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와 이의 교육적 전환을 통한 초등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21세기의 인재는 무엇보다 미래의 융복합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누구도 생각하지 못하는 창의적 생각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가의 창의·융합적 사고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전환을 통해 적용되었을 유의미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대표적인 창의적 현대미술가로 백남준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2009, 2015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과서의 작품 수, 기존에 교사들의 설문조사, 현대미술에서 백남준의 중요성이 대두 사회문화적 맥락 때문이다.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의 창시로만 알려져 있지만 그의 분야와 장르를 넘어서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백남준의 사고를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창의·융합적 사고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창의·융합의 개념이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에게 다소 산발적이고 통일되지 않았으며 창의·융합 교육이 STEAM프로그램과 동일한 맥락에서 교육되어 학생들에게 활동의 과중함과 부담감으로 이어져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백남준 교사 설문에서 백남준을 창의적 현대미술가로 인식하기는 하나 미술수업에서는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교육활동에서 소극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창의적으로 평가 받았던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이끌어내고 교육적 전환을 통해 초등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우선 산발적인 창의·융합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학술지, 학위논문, 단행본, 2009 및 2015 개정 미술교육과정과 미술 검정교과서를 분석하였고 현장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백남준의 문헌연구를 통해 과정적 요소로 1)예술가의 사유 2)방법으로서 콜라주와 협업 3)문제해결을 꼽아 미술수업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 요소 1)소리(음악) 2)테크놀로지 3)시공간 4)관객참여 5)행위였다. 백남준 창의·융합적 사고의 교육적 전환의 내용은 ‘미래에 대한 상상과 참여적 소통’ ‘새로운 매체의 자발적인 선택 및 활용하기’, ‘학생-학생, 교사-학생과의 협업’, ‘이질적인 요소 더하기’로 창의·융합적 사고 증진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4차시 이루어진 세 개의 미술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1차시는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공감각에 대한 내용, 2차시는 미래에 대한 사유로써 로봇과 인간의 미래에 대한 상상, 3차시는 소통을 주제로 학생중심 활동을 통해 미술표현 매체를 선택하고 협업하여 기능을 익히며 시각적 표현에서 만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수업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끊임없이 미래를 내다보며 인간과 기계가 공동으로 진화하는 미래를 그려내었던 백남준에 기반을 둔 창의·융합적 사고 증진 미술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제시되길 바란다. 또한 창의·융합 미술교육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4차 혁명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능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미술교과와 미술 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기를 희망한다.

      • 탈 동독 이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통일 대비 이주정책에 대한 시사점

        이주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그 동안의 한반도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통일의 ‘가시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체적인 행동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통일 전후의 대규모의 이주사태는 통일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독일 통일 전후의 동독에서 서독으로의 이주를 분석하여 남북한의 통일 상황에 대비하고, 통일과정에서 발생될 북한주민의 대규모 인구이동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독일사회경제패널(G-SOEP)를 활용하여 독일 통일을 기준으로 1989년 이전과 1990년 이후의 탈 동독 이주민을 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현재 북한 이탈주민과 통일 이후 탈북 이주민으로 대응될 수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두 집단의 구성과 특성이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탈 동독 이주민의 특성이 서독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탈 동독 이주민의 인구 사회적 특성과 고용관련 특성이 서독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89년 이전과 90년 이후 탈 동독 이주민 집단에서 모두 대졸의 삶의 만족도가 고졸보다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가구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반도 통일 상황에서 탈북 이주민의 소득과 노동시장참여를 높이는 것이 남한사회의 적응을 돕는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 이를 위해서는 학력연계 및 재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대도시와 중소도시 중학교 수학교사간의 ICT 활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비교연구

