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춘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하루에도 수차례 노인들과 접촉하며 생활하고 노인을 대상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노인문제 및 욕구, 그리고 노년기의 생활을 누구보다도 가깝게 접하고 있고 환경적 상황들을 미리 경험함으로써 사회복지에 관여하고 있는 자신의 노후생활을 준비하는 데에도 분명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복지사의 노후준비에 관한 박지선(2004)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노년기에 대한 견해, 노후준비의식, 성공적인 노화 인식에 대해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존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외의 새로운 요인을 추가하여 살펴보았으나 사회복지사의 직업적 상황과 관련된 요인 즉, 처우문제와 관련된 요인과 같이 사회복지사의 노후준비에 현실적 영향요인을 설정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할 것을 제언으로 남겼다. 한편, 김정표(2005)의 연구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의 노년준비의식과 노년준비실태를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노후준비의식은 매우 높으나 신체적, 경제적 준비실태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복지를 고려하여 노후준비에 기여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으로 남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보완점을 인식하여 개인적 특성관련요인과 근로환경관련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별 특성이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 보고자 한다.
중국어 듣기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훈련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춘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중국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중국어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한국과 중국은 지정학적으로 오랜 역사에 걸쳐 끊임없는 영향을 주고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이 가능한 인재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화자가 말한 내용을 청자가 듣고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근본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없기 때문에 중국어 교육의 핵심은 듣기와 말하기 능력이다. 한편, 듣기를 위한 교육은 많으나 본 논문에서는 빨리 읽기를 통한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을 하였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먼저 중국어 듣기의 난점으로 서로 이야기를 나눌 때 만약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되면 상대방의 말에 즉시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게 됨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중국어가 제2외국어로 지정된 고등학교의 실정에 맞는 외국어 교수법 및 외국의 교수법 이론에 따라서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실태를 다루고 있다. 현재 대학교에는 많은 중국유학생이 있으며 중문과에는 원어민 교수들이 수업을 하고 있다. 첨단기술과 현대기술의 발달로 중국어를 학습하는 현황을 멀티미디어 및 카세트나 휴대폰, MP3 등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에게 각각 중국어 기초인 발음지도, 단어듣기 지도 및 문장 듣기 지도를 카세트 듣기 훈련과 빨리 읽기 훈련을 통한 듣기 연습을 하였다. 그리고 최후 테스트를 통한 통계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발음지도에서는 유사어, 성모와 운모를 하였으며 단어 듣기 지도에서는 실험에 필요한 재료를 단어로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였다. 문장 듣기 지도에서는 휴지, 강조, 단문, 장문과 노래 “老鼠爱大米"를 성조의 구애를 받지 않고 노래를 부른 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연습을 후 똑같은 과제를 가지고 빨리 읽기를 통한 결과와 카세트 듣기를 통한 결과가 거의 동일함을 얻어냈다. 따라서 빨리 읽기 훈련은 중국어 듣기 능력향상을 위한 읽기 훈련으로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e economic progress of China has drawn more and more people to learn the Chinese language. What is more significant is that Korea has had long history of geographically close connection with China in which both countries have influenced each other incessantlyThat is why there are great needs to train as much manpower as possible who can communicate in both languages. The same rule applies to teaching Chinese, that is, no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out comprehending what is spoken. Listening and speaking are, thus, essential for communication.As there have been lots of teachings for listening, attempts are made in this paper to improve listening proficiency by speedy reading practice.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that concern the difficulties of comprehending the partner's speaking Chinese immediately. As one does not understand the other party due to such listening deficiency, he or she can not respond to others simultaneously. In the high schools that are designated to teach second foreign languages, students are not taught with foreign languages by practical teaching method but by theories of teaching foreign language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In our university, many Chinese students are enrolled currently and native Chinese professors are conducting classes for the department of Chinese literature. Such high-technologies as multi media, cassettes, cell phones and mp3 are used to measure how Chinese is taught actually at our university. Subsequentl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given basic instruction about Chinese pronunciation in this connection. They were also trained to listen to and read rapidly words and sentences by means of cassette tapes.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a final test was offered. Chinese synonyms, vowels and consonants were instructed to teach students pronunciation and experimental materials were employed to teach them listening by drawing their interest in the language. In the listening session, students were asked to listen to short and long sentences with pause and intonation and also asked to sing the song "Mice like rice" without regard to accents. From the test after the class, the same result came from the instruction by rapid reading as well as by listening to cassette tapes. This result might lead to a conclusion that rapid reading practice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istening proficiency of the Chinese- learning students.
