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정가의 역할과 조정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의 노사분쟁 조정사례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ased on grounded theory which aims at generating theories. The researcher interviewed 11 mediators of labor disputes mediating as members of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ttee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recorded their responses and analyzed them. First, through open coding, a total of 117 concepts were identified. Using continued comparison and questioning, the concepts of the role of the mediator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eve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the conflict, addressing emotions, evaluation of the other party’s willingness to reach an mediation, support of the parties for negotiation, negotiation with parties, establishing trust and process management.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of Strauss and Corbin, a paradigm model (causal conditions,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s, arbitrary conditions, action and interaction, and results) the relation between the sub-categories of the seven roles of the mediator were established to elaborate on how each role operates. Next, of the seven roles of the mediator, ‘establishing trust’ was selected as the core category as it is the most central and analytical and can encompass all other roles. A theoretical hypothesis was then established to explain the variation of the mediator’s role (mediation styles) according to the type of trust.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role of the mediato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se four types and the role of an effective mediator after establishing trust, the four dimensional mediation styles (Facilitative-Narrow, Facilitative-Broad, Evaluative-Narrow, Evaluative-Broad) presented by Riskin was used as the trait of mediation style. Of the seven roles of the mediator, six roles excluding the assessment of the other party’s willingness to reach an mediation, was used to conclude 81 detailed roles. To each detailed role, an mediation style was assigned as a trait and was allocated a dimens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iskin. These data were converted into quantitative data using the frequency of statement by study participants and the percentage of responses, and used for analysis of the mediation style. The role of the mediato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four types of trust was analyzed. Then, the most effective mediation type was logically inferred based on the four types of trust and Riskin’s classification criteria. The following theoretical hypothes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types of trust thus concluded. 1. The most effective mediation type once neutral trust is established is the facilitative narrow type. 2. The most effective mediation type once humane trust is established is the facilitative broad type. 3. The most effective mediation type once expert trust is established is the evaluative narrow type. 4. The most effective mediation type once identity trust is established is the evaluative broad type. 5. When neutral trust and aligned trust are established, facilitative narrow role is most predominant. 6. When neutral trust, identity trust and humane trust are established, the facilitative broad role is most predominant. 7. When neutral trust, identity trust and expert trust are established, the evaluative narrow role is most predominant. 8. When neutral trust, identity trust, humane trust and expert trust are simultaneously established, 8-1 When human trust is stronger, the facilitative broad role is more predominant. 