        이주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전주시의 수학교사를 중심으로 서울시 수학교사와 비교를 통해 정의적인 측면에서 ICT 활용수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주시 수학과 교사들이 ICT 활용수업 및 ICT 의 생활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호 작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를 다루는 능력은 전주시와 서울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활용수업 실태는 전주시와 서울시 두 도시 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활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은 전주시와 서울시 두 도시 간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주시와 서울시 중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2008년 8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인터넷과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여 통계․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설문지는 인터넷 자료에 실린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자가 개작한 설문지를 사용, 총 36문항으로 배경사항, 기초사항, ICT 활용능력, ICT 활용수업 실태, ICT 활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의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k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ICT 를 다루는 능력은 전반적으로 전주시 수학교사가 서울시 수학교사보다 더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집단 간 ICT 활용 횟수에는 전주시가 서울시보다 높았지만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주시 수학교사와 서울시 수학교사 모두 ICT 활용수업을 주당 1회- 2회 이하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ICT 활용수업을 거의 하지 않는 이유에 전체 전주시와 서울시 수학교사의 60% 가 교과에 맞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셋째, 두 집단 간 효과적인 ICT 활용수업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전주시 수학교사의 대부분은 S/W 및 인터넷 사용능력․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본인의 자율연수 그리고 학교의 노후 된 시설과 인터넷 접속 향상을 꼽았다. 서울시 수학교사의 대부분은 교육청 단위 ICT 활용 연수의 횟수․ 대상인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1.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actical operation condition and the way to revitalize the methods on the aspect of definition from the junior-high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and seoul. Also, this study is to find the interactive way of operating ICT by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both the application of the apparatus on the classes and the practical use of it. For these goals, we set up 3 main subjects following below; Subject 1. What is the differences of the handling capability on ICT of the teacher groups in Seoul and Jeonju? Subject 2. What is the differences of the condition of operating ICT device in the class of both groups? Subject 3. What is the differences about revitalizing plans on classes with the ICT apparatus by both groups? 2. The Researching Method To analyze these subjects, the questionnaire subjects to the mathematics teachers of Jeonju and Seoul was distribu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Internet or Postal services from Mid-August to Late of November in 2008 for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rchive. The Research was based upon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material, with 36 questions in 5 area - Background, Basic Knowledge, ICT operation capability, Actual Condition of ICT Operation and Revitalization of ICT operating classes -, and the process of this data was done with and by SPSS 12.0 kor.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3.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mathematics classes with ICT operation, we could obtain three distinct results that following below. Of those two groups,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have more capability of operating ICT. They had 5% of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Also the frequency of operating ICT system in Jeonju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5%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operated ICT program only twice in a week or lesser than that. More than the state, about 60% of interviewees were not able to operate the system appropriately in teaching mathematics. And finally on the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practical operation of ICT in the classes, they had some difference in 5%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Most of the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mentioned the capability of using S/W and the internet services, more individual training course to learn the specialty, the outdated structure of the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et connec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ose teachers in Seoul suggested that the enlargement of the classes and the augmentation of the personnel for the ICT operation training course is necessary.

