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진 선형 계획법을 이용한 이종 위성군 궤도 설계 및 분석
본 논문은 관심지역의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한 위성군 패턴의 최적화 기법 및 이를 통하여 설계된 위성군의 커버리지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위성군 설계기법인 워커-델타(Walker-Delta Constellation) 위성군과 준대칭 기법(Quasi-symmetric Method)을 이용한 위성군 설계 방법을 설명하고 결과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준대칭 기법이 갖는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지구 최적화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이진 선형 계획법(Binary Integer Linear Programming; BILP)이 적용된 이종 위성군 설계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다른 설계기법과 비교한다. 결과 분석을 위해 Freefly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궤도전파 시뮬레이션을 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입력 값으로 하여 Matlab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으로 각 설계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진 선형 계획법을 적용한 이종 위성군 운용 시 효율성 면에서 유의해야 할 조건에 대해 관심지역 정보와 궤도요소 정보로 나누어 설명한다. 모든 상황은 연속적으로 관심 지역의 100% 커버리지 달성을 목표로 하였으며 기준 위성의 접근 시간 및 각 궤도에 배치된 위성의 수 조합에 따른 전체 관측 시간 동안의 커버리지 관계에 대해 논의하며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궤도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종 위성군 운용의 효율을 결정할 수 있는 조건을 파악하고 국내 위성군 운용 임무에 부합하도록 한반도 및 인근 지역을 새로운 관심지역을 설정하여 국내 인공 위성 연구의 효용성을 증대한다. 서울과 한반도 인근 지역 중 한 곳을 제 2관심지역으로 선정하여 다중 관심지역에 대한 단일 궤도와 다중 궤도 즉, 이종 위성군으로 운용하였을 때의 커버리지 성능을 실험적으로 확인한다. 현실적인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 커버리지 성능지수에서 더 나아가 두 관심지역에 대해 동일한 재방문 주기를 적용한다. 전체 관측 시간 동안 지정 시간 미만으로 위성의 접근을 확보하기 위해 평균 재방문주기가 아닌 최대 재방문 주기를 성능 지수로 사용하였다. 앞서 언급한 세 가지의 설계 기법에 대한 최대 재방문 주기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다른 설계 기법에 비해 이진 선형 계획법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3개월 이상의 장기간 관측 시뮬레이션을 통해 𝐽2 섭동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대 재방문 주기 성능이 점차 감소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모든 구간에 재방문 주기를 적용한 경우와, 특정 시간 내에서의 재방문 주기를 적용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전체 관측 시간 동안의 커버리지 분포 양상에 따라 장기간 관측이 용이한 경우를 확인하였다. 이처럼 이진 선형 계획법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소개하고 다양하게 맞닥뜨릴 수 있는 상황에 필요로 하는 성능 지수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 위성군 설계에 기술 및 비용적 으로 더욱 효율적인 운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satellite constellation pattern optimization technique to achieve the cover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The most widely used satellite constellation pattern, the Walker-Delta Constellation and the Quasi-symmetric method, are explain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the Quasi-symmetric method and focus on the global optimization technology to overcome it, focus on the new Binary Integer Linear Programming (BILP) and compare the benefits of this with other constellation pattern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rbital propagation was simulated using Freeflyer softwar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constellation pattern was analyzed with a Matlab program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imulation as input values. Additionally, the conditions that should be noted in terms of efficiency when operating a heterogeneous satellite constellation using the Binary Integer linear Programming are divided into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and trajectory element information. The goal of all circumstances was to achieve 100% cover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coverag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ss time of the reference satellite and the total observation tim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satellites placed in each orbit was discussed, and the conditions for selecting two different types of orbits were presented. This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omestic artificial satellite research by identifying conditions that can determine the efficiency of heterogeneous satellite constellation operation and setting new areas of interes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regions to meet the mission of operating the domestic satellite constellation. The coverage performance of Seoul and one of the areas near the Korean Peninsula is experimentally verified when operating as a single and multi-orbital, or heterogeneous satellite constellation for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by selecting it as the second area of interest. In order to set a realistic situation, the same revisit time is applied to the two areas of interest, going further from the coverage performance. To secure satellite access for less than a specified time during the entire observation time, the maximum revisit time was used as the figure of merit, not the average revisit time. The performance of the maximum revisit time for the three constellation patterns mentioned above was compared, and a case in which the Binary Integer Linear Programming method can be usefully applied compared to other constellation patterns was suggested. Finally, a situation in which the maximum revisit time performance can gradually decrease over time due to J2 perturbation through long-term observation simulation of 3 months or longer was explaine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e case where the revisit time was applied to all sections and the case where the revisit time within a specific time was applied. Through this, we discuss the case where long-term observation is useful according to the coverage distribution pattern during the entire observation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of domestic satellite constellation can be operated more technically and cost-effectively by introducing situations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advantages of Binary Integer Linear Programming and researching the figure of merit and requirements for situations that can be encountered in various ways.