8-2 When expert trust is stronger, the evaluative narrow role is more predominant. In this study, the scene of one study participant actually serving as mediator in a dispute was observed and analyzed. In this observation, the seven roles of an mediator were all found too. The establishment of trust type and the subsequent mediation style became important grounds upon which the above hypotheses were set. These also show that the study results are vali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nverting qualitative data into quantitative data for analysis, the reality was more accurately delivered and validity was improved. Second, by going beyond concluding the role concept of an mediator but identifying how each role works, the basis for standard model development and competency development was laid. Third, a standard for selecting an mediation style or how to establish trust was presented. Fourth, the study went beyond conceptual description to establish a practical theory. 이 연구는 이론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근거이론 방법에 의해 자료의 수 집과 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노동위원회 조정위원 또는 교섭협력관 으로서 노사분쟁 조정을 하고 있는 조정가(연구참여자) 11명에 대해 실제 조정 현장에서 조정가의 역할을 묻는 반구조화 질문방법을 통해 인터뷰를 하고 이를 녹취하여 전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개방코딩을 통해 117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이를 지속적비교와 질문 방법을 활용하여 범주화한 결과 조정 과정에서 조정가 역할을 갈등 의 실체 파악, 감정 다루기, 당사자 조정의지 평가, 당사자 협상 지원, 당 사자들과 협상, 신뢰구축, 프로세스메니지먼트의 7개로 범주화하였다. 이 를 다시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패러다임 모형(인과 적 조건,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을 활용하 여 7개의 조정가 역할 범주의 하부 범주들간의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각 역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조정가의 7역할 중 가장 중심적이고 분석적 힘을 가지고 있으 면서 다른 모든 역할들을 통합할 수 있는 ‘신뢰구축’을 중심범주로 선 택하고 이를 중심으로 신뢰유형에 따른 조정가 역할(조정유형)의 변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가설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4가지 유형의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에서의 조정가 역할과 신뢰를 구축한 이 후 효과적인 조정 가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리스킨이 제시한 4차원(Facilitative-Narrow, Facilitative-Broad, Evaluative-Narrow, Evaluative-Broad)의 조정유형을 속 성으로 활용하였다. 조정가의 7역할 중 조정유형을 부여하기 적합하지 않 은 ‘당사자 조정의지 평가’를 제외한 6역할 범주의 세부적 역할 81개를 도출하여 각각의 역할에 조정유형을 속성으로 부여하고 리스킨의 조정유 형 분류 기준에 따라 차원화시켰다. 이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진술 빈도와 백분율로 양적 자료화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유형에 대해 분석하는데 활용되었고, 4가지 신뢰유형의 구축과정에서 조정가의 역할이 어떠한 조 정유형을 가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4가지 유형별 신 뢰가 구축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조정유형은 신뢰의 4유형과 리스킨의 조정유형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신뢰유형에 따른 조정유형의 이론적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중립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효과적인 조정유형은 Facilitative Narrow 형이다. 2. 인간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효과적인 조정유형은 Facilitative Broad 형이다. 3. 전문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효과적인 조정유형은 Evaluative Narrow 형이다. 4. 일체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효과적인 조정유형은 Evaluative Broad형 이다. 5. 중립성 신뢰와 일체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Facilitative Narrow형의 역할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난다. 6. 중립성 신뢰와 일체성 신뢰, 인간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Facilitative Broad형의 역할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난다. 7. 중립성 신뢰와 일체성 신뢰, 전문성 신뢰가 구축된 경우 Evaluative Narrow형의 역할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난다. 8. 중립성 신뢰와 일체성 신뢰, 인간성 신뢰, 전문성 신뢰가 동시에 구 축될 때 8-1 인간성 신뢰가 더 강하게 구축된 경우 Facilitative Broad형의 역할 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8-2 전문성 신뢰가 더 강하게 구축된 경우 Evaluative Narrow형의 역 할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연구참여자 중 한 명이 실제 조정하는 장면을 관찰 하여 이를 분석하였는데 조정 관찰에서도 조정가의 7역할이 전부 발견되 었고 신뢰유형 구축과 그에 따른 조정유형은 조정 관찰 결과가 위의 가설 을 설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으며 이는 이 연구 결과가 충분한 타당성 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질적데이터를 양적데이터화하여 분석함으로 써 보다 현실세계를 정확히 전달하고 타당성을 높였으며 둘째, 단순히 조 정가의 역할 개념을 도출하는데 그치지 않고 각 역할들이 어떻게 작동하 는지를 밝힘으로써 추후 표준 모델 개발과 역량 개발의 기초가 되었으며 셋째, 조정가가 조정유형을 선택하거나 어떠한 신뢰를 구축하여야 하는지 에 대한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넷째, 개념적 서술을 넘어 실질적인 이론 구축을 시도하였다는데 있다.

