과 사후검사의 평균이 2.22점 높아졌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였다. 둘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활동이 영어에 대한 흥미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그 결과도 사후 검사에서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사전검사보다 4.00 높아졌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2.72로 전보다 조금 낮아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이상과 같이 초등학교 영어 읽기지도에 있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면 어린이들의 영어에 대한 능력 신장과 더불어 영어에 대한 흥미도를 높일 수 있어 스마트기기의 활용이 초등학교 영어수업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일부 지역 주민의 연령에 따른 난시성분의 변화

        이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Astigmatism is a refractive error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s. The prevalence of astigmatism changes with age, ethnic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number of astigmatism is also associated with degrees of myopia. For these reasons,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prevalence of astigmatism, particularly focusing on refractive astigmatism, but there are limited data on the distribution of corneal and internal astigmatism.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astigmatism, it is important to know the distribution of all the components of astigmatism, their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age-related changes.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1) reported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changes in components of astigmatism and its axis for age groups, (2) estim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astigmatism, and (3) docum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tigmatism and spherical power.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1.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in all subjects was 24.6% for the right eye, 25.5% for the left eye and 32.9% for either the right or the left eye.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due to gender and lateralit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with age.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changed with the highest prevalence of astigmatism found in the 60+ age group, and the second highest in the 20~29 age group, while the lowest prevalence was shown by the group between 20~29 and 60+. There was low frequency of astigmatism in 30~39 and 40~49 age groups, because the astigmatic axis changes from WTR astigmatism to ATR astigmatism.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in 50~59 and 60+ age groups increased because ATR astigmatism was more frequently found.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stigmatism in the astigmatic components based on age difference. The number of refractive and corneal astigmatism increased from 5~9 age group to 20~29 age group, and then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 number of internal astigmatism was constant up to the 40s but it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after the 50s. 4. There were also changes in the astigmatic axis with age. The frequency of WTR astigmatism was predominant up to the 30s. However, the frequency of WTR astigmatism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while the frequency of ATR astigmatism was predominant even after the 30s. The frequency of oblique astigmatism was relatively constant with age. 5. There were age-related changes in astigmatic components and their axes due to the change of the corneal sha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rneal steepening occurred at the weak meridian commonly horizontal meridian and such changes began in the 30s. 6. J0 components of refractive, corneal and internal astigmatism in the astigmatism group were changed with age but they did not change in the non-astigmatism group. In the astigmatism group, J0 components of refractive astigmatism decreased remarkably from the 20s to the 50s, which is 0.77 D for the 20s age group and -0.63 D for the 50s age group. And J0 components of corneal astigmatism decreased from 0.93 D (in the 20s group to -0.14 D in the 50s group. It indicated a decrease in corneal astigmatism. The J0 components of internal astigmatism also decreased from -0.27 D in the 30s age group to -0.99 D in the 50s age group, which indicated to increase the internal astigmatism. However, J45 components of refractive, corneal and internal astigmatism did not changed among the age groups. 7. It is apparent that compensation occurs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internal astigmatism to minimize the magnitude of refractive astigmatism in the non-astigmatic group. However, this did not occur in the astigmatic group. 8.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astigmatism and the spherical power of ametropia. Refractive astigmatism and corneal astigmatism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bsolute spherical power in both myopia and hyperopia. However, internal astigmatism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bsolute spherical power. It is possible to accelerate the progression of myopia when the compensation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internal astigmatism is not suitable. In summa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with age because there were age-related changes in astigmatic components and their axes due to the change in the corneal shape. After 20 years of age, the number of corneal astigmatism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whereas internal astigmatism increased with age. The compensation occurs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internal astigmatism to minimize the magnitude of refractive astigmatism in the non-astigmatic group but this is not the case in the astigmatic group. Refractive astigmatism and corneal astigmatism increased with higher absolute spherical power in spherical error but internal astigmat decreased with increasing absolute spherical power. Therefore, the progression of myopia may accelerate if the compensation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internal astigmatism is not suitable.

      • Joaquín Turina의 연가곡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에 관한 연구

        이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19세기 후반 유럽 대부분의 나라들(동· 북유럽)은 자유와 평등을 확립하고자 한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게 되고 민족 해방을 목표로 하는 국민주의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민족의식은 점차 강화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경향은 음악에도 반영되어 국민악파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들에 의해 민족주의 음악은 나타난다. 민족주의 음악은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의 연장이라 할 수 있으나 각 민족 고유의 음악에서 새로운 소재를 찾아내어 음악에 민족적 색채를 표현하려 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사상은 각국으로 퍼져 독일과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유럽 국가에 비해 음악적으로 후발적인 나라들(러시아, 체코, 헝가리, 핀란드, 스페인 등)에 의해 발전하게 되고 20세기에 이르러서는 독자적인 기법에 의해서 한층 더 명확한 민족주의 음악으로 나타나게 된다. 스페인 역시 시대적 사조의 영향을 받아 민족주의 성향을 띄우게 된다. 특히, 스페인은 역사적으로 잦은 전쟁과 침략을 겪으면서 다양한 문화와 전통, 관습, 종교, 언어 등 복잡한 민족의 흐름을 지닌 나라이다. 이러한 점에서 스페인의 민족주의 음악은 풍부한 소재와 독특한 기법, 다양한 문화가 반영되었다 할 수 있다. 20세기, 스페인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에 하나가 호아킨 투리나(Joaquín Turina:1882~1949)이다. 그는 스페인의 남부에 위치한 안달루시아 지방에서 태어났다. 그는 마드리드와 파리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공부하였으며, 이후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 비평가 등으로 활동을 한다. 유학시절 파리에서 댕디에게 순환형식적인 작곡법을 배우지만 알베니즈의 충고로 스페인의 민족적 색채를 담은 곡들을 작곡하기 시작하게 되면서 스페인의 민족주의 작곡가가 된다. 그의 대표적인 성악곡으로는 이 논문의 주제, 피아노 독주와 사랑에 관한 시가 담겨진 네 개의 성악곡으로 이루어진《노래형식의 시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