      •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용한 집단 무용/동작심리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우울 및 불안과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주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monstrated how the Dance/Movement program with Rhythmic Group Activity affects the depression,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ity of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e study subjects were 20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who use a day care facility in G City,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divided into 10 individuals each; over a period of 10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with Rhythmic Group Activity, while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with it. This study used study tools -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Y) and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EES).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from March 2 to April 3, 2018, twi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with Rhythmic Group Activity to depression,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on of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e entire program consisted of three stages - early, middle, and late; it began with body awareness and group rhythmic movements, so that the group can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e voluntary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this structure, the early stage - the stage focused on awareness of one’s body – provided experiences with simple group movements to explore one’s body and movements; the middle stage, by repeating the group rhythmic movements, let one to experience voluntary and creative movements within the dynamics of the group. At the same time, the group had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emotion that was shared in group movements. The later stage attracted people to share their feelings more willingly within the group and finished the program safely in a sense of stability and belonging. At the end of the last therapy session, the body scan, which is to check the changes in activated physical sense and emotional recognition through Rhythmic Group Activity, showed the improvement in positiv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compared to the initial session’s results. After the entire sessions of the therapy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with the pre-programming test and post-programming test; they verifi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with Rhythmic Group Activity on depression,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the kind of emotional alleviation and relaxation was expedited through the group treatmen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which resulted the positive effect on the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who had difficulty in expressing emotion as they were isolated and depressed with negative emotions. 본 연구는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용한 집단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우울 및 불안, 정서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G시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들 20명이다. 실험집단과 대기 통제집단을 각각 10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총 10회기에 걸쳐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용한 집단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대기 통제집단에게는 처치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과 상태-특성 불안척도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Y) 그리고 정서표현성 척도(Emotional Expressivity Scale: EE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은 2018년 3월 2일부터 4월 3일 까지 주 2회, 각 5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우울 및 불안과 정서표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체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후기의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이 구성은 신체 인식과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반복함으로서 집단이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고 동시에 자발적인 정서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초기단계에서는 신체 인식의 경험을 가지고 간단한 공동 움직임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신체와 움직임을 탐색하였다. 중기단계에서는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반복하고 집단이 함께 움직임의 역동 안에서 자발적이고 창조적인 움직임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동시에 공동의 움직임에서 공유된 정서를 표현하는 기회를 가졌다. 