      • 타문화권 선교사역에 있어서 예장고려측(GRPC)의 협력선교에 관한 연구

        이현상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타문화권 선교활동에 있어서 예장고려측(GRPC)의 협력 선교에 관한 연구 이 현 상 지도교수 성 남 용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내가 (이방인 중에서) 세워 나의 명성을 듣지도 못하고 나의 영광을 보지도 못한 먼 섬들로 보내리니 그들이 나의 영광을 열방에 선파하리라.…나는 그 중에서 택하여 제사장과 레위인을 삼으리라”(사 66:19-21)고 하신 하나님의 세계선교 비전은 영원하다. “모든 민족으로부터 모든 민족에게로”(From Every People To Every People)라는 명제는 이 시대의 선교 과제이다. 선교는 한 교회나 한 개인이나 한 기관만이 할 수 있는 전유물이 될 수 없다. 모든 사람, 모든 족속, 모든 교회가 받았고 따라야 할 사명이다. 기독교의 2000년 역사는 선교의 역사이다. 주님의 선교 명령을 따른 사람들의 순종의 역사이자 희생의 역사이다. 타문화권에서 선교활동을 하는 선교사, 선교사를 파송한 선교 기관으로서 교회, 선교사를 받은 선교현장의 교회가 함께 손을 마주 잡고 열매를 맺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드려야 할 일이 선교이다. 본 논문은 “타문화권 선교활동에 있어서 예장고려측(GRPC)의 협력 선교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① 파송을 받은 선교사와 현지교회는 어떤 형태의 협력을 하고 있는가? ② 선교사와 현지교회 간에 어떤 갈등이 있었으며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③ 미래에 예상되는 선교 협력의 형태는 어떤 것일까?라는 질문을 통해 접근했다. 선교사와 선교현지 교회가 협력하는 데는 많은 문제들이 있다. 그럼에도 협력은 필수적이다. 교회 운동을 하는 선교사와 교회들은 더욱 그러하다. 선교사들은 네비우스(John L. Nevius)의 자립원리를 협력하는 현지교회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협력하는 교회의 목양과 리더십을 현지교회의 지도자에게 승계하거나 승계할 준비를 해야 한다. 풀러(W. Herold Fuller)가 주장했던 우산이론(umbrella illustration)에 근거한 개척자(pioner) 단계, 부모(parents) 단계, 동반자(partner) 단계, 참여자(participant) 단계를 거치면서 선교사는 새로운 개척지를 찾아야 한다. 협력하여 선교하는 동안 여러 가지 갈등이 발생하지만, 인내하고 기도하며 성경적인 가르침을 통해 교육하고 이를 극복해야 한다. 역사가 깊고 정보가 많은 외국선교단체와의 협력을 위해 언어의 장벽과 사고의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 특히 교회 개척과 목양, 구령(救靈)과 기도의 열정과 같은 장점들을 공유해야 한다. 당장은 선교지의 교회가 기도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지만 가까운 미래에 세계선교를 위하여 이바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현지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세계교회를 위하여 이바지할 수 있는 자리로 나아가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현지교회가 자립(self-suporting), 자치(self-goverment), 자전(self-propagation)하므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가 되도록 훈련하고 도와야 한다. 한국교회는 성경적이고 건전한 개혁주의 신학을 확립하여 미래의 세계선교를 위한 신학과 선교신학에 기여해야 해야 한다. 선교의 장(場)이 점점 좁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제3국에서의 개인전도 및 교회 개척 지원, 제자양육, 본국에 입국한 유학생 및 산업인력에 대한 개인전도에 힘쓰며 제자양육에 대한 성경적이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이슬람을 비롯한 여러 문화 세계에 있는 영혼들의 구령을 위해 더 많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또 현지교회가 건강하게 자라가도록 협력하고 도와야 한다. 그래서 모든 민족이 모든 민족에게로 나아가는 선교운동에 참여하도록 하자. 본 연구가 선교하는 조국교회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기업 신용평점 시계열 예측모델 연구

        이현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now, research using intelligent systems in the field of credit risk management such as corporate bond credit rating prediction and insolvent company predic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re used to implement such a predictive model, which does not utilize time series input features and has a limited prediction timing. In the case of corporate bond credit rating forecast, corporate selection is limited because only relatively large companies are granted corporate bond credit rat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mplement a predictive model that can freely adjust the forecasting point at the present time by using the credit score information and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formation of domestic companies in time series. To implement this forecasting model, we used 2,362 company information and KIS credit scores for a total of 18 years from 2000 to 2017. In addi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ve model, various financ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variables used in actual credit scores were applied as input variables in a time series through a sliding window technique. We also compared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at were traditionally use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and the deep learning analysis technique that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As a result, RNN-based stateful LSTM analysis method was able to implement a relatively good credit rating prediction model on the existing corporate bond credit rating prediction model.