중국 연변 조선족 지역의 도시 집합주택계획연구 : 중국 延吉市 河北區 民昌街區의 再開發 계획
중국 조선족은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 및 그들의 후예로 구성된 소수민족이며, 50%이상의 인구가 연변조선족자치주에 분포되어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조선족의 주요집거지(集居地)로서 개혁개방이래 대규모의 인구이동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대량의 인구이동으로 인해 집거지의 공동화(空洞化) 현상이 심각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족의 전통가족구성형태에 가져다준 영향으로 인해 조선족사회의 가족구성형태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켰다. 결과, 싱글 가족, 격대 가족(隔代家族)이 점차 증가하면서 핵가족을 대체하여 주요가족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래의 가족형태를 토대로 형성된 기존 집합주거의 형태는 더는 새로운 가족형태 및 생활양식에 적응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집합주거를 연구하여 현재 조선족사회의 가족구성형태의 요구에 적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ite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중심도시인 연길시의 하북구민창가구(河北區 民昌社區)로 선정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주택은 시설의 부족 및 구조노후화 등 문제로 재개발이 시급하다. 현지조사 결과, 현재 주호 중 청장년은 대부분 외지에서 일하거나 공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노인으로 구성된 가족형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한편, 어린이들은 대부분 격대가정 또는 결손가정 등 비정상적인 가족형태에서 생활하게 되는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동시에 외지에 있는 가족들이 집에 돌아와 단기간 거주하는 현상도 찾아볼 수 있다. 각자의 공간적요구가 다양한데 반하여 현재의 주거공간은 기능적 분화와 프라이버시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므로 생활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외지에 있던 가족이 돌아왔을 때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Site내에 노인주호가 많고, 어린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현상태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의가정(模擬家庭)’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즉, 서로 다른 유형의 여러 개 개체가정이 대가족의 구조에 따라 모의가정을 구성하고, 그 중 노인, 중년, 청장년이 등 3대 구성원이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가족형태를 통해 가족구성의 결손으로 인해 노인과 어린이에게 가져다 준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의가정’은 구조상 불온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택설계에서 유니트 공간의 가변성(可變性)과 연통성(連通性)에 초점을 두어 다량의 공공공간을 설치하고, 개인 실의 기능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가변성벽체를 이용함으로서 개개 공간의 경계선을 모호화하며, 이를 통해 최대한 ‘변(變)’적인 가능성을 실현하고자 한다. The Chinese Korean people are the ethnic minorities who immigrated to Ch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50% of them live now in the Yanbian Chinese Korean autonomous region. However,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in China, an unprecedented population movement happened in this region. A large number of population movement led to the so-called “hollowing out” phenomenon. Besides, it has a large impact on the traditional Chinese Korean family structure. To be specific, there are more and more single-parent family and families with only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such circumstances, the traditional house model can not meet the requirement of the current family patterns and lifestyles. This study tires to explore a new house model to adapt to the current Chinese Koreans’ family needs. The site was selected in Minchang Community, Hebei District, in the capital city of Yanbian autonomous region. Because of problems such as the inadequate infrastructure, and the building aging, the current buildings need further development urgently. The research found that old people obtain a large proportion of the whole population and most children grow up in a non-normal family mode such as single family or family with only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since most young people went out of hometown to work or study. Meanwhile, these young people who work or study outside return home for temporary living. Since the family members have different needs for the house space, while the current living space lacks the division for different functions and privacy, there are various inconveniences in daily life, especially when the young people temporarily return home. A new concept called “simulation family” was raised in this study to deal with the situation: many old residents, and children residents with insufficient love and care. This concept namely means to build a simulated family based on the traditional extended family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this simulated family, the three generations gather together and play their own roles in the family. Through this simulated integrated family structure, some psychological trauma of elders and children could be remedied and thus some social problem could also be solved. Since this simulated family is quite unstable, when designing the house, the “variability” and “connectivity” are fully considered. By setting a large number of public spaces, simplifying the individual rooms, and using the changeable walls in the room to blur the boundaries of each space, this study tries to achieve the “changeability” of the house design to a maximum degree.