이진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바이오산업(Bioindustry)은 바이오테크(Biotechnology,생명공학기술)를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유용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술 및 지식 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1세기 산업성장을 주도할 분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각국 정부는 바이오산업을 21세기 핵심적인 첨단 기술 산업으로 인식하여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있어 바이오산업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바이오산업의 성장에 있어 생물학적 안정성과 다양성 등의 문제와 함께 일반 대중의 바이오테크에 대한 인식이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세계 각국의 정부는 유전자조작 제품에 대한 표시 의무 등 각종 법적근거를 확립하는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생명에 대한 이해 증가와 함께 각종 분석기술의 발달, 컴퓨터 및 정보기술의 발달 등으로 바이오테크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이 발달하여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생물정보학,지노믹스,프로티오믹스,마이크로어레이,대사공학등 새로운 바이오테크기술이 발달하여 바이오산업의 기술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바이오테크 기업들은 주로 역동성을 지닌 벤처자본과 주식시장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는데 바이오산업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차세대 기술에 대한 요구로 투자가 증대하고 있고 이러한 투자 증가는 바이오테크 기술의 개발과 응용을 촉진시켜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가속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바이오산업의 시장 규모는 2000년 약 48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연 평균15%의 양호한 성장을 지속하여 2005년 955억 달러, 2010년에는 약19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응용분야별로는 의약/의료 분야의 비중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농업, 환경 등 여타 응용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질 전망이고 국가별로는 시장 규모나 경쟁력 측면에서 미국이 가장 앞서 있는 상태이며 일본과 유럽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최근의 연구개발 투자 동향과 사업 환경을 고려할 때 미국의 우위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나 일본과 유럽이 바이오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적극 육성함에 따라 이들 국가 간 격차는 다소축소될 전망이다. 경쟁구조 측면에서는 바이오산업의 성장이 본격화되면서 제약기업 및 화학기업들의 바이오산업 진출이 급증함에 따라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는 양상이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제품 포트폴리오, 연구개발 및 마케팅 역량의 확보 차원에서 기업간 합병과 제휴를 활발하게 추진함으로써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응용 분야별로는 의약/의료관련 분야가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바이오의 약품 시장과 함께 성인병, 불치병, 노인성 질환등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질 전망이고 생물정보학을 포함하여 지노믹스,프로티오믹스,마으크로어레이에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혁신적 의약과 치료범의 개발이 예상되며 이러한 새로운 기술의 접목과 응용은 기업들의 의약 연구개발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쳐 연구개발의 효율을 파격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관련 분야는 식물자원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써 그 기능이 강화된 농산물을 개발하고 더 나아가서는 식물을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이용하려는 등 응용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환경관련 분야는 환경을 개선하고 유지하거나 오염을 막는 데에 바이오테크를 응용하는 분야로 생물학정 정화, 오염물질 생성 억제, 오염물질의 검출 및 모니터링 등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향후 양호한 성장이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환경관련 바이오산업의 시장 규모를 2000년 현재 약 29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향후 꾸준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관련 분야는 세제, 화학, 식품 및 전분 가공, 섬유 등 다양한 산업의 공정개선 및 제품 기능 향상에 필요한 물질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영역으로 유전자재조합, 지노믹스, 조합화학 등 바이오테크 기술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고 현재 산업관련 바이오산업에서는 산업공정 및 제품에 필요한 효소를 개발하여 공급하는 산업용 효소 분야가 주를 이루고 있다. 산업용 효소의 개발에 있어 지노믹스, 조합화학 기술을 응용하여 효소의 안정성 제고와 향상된 기능을 가진 신규 효소 탐색 등의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해양관련 분야는 해양 생물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과 공정을 개발하는 분야로 의약, 식품 및 사료, 환경, 바이오필름, 신소재 등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응용 영역이 있으며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이다.