후기에서는 공동의 움직임 안에서 느껴지는 자신의 정서 표현을 보다 적극적으로 집단 안에서 공유하고 재경험 하면서 안정감과 소속감 속에 안전하게 종결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결 시에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통하여 활성화된 신체 감각 및 정서 인식을 표현하고 확인하기 위한 바디스캔의 결과 초기 회기에 비하여 최종회기에 긍정적 정서 인지와 표현이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사한 결과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우울 및 불안과 정서표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부정적 정서와 함께 고립되고 위축되며 정서표현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던 경증치매노인들이 공동의 리듬적 움직임을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를 통해 정서해소 및 완화와 정서표현의 경험이 촉진되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티무르朝 史書, 야즈디 撰『勝戰記』(Ẓafar-nāma)의 譯註

        이주연 서울大學校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Ẓafar-nāma, which is the biography of the historical Persian conqueror, Amir Timur, and his many victories. Amir Timur conquered Central and Southwest Asia, the Caucasus Mountains, Asia Minor, Northern India, and Western China and constructed a great empire called the Timurid Dynasty lasting from the late 14th to the early 16th Century. Amir Timur was born in the early 14th century in the city called Kish(now known as Shahr-i Sabz), of Uzbekistan. He was son of the Barlas Amir Turagay, who was one of the tribal chiefs of Ulus Chaghaday. He appeared as the Amir of Mawara-al-Nahr at age 25, and unified Mawara-al-Nahr by age 40. Since that time, he conquered the extensive areas that are described above and then constructed a great empire that lasted for 35 years. He also planned Chinese expeditions and advanced to Otrar, which is a city in Kazakhstan; however, in 1405, he died there. Amir Timur had many intellectuals from all over the world close to him. He ordered some of them to write the history about his victories and exploits. After he died, his descendants employed several historians to write biographical history about him, entitled the Ẓafar-nāma. This work is one piece of Timurid historical writing that addresses him and his descendants. This historical account was written by historian Sharaf 'ali al-Dī.n Yazdī at shiraz of Iran Fars upon receiving the order from Ibrahīm Sulṭān, grand son of Timur. It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monarchical legitimacy of Timur, who was a Turkish Nomadic monarch and was not a member of the Chingisid family. He was treated as a pagan barbarian at the time. Moreover, it was noted for its beautiful and splendid literary style. Thus, numerous copies of that history have been produced and become components of the histories representing Persian-Islamic culture. In this history, Timur is referred to as 'Ṣāḥib-qirān', which is derived from ancient Persian culture. It is used as the title for the one who was born when the conjunction of Jupiter and Saturn occurred, and was expected to conquer the world by Divine protection. In this conception, thought and cultural elements of various fields were inherent such as Pre-Islamic Persian culture and kingship, Occult sciences including astrology, numerology, Messianism, Sufism, and the worship of the Islamic Saint. This conception was A unique monarchical legitimacy produced by Persian-Islamic culture. It affected a great many monarchs of post-Timurid countries. Therefore, Timur became a great example and standard for successor monarchs when they constructed their own monarchical legitimacies. Ẓafar-nāma started with a simple introduction about God and the prophet Muhammad, the birth of Timur, and the sacred sign of heaven related to it. The strong point of this history is the situation of Mawara al-Nahr prior to Timur's appearance in the late 14th century. After that many records regarding Timur's victory were listed according to chronological order, and this dissertation separates the translation of Ẓafar-nāma into thre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imur went into battle with many tribal/non-tribal groups in Mawara al-Nahr and became a potent Amir, defeating Amir Husayn of Qaraunas and unifying Mawara al-Nahr, attacking Khwarazm, the Moghulistan steppe, Sistan, Hurasan, and Mazandaran, conquering each of those areas. This corresponds to the year 1386. In the second chapter, Timur finished conquering the surrounding areas, and began to make an expedition to faraway places like the north