      • 百濟 漢城期 金工品 製作技術 硏究 : 金銅冠, 金銅飾履, 裝飾大刀를 중심으로

        이현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 section of Baekje’s culture through Baekje’s metal work techniques. It is currently possible to partly understand how Baekje’s metal craftwork culture was developed and the level of it, as Baekje’s metal craftworks were continuously excavated in many historical sites. This paper consists of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and among them, the main subject includes 3 chapters and 8 paragraphs. Each of chapter 2, 3 and 4 examines the ‘analysis on Baekje’s metal craftworks’, the ‘comparison between Baekje’s metal craftworks and material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change of Baekje’s metal work technology’, respectively. Among resultant data used in this study, some dates back to the 4th century, but most of them can be chronologically categorized as those about the 5th century. At first, metal craftworks are distributed on key points related with water traffic(水運), such as Hangang, Geumgang and Seonamhaean, and Gilt Bronze Caps, Gilt-Bronze Shoes, Gold Earrings, Sword with a Decorated Ring Pommel and so on tend to be excavated together, as shown in Suchonri Tomb1 and Tomb4. It can be found that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in style between Gilt Bronze Capsa and Gilt-Bronze Shoes in Baekje and those in neighboring countries, though the fact that the early Baekje’s style was transformed into the Japanese Islands’ style can be also verified from Japanese Gilt-Bronze Shoes. Although each of Sword with a Decorated Ring Pommel in Baekje and Silla had been developed into definitely distinguished forms, Inlaid Iron Sword in the early Gaya is much similar with that in Baekje, and then, the former began to show Gaya’s own style since the thrid quarter in the 5th century. The cultural spread of Sword with a Decorated Ring Pommel from Baekje through Gaya to Japan can be found, as most of Sword with a Decorated Ring Pommel excavated in Japan exhibit Gaya’s peculiar style. In the aspect of metal work technology, it can be found that some relics such as Gilt Bronze Caps, Gilt-Bronze Shoes and Sword with a Decorated Ring Pommel were manufactured with Baekje’s technology since the last 4th century or the early 5th century, from the culture of prestige items, which began with Inlaid Iron Sword. It is thought that Backje had an access to various patterns and technology, along with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since the period of King Geunchogo’s reign, and it is found that Baekje’s own techniques could be developed to express such patterns: engraving, inlay and lost wax casting. For this study, the author really saw most of excavated relics and restored some of them, and then understood the context of excavation by investigating historical sites and reviewing reports. It can be found that the culture of metal craftworks was intermittently transmitted to neighboring countries which were politically intimate with Baekje, by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based on close observation on Baekje’s metal craftwor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erfectly review all of previously established data and research performances, as they are substantial, so it will be desirable to complement insufficient parts in this study, with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백제의 금공기술을 통해 백제 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근래 여러 유적에서 백제 금공품이 연이어 출토되면서 백제의 금공문화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 또 어느 정도의 수준이었는지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되며, 그 가운데 본론은 3장 8절의 체제를 갖추었다. 제2장은 ‘백제 금공품에 대한 분석’, 제3장은 ‘백제 금공품과 주변국 자료의 비교, 제4장은 ‘백제 금공기술의 변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4세기로 소급되는 것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5세기대로 편년할 수 있는 것들이다. 먼저 중요 금공품이 분포하는 지역은 한강, 금강, 서남해안 등 수운(水運)과 관련된 주요 거점에 분포하며 수촌리1호분과 4호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금동관, 금동식리, 금제이식, 장식대도 등과 공반하는 경향이 있다. 백제의 금동관과 금동식리는 주변국과는 뚜렸한 양식적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왜의 금동식리는 이른 시기 백제적인 양식에서 열도적인 양식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장식대도의 경우 백제와 신라는 확연히 구분되는 형식으로 발전하였지만, 가야 초기의 상감대도는 백제와 많이 닮아있고, 5세기 3/4분기를 기점으로 가야적인 양식으로 발전하였으며, 왜에서 출토된 장식대도는 가야적인 양식이 가장 많아 백제에서 가야로 다시 왜로 퍼져나간 장식대도 문화전파양상을 확인하였다. 