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규모는 세계시장의 1%에 불과하나 1990년대를 거치면서 연 평균 30%이상의 높은 성장을 나타내었고 관련 기업들의 활동과 투자 환경, 수요 측면 등을 고려할 때 향후 괄목할 만한 성장이 기대된다. 2000년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 규모는 1조원 정도로 추정되며, 향후 연평균 25% 성장하여 2010년에는 약 9조 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의약/의료분야의 비중은 2010년 약 60% 이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다. 국내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은 선진국에 비하여 기술력과 연구개발 투자 등 여러 면에서 경쟁력을 뒤져있는 실정이나 최근 벤처기업의 활성화를 대기업 경쟁적인 바이오산업의 진출에 힘입어 경쟁력 확보의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성장 초기이고 응용 영역이 방대하므로 관련 기업들은 다양하고 많은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진 외국 기업들에 비하여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대부분의 후발 기업들은 경쟁이 덜하거나 선진 기업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틈새 분야 혹은 새로이 형성되는 사업분야 등을 공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자사의 강점 및 시장 상황을 고려한 유망 분야를 선정하여 제한된 자원을 집중 투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유망 분야로는 내성이 적고 적용 대상이 넓은 항생제, 항감염제 등의 개량 신약분야, 진단용 바이오칩 및 진단시약 분야, 동물용 의약 및 진단 관련 분야,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 분야, 인공조직 분야 등 다양하다. 바이오산업은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는 반면 그 성공 가능성이 낮아 장기적인 투자와 그에 따른 효과적인 사업전개 전략이 요구되며 관련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사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유망개발 인력 및 기술력 확보 등 체계적인 투자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산업 인프라 구축, 투자 및 사업 환경 조성 등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과 투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Based upon the biotechnology, bioindustry is a technology and knowledge driven high value-add industry that will lead the 21st century industrial expansion, producing products and services needed by mankind by utilizing functions and information of organisms. Competition to secure leadership in the bioindustry will intensify as governments in the US, Europe and Japan, recognizing bioindustry as the 21stcentury core high-tech industry, reinforce supports at national levels. Bioindustry demands intensive R&D and significant resources while since bioindustry guarantees low success rate, it requires strategic investment followed by effective business deployment. For bioplayers to deploy competent business, systematic investment into personnel and technology should be laid out. Moreover, such government-level support and investment as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nd environment formation for business and investment should be realized.
개인의 목표 성취와 삶의 만족도 : 자기 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plore broadly defined personal goals which was believed to affect one's general life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ffort,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according to goal specificity.20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psychology co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Idiographic Personal Goal Measure(IPGM),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Self-Efficacy Scale(SES), Beck Depression Inventory-II(BDI-II), and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 There were no limitations in the number, time allowed and specificity of goals when reporting personal goals for IPGM.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mental health and achievement was obtain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ffort and achievement. Third, achievement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self efficacy.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self efficacy to effort path was significant for specific goals, but not for non-specific goals. The results suggests a virtuous cycle of effort, achievement , self efficacy, and then again effort when goals are specific.