of southern Iran, Caucasian mountains, Iraq and Syria, and Asia Minor. In the third chapter, Timur makes an expedition to Iran for seven years. He has already conquered almost every Islamic world in the previous stage, so in this stage the Timurid dynasty faces the boundary with Europe at the western border, and does the same with China at the eastern border. Ẓafar-nāma had spread throughout the Persian-Islamic world in the post-Timurid era and was reproduced in many hand-written copies due to the beautiful literary style and contributions to the building of Timur's legitimacy. There exist more than 200 copies known to us. This dissertation translates and annotates using several old copies that were written during the period when Yazdi was still alive, and several publications make use of those old copies. Until now, there have been four different editions that were published in India, Uzbekistan, and Iran(twice), respectively. Although there are a great deal of copies and editions all around the world, translation to other languages is not quite enough. Moreover, there is no complete translated version of the non-Islamic world language that equivalent numbers of verse in Ẓafar-nāma are also translated. I am aiming at a complete translation, and I would like to introduce a special form of Persian history that combines verse and prose, to the reader. 本稿는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반까지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서남아시아, 카프카스 산맥 일대 및 소아시아, 북인도, 중국 서부 등을 정복하고 대제국을 세웠던 티무르 朝의 始祖 아미르 티무르의 일대기와 그의 수많은 승전에 관해 기록한 페르시아어 역사서, 『勝戰記』(Ẓafar-nāma)의 解題 및 譯註이다. 아미르 티무르는 14세기 초반에 현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키시(현 샤흐리 사브즈)에서, 당시 중앙아시아를 지배하고 있었던 차가다이 울루스의 유력 부족인 바룰라스 부 아미르의 아들로 태어나, 25세 무렵에 마와라안나흐르의 유력 아미르로 등장하였고, 40세가 되던 해에 마와라안나흐르를 통일하였다. 이후 사망할 때 까지 근 35년간 위에서 언급된 드넓은 지역을 점령하여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였고, 중국으로의 원정을 계획하여 현 카자흐스탄의 도시 오트라르까지 진격하였다가 1405년, 그 곳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생전에 세계 각지에서 소집한 지식인들을 곁에 두었는데, 그 중에 일부에게 자신의 勝戰 및 功績에 관한 역사서를 작성하도록 명하였다. 또한 그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후손들의 후원 하에 여러 역사서가 완성되었다. 본고에서 번역한 『勝戰記』는 이러한 티무르와 그 후손들의 노력과 후원을 통해 완성된 티무르 조의 여러 역사서 중 하나이다. 이 사서는 1424년, 이란 파르스 지방의 도시 시라즈에서 샤라프 알리 앗 딘 야즈디라는 史家가 티무르의 손자인 이브라힘 술탄의 명을 받아 완성하였는데, 이 사서는 당시에 이교도 취급을 받았던 투르크 유목 군주이자 황금씨족 출신도 아니었던 티무르의 군주적 정통성을 구축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화려하고 아름다운 문체 등으로 주목을 받아 수많은 필사본을 남기며 페르시아-이슬람권을 대표하는 사서 중에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사서는 티무르를 ‘사힙키란’이라 칭하는데, 이는 고대 페르시아 문화에서 기원하였으며, 목성과 토성의 合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어나 신의 가호로 세계를 정복하도록 예정된 인물에게 붙여진 칭호이다. 이 개념 안에는 이슬람 이전 페르시아의 문화 및 군주상 및 신비주의 과학, 즉 천문학 및 점성술과 수비학, 메시아사상, 수피즘 교리 및 이슬람의 성자숭배 등 다양한 분야의 사상·문화적 요소가 내재되어 있어, 페르시아-이슬람 문화권에서 만들어낸 독특한 군주적 정통성 관념이라 볼 수 있다. 이 관념은 티무르 조 후속 국가의 여러 군주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티무르는 후속 국가에서 군주적 정통성을 구축할 때 典範이자 기준이 되었다. 『勝戰記』는 신과 예언자 무함마드를 찬양하는 도입부, 티무르의 탄생 및 그와 관련된 神聖한 天球상의 징조, 사서의 特長點, 티무르가 14세기 후반 마와라안나흐르에 등장하기 전의 상황 등을 간략히 서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이후 본격적으로 티무르의 勝戰에 관한 기사를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였는데, 본고에서는 그 내용을 세 개의 章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章은 티무르가 마와라안나흐르의 諸 勢力들과 각축을 벌이면서 유력 아미르로 성장하였고, 결국 대 아미르였던 카라우나스 부의 아미르 후세인을 물리치고 마와라안나흐르를 통일한 다음, 주변 지역인 호라즘과 모굴리스탄 초원, 시스탄, 후라산과 마잔다란 등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던 1386년까지를 포괄한다. 두 번째 章은 티무르가 주변 지역의 정복을 완료한 후, 보다 먼 지역으로 1년 이상의 원정을 나섰던 시기에 해당하며, 그 원정 대상은 주로 이란 서북부 및 카프카스 山地, 이라크와 시리아, 소아시아에 위치한 諸 勢力이었다. 세 번째 章은 티무르의 마지막 원정이자 최장기 원정인 이란 7년 원정에 해당하는데, 이전 단계에서 이미 이슬람권의 대부분을 정복하였던 티무르가 이 단계에서는 서쪽의 유럽, 동쪽의 중국과 경계를 마주하며, 세계사에 한 획을 긋게 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勝戰記』는 전술하였듯이 아름다운 문체 및 티무르의 군주적 정통성 구축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이유로, 티무르 조 이후의 페르시아-이슬람권에 널리 전파되었으며 수많은 필사본이 제작되었는데, 현존하는 사본만 200여 개이다. 본고에서는 필자 생전에 제작된 오래된 몇몇 사본들 및 그 사본을 이용하여 제작된 출판본들을 이용하여 역주하였다. 현재까지 출판본은 인도, 우즈베키스탄, 이란에서 네 차례 출판되었다. 이처럼 사본과 출판본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타 언어로의 번역본은 많지 않은 편이며, 특히 사서를 구성하는 상당수의 詩를 함께 번역한 완역본은 현재까지 이슬람권 이외의 언어로는 없는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勝戰記』의 全文 완역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와 산문이 결합된 페르시아어 역사서의 묘미 또한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다.