금공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철제 상감대도를 시작으로 한 위세품 문화가(로부터?) 4세기말 또는 5세기초부터 금동관․금동식리․장식대도와 같은 유물이 백제적인 기술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근초고왕 재위시절부터 시작된 중국과의 외교관계에 수반하여 다양한 문양과 기술을 접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문양을 표현하기 위해 백제적인 기술로 발전한 것을 확인 하였다. 특히, 조금, 상감, 정밀주조기술 등이 그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까지 출토된 대부분의 유물을 실견하고 일부 유물은 복원제작을 진행한바 있으며, 유적을 답사하고 보고서를 검토하여 출토맥락을 이해하였다. 백제 금공품의 세밀한 관찰을 토대로 주변국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정치적으로 친밀했던 주변국에 단속적으로 금공문화가 전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기왕에 구축된 자료 및 연구성과가 방대하여 모든 것을 완벽히 검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향후 이 연구에서 미진한 부분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하였으면 한다.

      • 노동쟁의 조정제도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이현상 서울시립대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labor disputes in Korea had exploded since 1987 (3,749 cases), dropped to the lowest level in 1997 (78) because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fter gradual stabilization, rose suddenly agai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new management-labor relations after economic normalization, and has dropped again because of the economic slump since 2004 (462). However, since it rose suddenly during the past economic recovery after economic slump, the number of labor disputes can possibly rise again when the current economic slump is corrected; as multiple trade unions will almost certainly be authorized in 2010, labor disputes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due to union-union conflicts within workplace and competition for vividity in the process of securing membership. Korea has a mediation system to prevent labor disputes from occurring; labor relations commission constant efforts made remarkable performance in the rate of successful mediations, from 43.2% in 2001 to 65.6% in 2008, and they play a major role in preventing labor disputes with the mediation service validity rate of more than 80% in 2007, which shows significant prevention of strikes through mediations. Nevertheless, labor disputes in Korea are at risk in terms of occurrence frequency and influence; as mentioned above, they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and thus effective operation of the medi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ubstantial labor-management relations; this study considered schemes to enhance efficiency of this mediation system. This study defined efficiency of the mediation system as "enhancing the rate of successful mediations to minimize strikes and closedown, improve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maintain industrial peace," considered mediation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Ireland in terms of subjects, targets, methods, and procedures and reviewed Korean ones to draw implications, and, on this ground,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about schemes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mediation system in terms of subjects, targets, methods, and procedures. As for schemes to enhance efficiency in terms of subjects, first, it is necessary to allow mediators to enhance their expertise since expertise of mediators doing substantial mediation exerted critical influences on efficiency of the mediation system and since prior researches indicated that 70.7% of trade unions and 51.4% of the management mentioned their expertise as of now;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private mediation that is not only relatively free from elements interfering with efficiency of the system, including the mediation preceding system, restrictions on targets, conditions for entering into mediation, and restrictions on the period of mediation for the current public mediation system, but also can enhance efficiency of the system through public mediation, complement, and competitive relations. Here, it is suggested to guarantee independence on a systemic basis to workers and managers who can be thought to have sufficient expertise through substantial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thus use them as mediators, to supplement (quasi-) regular mediators, and to implement goo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s schemes to enhance expertise of mediators; and to cultivate experts in private mediation, to excavate and publicize cases of private mediation, to