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06명(남 94명, 여 112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목표 측정 도구(IPGM)를 통해 지금 현재 개인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를 탐색하고,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상적인 목표를 제약 없이 기록한 후에 이에 대한 노력 수준과 성취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의 성취가 노력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자기 효능감 개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력 행동이 어떻게 성취 수준과 관련되고, 성취가 삶의 만족도 수준이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목표를 객관적, 수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세부적인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체적인 목표(SG)를 구체적이지 않은 목표(NSG)와 구별하여 각 개념 간 관련성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보다 높은 성취와 삶의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구체적인 목표(SG)나 구체적이지 않은 목표(NSG)의 성취는 모두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 수준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고, 우울 및 불안 등의 정신건강 수준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목표의 구체성 여부에 관계없이 노력은 성취 수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기 효능감 변인과 노력 간 상관관계는 구체적인 목표(SG)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성취-자기 효능감-삶의 만족도를 포괄하는 기본 연구 모형에 대하여 SG의 경우에는 ‘자기 효능감-노력’ 경로를 제외하면 적합도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NSG의 경우에는 ‘자기 효능감-노력’를 제외해도 적합도 수준이 낮아지지 않았으며, 기타 적합도 수치는 오히려 나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결과는 개인이 성취하고자 하는 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높은 성취 및 자기 효능감 수준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경우 높은 자기 효능감 수준이 다시금 구체적인 목표에 대한 노력 행동으로 이어짐으로써 성취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가능성을 지지한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를 통해 개인의 노력, 성취, 자기 효능감, 그리고 삶의 만족도는 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특급 호텔 베이커리 숍의 운영 형태에 따른 생산성 분석
이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본 조사의 목적은 호텔 베이커리 운영에 있어서 운영형태에 따른 생산성을 비교분석 해 향후 보다 효율적인 베이커리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특1급 호텔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운영형태에 따른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해 커피 판매 여부에 따라서 커피 판매집단(W호텔, L호텔, C호텔, SH호텔, R호텔, I호텔, M호텔)과 판매하지 않는 집단(H호텔, S호텔), 오픈키친의 운영 여부에 따라 운영하는 집단(W호텔, H호텔, C호텔, SH호텔)과 운영하지 않는 집단(S호텔, L호텔, R호텔, I호텔, M호텔), 베이커리 자체 상품의 비율에 따라서 베이커리 자체상품이 63%이상인 집단(W호텔, S호텔, L호텔, SH호텔, M호텔)과 63%미만 집단(H호텔, C호텔, R호텔, I호텔)으로 나눠서 조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조사 방법은 질문지에 기초하여 호텔 베이커리의 조리장과 지배인을 심층 인터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인터뷰는 2002년 2월 1일부터2월 28일까지 28일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대상 1인당 30-100 여분 정도의 인터뷰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도구로 종사원 인원 및 경력 현황, 상품 현황, 시설 현황, 공간 현황, 고객 현황, 매출액, 베이커리의 특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문항별로 인터뷰 내용을 요약하여 통계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각각의 운영형태별 일반적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형태별로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운영형태별 일반현황을 보면, 커피 판매여부에 따라서 커피 비판매 집단은 종사원의 총인원이 커피 판매 집단보다 많으며, 주방의 비율(델리, 지원주방포함)이 높으며, 홀의 비율은 낮다. 시설은 커피 비판매 집단이 주방과 홀의 면적이 모두 넓게 나타났으며, 매출은 베이커리 베이커리 총매출, 델리매출, 지원부서 매출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비율은 델리 비율이 지원부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품종류와 종류별 매출현황은 상품종류와 매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상품종류별 비율을 보면, 베이커리, food 상품종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MD상품과 food 상품의 매출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오픈키친운영 여부에 따라서, 오픈키친운영집단은 종사원의 총인원이 적게 나타났으나 주방종사원 중 델리 인원은 같게 나타났다. 주방 종사원의 비율(델리, 지원주방포함)이 홀 종사원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오픈키친 운영집단은 종사원의 총인원이 적게 나타났으나 주방종사원 중 델리 인원은 같게 나타났다. 주방종사원의 비율(델리, 지원주방포함)이 홀 종사원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은 주방의 면적이 크며, 홀의 면적이 적으며, 홀의 Table수가 적게 나타났다. 매출은 델리 매출만 높게 나타났으며, 베이커리 총 매출(지원부서 포함)은 오픈키친을 운영하지 않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델리 상품종류와 상품별 매출은 매출과 상품종류 모두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품종류별비율을 보면, Food상품의 종류만 많고 MD상품과 Food상품의 매출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베이커리 자체 상품의 비율에 따른 집단은, 베이커리 자체 상품이 63%이상 집단은 종사원은 종사원의 총인원이 많으며, 주방종사원(델리, 지원주방)의 비율이 높고 홀의 비율이 낮다. 