      •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표현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을 대상으로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표현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 I센터에 다니는 6-7세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동질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였으며,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프로그램은 주1회 80분, 총12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표현력 검사와 또래관계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기표현력 검사는 아동의 주 양육자인 부모가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또래관계 검사는 아동의 유치원 담임교사가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효과분석을 위하여 검사 시기와 집단에 따른 차이는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표현력과 또래관계가 검사시기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표현력의 하위영역인 내용, 음성, 체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하위영역인 사교성, 지도성, 안정성, 유능성, 협조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과 또래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회기별 변화과정에서도 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의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과 자유로운 표현을 가능하게 하여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자기표현력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아동을 교육하는 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을 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자기표현력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mutual scribble story making on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homogeneous examination of 14 children aged 6-7 who attended the I Center located in P city, followed b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7 children each. Group art therapy using mutual scribble story making was executed in 12 sessions, 80 minutes each. As a research tool, self-expression test and peer relationship test were used. The self-expression test was conducted by the parent who is the primary caregiver of the child, and the peer relationship test was conducted by the child's kindergarten teacher. For the analysis of test results,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est periods and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group art therapy using mutual scribble story making, the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period and the group. The content, voice, and body, which are sub-areas of self-expression,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howing a positive chan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ity, leadership, stability, competence, and cooperativeness, which are sub-domains of peer 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mutual scribble story ma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were observed in the course of change by s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using mutual scribble story mak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by satisfying the expression needs by enabling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and free expression.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by applying the program to children in the field of education.

      • 중년여성들의 공동 활동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 연구 : 극단 ‘아름’을 중심으로

        이주연 대진대학교교육대학원 인적자원평생교육전공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극을 매개로 공동 활동을 하는 중년여성들의 일상의 학습경험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극단의 연습 과정과 공연 활동을 통한 경험이 일상 학습의 장인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중년여성들의 공동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일상 학습경험의 특징과 활동 후에 보이는 삶과 의미변화를 평생 교육학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활동 맥락과 극단 활동을 통한 일상의 학습경험을 살펴보기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극단 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활동 맥락은 어떠한가? 둘째, 이들은 극단 활동을 통해 어떠한 학습을 경험하는가? 셋째, 일상에서의 삶과 의미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라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년 시기의 삶을 살아가는 연구 참여자들의 일상의 학습경험의 양상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 극단 ‘아름’ 단원 4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20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참여관찰, 심층 면담, 그룹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학습경험과 의미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극단 ‘아름’의 구성과정에서 나타난 활동 맥락으로는 연극으로의 입문, 극단 아름의 창단, 극단 아름에서의 활동으로 나타났다. 각기 상이한 삶의 배경을 가진 이들이 연극에 입문하여, 무대와 배움에 대한 갈망으로 극단 아름을 창단하였으며, 참여자들의 학습경험은 극단 활동에 필요한 자양분이 되었음이 발견되었다. 참여자들은 평소 매체를 보며 막연히 동경하던 배우의 길에 우연한 기회에 입문하고, 내면에 숨겨진 자신의 끼를 발견하였다. 