make association with labor-management partnership projects in local self-governing bodies, to permit private mediation on individual disputes for rights, to register a private mediator in the pool of quasi-regular mediators, and to provide systemic support by imposing obligation of negotiation notification as schemes to activate private mediation. Next, as for targets, it was suggested to expand targets of mediation from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es that 47.5% of trade unions had substantial issues which failed to be dealt with in a mediation committee and from mediation cases; to do this, schemes were presented to expand the concept of labor dispute and to expand targets to include individual disputes by establishing a quasi-regular mediator pool or a separate dispute mediation organization. Finally, as for medi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mediation preceding system of no use in mediation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mediation system since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es indicated that 58.9% of business executives and 48.9% of union executives applied for mediation because of obligation set by the mediation preceding system, since 61.4% of business executives and 68.5% of union executives suggested that the poor public mediation system was due to non-cooperativeness and lack of positiveness in mediation among labor and management, and since none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Ireland had the mediation preceding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reventive mediation of various labor-management partnership establishment activities and education and many advisory activities into workplace before a dispute occurs since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es indicated that usual efforts to establish labor-management partnership within workplace helped to raise the rate of successful mediations; third, it is desirable to activate the current pre-mediation support and post-mediation system as a scheme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mediation system with the presence of the mediation preceding system. Key word : mediation, mediation system, preventive mediation, private mediation, labor relations commission, FMCS, ACAS, LRC 우리나라 노사분규는 1987년(3,749건)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가 점차 안정세를 유지하며 1997년(78건)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이 후 경제가 회복되면서 새로운 노사관계 정립과정에서 다시 급증하다가 2004년(462건) 이후 현재까지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과거 경기침체 이후 회복과정에서 노사분규가 급증하였던 것처럼 현재의 경기침체 상황이 호전되면서 다시 노사분규의 증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며, 2010년부터는 복수노조 인정이 거의 확실시 되고 있는 바, 사업장 내에서 노노갈등과 조합원 확보과정에서 선명성 경쟁 등으로 인해 노사분규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노사분규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노동위원회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2001년 43.2%에 불과하던 조정성립율이 2008년 65.6%에 이를 정도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고, 조정으로 인해 파업을 어느 정도 예방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조정서비스 유효율은 2007년 80%를 넘어서며 노사분규 예방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의 노사분규는 그 발생 빈도에 있어서나, 파급효과에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사분규는 더욱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조정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국가경쟁력을 향상하고, 실질적인 노사관계를 개선시키는데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정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정제도의 효율성에 대해 “조정의 성립율을 높여서 파업 및 직장폐쇄 등을 최소화 시키고, 실질적으로 노사관계를 개선시킴으로서 산업평화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위해 미국, 영국, 일본, 아일랜드의 조정제도를 주체, 대상, 방법 및 절차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조정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정제도의 주체, 대상, 방법 및 절차적 측면에서 조정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조정주체의 측면에서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실질적으로 조정을 담당하는 조정위원의 전문성은 조정제도의 효율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선행 연구결과에 의하면 노동조합의 70.7%와 사용자의 51.4%가 현재 조정위원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것으로 보이는 바, 조정위원이 그들의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 둘째, 현행 공적조정제도가 가지고 있는 조정전치주의, 조정대상의 제약, 조정 개시요건 및 조정기간의 제약 등 조정제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들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적조정과 상호 보완 및 경쟁관계를 통해 