시설은 주방과 홀의 면적이 크며, Table수는 적은 걸로 나타났다. 매출을 보면, 베이커리 총매출과 지원부서 매출, 델리 매출이 모두 높으며, 비율은 같다. 상품종류와 상품별 매출현황을 보면, 상품종별매출은 높으나 상품종류는 적게 나타났다. 상품종류별 비율은 베이커리 상품과 coffee 상품의 매출비율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운영형태에 따른 생산성을 분석해본 결과 커피 비판매 집단과 오픈키친운영 집단이 생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베이커리 자체 상품 비율에 따른 생산성은 생산성 종류에 따라 반반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으며, 베이커리 자체 상품 비율이 63%이상인 집단과 63%이하인 집단의 커피판매 여부와 오픈 키친 여부를 알아본 결과 커피 비판매 집단 2곳(50%)과 오픈키친 집단이 4곳(57%)으로 나타났다. 생산성이 높은 운영형태의 공통점을 분석해 보면, 우선 종업원 비율에 주방의 비율이 홀의 비율보다는 높아서 아직까지 판매도 중요하지만, 주방이 더 중요함을 보여 줬으며, 주방과 홀의 면적이 모두 크게 나타나 적절한 시설이 필요함을 보여주지만 Table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나 베이커리 판매에서 Table판매는 별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면 에서는, 베이커리주방의 특성상 델리와 지원부서가 모두 중요하지만 델리 비율이 높은 집단이 생산성이 더 크게 나타나 호텔에서 베이커리의 비중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종류와 상품종류별 상관관계는 매출에 대비해서 상품종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조절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부문에서는 MD상품과 Food상품비율이 높은 것이 생산성을 높여주는 주원인이므로, 계속해서 MD상품과 Food상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호텔 베이커리의 운영 형태별 생산성을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호텔 베이커리 형태를 제시하고자 연구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한 향후 바람직한 베이커리 운영형태는 커피는 판매가 매출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며, 오픈키친을 운영하는 것이 매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이커리 자체 상품의 비율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의 차이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향후 베이커리 운영형태는 오픈키친을 운영하며, MD상품과 Food상품의 비율은 높이고 커피판매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a study was production analysis by type of management. and suggest utilized management model. The sample was selected first grade hotels in seoul. it was classified into sale coffee or not, open system kitchen or not, and ratio of bake item was over 63percentage or not. The method of research was In-depth interview. The questionee were managers and chefs each bakery shop. Interview was accomplished average 45 minutes. The period of the research was from 1th of February, 2002 to 28th of February, 2002. The survey was composed of product operation, employee operation, equipment operation, customer operation, sale and bakery characteristic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10.0. mean, maximum value and minimum value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group of sale coffee and a group that was operated open kitchen system were higher than other group on productivity. the productivity of bakery item was listed as half ratio depend on kind of productivity. contrasting a group of sales ratio was upper 63 percent and a group of sales ratio was lower 63 percent of bakery item on the point of sales coffee and open kitchen system, 2 of groups which didn't sale coffee and 4 of groups were recorded higher than other groups on productivity. Seeing the type of groups which were higher productivity, the ratio of back of the house employee were higher than the ratio of front of the house employee. size of kitchen and hall are both big. so there were needed to moderate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table is few. considering the result, the sales on table wasn't suitable. on the point of sales, productivity of the group was higher on delicatessen ratio was higher than other group. so bakery ratio on hotel will be more and more bigger than now. MD product and food product were listed higher productivity.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analyzed productivity depend on type of operation of bakery shop on hotel. according to the study, coffee didn't give good effect on sales increasing. open kitchen system was effect to sales increasing. the ratio of bakery item didn't clarified in sales increasing.