또한, 연극에 대한 호기심과 신체적·정신적 변화로 인한 중년의 무료함 극복, 빈둥지 증후군, 탈 부모기, 가족을 잃어버린 아픔 등 가족관계의 변화를 겪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극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극단 아름의 창단 이면에는 1년에 단 한 번 열리는 연극대회를 준비하며 무대와 배움에 대한 갈망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참여자들은 주도적으로 단장을 세우고 시에 제안서를 올려 기초연기 과정인 연극 아카데미를 개설하였으며, 스스로 학습한 경험과 공동의 경험은 극단 활동에 훌륭한 자양분이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공동 활동을 통한 일상의 학습경험은 삶과 어우러진 일상의 학습경험, 앞에서 끌고 뒤에서 미는 상호작용 학습경험, 갈등을 극복하고 합을 맞춰가는 공동체 학습경험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먼저, 학습 과정에서 개인의 상황적, 환경적 맥락에 맞게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학습 방법을 찾는 삶과 어우러진 일상의 학습경험을 하였으며, 차 안에서 운전하며 녹음한 내용을 듣고, 일터에서 시간을 쪼개가며 이미지 트레이닝하고, 타자의 공연을 보며 내 것으로 만드는 등, 수시로 시간이 날 때마다 자신의 상황에 맞춰 학습하는 무형식 학습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또한, 연출을 중심으로 참여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공동의 목표를 완성해 나가며 앞에서 끌고 뒤에서 미는 상호작용학습을 경험하였다. 자신이 출연할 작품을 직접 고르고 대본을 선택하는 과정, 대본과 안무를 연습하고 참여자들이 서로 조율해 나가는 과정에서 상호작용하며 학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각기 다른 이들이 모여 의견을 모으는 과정에서 배역 선정, 시간 약속, 상대와의 역량 차이 등으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무대 위에서 함께 평가받는 사람들이라는 공동체 의식은 공동의 책임감으로 발현되었으며, 배려와 이해로 얽힌 매듭을 풀었고, 이는 무대 위의 희열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극을 통한 삶과 의미변화는 모두를 변화시킨 ‘연극의 힘’, 연극과 공생하며 성장하는 삶, 연극 카페 만들기를 통한 변화와 도전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연극을 통해 타자로부터 인정을 받으며 자신감을 회복하였고, 개인의 변화는 공동의 회복으로 확장되었다. 오랜 시간 무대에 오르며 인생의 희로애락을 함께 했고, 연극은 지친 삶에 활력소가 되었으며 풍요로움을 주었다. 이러한 삶의 여유는 새로운 목표를 세우는 동기가 되었고, 언택트 시대에 맞는 1인극 공연과 단원 모두가 함께하는 종합예술작품을 기획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학습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이를 나누기 위해 실천하며 도전하고 있었다. 상호 간의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연극 카페 만들기라는 비전 제시로 함께 도전하고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중년여성 극단 ‘아름’의 공동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은 평생 교육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각기 상이한 배경을 가진 중년의 여성 학습자들이 공동의 관심사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해 나가는 전 과정을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주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일상의 학습은 평생교육의 이념인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무엇이든 배울 수 있다는 개념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극을 매개로 한 공동 활동과 학습경험에서 발현한 공동체 의식은 배움을 나누는 실천학습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는 평생 교육학적 관점에서 볼 때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 관한 후속 연구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참여자 선정에 있어 중년여성 4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그중 미혼 여성은 1인으로 대상자 선정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중년기를 겪더라고 처한 상황과 삶의 경험은 모두 다름을 볼 수 있었다. 이에 중년기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학습경험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다문화 시대에 도래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평생 교육학적 접근도 필요하다. 중년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학습동아리의 공동학습은 어떤 양상과 특징을 띄는지 후속 연구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본 연구자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기존 공동체 중 중년 남녀로 구성된 문화예술단체의 공동학습은 어떤 특징과 양상을 보이는지 젠더 관점에서의 비교 연구를 제안한다. 주제어 : 중년여성, 일상학습, 공동학습, 무형식 학습, 실천공동체

      • 규칙적 운동 여부가 인지기능점수 변화 및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 :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이주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고령화 심화에 따른 치매환자 수 증가로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이 예상된다. 선제적인 치매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치매 예방수칙으로 신체활동이 권장된다. 신체활동의 인지기능 개선 및 치매 예방 효과를 확인한 국내·외 연구는 다수 있지만, 개인의 운동 여부 및 운동량은 나이 및 건강상태에 따라 변동이 크고 연구에 따라 그 관계가 일관되게 확인되지 않는다. 이에 우리나라 고령인구에서 장기간 추적 조사된 자료를 통해 규칙적인 운동이 인지기능 개선 및 치매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2006년 1차 조사에서 우리나라 만45세 이상 10,254명을 대상으로 격년(2년) 주기 조사를 진행하여, 7차 추적조사 결과 6,136명의 유효 표본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1차 조사시점에 이미 치매를 진단받은 상태이거나 주요 응답이 결측된 대상자를 제외하고 6,131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각 연구대상자의 1차부터 7차까지의 응답을 이용하므로 경시적 자료 분석에 적합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규칙적 운동 여부와 인지기능점수 변화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효과모형(M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였으며, 규칙적 운동 여부 및 신체 활동량과 치매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를 이용하였다. 하위군 분석으로 성별, 나이별 규칙적 운동 여부가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추정방정식(GE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나이,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사회활동 수준), 만성질환 요인(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정신과질환의 진단 여부), 건강행태 요인(비만도(BMI), 흡연정보, 음주정보)을 보정하였을 때, 규칙적 운동군은 규칙적 운동안함 군에 비해 인지기능점수가 0.4848점 높았으며, 치매 발생 오즈가 0.42배(95% CI: 0.26-0.69)로 치매 발생 위험이 57.8% 낮았다. 