조정제도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사적조정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조정위원의 전문성 강화방안으로는 (준)상근조정위원의 확충 및 조정위원에 대한 보수의 현실화, 조정담당 위원에 대한 충실한 교육ㆍ훈련프로그램의 실시를 제시하였고, 사적조정 활성화 방안으로는 사적조정 전문인의 양성, 사적조정 사례 발굴 및 홍보, 지자체의 노사파트너십 사업과 연계, 개별적 권리분쟁에 대한 사적조정 허용ㆍ준상근조정위원 POOL에 사적조정인을 등록하여 활용ㆍ교섭통보의무부여 등의 제도적 뒷받침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조정대상의 측면에서는 노동조합의 47.5%가 조정회의에서 다루지 못한 실질적인 쟁점이 있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조정사례를 통해 조정 대상을 확대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노동쟁의의 개념을 확대하는 방안, 준상근조정위원 POOL 또는 별도의 분쟁조정기구 설치 등으로 개별적 분쟁까지 조정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정 방법 및 절차 측면에서는 첫째, 선행 연구결과에 의하면 조정신청의 이유에 있어 회사간부의 58.9%, 노동조합간부의 48.9%가 조정전치주의 의무 때문이라 답하고 있고, 공적조정제도 부실원인에 있어 회사간부의 61.4%, 노동조합간부의 68.5%가 노사가 조정에 비협조적이고 적극성 결여를 들고 있으며, 미국, 영국, 일본, 아일랜드 어는 나라에서도 조정전치주의를 시행하는 나라가 없음을 비추어 조정전치주의가 조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바, 조정제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이를 폐지하여야 한다는 것, 둘째, 평상시 사업장 내에서의 노사협력관계 구축 노력이 조정성립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활용하여 분쟁 발생 이전에 사업장 내에서 다양한 노사파트너십 구축활동과 교육 및 다양한 자문활동 등을 하는 예방적 조정을 도입하여야 한다는 것, 셋째, 조정전치주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조정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의 조정 전 지원 및 사후조정제도를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조정, 조정제도, 예방적 조정, 사적조정 노동위원회, FMCS, ACAS, LRC

      • GEANT4 모의실험을 이용한 20 ~ 400 keV 대역의 대전입자 검출기 기하학적 계수 계산 및 분석

        이현상 경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dium Energy Particle Detector (MEPD) aboard th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 (NEXTSat-1) is developed to observe the geomagnetic storms. The two identical telescopes are orthogonally placed on the spacecraft for detecting particles having pitch angles of 0° and 90°.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static deflector allows separate detection of electrons, protons and neutrals by deflecting the trajectories of the charged particles. The silicon detector and subsequent electronics provides detection ranges of 20 keV to 225 keV for electrons and 20 keV to 400 keV for protons and neutrals.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the MEPD regarding electrons and protons in the range of 20 keV to 10 MeV and 20 keV to 500 MeV, respectively, is obtained by applying GEANT4 simulation. Total 1.3×109 electrons and 1.3×109 protons are produced and injected from the surface of a hypothetical sphere surrounding the entire instrument. Deposited energies onto the detector in accordance with the incident kinetic energies a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response function expressed with a matrix of 100 × 100 integrates the response of each energy bi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sponse of the detector pixels of the MEPD with respect to the electrons and the protons, respectively. The probability of the counts in the detector pixels for the incident particles is determined from the response fun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ponse function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observations from the MEPD and to convert the observations into the fluxes. 차세대 소형위성 1호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에 탑재되는 두 개의 Medium Energy Particle Detector (MEPD)는 지자기 폭풍을 관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Pitch angle 0˚와 90˚의 입자들을 검출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MEPD의 실리콘 검출기는 4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전편향기 (Electrostatic Deflector)에서 전기장을 인가하여 20 ~ 225 keV 에너지 대역의 전자와 20 ~ 400 keV 에너지 대역의 양성자와 중성입자를 서로 다른 픽셀에 맺히게 하여 분리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EANT4를 이용하여 MEPD에 대한 20 keV ~ 10 MeV 에너지 대역의 전자와 20 keV ~ 500 MeV 에너지 대역의 양성자의 전방위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에서는 총 1.3×109개의 전자와 1.3×109개의 양성자를 가상의 전구로부터 입사하였으며, 모의실험 결과로 검출된 전자들과 양성자들의 검출 에너지 정보와 입사 에너지 정보를 얻었다. 반응함수 (response function)는 입사 에너지에 대한 검출 에너지의 각 의 반응을 말하며, MEPD에 대한 전자와 양성자의 입사 에너지 대역별 검출 에너지 대역의 기하학적 계수를 보기 위하여 각 픽셀을 가로축과 세로축이 100×100인 행렬 (Matrix)로 반응함수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방위에서 입사하는 전자와 양성자에 대한 MEPD의 반응을 볼 수 있으며, 각 픽셀에서 전자와 양성자의 입사 에너지 대역별 검출 에너지 대역의 기하학적 계수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MEPD 데이터의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데이터를 전자와 양성자의 플럭스로 변환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