한국산 3종의 개구리 GnRH 유전자의 다양성과 유전자 구조
동물의 생식계에서 주 조절요인으로 작용하는 펩티드성 호르몬 GnRH의 유전자 구조에 대해 조사하였다. 번식기가 서로 다른 3종의 개구리 (옴개구리, 참개구리, 북방산개구리)를 재료로 GnRH유전자들의 구조적 유사성 또는 상이성을 제한효소 배열법 (RFLP)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정제한 3종 개구리의 genomic DNA를 여러가지 제한효소 (EcoR I, Hind III 등)로 처리한 결과 전기영동상에서 전개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3종 개구리의 genomic DNA를 제한효소 EcoR I 으로 절단하여 rat GnRH cDNA와 hybridzation을 실시한 결과 3종 모두 0.6Kb와 2.8Kb 부위에서 반응을 보여 주었다. 그로부터 제한효소 EcoR I 지도 (restriction mapping)에 관한 한 3종 개구리의 GnRH 유전자 구조는 매우 유사한 것으로 추측되었으며, 제한효소 Pvu II의 경우 EcoR I과는 다른 hybridization 양상을 보여주었다. 개구리의 GnRH의 유전자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genomic library 합성을 시도하였으며 이로부터 개구리 GnRH의 유전자를 색출하고자 시도중이다. 3종 개구리에 존재하는 GnRH 유전자 구조의 비교 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실험이 요구 된다. The gene structure of peptide hormone, GnRH, which acts as a key regulatory factor in the vertebrate reproductive system, was analyzed. The structural similarity or difference of GnRH gene in 3 species of Korea frogs was studied using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es) technique. Purified high molecular weight genomic DNA of 3 species were digested with restriction enzymes (EcoR I, HindIII, etc.). The resolving pattern of digested DNA fragment on a electrophoresis was different between 3 species. Southern hybridizations of genomic DNA from 3 species were done using rat GnRH cDNA as probe. Genomic DNAs were digested with EcoR I and blott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 Hybridization signals were shown at 0.6Kb and 2.8Kb area, and seems to the same in all 3 species. From these result, it was conclused that the the GnRH gene structures of 3 species were identical in terms of EcoR I restriction mapping at least. Hybridization pattern of genomic DNAs cut with Pvu II was identified being different from that of EcoRI. In order to analyze the GnRH gene structure of 3 species, gemomic library was constructed and library screening for GnRH gene identification will be done soon. Moreworks seems to be necersary to compare the GnRH gene structure between 3 species of Korean frog.
HMIPv6 환경에서 노드 이동 패턴을 고려한 MAP 도메인 크기 결정 방법
이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ecently, real time services have been demanding a lot and mobile devices are increasing explosively. Many researchers are focusing on decreasing Hand-Off or signaling cost, produced when mobile devices are moving around. With these efforts, HMIPv6(Hierarchical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was purposed. Mobile nodes do not need to register their locations to Home Agents whenever crossing over subnets within a MAP domain. In HMIPv6, mobile nodes choose the furthest MAP without considering node mobility patterns. However, A large MAP domain is not always efficient for a slow moving node and Additional work to choose a MAP is required in HMIPv6. This thesis purposes “Determination method of a MAP domain size based on the node mobility pattern in HMIPv6.” The performance is showed by measuring cost when mobile nodes are communicating with correspond nod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urposed method can decrease cost even it needs to work additionally to distinguish mobility patterns of nodes. 최근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서비스나 이동 단말기의 폭증으로 인하여 노드 이동 시에 발생하는 핸드오프나 시그널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제안된 프로토콜이 HMIPv6이다. HMIPv6에서 이동 노드가 동일한 MAP도메인 영역내의 서브넷들을 이동할 시에는 대응 노드나 홈 에이전트에 위치 등록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MAP에게만 그 위치를 등록하게 된다. 그러나, HMIPv6에서 선택한 거리기반 MAP 선택 방법에서는 이동 노드 패턴에 관계없이 이동 노드에서 거리가 가장 먼 MAP을 선택하여 큰 크기의 MAP 도메인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경우, MAP 선택을 위한 오버헤드와 그 사이의 핸드오프 딜레이가 발생하며 비효율적으로 항상 큰 크기의 MAP 도메인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의 한 서브넷 내의 상주시간에 따라 이동 노드의 이동 패턴을 구분하여 노드마다 다른 크기의 MAP 도메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노드와 대응노드 사이에 통신 시 드는 총비용을 수식으로 정리하여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간의 총 비용을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 이동 노드 패턴을 구분하는데 추가의 비용이 들더라도 제안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비용이 절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