이춘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국내석사
현대의 급변하는 사회에서 인간은 심신의 자연치유력을 상실하고, 건강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대체요법 이용자가 급증하고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고 있으며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정립과 과학적인 입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지만, 피부미용 분야에서도 미용경락을 수용하여 피부미용 뿐 아니라 건강예방 차원에서 활용하고 있다. 피부미용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고객의 요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고 미용경락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용경락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자 중에서 4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미용경락이 피부미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이중 회수된 366부를 분석에 이용한바 통계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40~49세가 29.0% 가장 많았고, 결혼 여부별로는 기혼이 74.9%로 많았다. 가정의 월 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이 33.3%로 가장 많았고, 거주지별로는 서울지역이 81.4%로 많았으며, 직업별로는 서비스직이 25.7%로 가장 많았다. 둘째, 미용경락의 의미에 대해 미용경락 이용 고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미용경락이 자연요법의 건강관리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고객이 27.3%로 가장 많았으며, 질병의 증상을 완화시켜줄 수 보조적인 방법 25.7%, 질병을 예방하는 예방차원적인 치유방법 17.2%, 병원에서 행해지는 치료이외의 치유방법 15.0%, 최첨단 의료기술의 치유방법 14.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경락 이용 고객들의 미용경락 효과의 경험에 대해서는 노폐물과 독소배출에 효과 15.9%, 다음으로 혈액순환 촉진 14.5%, 피부탄력 13.8%, 스트레스 완화 12.8%, 비만효과 12.5%, 근육이완과 신체통증 장애 개선 9.9%, 문제성 있는 피부 관리 개선과 주름개선 5.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경락 이용 고객들이 미용경락을 받고 효과를 받은 신체부위에 대해서는 신체부위 중 얼굴에 효과를 본 고객이 30.1%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하체 18.6%, 등 16.4%, 복부 14.2%, 전신 13.7%, 팔뚝 7.1%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경락 후 나타난 부작용(피부트러블)으로는 피부알레르기를 경험한 고객이 36.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어지러움 27.3%, 부종 18.2%, 메스꺼움 15.2%, 구토 3.0%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작용이 있는 고객 9.0% 중에서 미용경락 관리 후 부작용으로 피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미용경락에 대해 매우 긍정적 인식과 자연요법의 건강관리방법이라고 인식을 가지고 있고, 미용경락을 관리를 받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으며, 피부미용을 위해 미용경락을 계속 받을 의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피부관리사들은 미용경락에 대한 철저한 이론과 올바른 관리 방식이 정립될 필요가 요구되며, 미용경락 관리법을 더욱 정리하고 다듬어서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beauty meridian on esthetics. Giv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kin and blood vessel organs, the kind of treatment that focuses on the flow of meridian is expected to facilitate outer skin care, prevent possible diseases and build up health. Therefore how much female customers who had ever received beauty meridian massage found that effective and satisfactory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female customers who were in their 40s made up the largest group(29.0), followed by the 30-39 age group(27.0%), those in their 50s and up (22.1%) and the 20-29 age group(21.9%). By monthly mean household income, the greatest group earned five million won or more(33.3%). By residential area, the Seoul residents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81.4%), and by occupation, the greatest number of the customers were in service industry. By martial status, the married customers accounted for 74.9 percent.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beauty meridian on esthetics, the customers found that to affect esthetics. When they were asked to give one or more answers about the effect of beauty meridian, the greatest group felt that it was effective at eliminating waste matter and poisonous substance(15.9%), followed by stepping up blood circulation (14.5%), fortifying skin elasticity(13.8%), easing stress(12.8%), reducing obesity(12.5%), expediting muscle relaxation/easing the pain of the body (9.9%), and improving care for skin trouble and wrinkles(5.3%). Therefore the customers who used beauty meridian considered that to be most effective at removing waste matter and poisonous substance. Third, concerning satisfaction level with beauty meridian, the customer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meridian-massage programs and their costs, and they were gratified with the ability and knowledge of experts in beauty meridian as wel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bility and knowledge of experts in beauty meridian were linked to the effect of it, and that the former had a great impact on the latter. It'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customers viewed beauty meridian very favorably and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ability of estheticians, skin care programs and their costs. Specifically, the women in their 40s showed great interest in skin care as they were stable in various regards. In the future, beauty meridian will gain in importance in the service industry since it provides products for human. Estheticians should direct their energy into maximizing the effect of skin care by making prolonged academic and clinical efforts to develop beauty meridian, instead of merely trying to boost their skin care techniques and short-term skin care effects.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의식 조사