신체 활동량이 높은 군은 신체 활동량이 없는 군에 비해 치매 발생 오즈가 0.38배(95% CI: 0.22-0.66)로 치매 발생 위험이 61.9% 낮았으나, 낮은 활동량 군과 신체 활동량이 없는 군 간의 치매 발생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위군 분석에서 규칙적 운동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치매 발생 위험을 더 낮췄다(53.1%대 57.5%). 65세 미만에서는 규칙적 운동 여부와 치매 발생 간의 유의한 관련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65세 이상에서는 규칙적 운동군이 규칙적 운동안함 군에 비해 치매 발생 오즈가 0.34배(95% CI: 0.20-0.58)로 치매 발생 위험이 65.8% 낮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규칙적 운동 여부가 인지기능점수 변화 및 치매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규칙적 운동은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치매 위험을 줄였으며, 높은 신체 활동량에서 치매 예방 효과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시적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규칙적인 운동 여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인지기능과 치매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In Korea, a considerable socio-economic burden is expec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importance of preemptive dementia prevention and management is emphasized, and physical activity is recommended as dementia prevention measur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confirme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the prevention of dementia, the association is not consistently confirmed because individual exercise status changes depending on age and health statu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the prevention of dementia through long term follow-up data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Subject and Method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conducted a biennial (2-year) periodic survey on 10,254 Koreans aged 45 and over in the first survey in 2006. As a result of the 7th follow-up survey, the effective sample number was 6,136. In this study, 6,131 people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excluding those who had already been diagnosed with dementia at the time of the first survey, or who had missing major responses. Analytical method was selected suitable for longitudinal data because responses from the 1st to 7th survey of each subject were used. A Mixed Effect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exercise and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scores,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exercise or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occurrence of dementia. As a subgroup analysis,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by gender and age on the occurrence of dementia was analyzed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Results Adjusted by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social activity level), chronic disease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psychiatric disease) and health behavior factors (BMI, smoking, drinking),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of the regular exercise group was 0.4848 points higher than the non-regular exercise group, and the odds of dementia occurrence was 0.42 times (95% CI: 0.26-0.69), which lowered the risk of dementia by 57.8%. In the high level of physical activity group, the odds of dementia occurrence was 0.38 times (95% CI: 0.22-0.66) compared to the non-physical activity group, which lowered the risk of dementia by 61.9%.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for the occurrence of dementia between the low level of physical activity group and non-physical activity group. In the subgroup analysis, regular exercise further reduced the risk of dementia in women compared to men (53.1% vs. 57.5%). In those under 65 years of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not found between regular exercise and the occurrence of dementia.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ver 65 years of age, the odds of dementia occurrence was 0.34 times (95% CI: 0.20-0.58) in the regular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non-regular exercise group, which lowered the risk of dementia occurrence by 65.8%.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gular exercise was a factor affecting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scores and the occurrence of dementia. Regular exercise improved cognitive function and reduced the risk of dementia. Also, the preventive effect of dementia was confirmed at the high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function or dementia occurrence by focusing on the change in regular exercise statu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