이춘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recognition o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executed at junior high schools through school home pages for efficient service operating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How much do teachers make use of ICT by teachers' features? 2. How about teachers' opinion on the service operating of cyber home learning at junior high schools by teachers' features? 3. How about the teachers' role on cyber home learning by teachers' features` This research surveyed 450 teachers in 13 junior high schools around kang-buk area in taegu.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for window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Chronbach α,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aking use of ICT according to the teachers' features, most of teachers understood e-learning, and they showed their information literacy were on an average level. Also, teachers who are young and the teachers who had made use of materials on the internet often showed more need. Second, in the service operating of cyber home learning through school home page, teachers said materials made by themselves would be used frequently. However, they felt their stress of extracurricular work. Therefore, service operating of cyber home learning through school home page will be improved to help teachers make their materials easily, and to reduce their stress of extracurricular work. Also, they thought they could share various materials and informations with their students on the school home page. In addition to, they expected to improve thei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being connected with lessons in a classroom. Third, in the teachers' role and teachers' training on cyber home learning, Most of teachers showed ability to stimulate students' learning motive,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and feed-back should be done.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별로 실시하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율적인 운영과 제도적인 지원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ICT 활용 준비도는 어떠한가? 2.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견해는 어떠한가? 3.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이버선생님 역할과 연수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서부교육청 산하 강북지역 13개 학교에 근무하는 4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 활용 준비도에서는 e-러닝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잘 이해하고 있었고, 본인들의 정보 활용 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연령이 낮을수록, 홈페이지 활용이 많은 교사일수록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의 필요성에 높게 반응하였다. 둘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서 교사가 직접 제작한 자료가 가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가로 가중되는 과외 업무를 부담스러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손쉬운 콘텐츠 제작과 과외 업무로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홈페이지를 통해서 학생들과 다양한 자료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 사이버가정학습이 수업 보조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고, 온라인 가정학습과 오프라인 교실수업을 연계할 수 있어 수업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사이버선생님 역할과 연수에 대한 반응으로는 온라인 학습 동기 부여 능력 및 정보 활용 능력, 평가 및 피드백 관리 부분 모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구와 울주군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울산지역 내 지역아동센터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 및 이용아동을 통한 설문지분석을 통해 서비스 이용 만족도와 활성화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기본현황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울산지역 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만족도와 활성화 방안에서는 지역아동센터 특성을 도시형과 농촌형으로 구분하여 배포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t검정과 켄달의 순위검증을 통해 만족도와 활성화요인을 도출하였다. 현황분석결과에서는 울산지역 내 지역아동센터 수가 타 지역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1센터당 평균 이용아동 수 또한 낮은 특징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재정의 열악성, 교사에 대한 처우문제 등에서는 우리나라 지역아동센터가 가진 근본적인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었다. 연구대상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문화체험 행사에 대한 프로그램만족도가 가장 높은 특징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면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거나, 놀이문화가 있어 만족한다는 비율 또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효과가 개선되고, 혼자 있는 시간이 줄어드는 등 구체적인 이용효과 또한 발생하는 것으로 설문분석결과 나타났었다. 교사들의 지역아동센터 근무에 따른 만족도 분석결과에서는 단순한 개인적 만족도 즉, 사명감 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외 만족도 요인들에서는 만족한다는 비율이 상당히 낮은 특징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교사의 사회적 지위, 임금과 복지수준, 업무량, 아동센터의 인력양성체계, 재교육프로그램 등에서는 다소나마 불만족하는 것으로 설문결과 나타났다. 교사들을 통해 실시한 지역아동센터의 활성화 저해요인에 대한 설문분석결과 재정적 어려움이 가장 애로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부담의 증가, 전문인력의 부족 또한 다소나마 센터 운영의 애로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활성화요인 설문결과에서 또한 관련기관의 재정지원확대가 1순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인력의 확보 및 교육지원, 활동공간 및 시설확충 등의 순을 기록하였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지역 내 도시형의 중구와 농촌형의 울주군의 지역아동센터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우선, 센터 이용아동에 대한 서비스수준 뿐만 아니라, 종사자의 처우개선으로까지 이어질 수도 있도록 재정지원규모의 확대와 재정확보방안의 다양화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취약계층 아동이 접하기 어려운 부분인 문화적 부분의 다양화와 확대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로는 센터의 지역적 특성 즉, 도시형과 농촌형, 아동의 특성 즉, 성별 특성을 감안하도록 하는 센터운영과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로는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에 대한 처우개선을 통해 종사자의 전문성과 자긍심을 유도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상기에 제시된 모든 요인들 중 어느 하나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모든 요인들이 동시에 고려될 수 있도록 하고, 현재의 열악한 센터특성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 정착단계까지는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분석결과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실시하지 못한 울산시 타 행정구역에 대한 분석과 다양한 아동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하는 만족도 차이분석은 향후 연구과제로 명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